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351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351A
KR20150103351A KR1020150117632A KR20150117632A KR20150103351A KR 20150103351 A KR20150103351 A KR 20150103351A KR 1020150117632 A KR1020150117632 A KR 1020150117632A KR 20150117632 A KR20150117632 A KR 20150117632A KR 20150103351 A KR20150103351 A KR 20150103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ide wall
storage container
source unit
align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101B1 (ko
Inventor
김창회
옥정수
곽충열
김용우
이효철
임규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7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10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02F2001/13331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중간 프레임, 바닥판과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수납부와 이와 분할된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정렬판 및 정렬판 상에 실장되는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광원부는 측벽과 닿고, 제1 수납부는 중간 프레임과 체결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원부의 교체가 용이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 FPD) 중 하나로서,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킴으로써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수동 발광 장치이므로,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요구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이용되는 광원으로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액정 표시 장치는 장기간 사용되기 위하여 광원부가 교체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의해, 종래에는 광원부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전체를 교환하든지, 백라이트 어셈블리 전체를 분해하여 광원부를 교체하여야만 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유지 보수의 용이성 및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광원부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중간 프레임, 바닥판과 측벽을 포함하는 제1 수납부와 이와 분할된 제2 수납부를 포함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정렬판 및 상기 정렬판 상에 실장되는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측벽과 닿고,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중간 프레임과 체결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부 수납 용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중간 프레임,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정렬판 및 상기 정렬판 상에 실장되는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와 체결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부 수납 용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중간 프레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제2 홀을 포함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정렬판 및 상기 정렬판 상에 실장되는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와 체결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8은 광원부 등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6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광원부 등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0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제1 변형예에 따른 광원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a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1a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_1)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30), 상부 수납 용기(20)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1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30)는 하부 표시판(32), 상부 표시판(33)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31), 액정(미도시), 게이트 칩 필름 패키지(35), 데이터 칩 필름 패키지(34) 및 인쇄 회로 기판(36)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1)은 하부 표시판(32)과 하부 표시판(32)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상부 표시판(33)을 포함한다. 하부 표시판(32)은 게이트 라인(미도시), 데이터 라인(미도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화소 전극 등을 포함하며, 상부 표시판(33)은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공통 전극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컬러 필터, 공통 전극 등은 하부 표시판(32)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칩 필름 패키지(35)는 하부 표시판(32)에 형성된 각 게이트 라인(미도시)에 접속되고, 데이터 칩 필름 패키지(34)는 하부 표시판(32)에 형성된 각 데이터 라인(미도시)에 접속된다. 여기서 게이트 칩 필름 패키지(35) 및 데이터 칩 필름 패키지(34)는 반도체 칩이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과 탭(TAB, Tape Automated Bonding) 기술에 의해 접합된 탭 테이프(TAB tape)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칩 필름 패키지로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이하 TCP)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이하 COF)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칩 필름 패키지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한편, 게이트 칩 필름 패키지(35)를 사용하지 않고, 하부 표시판(32) 상에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을 사용하여 게이트 구동부(미도시)가 직접 실장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도 있다.
인쇄 회로 기판(36)에는 게이트 칩 필름 패키지(35)에 게이트 구동 신호를 입력하고, 데이터 칩 필름 패키지(34)에 데이터 구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하는 여러 구동 부품이 실장된다.
상부 수납 용기(20)는 표시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표시 패널 어셈블리(30)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수납 용기(20)의 중앙부에는 표시 패널(31)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방창을 포함하며, 상부 수납 용기(20)는 중간 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하부 수납 용기(500)와 결합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0)는 중간 프레임(100), 광학 시트(200), 도광판(300), 광원부(350), 반사 시트(400) 등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5를 참조하면, 광원부(350)는 빛을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점광원(352)과 정렬판(35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350)는 도광판(300)등을 통해 표시 패널(31)에 빛을 제공한다.
점광원(352)은 빛을 직접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점광원(352)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ed Diode,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색재현성이 우수하고 소비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LED)는 프레임(미도시) 및 프레임 내부에 실장된 적색, 녹색, 청색 발광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의 발광칩에서 방출되는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혼합되어 백색광을 만들 수 있다. 또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칩(미도시) 상에 형광층(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백색광을 구현할 수도 있다.
