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158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158A
KR20030081158A KR10-2003-0022886A KR20030022886A KR20030081158A KR 20030081158 A KR20030081158 A KR 20030081158A KR 20030022886 A KR20030022886 A KR 20030022886A KR 20030081158 A KR20030081158 A KR 20030081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sheet
unit
paper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277B1 (ko
Inventor
나까모리도모히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29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e.g. weight,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촬상소자를 사용하여 종이의 형태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촬상소자의 셔터 시간 주기가 길어지지만 흐릿하지 않고 정확도에 있어 양호한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복수의 급지부를 제공하는 경우에서도, 보다 저렴하게 종이의 형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크와 기록지 트레이의 합류점의 상류부와 기록지를 위한 반송로 위의 등록 롤러 쌍의 상류부에 배치되는 화상 판독 센서는 반송로에 공급되는 기록지가 정지할 때 기록지의 표면위로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기록지의 광선 조사 구역내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따라 화상 형성 조건을 설정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또는 잉크젯 프린터,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촬상소자에 의해서 기록지의 종이 형태를 판별하는 기능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 종이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지의 종이 형태는 널리 두께, 기본 중량, 표면 성질, 재료 등에 있어서 다양하다. 다양한 기록지가 동일한 처리 조건하에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어떤 종류의 기록지 위에서는 양호한 화상이 출력되지만, 다른 종류의 기록지 위에서는 그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세하게는, 기록지의 표면 성질에 따라, 출력 화상이 최적인 처리 조건(예를 들면, 열 정착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자사진기의 정착 온도)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기록지와 거친 표면을 가진 기록지(거친 종이) 사이에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화상이 동일한 처리 조건하에서 다른 기록지에 출력되는 경우 화질에 있어서 큰 차이가 발생한다.
그런 이유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보 평11-271037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기록지의 표면 화상이 CCD와 같은 촬상소자에 의해 판독되고, 기록지의 표면 성질은 픽업된 화상에 근거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검출되고, 처리 조건은 검출된 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된다고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다음의 문제점을 겪고 있다.
즉, 일본 특허 출원 공보 평11-27103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가 반송로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기록지의 표면 화상이 기록지가 반송될 때 판독되기 때문에, 어떠한 흐릿함도 없이 양호한 판독된 화상을 얻기 위해선 촬상소자의 셔터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성능이 우수한 고가의 촬상소자를 사용하고, 셔터 속도가 높여졌으므로 기록지의 표면위로 입사하는 광선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높은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촬상소자가 급지부에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복수개의 급지부를 가지는 촬상소자의 경우 특정한 급지부에 기록지의 종이 형태만이 검출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급지부의 수와 동일한 수의 촬상소자가 배치될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불리한 것이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는 이 경우에 높은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관점에서 이루어 졌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상소자(화상 촬영 기기)를 사용하여 종이의 형태가 판별되고, 촬상소자의 셔터 시간 주기가 길어지더라도 어떠한 흐릿함 없이 종이 표면의 깨끗한 화상을 판독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와 그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상소자를 사용하여 종이의 형태가 판별되고, 복수의 급지부가 제공되더라도 종이의 형태를 보다 저렴하게 판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와 그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상 판독 센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3a, 도3b, 도3c, 도3d, 도3e 및 도3f는 각각 기록지의 표면과 디지털 처리 예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지운송로
3 : LED
4 : CMOS 센서
5 : 렌즈
6 : 렌즈
100 : 화성 형성 장치
101 : 데크 (급지부)
106 : 화상 판독 센서
109 : 중간 전사 벨트
114 : 스캐너 유닛
115 : 스캐너 유닛
116 : 스캐너 유닛
117 : 스캐너 유닛
118 : 제1 전사 롤러
119 : 제1 전사 롤러
120 : 제1 전사 롤러
121 : 제1 전사 롤러
122 : 제2 전사 롤러
124 : 정착 롤러
131 : 비디오 제어기
132 : 감광 드럼
133 : 감광 드럼
134 : 감광 드럼
135 : 감광 드럼
137 : DC 제어기
138 : MPU
141 : 급지 모터
180 : 기록지 트레이 (급지부)
200 : 호스트 컴퓨터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록지를 반송하기에 적합한 반송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위에 화상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화상 형성부와, 기록지의 표면의 화상을 판독하기에 적합한 판독부와,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기에 적합한 판별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판독부는 반송부의 반송로를 따라 배치되고,
판별부는 기록지가 반송로 중간에 정지할 때 시간주기동안 판독부에서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한다.
