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147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147A
KR20030091147A KR1020020028992A KR20020028992A KR20030091147A KR 20030091147 A KR20030091147 A KR 20030091147A KR 1020020028992 A KR1020020028992 A KR 1020020028992A KR 20020028992 A KR20020028992 A KR 20020028992A KR 20030091147 A KR20030091147 A KR 2003009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ligh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8220B1 (ko
Inventor
권윤수
김상수
하진호
배현철
이익환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220B1/ko
Priority to TW092104850A priority patent/TWI341407B/zh
Priority to US10/385,188 priority patent/US7298432B2/en
Priority to CNB031095054A priority patent/CN100345031C/zh
Priority to JP2003123480A priority patent/JP4546038B2/ja
Publication of KR2003009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47A/ko
Priority to US11/928,721 priority patent/US758333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220B1/ko
Priority to US12/478,371 priority patent/US8004630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광판 및 램프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수납용기, 도광판을 고정 및 액정표시패널을 고정하는 제 1 샤시 및 액정표시패널을 고정하는 제 2 샤시를 두께가 매우 얇고 강도가 뛰어난 메탈 재질로 제작하여 부피 및 무게를 보다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램프 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 및 치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및 부피를 최소화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Liquid Crystal, LC)에 의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장치이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동일 스크린 사이즈를 갖는 CRT 방식 디스플
레이 장치에 비해 무게 및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은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2 개의 파트로 나뉘어진다. 첫 번째 파트는 액정을 매우 작은 면적 단위로 제어하는 액정 제어 파트이며, 두 번째 파트는 액정에 광을 공급하는 광공급 파트이다.
액정 제어 파트는 액정표시패널(LCD panel) 및 액정표시패널을 작동시키는 구동 모듈(driving module)로 구성된다.
액정표시패널은 다시 TFT 기판(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액정, 컬러필터 기판(color filter substrate)으로 구성된다.
TFT 기판은 투명 기판,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전압공급소자(voltage supplying device), 전압인가 라인 및 투명한 제 1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때, 전압공급소자 및 제 1 전극은 작게는 수 ㎛에서 크게는 수백㎛의 크기를 갖는다.
전압공급소자는 반도체소자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작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사용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gate electrode), 채널층(channel layer), 소오스 전극(source electrode) 및 드레인 전극(drain electrode)을 갖는다.
제 1 전극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재질의 박막이 사용된다. 제 1 전극은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인 드레인 전극에 하나씩 형성된다.
전압인가 라인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전압인가 라인은 다시 게이트 라인(gate line) 및 데이터 라인(data line)으로 구성된다.
게이트 라인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행(column)의 개수대로 형성된다. 각 게이트 라인은 동일 행에 속한 모든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게이트 턴-온 신호를 동시에 인가한다.
데이터 라인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열(row)의 개수대로 형성된다. 각 데이터 라인은 동일 열에 속한 모든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전극에 서로 다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구동 모듈은 외부 정보처리장치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를 받아들여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인가될 구동 신호를 발생 및 구동 신호를 지정된 타이밍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컬러필터 기판은 TFT 기판에 조립된다. 컬러필터기판은 투명 기판, 컬러필터(color filter) 및 제 2 전극으로 구성된다.
컬러필터는 레드 컬러필터, 그린 컬러필터 및 블루 컬러필터로 나뉘어지며, 투명기판에 각 제 1 전극과 마주보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전극은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투명기판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된다. 이 제 2 전극은 앞서 설명한 ITO 박막 또는 IZO 박막이다.
이 제 2 전극에는 지정된 레퍼런스 전원이 인가된다. 이로써, 각 제 1 전극에 인가된 전원의 크기에 따라 각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서는 서로 다른 전계가 형성된다.
액정은 컬러필터기판과 TFT 기판 사이에 주입된다.
광공급파트는 액정 제어 파트의 액정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공급 파트는 다시 미들 수납용기(middle container), 바텀 수납용기(bottom container), 도광판(Light Guided panel, LGP), 램프 어셈블리(lamp assembly) 및 광학 시트류(optical sheet) 등으로 구성된다.
램프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램프는 주로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이다.
도광판은 램프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광의 광학 분포를 변경 및 광의 경로를 변경시킨다.
바텀 수납용기는 램프 어셈블리와 도광판을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광학 시트류는 도광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도광판에서 출사된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한다.
미들 수납용기는 바텀 수납용기에 결합되며 액정표시패널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액정표시패널은 "탑샤시"라 불리는 샤시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보다 가벼운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는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액정표시장치의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키는 데에 있어서는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가 액정표시장치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키는 장애가 되는 이유는 이들을 합성수지에 의한 사출 방식으로 제작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를 사출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0.4mm 이상의 두께를 필요로 한다. 이 최소 두께는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두께이며, 강도가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최소한 1.2㎜ ∼ 1.5㎜의 두께가 요구된다.
이때,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의 최소 두께 0.4㎜는 사출이 가능한 최소 두께이기도 하다. 즉,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를 용융된 합성 수지로 사출하기 위해서는 금형 측면에서 최소한 0.4㎜ 이상의 사출 갭을 필요로 한다.
