KR100483336B1 -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 Google Patents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336B1
KR100483336B1 KR10-2002-0010650A KR20020010650A KR100483336B1 KR 100483336 B1 KR100483336 B1 KR 100483336B1 KR 20020010650 A KR20020010650 A KR 20020010650A KR 100483336 B1 KR100483336 B1 KR 100483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hoe
swing
cylinder
base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926A (ko
Inventor
아오키츠요시
미야자키에이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09950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71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1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295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14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2951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3000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27Devices to connect beams or arms to tractors or similar self-propelled machines, e.g. driv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Abstract

운전석이 후부 영역에서 트랙터 차체에 설치된 백호부착 프레임(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B). 이 백호 유닛은 상기 백호부착 프레임과 걸어맞춤 연결하는 걸어맞춤 연결부(B14, B15)를 설치한 기초대(B1)와, 이 기초대(B1)상에 설치된 조종자용 스텝(B24) 및 조종 포스트(B4)와, 상기 기초대(B1)에 지지된 요동 세로축(B12)와, 상기 요동 세로축(B12)둘레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붐브래킷(B3)과, 상기 붐브래킷(B3)에 부착된 붐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상기 붐브래킷(B3)을 수평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서, 그 일단이 제 1실린더 연결부(B19a)를 통하여 상기 기초대(B1)에, 그 타단이 제 2실린더 연결부(B19b)를 통하여 상기 붐브래킷(B3)에 연결된 단일의 스윙실린더(B5)가 상기 기초대(B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BACKHOE UNIT DETACHABLY ATTACHED TO A TRACTOR}
본 발명은,운전석의 후부 영역에서 트랙터 차체에 설치된 백호부착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백호 유닛은,종래부터 차체의 전부에 로더를 차체의 후부에 백호 유닛을 장착하는 트랙터,이른바 TLB(트랙터·로더·백호)에 적용되고 있다.그러한 TLB는,일본 특개평 10-7014호 공보나 USP605650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트랙터 차체의 후부에 백호부착 프레임을 설치하고,이 백호부착 프레임에 백호 유닛을 지지하고 있는 기초대를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장착한다.이 기초대에는 좌우 한쌍의 스태빌라이저나 세로요동축이 설치되고,이 세로요동축 둘레에서 요동 가능하게 붐브래킷을 설치하고,이 붐브래킷에 붐 어셈블리를 부착하고 있다,이 붐브래킷은 좌우 한 쌍의 스윙 실린더로 수평 방향으로 요동동작시킨다.이 좌우 한 쌍의 스윙 실린더는 트러니온형(trunnion type)으로,기초대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분배하여 배치되고,또한 트랙터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이 때문에 스윙 실린더의 수납을 위해 전후 방향에 긴 스페이스가 필요할 뿐만 아니고,2개의 스윙 실린더 때문에 4개의 유압 호스가 필요하며,그 수용에도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이 때문에,기초대 전체의 전후 길이가 커지고,결과적으로 백호 유닛의 전후 길이가 길어져서,장착시의 트랙터 차체에 가해지는 백호 유닛의 부하는 매우 큰 것으로 되고 있다.
백호 유닛의 기초대 위에는 스텝이 설치되어 있고,그 스텝의 후방 영역의 좌우방향 중앙에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 단면의 조종 포스트가 배치되어 있고,대형의 TLB에서는 장착한 백호 유닛의 조종 포스트의 좌우 측면과 좌우 후륜 펜다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결과적으로 트랙터 전후 방향에 연장되는 조종자를 위한 워크스루 공간이 만들어지게 된다.그러나 중소형의 TLB에서는 조종 포스트의 좌우 측면과 좌우후륜 펜다와의 사이의 공간이 좁기 때문에,조종 포스트를 후륜 펜다로부터 후방으로 이간시켜 트랙터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워크스루 공간을 만들어내지 않으면 안된다.그 때문에,트랙터 차체 후단으로부터 장착된 백호 유닛의 조종 포스트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결과적으로 백호 유닛의 전체길이,특히 기초대의 전후 방향의 치수가 길어져 버린다.기초대의 전후 방향의 치수가 길어지면,TLB의 중량 밸런스가 악화되게 된다.
발명의 목적은,트랙터 후부에 설치된 백호부착 프레임과 걸어맞춤 연결하는 걸어맞춤 연결부를 설치한 기초대와,이 기초대 위에 설치된 조종자용 스텝 및 조종 포스트와,상기 기초대에 지지된 요동 세로축과,상기 요동 세로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붐브래킷과,상기 붐브래킷에 부착된 붐 어셈블리를 구비한 백호 유닛을 출발 기술로 하여,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컴팩트한 백호 유닛을 제공함과 동시에,그 때 조종자가 기초대의 스텝으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워크스루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본 발명에 의한 백호 유닛에서는,상기 붐브래킷을 수평 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서,그 일단이 제1실린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기초대에, 그 타단이 제2실린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붐브래킷에 연결된 단일의 스윙실린더가 상기 기초대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단일의 스윙실린더는, 상기 트랙터 차체의 길이방향 센터라인으로부터 오프셋하도록 기초대의 일 측방으로 배치되고, 또한 평면으로 보아 이 길이방향 센터라인에 대하여 경사져 연설되어 있다.이 구성에서는,백호 유닛의 붐브래킷을 단일의 스윙 실린더로 요동시키므로,스윙 실린더에 관한 구조가 간단해지고,스페이스를 저감할 수 있으며,결과적으로 기초대의 전후 치수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상기 스윙 실린더가 차체 전후 방향에서 경사하면서 연장되어 있으면,스윙 실린더가 차지하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고,결과적으로 기초대의 전후 치수가 짧아진다.이것은 트랙터 차체에 가해지는 백호 유닛의 부하를 저감하는 것에 공헌한다.
스윙 실린더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므로,스윙 실린더를 기초대의 강도가 높은 부위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를 위한 구체적 방책으로서,상기 걸어맞춤 연결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상부 걸어맞춤 연결부와 하부 걸어맞춤 연결부로 이루어지고,스윙 실린더의 부착부로서의 제1실린더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상부 걸어맞춤 연결부와 하부 걸어맞춤 연결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본 발명에서는,상기 스윙 실린더에 의한 상기 붐브래킷의 요동이 90°보다 작은 요동각으로 제한되는 것이 제안된다.이것은,붐 어셈블리의 버킷으로 토석 등을 운반하는데,붐 어셈블리를 수평 방향으로 좌우 90도 요동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고정관념을 타파함으로써 실현되었다.즉,요동각의 축소에 의하여 세로 요동축과 백호부착 유닛간의 거리의 단축화를 실현한 것이다.붐 어셈블리를 좌우 90도까지 요동하는 작업은 매우 드물고,통상 작업에는,붐브래킷의 요동이 90°보다 작은 요동각으로 제한하여도,거의 문제가 없는 것이다.확실하게 요동각을 제한하는 간단한 형태는,붐브래킷과 맞닿아 접할수 있는 좌우 한 쌍의 스토퍼로,이 스토퍼는 백호부착 프레임에 설치할 수가 있다.
