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747A -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747A
KR20030090747A KR10-2003-7013534A KR20037013534A KR20030090747A KR 20030090747 A KR20030090747 A KR 20030090747A KR 20037013534 A KR20037013534 A KR 20037013534A KR 20030090747 A KR20030090747 A KR 2003009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oidal silica
hair
group
polyorganosiloxa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743B1 (ko
Inventor
스에나가고지
사토아키노리
Original Assignee
지이 도시바 실리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도시바 실리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지이 도시바 실리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A)(1)콜로이드실리카의 코어 90~10중량%와, (2)평균조성식 R1 aSiO(4-a)/2(식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동일 또는 이종의 1가의 탄화수소기, a는 1.80~2.20수)로 나타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셸 10~90중량%로 이루어진 콜로이드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 및 (B)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고, (A)/(B)의 중량비가 1/1000~4/1이고, 또한 그 합계량이 0.1~10중량%이며, 매끄러운 감촉을 주면서 양호한 세팅 유지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HAIR PREPARATION COMPOSITION}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모발 세팅성을 부여할 목적을 위해,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한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즉, 폴리비닐 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비닐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고분자 화합물 또는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분자 화합물의 배합은 높은 세팅 유지력은 부여할 수 있지만, 매끄러운 빗 통과성 등의 점에서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한편,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실리콘의 사용이 유익하다는 것은 특허 문헌에 광범위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리콘을 과잉으로 사용함으로써 모발이 극단적으로 부드러워져 세팅 유지력을 손상시키고, 특히 가는 모발은 힘이 없어져 취급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국 특허 4902499호 명세서에는 모발의 세팅 유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실리콘 폴리머를 휘발성 물질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고무 및 실리카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 수지를, 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과 같은 휘발성 물질에 용해하여 이것을 모발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 제3043816호 명세서에는 가교형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모발의 세팅 유지력 및 매끄러움을 부여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10-114622호 공보에는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모발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개공보에 개시된 발명은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써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배합한 경우의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의 실리콘을 모발용 화장료에 사용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이들 공지의 기술에 의해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는 모두 모발의 세팅 유지력 및 매끄러움 등의 감촉성의 점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층 개선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매끄러운 감촉을 주면서 양호한 세팅 유지력을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colloidal silica core/silicone shell particles)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품, 더욱 상세하게는 매끄러운 감촉을 주면서 양호한 세팅 유지력을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정에 대응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콜로이드 실리카에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실록산 결합시켜 이루어진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와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특정의 중량비율로 모발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 양호한 세팅 유지력을 가질뿐만 아니라, 이외에도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도 매끄러운 감촉을 모발에 부여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A)(1)콜로이드 실리카의 코어 90~10중량%와, (2)평균 조성식 R1 aSiO(4-a)/2(식 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동일 또는 이종의 1가의 탄화수소기, a는 1.80~2.20의 수)로 나타나는 폴리오르가노 실록산의 셸 10~90중량%로 이루어진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 및 (B)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고,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A)/(B)가 1/1000~4/1이고, 또한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이 전체의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와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병용함으로써, 모발에 대해서 높은 세팅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도 뛰어난 모발특성(매끄러움(smoothness), 빗통과성(combing easiness))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A)(1)콜로이드 실리카의 코어 90~10중량%와, (2)평균 조성식 R1 aSiO(4-a)/2(식 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동일또는 이종의 1가의 탄화수소기, a는 1.80~2.20의 수)로 나타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셸 10~90중량%로 이루어진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 및 (B)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고,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가 1/1000~4/1이고, 또한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이 전체의 0.1~10중량%이다.
여기에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라는 것은 일본 특허 제2992591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고, 콜로이드 실리카를 코어로 하고, 적어도 그 표면의 일부를 실리콘 즉 폴리오르가노실록산dmf 셸로서 피복한 구성을 주체로 한 것으로, 분리된 실리콘 입자를 약간 포함하는 형태를 채용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는 ①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양말단이 실록산 결합을 통하여 실리카 표면에 결합한 것, ②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한쪽 말단이 실록산 결합을 통하여 실리카 표면에 결합하고, 다른쪽 말단이 수산기로 봉쇄된 것, ③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양말단이 수산기로 봉쇄되고, 실리카 표면과의 실록산 결합을 갖지 않는 것의 3종류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1)성분, 즉 콜로이드실리카는 SiO2를 기본 단위로 하는 수중(水中)분산체를 지칭하는 것이고, 평균 입자 직경 4~300㎚, 보다 바람직한 것은 30~150㎚이다.
