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861A - 케이스의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케이스의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861A
KR20030088861A KR10-2003-0025315A KR20030025315A KR20030088861A KR 20030088861 A KR20030088861 A KR 20030088861A KR 20030025315 A KR20030025315 A KR 20030025315A KR 20030088861 A KR20030088861 A KR 2003008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proof structure
contact
cover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1234B1 (ko
Inventor
야마오카마모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8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F27D3/0026Introducing additives into the m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씨일재를 사용하지 않는 기어 박스의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케이스(10)와 커버(12)의 맞대는 접합부를 오목부(14)와 볼록부(16)와의 교합에 의해 형성함과 동시에 상대하는 오목부(14)의 골짜기 면(14c)과 볼록부(16)의 산면(16c)사이에 공간을 배치하여 공기 모이는 곳(20)으로 하고, 오목부(14)의 내측 산면(14b)과 볼록부(16)의 내측 골짜기 면(16b)이 별도로 설치한 체결볼트에 의해 압착되는 접촉부와 협동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외기로부터 차단한다. 볼록부(16)의 외측 골짜기 면(16a)과 오목부(14)의 외측 산면(14a)이 개구하는 도입부(18)에 모세관 현상으로 침입하는 물은 공기 모이는 곳(20)의 내압에 의해 케이스(10)안으로의 침입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케이스의 방수구조{WATERPROOF STRUCTURE OF CASE}
본 발명은 목욕탕, 부엌, 화장실 등에 사용되는 가전기구의 방수기구에 관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방환기선 셔터나 세탁기 배수밸브 등을 구동하는 모터내장 기어박스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스의 방수구조는 도 5(a)(b)(c)와 같이 기어드 모터(100)의 케이스(101)와 커버(102)의 접합부(103)의 방수구조는 한쪽의 부품 예를들어 케이스(101)에는 커버(102)와의 서로맞춘 이음매에 오목부(104)를 형성하고, 상대 부품인 커버(102)의 대응하는 서로 맞춘 이음매에는 볼록부(105)를 형성하여 간극이 없는 감합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그러나 케이스(101)와 커버(102)의 요철감합의 간극에 여유가 있으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접합부에 물이 침입하여 내부에 이른다. 따라서 볼록부(105)를 오목부(104)에 압입하고, 접합부(103)를 압입구조로 하거나(도 5(a)참조), 씨일재(106)를 도포하거나(도 5(b)참조), 패킹(107)을 끼워 장착해(도 5(c)참조), 감합의 간극을 막을 필요가 있다. 압입에 의한 결합은 요철감합부에 엄밀한 공작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원가가 들고 씨일재(106)의 도포나 패킹(107)을 끼워장착해도 원가가 높아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와 커버와의 맞춤 이음매를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방수가능한 케이스의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를 세탁기 배수밸브 개폐기어 박스에 적용한 실시예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는 여러개의 케이스 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케이스의 방수구조로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서로의 대향부는 그 대향부를 따라 케이스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 모세관력에 의한 물의 침입을 허용하는 크기로 케이스 외부로 개구하는 도입부와, 이 도입부에 인접시켜 모세관력이 일어나지 않는 크기의 공간을 배치하고, 상기 도입부에 침입한 물의 상기 케이스내 유입에 대한 저지부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저지부를 배치함으로써 모세관력이 발생하는 크기의 도입부가 케이스 내부에 직접 연통하지 않고 설령 도입부에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이 저지부의 공간에 의해 물이 용이하게 케이스안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도입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입부는 방수기능에 가해져 케이스 부재끼리가 접촉하는 접촉부의 기능도 병용하게 되어 다른 부분에 접촉부를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케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의 내부측에도 상기 케이스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배치하고, 이 접촉부에 모세관력에 의한 물의 침입을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된 간극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촉부가 방지부의 내측에도 형성됨으로써 접촉부의 폭이 넓어져 접촉강도가 높아진다. 이것으로 케이스의 강성도 상승하고, 내부측의 접촉부도 모세관력에 의해 물이 도입되는 크기로 형성된 간극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 간극까지 물이 침입해도 다시 케이스 내부로 침입하는 데는 외압은 이 2중 슬릿에 의한 내압과 모세관력을 극복할 필요가 있어 방수기능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여러개의 케이스 부재에는 기구부재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상기 기구부재를 수납하기 위해 배치한 각 개구부를 폐지(閉止)하는 여러개의 커버로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와 커버의 마주댄 접합부를 오목부와 볼록부와의 교합에 의해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의 홈 바닥에 상기 공간으로서의 공기가 모이는 곳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제 1실시예를 적용한 케이스(10) 및 커버(12)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케이스(10)와 커버(12)를 결합하는 접합면에는 서로의 대향부가 오목부(14)와 볼록부(16)에 형성된다. 케이스(10)의 오목부(14)에 커버(12)의 볼록부(16)를 교합시켰을 때 오목부(14)의 양측 산면(14a)(14b)은 볼록부(16) 양측의 골짜기 면(16a)(16b)과 대향한다.
