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540Y1 -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1540Y1 KR200301540Y1 KR20-2002-0030230U KR20020030230U KR200301540Y1 KR 200301540 Y1 KR200301540 Y1 KR 200301540Y1 KR 20020030230 U KR20020030230 U KR 20020030230U KR 200301540 Y1 KR200301540 Y1 KR 2003015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hock absorbing
- long shaft
- backward
- absorb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는, 도어록 어셈블리의 연결 레버에 연결되어 레버의 운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진 운동하는 록어셈블리 연결부재; 록어셈블리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록어셈블리 연결부재의 전,후진 운동력을 전달받아 전,후진 운동하는 동력전달로드; 동력전달로드의 전,후진 운동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진 운동하는 장축부재; 장축부재와 동력전달로드 사이에 설치되며, 그 로드와 장축부재 간의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을 탄성적으로 전달하는 스프링부재; 장축부재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축부재의 전진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장축부재의 후퇴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내부로 몰입하는 완충부재; 및 완충부재의 외부를 감싸듯이 도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완충부재를 보호하는 한편 완충부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완충부재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의 측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 도어가 열릴 때에는 돌출되어 도어의 측단부가 다른 차량이나 벽면 등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차량에 손상을 입히거나 자신의 차량의 도어 측단부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가 닫힐 때에는 도어 내부로 몰입됨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도어의 측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 도어가 열릴 때에는 돌출되어 도어의 측단부가 다른 차량이나 벽면 등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차량에 손상을 입히거나 자신의 차량의 도어 측단부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는 도어 내부로 몰입됨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승용차의 경우 일체형 프레임에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루프 등을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중에서 도어는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기 때문에 측면 충돌시 충격 흡수 능력이 정면에 비해 현저히 낮아 임팩트 바 등 여러 장치를 도어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도어는 회전되는 부품이기 때문에 도어를 개폐시킬 때 인접된 다른 차량 또는 장애물에 접촉되어 도어가 찌그러지거나 긁히는 일이 자주 발생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재질의 웨이스트 라인 몰딩(103)에 클립(104)을 일체로 구성하고, 클립(104)을 도어(102) 및 바디(101)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02h)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고무 재질의 웨이스트 라인 몰딩(103)을 도어 (102)와 바디(101) 측면에 부착함으로써 측면 충돌시 충격력의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도어(102)의 개폐시 도어(102)가 찌그러지거나 긁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웨이스트 라인 몰딩(103)은 주로 다른 차량이나 물체에 의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102)를 열 때, 그 몰딩 (103)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가 아닌 도어(102)의 선단부의 다른 부위(대략 도어의 중간 측선 부위)가 인접해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나 차체에 접촉되어 손상을 입히거나, 그 중간 측선 부위가 건물의 벽면이나 기둥 등에 접촉되어 자신의 차량의 도어의 선단부가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종래에는 도어의 소정 부위에 돌출식 완충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도어 열림시의 외부의다른 차량이나 기타 물체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에 대응하고 있으나, 도어의 개폐에 관계없이 완충부재가 도어 외부에 항상 돌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도어의 측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 도어가 열릴 때에는 돌출되어 도어의 측단부가 다른 차량이나 벽면 등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차량에 손상을 입히거나 자신의 차량의 도어 측단부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는 도어 내부로 몰입됨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측면에 설치된 측면 충격 완화용 웨이스트 라인 몰딩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와 일반 자동차의 도어록 어셈블리와의 결합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가 자동차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장축부재 302...스프링부재
303...완충부재 304...커버부재
501...도어록 어셈블리 502...솔레노이드 실린더
503...실린더 푸시로드 504...내부 도어록 버튼
505...록레버 506...로우젯
507...도어 인사이드 핸들 508...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
509...아웃사이드 핸들 로드 레버 510...키록킹 로드
511...아웃사이드 핸들 로드 512...아웃사이드 핸들
513...키어셈블리 520...록어셈블리 연결부재
530...동력전달로드 601...도어
602...외부 패널 603...내부 패널
710...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 710r...전/후진 로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는,
도어의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에 설치된 도어록 어셈블리의 연결 레버에 레버의 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도어록의 록킹 및 언록킹에 의한 레버의 운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혹은 후퇴 운동하는 록어셈블리 연결부재;