또한, 용융된 합성 수지는 냉각 과정에서 수축된다. 이때, 두께가 얇은 부분 및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서의 수축률이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의 뒤틀림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합성 수지로 제작된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는 열 전도율이 낮아 앞서 설명한 램프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열하기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갖는다. 램프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열이 신속하게 방열 되지 못할 경우,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 물성을 갖는 액정이 액체화되어 더 이상 광투과율을 조절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용융된 합성 수지로 제작된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는 냉각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함으로 뒤틀림 문제 이외에 정확한 치수로 가공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용융된 합성 수지로 제작된 바텀 수납용기 및 미들 수납용기는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등 강도가 매우 약한 문제점을 함께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 및 무게가 보다 가볍고, 제작 과정에서 뒤틀림이 없고,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히 외부로 방열 시키고, 정확한 치수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높은 강도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샤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의 TFT 기판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샤시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램프와 도광판 및 수납용기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c는 램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사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반사판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정 보스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시트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광학 시트류 및 제 1 샤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와 수납용기의 바닥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수납용기와 제 1 샤시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수납용기와 제 2 샤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수납용기와 제 2 샤시가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2 샤시에 형성된 제 2 체결공과 수납용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는 바닥면 및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면의 가장자리들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각각의 측벽에 대응하는 측면과, 바닥면과 마주보는 광 반사면 및 광 반사면과 마주보는 광출사면을 포함하는 도광판, 광출사면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측벽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 1 샤시, 광출사면과 대향하도록 제 1 샤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측벽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 2 샤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메탈 재질의 수납용기, 제 1 샤시 및 제 2 샤시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여 강성은 증대시켜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은 향상시키고, 부피 및 무게는 감소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1100)는 수납 용기(100), 도광판(200), 제 1 샤시(300),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400) 및 제 2 샤시(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용기의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수납 용기(100)는 다시 바닥면(110) 및 측벽을 포함한다. 이하, 측벽에 도면부호 120,130,140,150을 부여하기로 한다.
바닥면(110)은 일실시예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바닥면(110)은 4 개의 에지를 갖는다. 이하, 바닥면(110)의 에지에 도면부호 112,114,116,118을 부여하기로 한다. 측벽(120,130,140,150)은 바닥면(110)의 4 개의 에지(112,114,116,118)로부터 동일한 방향 및 동일한 높이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수납용기(100)는 측벽(120,130,140,150) 및 바닥면(110)에 의하여 소정 부피를 갖는 수납 공간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광판(200)은 다시 측면, 광 반사면(260) 및 광출사면(270)을 포함하며, 도 2에 도시된 수납 용기(100)의 내부에 수납된다.
측면은 도 3에 도면부호 220, 230, 240, 250으로 도시되어 있다. 측면(220, 230, 240, 250)은 도 2에 도시된 수납용기(100)의 측벽(120,130,140,150)과 동일한개수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측면(220,230,240,250)은 각각의 측벽(120,130,140,150)에 1:1 대응하여 마주보는 배치를 갖는다. 이때, 측면(220,230,240,250)은 측벽(120,130,140,150)과 소정 간격 이격된다.
광 반사면(260)은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과 마주보도록 측면(220,230,240,250)에 연결된다. 이 광 반사면(260)은 측면(220,230,240,250)을 통하여 공급된 광의 광학 분포 및 광의 방향을 변경시킨다.
광출사면(270)은 광 반사면(260)과 마주보도록 측면(220,230,240,250)에 연결된다. 이 광출사면(270)은 광 반사면(260)으로부터 반사된 광 중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광만이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샤시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샤시(300)는 수납용기(100)에 수납되는 도광판(200)의 광출사면(270)의 에지를 눌러 수납용기(100)로부터 도광판(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제 1 샤시(300)는 수납 용기(100)의 측벽(120,130,140,150)에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400)는 광출사면(270)과 마주보도록 제 1 샤시(300)의 에지에 안착된다.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400)는 액정표시패널(450) 및 구동 모듈(490)로 이루어진다.
액정표시패널(450)은 다시 TFT 기판(410), 액정(440), 컬러필터 기판(420)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의 TFT 기판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TFT 기판(410)은 투명 기판,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전압공급소자(401), 전압인가 라인(404) 및 투명한 제 1 전극(405)으로 구성된다. 이때, 전압공급소자(401) 및 제 1 전극(405)은 작게는 수 ㎛에서 크게는 수백㎛의 크기를 갖는다.
전압공급소자(401)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 의하여 제작된 박막 트랜지스터이다. 이하, 박막 트랜지스터에 도면부호 401을 부여하기로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401)는 게이트 전극(G), 채널층(C), 소오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갖는다.
제 1 전극(405)은 투명하면서 도전성인 인듐 틴 옥사이드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 재질의 박막이 사용된다. 제 1 전극(405)은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인 드레인 전극(D)에 하나씩 형성된다.
전압인가 라인(404)은 박막 트랜지스터(401)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전압인가 라인(404)은 다시 게이트 라인(403) 및 데이터 라인(402)으로 구성된다.
게이트 라인(403)은 박막 트랜지스터(401)의 행(column)의 개수대로 형성된다. 각 게이트 라인(403)은 동일 행에 속한 모든 박막 트랜지스터(401)의 게이트 전극(G)에 동시에 게이트 턴-온 신호를 인가한다.
데이터 라인(402)은 박막 트랜지스터(401)의 열(row)의 개수대로 형성된다. 각 데이터 라인(402)은 동일 열에 속한 모든 박막 트랜지스터(401)의 소오스전극(S)에 서로 다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다시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구동 모듈(490)은 다시 인쇄회로기판(492) 및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94)로 구성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94)는 약 256개 단위로 게이트 라인(403) 및 데이터 라인(402)에 연결된다. 각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94)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94)에는 인쇄회로기판(492)이 연결된다.