본 발명은 기록지를 반송하는데 적합한 반송부와, 화상 담지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화상 형성부와, 화상 담지체 위의 화상을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리코딩 종이에 전사하는데 적합한 전사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가 일회 정지한 후에 화상 담지체 위의 화상과 기록지가 서로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방법으로 기록지의 반송을 재시작하는데 적합한 동일속도 제어부와, 기록지의 표면 화상을 판독하는데 적합한 판독부와,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는데 적합한 판별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판독부는 반송부의 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판별부는 동일속도 제어부가 기록지를 정지시키는 시간의 주기동안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구성 그리고 이점은 다음 상세한 개시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개시될 것이다.
(제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이하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은 전자사진 방식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하 "프린터"로 기록된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프린터(100)는 이 예에서 외부장치인 호스트 컴퓨터(200)에 접속된다.
프린터(100)는 그 안에 기록지(P)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급지부인 데크(101)를 포함한다. 프린터 본체는 내부에 데크(101)내부의 기록지(P)의 유/무를 검출하는 데크 종이 유/무 센서(102), 데크(101)로부터 기록지(P)를 인출하는 픽업 롤러(103), 픽업 롤러(103)에 의해 인출된 기록지(P)를 반송하는 데크 급지 롤러(104), 그리고 기록지(P)가 중복적으로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크 급지 롤러(104)와 짝을 이루는 리타드 롤러(105)가 장착되어 있다.
참조 번호 180은 제2 급지부인 기록지 트레이를 지시하고, 트레이 급지 롤러(181)는 트레이(180)위에 기록지(P)를 인출하기 위해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후술할 화상판독 센서(106)가 데크 급지 롤러(104)와 트레이 급지 롤러(181)의 하류부에 배치된다.
참조번호 107은 등록 롤러 쌍을 지시하고, 참조번호 108은 등록전 센서이다.
반송된 기록지(P)는 등록 전 센서(108)에 의해 기록지(P)가 감지되는 즉시 등록 롤러(107) 쌍에 의해서 일회 정지되고, 후술할 제2 전사 시간이 계산된 후, 기록지(P)는 다시 반송된다.
참조 번호 106은 화상 판독 센서를 지시한다. 광선은 기록지(P) 표면위로 입사되고, 기록지(P)의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집광되어 결상되고, 그리고 기록지(P)의 특정한 면적 위의 화상은 화상판독 센서(106)에 의해 판독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판독 센서(106)는 기록지 트레이(180)으로부터 제1 반송로와 데크(101)로부터의 제2 반송로의 교차지점의 하류부와 등록 롤러 쌍 (107)의 상류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화상판독 센서(106)와 등록 롤러 쌍 (107) 사이의 거리는 반송 방향으로 프린터(100)에 의해 처리되는 다양한 기록지의 크기 중에서 가장 짧은 길이보다 더 짧도록 설정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이하 "ITB"로 기록된다)(109)는 등록 롤러 쌍 (107)의 하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110, 111, 112, 및 113) 그리고 4색(옐로우 Y, 마젠타 M, 시안 C, 및 블랙 B)에 대한 스캐너 유닛 (114, 115, 116, 및 117)로 구성된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은 순차적으로 주 전사 롤러 (118, 119, 120, 및 121)(제1 전사)에 의해 ITB(109)위에 겹쳐진다. 결과적으로, 컬러 화상이 ITB(109)위에 형성되고, 컬러 화상은 그후 제2 전사 롤러 (122)(제2 전사)에 의해 기록지(P)로 전사되고 그 후 기록지(P)는 반송된다. 기록지는 등록 롤러쌍 (107)에 의해 일회 정지한 후 반송되는 ITB(109)위의 컬러 화상의 선두 엣지와 반송되는 기록지의 선두 엣지가 제2 전사 롤러 (122, 제2 전사부)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만들어지는 방법으로 다시 반송되기 시작한다.