정렬판(351)은 점광원(352)을 소정 방향으로 정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정렬판(351)은 일면(351a)과 타면(351b)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판(351)의 일면(351a) 상에는 점광원(352)이 실장된다. 이때, 정렬판(351) 상에는 복수의 점광원(352)이 실장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복수의 점광원(352) 각각은 소정 간격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정렬판(351) 상의 점광원(352)은 소정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렬판(351) 상의 점광원(352)은 정렬판(35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정렬판(351)은 점광원(352)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렬판(351)은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점광원(352)은 정렬판(351)에 형성된 회로에 의해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점광원(352)은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판(351)은 점광원(352)과 외부 전원간의 연결을 위해,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PCB)에 의해, 정렬판(351) 상에 실장된 복수의 점광원(352) 각각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점광원(352)에서 발광된 빛의 이용 효율을 도모하기 위하여, 점광원(352)이 실장된 정렬판(351)의 일면(351a) 상에는, 반사성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300)은 광원부(350)로부터 공급되는 빛을 표시 패널 어셈블리(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300)은 아크릴과 같은 플라스틱 계열의 투명한 물질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300)은 광원부(350)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도광판(300) 상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31)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광학 시트(200)는 도광판(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광판(300)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200)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보호 시트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광학 시트(200)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광학 시트(200)는 하부에 확산 기능을 갖도록 형성하며, 상부에는 프리즘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프리즘 패턴 위에 보호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 시트(400)는 도광판(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광판(300)의 하부로 방출되는 빛을 상부로 반사한다. 반사 시트(400)는 도광판(3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도광판(300)의 저면에 형성된 미세한 도트 패턴에 의해 반사되지 않은 빛을 다시 도광판(300)의 출사면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표시 패널(31)에 입사되는 빛의 손실을 줄임과 동시에 도광판(300)의 출광면으로 투과되는 빛의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사 시트(400)는 별도의 시트 형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시트 형식이 아닌 하부 수납 용기(500)에 반사 효율이 높은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 반사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반사 시트(400)는 분할된 하부 수납 용기(500)를 따라 분할되어 삽입될 수 있다. 즉, 반사 시트(400)를 제1 수납부(501), 제2 수납부 (502) 및 제3 수납부(503)의 형상에 알맞도록 분할하여 각각 삽입할 수 있다.
도 1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간 프레임(100)은 내부에 광학 시트(200), 도광판(300)을 수납한다. 이러한 중간 프레임(100)은 중앙에 개방창이 형성되어 있어, 도광판(300) 및 광학 시트(200)를 통과한 빛이 개방창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중간 프레임(100)은 내부에 개방창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100)은 몰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100)은 측벽부(110a, 110b)와 안착부(121a, 121b)를 포함한다.
측벽부(110a, 110b)는 하단부(111a, 111b)와 상단부(112a, 112b)를 포함한다. 여기서, 측벽부(110a, 110b) 중에서 상단부(112a, 112b)는 상부 수납 용기(20)과 맞닿는다. 하단부(111a, 111b) 중에서 일부(111b)는 하부 수납 용기(500)와 체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안착부(121a, 121b)는 측벽부의 내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착부(121a, 121b)는 표시 패널(31)이 안착되는 곳으로, 안착부의 저면과 하부 수납 용기(500)의 바닥판(511, 512) 사이의 공간에는 광학 시트(200), 도광판(300), 반사시트(400)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도 1a,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수납 용기(500)는 제1 수납부(501), 제2 수납부(502) 및 제3 수납부(503)를 포함한다. 제1 수납부(501)와 제2 수납부(502)는 서로 분할되어 있다.