구동 모듈(490)은 외부 정보처리장치에서 발생한 영상 신호를 받아들여 게이트 라인(403) 및 데이터 라인(402)에 인가될 신호를 발생 및 지정된 타이밍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컬러필터기판(420)은 TFT 기판(410)에 조립된다. 컬러필터기판(420)은 투명 기판에 형성된 컬러필터(미도시) 및 제 2 전극(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컬러필터는 레드 컬러필터, 그린 컬러필터 및 블루 컬러필터로 나뉘어지며, 투명기판에 각 제 1 전극(405)과 마주보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전극은 컬러필터가 덮이도록 투명기판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된다. 이 제 2 전극은 지정된 레퍼런스 전원이 인가된다. 이로써, 각 제 1 전극(405)에 인가된 전원의 크기에 따라 각 제 1 전극(405)과 제 2 전극 사이에서는 서로 다른 전계가 형성된다.
액정(440)은 컬러필터기판(420)과 TFT 기판(410) 사이에 주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샤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샤시(500)는 도 5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400)의 에지를 누름과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수납용기(100)의 측벽(120,130,140,150)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액정표시장치(1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수납용기(100)는 제 1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제 1 샤시(300)는 제 2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다.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제 2 샤시(500)는 제 3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된다.
이때, 제 1 두께, 제 2 두께 및 제 3 두께는 최소 0.1㎜ 이고 최대 0.5㎜이다.
이때, 수납용기(100), 제 1 샤시(300) 및 제 2 샤시(500)는 메탈 플레이트이다. 이로써, 수납용기(100), 제 1 샤시(300) 및 제 2 샤시(500)는 최소 0.1㎜, 최대 0.5mm의 두께만으로도 요구되는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100), 제 1 샤시(300) 및 제 2 샤시(500)는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된 메탈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수납용기(100), 제 1 샤시(300) 및 제 2 샤시(500)로 메탈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종래 기술에 비하여 매우 큰 두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수납용기를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할 경우 최소 사출 두께를 감안하여 최소 사출 두께는 0.4㎜ 이고, 강도,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하여 최대 사출 두께는 1.2 ∼ 1.5㎜를 갖는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수납용기(100)의 제 1 두께는 강성이 뛰어난 메탈 플레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소 0.1㎜의 두께, 최대 0.5㎜의 두께로도 가공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용기(100)에서의 추가적으로 감소가 가능한 두께는 최소 0.3㎜, 최대 0.7㎜ ∼ 1㎜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미들 샤시를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할 경우, 사출이 가능한 최소 사출 두께는 0.4㎜ 이고, 강도, 수축 및 팽창을 고려한 최대 사출 두께는 1.2 ∼ 1.5㎜이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샤시(300)의 제 1 두께는 강성이 뛰어난 메탈 플레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소 0.1㎜, 최대 0.5㎜의 두께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샤시(300)에서의 추가적으로 감소가 가능한 두께는 최소 0.3㎜, 최대 0.7㎜ ∼ 1㎜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수납용기(100) 및 제 1 샤시(300)에서 추가적으로 감소가 가능한 두께는 수납용기(100)에서 최소 0.3㎜, 최대 0.7㎜ ∼ 1㎜이고, 제 1 샤시(300)에서 최소 0.3㎜, 최대 0.7㎜ ∼ 1㎜이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전체 두께를 최소 0.6㎜, 최대 2㎜까지도 감소시킬 수 있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두께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에 의해 두께 감소의 한계점에 도달한 것을 감안하였을 때, 수납용기(100) 및 제 1 샤시(300)에서 추가적으로 0.6㎜ ∼ 2㎜의 추가적인 두께 감소는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이와 다르게 액정표시장치의 두께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로 제 1 샤시(300)의 제 2 두께를 수납용기(100)의 제 1 두께 및 제 2 샤시(500)의 제 3 두께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용기(100)의 제 1 두께는 0.2㎜ ∼ 0.5㎜ 이고, 제 2 샤시(500)의 제 3 두께는 0.2㎜ ∼ 0.5㎜ 이며, 제 1 샤시(300)는 수납용기(100)의 제 1 두께 및 제 2 샤시(500)의 제 3 두께보다 얇은 0.1㎜ ∼ 0.2㎜의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샤시(300)의 두께를 수납용기(100) 및 제 2 샤시(500)의 두께보다 얇게 하는 것은 제 1 샤시(300)에는 외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는 부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샤시(300)는 최소의 두께만으로도 충분히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 1 샤시(300)는 합성 수지를 사출 하여 제 2 두께가 0.4㎜에서 1.5㎜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수납용기(100) 및 제 2 샤시(500)는 0.1㎜에서 0.5㎜의 두께를 갖는 메탈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경우, 물론 수납용기(100), 제 1 샤시(300), 제 2 샤시(500)를 모두 메탈 플레이트로 제작할 때에 비하여 두께가 두꺼워지기는 하지만 종래와 같이 수납용기(100) 및 제 1 샤시(300)를 합성 수지로 사용할 때에 비하여 두께는 감소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1100)는 어두운 곳에서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어렵기 때문에 광을 필요로 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램프와 도광판 및 수납용기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c는 램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램프(600)는 다시 램프 튜브(610), 전극(611,612) 및 램프 와이어(614,615)로 구성된다.
