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063A -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 Google Patents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063A
KR20030081063A KR10-2003-0021823A KR20030021823A KR20030081063A KR 20030081063 A KR20030081063 A KR 20030081063A KR 20030021823 A KR20030021823 A KR 20030021823A KR 20030081063 A KR20030081063 A KR 2003008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casing
observation optical
observation
rotar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루누마겐
에노모토시게오
가네코아츠미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18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for binocula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elescop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는 촬영 광학계, 관찰 광학계, 그리고 촬영 광학계의 광축 상에 배치된 고체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촬영 광학계는 피사체상을 형성한다. 상기 관찰 광학계는 촬영 광학계용 뷰파인더 광학계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촬상소자는 피사체상을 화상 신호로 광전변환시켜서, 이 화상 신호를 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으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OBSERVATION OPTICAL DEVICE WITH PHOTOGRAPHING FUNCTION}
본 발명은 촬영 광학계가 장착되어 있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쌍안경이나 홑눈경과 같은 관찰광학장치는 스포츠나 야생 조류 등의 관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관찰광학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종종 사용자가 사진촬영하기를 원하는 것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통상적으로, 이 때 사용자는 쌍안경을 카메라로 바꾸어야만 하고 이 시간 동안에 사진촬영할 기회를 놓치기 때문에 원하는 장면을 촬영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는 쌍안경이 제안되어 있으므로, 쌍안경으로 관찰을 계속하면서 쌍안경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즉시 사진촬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6-2330호에는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 즉 쌍안경에 단지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의 쌍안경과 카메라를 조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쌍안경에는, 관찰 대상물을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한 쌍의 관찰 광학계와, 이 관찰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관찰 광학계는 촬영 광학계용 뷰파인더 광학계로서 기능할뿐만 아니라, 관찰 광학계로서의 기능도 한다. 상기한 일본국 공개 공보에는, 그 카메라부가 기록 매체로서 은염 필름을 이용한 것인지 또는 고체 촬상소자를 이용한 것인지에 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4,067,027호 공보에는 다른 타입의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이 개시되어 있으며,이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에는 한 쌍의 관찰 광학계와 촬영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한 쌍의 관찰 광학계는 촬영 광학계용 뷰파인더 광학계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관찰 광학계로서의 기능도 한다. 이 미국 특허공보에 개시된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은 기록 매체로서 은염 필름을 이용하는 카메라를 가지고 있다.
쌍안경 또는 홑눈경과 같은 관찰광학장치에 CCD(charge-coup1ed device)와 같은 고체 촬상소자를 이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를 설계하는 경우,여러가지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이 있다. 우선, 관찰광학장치에 촬영기능이 제공되는 경우, 증가된 무게로 인한 카메라 떨림이 쉽게 발생하고, 그 결과 카메라 떨림으로 인한 촬영 화상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설계가 요구된다. 다음으로,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의 간편한 휴대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관찰광학장치의 전체 구조가 컴팩트하고 또한 경량일 것이 요구되고,그리고 경제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관찰광학장치의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을 가능한 한 줄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 아래의 설명을 통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의 한 실시예로서, 가동 케이싱 부분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가동 케이싱 부분이 최대 인출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1과 유사한 수평 단면도;
도 4는 가동 케이싱 부분이 최대 인출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2와 유사한 수평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학장치의 케이싱에 설치된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있는 우측 장착 플레이트 및 좌측 장착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가 도 5의 VII-V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6의 VII-VII 선에 따라서 본 입면도;
도 8은 도 1의 VIII-VIII 선에 따른 종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의 제어회로기판에 장착된 제어회로의 블록선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로서, 카메라 떨림에 의한 촬영 화상의 열화가 일어나기 어렵고,게다가 전체 구조가 컴팩트하고 또한 경량일 뿐만 아니라 그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이 가능한 한 한 절감될 수 있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는 촬영 광학계, 망원 관찰 광학계 및 고체 촬상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촬영 광학계는 피사체상을 형성한다.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는 촬영 광학계용 뷰파인더 광학계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촬상소자는 피사체상을 화상 신호로 광전변환시켜서, 이 화상 신호를 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망원 관찰 광학계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제 1 부분과, 이 제 1의 부분에 대하여 망원 관찰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 2의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는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촬영 광학계에 장착되어 있는 로터리 휠 실린더는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휠 실린더와 망원 관찰 광학계의 제 2 부분의 사이에는, 망원 관찰 광학계를 초점맞추기 위해 로터리 휠 실린더의 회전 운동을 망원 관찰 광학계의 제 2의 부분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초점맞춤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리 휠 실린더와 촬영 광학계와의 사이에는, 촬영 광학계를 고체 촬상소자 상에 초점맞추기 위해 로터리 휠 실린더의 회전 운동을 촬영 광학계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 2 초점맞춤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망원 관찰 광학계는 한 쌍의 관찰 광학계로 구성될 수 있다. 로터리 휠 실린더는 이 한 쌍의 관찰 광학계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관찰광학장치는 한 쌍의 관찰 광학계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 케이싱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 1 케이싱 부분 및 제 2 케이싱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관찰 광학계 중의 하나는 제 1 케이싱 부분에 수용된다. 상기 한 쌍의 관찰 광학계 중의 다른 하나는 제 2 케이싱 부분에 수용된다.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하나는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안폭(interpupillary distance)이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하나는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다른 하나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한 쌍의 관찰 광학계의 광축이 그 안폭을 조정하기 위해 동일한 평면내로 이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하여 아래에서 기술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이 관찰광학장치는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에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몇 가지 구성 요소는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과 가동 케이싱 부분(10B)으로 구성된 케이싱(10)을 가지고 있다.