또한, 콜로이드실리카는 특성 분류로부터 산성과 알칼리성으로 나뉘어지지만, 코어 셸체를 제조하는 경우의 유화중합시의 조건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산성 조건하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산성 콜로이드실리카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2)성분, 즉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셸은 10~90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그 이유는 10중량% 미만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서는 콜로이드 실리카의 표면을 충분히 피복할 수 없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가 되고, 또한 90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콜로이드 실리카의 보강성이 충분하지 않고, 기계적인 특성이 부족한 엘라스토머 경화물이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어떤 경우에도, 결과적으로 매끄러운 감촉을 주면서 양호한 세팅 유지력을 갖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또한, 코어 셸체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셸을 나타내는 상술한 평균 조성식 R1 aSiO(4-a)/2에서 규소 원자에 결합하는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동일 또는 이종의 1가의 탄화수소기이다.
여기에서, 비치환의 1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헥실기, 옥틸기, 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의 직사슬형 또는 가지형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크세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β-페닐에틸기, 메틸벤질기, 나프틸메틸기 등의 아랄킬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펜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치환의 1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비치환의 1가의 탄화
수소기의 수소원자를, 불소나 염소 등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한 기, 예를 들어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3-플루오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입수나 제조가 용이한 점으로부터 R1로서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1)콜로이드 실리카(코어 성분)와, (2)R2 nSiO(4-n)/2(식 중,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동일 또는 이종의 1가의 탄화수소기, n은 0~3의 수)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갖고, 또한 수산기를 함유하지 않은 규소 원자수 2~10의 오르가노실록산을 각각 준비한다. 다음에, 콜로이드 실리카에 대해서 오르가노실록산을 수성 매체중,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중축합시킴으로써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에멀젼을 조제한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에멀젼 조제에 있어서, 콜로이드 실리카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산성 콜로이드 실리카-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칼리성 콜로이드 실리카-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 유화·에멀젼화에서의 물의 사용량은 콜로이드 실리카 성분 및 오르가노실록산류 성분의 전량 100중량부 당 43~90중량부, 바람직한 것은 67~400중량부이고, 에멀젼계의 고형분 농도를 10~70중량%, 바람직한 것은 20~60중량%로 한다. 또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화(축합반응 등) 온도는 5~100℃정도이다. 또한, 실리콘셸을 이루는 오르가노실록산 성분은 셸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관능기를 갖는 실란류 등의 가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제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에멀젼은 산성 또는 알칼리성을 나타내므로, 장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알칼리 또는 산을 첨가하여 중화처리한다. 여기에서, 알칼리성의 중화제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탄산 토륨, 탄산수소토륨, 트리에탄올아민을 들 수 있고, 또한 산성의 중화제로서는 염산, 황산, 질산, 아세트산, 옥살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어 셸체의 셸을 형성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원료 성분인,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예시된다.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 3, 5, 7-테트라메틸-1, 3, 5, 7-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 3, 5, 7-테트라벤질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 3, 5, 7-트리스-(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고리형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계이어도 좋다.
유기 관능기를 포함하는 기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하는 실란 화합물로서는 다음과 같은 실란류가 사용된다.
유기관능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로서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트리에틸렌디아민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 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플루오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카르복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계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에멀젼 조제에서, 주로 유화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성 콜로이드 실리카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알칼리성 콜로이드 실리카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으로 각각 나타나는 지방족 치환 벤젠설폰산, 지방족 수소 설페이트류, 불포화 지방족 설폰산과 수산화 지방족 설폰산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단, 식 중 R3는 탄소원자수 6~30(바람직한 것은 6~18개)인 1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R4탄소원자수 1~30(바람직한 것은 6~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 수소기, n은 전체 탄소원자수가 6~30이 되는 정수이다.
그리고, R3및 R4로서는 예를 들어 헥실기, 옥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세틸기, 스테아릴기, 밀리실기, 올레일기, 노네닐기, 옥티닐기, 피틸기, 펜타데카디에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3기를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헥실벤젠설폰산, 옥틸벤젠설폰산, 도데실벤젠설폰산, 세틸벤젠설폰산, 옥틸설페이트, 라우릴설페이트, 올레일설페이트, 세틸설페이트를 들 수 있다. R4기를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데센설폰산, 히드록시테트라데칸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으로 나타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중, 촉매작용이 약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옥틸벤젠설폰산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 암모늄,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라우릴설페이트, 테트라데센설폰산 나트륨, 히드록시테트라데센설폰산 나트륨 등과 같은 나트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은 중합 촉매과 병용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병용하는 중합 촉매는 통상, 저분자량의 오르가노실록산의 중합에 사용되고 있는 촉매, 예를 들어 지방족 치환 벤젠설폰산, 지방족 수소 설페이트류, 불포화 지방족 설폰산과 수산화 지방족 설폰산의 혼합물, 염산, 황산, 인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산성촉매가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물의 존재하에서 저분자량의 오르가노실록산을 중합시킬 수 있는 촉매이면, 어떤 촉매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일반식으로 나타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4)라우릴에테르 황산, 폴리옥시에틸렌(13)세틸에테르황산, 폴리옥시에틸렌(6)스테아릴에테르황산, 폴리옥시에틸렌(4)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4)옥틸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 또는 그 염,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카본산, 폴리옥시에틸렌(3)스테아릴에테르카본산, 폴리옥시에틸렌(6)라우릴에테르카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6)옥틸에테르카본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본산에스테르 또는 그 염 등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유화·에멀젼화하는 코어를 이루는 콜로이드 실리카와 셸을 이루는 오르가노실록산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0.5~20중량부(바람직한 것은 0.5~10중량부)이다. 여기에서, 0.5중량부 미만에서는 생성하는 에멀젼의 안정성이 떨어져 분리될 우려가 인정되고, 또한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생성하는 에멀젼이 증점하여 유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중합촉매를 병용하는 경우, 중합촉매의 병용량은 상기 코어를 이루는 콜로이드 실리카 및 셸을 이루는 오르가노실록산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0.05~10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4차 암모늄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단, 상기 화학식 1 중 R5는 탄소원자수 6이상, 바람직한 것은 탄소원자수 8~18개의 지방족 1가 탄화수소기, R6, R7, R8은 각각 1가의 유기기, X는 수산기,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이다.)
