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961B1 -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 Google Patents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961B1
KR100363961B1 KR1020000003702A KR20000003702A KR100363961B1 KR 100363961 B1 KR100363961 B1 KR 100363961B1 KR 1020000003702 A KR1020000003702 A KR 1020000003702A KR 20000003702 A KR20000003702 A KR 20000003702A KR 100363961 B1 KR100363961 B1 KR 100363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ubject
photographing
s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512A (ko
Inventor
서인석
김정오
김근섭
박성우
이석근
김영호
이춘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9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Abstract

이 발명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에서, 피사체 관찰 모드시,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이 대물 렌즈를 통하여 도립상으로 결상된 다음 정립부에 의하여 정립된다. 정립된 피사체상은 제1 광로 변경부에 의하여 반사되어 접안 렌즈로 입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결상됨으로써, 사용자는 피사체를 관찰하게 된다. 이 때,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정립된 피사체상이 제1 광로 변경부를 통하지 않고 바로 영상 촬영부에 결상된다. 영상 촬영부는 결상된 피사체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거나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찰되는 피사체상을 기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별도의 영상 촬영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쌍안경을 통하여 관찰되는 피사체를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binoculars capable of photographing}
이 발명은 쌍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쌍안경을 통하여 관찰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일반적인 쌍안경의 렌즈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일반적으로 쌍안경은 피사체의 도립상을 결상하는 대물 렌즈부(1)와, 대물 렌즈부(1)에 의하여 결상된 도립상을 정립시키는 상반전부(2)와, 상반전부(2)에 의하여 정립된 상을 확대하는 접안 렌즈부(3)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피사체를 관찰하기 위하여 쌍안경의 접안 렌즈부(3)에 눈을 접근시키면, 피사체 상이 대물 렌즈부(1)를 통하여 결상된다. 이 때, 결상되는 피사체 상은 도립상이며, 이 도립상은 상반전 렌즈부(2)를 통하여 정립된다. 이와 같이 정립된 상은 접안 렌즈부(3)를 통하여 확대되어 사용자의 눈에 결상됨으로써, 사용자는 쌍안경을 통하여 피사체를 관찰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쌍안경은 단지 피사체를 관찰할 수만 있으므로, 사용자가 쌍안경을 통하여 관찰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사진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쌍안경은 피사체 관찰 기능만을 가짐으로써 필요시마다 피사체 상을 촬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쌍안경과 별도의 장치를 모두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사체 관찰 및 피사체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쌍안경의 렌즈 구조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록부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측면도이다.
도 5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전체 구조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쌍안경은 피사체 촬영 여부에 따라 대물 렌즈를 통하여 접안 렌즈로 입사되는 빛의 광로를 변경하여 빛을 영상 촬영부로 입사시켜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에 따른 쌍안경은 피사체 관찰 모드 또는 피사체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피사체의 도립상을 결상하는 대물 렌즈와, 이 도립상을 정립하는 정립부와, 정립된 피사체 상을 확대하는 접안 렌즈와, 정립된 피사체 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와, 선택부에 의하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정립부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접안 렌즈로 입사시키거나 영상 촬영부로 입사시키는 제1 광로 변경부를 포함한다. 대물 렌즈, 정립부, 제1 광로 변경부 및 영상 촬영부는 제1 광축 상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접안 렌즈는 제1 광축과 평행한 제2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다.
선택부에 의하여 피사체 관찰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대물 렌즈 및 정립부를 통하여 출사된 빛은 제1 광로 변경부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2 광축 상에 위치한 접안 렌즈로 입사되며, 이 경우에 제1 광로 변경부에 의하여 반사된 빛을 다시 반사시켜 제2 광축상으로 출사하는 제2 광로 변경부를 더 포함한다.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대물 렌즈 및 정립부를 통하여 출사된빛은 제1 광로 변경부를 통하지 않고 바로 제1 광축 상에 위치한 영상 촬영부로 입사된다.