제2 전사 롤러 (122)의 하류부에는 기록지 위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열정착시키기 위해 내부에 가열용 히터(123)를 가지는 정착 롤러(124), 압력 롤러 쌍(125), 정착 롤러(124)로부터 기록지(P)를 반송하기 위한 정착 배지 롤러 쌍(126), 정착부에서 기록지(P)의 반송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정착 배지 센서(127), 정착부로부터 기록지(P)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 쌍(128), 배지부 안에서 기록지(P)의 반송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배지 센서 (129), 기록지(P)를 배출하는 배지 롤러 쌍(130)이 배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스캐너 유닛(114, 115, 116, 및 117) 각각은 후술할 비디오 제어기(131)으로부터 송출된 각각의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변조된 레이저빔을 발광하는 레이저 유닛, 각각의 레이저 유닛으로부터 각각의 감광 드럼 (132, 133, 134, 및 135)위에 유래한 레이저빔을 스캐닝하기 위한 다각형 거울, 스캐너 모터 그리고 결상 렌즈 그룹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110, 111, 112, 및 113)는 공지된 전자사진 처리에 필요한 감광 드럼 (132, 133, 134, 및 135)과 도시되지 않은 대전 롤러와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프린터(100)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비디오 제어기(131)는 외부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200) 등으로부터송출된 화상 데이터를 수용하자마자 화상 데이터를 비트맵 데이터로 발전시켜서, 그것으로 화상 형성을 위한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참조 번호 137은 프린터(100)의 제어부인 DC 제어기를 지시한다. DC 제어기(137)는 램(138a), 롬(138b), 타이머(138c), 디지털 입/출력 단자(138d) 등이 제공되는 마이크로컴퓨터(MPU)와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입/출력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참조 번호 139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전달계를 통하여 ITB(109) 뿐만 아니라 감광 드럼 (132, 133, 134, 135) 그리고 정착 롤러(124)와 같은 각각의 반송계 롤러를 회전 구동시키고, 클러치(140)를 통하여 등록 롤러 쌍 (107)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 모터를 지시한다. 나아가, 참조 번호 141은 픽업 롤러(103)와 데크 배지 롤러(104)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텝핑 모터를 지시한다.
다음으로, 화상판독 센서 (106)의 구성이 도2를 참조하여 개시될 것이다. 화상판독 센서(106)는 광선 조사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LED(3), 판독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CMOS 센서(4), 결상 렌즈인 렌즈 (5, 6)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광원으로서 LED(3)로부터의 광선은 렌즈(5)를 통해서 기록지 반송 가이드(1) 표면 또는 기록지 반송 가이드(기록지 반송로, 1)위의 기록지(P)의 표면위로 조사된다.
나아가, 기록지(P)로부터의 반사광은 렌즈(6)에 의해서 집광되고 CMOS 센서(4)위에 결상된다. 이 구성으로, 기록지 반송 가이드(1) 또는 기록지(P)의 표면 화상이 판독된다. 본 실시예에서, LED(3)는 LED 광선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두고 사선으로 기록지(P)의 표면에 조사되도록 배열된다.
도3a 내지 도3f는 화상판독 센서(106)의 CMOS 센서(4)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P)의 표면과 CMOS 센서(4)로부터의 출력이 각각 8×8 픽셀로 디지털 처리되는 예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이다. 디지털처리는 CMOS 센서(4)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을 변환 수단으로 작용하는 A/D 컨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8비트의 픽셀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수행된다.