여기에서, R5로서는 예를 들어 헥실기, 옥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세틸기, 스테아릴기, 밀리실기, 올레일기, 노네닐기, 옥티닐기, 피틸기, 펜타데카디에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6, R7, R8은 동종 또는 이종의 1가 유기기이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알킬기, 비닐기, 아릴기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크세닐기,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등이다.
상기 4차 암모늄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디옥틸디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촉매작용이 약하므로, 중합 촉매, 예를 들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루비듐 등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유화·에멀젼화하는 코어를 이루는 콜로이드 실리카 및 셸을 이루는 오르가노실록산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0.5~50중량부(바람직한 것은 0.5~20중량부)이다. 여기에서, 0.5중량부 미만에서는 양이온성이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에멀젼의 안정성이 떨어져 분리될 우려가 인정된다. 또한,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생성하는 에멀젼이 증점하여 유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중합촉매를 병용하는 경우, 중합촉매의 병용량은 상기 코어를 이루는 콜로이드 실리카 및 셸을 이루는 오르가노실록산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해서, 0.05~10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일본 특개평9-13706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양이온성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도 사용 가능하다. 즉, 상기 방법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을 실시하고 반응을 종료시킨 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성 계면활성제를 혼화성(miscible) 계면활성제로서 첨가하고,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양이온성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포함하는 실리콘 에멀젼은 350㎚ 이하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고, 매우 안정적인 에멀젼이다. 샴프나 린스,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또는 헤어 스타일링이라는 수성 모발화장료에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 안정성도 특히 양호하다.
(A)성분의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와 병용하여 사용되는 (B)성분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서는 평균조성식(단, 식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동일 또는 이종의 1가의 탄화수소기, a는 1.80~2.20의 수)로 나타나는 디메틸실리콘을 들 수 있다. 그 점도는 25℃에서 5~50,000,000mPa·s이고, 바람직한 것은 20~30,000,000mPa·s의 범위이다. 점도가 5mPa·s 미만이면, 모발에 대한 매끄러움 부여의 효과가 작고, 점도가 50,000,000mPa·s를 초과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실질상 제조가 곤란하다. 사용은 단일 점도의 실리콘, 또는 점도가 다른 실리콘을 혼합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아미노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1)약 0.02 내지 약 3.0밀리당량/g의 아미노 함량을 갖고, 또한 다음의 단위체(a) 및 (b):
(a)RaQbSiO(4-a-b)/2단위체; 및
(b)RcSiO(4-c)/2단위체; [식 중, RaQbSiO(4-a-b)/2단위체 대 RcSiO(4-c)/2단위체의 몰비는 약 1:2 내지 약 1:65의 범위이고; a는 0~2의 범위의 수이고; b는 1~3의 범위의 수이고; a+b는 3 또는 그 이하이고, c는 1~3의 범위의 수이고; R은 1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1가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탄화수소기이고; 그리고 Q는 일반식 -R1NHZ(식중, R1은 탄소 및 수소원자; 탄소, 수소 및 산소원자; 또는 탄소, 수소 및 황 원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2가의 연결기이고; 그리고 Z는 수소원자,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 및 -CH2CH2NH2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원자 또는 기이다)를 갖는 극성기이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아미노 관능성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사용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페닐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고,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메틸 실리콘 및 아미노 변성 실리콘이 모발에 매끄러움을 부여하는 효과가 큰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모발 화장료에 배합하는 형태로서는 오일형상의 실리콘을 직접 배합해도 문제는 없지만, 샴프나 린스,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또는 헤어스타일링이라는 수성 모발 화장료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에멀젼의 형태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 및 각종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를 실시하고, 물에 분산시킨 형태로 배합을 실시한다. 이 경우, 얻어지는 에멀젼은 입자직경에 따라서 마크로에멀젼(분산입자직경 400㎚ 이상), 마이크로에멀젼(분산입자직경 100㎚ 이하), 및 중간입자직경의 미니에멀젼(분산입자직경 100~400㎚)으로 구별되지만, 사용에 관한 제한은 없고 모든 에멀젼이 대상이 된다.