케이싱(10) 안에는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및 12L)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및 12L)는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고,우측 관찰 광학계와 좌측 관찰 광학계용으로 사용된다. 우측 관찰 광학계(12R)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장착되고,이 우측 관찰 광학계(12R)는 대물 렌즈계(13R),정립 프리즘계(14R) 및 접안 렌즈계(15R)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본체 부분(10A)의 전방벽에는 관찰창(16R)이 형성되어,대물 렌즈계(13R)와 정렬되어 있다. 좌측 관찰 광학계(12L)는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장착되고,이 좌측 관찰 광학계(12L)는 대물 렌즈계(13L),정립 프리즘계(14L) 및 접안 렌즈계(15L)가 포함하고 있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전방벽에는 관찰창(16L)이 형성되어 있고,이 관찰창(16L)은 대물 렌즈계(13L)와 정렬되어 있다.
아래의 기재에서는, 설명의 편의상,전방과 및 후방이란 용어는 각각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12L)에 대하여 대물 렌즈계쪽과 접안 렌즈계쪽으로 정의되고, 우측과 좌측이란 용어는 접안 렌즈계(15R, 15L)를 향하는 경우의 오른쪽 방향측 및 왼쪽 방향측으로 정의된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싱 본체 부분(10A)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즉, 가동 케이싱 부분(10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납 위치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인출된 최대 인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과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미끄럼이동 표면 상에는 적절한 마찰력이 작용하고,이로 인해 케이싱 본체부분(10A)에 대하여 가동케이싱 부분(10B)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일정한 인출력 또는 압입력이 작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가동 케이싱 부분(10B)과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미끄럼이동 표면 상에서 작용하는 적절한 마찰력으로 인해, 가동 케이싱부분(10B)은 완전히 수납된 위치(도 1 및 도 2)와 최대 인출 위치(도 3 및 도 4)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되거나 멈추어 있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도 3 및 도 4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것처럼,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으로부터 인출된 때,좌측 관찰 광학계(12L)는 가동 케이싱 부분(10B)과 동시에 이동되는 반면에, 우측 관찰 광학계(12R)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을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하여 임의의 인출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것에 의하여,접안 렌즈계(15R, 15L)의 광축 사이의 거리, 즉 안폭이 조정된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하여 수납 위치에 놓여진 때,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12L) 사이의 거리는 최소로 되고(도 1 및 도 2),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하여 최대 인출 위치에 놓여진 때,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12L) 사이의 거리는 최대로 된다(도 3 및 도 4).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대물 렌즈계(13R)는 렌즈경통(17R) 안에 수용되고, 이 렌즈경통(17R)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하여 고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정립 프리즘계(14R) 및 접안 렌즈계(15R)는 대물 렌즈계(13R)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그 결과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초점이 맞추어 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대물 렌즈계(13L)는 렌즈경통(17L) 안에 수용되고,이 렌즈경통(17L)은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대하여 고정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정립 프리즘계(14L) 및 접안 렌즈계(15L)는 대물 렌즈계(13L)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그 결과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초점이 맞추어 질 수 있다.
렌즈경통(17R)은 대물 렌즈계(13R)를 수용하는 원통부(18R)와, 이 원통부(18R)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설치대(19R)를 가지고 있다. 설치대(19R)는 원통부(18R)로부터 케이싱(10)의 중앙을 향하여 뻗어 있는 안쪽 설치부(19R')와,원통부(18R)로부터 케이싱(10)의 바깥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바깥쪽 설치부(19R")를 가지고 있다. 안쪽 설치부(19R')는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진 측방 블록부이고,바깥쪽 설치부(19R")는 평탄한 부분이다.
마찬가지로,렌즈경통(17L)은 대물 렌즈계(13L)를 수용하는 원통부(18L)와, 이 원통부(18L)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설치대(19L)를 가지고 있다. 이 설치대(19L)도 원통부(18L)로부터 케이싱(10)의 중앙을 향하여 뻗어 있는 안쪽 설치부(19L')와,원통부(18L)로부터 케이싱(10)의 바깥쪽을 향하여 뻗어 있는 바깥쪽 설치부(19L")를 가지고 있다. 안쪽 설치부(19L')는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진 측방 블록부이고, 바깥쪽 설치부(19L")는 평탄한 부분이다.