제1 수납부(501), 제2 수납부(502) 및 제3 수납부(503)는 결합되어, 도광판(300), 광학 시트(200), 반사시트(400) 및 광원부(350)를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수납 용기(500)는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판금 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납부(501)는 바닥판(511)과 측벽(531)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531)은 바닥판(511)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벽(531)은 바닥판(5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531)은 내면(531a)과 외면(531b)을 포함한다. 이때, 하부 수납 용기(500)에 수납되는 광원부(350)는 측벽(531)과 닿도록 수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부(350)는 측벽(531)의 내면(531a)과 광원부(350)를 이루는 정렬판(351)의 타면이 맞닿도록 하부 수납 용기(50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원부(351)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부 수납 용기(500)로 직접 전달될 수 있어,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하부 수납 용기와 광원부 사이에 광원부를 덮는 커버가 개재되는 경우, 하부 수납 용기와 커버 사이의 공기층이 발생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해, 광원부에서 발생된 열이 공기층에 의해 하부 수납 용기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아, 광원부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원부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할 경우, 광원부(351)에서 발생되는 열이 하부 수납 용기(500)로 직접 전달될 수 있고, 광원부(350)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광원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수납 용기(500)의 제1 수납부(501)와 중간 프레임(100)이 체결된다.
제1 수납부(501)와 중간 프레임(1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수납부(501)와 중간 프레임(100)이 나사(91)로 체결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1 수납부(501)는 제1 체결부(5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부(521)는 나사(9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수납부(501)의 일부가 관통되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간 프레임(100)은 측벽부(110b)의 하단부(111b)에 제2 체결부(121)을 포함한다. 제2 체결부(121)는 제1 체결부(521)를 통과한 나사(91)가 체결된다. 제2 체결부(121)는 하단부(111b)의 일부가 만입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체결부(521), 나사(91) 및 제2 체결부(121)에 의해, 제1 수납부(501)와 중간 프레임(100)이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_1)는 하부 수납 용기(500)가 제1 수납부(501), 제2 수납부(502) 및 제3 수납부로 분리되어 있고, 제1 수납부(501)가 중간 프레임(100)과 체결되어 있어, 제1 수납부(501)에 수납된 광원부(3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광원부(350)를 교체하기 위하여, 제1 수납부(501)와 중간 프레임(100)의 체결을 풀고, 제1 수납부(501)를 하방으로 분리한 후, 새로운 광원부(350)를 제1 수납부(501)에 수납하고, 제1 수납부(501)와 중간 프레임(100)을 체결하는 것만으로, 광원부(350)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350)를 하방으로 분리한 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광원부(350)를 측방으로 교체할 경우 수반될 수 있는 다른 소자와의 마찰을 최소로 할 수 있어, 표시장치(1)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에 도시된 표시장치(1_2)는 하부 수납 용기(510)가 제1 수납부(504)와 제2 수납부(505)를 포함하고, 광원부(350)가 도광판(310)의 일측에만 배치되며, 도광판(310)이 쐐기형인 것을 제외하고, 도 1a의 표시장치(1_1)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광판(310)은 쐐기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평면형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6a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및 8은 광원부 등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6a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2_1)는 상부 수납 용기(800), 중간 프레임(150) 및 하부 수납 용기(600)를 포함한다.
하부 수납 용기(600)는 바닥판(611)과 측벽(631)을 포함한다. 측벽(631)은 바닥판(611)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벽(631)은 바닥판(6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631)은 내면(631a)과 외면(631b)을 포함한다. 또한, 측벽(631)은 제1 홀(633)을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350)는 정렬판(351)과 점광원(3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렬판(351)은 일면(351a)과 타면(351b)을 포함한다. 이때, 정렬판(351)의 일면(351a) 상에는 점광원(352)이 실장된다.
한편, 광원부(350)는 측벽(631)과 체결된다. 이때, 측벽(631)의 외면(631b)과 정렬판(351)의 일면(351a)은 서로 맞닿도록, 광원부(350)와 측벽(631)이 서로 체결된다.