그러나, 샴프로의 첨가는 배합 안정성을 고려한 경우 미니에멀젼과 마이크로 에멀젼이 바람직하고, 또한 린스,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스타일링제에는 마크로에멀젼, 미니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하면 좋고, 예를 들어 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과 같은 고리형 실록산이나 수산기 봉쇄 디메틸실록산을 모노머로서 실시하는 유화 중합법이나, 콜로이드 분쇄기(mill), 라인 분쇄기, 호모믹서, 호모지나이져라는 유화 기계에 더하여, 앵커믹서(anchor mixer)와 호모 믹서, 또는 앵커 믹서와 디스퍼 믹서가 일체가 된 유화기를 사용하여 유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리콘 에멀젼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성 계면활성제 모두를 사용할 수 있고,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도데실벤젠설폰산, 옥틸벤젠설폰산,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설페이트, 라우릴설페이트, 테트라데센설폰산, 히드록시테트라데센설폰산 및 그 나트륨염, 칼륨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디옥틸디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아민옥시드, 라우릴베타인, 코코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성분의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와 (B)성분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과의 중량비(A)/(B)는 1/1000~4/1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것은 1/100~3/2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1/20~1/1이다.
(A)/(B)의 비율이 1/1000미만이면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배합해도 충분한 세팅 유지력의 효과가 없고, 또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단독 사용의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매끄러움의 효과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배합비율이 4/1을 초과하면, 세팅 유지력은 충분하지만,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매끄러움을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성분의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와 (B)성분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합계 사용량은 모발화장료 전체의 0.1~10중량%이다. 바람직한 것은 0.5~8중량%, 더욱 바람직한 것은 1~6중량%의 범위내이다. 배합량이 0.1중량% 미만에서는 세팅 유지력 및 모발의 매끄러움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실리콘이 모발에 필요 이상으로 퇴적되어, 끈적거림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세팅 유지력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어를 이루는 콜로이드 실리카와 셸을 이루는 오르가노실록산의 유화·에멀젼화 전 또는 유화·에멀젼화 후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첨가병용해도 좋다. 또한, 유화·에멀젼화 전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음이온계 또는 양이온계의 계면활성제의 촉매작용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음이온계나 양이온계의 계면활성제 100중량부 당 0~500중량부의 범위에서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6)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7)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0)베헤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3)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18)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14E.O.),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80E.O.)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20E.O.),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6E.O.), 모노팔미틴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20E.O.),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6E.O.),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20E.O.),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팔미틴산 솔비탄, 야자유 지방산 솔비탄 등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테트라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트,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15)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15)글리세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10)폴리옥시프로필렌(4)세틸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5)스테아릴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5)세틸에테르인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얻어지는 코어 셸체의 에멀젼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HLB가 6~20인 것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콜로이드 실리카를 코어로 하고, 상기 코어를 실리콘의 셸이 실록산 결합을 통하여 덮은 셸체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필수 성분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작용에 의해, 모발에 대해서 양호한 세팅 유지력을 부여하고, 또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병용에 의해,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단독 사용 보다도 한층 매끄러운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샴프, 린스,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헤어스타일링제, 무스, 헤어크림, 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린스 효과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차 암모늄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발 화장료 조성물 중 0.1~5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이면 린스효과가 불충분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모발 화장료의 점성이 높고 사용하기 어렵다.
4차 암모늄염으로서는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디메틸히드록시에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세틸트리에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및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샴프 등의 세정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방산 비누, α-아실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 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 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린산 솔비탄, 올레인산 솔비탄 등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지방산 솔비탄, 모노팔미틴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린산 글리콜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알킬알칸올아미드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 프로필 베타인, 라우린산 아미드 프로필 베타인 등의 베타인, 아미노 카본산염, 이미다졸린 유도체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발 화장료 중 5~40 중량%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 활성제의 비율이 5중량% 미만이면, 세정성 및 세정시의 거품의 발생성이 떨어지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모발 화장료의 점성이 높아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는 목적에 따라서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라놀린 유도체, 고급 알콜, 각종 에스테르유 등의 유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수용성 유분, 히알론산, 콘드로이친산, 피롤리돈카본산 등의 보습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증점제, 양이온 변성 셀룰로스 에테르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4차 암모늄, 디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유도체 4차 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폴리알킬렌, 폴리아민 등의 양이온성 고분자, 자외선 흡수제,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중의 부 및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부 및 중량%이다.
원료로서 사용하는 콜로이드 실리카 및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평균입자직경은 동적 광산란법을 채용한 레이저 입자직경 해석 시스템 LPA-3000S/3100(오츠카 덴시(주) 제조)으로 측정했다.