상술한 안폭 조정 및 초점맞춤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케이싱(10)의 바닥부에는 도 5에 도시된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3에서는, 도면을 단순화 하기 위해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20)는 생략되어 있다.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20)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고정된 직사각형 플레이트(20A)와, 이 직사각형 플레이트(20A) 상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고정된 슬라이드 플레이트(20B)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사각형 플레이트(20A)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20B)는 적당한 금속재료,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량 금속재료로 만들어 진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B)는 직사각형 플레이트(20A)의 폭과 대략 같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모양부(22)와, 이 직사각형 모양부(22)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일체로 연결된 연장부(24)로 이루어 진다. 렌즈경통(17R)의 설치대(19R)는 직사각형 플레이트(20A)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렌즈경통(17L)의 설치대(19L)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B)의 직사각형 모양부(22)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도 5에서는, 렌즈경통(17R)의 설치대(19R)의 고정 위치는 이점쇄선(25R)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표시되고,렌즈경통(17L)의 설치대(19L)의 고정 위치는 이점쇄선(25L)으로 둘러싸인 영역으로 표시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0B)의 직사각형 모양부(22)에는 한 쌍의 안내 슬롯(26)이 형성되어 있고,그 연장부(24)에는 다른 안내 슬롯(27)이 형성되어 있다. 직사각형 플레이트(20A)에는, 안내 슬롯(26)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린 한 쌍의 안내 핀(26')과, 안내 슬롯(27)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린 안내 핀(27')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 슬롯(26,27)은 서로 평행하고, 좌우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안내 슬롯(26,27)의 각각의 길이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이동가능한 거리,즉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수납위치(도 1 및 도 2)와 가동케이싱 부분(10B)의 최대 인출 위치(도 3 및 도 4)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도 2 및 도 4로부터 명확한 것처럼,광학계 장착 플레이트(20)는 케이싱(10)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간을 형성하도록 케이싱(10)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직사각형 플레이트(20A)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고정되고,슬라이드 플레이트(20B)는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고정된다. 가동 케이싱부분(10B)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0B)를 고정시키기 위해,직사각형 모양부(22)의 왼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뻗어 있는 플랜지(28)가 가동 케이싱부분(10B)에 형성된 칸막이벽(29)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 및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를 도시하고 있다.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는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정립 프리즘계(14R)를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는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정립 프리즘계(14L)을 장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 및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직립 플레이트(32R 및 32L)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우측 접안 렌즈계(15R)는 우측 직립 플레이트(32R)에 부착되어 있고,좌측 접안 렌즈계(15L)는 좌측 직립 플레이트(32L)에 부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의 저면에는 그 우측 가장자리의 근처에 안내 슈(34R)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 슈(34R)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플레이트(20A)의 우측 가장자리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홈(36R)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의 저면에는 그 좌측 가장자리의 근처에 안내 슈(34L)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 슈(34L)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0B)의 좌측 가장자리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홈(36L)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서 본 단면도이기 때문에, 도 7에는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20)는 도시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의 편의상,도 7에는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20)가 도 5의 VII-VII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고,또 안내 슈(34R, 34L)도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측벽(38R)이 설치되어 있고,이 측벽(38R)의 하부는 비대부(40R)로서 형성되고,이 비대부(40R)는 안내 로드(42R)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관통보어를 가지고 있다. 안내 로드(42R)의 전방 단부는 설치대(19R)의 안쪽 설치 부(19R')에 형성된 구멍(43R)에 삽입되어 고정유지되어 있다. 안내 로드(42R)의 후방 단부는 직사각형 플레이트(20A)의 후방 가장자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직립 지지편(44R)에 형성된 구멍(45R)에 삽입되어 고정유지되어 있다(도 5 참고). 도 5에서는, 직립 지지편(44R)은 구멍(45R)이 보이도록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도 1 및 도 3에서는, 직립 지지편(44R)의 구멍(45R)에 안내 로드(42R)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측벽(38L)이 설치되어 있고,이 측벽(38L)의 하부는 비대부(40L)로서 형성되고,이비대부(40L)는 안내 로드(42L)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관통보어를 가지고 있다. 안내 로드(42L)의 전방 단부는 설치대(19L)의 안쪽 설치부(19L')에 형성된 구멍(431)에 삽입되어 고정유지되어 있다. 안내로드(42L)의 후방 단부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B)의 후방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 직립 지지편(44L)에 형성된 구멍(45L)에 삽입되어 고정유지되어 있다. 직립 지지편(44R)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는, 직립 지지편(44L)은 구멍(45L)이 보이도록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또 도 1 및 도 3에서는,직립 지지편(44L)의 구멍(45L)에 안내 로드(42L)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대물 렌즈계(13R)는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의 전방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가 안내 로드(42R)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되는 경우,대물 렌즈계(13R)와 정립 프리즘계(14R)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고,이로 인해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초점맞춤 작동이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대물 렌즈계(13L)는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의 전방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를 안내 로드(42L)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대물 렌즈계(13L)와 정립 프리즘계(14L)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고,이로 인해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초점맞춤 작동이 수행된다.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와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 및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를 각각의 안내 로드(42R 및 42L)를 따라서 동기하여 이동시키기 위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우측 장착 플레이트(30R)와 좌측 장착 플레이트(30L)는 신축가능한 연결수단(4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하면, 신축가능한 연결수단(46)은 직사각형 모양의 로드 부재(46A)와, 이 로드 부재(46A)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포크형 부재(46B)를 포함하고 있다. 이 로드 부재(46A)는 측벽(38R)의 비대부(40R)의 전방 단부 하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포크형 부재(46B)는 측벽(38L)의 비대부(40L)의 전방 단부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로드 부재(46A) 및 포크형 부재(46B)는 가동 케이싱부분(10B)의 수납 위치(도 1 및 도 2)와 최대 인출 위치(도 3 및 도 4) 사이에서의 가동 케이싱부분(10B)의 이동 거리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수납 위치로부터 최대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어도,로드 부재(46A)와 포크형 부재(46B) 사이의 미끄럼이동식 맞물림은 유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VIII-VIII 선을 따라서 절단된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도 4 및 도 8로부터 명확한 것처럼,케이싱(10) 안에는 내부 프레임(48)이 수납되어 있고,이 내부 프레임(48)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과 직사각형 플레이트(20A)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내부 프레임(48)은 중심부(48C), 이 중심부(48C)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한 우측 날개형상부분(48R), 이 우측 날개형상부분(48R)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뻗어 있는 수직벽 부분(48S), 그리고 중심 부(48C)로부터 왼쪽으로 돌출한 좌측 날개형상부분(48L)을 가지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48C)의 전방 단부에는 보어(50)가 형성되어 있고,이 보어(50)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전방 벽부에 형성된 원형창(51)과 정렬되어 있다. 중심부(48C)에는 후방측에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고,이 오목부(52)의 바닥부에는 직사각형 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최상부벽에는 오목부(52)를 노출하도록 만들어 진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이 개구는 개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개폐판(55)에 의해 폐쇄된다.