램프 튜브(610)는 투명한 튜브(610a), 튜브(610a)의 내측벽에 도포된 형광 물질(610b) 및 튜브(610a)의 내부에 주입된 방전가스(610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램프 튜브(610)는 L 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전극은 다시 제 1 전극(611) 및 제 2 전극(612)으로 구성된다. 제 1 전극(611)은 램프 튜브(610)의 내부의 양쪽 단부 중 제 1 단부에 위치한다. 제 2 전극(612)은 램프 튜브(610)의 제 1 단부와 마주보는 제 2 단부에 위치한다. 제 1 전극(611) 및 제 2 전극(612)에 방전 전압이 인가된다.
램프 와이어는 다시 제 1 램프 와이어(614) 및 제 2 램프 와이어(615)로 구성된다. 제 1 램프 와이어(614)는 제 1 전극(611)에 연결되며, 제 2 램프 와이어(615)는 제 2 전극(612)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램프 와이어(614)는 제 2 램프 와이어(615) 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제 1 램프 와이어(614) 및 제 2 램프 와이어(615)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방전 전압이 제 1 전극(611) 및 제 2 전극(612)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램프(600)는 2 개가 도광판(100)의 4 개의 측면(220,230,240,250)과 수납용기의 4 개의 측벽(120,130,140,150)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램프(600)중 꺽어진 부분에는 램프 홀더(620)가 설치되어 램프(600)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은 물론 램프(600)의 파손이 방지된다.
그러나, L 자 형상으로 꺽어진 램프(600)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램프 와이어(614)의 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램프 와이어(614)의 처리가 문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길이가 매우 긴 제 1 램프 와이어(614)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 1 샤시(300)에는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380)가 배치된다.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380)는 제 1 샤시(3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때,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380)는 제 1 샤시(3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400)와 간섭되지 않는 곳에 배치된다.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380)는 두께가 얇은 합성 수지 재질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380)의 상면에는 램프 와이어 수납홈(382)이 형성된다. 램프 와이어 수납홈(382)은 제 1 램프 와이어(614)가 통과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수납용기(100) 및 제 1샤시(300)가 광반사율이 높은 메탈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었던 반사판을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보다 많은 광을 액정 디스플레이 사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도 반사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사판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사판(700)은 제 1 반사판(710) 및 제 2 반사판(720,730,740,75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반사판(710) 및 제 2 반사판(720,730,740,750)은 합성수지를 발포하여 제작한 시트 형상을 갖는다.
제 1 반사판(710)은 수납용기(100)의 측벽(120,130,140,150)과 램프(600)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 1 반사판(710)은 램프(600)에서 발생한 광 중 수납용기(100)의 측벽(120,130,140,150)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시켜 도광판(200)의 측면(220,230,240,250)을 향하도록 한다. 즉, 이 제 1 반사판(710)은 램프 리플렉터의 역할을 겸한다.
제 2 반사판(720,730,740,750)은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과 도광판(200)의 광 반사면(260)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반사판(720,730,740,750)은 광 반사면(260)에서 미쳐 반사되지 못하고 누설된 광을 도광판(20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제 1 반사판(710) 및 제 2 반사판(720,730,740,750)은 각각 분리된 상태로 측벽(120,130,140,150) 또는 바닥면(110)에 부착되거나, 제 1 반사판(710) 및 제 2 반사판(720,730,740,750)을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수납용기(100)에 수납하여 설치한다.
도 11은 또 다른 반사판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샤시(300) 중 램프(600)와 마주보는 곳에 별도의 반사판(760)을 더 부착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샤시(300)에 반사판(760)을 부착함으로써 램프(600)에서 발생한 광의 이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정 보스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에는 고정 보스(160)가 더 설치된다. 고정 보스(160)는 수납용기(100) 내부에서 도광판(200) 및 램프(60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즉, 도광판(200) 및 램프(600)가 수납용기(100)의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 보스(160)는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중 모서리 부분마다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바닥면(110)은 일실시예로 4 개의 모서리가 존재함으로 고정 보스(160)는 모두 4 개가 설치된다.
고정 보스(160)의 일측으로는 램프 홀더(620)가 고정되고, 반대쪽에는 도광판(200)이 고정된다.
도광판(200)중 고정 보스(160)와 겹치는 부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깎여진 결합턱(260)이 형성된다. 이 결합턱(260)은 고정 보스(160)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도광판(16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학 시트류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광판(200)에서 출사된 광은 면광원 광학 분포와 유사하지만 휘도는 다소 균일하지 않는 경향을 갖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도광판(200)의 광출사면(270)에는 광학 시트류(800)가 배치된다.
광학 시트류(800)는 다시 확산 시트 몸체(812) 및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로 구성된 확산 시트(810) 및 프리즘 시트 몸체(822) 및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로 구성된 프리즘 시트(820)로 구성된다. 프리즘 시트(820)는 2 장으로 구성된다.
확산 시트 몸체(812)는 광출사면(270)에서 출사된 광을 다시 한번 확산 시켜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확산 시트 몸체(812)는 합성 수지를 발포시켜 제작한다.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는 확산 시트 몸체(812)의 에지 중 일부를 돌출 시킨 부분으로 확산 시트 몸체(81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는 확산 시트 몸체(812)에 적어도 1 개가 형성된다.