상기 록어셈블리 연결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록어셈블리 연결부재의전,후진 운동력을 전달받아 전,후진 운동하는 동력전달로드;
상기 동력전달로드의 전,후진 운동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혹은 후퇴 운동하는 장축부재;
상기 장축부재와 동력전달로드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 단부와 장축부재간의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을 탄성적으로 전달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장축부재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축부재의 전진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장축부재의 후퇴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내부로 몰입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외부를 감싸듯이 도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완충부재를 보호하는 한편 완충부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완충부재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는,
도어의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의 소정 부위에 자동차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따른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 인가 및 차단에 따라 로드의 전진 혹은 후진 운동을 하는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
상기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의 로드의 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의 로드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로드의 전/후진 운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혹은 후퇴 운동하는 장축부재;
상기 장축부재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축부재의 전진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장축부재의 후퇴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내부로 몰입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부재의 외부를 감싸듯이 도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완충부재를 보호하는 한편 완충부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완충부재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와 일반 자동차의 도어록 어셈블리와의 결합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가 자동차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 선단부의 대략 중간 측선상에 도어가 열릴 때는 돌출되고, 도어가 닫힐 때는 도어 내부로 몰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장축부재(301), 스프링부재(302), 완충부재(303) 및 커버부재(304)로 크게 구성된다.
장축부재(301)는 도어(601)의 내부 패널(603)과 외부 패널(602) 사이에 설치된 도어록 어셈블리(501)의 록킹 및 언록킹시의 기계적인 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도어록 어셈블리의 내부 연결 레버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도어 긁힘 방지장치(300)와 도어록 어셈블리(501)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록 어셈블리 연결부재(520)와 동력전달로드(530)가 마련된다. 따라서, 도어록 어셈블리(501)의 록킹 및 언록킹에 의한 록어셈블리 연결부재(520)의 이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혹은 후퇴 운동한다. 이 장축부재(301)는 와이어 형의 강선이나 다각 기둥형의 철제, 혹은 FRP,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302)는 상기 장축부재(301)와 동력전달로드(530)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530) 단부와 장축부재(301) 간의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을 탄성적으로 전달한다. 즉, 도어(601)의 록킹 해제에 의해 록어셈블리 연결부재(520)가 전진하면, 미는 힘을 전달하되, 어느 정도 탄성력을 발휘함으로써 장축부재(301)에 보다 큰 추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 스프링부재(302)로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부재(302)의 설치를 위해 장축부재(301)와 동력전달로드(530)의 스프링부재(302)와의 접하는 부위에는 스프링 고정용 철편(301p)이 설치된다. 또한, 이와 같은 스프링부재(302)는 도어 패널 내부의 구조적 상황에 따라 별도의 원통형 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완충부재(303)는 상기 장축부재(301)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축부재(301)의 전진시에는 회전하여 도어(601)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장축부재(301)의 후퇴시에는 회전하여 도어(601)의 선단부 내부로 몰입한다. 이 완충부재(303)로는 어느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충격 흡수능력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되는데,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고무, 연질 합성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완충부재(303)는 교체 가능한 소모 부품으로 구성되는 바, 따라서 완충부재 (303)를 커버부재(304)에 고정하는 고정핀은 손목 시계 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과같은 압력을 가했을 때는 몰입되고, 그 압력을 제거했을 때는 다시 탄성 돌출되는 고정핀이 사용된다. 또한, 이 완충부재(303)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6각형이나 8각형 등의 다각형 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완충부재(303)와 장축부재(301)의 연결을 위해 완충부재(303)의 하단부 소정 부위에는 보조연결핀(303c)이 설치되고, 장축부재(301)의 단부에는 단부링(301r)이 형성되어 보조연결핀(303c)이 단부링(301r)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커버부재(304)는 상기 완충부재(303)의 외부를 감싸듯이 도어(601)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완충부재(303)를 보호하는 한편 완충부재(303)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완충부재(303)의 회전축(고정핀)(303s)을 고정한다.