개폐판(55)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목부(52) 안에는 관형상의 조립체(56)가 조립된다. 이 관형상의 조립체(56)는 로터리 휠 실린더(57)와 이 로터리 휠 실린더(57) 안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렌즈경통(58)을 가지고 있다. 로터리 휠 실린더(57)는 오목부(52)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렌즈경통(58)은 중심 축선에 대하여 비회전 상태로 유지되지만, 그 중심 축선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관형상의 조립체(56)의 조립후,개폐판(55)은 오목부(52)를 폐쇄하도록 고정된다. 로터리 휠 실린더(57)에는 로터리 휠(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로터리 휠(60)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이 로터리 휠(60)은 개폐판(55)에 형성된 개구(62)를 통하여 케이싱 본체 부분(10)의 최상부벽에서 외부에 노출된다.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바깥 표면에는 헬리코이드 나사(64)가 형성되어 있고,이 헬리코이드 나사(64)에는 환형 부재(66)가 나사식으로 끼워맞춤된다. 즉, 환형 부재(66)의 안쪽 벽면에는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헬리코이드 나사(64)와 맞물린 복수의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형 부재(66)의 외주면에는 평탄한 표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한 표면은 개폐판(55)의 안쪽 벽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즉, 로터리 휠 실린더(57)가 회전되는 때,환형부재(66)는 평탄한 표면과 개폐판(55)의 안쪽 벽면과의 맞물림으로 인해 회전하지 않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로터리 휠 실린더(57)가 회전되면, 환형 부재(66)는 헬리코이드 나사(64)와의 나사식 맞물림으로 인해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중심 축선을 따라서 이동되고,그 이동 방향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회전 방향에 의하여 정해진다.
환형 부재(66)로부터는 설상편(tongue)(67)이 돌출되어 있고,이 설상편(67)은 환형 부재(66)의 평탄한 표면의 대향측에 위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설상편(67)이 중심부(48C)의 직사각형 개구(54)로부터 돌출되어, 로드 부재(46A)에 형성된 구멍(47)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로터리 휠(60)의 노출부에 접촉하여 로터리 휠 실린더(57)을 회전시키면, 환형 부재(6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중심 축선을 따라서 이동되고,그 결과 장착 플레이트(30R 및 30L)가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의 광축을 따라서 이동된다. 따라서,로터리 휠(60)의 회전 운동이 정립 프리즘계(14R,14L)와 접안 렌즈계(15R,15L)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고,이것에 의해 관찰 광학계(12R,12L)의 초점이 맞추어 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정립 프리즘계(14R,14L)와 접안 렌즈계(15R,15L)의 각각으로부터 대물 렌즈계(13R,13L)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때,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는 쌍안경의 전방 40미터와 무한원 사이의 거리에 위치된 관찰 대상물에 초점을 맞추고, 쌍안경의 전방 2미터와 40미터 사이의 관찰 대상물을 관찰하는 때,관찰 대상물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정립 프리즘계와 접안 렌즈계를 대물 렌즈계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가 설계되어 있다. 즉, 정립 프리즘계가 대물 렌즈계로부터 최대 거리만큼 이격되는 경우, 한 쌍의 관찰 광학계는 쌍안경의 전방 약 2미터의 거리에 있는 관찰 대상물에 초점을 맞춘다.
로터리 휠 실린더(57) 안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렌즈경통(58) 안에는 촬영 광학계(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촬영 광학계(68)는 제 1 렌즈군(68A)과 제 2 렌즈군(68B)을 가지고 있다.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후방 단부벽의 안쪽 벽면에는 회로 기판(70)이 부착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70) 위에는 CCD(72)와 같은, 고체 촬상소자가 장착되어 있고,이 CCD(72)의 수광면은 촬영 광학계(68)와 정렬되어 있다. 내부 프레임(48)의 중심부(48C)의 후방 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는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을 따라서 정렬되어 있다. 이 개구에는 광학적 로우 패스 필터(74)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촬영 기능을 가진 쌍안경은 디지털 카메라와 동일한 촬영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촬영 광학계(68)에 의하여 촬영된 피사체상은 CCD(72)의 수광면에 광학적 피사체상으로서 결상되고,이 광학적 피사체상은 1 프레임 분의 화상 신호로 광전변환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은 참조 부호 0S로 표시되고, 또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12L)의 광축은 참조 부호 0R 및 0L로 표시된다. 광축(0R, 0L)은 서로 평행이고,촬영 광학계(68)의 광축(0S)에도 평행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0R, 0L)은 촬영 광학계(68)의 광축(0S)에 평행한 평면(P)을 형성한다.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및 12L)는 이 평면(P)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축(0R, 0L)간 거리, 즉 안폭이 조정될 수 있다.