요동하는 붐 어셈블리가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요동했을 때 붐이 조종 포스트에 접근하게 되는데,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형태에서는,조종 포스트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고,이 케이싱의 후면의 하부에,붐 어셈블리가 최대 각도로 상승하여 요동했을 때에,붐 어셈블리의 아암 실린더 피벗부의 침입을 허용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있다.이것에 의해서,조종 포스트로부터 요동 세로축까지의 전후 치수,결과적으로는 백호 유닛의 전후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조종 포스트로부터 요동 세로축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하기위한 방책으로서,조종 포스트의 케이싱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요동 세로축까지의 거리가,붐 어셈블리의 최대폭의 반분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제안된다.또,상기 스텝의 전부가 트랙터 기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트랙터의 좌우 후륜 펜다의 후단에 근접하는 좌우측부와,좌우후륜 펜다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중앙부로 구성되어도,조종 포스트로부터 요동 세로축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서는,상기 걸어맞춤 연결부는 각각 좌우 한 쌍의 상부 걸어맞춤 연결부와 하측 걸어맞춤 연결부로 이루어지고,또한 상기 상측 걸어맞춤 연결부는,백호부착 프레임에 설치된 상측 피연결부에 후방으로부터 접근하여 직경 외방향으로부터 상측 연결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기위해 전방이 개폐가 자유롭게 되도록 피벗부를 통하여 상하방향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상하 한 쌍의 마운트홀더와,상기 피벗부로부터 후부의 마운트 홀더의 사이에 후방으로부터 삽입 이탈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이 마운트 홀더의 회전운동을 로크하는 유지부재를 구비하고,그 때 상기 유지부재를 상기 스텝의 하방에 잠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하 한 쌍의 마운트 홀더를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하여 유지부재를 후측하강으로 경사 배치시키고 있다.이 구성에 의해,스텝을 트랙터의 후단에 근접시킬 수가 있고,스텝의 면적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붐브래킷의 하단과 걸어맞춤 연결부와 대략 동일 높이에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기초대를 가급적으로 낮은 레벨에 배치하고,백호 유닛의 중량 밸런스를 보다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본 발명에서는,상기 스텝 위에 상기 운전석의 후측으로부터 좌우경사 후방으로 연장되는 워크스루 공간이 형성되는 것도 제안된다.
이것에 의해서,조종자를 위한 충분한 워크스루 공간이 만들어지는데도 불구하고,트랙터 차체의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가 있고,결과적으로 백호 유닛의 기초대의 컴팩트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상기 조종 포스트의 케이싱의 전면이 그 배면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그 좌우측면이 전내측으로부터 후외측으로 사행(斜行)하고 있으면,넓은 워크스루 공간을 확보하면서,트랙터 차체의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로는,상기 스텝은,조종 포스트의 좌우 양측에서 양 발을 후측개방형상으로 얹어놓기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대략 ハ자형 발놓는부와,조종 포스트의 전측에서 상기 1쌍의 발놓는부의 뒤꿈치부분을 연결하여 발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부를 포함하고 있다.이 구성에서도,필요하면서 충분한 조종자를 위한 거주 공간을 확보하면서,트랙터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텝의 앞테두리의 측부에 발돌출 규제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트랙터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하여도,스텝으로부터의 발의 돌출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상기 스텝의 평면형상이 후방 개방의 대략 コ자형상으로,상기 후방 개방부분에 평면에서 보아 뒤쪽이 넓어지는 사다리꼴형상의 조종 포스트가 배치되어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적합하다.
또,상기 조종 포스트의 케이싱 내에,스윙 실린더 및 붐 어셈블리를 위한 컨트롤 밸브가 배치되고,이들의 상방에 그들을 각각 조작하는 조작레버가 배치되면,조종 포스트 외부가 자유 공간이 되어 조종자의 발아래에 방해되는 부재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과 이점은,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4에 트랙터·프론트로더·백호(통상 TLB라고 약칭된다)(1)가 도시되어 있다.이 TLB는,트랙터 차체(T)의 중도부로부터 전방으로 프론트로더(F)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트랙터 차체(T)의 후부에 백호부착 유닛(2)을 통하여 후작업기로서의 백호 유닛(B)이 착탈 이 자유롭게 장착되고,트랙터 차체(T)의 중도부 하부에 미드마운트모어(midmount mower)(M)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트랙터 차체(T)는,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전후 방향으로 긴 차체 프레임(T1)에,엔진(T2)과 미션케이스(T3)를 전후로 이간하여 부착해서 차체 본체(T4)를 구성하고,차체 프레임(1)의 전부에 전륜(T5)을 매다는 전차축 케이스(T6)를 지지하고,미션 케이스(T3)로부터 좌우 측방으로 후륜(T7)을 매다는 후차축 케이스(T8)를 돌출하고 있다.
