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300Y1 -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300Y1
KR200156300Y1 KR2019960066467U KR19960066467U KR200156300Y1 KR 200156300 Y1 KR200156300 Y1 KR 200156300Y1 KR 2019960066467 U KR2019960066467 U KR 2019960066467U KR 19960066467 U KR19960066467 U KR 19960066467U KR 200156300 Y1 KR200156300 Y1 KR 20015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controller
vehicle
sensor
rea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280U (ko
Inventor
심민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6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30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2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60R21/08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automatically movable from an inoperativ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a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1Rear collision or recoiling bounce after 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백(11)의 후방과 트렁크 칸막이(12) 사이에 상면이 개구되게 설치되어 걸림부(17)가 형성된 케이스(14)내에 하단이 스프링(13)에 의해 탄지되고 상단이 좌굴된 프로텍터(15)가 삽입된 프로텍터 작동부(10)와, 자동차의 후방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20)와, 상기 센서(20)의 신호를 전달받고 배터리에 연결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3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프로텍터 작동부(1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3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프로텍터 작동부(1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30)로 구성되어, 컨트롤러가 후방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프로텍터 작동부가 작동하여 차량 내부로 날아들어오는 후방유리의 파편을 프로텍터가 막아주므로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에 대한 승객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트롤러가 후방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프로텍터 작동부가 작동하여 차량 내부로 날아들어 오는 후방유리의 파편을 프로텍터가 막아주어 뒷 좌석 탑승객의 두부에 치명적인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충돌 사고시 후방유리가 깨지면서 후방유리 파편들이 차량 내부로 날아 들어오게 되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보호장치가 없어지기 때문에 유리 파편들이 탑승객이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컨트롤러가 후방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프로텍터 작동부가 작동하여 차량내부로 날아 들어 오는 후방유리의 파편을 프로텍터가 막아주어 뒷 좌석 탑승객이 상기 유리 파편으로 부터 치명적인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 시트백(11)의 후방과 트렁크 칸막이(12) 사이에 상방이 개구되게 설치되어 걸림부(17)가 형성된 케이스(14)내에 하단이 스프링(13)에 의해 탄지되고 상단이 좌굴된 프로텍터(15)가 삽입된 프로텍터 작동부(10)와, 자동차의 후방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20)와, 상기 센서(20)의 신호를 전달받고 배터리에 연결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3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프로텍터 작동부(1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3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도1은 본 고안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로텍터 작동부 11 : 시트백
12 : 트렁크 칸막이 13 : 스프링
14 : 케이스 15 : 프로텍터
16 : 걸림턱 17 : 걸림부
20 : 센서 30 : 컨트롤러
40 : 솔레노이드
이하에서, 본 고안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 프로텍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로텍터 작동부(10)와 센서(20)와 컨트롤러(30) 및 솔레노이드(40)으로 구성된 것이다.
프로텍터 작동부(10)는 자동차 시트백(11)의 후방과 트렁크 칸막이(12) 사이에 상면이 개구되게 설치되어 걸림부(17)가 형성된 케이스(14)내에 하단이 스프링(13)에 의해 탄지되고 상단이 좌굴된 프로텍터(15)가 삽입된 것이다.
센서(20)는 자동차의 후방 충격을 감지하는 것이다.
컨트롤러(30)는 센서(20)의 신호를 전달받고 배터리에 연결된 것이다.
솔레노이드(40)는 컨트롤러(3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프로텍터 작동부(1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후방 충돌사고가 일어나면, 센서(20)가 후방충돌을 감지하여 신호를 컨트롤러(30)에 보낸다.
그리고, 상기 센서(20)의 신호를 입력받은 컨트롤러(30)는 솔레노이드(40)를 제어하여 작동시킨다.
한편, 자동차의 후방충돌 전에는 케이스(14) 내부의 스프링(13)에 탄지되어 걸리턱(16)이 솔레노이드(40)에 걸려 있게 되는 데, 자동차의 후방 충돌 후에는 상기 솔레노이드(40)의 작용으로 걸림턱(16)을 고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해 순간적으로 프로텍터(15)가 케이스(14)의 개구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케이스(14) 내부에 걸림부(17)가 형성되어 일정높이까지 올라간 프로텍터(15)는 상기 걸림턱(16)이 걸림부(17)에 걸리게 되어 케이스(14)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와 같이 프로텍터(15)가 올라가게 되면 후방충돌 사고시 후방유리(50)의 파편이 날아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보호장치는 컨트롤러가 후방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프로텍터 작동부가 작동하여 차량내부로 날아들어 오는 후방유리의 파편을 프로텍터가 막아주므로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치명적이 상해를 입히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자동차 시트백(11)의 후방과 트렁크 칸막이(12) 사이에 상면이 개구되게 설치되어 걸림부(17)가 형성된 케이스(14)내에 하단이 스프링(13)에 의해 탄지되고 상단이 좌굴된 프로텍터(15)가 삽입된 프로텍터 작동부(10)와, 자동차의 후방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20)와, 상기 센서(20)의 신호를 전달받고 배터리에 연결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3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프로텍터 작동부(1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KR2019960066467U 1996-12-31 1996-12-31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KR20015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67U KR200156300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467U KR200156300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280U KR19980053280U (ko) 1998-10-07
KR200156300Y1 true KR200156300Y1 (ko) 1999-09-01

Family

ID=1948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467U KR200156300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3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280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8998A1 (en) Side impact air bag deployabl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n occupant
KR20200121392A (ko) 차량의 시트에어백
JP2001502987A (ja) 自動車のための受動的な身体保護装置
US7523957B2 (en) Headrest airbag
KR200156300Y1 (ko)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KR100313321B1 (ko) 차량의탑승자보호장치
KR100205872B1 (ko) 승객 보호용 시트백 업 장치
KR0143327B1 (ko) 자동차 급정거시 서브마린 방지장치
KR100412839B1 (ko) 자동차의 뒷좌석용 에어백장치
KR100196173B1 (ko) 자동차의 시트 에어백
KR19980046830U (ko)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 보호장치
KR200156301Y1 (ko) 충돌시 뒷유리 파편유입 방지구조
KR200160059Y1 (ko) 에어백 구조
KR100242195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200171655Y1 (ko)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KR900007646Y1 (ko) 차량용 안전 보호망 장치
KR0185337B1 (ko) 차량 충돌시 전방 시트의 승강장치
KR940000524Y1 (ko) 차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휴대용 안전장치
KR19980025943U (ko) 차량의 후방 승객 보호장치
KR970001741B1 (ko) 자동차 뒷시트의 헤드레스트 충돌안전장치
KR100820406B1 (ko) 크러시패드 로어패널의 비산 방지장치
KR0140925B1 (ko) 자동차의 루프 자동개폐장치
KR200152245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에어백 장착구조
KR200145125Y1 (ko) 차량의 시트 내장형 구명장비
KR20030096501A (ko) 자동차용 필러 트림의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