촬영 광학계(68)가 쌍안경 전방의 소정의 거리 위치된 가까운 피사체와 무한원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팬-포커스(pan-focus)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촬영 광학계(68)가 설계되고, 촬영 작동이 단지 팬-포커스 촬영으로만 수행되는 경우, 초점맞춤 기구는 렌즈경통(58)에 장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안쪽 벽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렌즈경통(58)의 바깥쪽 벽면에는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암나사와 맞물린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경통(58)의 전방 단부는 보어(50) 안에 삽입되고,이 전방 단부의 바닥부에는 키홈(76)이 형성되어 있고,이 키홈(76)은 렌즈경통(58)의 전방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뻗어 있다. 내부 프레임(48)의 전방 단부의 바닥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이 구멍에는 키홈(76)과 맞물리게 된 핀 요소(78)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키홈(76)과 핀 요소(78)의 맞물림에 의하여,렌즈경통(58)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러므로, 로터리 휠 실린더(57)가 로터리 휠(60)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되면, 렌즈경통(58)은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을 따라서 이동된다. 따라서,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안쪽 벽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렌즈경통(58)의 바깥쪽 벽면에 형성된 수나사는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회전 운동을 렌즈경통(58)의 직선 운동 즉 초점맞춤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기구을 형성한다.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바깥쪽 벽면에 형성된 헬리코이드 나사(64)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안쪽 벽면에 형성된 암나사는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고,이 때문에 로터리 휠 실린더(57)가 정립 프리즘계(14R,14L)와 접안 렌즈계(15R,15L)를 각각 대물 렌즈계(13R,13L)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회전되는 때,렌즈경통(58)은 CCD(72)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된다. 이 때문에,가까운 피사체의 상은 CCD(72)의 수광면에 초점이 맞추어 질 수 있다. 헬리코이드 나사(64)의 피치와 안쪽 벽면의 암나사의 피치는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의 광학적 특성 및 촬영 광학계(68)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우측 단부에는 전원회로기판(8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바닥부와 광학계 장착 플레이트(20)의 사이에는 제어회로기판(82)이 설치되어,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어회로기판(82)에는 CPU,DSP,메모리,캐패시터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이 장착되어 있고,회로기판(70) 및 전원회로기판(80)은 평탄한 가요성 배선 코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제어회로기판(82)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최상부벽의 상부 표면에는 LCD모니터(84)가 배치되어 있다. LCD모니터(84)는 평탄한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있다. LCD모니터(84)는 대향측에 위치되어 있는 전방측 및 후방측이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또 LCD모니터(84)는 전방측을 따라서 제공된회전축(8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LCD모니터(84)는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접혀있거나 닫혀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LCD모니터(84)의 표시화면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상부 표면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화면은 볼 수가 없다. 반대로, CCD(72)를 이용하여 촬영 작동이 수행되는 때,LCD모니터(84)는 접혀진 위치에서 도 8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표시 위치까지 회전하여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LCD모니터(84)의 표시화면이 접안 렌즈계(15R, 15L)의 옆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배터리(92)를 수납하는 배터리 충전실(88)을 형성하도록,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좌측 단부는 칸막이벽(29)에 의하여 분할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실(88)의 바닥벽에는 뚜껑(90)이 설치되어 있다. 뚜껑(90)을 여는 것에 의하여, 배터리(92)를 배터리 충전실(88)에 장착하거나 배터리 충전실(88)에서 배터리(92)를 제거할 수 있다. 뚜껑(90)은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일부를 이루고,적절한 맞물림 기구에 의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전원회로기판(80)의 중량은 비교적 크고,유사하게, 배터리(92)의 중량도 비교적 크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중량이 큰 2 개의 요소가 케이싱(10)의 양단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의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개선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전극판(94, 96)이 배터리 충전실(88)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92)는 배터리 충전실(88)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전극판(94, 96)과 접속하기 위해서 배터리 충전실(88)에서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전극판(94)은 케이싱(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극판(96)은 배터리(92)로부터 전원회로기판(80)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전원회로기판(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원회로기판(80)은 회로기판(70)에 장착된 CCD(72),제어회로기판(82)에 장착된 마이크로 컴퓨터나 메모리 등의 전자 부품 및 LCD모니터(84)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회로 기판(82)에는 외부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비디오 출력 단자(102)를 설치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비디오 출력 단자(102)에 외부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전방 벽부에는 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바닥부에는 제어 회로 기판(84)의 아래에 CF-카드 드라이버(106)가 설치될 수 있고,이 CF-카드 드라이버(106)에는 CF-카드가 메모리 카드로서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바닥부에는 나사구멍 형성부(10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 형성부(108)는 원형 부분을 가진 두꺼운 부분으로 형성되고,그 두꺼운 부분에는 바닥부의 바깥쪽 표면으로 개방된 나사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 형성부(108)의 나사 구멍(110)이 삼각 받침대에 부착된 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도 9는 제어 회로 기판(82) 위에 장착된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선도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DSP)(112)는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고 있고, 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이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도 9에서는, 촬영 렌즈계(68)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촬영 렌즈계(68)를 수용하는 렌즈경통(58)은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다. CCD(72),LCD모니터(84) 및 CF-카드 드라이버(106)도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고,비디오 출력 단자(102)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CCD(PS-CCD)(72)가 1 프레임 분의 화상 신호를 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으로 출력하는 방식의 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 CCD이다. 다시 말해서,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예를 들면, 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이외의 화상 읽기 방식을 채용하는 CCD는 사용되지 않는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을 채용한 CCD와 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을 채용한 CCD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CCD(72)의 수광면에는 다수의 포토다이오드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포토다이오드의 각 수직 라인에 인접하여 수직 전송로가 설치되어 있다. 모든 수직 전송로의 단부에는 수평 전송로가 접속되어 있다. CCD(72)의 수광면에 광학적 피사체상이 결상되면, 각각의 포토다이오드에는 전하가 축적된다. 축적된 전하의 량은 수광 광량에 따라 좌우되고, 축적된 전하는 1화소 신호에 대응한다.