각각, 도3a는 표면이 종이 섬유에 있어서 비교적 거친 이른바 "거친 종이(rough paper)"인 리코딩 종이 A의 표면 위의 확대된 화상을 보여주고, 도3b는 종래에는 사용되는 이른바 "평평한 종이(plain paper)"인 리코딩 종이 B의 표면 위의 확대된 화상을 보여주고, 그리고 도3c는 종이 섬유가 충분히 압축된 광택 종이인 리코딩 종이 C의 표면 위의 확대된 화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나서, CMOS 센서(4)에 의해 판독된 이러한 화상은 도3d, 도3e 그리고 도3f에서 보여지는 화상으로 디지털 처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표면의 화상은 기록지의 종이 형태에 따라 다르게 된다. 이것은 주로 종이 표면의 섬유 상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CMOS 센서(4)에 의해 기록지 표면을 판독하고 기록지 표면을 디지털 처리함으로써 얻은 화상은 기록지의 종이 섬유의 표면 상태에 의해 판별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4에서 보여지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판독 시간 제어 수단으로 작용하는 DC 제어기 (137)안에 배치된 MPU(138)에 의한 제어 동작에 관해 기술될 것이다.
우선, S101단계에서, 화상 형성 동작 개시 여부가 판단되고, 화상 형성 동작이 시작되는 경우, 기록지(P)위에 화상 형성 동작이 시작된 후, 기록지가 반송되고 등록 롤러 쌍 (107)에 도착하고, S102단계에서 등록의 동일속도의 조정을 위해 일시적인 정지 상태(이하 "등록전 대기상태"라고 기록된다)에 있게 될 때까지 대기한다. 기록지(P)가 등록 롤러 쌍 (107)에 도착하는지 여부는 DC 제어기(137) 옆에 있는 등록 전 센서(108)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판별된다. 그리고 나서, 동작이 등록전 대기상태에 있을 때, S103단계에서 LED(3)가 점등되고, S104단계에서 기록지(P)의 화상이 CMOS 센서(4)에 의해 판독된다.
그리고 나서, S105단계에서 LED(3)이 소등된 후, S106단계에서 다시 기록지(P)가 등록전 대기상태에 있는 것이 판단된다. 이것은 화상 판독하는 동안 기록지(P)가 반송 상태에 있어서 화상이 양호하게 판독되지 않는 결과(판독된 화상의 흐릿함 등)를 낳는 경우 다시 판독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S106단계에서 기록지가 등록전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 S107단계에서 후술할 화상 비교 연산이 수행되고, S108단계에서 화상 비교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종이 형태가 판별된다.
그리고 나서, S109단계에서 처리 조건이 판별된 종이 형태에 따라 설정되고, S110단계에서 등록 롤러는 회전하고, 기록지의 반송이 재시작된다. 이후 반송이 재시작되는 기록지위에 제2 전사부(제2 전사 롤러 (122))안의 ITB(109)위의 화상이 전사되고, 화상은 기록지가 배지되기 전에 기록지 위에 정착된다.
종이 형태에 따라 처리 조건을 설정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왔다. 예를 들면, 기록지가 OHT라고 판별된 경우, 정착 온도가 평평한 종이에 비교해서증가할 때, 양호한 정착성을 얻어진다. 또한, 정착 롤러(124)의 온도는 종이 형태가, 예를 들면 도3a 내지 3f에서 보여지는 표면 종이 섬유가 거친 기록지(A)이라면, 정착 온도는 더 높게 설정되고, 종이 형태가 표면 종이 섬유가 부드러운 기록지(C)이라면, 정착 온도는 더 낮게 설정된다.