프리즘 시트 몸체(822)는 확산 시트 몸체(8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 프리즘 시트 몸체(822)는 확산 시트 몸체(812)에서 확산되는 과정에서 방향성을 상실한 광의 방향성을 다시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프리즘 시트 몸체(822)는 단면이 프리즘 형태를 갖는다.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는 프리즘 시트 몸체(822)의 에지 중 일부를 돌출 시킨 부분으로 프리즘 시트 몸체(82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는 프리즘 시트 몸체(822)에 적어도 1 개가 형성된다. 이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는 앞서 설명한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광학 시트류 및 제 1 샤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 및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는 제 1 샤시(300)를 매개로 고정된다. 제 1 샤시(300) 중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 및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와 오버랩 되는 곳에는 결합 돌기 삽입부(310)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 삽입부(310)는 제 1 샤시(300)에 형성된 홀 형태 또는 홈 형태로 구현된다.
한편,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 및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는 단순히 결합돌기 삽입부(310)에 끼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1100)가 심하게 흔들리거나 뒤집힐 경우 확산 시트 결합 돌기(814) 및 프리즘 시트 결합 돌기(824)는 결합돌기 삽입부(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광학 시트류 이탈방지 부재(320)는 이를 방지한다. 광학 시트류 이탈방지 부재(320)는 띠 형상을 갖고, 제 1 샤시(300)중 결합돌기 삽입부(310)가 형성된 부분을 마감(closing)한다. 이 광학 시트류 이탈방지 부재(320)는 충격 흡수가 가능하도록 충격 완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400)는 단순히 제 1 샤시(300)의 에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2 샤시(500)에 의하여 가압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심한 유동이 발생할 경우, 액정표시패널어셈블리(400)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제 1 샤시(300)에는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900)가 배치된다.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900)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400)의 모서리 부분을 가이드 한다. 따라서 제 1 샤시(300)에는 4 개의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900)가 설치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900)는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910),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920) 및 연결 몸체(930)로 구성된다.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910)는 L 자 형상의 플레이트이다.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910)의 상면에는 앞서 설명한 램프(600)의 제 1 램프 와이어(614) 및 제 2 램프 와이어(615)를 수납하기 위한 램프 와이어 수납홈(912) 및 나사 체결홀(914)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920)는 전체적으로 보아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이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920)의 내부에는 체결홀(922)이 형성된다.
연결 몸체(930)는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910) 및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920)를 상호 연결한다. 연결 몸체(930)는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910)가 제 1 샤시(300)와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920)가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의 외측에 밀착되기에 적합한 높이를 갖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와 수납용기의 바닥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9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납용기(100)의 바닥면(110) 중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920)의 체결홀(922)에 대응하는 부분은 일부가 절개되어 체결홀(922)과 오버랩 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한편, 도 4, 도 14 또는 도 1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제 1 샤시(300)는 적어도 1 개의 제 2 샤시 받침부(350)를 더 포함한다. 제 2 샤시 받침부(350)는 제 1 샤시(300)의 일부가 제 2 샤시(500)쪽으로 돌출 시켜 제작한다.
이 제 2 샤시 받침부(350)는 2 가지 형태로 구현된다. 첫 번째 형태의 제 2 샤시 받침부는 도면부호 330으로 도시된다. 이 제 2 샤시 받침부(330)는 앞서 설명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94)의 사이사이에 형성된다. 이 제 2 샤시 받침부(330)는 제 1 샤시(300)의 일부를 절개 및 절개된 부분을 삼각형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제 2 샤시 받침부(330)를 형성하는 것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94)간 간격이 너무 좁기 때문이다.
이하,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제 2 샤시 받침부(330)를 "제 2 샤시 받침편"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 제 2 샤시 받침편에 도면부호 330을 도시 부여하기로 한다.
두 번째 형태의 제 2 샤시 받침부는 도면부호 340으로 도시된다. 이 제 2 샤시 받침부(340)는 제 2 샤시 받침편(330)이 형성되지 않은 제 1 샤시(300)에 고르게 형성된다. 이 제 2 샤시 받침편(330)은 제 1 샤시(300)를 제 2 샤시(500) 쪽으로 가압하여 돌출 시켜 제작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제 2 샤시 받침부(330)는 비교적 넓은 표면적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제 2 샤시 받침부(330)를 "제 2 샤시 받침 돌기"라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 제 2 샤시 받침 돌기에 도면부호 330을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수납용기와 제 1 샤시 및 제 2 샤시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수납용기, 제 1 샤시 및 제 2 샤시는 메탈 플레이트로 이들은 상호 후크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수납용기(100)의 측벽(120,130,140,150)에는 제 1 결합공(170)이 형성되고, 제 1 샤시(300)에는 제 1 결합공(170)의 위치와 대응하는 곳에 제 1 결합편(360)이 형성된다.
도 18은 수납용기와 제 1 샤시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 1 결합공(170)은 일부가 수납공간 외측으로 다소 돌출 되고, 제 1 결합편(360)은 수납용기(100)와 제 1 샤시(30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수납 공간 쪽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도 19는 수납용기와 제 2 샤시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도 7 또는 도 19를 참조하면, 수납용기(100)에는 제 1 결합공(170)과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제 2 결합편(180)이 형성되고, 제 2 샤시(500)에는 제 3 결합편(510)이 형성된다.
제 2 결합편(180)은 수납용기(100)의 측벽(120,140)의 일부를 절개하여 수납공간 바깥쪽으로 돌출 된다. 이때, 돌출된 높이는 수납용기(100)에 결합된 제 1 샤시(300)의 두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결합편(180)과 제 1 샤시(300)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제 2 결합편(180)의 가운데 부분은 개구되어 제 2 결합공(185)이 형성된다.