프로그레시브 스캔 방식에서는, 모든 축적된 전하가 동시에 대응하는 수직 전송로에 시프트되고,그 다음에 수직 전송로를 따라서 한 번에 1 수평라인씩 수평 전송로에 전송되고,그 결과 수평 전송로로부터 1 수평라인 분의 화상 신호가 출력된다. 반대로,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홀수번째의 라인의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축적된 전하가 대응하는 수직 전송로로 시프트되고,그 다음에 수직 전송로를 따라서 한 번에 1 수평라인씩 수평 전송로에 전송되고,그 결과 수평 전송로로부터 1 수평라인 분의 화상 신호가 출력된다. 홀수번째 라인의 포토다이오드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읽기가 완료되면, 짝수번째 라인의 포토다이오드에 발생된 전하의 읽기가 유사하게 행해진다.
따라서,프로그레시브 스캔 방식에서는, 1 프레임 분의 화상 신호가 동시에 수직 전송로에 시프트되기 때문에, 1 프레임 분의 화상 신호는 피사체의 이동 또는 시간 변화에 대하여 일정한 화상 정보를 가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에서는, 수직 전송로로의 짝수 필드의 화상 신호의 시프트가 수직 전송로로의 홀수 필드의 화상 신호의 시프트에 대하여 소정 주기의 시간만큼 지연된다. 따라서, 지연된 시간분만큼 짝수 필드의 화상 신호에 대한 노광 시간(전하 축적시간)이 길어진다. 결과적으로,홀수 필드의 화상 신호가 갖는 화상 정보와 짝수 필드의 화상 신호가 갖는 화상 정보 사이에 시간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 화상 떨림, 즉 홀수와 짝수 필드의 화상 신호에 기초한 재생 화상의 화질 열화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질 열화는 피사체의 움직임이 빠르면 빠를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만약 인터레이스 스캔 방식을 채용한 CCD를 사용하고,홀수 필드의 화상 신호에 대한 화상 정보와 짝수 필드의 화상 신호에 대한 화상 정보 사이의 시간적인 차이가 제거되게 되면,CCD에 기계적인 셔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즉, CCD에 대한 노광 시간(전하 축적 시간)이 기계적 셔터에 의하여 제어되고,CCD로부터 양측 필드의 화상 신호의 읽기 도중에 기계적 셔터가 폐쇄되고, 그 결과 상기의 시간적인 차이가 제거된다.
그러나,이러한 기계적 셔터를 CCD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기계적 셔터가 고정밀도로 고속으로 제어되게 되면, 기계적 셔터의 비용이 고가로 되고,게다가 그 구조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 속으로 수용되었을 때 한 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의 광축간 거리가 50mm 정도로 되는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에 상기의 기계적 셔터를 조립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상기한 바와 같이,본 실시예에 있어서는,프로그레시브 스캔 방식을 채용하는 CCD(72)가 사용되기 때문에, CCD(72)에 기계적 셔터를 조립할 필요가 없고,그 결과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프로그레시브 스캔 방식을 채용하는 CCD(72)에 대해서는, 노광 시간(전하 축적 시간)이 전자적으로 제어되고,이러한 것을 전자 셔터라 한다. 이러한 전자 셔터에 의하면,기계적 셔터로는 실현이 어려운 1/2000 내지 1/10000 초의 고속 셔터작동이 고정밀도로 실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촬영 렌즈계(68)의 조리개 값이 작은 값(즉, 보다 밝게)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화상 신호의 게인(은염 카메라에서는 필름의 IS0 감도에 상당함)이 상승되어서,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의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떨림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모드 선택 스위치(MSW)(114),릴리스 스위치(SWR) 및 화상 선택 스위치(PSW)(118)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2)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이 전원 스위치를 ON상태로 함으로써,스위치(114,116 및 118)가 작동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114)는 여러가지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모드 선택 스위치(114)에 의하여 기록 모드가 선택되면, CCD(72)가 동작되고, CCD(72)로부터 화상 신호의 출력이 개시된다. 즉, DSP(112)에 설치된 CCD 구동회로에 의해 출력된 구동 펄스에 따라 CCD(72)로부터 화상 신호의 읽기가 행해진다.