이제, 화상 비교 연산 방법이 개시될 것이다. 화상 비교 연산에서, 최대 밀도의 픽셀 Dmax와 최소 밀도의 픽셀 Dmin은 기록지 표면의 복수의 부분에서 화상을 판독한 결과로부터 얻어진다. 그리고 나서, 이것은 각각의 판독된 화상들에 대해서 실행되고, 평균처리가 수행된다. 즉, 기록지(A)에서 처럼 표면 종이 섬유가 거친 종이 형태가 사용된 경우, 섬유의 음영은 크게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사이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 Dmax-Dmin은 커지게 된다. 반면에, 기록지(C)의 표면의 경우, 섬유의 음지는 작고, Dmax-Dmin은 작아지게 된다. 이 비교는 기록지의 종이 형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화상 비교 연산은 CMOS 센서(4)로부터 화상의 샘플링 처리와 게인과 필터링 연산 처리를 실시간에 수행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CMOS 센서(4) 또는 CCD 센서와 같은 촬상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종이 형태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LED (3)과 CMOS 센서 (4)가 기록지 반송 가이드(1)위에 배열되고, CMOS 센서(4)에 의한 기록지 표면의 화상판독 동작은 기록지(P)를 정지시킨 순간에 수행되므로, 촬상소자의 셔터 시간주기가 길어지더라도, 흐릿하지 않고 정확도에 있어 양호한 화상을 얻을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급지부를 포함하는 경우, LED (3)과 CMOS 센서(4)는 각각의 급지부로부터 기록지 반송로의 합류점의 하류부에 배치되어, 그로 인하여 종이의 형태를 보다 저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이하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1 내지 4에서 보여지는 제1 실시예의 구성와 동일한 구성은 유사한 참조에 의해 지정되고, 그것들의 기술을 생략될 것이다.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판독 타이밍 제어 수단으로 작용하는 DC 제어기 (137)에서 배치된 MPU (138)에 의한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제1 실시예와의 차이는 화상형성 동작이 개시된 후 등록전 준비에서 기록지(P)가 정지할 때까지 화상 판독 동작이 대기하지 않고, S201단계에서 기록지(P)를 공급하는 급지부가 결정되는 시점에서; S202단계에서 기록지(P)는 공급되고, S203단계에서 기록지(P)는 등록전 준비 위치 에 반송되고, S204단계에서 기록지(P)는 등록전 준비에 놓여지고, 그리고 S103단계의 LED를 점등 동작에서 S108단계의 종이 형태를 판별하는 동작까지를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다는 점에 있다.
상기 제어는 기록지(P)가 등록전 준비에 놓여지게 되는 시간 주기를 더 길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화상판독의 시간에 등록 전에 기록지(P)를 강제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LED (3)와 CMOS 센서(4)는 기록지 반송 가이드(1)위에 배치되고, CMOS 센서(4)에 의해 기록지 표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시간에 기록지(P)의 반송은 정지하고, 그에 의해 상기 언급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는다.
기록지(P)가 상기 처리 후 등록전 준비에 있는 상태로부터 일반적인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그 개시는 생략될 것이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촬상소자를 사용하여 종이 형태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촬상소자의 셔터 시간 주기가 길어지더라도 흐릿하지 않고 정확도에 있어서 양호한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급지부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보다 저렴하게 종이 형태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시는 여러 개의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주어질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과 적용은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종이 형태를 판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촬상소자의 셔터 시간을 길게 해도 흐림함없고 정확도가 양호한 화상을 판독할 수 있다.

Claims (11)

  1. 기록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위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기록지의 표면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와,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를 포함하고,
    판독부는 반송부의 반송로를 따라 배치되고,
    판별부는 기록지가 반송로 중간에 정지하는 시간주기동안 판독부에서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판독부는 기록지위로 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선 발광부와 기록지로부터 반사광을 수용하기 위한 광선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판별부는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표면 부드러움을 계산함으로써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는 중간 전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처리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기록지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와,
    화상 담지체 위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화상 담지체 위의 화상을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와,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가 일회 정지한 후에 화상 담지체 위의 화상과 기록지가 서로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는 방법으로 기록지의 반송을 재시작하기 위한 동일속도 제어부와,
    기록지의 표면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와,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부를 포함하고,
    판독부는 반송부의 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판별부는 동일속도 제어부가 기록지를 정지시키는 시간의 주기동안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판독부는 기록지위로 광선을 조사하기 위한 광선 방사부와 기록지로부터 반사광을 수용하기 위한 광선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판별부는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기록지의 표면 화상에 근거하여 기록지의 표면 부드러움을 계산함으로써 기록지의 형태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화상 담지체는 중간 전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처리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급지부와 제2 급지부를 더 포함하고, 판독부는 제1 급지부로부터의 반송로와 제2 급지부로부터의 반송로의 합류점의 하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22886A 2002-04-12 2003-04-11 화상 형성 장치 KR100559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9923A JP4289827B2 (ja) 2002-04-12 2002-04-12 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109923 2002-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158A true KR20030081158A (ko) 2003-10-17
KR100559277B1 KR100559277B1 (ko) 2006-03-15

Family

ID=2867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886A KR100559277B1 (ko) 2002-04-12 2003-04-11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30573B2 (ko)
EP (2) EP2082887B1 (ko)
JP (1) JP4289827B2 (ko)
KR (1) KR100559277B1 (ko)
CN (1) CN1289984C (ko)