도 5에서 참조 번호 502는 솔레노이드 실린더, 503은 실린더 푸시로드, 504는 내부 도어록 버튼, 505는 록레버, 506은 로우젯(rosette), 507은 도어 인사이드 핸들, 508은 도어 인사이드 핸들로드, 509는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레버, 510은 키록킹 로드, 511은 아웃사이드 핸들로드, 512는 아웃사이드 핸들을 각각 나타낸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의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자동차 내부에서 도어 인사이드 핸들(507)에 의해 도어(601)를 열거나, 자동차 외부에서 아웃사이드 핸들(512)에 의해 도어(601)를 열 경우, 록어셈블리(501)의 록킹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서 어셈블리 내의 연결레버가 앞으로 밀리거나 하부로 눌리게 된다. 이에 따라 그 연결레버의 단부에 레버의 그와 같은 운동력을전달받을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록어셈블리 연결부재(520) 및 동력전달로드(530)가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하고, 그 결과 본 고안의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의 스프링부재(302)와 장축부재(301)가 전진운동(완충부재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장축부재(301)의 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완충부재(303)는 도 3 상에서 좌측으로 회전운동하여(즉, 돌출되어) 도어(601)의 외부 패널(602)의 선단부(602e)를 하나의 중심축으로 하여 대략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부(602e)를 에워싸듯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어(601)가 열린 바로 직후의 상태이며, 이때 잡아당겼던 인사이드 핸들 (507) 또는 아웃사이드 핸들(512)을 놓을 경우 전방으로 밀렸던 도어록 어셈블리 (501) 내부의 연결레버와 그에 연결되어 있는 록어셈블리 연결부재(520) 및 동력전달로드(530)가 어느 정도의 힘으로 다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그러나, 장축부재 (301)와 동력전달로드(530) 사이에는 스프링부재(302)가 설치되어 있어, 동력전달로드(530)가 어느 정도의 힘으로 후진될 경우 스프링부재(302)만 늘어나고, 스프링부재(302)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장축부재(301)는 뒤로 밀리지 않게 된다. 즉, 잡아당겼던 도어 핸들을 놓았을 때 록어셈블리 내부의 각 부재들의 복귀에 따른 복원력은 그렇게 큰 힘이 아니기 때문에 장축부재(301)는 뒤로 밀리지 않게 되며, 그에 의해 완충부재(303)가 도어 선단부(602e)를 에워싸고 있는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도어(601)가 좀 더 열려서 인접해 있는 다른 차량의 도어부분이나 기타 차체의 특정 부위 혹은 건축물의 벽면 등에 접촉될 경우 상기완충부재(303)가 먼저 그와 같은 부분들에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도어(601)의 선단부와 외부의 물체와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여, 도어의 선단부에 의한 다른 차량에 긁힘이나 찌그러짐 상처를 준다거나, 혹은 벽면 등에 접촉시 자신의 차량의 도어 선단부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도어 열림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 닫을 경우, 도어가 닫힐 시의 눌림력에 의해 록어셈블리(501)는 록킹 해제 상태에서 다시 록킹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록어셈블리 내부의 연결레버는 도어 열림시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강한 힘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그 연결레버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록어셈블리 연결부재(520) 및 동력전달로드(530)도 강한 힘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재(302)와 장축부재(301)도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즉, 이때의 후방으로의 밀림력은 위의 도어 핸들(507)(512)의 잡아당겼던 손을 놓았을 경우의 후방으로의 밀림력보다 더 큰 힘이며, 따라서 이때는 스프링부재(302)만 약간 늘어나는 정도가 아니라 스프링부재(302) 전체가 강한 당김력을 받아 장축부재 (301)까지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돌출되어 있던 완충부재(303)도 다시 원상 복귀된다. 즉, 도 3 상에서 완충부재(303)는 점선 부분의 상태에서 우측으로 회전하여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그것은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는 완충부재(303)가 도어의 패널 내부로 몰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장축부재(301)를 움직이는 동력을 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동차 도어(60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록 어셈블리(501)로부터 얻는 기계적 방식이 아니라, 별도의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로부터 직접 얻는 전자적 방식이라는 점이 위의 실시예와 특징적으로 다르다. 따라서, 자동차 도어(601)의 내부의 소정 부위에는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가 설치되고, 그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의 전/후진 로드(710r)는 장축부재(301)와 직접 연결된다. 