CCD(72)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상관 이중 표본 추출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circuit;CDS)(120)에 의하여 샘플로 유지되고,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2)에 의하여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 화상 신호는 DSP(112)에 입력되어서, 감마 보정이나 블랙-레벨 보정 등의 화상 처리를 받는다. 이 디지털 화상 신호는 대용량의 기록 및 읽기가능한 외부 메모리, 예를 들면 다이내믹 RAM(DRAM)(124)에 저장된다. DSP(112)는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DRAM(124)에 기록될 때마다 이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의 밝기에 근거하여 다음 번의 CCD(72)에 대한 노광 시간(전하 축적 시간)을 산출한다. 즉, CCD(72)로부터의 1 프레임 분의 화상 신호에 대한 읽기의 주기는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서 변동된다. 따라서, CCD(72)는 고품질의 화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언제나 적절하게 노광된다. DRAM(124)에 저장된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그 다음 프로세스에서 얻어지는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에 의하여 겹쳐 기록된다.
한편,DSP(112)는 DRAM(124)으로부터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면, NTSC 칼라 시스템에서는 1초에 30회)으로 읽고,이 디지털 화상는 축소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해 세선화 처리를 받게 된다. DSP(112)에서는, 이 축소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LCD모니터(84)에 표시될 화상의 비디오 신호가 만들어 진다. 이 비디오 신호는 LCD 드라이버(126)에 출력되어서, LCD모니터(84)에 의해 피사체상이 재생되어 표시된다. 또한,DSP(112)에서는,상기의 축소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가 만들어 져서,증폭기(128) 및 비디오 출력 단자(102)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된다. 즉, 촬영 광학계(68)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상은 필요에 따라서 TV 모니터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모드 선택 스위치(114)에 의하여 기록 모드가 선택되면, 피사체상이 LCD모니터(84)에 움직이는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기록 모드의 선택 중, 릴리스 스위치(116)가 ON 되면, DSP(112)는 DRAM(124)으로부터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를 읽고,디지털 화상 신호의 밝기에 기초하여 최적 노광 시간(즉, 최적 전하 축적 시간)이 산출되고, CCD(72)에 전하제거 신호가 출력된다. 이로 인해, 축적된 전하가 CCD(72)의 모든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제거되고,그 직후에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노광이 개시된다.
노광이 개시되고 나서 최적 전하 축적 시간이 경과한 후, CCD로부터 1 프레임 분의 화상 신호의 읽기가 행해지고,이 1 프레임 분의 화상 신호는 상기한 것과같은 화상 처리를 받은 후에 DRAM(124)에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 프로세스의 완료후에, DRAM(124)으로의 디지털 화상 신호의 기록 작동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5 초) 동안 금지된다. 즉, 정지 화상 촬영의 종료후 CCD(72)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읽기 동작이 재개되더라도, 그 읽기 신호로부터 얻는 디지털 화상 신호는 기록 금지 시간(즉, 5 초간) 동안 DRAM(124)에 기록되지 않고, 폐기되어 버린다. LCD모니터(84)로 표시될 화상의 비디오 신호와,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는 계속해서 처리되기 때문에, 기록 금지 시간 중,촬영된 화상이 LCD모니터(84)와 TV 모니터에 의해 정지 화상으로 표시된다.
상기의 기록 금지 시간 중,DSP(112)는 DRAM(124)으로부터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를 읽고,이 디지털 화상 신호에 예를 들면 JEPG에 따른 소정의 화상 압축 처리를 행하여, 압축 화상 데이터를 만든다. 그리고,DSP(112)에서는, 1 프레임 분의 디지털 화상 신호를 세선화 처리하여 축소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엄지 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를 만든다. 압축 화상 데이터 및 축소 화상 데이터(즉 엄지 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30)를 통하여 CF-카드 드라이버(106)에 전송되어,소정의 포맷에 따라 CF-카드에 기록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114)에 의하여 재생 모드가 선택되면, CF-카드에 기록된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을 LCD모니터(84)에 표시하기 위해, DSP(112)는 CF-카드 드라이버(106)를 제어하여 모든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DRAM(124)에 저장한다. 그 후,DSP(112)는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의 수에 기초하여 각각의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의 크기 및 위치를 산출하여,DRAM(124)으로부터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에 세선화 처리를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LCD모니터(84)에는 모든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이 표시된다.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이 LCD모니터(84)에 표시되어 있을 때,화상 선택 스위치(118)를 조작하여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 중의 1 개가 선택되면, DSP(112)는 그 선택된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에 대응하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CF-카드로부터 읽어내고, 화상 데이터 신장 처리 및 재생를 수행하여, 이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DRAM(124)에 기록한다. DSP(112)는 재생된 화상 데이터를 DRAM(124)로부터 읽어내고, 이 화상 데이터에 세선화 처리를 행하여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원하는 화상이 LCD모니터(84)에 표시된다.