이때, 제 2 결합편(180)이 외부로 노출되어 제 2 샤시(500)와 결합되도록 제 1 샤시(300)중 제 2 결합편(180)과 마주보는 부분은 개구되어 제거된다.
제 3 결합편(510)은 제 2 결합공(185)에 끼워지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 2 샤시(300)의 일부를 절개하여 안쪽으로 절곡하여 제작된다.
도 20은 수납용기와 제 2 샤시가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수납용기(300)의 바닥면(110)과 측면 중 어느 하나가 만나는 곳에는 제 2 샤시 걸림돌기(190)가 더 형성된다.
이 제 2 샤시 걸림돌기(190)는 바닥면(110)으로부터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돌출 되어 형성된다. 이 제 2 샤시 걸림돌기(190)는 제 2 샤시(500)와 수납용기(10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도 7 또는 도 20을 참조하면, 제 2 샤시(500)에는 제 2 샤시 걸림돌기(190)에 걸리도록 결합면(520)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샤시(500)의 결합면(520)이 제 2 샤시 걸림돌기(190)에 걸린 상태에서 제 2 샤시(500)는 회동되고, 회동되면서 제 2 샤시(500) 중 제 2 샤시 걸림돌기(190)와 대향하는 제 3 결합편(510)은 수납용기(100)의 측벽에 형성된 제 2 결합공(185)에 결합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1100)가 케이스 등에 실장되도록 하기위해서 수납용기(100)의 측벽은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측벽은 다시 제 1 측벽(120), 제 2 측벽(140), 제 3 측벽(140) 및 제 4 측벽(150)으로 구성된다. 제 1 측벽(120) 및 제 2 측벽(140)은 상기 바닥면(110)의 4 개의 에지 중 서로 마주보는 2 개의 에지로부터 연장된다.
나머지 2 개의 제 3 측벽(140) 및 제 4 측벽(150)은 바닥면(110)의 상호 마주보는 나머지 2 개의 에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도록 동일 방향으로 2 번 절곡된다.
이로써 수납용기(100)는 바닥면(110)의 상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 외부에는 절곡된 제 3 측벽(140) 및 제 4 측벽(150)에 의하여 체결공간(15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납용기(100)의 체결공간(155)에 나사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 3 측벽(140) 및 제 4 측벽(150)에는 제 1 체결공(158)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제 1 샤시(300)중 제 1 체결공(158)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 체결공(370)이 형성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샤시(500)에는 제 1 체결공(158) 및 제 2 체결공(370)에 끼워지면 체결공간(155)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탭핑(tapping)된 탭핑부(530)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의 두께 및 부피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액정표시장치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보다 쉽게 외부로 방열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각종 부재를 수납하는 부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뒤틀림, 치수 불량 등을 해결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8)

  1. 바닥면 및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들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각각의 상기 측벽에 대응하는 측면과,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는 광 반사면 및 상기 광 반사면과 마주보는 광출사면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광출사면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상기 측벽 외측면에 결합하는 제 1 샤시;
    상기 광출사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 1 샤시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상기 측벽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 2 샤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제 1 두께, 상기 제 1 샤시의 제 2 두께, 상기 제 2 샤시의 제 3 두께는 0.1㎜ ∼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제 1 두께는 0.2㎜ ∼ 0.5㎜이고, 상기 제 1 샤시의 제 2 두께는 0.1㎜ ∼0.2㎜이고, 상기 제 2 샤시의 제 3 두께는 0.2㎜ ∼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 상기 제 1 샤시 및 상기 제 2 샤시는 메탈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측면의 사이에는 상호 인접한 2 개의 측면을 감싸는 L 자 형상의 램프 튜브들, 각각의 상기 램프 튜브들의 제 1 전극에 연결된 제 1 램프 와이어, 상기 램프 튜브들 중 상기 제 1 전극과 이격된 제 2 전극에 연결된 제 2 램프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시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램프 와이어보다 길이가 긴 상기 제 2 램프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램프 와이어 수납홈이 형성된 램프 와이어 수납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측벽에 반사된 광이 상기 측면으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반사판, 상기 제 1 반사판으로부터 상기 광 반사면 및 상기 바닥면의 사이로 연장되어 상기 광 반사면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반사시키는 제 2 반사판으로 구성된 반사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액정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와 마주보는 제 1 샤시의 내측면에는 반사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중 인접한 2 개의 상기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고정 보스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 중 상기 고정 보스에 결합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보스와 결합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면 중 광이 출사되는 곳에는 광학 시트류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광학 시트류 몸체에는 상기 제 1 샤시와 오버랩 되도록 돌출된 적어도 1 개의 광학 시트류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트류 결합돌기와 오버랩 되는 상기 제 1 샤시에는 상기 광학 시트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돌기 삽입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샤시에는 광학 시트류 결합돌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광학 시트류 이탈방지 부재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에지는 상기 제 1 샤시에 형성된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 1 샤시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 상기 바닥면의 외측면에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 및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에는 램프 와이어 수납홈 및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 몸체를 상기 제 1 샤시에 고정하는 나사 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가운데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 중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 결합홀과 대응하는 상기 바닥면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몸체 결합홀 내부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시는 적어도 1 개로 상기 제 2 샤시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제 2 샤시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시 받침부는 상기 제 1 샤시의 일부를 절개 및 상기 제 2 샤시 쪽으로 절곡한 제 2 샤시 받침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시 받침부는 상기 제 1 샤시의 일부가 상기 제 2 샤시에 접촉되는 높이로 돌출 시킨 제 2 샤시 받침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절곡시킨 제 1 결합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샤시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제 1 결합공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결합공 방향으로 절곡시킨 제 1 결합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상기 제 2 샤시의 두께만큼 돌출 및 제 2 결합공을 갖는 제 2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샤시에는 상기 제 2 결합편이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샤시에는 상기 제 2 결합공과 결합되는 제 3 결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측벽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곳에는 상기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된 제 2 샤시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샤시 중 상기 제 1 샤시에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제 2 샤시 걸림돌기에 걸리는 결합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면의 4 개의 가장자리들 중 상호 마주보는 2 개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 나머지 2 개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 1, 제 2 측벽과 연결되도록 연장되어 제 1 수납공간을 형성 및 상기 제 1 수납공간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체결공간을 갖는 제 3 측벽 및 제 4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 3 측벽, 제 4 측벽에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되고, 제 2 샤시에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체결공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샤시에는 상기 제 1, 제 2 체결공에 끼워지도록 안쪽으로 탭핑(tapping)된 탭핑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5.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는 제 1 메탈 샤시;