또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그래프트 중합체로 간주한 경우, 다시 말하면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를 간폴리머(trunk polymers), 실리콘 셸을 가지 폴리머(branch polymers)로 했을 때의 그래프트율 및 그래프트 효율을 이하의 방법으로 구했다.
즉,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를 함유하는 에멀젼을, 40℃/0.5㎜Hg에서 5시간 감압 건조하여 얻은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건조물)의 일정량(Y)을, 시클로헥산 중에 투입하고, 진탕기에 세트하여 24시간 진탕을 실시한다. 상기 진탕에 의해 유리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시클로헥산에 용해하고,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회전수 23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분을 채취한다. 다음에, 진공건조기에서 120℃, 1시간 건조하여 얻은 불용분의 중량(M)을 측정하고, 다음식에 의해 그래프트율 및 그래프트 효율을 각각 산출했다.
또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셸부 비율은 이하의 순서로 산출했다. 또한, 비휘발분 [%]은, 2g 단위의 시료 3개를, 각각 105℃에서 3시간 가열한 경우의 값의 평균값이다.
①콜로이드 실리카 유효량[부]의 산출
콜로이드 실리카 분산액 사용량[부]×콜로이드 실리카 유효성분 [%]로 구한다.
②이론 비휘발분 [%]의 산출
{(콜로이드 실리카 유효량[부]+오르가노실록산의 사용량[부]+유화제량[부]/전체 사용원료[부]}×100으로 구한다.
③미중합(unpolymerized) 오르가노실록산량[부]의 산출
(전체 사용원료[부]×(이론 비휘발분[%]-불휘발분[%]))/100으로 구한다.
④중합 오르가노실록산량[부]의 산출
오르가노실록산의 사용량[부]-미중합 오르가노실록산량[부]으로 구한다.
⑤중합율의 산출
중합 오르가노실록산량[부]/오르가노실록산의 사용량[부]로 구한다.
⑥셸부 비율의 산출
중합 오르가노실록산량[부]/(중합 오르가노실록산량[부]+콜로이드 실리카 유효량[부])×100으로 구한다.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 에멀젼의 조제)
산성 콜로이드 실리카인 스노텍스 OL-40(닛산가가쿠고교(주)제조, 평균 입자 직경 84㎚, SiO240.8%, Na2O 0.0049%, pH 2.3; 실리카-1로 약기) 500부, 이온 교환수 647.8부, n-도데실벤젠설폰산(닛산가가쿠고교(주)제조, 소프트 직선형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5S) 8.2부의 혼합계에,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204부를 가하고, 호모 믹서에 의해 예비교반을 실시했다. 그 후, 호모지나이저에 300kgf/㎠의 압력으로 2회 통과하여 유화·분산시켰다.
다음에, 콘덴서, 질소 가스 도입구 및 교반기를 구비한 분리형 플라스크(separable flask) 내에, 상기 유화·분산액을 옮기고 교반 혼합하면서 85℃에서 5시간 가열한 후, 5℃에서 48시간 냉각하여 중합을 실시했다. 다음에, 분리형 플라스크내에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가하고,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셸 에멀젼을 pH 7로 중화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에멀젼의 105℃×3시간에서의 비휘발분은 30.5%이고, 또한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의 중합율은 99.3%였다.
또한, 레이저 입자직경 해석 시스템(laser particle diameter analyzing system)에 의해 입자직경 해석을 실시한 바, 소재의 콜로이드 실리카의 것인 평균입자 직경의 84㎚부근에 피크를 갖는 단일 분산의 입자 직경 분포가 완전하게 소실되고, 150㎚부근에 피크를 갖는 단일분산의 입자 직경 분포가 새롭게 출현하고 있었다. 또한, 전자현미경에서 관찰한 바, 실리콘 입자상만이 확인되고, 소재의 콜로이드 실리카 입자상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런 점들로부터,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셸 에멀젼의 비휘발분이,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셸 에멀젼의 일부를 다량의 아세톤 중에 투입하고,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 실리콘 셸체를 석출시켜 여과하여 취한 후, 진공 건조기에서 50℃, 12시간 건조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의 응집물을 얻었다. 상기 응집물을 그래프트 중합체로 간주한 경우, 상기 그래프트율 및 그래프트 효율은 각각 41.7%였다.
(실리콘 에멀젼-1의 조제)
폴리옥시에틸렌(2) 라우릴에테르 황산 나트륨 15부 및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부를, 이온 교환수 468.5부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이것에 25℃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가 85㎟/s의 양말단 수산기 봉쇄 폴리디메틸실록산 500부를 첨가하고, 교반에 의해 예비 혼합한 후, 가압 호모지나이저(압력 500㎏f/㎠)에서 3회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양말단 수산기 봉쇄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는 에멀젼을 얻었다. 상기 에멀젼에 황산 1.5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15℃에서 15시간 반응을 실시했다.