CF-카드는 CF-카드 드라이버(106)로부터 제거되어, 화상 재생 능력을 가진 컴퓨터에 장착될 수 있어서,압축 화상 데이터 및 엄지손톱 크기의 화상 데이터는소정의 처리를 받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기능을 가진 홑눈경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실시형태 및 변경 실시형태가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고체 촬상소자로서, 화상 신호의 읽기를 위해 프로그레시브 스캔 방식을 채용한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기계적 셔터가 불필요하게 되고,그 결과 소형이고 경량이며 또한 값이 싼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를 얻을 수 있고,게다가 그 촬영기능에 있어서는 화상 떨림이나 손 떨림에 의한 촬영 화상의 열화가 잘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피사체상을 형성을 하는 촬영 광학계;
    상기 촬영 광학계용 뷰파인더로서 기능할 수 있는 망원 관찰 광학계; 그리고
    상기 피사체상을 화상 신호로 광전변환시켜서, 상기 화상 신호를 프로그레시브-스캔 방식으로 출력하는 고체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가 초점맞춤을 위해,소정 위치에 고정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대하여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 2의 부분을 가지고 있고,상기 촬영 광학계가 장착되어 있는 로터리 휠 실린더는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를 초점맞추게 하기 위해 상기 로터리 휠 실린더의 회전 운동을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의 제 2 부분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초점맞춤 기구가 상기 로터리 휠 실린더와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상기 촬영 광학계를 상기 고체 촬상소자에 초점맞추게 하기 위해 상기 로터리 휠 실린더의 회전 운동을 상기 촬영 광학계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 2 초점맞춤 기구가 상기 로터리 휠 실린더와 상기 촬영 광학계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대물 렌즈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부분은 정립 프리즘계 및 접안 렌즈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 관찰 광학계는 한 쌍의 관찰 광학계로 구성되고, 상기 로터리 휠 실린더는 상기 한 쌍의 관찰 광학계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찰 광학계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있고,상기 케이싱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 1 케이싱 부분 및 제 2 케이싱 부분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제 1 케이싱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관찰 광학계의 한 쪽이 수용되고,상기 제 2 케이싱 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관찰 광학계의 다른 쪽이 수용되고,상기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한 쪽은 상기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어서, 안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한 쪽이 상기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 중의 다른 한 쪽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안폭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케이싱 부분과 제 2 케이싱 부분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한 쌍의 관찰 광학계의 광축이 공통의 평면 내로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KR10-2003-0021823A 2002-04-09 2003-04-08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KR20030081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6388A JP2003302580A (ja) 2002-04-09 2002-04-09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JPJP-P-2002-00106388 2002-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063A true KR20030081063A (ko) 2003-10-17

Family

ID=1919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823A KR20030081063A (ko) 2002-04-09 2003-04-08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90163A1 (ko)
JP (1) JP2003302580A (ko)
KR (1) KR20030081063A (ko)
CN (1) CN1450379A (ko)
DE (1) DE10316133A1 (ko)
GB (1) GB2388733A (ko)
TW (1) TW2004041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2470B1 (de) * 2019-07-19 2020-11-15 Swarovski Optik Kg Fernoptisches Gerät mit Bilderfassungskana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027A (en) * 1976-08-31 1978-01-03 Asia American Industries Ltd. Binocular telescope containing a camera
JP3563773B2 (ja) * 1993-06-03 2004-09-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双眼鏡
US5604631A (en) * 1994-04-20 1997-02-18 Bnox, Inc. Sliding binocular body
US5963369A (en) * 1996-06-03 1999-10-05 Steinthal; Gregory Digital solid-state binoculars
US6088053A (en) * 1996-07-15 2000-07-11 Hammack; Jack C. Digital record and replay binoculars
JP3417446B2 (ja) * 1996-10-01 2003-06-16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像安定化装置
JPH1164743A (ja) * 1997-08-18 1999-03-05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付き双眼鏡
JP3417845B2 (ja) * 1998-05-29 2003-06-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移動制御装置
JP2001281555A (ja) * 2000-03-31 2001-10-10 Nikon Corp 撮像機能付き双眼鏡
JP3887242B2 (ja) * 2001-09-28 2007-02-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TW594046B (en) * 2001-09-28 2004-06-21 Pentax Corp Optical viewer instrument with photographing function
JP2003107369A (ja) * 2001-09-28 2003-04-09 Pentax Corp 撮影機能付双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02580A (ja) 2003-10-24
US20030190163A1 (en) 2003-10-09
TW200404169A (en) 2004-03-16
CN1450379A (zh) 2003-10-22
GB2388733A (en) 2003-11-19
DE10316133A1 (de) 2003-10-30
GB0308217D0 (en)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4131B2 (ja) 撮像装置
JP3887242B2 (ja)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KR100598506B1 (ko)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JP4730616B2 (ja) 複眼デジタルカメラ
KR20030027854A (ko) 촬영기능을 갖는 관찰광학장치
JP2003107369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2372661A (ja) 撮影レンズ
JP2004297540A (ja) 立体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4138954A (ja) 携帯電子機器
KR20030081063A (ko)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JP200005965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H07333552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4181368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3998961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10210691A (ja) 立体撮像装置
JP200002300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3244505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H08340469A (ja) 複合カメラ
JP2003185938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3084030U (ja) ディジタル画像保存機能を具えた双眼鏡
JP2003107368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172884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KR100363961B1 (ko)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US20040012706A1 (en) Image-capturing device and camera
JP2003344944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