한편, 광원부(350)의 점광원(352)은 제1 홀(633)에 삽입된다. 점광원(352)이 제1 홀(6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홀(633)의 폭은 점광원(352)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광원(352)이 정렬판(351) 상에 복수개가 실장된다면, 제1 홀(633)도 점광원(352)의 수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점광원(352)의 수와 제1 홀(633)의 수가 반드시 대응될 필요는 없다. 즉, 하나의 제1 홀(633) 내에 복수의 점광원(352)중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개의 점광원(352)이 정렬판(351) 상에 실장되는 경우, 하나의 제1 홀(633)에 2개의 점광원(352)이 삽입되는 경우라면, 제1 홀(633)은 6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1 홀(633)에 3개의 점광원(352)이 삽입되는 경우라면, 제1 홀(633)은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 홀(633) 각각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측벽(6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점광원(352)이 정렬판(351) 상에 복수개가 실장된다 하더라도, 제1 홀(637)은 하나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홀(637)은 복수개의 점광원(352) 전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637)은 정렬판(351) 또는 측벽(6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광원부(350)와 측벽(631)은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원부(350)와 측벽(631)이 나사(93)로 체결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광원부(350)는 측벽(631)과 체결되기 위하여, 제1 체결부(3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부(331)는 나사(93)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정렬판(351)의 일부가 관통되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벽(631)은 제2 체결부(635)를 포함한다. 제2 체결부(635)는 제1 체결부(331)를 통과한 나사(93)가 체결된다. 제2 체결부(635)는 측벽(631)의 일부가 만입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체결부(331), 나사(93) 및 제2 체결부(635)에 의해, 광원부(350)와 하부 수납 용기(600)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할 경우, 광원부(350)가 측벽(631)의 외면(631b)에 체결됨으로써, 광원부(350)의 점광원(352)에서 발산되는 균일하게 섞일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의할 경우, 광원부(350)가 측벽(631)의 내면(631a)에 체결될 때 보다, 정렬판(351)의 두께 및 측벽(631)의 두께의 합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광원부(350)의 점광원(352)이 도광판(300)으로부 후퇴하게 되므로, 후퇴된 거리만큼 점광원(352)에서 발산된 빛이 균일하게 섞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시품질이 우수한 표시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프레임(150)은 제1 측벽부(152), 제1 절개부(153) 및 안착부(154)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중간 프레임(150)은 제1 실시예의 중간 프레임(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제외하도록 한다.
제1 측벽부(152)는 하부 수납 용기(600)의 측벽(631)과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1 절개부(153)는 제1 측벽부(152)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절개부(153)는 광원부(350)에 형성된 제1 체결부(33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절개부(153)는 제1 측벽부(152)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부 수납 용기(800)는 제2 측벽부(811), 제2 절개부(821)를 포함한다.
제2 측벽부(811)는 중간 프레임(150)의 제1 측벽부(152)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제2 절개부(821)는 제2 측벽부(811)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절개부(821)는 중간 프레임(150)의 제1 절개부(153)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절개부(821)는 제2 측벽부(811)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만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개부(153) 및 제2 절개부(821)에 의해, 광원부(350)의 체결부(331)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중간 프레임(150)이나 상부 수납 용기(800)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광원부(350)를 하부 수납 용기(6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쉽게 광원부(350)가 교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된 하부 수납 용기(600)는 제1 실시예의 하부 수납 용기(500)와 달리 분할되지 않는 일체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하부 수납 용기(600)도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하부 수납 용기(500)와 마찬가지로, 제1 수납부(501)와 제2 수납부(502)로 분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표시장치(2_2)는 하부 수납 용기(610)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만 제1 홀(633)이 형성되어 있고, 광원부(350)가 도광판(310)의 일측에만 배치되며, 도광판(310)이 쐐기형인 것을 제외하고, 도 6a의 표시장치(2_1)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광판(310)은 쐐기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평면형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a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이하, ‘제1 변형예’ 라 한다.)에 의한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광원부 등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도 10a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제1 변형예에 따른 광원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는 제1 변형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a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3_1)는 상부 수납 용기(800), 중간 프레임(150) 및 하부 수납 용기(700)를 포함한다.
하부 수납 용기(700)는 바닥판(711)과 측벽(731)을 포함한다. 측벽(731)은 바닥판(711)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벽(731)은 바닥판(7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벽(731)은 내면(731a)과 외면(731b)을 포함한다.