다음에서 10%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pH가 7이 될 때까지 첨가를 실시하고, 중합반응을 정지시켜 실리콘 에멀젼-1을 얻었다. 상기 에멀젼의 평균 입자 직경을 레이저 입자직경 해석 시스템에 의해 구한 바 200㎚였다. 또한, 상기 에멀젼을 다량의 이소프로필 알콜에 투입하여, 폴리머를 석출시키고, 잔존하는 이소프로필알콜과 물을 완전하게 증발시켜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얻었다. 상기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동점도는 25℃에서 1,000,000㎟/s였다.
(실리콘 에멀젼-2의 조제)
25℃의 동점도가 1000㎟/s이고, 아미노 함유량이 0.6밀리 당량/g인 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200부와, 폴리옥시에틸렌(9)라우릴에테르 10부 및 폴리옥시에틸렌(40)옥틸페닐에테르의 70% 수용액 5부를 배합하고, 예비 혼합물을 얻었다. 다음에서 물의 최초의 부분 5.0부를 상기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을 15분간 교반하여 균질이고 양호한 에멀젼을 얻었다.
다음에, 물의 잔부 776.5부를 첨가했다. 또한, 상기 에멀젼에 아세트산 3.5부를 첨가하여 pH를 7.5로 조정하고, 실리콘 에멀젼-2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에멀젼의 평균 입자 직경을 코울터 카운터(Coulter Counter)제조 N4 PLUS 입자직경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바, 20㎚였다.
(실리콘 에멀젼-3의 조제)
25℃의 동점도가 200㎟/s인 폴리디메틸실록산 360부와 25℃의 점도가 20,000,000mPa·s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 240부를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했다. 이것에, 폴리옥시에틸렌(4)라우릴에테르 13.3부, 폴리옥시에틸렌(23)라우릴에테르 10.9부, 및 물 60부를 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잔부의 물 315.8부를 가하고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실리콘 에멀젼-3을 얻었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을 코울터 카운터제조 LS-230으로 측정한 바, 5㎛였다.
(실리콘 에멀젼-4의 조제)
25℃의 동점도가 200㎟/s인 폴리디메틸실록산 327.3부와 25℃의 점도가 20,000,000mPa·s인 폴리오르가노실록산 218.2부, 및 25℃의 동점도가 1000㎟/s이고 아미노 함유량이 0.6밀리 당량/g인 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54.5부를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했다. 이에, 폴리옥시에틸렌(4)라우릴에테르 13.3부, 폴리옥시에틸렌(23)라우릴에테르 10.9부, 및 물 60부를 가하여 충분하게 혼합한 후 잔부의 물 315.8부를 가하고,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실리콘 에멀젼-4을 얻었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을 코울터 카운터제조 LS-230으로 측정한 바, 3.5㎛였다.
실시예 1~5, 비교예 1~3(샴프 조성물)
상기 조제한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 에멀젼(이하, 코어 셸 에멀젼으로 나타낸다.)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실리콘 에멀젼-1, 실리콘 에멀젼-2를 사용한 샴프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내는 조성과 같이 조제했다.
이들 샴프의 조성물을,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방법·평가기준에 따라서 시험평가한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코어 셸 에멀젼 및 실리콘 에멀젼은 이하에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다. 즉, 코어 셸 에멀젼의 D/Q비는 1/1, 실리콘분은 30%, 평균 입자 직경은150㎚이다. 실리콘 에멀젼-1은 양말단 수산기 봉쇄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고, 실리콘분 50%, 기유(base oil)의 동점도 100만㎟/s, 평균 입자 직경 200㎚이다. 또한, 실리콘 에멀젼-2은 말단 트리메틸실릴기 봉쇄아미노 관능성 실리콘(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 아미노 함유량 0.6밀리당량/g, 동점도 1000㎟/s)를 포함하고, 실리콘분 20%, 평균 입자 직경 20㎚이다.
"매끄러움(smoothness)"은 길이 25㎝의 모발 10g을, 표 1과 같이 조정한 샴프 조성물 1g에서 1분간 세정하고, 30초간, 40℃의 온수로 헹군 후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12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고, 하기의 판단기준으로 점수를 매겼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값은 패널리스트 12명의 평균점이다.
5………매우 매끄러움
3………매끄러움
1………보통
"안정성(stability)"은 하기의 판단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50℃, 6주간에서 안정
○………50℃, 4주간에서 안정
×………50℃, 1주간에서 배수분리
실시예 6~10, 비교예 4~6(컨디셔너 조성물)
상기 조제한 코어 셸 에멀젼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실리콘 에멀젼-3, 실리콘 에멀젼-4를 사용한 컨디셔너 조성물을, 표 2에 나타내는 조성과 같이 조제했다.
