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652B1 -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652B1
KR0143652B1 KR1019950057950A KR19950057950A KR0143652B1 KR 0143652 B1 KR0143652 B1 KR 0143652B1 KR 1019950057950 A KR1019950057950 A KR 1019950057950A KR 19950057950 A KR19950057950 A KR 19950057950A KR 0143652 B1 KR0143652 B1 KR 014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ard
car
protection devi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060A (ko
Inventor
김현남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652B1/ko
Publication of KR97003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개방시 도어의 외측을 감싸는 도어 보호대와, 상기 도어 보호대가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 및 함몰되도록 하는 레버 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보호는 물론 인접한 타 차량에도 손상을 주지 않게 되어 탑승자가 자동차 도어를 보다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A device for guarding the door of a car)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도,
(b)도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c)도는 개방된 도어가 보호되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보호대 2 : 작동 로드
3 : 연결 로드 4 : 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를 개방할 때 자동차의 옆에 있는 장애물에 의해 도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새시는 엔진, 동력 전달 장치, 스티어링 장치, 서스펜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차체가 이를 감싸고 외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차체는 통상적으로 일체형 프레임을 사용함과 아울러 차체의 하부를 프론트 멤버, 크로스 멤버 등으로 보강하게 되고, 상기한 일체형 프레임에 도어를 부착하여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도어는 차체의 프론트 휀더 부분에 도어 힌지를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한 도어 힌지와 대응되는 힌지를 도어에 부착하여 결합함으로써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힌지로 결합된 도어의 타측에는 도어를 잠글 수 있는 도어래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도어 스트라이커가 차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부위 및 B부위와 같은 곳이 도어(D)를 개방할 때 차량에 인접한 장애물에 많이 부딪히게 된다.
특히, 요즘은 주차 공간의 부족으로 주차하는 차량은 가급적이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하여 다른 차량이나 담, 기타의 장애물에 인접하여 주차를 하게 되므로, 도어(D)를 개방하고 탑승자가 하차할 때 인접한 차에 도어(D)가 부딪혀서 도어(D)의 파손은 물론 인접 차량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도어(D) 개방시 차량에 인접한 장애물에 도어(D)가 부딪히게 되어도 그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고 완화하여 도어(D)의 손상은 물론 도어(D)에 부딪히는 장애물에도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개방식 도어의 외측을 감싸는 도어 보호대와, 상기 도어 보호대가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 및 함몰되도록 하는 레버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D)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D) 개방시 도어(D)의 외측을 감싸는 도어 보호대(1)와, 상기 도어 보호대(1)가 도어(D)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도어(D)의 외측으로 돌출 및 함몰되도록 하는 레버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 보호대(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질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하게 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고무를 사용하였다.
상기 레버 수단은 상기 도어 보호대(1)에 힌지 연결된 작동 로드(2)와, 상기 작동 로드(2)에 현지 결합되어 차체(B)에 힌지로 여결하는 연결 로드(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로드(2)는 도어(D)의 개폐시 상기 도어 보호대(1)의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급격한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4)으로 두개의 로드(2a,2b)를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정차하여 자동차에 탑승했던 탑승자가 하차하기 위해 도어(D)를 개방하면 상기 차체(B)에 힌지로 연결된 연동 로드(3)에 연결된 작동 로드(2)가 상기 도어 보호대(1)를 회전시켜 도어(D)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D)의 모서리 부분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어 보호대(1)가 돌출된 상태에서 하ㅊ자가 실수로 도어(D)를 자동차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장애물(S)에 부딪히게 하더라도 상기 도어 보호대(1)가 충격을 흡수하여 개방되는 도어(D)는 물론 상기 도어(D)에 부딪히는 장애물에도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돌출되어 도어(D)를 보호하는 도어 보호대(1)는 도어(D)를 닫을 때는 상기 연동 로드(3) 및 작동 로드(2)에 의해 다시 회전되어 도어(D)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도어(D)의 개폐 동작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개방시 도어의 외측을 감싸는 도어 보호대와, 상기 도어 보호대가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 및 함몰되도록 하는 레버 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도어의 보호는 물론 인접한 타 차량에도 손상을 주지 않게 되어 탑승자가 자동차 도어를 보다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Claims (3)

  1. 도어(D)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D) 개방시 도어(D)의 외측을 감싸는 도어 보호대(1)와, 상기 도어 보호대(1)가 도어(D)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도어(D)의 외측으로 돌출 및 함몰되도록 하는 레버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수단은 상기 도어 보호대(1)에 힌지 연결된 작동 로드(2)와, 상기 작동 로드(2)에 힌지 결합되어 차체(B)에 힌지로 연결하는 연동 로드(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2)는 도어(D)의 개폐시 상기 도어 보호대(1)의 작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급격한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4)으로 두개의 로드(2a,2b)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1019950057950A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014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950A KR0143652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950A KR0143652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060A KR970035060A (ko) 1997-07-22
KR0143652B1 true KR0143652B1 (ko) 1998-08-01

Family

ID=1944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950A KR0143652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48B1 (ko) 2019-01-09 2020-03-18 김선홍 차량 도어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06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7520B2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ヒンジ
US6533346B2 (en) Vehicle door guard apparatus
JP3716422B2 (ja) 車両用前部構造
KR0143652B1 (ko) 자동차 도어 보호 장치
KR0132628Y1 (ko) 차량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
KR100195043B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보호장치
JP2009073265A (ja) ダンパステーブラケットカバー
JP3144571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20047948A (ko) 자동차의 후드힌지
KR014598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힌지 보호커버구조
KR970001256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충격흡수 구조
KR100376453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76465B1 (ko) 자동차용 후드의 충격 완충장치
KR100368389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345554B1 (ko) 자동차의 충돌시 도어의 실내 유입방지장치
KR960006439Y1 (ko) 자동차 도어 보호대
KR100448062B1 (ko) 소형왜건 차량의 연료주입구 구조
KR100405607B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조립체
KR200140890Y1 (ko) 소음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144500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를 이용한 콘택트 스위치 오작동 방지장치
KR19990006693U (ko) 도어용 오버 슬램 범퍼
KR200171655Y1 (ko)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KR19990028090A (ko) 자동차 후드래치의 소음방지 구조
KR200284120Y1 (ko) 대형차량의 승객보호용 안전장치
KR100747027B1 (ko) 선글라스 케이스가 구비된 자동차의 루프 트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