바닥판(711)에는 제2 홀(715)이 형성된다. 제2 홀(715)은 측벽(7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 홀(715)은 광원부(35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홀(715)은 광원부(350)의 정렬판(351)의 두께와 점광원(352)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홀(715)은 제1 폭(w1)과 제2 폭(w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폭(W1)은 정렬판(351)의 두께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폭(w2)은 정렬판(351)과 점광원(352)의 두께를 합한 값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폭(w1)과 제2 폭(w2)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제2 홀(715)을 이룬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홀(715)을 통과한 광원부(350)는 하부 수납 용기(700)와 체결된다. 이때, 정렬판(351)의 타면(351b)이 측벽(731)의 내면(731a)과 맞닿도록 광원부(350)와 하부 수납 용기(700)가 체결된다.
한편, 광원부(350)와 측벽(731)은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원부(350)와 측벽(731)이 나사(95)로 체결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측벽(731)은 광원부(350)와 체결되기 위하여, 제1 체결부(7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부(735)는 나사(95)가 체결될 수 있도록, 측벽(731)의 일부가 관통되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광원부(350)는 제2 체결부(332)를 포함한다. 제2 체결부(332)는 제1 체결부(735)를 통과한 나사(95)가 체결된다. 제2 체결부(332)는 정렬판(351)의 일부가 만입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735), 나사(95) 및 제2 체결부(332)에 의해, 광원부(350)와 하부 수납 용기(70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중간 프레임(150)은 제1 측벽부(152), 제1 절개부(153) 및 안착부(154)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수납 용기(800)는 제2 측벽부(811), 제2 절개부(821)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의 중간 프레임(150)과 상부 수납 용기(800)는 제1 절개부(153) 및 제2 절개부(821)에 의해, 하부 수납 용기(700)의 측벽(731)의 제1 체결부(735)가 노출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2 실시예의 중간 프레임(150)과 상부 수납 용기(8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절개부(153) 및 제2 절개부(821)에 의해, 측벽(731)의 체결부(735)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중간 프레임(150)이나 상부 수납 용기(800)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광원부(350)를 하부 수납 용기(7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쉽게 광원부(350)가 교체될 수 있다.
도 10a,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변형예의 광원부(350)는 지지 부재(360)를 더 포함한다.
지지 부재(360)는 지지판(361)과 지지벽(3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벽(362)은 지지판(361)의 일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벽(362)은 지지판(36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정렬판(351)은 지지 부재(360) 상에 실장된다. 특히, 정렬판(351)은 지지벽(362)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지지벽(362), 정렬판(351) 및 정렬판(351) 상에 실장된 점광원(352)은 하부 수납 용기(700)의 바닥판(711)의 제2 홀(715)을 통과한다. 이후, 광원부(350)가 하부 수납 용기(700)내에 수납되도록 지지 부재(360)와 하부 수납 용기(700) 체결된다.
지지 부재(360)와 하부 수납 용기(7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 부재(360)와 하부 수납 용기(700)가 나사(97)로 체결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지지 부재(360)는 하부 수납 용기(700)와 체결되기 위하여, 지지판(361)에 제1 체결부(36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부(363)은 나사(97)가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판(361)의 일부가 관통되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수납 용기(700)는 제2 체결부(725)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체결부(725)는 하부 수납 용기(700)의 바닥판(711)에 형성된다. 제2 체결부(725)는 제1 체결부(363)를 통과한 나사(97)가 체결된다. 제2 체결부(725)는 바닥판(711)의 일부가 만입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판(711)과 지지판(361)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체결부(363), 나사(97) 및 제2 체결부(725)에 의해, 광원부(350)와 하부 수납 용기(700)가 체결될 수 있다.