이들의 컨디셔너 조성물을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방법·평가기준에 따라서 시험평가한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코어 셸 에멀젼은 실시예 1~5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실리콘 에멀젼은 이하에 도시한 특성을 갖는다. 즉, 실리콘 에멀젼-3은 기유 조성이, 폴리디메틸실록산(동점도 200㎟/s)/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2000만 mPa·s)=6/4이고, 기유 동점도가 55만 ㎟/s, 비이온성인 실리콘분 60%, 평균 입자직경 5㎛의 것이고, 실리콘 에멀젼-4는 기유 조성이 폴리디메틸실록산(동점도 200㎟/s)/폴리디메틸실록산(점도 2000만 mPa·s)/아미노 관능성 실록산=6/4/1이고, 기유 동점도가 40만㎟/s, 비이온성인 실리콘분 60%, 평균 입자 직경 3.5㎛인 것이다. 여기에서, 아미노 관능성 실록산은 말단 트리메틸실릴기 봉쇄 아미노 관능성 실리콘(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기 함유 폴리디메틸실록산)이고, 아미노 함유량 0.6밀리 당량/g, 동점도 1000㎟/s이다.
"매끄러움"은 길이 25㎝의 모발 10g을, 표 2와 같이 조제한 컨디셔너 조성물 1g에서 1분간 세정하고, 30초간 40℃의 온수에서 헹군 후,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12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고, 하기의 판단기준으로 점수를 매겼다. 또한, 표 2의 값은 패널리스트 12명의 평균점이다.
5………매우 매끄러움
3………매끄러움
1………보통
"안정성"은 하기의 판단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50℃, 6주간에서 안정
○………50℃, 4주간에서 안정
×………50℃, 1주간에서 배수분리
실시예 11~15, 비교예 7~9(헤어블로우(Hair Blow) 조성물)
상기 조제한 코어 셸 에멀젼 및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실리콘 에멀젼-1, 실리콘 에멀젼-2를 사용한 헤어블로우 조성물을, 표 3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조제했다.
이들의 헤어블로우 조성물을 이하에 나타내는 평가방법·평가기준에 따라서 시험평가한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사용한 코어 셸 에멀젼, 실리콘 에멀젼-1 및 실리콘 에멀젼-2는 모두실시예 1~5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매끄러움"은 길이 25㎝의 모발 10g을 표 2와 같이 조제한 헤어블로우 조성물 1g에서 1분간 세정하고, 30초간 40℃의 온수로 헹군 후, 드라이어로 건조하여 12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고, 하기의 판단기준으로 점수를 매겼다. 또한, 표 3의 값은 패널리스트 12명의 평균점이다.
5………매우 매끄러움
3………매끄러움
1………보통
"세팅 유지력(hair setting retention)"의 평가에서는 길이 25㎝의 모발 10g에, 표 3과 같이 조제한 헤어블로우 조성물 1g을 균일하게 분사 도포한 후, 상기 모발을 외부직경 1.2㎝의 컬러(curler)에 감고, 40℃의 온풍으로 60분간 가하여 건조시켰다. 다음에, 컬러로부터 모발을 떼어내어 온도 30℃, 상대습도 80% 분위기중에 수직으로 늘어뜨린 직후의 길이(L1)과, 1시간 방치한 후의 길이(L2)를 측정하여 컬 리텐션(curl retention)을 다음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컬 리텐션(%)=(25-L2)/(25-L1)×100
세팅 유지력의 평가는 하기의 판단기준으로 점수를 매겼다.