상기 미션케이스(T3)의 상부에 작업기 승강용 유압장치(T10)가 부착되고,이 유압장치(T10)의 상방에는,연료탱크(T9)와 운전석(3)을 전후 반전이 자유롭게 한 운전석 장치(4)가 탑재되고,운전석(3)의 하방으로부터 조종부(T14)에 걸쳐서,차체 본체(T4) 및 연료탱크(T9)의 상방을 덮도록 플로어시트(T11)가 설치되고,이 플로어시트(T11)의 좌우 측부에는 상기 후륜(T7)용의 펜다(T12)가 용착(溶着)에 의해 또는 볼트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T13은 엔진(T2)를 덮는 보닛으로,그 후부에는 상기 조종부(T14)가 설치되어 있다.또,차체 프레임(T1)의 전단에는,보닛(T13)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T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T1)은,대별하여,메인 프레임(T17)과 좌우의 마스트 지지프레임(T18)과 좌우의 보강 프레임(T19)을 가지고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T17)은,엔진(T2) 및 미션 케이스(T3)를 직접적으로 끼워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긴 판재(T17a)와,이 좌우 긴 판 재(T17a)를 서로 연결하는 전후방향 다수의 봉재(棒材),판재제의 횡부재(T17b)로,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T17)의 전단 하부에는,전차축 케이스(T6)를 센터 핀 둘레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부(T21)를 가지고,중도부로부터 후부에 걸쳐서,미드마운트모어(M)를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승강장치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 각 마스트 지지 프레임(T18)은,상기 메인 프레임(T17)의 전후방향 중도부의 좌우 외면에 외방 돌출형상으로 고정된 크로스 빔 부재(T18a)와,이 크로스 빔 부재(T18a)의 외단 상면에 세워설치된 마스트 지지부재(T18b)를 가지고 있고,상기 크로스 빔 부재(T18a)의 부착부분은 메인 프레임(T17)의 외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
좌우 각 보강 프레임(T19)은,2매의 띠판(T19a,T19b)을 전후로 비껴놓아 중도부에서 오버랩 상태로 맞붙이고,전측띠판(T19a)의 전단을 상기 크로스 빔 부재(T18a)에 고착된 브래킷(T19c)과 연결하고,후측띠판(T19b)의 후부를 메인 프레임(T17)의 긴 판재(T17a)의 외측면에 볼트 등의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있고,이 후측띠판(T19b)의 후부와 긴 판재(T17a)는 간격을 가지고 대면하고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T19)은,메인 프레임(T17)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대략 오버랩 배치되어 있고,마스트 지지부재(T18b)에 가해지는 부하를 메인 프레임(T17)의 후부에도 분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6, 7은 상기 횡부재(T17b)와 마찬가지로,좌우 긴 판재(T17a)를 간격 조정이 자유롭게 서로 연결하는 전후 장착구이고,메인 프레임(T17)에 대하여 미션 케이스(T3)을 장착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전측 장착구(6)은 좌우 한 쌍의 정면에서 보아 L자형상의 장착체(6L,6R)을 가지고,좌우 각 장착체(6L,6R)의 세로부분은,긴 판재(T17a)의 내면에 볼트 고정됨과 동시에,미션 케이스(T3)을 볼트 장착하고 있다.
상기 좌우 각 장착체(6L,6R)의 수평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좌우 긴 판재(T17a) 간격에 적합하도록,연결길이가 미세조정되도록 되어 있다.이 전장착구(6)의 하부(수평 부분)는 메인 프레임(T17)보다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어, 미션 케이스(T3)의 전측하부를 보호하고 있다.
후측 장착구(7)는 전측 장착구(6)과 마찬가지로,좌우 각 장착체(7L,7R)의 세로부분을 긴 판재(T17a) 및 미션케이스(T3)에 연결하고,수평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좌우 긴 판재(T17a)간격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랙터 차체(T)는,프레임 구조의 것으로,백호부착 유닛(2)는 차체 프레임(T1),미션 케이스(T3) 및 유압장치(T10)에 연결되므로,이 백호부착 유닛(2)을 포함하여 트랙터 차체(T)가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프론트로더(F)는,좌우 마스트(F1)의 상부에 붐(F2)의 기초부를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피벗하고, 붐(F2)의 선단에 버킷(F3)을 퍼올림·덤프가 자유롭게 피벗하고, 붐(F2)를 붐실린더(F4)로,버킷(F3)을 버킷 실린더(F5)로 각각 유압 구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마스트(F1)은,마스트 지지 프레임(T18)의 마스트 지지부재(T18b)에 상측으로부터 끼워넣고 또한 하부를 걸림하고,중도부를 록핀(F6)으로 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로더(F)는,사용하지 않을 때,록 핀(F6)을 뺌으로써 마스트 지지 프레임(T18)으로부터 이탈시킬 수가 있는데,백호 작업만,모어(mower)작업만을 장기간 행할 때에는,차체 프레임(T1)은,메인 프레임(T17)으로부터 좌우의 마스트 지지프레임(T18) 및 보강 프레임(T19)을 이탈하여 두어도 좋다.
미드마운트모어(M)는,매달기수단(M1)을 통하여 차체 본체(T4)의 하측 복부에 승강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고,미션 케이스(T3)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블레이드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미드마운트모어(M)는,로더작업 및/또는 백호작업을 하는 경우는,트랙터 차체(T)에 대하여 매달기 수단(M1)과 함께 이탈시켜 둘 수가 있다.
백호 유닛(B)는,도 1∼4,7,11-14에 나타낸 바와 같이,기초대(B1)의 전측에 좌우 한 쌍의 연결죠(connecting jaws; B2)를 가지고 있고,기초대(B1)의 후부에 요동 세로축(B12)둘레에 회전 요동이 가능하게 붐브래킷(B3)을 피벗하여, 기초대(B1)의 상부에 조종 포스트(B4)를 탑재하고,기초대(B1)의 좌우에 유압구동의 아우트리거(스태빌라이저)(B16a)를 장비하고 있다.
상기 붐브래킷(B3)은 1개의 스윙 실린더(B5)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좌우 요동동작이 자유롭고,이 붐브래킷(B3)에는 붐 어셈블리가 부착되어 있다.즉,이 붐브래킷(B3)에 붐(B6) 및 붐 실린더(B7)의 기초부를 피벗하여,붐 실린더(B7)로 붐(B6)을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하고, 붐(B6)의 선단에 아암(B8)을 피벗하여 아암 실린더(B9)로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하고, 아암(B8)의 선단에 버킷(B10)을 피벗하여,버킷 실린더(B11)로 퍼올림·덤프 동작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붐(B6)은 기초부가 핀(B6b)을 통하여 붐브래킷(B3)의 후하단에 피벗되고 있고,그 내부에 붐 실린더(B7)를 내포하고 있고,중도부가 상측에 돌출하여 아암실린더(B9)의 기초부를 피벗하는 아암 실린더 피벗부(B6a)를 형성하고 있다.
이 붐(B6)은,붐 실린더(B7)를 통하여 최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키면,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대략 기립자세가 되고,아암 실린더 피벗부(B6a)는 요동 세로축(B12)의 대략 바로 위에서 붐(B6)의 기초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된다.
기초대(B1)는,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된 2매의 평판(B1a,B1 b)을,아우트리거(B16)의 부착부(B16a)를 형성하는 판재(B16b,B16c) 및 좌우 한 쌍의 연결죠(B2) 등으로 연결하여 내부 공동(空洞)형상으로 형성한 것이고, 상기 요동 세로축(B12)을 지지하는 축받이부(B1c)는 상하 한 쌍이고,요동 세로축(B12)도 단축을 상하 분리하여 동심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붐브래킷(B3)의 축받이부(B3a)도 두갈래형상이고,스윙 실린더(B5)의 실린더로드(B5a) 선단이 연결되는 제2실린더 연결부(B19b)로서의 돌기 플랜지(B3b)는,붐브래킷(B3)의 측면의 상하 중도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스윙 실린더(B5)의 기초부를 핀(B5b)로 피벗하는 제1실린더 연결부(B19a)는,기초대(B1)의 좌우 한쪽,실시 형태에서는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우측 아우트리거(B16)의 부착부(B16a)의 근방이고,우측 연결죠(B2)의 근방이고,또,그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제1실린더 연결부(B19a)는,기초대(B1)를 구성하는 상·하평판(B1a,B1b)의 사이에서,판재(B16c)와 연결죠(B2)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스윙 실린더(B5)는 1개로 붐브래킷(B3)을 좌우로 필요각도 스윙시키는 클레비스형(clevis type)으로 되어 있고,그 요동각도도 90°보다 작기 때문에, 접속하는 유압호스는 2개뿐이고,그 팽창도 작아져서,필요 스페이스가 감소하고 있다.