또한, 이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는 전원공급부(703) 및 자동차 전장부 제어부(70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참조 번호 720은 장축부재 (301)와 전/후진 로드(710r)를 기계적으로 연결해주는 접속부재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메커니즘에 있어서는, 도어(601)를 열 경우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 도어 개폐감지기(702)(일반적으로 도어가 닫힐 시, 도어 몸체와 자동차 차체가 접촉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음)에 의해 열림이 감지되어 자동차 전장부 제어부(701)로 전달되고, 그러면, 제어부(701)에서는 전원공급부(703)에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에 전원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된다. 그에 따라 전원공급부(703)는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원을 인가받은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는 내부 코일이 전자석화되며, 그 결과 전/후진 로드 (710r)가 전진하게 된다.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의 로드(710r)의 전진에 따라 장축부재(301)가 연쇄적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에 의해 완충부재(303)가 밀림력을 받아 회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선단부(602e)를 에워싸게 된다.
한편, 도어 열림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 닫을 경우, 상기 도어 개폐감지기 (702)에 의해 닫힘이 감지되어 자동차 전장부 제어부(701)로 전달되고, 그러면, 제어부(701)에서는 전원공급부(703)에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된다. 그에 따라 전원공급부(703)는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전원공급이 차단된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는 전자석화되었던 내부 코일이 다시 원상태로 되면서, 전진되어 있던 로드(710r)가 다시 후진하여 원상 복귀된다.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710)의 로드 (710r)의 후진에 따라 장축부재(301)가 연쇄적으로 후진하게 되고, 그에 의해 완충부재(303)가 당김력을 받아 회전하여 다시 원상복귀된다. 즉, 돌출되어 있던 완충부재(303)가 도어의 패널 내부로 다시 몰입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측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 도어가 열릴 때에는 돌출되어 도어의 측단부가 다른 차량이나 벽면 등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차량에 손상을 입히거나 자신의 차량의 도어 측단부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가 닫힐 때에는 도어 내부로 몰입됨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 도어의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에 설치된 도어록 어셈블리의 연결 레버에 레버의 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도어록의 록킹 및 언록킹에 의한 레버의 운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혹은 후퇴 운동하는 록어셈블리 연결부재;상기 록어셈블리 연결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록어셈블리 연결부재의 전,후진 운동력을 전달받아 전,후진 운동하는 동력전달로드;상기 동력전달로드의 전,후진 운동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혹은 후퇴 운동하는 장축부재;상기 장축부재와 동력전달로드 단부 사이에 설치되며, 로드 단부와 장축부재간의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을 탄성적으로 전달하는 스프링부재;상기 장축부재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축부재의 전진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장축부재의 후퇴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내부로 몰입하는 완충부재; 및상기 완충부재의 외부를 감싸듯이 도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완충부재를 보호하는 한편 완충부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완충부재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완충부재는 교체 가능한 소모 부품으로 구성되며, 탄성 출몰되는 고정핀에 의해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 도어의 내부 패널과 외부 패널 사이의 소정 부위에 자동차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도어의 열림 및 닫힘에 따른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 인가 및 차단에 따라 로드의 전진 혹은 후진 운동을 하는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상기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의 로드의 