이 대향하는 내측의 산면(14b)과 골짜기 면(16b)을 접촉하여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의 팽팽하게 조이는 기구에 의해 압착한다. 압착이라 해도 가공정밀도의 한계로부터 마이크로적으로는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정도의 간극이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에 대한 커버(12)의 교합깊이가 안정되게 위치결정되고, 외측에서 대향하는 산면(14a)과 골짜기 면(16b)이 외부를 향해 간극이 설정되며, 오목부(14)와 볼록부(16)가 둘레방향으로 상대하는 벽면 간극에 연통하여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도입부(18)를 형성한다. 방수의 목적으로부터 보면 도입부(18)의 산면(14a)과 골짜기 면(16a)은 서로 접촉시켜도 된다. 최소한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간극을 허용하는 것으로 가공치수 정밀도가 완화된다. 간극은 미소하므로 도시는 과장하고 있다.
한편 오목부(14)에 감입하는 볼록부(16)의 산면(16c)과 오목부(14)의 골짜기 면(14c)사이에는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크기의 공간을 배치하여 공기 모이는 곳(20)으로 한다. 이 공기 모인 곳(20)에 체류하는 공기의 내압이 모세관 현상에 의한 물의 케이스(10) 내부 유입을 저지한다. 일반적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도입부(18)안으로의 침입깊이는 물의 표면장력에 물이 접하는 벽면사이의 친화력, 중력, 기압이 기온을 포함하여 관계한다.
그리고 케이스(10)와 커버(12)와의 접합면은 케이스(10)를 닫은 띠모양의 곡면으로 둘러싸고,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도입부(18)는 케이스(10)의 외주에 연속하여 형성된 공기 모이는 곳(20)에 연통하여 주회한다. 따라서 도입부(18)에 침입한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케이스(10)와 커버(12)의 접합부 전 둘레에 침투한다. 도입부(18)에 침입한 물이 케이스(10)와 커버(12)의 대략 접합부 전 둘레에 침투함으로써 접합부보다 내측이 거의 밀폐상태가 됨과 동시에 물의 침입에 의해 용적이 축소된 공기모이는 곳(20)의 내압에 의해 도입부(18)에 침입한 물은 외기압과 평행하는 위치보다 내부에 침입할 수 없다.
이와같은 공기 모이는 곳(20)의 형성에는 엄밀한 가공치수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방수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대향하는 내측의 산면(14b)과 골짜기 면(16b)이 압착되는 접촉부가 되는 것으로 접합이 안정되고, 이 접촉부에 모세관력에 의한 액체의 침입을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된 간극을 배치하는 것으로 가공치수 정밀도는 더욱 완화된다.
공기 모이는 곳(20)의 내부에 연통하고, 산면(14b)과 골짜기 면(16b)의 간극에 모세관 현상으로 침입한 물이 더욱 케이스(10) 내부에 침입하는 데에는 외부압력이 외측의 도입부(18)의 간극과 공기 모이는 곳(20)보다 내측의 산면(14b)과 골짜기 면(16b)에 의한 간극의 2중 슬릿에 의한 내압과 모세관력을 극복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 때문에 가공 공차를 넓게 사용해도 충분히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로, 케이스(10)의 접합면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오목부(14)가 형성된다. 한편 커버(12-1)의 접합부는 평면(13)이다. 케이스(10)와 커버(12-1)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 등으로 압착결합되고, 오목부(14)의 내측 산면(14b)이 커버(12-1)의 평면(13)에 압착하며, 외측산면(14a)이 커버(12-1)의 평면(13) 사이에 모세관 현상의 도입부(181)가 되는 간극을 설정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오목부(14)가 그 대로 공기 모이는 곳(20-1)이 되고, 물의 침입을 저지한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로, 케이스(10)의 접합면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오목부(14)가 형성된다. 한편 커버(12-2)에는 오목부(15)를 형성하여 볼트(도시생략) 등으로 압착결합하고, 케이스(10)와 커버(12-2)는 오목부(14)의 내측 산면(14b)이 커버(12-2)의 오목부의 내측 산면(15b)에 압착하며, 외측산면(14a)이 커버(12-2)의 오목부 외측산면(15a)과의 사이에 모세관 현상의 도입부(18-2)가 되는 간극을 설정한다. 커버(12-2)에 형성된 오목부(15)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공기모이는 곳(20-1)과 연통하는 제 2공기 모이는 곳(20-2)이 된다.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보다 구조가 단순화 되어 제조는 용이하다. 방수기능에 대해서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를 적용한 세탁기 배수밸브 개폐기어 박스(50)의 실시예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즉 도 4는 배수밸브 감아올리는 기구(52) 및 구동모터(54)를 수납하는 케이스(56)에 접합하여 수밀하게 밀봉하는 커버(58) 및 전원접속단자 커버(60)와 모터커버(62)에 대해 도면 중 원으로 둘러싼 각 접합부(A)(B)(C)(D)(E)(F)에 상기한 제 1실시예에 의한 방수구조의 공기 모이는 곳(R)을 실제로 적용하여 구성한 기어 박스(50)의 도시이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이나 구성 등에 대해 본 발명의 구성 요건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세부에 관한 다양한 변경이나 부품의 재구성 등의 개변을 행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예를들어 커버측의 접합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케이스측의 접합부를 볼록부로 해도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케이스의 방수구조에 의하면 여러개의 케이스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케이스의 방수구조로서, 상기 케이스 부재의 서로의 대향부는 그 대향부를 따라 케이스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에 모세관력에 의한 물의 침입을 허용하는 크기로 케이스외부로 개구하는 도입부와, 이 도입부에 인접시켜 모세관력이 일어나지 않는 크기의 공간을 배치하고, 상기 도입부에 침입한 물의 상기 케이스내 유입에 대한 저지부로 하므로 이 저지부를 배치함으로써 모세관력이 발생하는 크기의 도입부가 케이스 내부에 직접 연통하지 않으며 설령 도입부에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이 