이 스윙 실린더(B5)는,기초대(B1)에 대하여 기초부가 좌우 한쪽의 외측부에,실린더 로드(B5a) 선단이 중앙측에 각각 위치하므로,기초대(B1)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배치되게 되고,트러니온형과 같이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2개 배치하는 경우에 비하여,기초대(B1)의 좌우방향 중앙부의 스페이스에 제한받지 않고 배치할 수 있고,반대로 기초대(B1)의 전후 치수를 축소 가능하게 하고, 백호 유닛(B)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하여 트랙터 차체(T)에 의해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스윙 실린더(B5)의 제1실린더 부착부(B19a)는,좌우 한쪽의 상·하 걸어맞춤 연결부(B14,B15)의 근방,상기 아우트리거(B16)의 부착부(B16a)의 근방, 또는 상·하 걸어맞춤 연결부(B14,B15)와 아우트리거(B16)의 부착부분(B16a)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스윙 실린더(B5)는 기초대(B1)내에 있어서 가장 강도가 높은 위치에서 지지된다.
도 4,7,11,12에 있어서,상기 붐브래킷(B3)은 1개의 스윙 실린더(B5)로 요동 가능하도록,후방향 자세(붐 어셈블리가 기체 중심선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자세이고,도 7,12에 있어서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로부터 좌우로의 최대 요동각도(S)가 90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스윙 실린더(B5)의 좌우 최대 요동각도(S)를 90도 보다 작게 한 것에 의해,붐(B6)을 최상승위치로 하여 최대각까지 요동했을 때에,붐(B6)의 가장 앞부분이 되는 아암 실린더 피벗부(B6a)의 측면은,상기 요동 세로축(B12)로부터 전방으로 크게 이간되는 일은 없고(도 12에 2점쇄선으로 도시함),따라서 이 아암 실린더 피벗부(B6)의 측면을 조종 포스트(B4)의 후부에 근접시키도록 하면,상기 요동 세로축(B12)의 위치를 종래보다도 설계적으로 전측으로 비켜 놓을 수가 있고,조종 포스트(B4)로부터 요동 세로축(B12)까지의 전후 치수,즉,백호의 전후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최대 요동각도(S)는 75도 전후가 바람직하고,또,조종 포스트(B4)의 케이싱(B4a)의 후면의 하부에 개방부(B4b)를 형성하여 두어,붐(B6)이 최대 각도로 요동했을 때에,아암 실린더 피벗부(B6a)의 침입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상기 개방부(B4b)는 조종 포스트(B4)내의 컨트롤 밸브에 접속되는 유압배관의 삽입통과구로도 되어있다.
즉,붐(B6)은 아암 실린더(B9)를 지지하고 있기때문에,좌우 한 쌍의 측판으로부터 아암 실린더(B9)의 피벗 핀을 지지하는 축받이 부분이 돌출하고 있어,그 최대 폭(L2)은 상당한 치수가 되고,붐브래킷(B3)을 요동 세로축(B12)둘레로 90도 요동시키는 경우는,조종 포스트(B4)의 케이싱(B4a)의 후면으로부터 요동 세로축(B12)까지의 거리(L1)를,붐(B6)의 최대폭(L2)의 반분보다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상술과 같이,붐브래킷(B3)의 최대 요동각을 90도 보다 작게 하면,아암 실린더 피벗부(B6a)의 축받이부가 케이싱(B4a)의 후면으로부터 이간되게 되고,그만큼 요동 세로축(B12)을 조종 포스트(B4)에 근접하게 된다.그래서,상기 거리(L1)를,붐(B6)의 최대 폭(L2)의 반분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붐(B6)의 최대 요동각도(S)는,붐(B6)의 아암 실린더 피벗부(B6a)의 폭,축받이부의 돌출량,개방부(B4b)의 유무 등에 따라서 결정되고,아암 실린더 피벗부(B6a)의 폭을 가급적 좁게 하고,축받이부의 돌출량을 최소로 하여, 개방부(B4b)를 설치함으로써,80∼85도 또는 그 전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요동 세로축(B12)를 종래보다 조종 포스트(B4)에 근접시킴으로써,백호의 전후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백호부착 유닛(2)의 후부에,붐브래킷(B3)이 최대각(S) 요동했을 때에 맞닿는 스토퍼(B25)가 설치되어 있다.이 스토퍼(B25)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좌우 한 쌍으로,조종 포스트(B4)에 요동하는 붐(B6)이 충돌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한다.
도 11에 있어서,각도(P)는 끝이 올라가는 각이고,트랙터·프론트로더·백호(1)를 트랙 반송하기 위해서,트럭 짐받이에 건 발판에 트랙터 본체(T)를 실었을 때에,백호 유닛(B)의 하부가 지면과 접촉시키지 않기 위한 각도이다.
상기 끝이 올라가는 각(P)는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후륜(T7)으로부터 붐브래킷(B3)후단까지의 거리가 짧으면 짧을 수록 기초대(B1) 및 붐브래킷(B3)을 저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되고,상기 거리(L1)의 단축화에 의해,기초대(B1)를 가급적으로 하위에 배치하여,백호 유닛(B)의 중량 밸런스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가 있다.
기초대(B1)의 상면에는 지지 리브(B23)를 통하여 스텝(B24)가 부착되고,이 스텝(B24)의 위에 또는 병설적으로 조종 포스트(B4)가 탑재되어 있다.상기 스텝(B24) 위에 후방향 운전석(3)의 후측으로부터 좌우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는 워크스루 공간(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은 트랙터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상기 조종 포스트(B4)는 케이싱(B4a)내에,스윙 실린더(B5)를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C1),붐 실린더(B7)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C2),아암실린더(B9)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C3),버킷 실린더(B11)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C4) 및 좌우 한 쌍의 아우트리거 실린더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C5)를 배치하고 있다.