    상기 제 1 메탈 샤시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각각의 상기 측벽에 대응하며 광이 입사되는 측면,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는 광 반사면 및 상기 광 반사면과 마주보며 상기 광이 출사되는 광출사면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광출사면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프레임 형상의 제 2 메탈 샤시;
    상기 광출사면에서 출사된 상기 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광출사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 2 메탈 샤시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가장자리를 누르는 프레임 형상으로 상기 측벽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 3 메탈 샤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4 개로, 4 개의 상기 측면들 중 인접한 2 개의 측면들은 각각 L 자 형상으로 절곡된 L 자 형 램프들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시에는 상기 제 3 샤시의 내측벽을 받치기 위하여 일부가 절개 및 절곡된 제 3 샤시 받침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네 모서리에는 결합된 상기 제 1샤시 및 제 2 샤시를 감싸며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28992A 2002-05-24 2002-05-24 액정표시장치 KR10087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992A KR100878220B1 (ko) 2002-05-24 2002-05-24 액정표시장치
TW092104850A TWI341407B (en) 2002-05-24 2003-03-06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10/385,188 US7298432B2 (en) 2002-05-24 2003-03-10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B031095054A CN100345031C (zh) 2002-05-24 2003-04-08 液晶显示装置
JP2003123480A JP4546038B2 (ja) 2002-05-24 2003-04-28 液晶表示装置
US11/928,721 US7583330B2 (en) 2002-05-24 2007-10-30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12/478,371 US8004630B2 (en) 2002-05-24 2009-06-04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992A KR100878220B1 (ko) 2002-05-24 2002-05-24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47A true KR20030091147A (ko) 2003-12-03
KR100878220B1 KR100878220B1 (ko) 2009-01-13

Family

ID=2954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992A KR100878220B1 (ko) 2002-05-24 2002-05-24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298432B2 (ko)
JP (1) JP4546038B2 (ko)
KR (1) KR100878220B1 (ko)
CN (1) CN100345031C (ko)
TW (1) TWI341407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68B1 (ko) * 2002-06-29 2004-10-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모듈
KR100927977B1 (ko) * 2007-04-11 2009-11-24 베이징 보에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프레임
KR100971622B1 (ko) * 2008-05-30 2010-07-22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액정표시장치의 결합프레임
KR100978045B1 (ko) * 2006-03-13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286560B1 (ko) * 2009-12-18 2013-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및 액정표시소자
KR101325794B1 (ko) * 2010-07-12 2013-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103351A (ko) * 2015-08-21 2015-09-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539816B2 (en) 2009-08-12 2020-0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unitary indivisible lower receptacle having a hole comprising a first width and a second width disposed in a bottom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5101B2 (ja) * 1999-08-11 2004-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CN100465711C (zh) * 2004-04-01 2009-03-0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用的侧框压条
KR20060058554A (ko) * 2004-11-25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6163101A (ja) * 2004-12-09 2006-06-22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
CN2791690Y (zh) * 2005-04-09 2006-06-2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导光板和背光模组
JP2006350338A (ja) * 2005-06-13 2006-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と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その輝度調節方法
JP4679985B2 (ja) * 2005-07-07 2011-05-1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1203661B1 (ko) * 2005-10-14 2012-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CN100368891C (zh) * 2005-11-03 2008-02-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侧光式背光模块
CN100414373C (zh) * 2005-11-04 2008-08-27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
CN1987596A (zh) * 2005-12-22 2007-06-2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US20070211183A1 (en) * 2006-03-10 2007-09-13 Luminus Devices, Inc. LCD thermal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KR101332560B1 (ko) * 2006-09-21 2013-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090086420A1 (en) * 2007-10-01 2009-04-02 General Dynamics Itronix Corporation Rugged conductive hous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display
JP5234110B2 (ja) * 2008-07-09 2013-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00087950A (ko) * 2009-01-29 201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966874B1 (ko) * 2009-04-27 201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00315571A1 (en) * 2009-06-16 2010-12-16 Chi-Ming Tse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98545B2 (ja) * 2009-12-28 2012-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EP2343581A1 (en) * 2010-01-07 2011-07-13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KR101619786B1 (ko) * 2010-01-08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바텀 샤시의 제조 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바텀 샤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액정 표시 장치
KR101327743B1 (ko) * 2010-04-27 2013-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9377B1 (ko) * 2011-03-09 2018-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822110B1 (ko) 2011-07-06 2018-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431366B (zh) 2011-07-08 2014-03-21 Au Optronics Corp 顯示模組及其製造方法
CN102243392A (zh) * 2011-07-12 2011-11-16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液晶模组
KR20130019079A (ko) * 2011-08-16 2013-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045569A (ko) * 2011-10-26 2013-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48915A (ko) * 2011-11-03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7526200B (zh) * 2013-03-08 2021-05-07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TWI472833B (zh) * 2013-06-06 2015-02-11 Innolux Corp 顯示裝置