저지부의 공간에 의해 물이 용이하게 케이스 안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여러개의 케이스 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내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하는 케이스의 방수구조로서, 상기 케이스부재의 서로의 대향부는 그 대향부를 따라 케이스 외부측에서 내부측으로 모세관력에 의한 액체의 침입을 허용하는 크기로 케이스 외부로 개구하는 도입부와, 이 도입부에 인접시켜 모세관력이 일어나지 않는 크기의 공간을 배치하고, 상기 도입부에 침입한 액체의 상기 케이스내 유입에 대한 저지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의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의 방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의 내부측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배치하고, 이 접촉부에 모세관력에 의한 물의 침입을 허용하는 크기로 형성된 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의 방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개의 케이스 부재에는 기구부재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상기 기구부재를 수납하기 위해 배치한 각 개구부를 폐지(閉止)하는 여러개의 커버로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와 커버의 마주댄 접합부를 오목부와 볼록부와의 교합에 의해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오목부의 홈 바닥에 상기 공간으로서의 공기가 모이는 곳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의 방수구조.
KR1020030025315A 2002-05-13 2003-04-22 케이스의 방수구조 KR100631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6621A JP4140814B2 (ja) 2002-05-13 2002-05-13 ケースの防水構造
JPJP-P-2002-00136621 2002-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861A true KR20030088861A (ko) 2003-11-20
KR100631234B1 KR100631234B1 (ko) 2006-10-02

Family

ID=2969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315A KR100631234B1 (ko) 2002-05-13 2003-04-22 케이스의 방수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40814B2 (ko)
KR (1) KR100631234B1 (ko)
CN (1) CN14607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5631C2 (nl) * 2004-03-03 2005-09-08 Berkin Bv Afdichtingsamenstel.
JP4380549B2 (ja) 2005-01-31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弁
CN101806311B (zh) * 2009-02-18 2014-11-05 株式会社久保田 泵及泵的使用方法
JP2012097896A (ja) * 2010-10-08 2012-05-24 Primearth Ev Energy Co Ltd ガスケットを用いたシール構造体
JP6292109B2 (ja) * 2014-12-03 2018-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収容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駆動装置
JP6536879B6 (ja) * 2015-03-09 2019-07-31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TWI605230B (zh) * 2016-03-30 2017-11-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換氣扇
CN108282562A (zh) * 2018-01-30 2018-07-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电子设备
CN109244279A (zh) * 2018-09-13 2019-01-18 常州微宙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绝缘式高能量密度锂电池壳体
WO2023145086A1 (ja) * 2022-01-31 2023-08-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シール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358A (en) * 1993-01-27 1994-11-22 Grenci Charles A Oil free scroll vacuum pump
JP3745002B2 (ja) * 1996-02-08 2006-02-15 アスモ株式会社 ケースの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60798B (zh) 2010-06-23
JP2003329138A (ja) 2003-11-19
JP4140814B2 (ja) 2008-08-27
CN1460798A (zh) 2003-12-10
KR100631234B1 (ko) 200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234B1 (ko) 케이스의 방수구조
US5586909A (en) Sealing structure for a panel-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42889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aling gasket with hard interior backbone and integral crush limiters
JP6866261B2 (ja) シール構造
JP2001257028A (ja) コネクタ結合構造
JP4737224B2 (ja) シール構造
JP2590184Y2 (ja) モータ減速部の防水構造
JP3643684B2 (ja) ディファレンシャルの接合面シール構造
JP2014173370A (ja) 屋外機器の防水構造
JP4324715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2000223857A (ja) ボックスの防水構造
JP2003031967A (ja) 防水型電子機器のシール構造
JP6754014B2 (ja) 駆動力伝達装置
JP2001189575A (ja) 防水ケースのシール構造
JPH0670292U (ja) 防水ケース構造
JP2571616Y2 (ja) ケースのシール構造
KR101025913B1 (ko) 용마루 부재
JPH0717181Y2 (ja) 電気機器用防雨ケース
KR200264327Y1 (ko) 나사못
JPH0956112A (ja) 電気機器の端子箱
JPS5919165Y2 (ja) ブリ−ザ−装置
JPH0241229Y2 (ko)
JPH0737342Y2 (ja) 防滴構造
JP2008016395A (ja) 防滴構造及び防滴カバー
JPH01197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