이들의 컨트롤밸브(C1∼C5)는,좌우 중합상태에서 케이싱(B4a)의 전벽내면에 부착되어 있고,이들의 상방에 피벗부(C9,C10)를 통하여 스윙·붐조작레버(C6),아암·버킷 조작레버(C7) 및 좌우 아우트리거 조작레버(C8)를 배치하고,케이싱(B4a)의 전벽으로부터 조작레버(C6∼C8)의 피벗부(C9,C10)가 전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 워크스루 공간(H)에 침입하는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7,12에 나타낸 바와 같이,상기 케이싱(B4a)은 전면이 배면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좌우 측면이 전내측으로부터 후외측으로 경사되어, 평면에서 보아 뒤쪽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고,전면을 컨트롤밸브(C1∼C5)의 부착에 필요한 치수로 하고,배면을 배관 접속을 위한 충분한 치수로 하여,전후폭을 가급적 좁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텝(B24)는,평면 형상이 후방 개방의 대략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조종 포스트(B4)의 좌우 양측에서 양 발을 후측개방형상으로 얹어놓기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대략 ハ자형 발놓는부(B24a)와,조종 포스트(B4)의 전측에서 상기 1쌍의 발놓는부(B24a)의 뒤꿈치부분을 연결하여 발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부(B24b)를 가지고 있다.
또,상기 스텝(B24)는 그 앞테두리,뒤테두리 및 좌우측 테두리에, 또는 그 중의 적어도 앞테두리의 측부에,평면부로부터 기립한 발돌출 규제부(B24c)가 형성되고,스텝(B24)로부터의 발의 돌출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텝(B24)의 전부는,전후 방향에 있어서,좌우측부가 좌우 후륜펜다(T12)의 후단에 근접하고,중앙부가 좌우 후륜 펜다(T1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이 중앙부의 전단은,후방향 자세의 운전석(3)의 시트부(3A)(3B는 전단의 의자등부)의 후단과 전후방향 대략 동일 위치에 있다.
상기 스텝(B24)의 상면의 면적은,운전석(3)으로부터 조종 포스트(B4)까지의 거리를 필요 최소한의 치수로 설정한 다음,필요 최소한의 거주공간을 확보하는 것이고, 케이싱(B4a)의 좌우 측면을 전내측으로부터 후외측으로 경사시킴으로써, ハ자형상으로 벌리는 발을 얹어놓기 쉽게 하고, 케이싱(B4a)로부터 좌우 후륜 펜다(T12)의 후단까지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거리가 작아도,케이싱(B4a)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좌우 후륜 펜다(T12)의 후단까지의 거리를 크게 하여,운전자가 통과할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워크스루 공간(H)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상기 후방향 자세시 운전석(3)의 시트부(3A)의 후단은,전후 방향에 있어서,백호부착 유닛(2)과 대략 동일위치 또는 트랙터 차체(T)의 후단보다 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이들에 의해서도,트랙터 차체(T)로부터 스텝(B24)까지의 거리,조종 포스트(B4)까지의 거리,기초대(B1)까지의 거리 등을 짧게 하여,백호 유닛(B)의 전후길이를 짧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트랙터 차체(T)의 후단과 백호부착 유닛(2)의 전단을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략 근접하고 있고,이들에 상기 시트부(3A)의 후단도 근접하고,트랙터 차체(T)로부터 조종 포스트(B4)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하여,기초대(B1)가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백호 유닛(B)의 좌우 각 연결죠(B2)에는,상하에 걸어맞춤 연결부(B14,B15)를 구비하고 있고,상·하 걸어맞춤 연결부(B14,B15)는 백호부착 유닛(2)의 좌우 각 상·하 피연결부(11,12)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되고,트랙터 차체(T)에 대하여 백호 유닛(B)을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14에 있어서,상기 백호부착 유닛(2)의 상측 피연결부(11)는 핀(11a)을 가지고 있고,상기 연결죠(B2)의 상측 걸어맞춤 연결부(B14)는,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핀(11a)에 끼워맞춤(간섭 회피)하는 오목부(B14a)와,이 오목부(B14a)가 핀(11a)에 끼워맞춤한 상태로 핀(11a)를 끼우는 마운트수단(B20)을 가지고 있다.
상기 마운트수단(B20)은,상하 핀(피벗부)(B20a)를 통하여 연결죠(B2)의 상부에 피벗된 상하 한 쌍의 마운트 홀더(B20b)와,이 상하 마운트 홀더(B20b)를 확대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B20c)와,상하 마운트 홀더(B20b)가 폐쇄했을 때에 그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재(B20d)를 가지고 있고,상기 마운트 홀더(B20b)에는 핀(11a)을 끼우는 끼움부(B20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재(B20d)는 연결죠(B2)에 설치된 브래킷(B26)에 전후방향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유지된 로드부와,이 로드부의 전단부에 설치된 헤드부를 가지고,헤드부와 브래킷(B26)간의 로드부에는,스프링(B20c)가 개재되어,헤드부는 상시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연결죠(B2)에는 록해제레버(B27)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피벗되고,이 록해제레버(B27)에 형성된 긴구멍(B28)에,상기 유지부재(B20d)의 헤드부에 설치된 핀(B29)가 걸어맞춤하고 있다.이 록해제레버(B27)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유지부재(B20d)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재(B20d)의 헤드부는,상기 1쌍의 마운트 홀더(B20b)의 전부가 폐쇄했을 때에 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후방으로부터 마운트 홀더(B20b)간에 삽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재(B20d)는,로드부의 후부가 하방에 위치하도록,후측하강 경사상태로 배치되어 있다.그 때문에,상기 상하 한 쌍의 마운트홀더(B20b)는,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재(B20d)를 후측 하향으로 경사 배치함으로써,스텝(B24)의 하측에 잠입시키고,스텝(B24)를 트랙터 차체(T)에 의하여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게 되고,이것에 의해서,기초대(B1)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상하 각 마운트 홀더(B20b)는 후단면이 피벗부(B20a)를 곡률중심으로 하는 원주면(B30)이 되고,전부가 확대하고 있을 때,상하 양 마운트 홀더(B20b)의 원주면(B30)이 동시에 유지부재(B20d)의 헤드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백호부착 유닛(2)의 하측 피연결부(12)는 상향 개방의 오목부(12a)를 가지고,연결죠(B2)의 하측 걸어맞춤 연결부(B15)는 좌우에 걸치는 긴 로드(B15a)로 형성되어 있고,이 로드(B15a)는 오목부(12a)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지지된다.
