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655Y1 -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655Y1
KR200171655Y1 KR2019960060146U KR19960060146U KR200171655Y1 KR 200171655 Y1 KR200171655 Y1 KR 200171655Y1 KR 2019960060146 U KR2019960060146 U KR 2019960060146U KR 19960060146 U KR19960060146 U KR 19960060146U KR 200171655 Y1 KR200171655 Y1 KR 200171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ire
rods
automobi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990U (ko
Inventor
배연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0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6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6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측면충돌과 동시에 시트의 측면부에 펴지면서 탑승자의 몸이 바깥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보호대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 하고자 한 것이다.
[색인어]
자동차, 시트 보호대, 핀체결부위, 막대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측면충돌과 동시에 시트의 바깥쪽 측면부에 펼쳐질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면 충돌시에는 에어 백 등의 보호수단이 갖추어져 있어 탑승자의 인체 상해치를 최대한 낮출 수 있으나, 차량 측면 충돌시에는 별다른 보호수단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탑승자의 인체 상해치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 측면충돌과 동시에 시트의 측면부에 펴지면서 탑승자의 몸이 바깥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보호대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이써게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a, 1b도는 본 고안의 시트 보호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시트 보호대에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등받이 11 : 시트 쿠션
12 : 막대 13 : 와이어
14 : 장공 15 : 핀
20 : 핀체결부위 30 : 토션 스프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시트 등받이(10)의 측상단과 시트 쿠션(11)의 측선단 사이에 가로 펼쳐지는 2개의 핀 조합형 막대(12)로 이루어지되, 상기 막대(12)간의 핀 체결부위(20)에는 와이어 권취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3)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막대(12) 간의 핀 체결부위(20)에는 장공(14)이 갖추어져 있어 접힘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권취수단은 도어의 개폐여부를 검지하는 스위치와 연계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1a, 1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보호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시트 보호대는 한쪽의 끝단이 핀(15)으로 연결되어 접힐 수 있도록 조합된 2개의 막대(1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각 막대(12)의 한쪽 끝단은 시트 등받이(10)의 측면 상단부와 시트 쿠션(11)의 측면 선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시트의 대각선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연장되는 동시에 일부 겹쳐지는 구간은 핀(15)으로 체결되어 막대(12) 간의 체결부위가 접혀질 수 있게 되며, 이때의 핀 체결부위(20)에는 시트의 등받이와 쿠션이 접히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 권취수단, 예를들면 와이어(13)를 감을 수 있는 드럼을 갖춘 모터에서 인출되는 와이어(13)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터 구동에 따라 와이어(13)가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되면, 상기 막대가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막대(12)의 핀 체결부위(20)는 장공(14)이 형성되어 각 막대(12)가 접혀지거나 펴질 때 상기 핀(15)이 장공(14) 부위를 슬라이딩 가능하여 각 막대(12) 간의 간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핀 체결부위(20)는 시트 쿠션(11) 선단부에 연결된 막대(1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 쿠션(11) 선단측의 막대(12)와 시트 등받이(10) 상단부에 연결된 막대(12)는 핀(15)으로 결합되며, 상기 핀(15)은 핀 체결부위(20)에 형성된 장공(14) 사이에서 각 막대가 펴지거나 접힐 때 슬라이딩 가능하여 각 막대(12)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막대(12)의 시트 등받이(10) 상단부 연결부위와 시트 쿠션(11) 선단부 연결부위에는 상기 막대(12)가 항상 펴질 수 있도록 탄성 복원수단인 토션 스프링(30)이 각 막대(12)와 시트 등받이(10) 및 시트 쿠션(11)에 간에 설치되어 와이어(13)에 의한 당김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막대(12)가 항상 펴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막대(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시트 등받이(10) 및 시트 쿠션(11) 내부프레임(미도시됨)에 연결되어서 설치된다.
상기 막대(12)가 와이어(13)의 당김력에 의해 접혀지면 토션 스프링(30)에는 탄성복원력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13)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토션 스프링(3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막대(12)를 펼쳐진 상태로 복원 시키게 된다.
한편, 각각의 막대(12)는 길이 대부분이 발포제로 감싸여져 있어 탑승자의 몸이 상기 막대(12)에 부딪혀도 충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시트 보호대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시트 보호대는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즉, 도어를 닫게 되면, 이때의 신호에 따라 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와이어(13)를 풀어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토션 스프링(30)이 발휘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접혀져 있던 막대(12)가 펴지면서 첨부한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의 바깥쪽 측부를 막아주게 되므로써, 차량 측면충돌시 탑승자의 몸이 바깥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도어를 열게 되면, 이때의 신호에 의해 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와이어(13)를 감아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와이어(13)의 당김력에 의해 펴져 있던 막대가 접히게 되므로써,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차를 위채 시트의 측부를 열어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의 바깥쪽 측부를 막아줄 수 있는 보호대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측면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시트 등받이(10)의 측상단과 시트 쿠션(11)의 측선단 사이에 가로 펼쳐지는 2개의 핀 조합형 막대(12)로 이루어지되, 상기 막대(12)간의 핀 체결부위(20)에는 와이어 권취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3)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권취수단의 작동 여부에 따라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12) 간의 핀 체결부위(20)에는 장공(14)이 갖추어져 있어 접힘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보호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수단은 도어의 개폐여부를 검지하는 스위치와 연계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보호대.
KR2019960060146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KR200171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46U KR200171655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146U KR200171655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990U KR19980046990U (ko) 1998-09-25
KR200171655Y1 true KR200171655Y1 (ko) 2000-05-01

Family

ID=1948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146U KR200171655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6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990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443A (en) Side impact air bag deployabl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n occupant
JP3514311B2 (ja) エアバッグユニット用の膨張可能なエアバッグ
US6688641B2 (en) Compact tethe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inflatable curtain
SK279477B6 (sk) Automobilové vozidlo
US6196574B1 (en) Covering for an air bag retain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JPH03281459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200171655Y1 (ko)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US20020030387A1 (en) Roof lining for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having lateral impact protection
JP2703310B2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JP3607108B2 (ja) 車体側部のエアバッグ装置
KR100197799B1 (ko)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실내유입방지장치
KR100192839B1 (ko) 리어폴딩시트 장착차량의 승객보호장치
JPH0740797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US6443486B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with a steering wheel airbag for a motor vehicle
KR0177255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157124Y1 (ko) 승객용 에어백 하우징
KR017360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213858Y1 (ko) 자동차의 충돌 완충용 시트 쿠션 구조
KR200156300Y1 (ko)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KR100410843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보호장치
JPH11255054A (ja) 自動車用安全保護装置
KR19980033045U (ko) 화물자동차 후방시트용 안전바의 구조
KR19990001439U (ko) 차량 추돌시의 운전석 후퇴장치
KR19980026508U (ko) 탑승자의 측면 보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