DE (1) DE60328144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13B1 (ko) * 2005-07-29 2007-12-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6713B2 (ja) * 2004-03-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材表面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56227B2 (ja) * 2004-03-30 2011-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695131B2 (en) 2004-10-16 2010-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a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able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US7558492B2 (en) 2005-07-29 2009-07-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4709044B2 (ja) * 2006-03-27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945177B2 (en) * 2006-09-29 2011-05-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settable resolution grades
US7865094B2 (en) * 2007-02-23 2011-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7636526B2 (en) * 2007-03-16 2009-12-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435984B2 (ja) 2008-03-31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1079202A (ja) * 2009-10-06 2011-04-21 Canon Inc 記録媒体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24833A (ja) * 2012-12-26 2014-07-07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画像形成装置
JP6288549B2 (ja) * 2013-10-24 2018-03-07 株式会社リコー 光学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紙の種類を判別する装置及び方法
WO2015102644A1 (en) 2014-01-06 2015-07-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per classification based on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JP6398436B2 (ja) 2014-08-01 2018-10-03 株式会社リコー 媒体判別装置、画像形成装置、媒体判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33742A (ja) * 2017-02-16 2018-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検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073786B2 (ja) * 2018-03-05 2022-05-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ート種類判別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3968B2 (ja) * 1990-07-10 1997-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温度制御装置
JP3610076B2 (ja) * 1991-12-10 2005-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3302100B2 (ja) * 1992-06-10 2002-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KR0150146B1 (ko) * 1995-12-20 1998-12-01 김광호 전자사진 현상방식 프린터의 전사전압 자동조절 제어방법
US6421139B1 (en) * 1997-02-28 2002-07-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image on free-size sheet having arbitrary size
JPH10265088A (ja) 1997-03-26 1998-10-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919291B2 (ja) 1997-05-30 2007-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925889A (en) 1997-10-21 1999-07-20 Hewlett-Packard Company Printer and method with media gloss and color determination
JP3406507B2 (ja) 1998-03-19 2003-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354254A (ja) * 1998-06-10 1999-12-24 Canon Inc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この加熱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323659B2 (ja) * 1999-02-16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291829B1 (en) 1999-03-05 2001-09-18 Hewlett-Packard Company Identification of recording medium in a printer
JP2001213546A (ja) * 2000-02-03 2001-08-07 Canon Inc シート巻付検出装置及び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86676B1 (en) * 2001-01-08 2002-05-14 Hewlett-Packard Company Reflective type media sensing methodology
US6497179B1 (en) * 2001-07-19 2002-12-24 Hewlett 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transparent medi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813B1 (ko) * 2005-07-29 2007-12-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4717B1 (en) 2009-07-01
KR100559277B1 (ko) 2006-03-15
US7130573B2 (en) 2006-10-31
CN1289984C (zh) 2006-12-13
CN1452031A (zh) 2003-10-29
EP2082887B1 (en) 2011-08-24
JP4289827B2 (ja) 2009-07-01
JP2003302885A (ja) 2003-10-24
EP2082887A1 (en) 2009-07-29
EP1354717A2 (en) 2003-10-22
DE60328144D1 (de) 2009-08-13
US20030194252A1 (en) 2003-10-16
EP1354717A3 (en)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277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391735B2 (en) Recording material determin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182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756210B2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2010239236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32848A (ja) 紙表面性検出センサ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7203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08672A (ja) 原稿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原稿読取方法
JPH05145710A (ja) 複写機
JP2006117363A (ja) 画像形成装置
JP486144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85787A (ja) 画像形成装置
JP61975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244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9396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1103013A (ja) 記録材判別装置及び記録材判別方法、記録材判別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JP7006182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方法
JP2004104718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22008360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2009081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5330028A (ja) 画像形成装置
JPH01296274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53457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06952A (ja) 記録媒体識別装置
JP2002368918A (ja) 画像データの転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