도 14에 있어서,상기 백호부착 유닛(2)의 상측 피연결부(11)는,하측 피연결부(12)의 바로 위라도 좋지만,치수(L3)만큼 하측 피연결부(1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트랙터차체(T)로부터 조종 포스트(B4)까지의 거리를 보다 짧게하여,백호 유닛(B)의 전후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트랙터 차체(T)에 대한 백호 유닛(B)의 장착은,기초대(B1)를 약간 후측 하향 자세로 하여 두고,연결죠(B2)의 하측 걸어맞춤 연결부(B15)의 로드(B15a)의 하방에 하측 피연결부(12)의 오목부(12a)가 오도록 트랙터 차체(T)를 이동하고,그 후,아우트리거(B16)를 작동하여,기초대(B1)를 수평 자세로 하면서 로드(B15a)를 오목부(12a)에 삽입하여 간다.
상기 로드(B15a)가 오목부(12a)에 지지된 상태에서,마운트 수단(B20)이 핀(11a)에 근접하여 가면,마운트 홀더(B20b)의 끼움부(B20e)의 안쪽이 핀(11a)과 맞닿고,스프링(B20c)에 저항하여 상하 마운트 홀더(B20b)를 닫도록 작용한다.
상하 마운트 홀더(B20b)가 폐쇄되어 끼움부(B20e)가 핀(11a)에 끼워맞춤하면,탄압스프링(B20f)에 의하여 유지부재(B20d)가 상하 마운트 홀더(B20b) 사이에 들어가서,핀(11a)를 끼우는 상태를 유지한다.
유지부재(B20d)는 탄압스프링(B20f)에 의하여 마운트 홀더(B20b)측으로 가압되고 있고,이 탄압스프링(B20f)에 저항하여 유지부재(B20d)를 상하 마운트홀더(B20b)간으로부터 이탈함으로써,마운트 수단(B20)은 개방되고,트랙터 차체(T)로부터 백호 유닛(B)를 이탈 가능하게 된다.
백호부착 유닛(2)은, 상하방향의 중도부가 메인프레임(T17)에 연결되고, 상부 및 중도부가 유압장치(T10)에 연결되어 있고, 그 상부에 후부 세로틀(13)을 장착하고 있으며, 하부에 피치연결체(14)를 가지고 있고, 미션케이스(T3)의 배부(背部)를 둘러싸도록 차체프레임(T1)의 후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세워설치되어 있다.
또, 백호부착 유닛(2)은, 백호 유닛(B) 및 후부 세로틀(13)을 장착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후작업기로서의 레이크 장치, 박스블레이드장치, 로터리 경운기, 진압장치, 트레일러 등을 장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그들의 장치를 단독으로, 또는 트랙터 차체(T)에 장착되는 프론트로더(F), 미드마운트모어(M) 등과 병용하여, 각종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10에 있어서, 상기 백호부착 유닛(2)는, 좌우 한쌍의 세로부재(2A)와, 좌우 세로부재(2A)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재(2B)와, 좌우 세로부재(2A)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재(2C)를 가진다.
좌우 각 세로부재(2A)는, 상부와 하부가 수평반대방향으로 굴곡된 하부재(2Aa)와, 이 하부재(2Aa)의 상부에, 동일한 상부와 하부가 수평반대방향으로 굴곡된 상부재(2Aa)를 고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5와 도 16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세로부재(2A)의 하부재(2Aa)의 외면에는, 상하방향 중도부에 메인프레임(T17)의 긴 판재(T17)a가, 상부에 상측 피연결부(11)를 구성하는 부재가, 하부에 하측 피연결부(12)를 형성하는 부재가 각각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우 하부재(2Aa)의 하부의 수평부분에는, 하부재(2C)가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이 하부재(2C)는 단순한 판으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실시형태에서는 피치연결체(14)를 이용하고 있고, 피치 연결점이 되는 피치 조인트(14a)로 진압장치, 트레일러 등의 견인바를 연결가능하게 하고 있다.
좌우 세로부재(2A)의 하부에는 로어링크핀(16L, 16R)이 설치되어 있다. 양 로어링크핀(16L, 16R)은 플랜지(16a)가 용착되어 있고, 이 플랜지(16a)가 세로부재(2A)의 내면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좌우 로어링크핀(16L, 16R)은, 로어링크(17)가 삽입통과 가능한 간격(21)을 두고 내향 대향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우 로어링크핀(16R)(좌 로어링크핀 16L이라도 좋다)는, 트랙터 차체(T)의 좌우 중심을 넘어서 반대측(좌측)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18은 좌우 로어링크핀(16)에 걸쳐서 끼워맞춤 지지된 체크체인 연결구(check chain connector)(18)이고, 트랙터 차체(T)의 좌우 대략 중심에서 고정핀(18a)에 의해 우 로어링크핀(18a)의 삽입이탈만으로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체크체인 연결구(18)는, 좌우 로어링크(17)와의 사이에 가설되는 체크체인의 전단을 걸어둠과 동시에, 좌우 로어링크(17)의 전단이 좌우 로어링크 핀(16)에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규체하는 역할도 하고 있고, 특별한 로어링크 빠짐방지 부재를 불필요하게 하고 있다.
즉, 체크체인 연결구(18)의 로어링크핀(16)에 끼워맞춤하는 부위의 폭은, 좌우 로어링크핀(16)에 끼워맞춤한 좌우 로어링크(17) 사이를 대략 메워넣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이 체크체인 연결구(18)를 이탈하는 것 만으로, 좌우 로어링크(17)는 간격(간극)(21)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세로부재(2A)의 상부재(2Ab)에는 브래킷을 통하여 상부재(2B)가 연결되고, 이 상부재(2B)에 톱링크(24)를 핀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톱링크브래킷(15)이 고착되어 있다.
이 톱링크브래킷(15)는, 판재제의 부착부(15a)에 후방 돌출형상의 링크 연결부(15b)를 형성한 것이고, 부착부(15a)의 상부가 상부재(2B)에 고착되고, 그 하단에 유압장치(T10)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세로부재(2A)의 상부재(2Ab)의 위 수평부분에는, 후부 세로틀(13)이 하부 기판(13A)이 볼트 고정되어 있다. 후부 세로틀(13)은 하부 기판(13A)위에 파이프를 대략 역コ자 형상으로 굴곡한 틀본체(13B)의 하부 양단을 고착하고, 이 틀본체(13B)의 하부 양단과 연결되는 하부재(13C)를 하부 기판(13A) 위에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13A)은 백호부착 유닛(2)의 상부를 보강하고, 상부재(2B)는 후부 세로틀(13)의 하부를 보강하고 있다.