KR102094969B1 (ko) 2013-08-13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2891919B1 (en) * 2014-01-06 2021-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display apparatus
JP2014199451A (ja) * 2014-05-15 2014-10-23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4712975A (zh) * 2015-04-07 2015-06-1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EP3582208B1 (en) * 2017-02-09 2021-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5633B2 (ja) * 1996-10-21 2005-12-14 株式会社東芝 携帯形機器
JPH10133179A (ja) * 1996-10-25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0269943B1 (ko) * 1997-03-03 2000-10-16 윤종용 일체형 디스플레이 모듈
US6147724A (en) * 1997-04-04 2000-11-14 Hitachi, Ltd. Back light system for minimizing non display area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296993B2 (ja) * 1997-04-08 2002-07-02 エルジー フィリップス エルシー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を備える携帯用コンピュータ
KR100249679B1 (ko) * 1997-04-10 2000-03-15 구본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니트
JP3666265B2 (ja) * 1998-08-20 2005-06-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照明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851776B2 (ja) * 1999-01-11 2006-11-29 フラウンホー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ツール・フェルデルング・デル・アンゲヴァンテン・フォルシュング・アインゲトラーゲネル・フェライン パワーmos素子及びmos素子の製造方法
JP2000227594A (ja) * 1999-02-08 2000-08-15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KR100294689B1 (ko) * 1999-04-30 2001-07-1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백라이트
US6291298B1 (en) * 1999-05-25 2001-09-18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Process of manufacturing Trench gat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gate oxide layer with multiple thicknesses
JP3695228B2 (ja) 1999-06-29 2005-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1034848A (ja) 1999-07-23 2001-02-09 Toshiba Tec Corp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3646030B2 (ja) 1999-11-09 2005-05-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バッテリ駆動式ページャ端末及びこのページャ端末を用いた店舗システム
KR100661827B1 (ko) * 1999-12-29 2006-12-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배광장치 램프의 방열구조
KR100603850B1 (ko) * 2000-02-24 2006-07-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배광장치의 도광판 및 시트 고정구조
JP3334800B2 (ja) * 2000-03-23 2002-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87536B1 (ko) * 2000-04-28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채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1330817A (ja) * 2000-05-23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66321B1 (ko) * 2000-06-30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및이들의 조립 방법
JP2002091330A (ja) * 2000-09-14 2002-03-27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バックライトを備える平面表示装置
JP2002196312A (ja) *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276628B2 (ja) * 2001-02-13 2002-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6466283B1 (en) * 2001-11-20 2002-10-15 Ching-Lung Peng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um extruded outer frame for LCD display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68B1 (ko) * 2002-06-29 2004-10-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모듈
KR100978045B1 (ko) * 2006-03-13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927977B1 (ko) * 2007-04-11 2009-11-24 베이징 보에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프레임
US7938569B2 (en) 2007-04-11 2011-05-10 Beijing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frame
KR100971622B1 (ko) * 2008-05-30 2010-07-22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액정표시장치의 결합프레임
US10539816B2 (en) 2009-08-12 2020-0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unitary indivisible lower receptacle having a hole comprising a first width and a second width disposed in a bottom plate
KR101286560B1 (ko) * 2009-12-18 2013-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반사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및 액정표시소자
US8743314B2 (en) 2009-12-18 2014-06-03 Lg Display Co., Ltd. Reflecting plate for preventing leakage of light,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25794B1 (ko) * 2010-07-12 2013-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103351A (ko) * 2015-08-21 2015-09-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7350A1 (en) 2008-05-22
US8004630B2 (en) 2011-08-23
JP2004004809A (ja) 2004-01-08
US20030218702A1 (en) 2003-11-27
US20090237590A1 (en) 2009-09-24
CN1459651A (zh) 2003-12-03
TWI341407B (en) 2011-05-01
US7583330B2 (en) 2009-09-01
TW200307156A (en) 2003-12-01
US7298432B2 (en) 2007-11-20
KR100878220B1 (ko) 2009-01-13
CN100345031C (zh) 2007-10-24
JP4546038B2 (ja)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220B1 (ko) 액정표시장치
US102225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512396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7118265B2 (en) Optical member,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885119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sourcing unit fixing frame with a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interlocks the light-sourcing unit fixing frame to a housing
US7077554B2 (en) Light guide plate with stepped edg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1627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90060748A (ko)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10101418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20090073338A1 (en) Backlight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08001755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10009331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54440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5199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80754A (ko) 탑 샤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088763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644853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3717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63679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7012075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70206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20070015799A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1178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80745A (ko) 표시장치
KR2007000007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