운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전/후진 장치의 로드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로드의 전/후진 운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혹은 후퇴 운동하는 장축부재;상기 장축부재의 선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축부재의 전진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외부로 돌출되고, 장축부재의 후퇴시에는 회전하여 도어의 선단부 내부로 몰입하는 완충부재; 및상기 완충부재의 외부를 감싸듯이 도어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완충부재를 보호하는 한편 완충부재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완충부재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0230U KR200301540Y1 (ko) | 2002-10-10 | 2002-10-10 |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0230U KR200301540Y1 (ko) | 2002-10-10 | 2002-10-10 |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1540Y1 true KR200301540Y1 (ko) | 2003-01-29 |
Family
ID=4939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0230U KR200301540Y1 (ko) | 2002-10-10 | 2002-10-10 |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1540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168B1 (ko) * | 2009-03-05 | 2009-09-28 | 주)두성하이텍 | 자동차 도어용 흠집방지 장치 |
KR101296249B1 (ko) * | 2011-10-31 | 2013-08-13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능동형 전자식 차량 도어 가드 장치 |
KR101859015B1 (ko) | 2016-11-30 | 2018-05-17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자동차 도어바디에 부착되는 문찍힘 방지장치 |
KR20180117277A (ko) * | 2017-04-19 | 2018-10-29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 도어 프로텍터 |
-
2002
- 2002-10-10 KR KR20-2002-0030230U patent/KR20030154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168B1 (ko) * | 2009-03-05 | 2009-09-28 | 주)두성하이텍 | 자동차 도어용 흠집방지 장치 |
KR101296249B1 (ko) * | 2011-10-31 | 2013-08-13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능동형 전자식 차량 도어 가드 장치 |
KR101859015B1 (ko) | 2016-11-30 | 2018-05-17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자동차 도어바디에 부착되는 문찍힘 방지장치 |
KR20180117277A (ko) * | 2017-04-19 | 2018-10-29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 도어 프로텍터 |
KR101955965B1 (ko) * | 2017-04-19 | 2019-03-12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 도어 프로텍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04268B2 (ja) | 押上装置 | |
EP3781767B1 (en) |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 |
KR100683225B1 (ko) |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 |
CN105089383A (zh) | 包含用于打开车门的组件的车辆 | |
KR101855394B1 (ko) | 자동차용 손잡이 장치 | |
KR200301540Y1 (ko) | 자동차 도어 긁힘 방지장치 | |
KR20190068342A (ko) |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 |
DE102006048375A1 (de) | Betätigungsvorrichtung | |
CN109750905A (zh) | 锁具和自行车 | |
KR100348095B1 (ko) |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 |
JP6627920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JP2977427B2 (ja) | ドアロック駆動装置 | |
US20060227031A1 (en) | Remote control device protector | |
JP6895281B2 (ja) | 開閉体の開閉装置 | |
KR100705129B1 (ko) |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 |
JP5129551B2 (ja) | ドアハンドル装置 | |
KR200388490Y1 (ko) | 차량 도어의 보호장치 | |
KR100462403B1 (ko) | 자동차용 도어의 웨이스트라인 몰딩 수납구조 | |
KR0143652B1 (ko) |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 |
CN211442501U (zh) | 自固定式铰链结构及汽车 | |
KR0180658B1 (ko) | 테일 게이트용 핸들의 구조 | |
KR0171790B1 (ko) | 트렁크 록킹 어셈블리 안전 구조 | |
JP3876599B2 (ja) | ドアロック装置 | |
KR200389071Y1 (ko) | 차량용 도어 래치장치 | |
KR200181051Y1 (ko) | 도어 인사이드핸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