コ자 형상의 틀본체(13B)의 좌우지주(13a)는 하부 기판(13A)상에 세워설치되고, 좌우 지주(13a)의 간격을 중도부로부터 상측에서 넓게 되어 있고, 따라서, 틀 본체(13B)는 중도부로부터 상부에 걸쳐서 하부에서 좌우외방으로 팽출하고, 운전석(3)을 후부 세로틀(13)과 전후방향 오버랩한 상태로 배치하여도, 운전석(3)에 착석한 운전자의 거주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또, 후부 세로틀(13)은 틀 본체(13B)의 중도부에 굴곡부(13C)가 형성되어 있고, 격납시 등에 틀 본체(13B)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서, 전후로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좌우 한쌍의 부착 보강재(23)는, 상기 좌우 세로부재(2A)와 유압장치(T10)을 연결하고, 트랙터 차체(T)에 대한 백호부착 유닛(2)의 부착강도를 향상하고 있다.
25는 미션케이스(T3)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PTO축이고, 백호부착 유닛(2)과 전후방향에서 오버랩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윙실린더(B5)의 제 1실린더 연결부(B19a)를, 기초대(B1)의 좌측에 배치하거나, 아우트리거(B16)의 부착부(B16a)의 후측 근방에 배치하거나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백호 유닛에서는,상기 붐브래킷을 수평 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서,그 일단이 제1실린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기초대에, 그 타단이 제2실린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붐브래킷에 연결된 단일의 스윙실린더가 상기 기초대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이 구성에서는,백호 유닛의 붐브래킷을 단일의 스윙 실린더로 요동시키므로,스윙 실린더에 관한 구조가 간단해지고,스페이스를 저감할 수 있으며,결과적으로 기초대의 전후 치수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동하는 붐 어셈블리가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요동했을 때 붐이 조종 포스트에 접근하게 되는데,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형태에서는,조종 포스트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고,이 케이싱의 후면의 하부에,붐 어셈블리가 최대 각도로 상승하여 요동했을 때에,붐 어셈블리의 아암 실린더 피벗부의 침입을 허용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있다.이것에 의해서,조종 포스트로부터 요동 세로축까지의 전후 치수,결과적으로는 백호 유닛의 전후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의하면,조종자를 위한 충분한 워크스루 공간이 만들어지는데도 불구하고,트랙터 차체의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가 있고,결과적으로 백호 유닛의 기초대의 컴팩트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상기 조종 포스트의 케이싱의 전면이 그 배면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그 좌우측면이 전내측으로부터 후외측으로 사행(斜行)하고 있으면,넓은 워크스루 공간을 확보하면서,트랙터 차체의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하나로는,상기 스텝은,조종 포스트의 좌우 양측에서 양 발을 후측개방형상으로 얹어놓기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대략 ハ자형 발놓는부와,조종 포스트의 전측에서 상기 1쌍의 발놓는부의 뒤꿈치부분을 연결하여 발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부를 포함하고 있다.이 구성에서도,필요하면서 충분한 조종자를 위한 거주 공간을 확보하면서,트랙터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텝의 앞테두리의 측부에 발돌출 규제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트랙터 후단으로부터 조종 포스트까지의 전후 치수를 짧게하여도,스텝으로부터의 발의 돌출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상기 스텝의 평면형상이 후방 개방의 대략 コ자형상으로,상기 후방 개방부분에 평면에서 보아 뒤쪽이 넓어지는 사다리꼴형상의 조종 포스트가 배치되어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적합하다.
또,상기 조종 포스트의 케이싱 내에,스윙 실린더 및 붐 어셈블리를 위한 컨트롤 밸브가 배치되고,이들의 상방에 그들을 각각 조작하는 조작레버가 배치되면,조종 포스트 외부가 자유 공간이 되어 조종자의 발아래에 방해되는 부재가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호 유닛을 탑재한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트랙터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트랙터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측면도,
도 4는 트랙터 후부 및 백호 유닛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 5는 백호부착 프레임과 백호 유닛 전부의 분리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백호부착 프레임과 백호 유닛 전부의 연결상태의 측면도,
도 7은 트랙터 후부 및 백호 유닛을 나타내는 연결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백호부착 프레임을 장착한 트랙터의 배면도,
도 9는 백호부착 프레임의 배면도,
도 10은 백호부착 프레임에 후부 세로틀 및 로어링크(lower links)를 연결한 배면 도,
도 11은 트랙터 후부 및 백호 유닛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략 측면도,
도 12는 트랙터 후부 및 백호 유닛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략 평면도,
도 13은 백호 유닛과 기초대 프레임과의 비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14는 백호부착 프레임과 백호 유닛의 기초대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15는 후부 연결 프레임에 로어링크를 연결한 일부 단면 평면도,
도 16은 로어링크 연결구조의 분해 평면도이다.

Claims (10)

  1. 운전석의 후부 영역에서 트랙터 차체에 설치된 백호부착 프레임(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B)으로서, 이 백호 유닛이,
    상기 백호부착 프레임과 걸어맞춤 연결하는 걸어맞춤 연결부(B14, B15)를 설치한 기초대(B1)와,
    그 기초대(B1)위에 설치된 조종자용 스텝(B24) 및 조종포스트(B4)와,
    상기 기초대(B1)에 지지된 요동 세로축(B12)과,
    상기 요동 세로축(B12) 둘레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붐브래킷(B3)과,
    상기 붐브래킷(B3)에 부착된 붐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붐브래킷(B3)을 수평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해, 그 일단이 제 1실린더 연결부(B19a)를 통해서 상기 기초대(B1)에, 그 타단이 제2실린더 연결부(B19b)를 통하여 상기 붐브래킷(B3)에 연결된 단일의 스윙실린더(B5)가 상기 기초대(B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이 단일의 스윙실린더는, 상기 트랙터 차체의 길이방향 센터라인으로부터 오프셋하도록 기초대(B1)의 일 측방으로 배치되고, 또한 평면으로 보아 이 길이방향 센터라인에 대하여 경사져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연결부(B14, B15)는 각각 좌우 한쌍의 상측 걸어맞춤 연결부(B14)와 하측 걸어맞춤 연결부(B1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실린더 연결부(B19a)는 실질적으로 상측 걸어맞춤 연결부(B14)와 하측 걸어맞춤 연결부(B15)의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실린더(B5) 에 의한 상기 붐브래킷(B3)의 최대요동각(S)을, 상기 요동 세로축(B12)을 통하는 길이방향 축심으로부터 좌우 각각에 대하여 90°보다도 작은 요동각으로 제한하는 요동각 제한수단(B2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각 제한수단(B25)은 상기 붐브래킷(B3)과 맞닿아 접할 수 있는 좌우 한쌍의 스토퍼(B25)로서 구성되고, 이 스토퍼(B25)는 백호부착 프레임(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호 유닛.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2-0010650A 2001-07-10 2002-02-27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KR100483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9950A JP3747164B2 (ja) 2001-07-10 2001-07-10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JPJP-P-2001-00209950 2001-07-10
JPJP-P-2001-00331426 2001-10-29
JP2001331426A JP2003129513A (ja) 2001-10-29 2001-10-29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JPJP-P-2001-00331424 2001-10-29