지지판(361)의 제1 체결부(363)를 통해 중간 프레임(150)이나 상부 수납 용기(800)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광원부(350)를 하부 수납 용기(7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손쉽게 광원부(350)가 교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 및 제1 변형예에서 사용된 하부 수납 용기(700)는 제1 실시예의 하부 수납 용기(500)와 달리 분할되지 않는 일체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실시예 및 제1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하부 수납 용기(700)도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하부 수납 용기(500)와 마찬가지로, 제1 수납부(501)와 제2 수납부(502)로 분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0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b에 도시된 표시장치(3_2)는 하부 수납 용기(710)의 바닥판의 일측에만 제2 홀(716)이 형성되어 있고, 광원부(350)가 도광판(310)의 일측에만 배치되며, 도광판(310)이 쐐기형인 것을 제외하고, 도 10a의 표시장치(3_1)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광판(310)은 쐐기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평면형일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장치 10: 백라이트 어셈블리
20: 상부 수납 용기 30: 표시 패널 어셈블리
31: 표시 패널 32: 하부 표시판
33: 상부 표시판 34: 데이터 칩 필름 패키지
35: 게이트 칩 필름 패키지 36: 인쇄 회로 기판
100: 중간 프레임 200: 광학 시트
300: 도광판 350: 광원부
400: 반사 시트

Claims (18)

  1. 상부 수납 용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중간 프레임;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1 홀을 포함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정렬판 및 상기 정렬판 상에 실장되는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와 체결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측벽과 체결되되, 상기 점광원은 상기 제1 홀에 삽입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상기 측벽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판은 일면과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되, 상기 일면 상에 상기 점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일면과 상기 외면이 맞닿는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측벽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은 제1 측벽부와 제1 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측벽과 마주하고, 상기 제1 절개부는 상기 제1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납 용기는 제2 측벽부와 제2 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1 측벽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제2 측벽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절개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 용기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측벽은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표시장치.
  9. 상부 수납 용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안착되는 중간 프레임;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제2 홀을 포함하는 하부 수납 용기; 및
    정렬판 및 상기 정렬판 상에 실장되는 점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와 체결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은 상기 측벽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은 제1 폭과 제2 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폭은 상기 정렬판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정렬판과 상기 점광원의 두께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판은 일면과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되, 상기 일면 상에 상기 점광원이 실장되고, 상기 타면과 상기 내면이 맞닿는 표시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광원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은 제1 측벽부와 제1 절개부룰 포함하되,
    상기 제1 측벽부는 상기 측벽과 마주하고, 상기 제1 절개부는 상기 제1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납 용기는 제2 측벽과 제2 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측벽부는 상기 제1 측벽부와 마주하고,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제2 측벽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절개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표시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정렬판이 실장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하부 수납 용기에 체결되는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지지벽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바닥판에 체결되는 표시장치.
KR1020150117632A 2015-08-21 2015-08-21 표시장치 KR10162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32A KR101622101B1 (ko) 2015-08-21 2015-08-21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632A KR101622101B1 (ko) 2015-08-21 2015-08-21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383A Division KR101607211B1 (ko) 2009-08-12 2009-08-12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351A true KR20150103351A (ko) 2015-09-10
KR101622101B1 KR101622101B1 (ko) 2016-06-01

Family

ID=5424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632A KR101622101B1 (ko) 2015-08-21 2015-08-2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47A (ko) * 2002-05-24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06129625A1 (ja) * 2005-05-30 2006-12-07 Kyocera Corporation 液晶表示装置
JP2008084713A (ja) * 2006-09-28 2008-04-10 Kyocera Corp 光源部品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47A (ko) * 2002-05-24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06129625A1 (ja) * 2005-05-30 2006-12-07 Kyocera Corporation 液晶表示装置
JP2008084713A (ja) * 2006-09-28 2008-04-10 Kyocera Corp 光源部品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101B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211B1 (ko) 표시장치
KR101511493B1 (ko)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세트 및 액정 표시 모듈의 조립 방법
US7969526B2 (en) Display device having clamping upper container se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isplay device
US9746602B2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202456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46153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84415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light leakage
KR20100033196A (ko) 광학 부재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405009B (zh) 液晶顯示裝置
KR2011008881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12702A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83648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221128B1 (ko) 표시소자의 백라이트 유닛 및 그의 조립방법
US20130050587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1013470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2121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9030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20136879A (ko) 액정표시장치
KR101622101B1 (ko) 표시장치
KR101785340B1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3643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8158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4440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8494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50079230A (ko)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