5………컬 리텐션 60% 이상
3………컬 리텐션 30% 이상, 60% 미만
1………컬 리텐션 30%미만
"안정성"은 하기의 판단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50℃, 6주간에서 안정
○………50℃, 4주간에서 안정
×………50℃, 1주간에서 배수분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와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병용함으로써, 모발에 대해서 높은 세팅 유지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보다도, 뛰어난 모발특성(매끄러움, 빗통과성)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6)

  1. (A)(1)콜로이드 실리카의 코어 90~10중량%와,
    (2)평균 조성식(단, 식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동일 또는 이종의 1가의 탄화수소기, a는 1.80~2.20의 수)로 나타나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셸 10~90중량%로 이루어진 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 및
    (B)폴리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고, (A)성분과 (B)성분의 중합비 (A)/(B)가 1/1000~4/1이고, 또한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량이 전체의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가 유화 중합에 의해 얻어진 실리콘 에멀젼이고, 또한 그 평균 입자 직경이 3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콜로이드 실리카 코어-실리콘 셸체가,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의 유화 중합에 의해 얻어진 실리콘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폴리오르가노실록산의 점도가 25℃에서 5~50,000,000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디메틸실리콘 및/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수중 유형(oil-in-water) 또는 유중 수형(water-in-oil) 실리콘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37013534A 2001-04-20 2002-04-19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1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3314 2001-04-20
JP2001123314 2001-04-20
PCT/JP2002/003903 WO2002085316A1 (fr) 2001-04-20 2002-04-19 Composition de preparation cosmetique capill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747A true KR20030090747A (ko) 2003-11-28
KR100771743B1 KR100771743B1 (ko) 2007-10-30

Family

ID=1897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534A KR100771743B1 (ko) 2001-04-20 2002-04-19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40131570A1 (ko)
EP (1) EP1380282B1 (ko)
JP (1) JP4275415B2 (ko)
KR (1) KR100771743B1 (ko)
CN (1) CN1236756C (ko)
DE (1) DE60207699T2 (ko)
HK (1) HK1060509A1 (ko)
WO (1) WO20020853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142A (ko) * 2012-10-11 2015-06-24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수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마이크로에멀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415B2 (ja) * 2001-04-20 2009-06-10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毛髪用化粧料組成物
ATE284942T1 (de) * 2002-09-05 2005-01-15 Procter & Gamble Strukturierte flüssige weichmacherzusammensetzungen
FR2887448B1 (fr) * 2005-06-23 2009-04-17 Rhodia Chimie Sa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polymere ampholyte
US7851581B2 (en) * 2006-08-22 2010-12-14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Film forming composition with spreading properties
US20090232746A1 (en) * 2007-11-30 2009-09-17 Mateu Juan R Silicone polymer-silica system
GB0818864D0 (en) 2008-10-15 2008-11-19 Dow Corning Fabric and fibre conditioning additives
WO2011137563A1 (en) 2010-05-07 2011-11-10 Unilever Plc High solvent content emulsions
US20110088593A1 (en) * 2010-12-23 2011-04-21 Mansour Hemmati Silver dz nano-fluid composition for nano-fin format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201330865A (zh) * 2011-11-04 2013-08-01 Unilever Nv 頭髮護理組成物
JP6510191B2 (ja) * 2014-07-04 2019-05-08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充填材用組成物、充填材および充填材の製造方法
KR20220148575A (ko) 2021-04-29 2022-11-07 (주)아모레퍼시픽 유무기 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2499A (en) * 1986-04-04 1990-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a rigid silicone polymer
JPH01113313A (ja) * 1987-10-26 1989-05-02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992591B2 (ja) * 1989-12-18 1999-12-20 ジーイー東芝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カコア―シリコーンシェル体、これを分散含有するエマルジョンおよび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US5244598A (en) * 1991-09-13 1993-09-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mine functional silicone microemulsions
JP3442814B2 (ja) * 1992-07-17 2003-09-02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US5879671A (en) * 1992-11-06 1999-03-09 Dow Corning Corporation Hair conditioning with blended silicones
GB9507130D0 (en) * 1995-04-06 1995-05-31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
GB2303857B (en) * 1995-07-28 1999-05-26 Gen Electric Cationic surfactant compatible anionic emulsion polymerized silicone emulsions
JPH1036675A (ja) * 1996-07-30 1998-02-10 Toshiba Silicone Co Ltd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リコーン粉体の製造方法
JPH10114622A (ja) * 1996-10-11 1998-05-06 Toshiba Silicone Co Ltd 化粧料組成物
JP4275415B2 (ja) * 2001-04-20 2009-06-10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毛髪用化粧料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142A (ko) * 2012-10-11 2015-06-24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수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마이크로에멀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5316A1 (fr) 2002-10-31
HK1060509A1 (en) 2004-08-13
KR100771743B1 (ko) 2007-10-30
EP1380282A1 (en) 2004-01-14
DE60207699T2 (de) 2006-09-07
CN1236756C (zh) 2006-01-18
DE60207699D1 (de) 2006-01-05
CN1503656A (zh) 2004-06-09
US20080317796A1 (en) 2008-12-25
EP1380282B1 (en) 2005-11-30
JPWO2002085316A1 (ja) 2004-08-05
US20040131570A1 (en) 2004-07-08
EP1380282A4 (en) 2004-07-07
JP4275415B2 (ja)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1477B2 (ja) 水中シリコーン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
JP6258213B2 (ja) アミノ官能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
JP4913972B2 (ja) シリコーンポリマーエマルジョン
US20080317796A1 (en) Hair care cosmetic composition
JP2015500926A (ja) 繊維トリートメントのためのアミノ官能性シリコーンエマルション
JP5079318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US20100310618A1 (en) Cosmetic hair composition
EP1381651B1 (en) Polyorganosiloxane emulsion composition and a cosmetic material made therefrom
JP3335842B2 (ja)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JP5079317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4515071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00053769A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含んでなる化粧料
JP5085457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US8440175B2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JP2000154318A (ja) アミノ官能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の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なる化粧料
JP2003277238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4468130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WO2002072703A1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原料
JP2007016055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00086436A (ja)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2023094660A (ja) 水中油型ジ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の製造方法
JPH0672829A (ja) 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4331598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