JP2001331424A JP2003129512A (ja) 2001-10-29 2001-10-29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619A Division KR100465184B1 (ko) 2001-07-10 2004-07-29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26A KR20030006926A (ko) 2003-01-23
KR100483336B1 true KR100483336B1 (ko) 2005-04-14

Family

ID=273471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650A KR100483336B1 (ko) 2001-07-10 2002-02-27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KR10-2004-0059619A KR100465184B1 (ko) 2001-07-10 2004-07-29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619A KR100465184B1 (ko) 2001-07-10 2004-07-29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37136B2 (ko)
KR (2) KR100483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2360B2 (ja) * 2004-03-25 2009-10-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7396047B1 (en) * 2004-07-14 2008-07-08 Femco, Inc. Ride-on turf mowing machine rollover protection assembly
US7641234B1 (en) * 2004-07-14 2010-01-05 Femco, Inc. Ride-on turf mowing machine rollover protection assembly
JP4688569B2 (ja) * 2005-05-16 2011-05-25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JP2008082128A (ja) * 2006-09-29 2008-04-10 Kubota Corp ローダ作業機
US7832127B2 (en) * 2007-10-26 2010-11-16 Charles E. Hill & Associates, Inc. Apparatus for attaching a work tool to a loader
US10375195B2 (en) * 2013-11-06 2019-08-06 Fastly, Inc. Content node selection using network performance profiles
JP6552398B2 (ja) * 2015-12-07 2019-07-3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及びバックホー
JP6494501B2 (ja) * 2015-12-15 2019-04-0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6681820B2 (ja) * 2016-11-16 2020-04-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N106522303B (zh) * 2016-12-07 2018-10-09 烟台职业学院 一种推耙机推耙铲姿态参数确定方法
US10876271B2 (en) * 2017-05-11 2020-12-29 Kubota Corporation Attaching-detaching structure of a front loader, front loader and work vehicle
AU2022264461A1 (en) * 2021-04-28 2023-11-02 Workhorse Atv, Llc All-terrain vehicle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314A (en) * 1980-03-29 1981-10-30 Iseki & Co Ltd Operating device for loader
US4397603A (en) * 1982-02-18 1983-08-09 Deere & Company Backhoe slide frame and swing mechanism
EP0151101A2 (en) * 1984-01-31 1985-08-07 Willy Bergesen Tractor-mounted excavator assembly
JPH01295924A (ja) * 1988-05-23 1989-11-29 Kubota Ltd 走行車輌の作業機装着装置
JPH0585345A (ja) * 1991-09-25 1993-04-06 Kubota Corp 走行車両に着脱自在なリヤローダ
JPH07255211A (ja) * 1994-03-25 1995-10-09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JPH107014A (ja) * 1996-06-24 1998-01-13 Kubota Corp トラクタの補強枠構造体
US6056502A (en) * 1995-07-07 2000-05-02 Kubota Corporation Reinforcing frame structure for a tractor
JP2000273891A (ja) * 1999-03-24 2000-10-03 Kubota Corp 作業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5727A (en) 1968-01-19 1970-02-17 Long Mfg Co Inc Backhoe
US3904051A (en) 1974-12-20 1975-09-09 Deere & Co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undesired movement of three-point hitch-mounted backhoe frame
US4182456A (en) 1977-06-29 1980-01-08 Massey-Ferguson Inc. Material handling machine
US4393751A (en) 1981-01-21 1983-07-19 C. C. Kelley & Sons Two hole hydraulic cushion valv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314A (en) * 1980-03-29 1981-10-30 Iseki & Co Ltd Operating device for loader
US4397603A (en) * 1982-02-18 1983-08-09 Deere & Company Backhoe slide frame and swing mechanism
EP0151101A2 (en) * 1984-01-31 1985-08-07 Willy Bergesen Tractor-mounted excavator assembly
JPH01295924A (ja) * 1988-05-23 1989-11-29 Kubota Ltd 走行車輌の作業機装着装置
JPH0585345A (ja) * 1991-09-25 1993-04-06 Kubota Corp 走行車両に着脱自在なリヤローダ
JPH07255211A (ja) * 1994-03-25 1995-10-09 Kubota Corp 作業機装着装置
US6056502A (en) * 1995-07-07 2000-05-02 Kubota Corporation Reinforcing frame structure for a tractor
JPH107014A (ja) * 1996-06-24 1998-01-13 Kubota Corp トラクタの補強枠構造体
JP2000273891A (ja) * 1999-03-24 2000-10-03 Kubota Corp 作業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840A (ko) 2004-09-03
KR100465184B1 (ko) 2005-01-13
KR20030006926A (ko) 2003-01-23
US20030009920A1 (en) 2003-01-16
US6637136B2 (en) 200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336B1 (ko) 트랙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호 유닛
US6360459B1 (en) Tiltable bucket assembly
US7168907B2 (en) Latching system for automatically securing front-mounted loader mast to tractor-carried loader mounting frame
US6171050B1 (en) Load arm assembly for a skid steer loader
US6672467B2 (en) Articulating truss boom
US20050047899A1 (en) Boom assembly for swiveling utility vehicle
JP2004143668A (ja) スキッドステアローダ
KR100540503B1 (ko) 롤오버 프로텍트 시스템부착 트랙터를 위한 보강프레임 구조
KR101551478B1 (ko)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 및 이를 구비하는 농용 작업차
US4236643A (en) Vehicle stabilizer assembly
JP2007009559A (ja) ローダ作業機用アキュームレータ取付構造
US8387714B2 (en) Rear implement mounting frame construction for tractor
JP2003129512A (ja)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JP2016069996A (ja) 作業機
JPH01235731A (ja) 作業車両、殊にトラクターシャベル
JP3530375B2 (ja) フロントローダ
JP2003129513A (ja)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US20040208737A1 (en) Backhoe/loader bucket design, attachment, and method for converting existing buckets
JP3747164B2 (ja)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EP1635002A1 (en) Backhoe/Loader bucket support structure
JPH0111802Y2 (ko)
JP2016069997A (ja) 作業機
JP2898891B2 (ja) 作業機のスタンド装置
JPH0344828Y2 (ko)
JP4648585B2 (ja) トラクタのリンク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