영상 촬영부는 입사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한 다음 저장 및 표시하거나, 입사되는 빛을 필름에 노광시켜 해당 피사체 상을 기록한다.
이외에,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 광로 변경부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위치 조절부는 피사체 관찰 모드가 선택되면 제1 광로 변경부를 제1 광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로 위치시키고,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제1 광로 변경부를 제1 광축과 평행한 위치로 위치시킨다.
제1 광로 변경부는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나,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하프 미러로 이루어진다. 제1 광로 변경부가 하프 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 1 광로 변경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가 필요하지 않다.
이외에, 대물 렌즈와 정립부 사이에 배치되어, 피사체 상의 배율을 가변시키는 줌렌즈와, 줌렌즈의 주밍 동작을 수행하는 변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쌍안경의 영상 촬영부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지는 쌍안경은 피사체 관찰 모드 또는 피사체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10)와, 선택부(10)에 연동하여 관찰 또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제1상을 결상하는 제1 결상부(20)와, 관찰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제2상을 결상하는 제2 결상부(30)를 포함한다.
제1 결상부(20)에는 피사체의 도립상을 결상하는 제1 대물 렌즈(21)가 있으며, 제1 대물 렌즈(21)의 출사측에 도립상을 정립시키는 제1 정립부(23)가 배열되어 있으며, 제1 대물 렌즈(21)와 제1 정립부(23) 사이에 제1 정립부(23)로 입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제1 조리개(22)가 배열되어 있다. 제1 정립부(23)의 출사측에 영상 촬영부(25)와 제1 접안 렌즈(27)가 배열되어 있으며, 제1 정립부(23)와 영상 촬영부(25) 사이에 제1 광로 변경부(24)가 배열되어 있으며, 제1 광로 변경부(24)의 출사측에 제2 광로 변경부(26)가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대물 렌즈(21), 제1 조리개(22), 제1 정립부(23), 제1 광로 변경부(24) 및 영상 촬영부(25)는 제1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2 광로 변경부(26)와 제1 접안 렌즈(27)는 제1 광축과 평행한 제2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다.
영상 촬영부(25)는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광로 변경부(24)의출사측에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촬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251)와, CCD(251)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52)와,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DCP (digital camera processor)(253)와, DCP(253)의 영상 신호를 프레임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254)와, 영상 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56)와, 영상 신호 생성, 저장 및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55)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5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며, 첨부한 도 4a에 도시되어 있듯이, 쌍안경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도 4b에 도시되어 있듯이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외에, 영상 촬영부(2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55)의 제어에 따라 CCD(251)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257)와, CCD(251)의 타이밍 제어를 위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생성부(258)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착탈 가능한 기억 장치(259)를 더 포함한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쌍안경에서 기억 장치(259)는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결상부(30)는 제1 결상부(20)와 동일한 배열로 이루어진 제2 대물 렌즈(23), 제2 조리개(32), 제2 정립부(33), 제3 광로 변경부(34), 제4 광로 변경부(35) 및 제2 접안 렌즈(36)로 이루어지며, 제1 결상부(20)와는 달리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제2 대물 렌즈(31), 제2 조리개(32), 제2 정립부(33), 제3 광로 변경부(34)는 제3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4 광로 변경부(35)와 제2 접안 렌즈(36)는 제3 광축과 평행한 제4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쌍안경에서, 선택부(10)는 모드 선택 스위치(S1)와, 모드 선택 스위치(S1)에 연동하여 제1 결상부(20)의 제1 광로 변경부(24)의 회전 각도를 가변시키는 위치 조절부(11)로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모드 선택 스위치(S1)에 의하여 피사체 관찰 모드가 선택되면 위치 조절부(11)가 제1 광로 변경부(24)를 제1 광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A)에 위치시키고,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제1 광로 변경부(24)를 제1 광축과 평행한 위치(B)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제1 광로 변경부(24)는 선택부(10)에 연동하여 회전 각도가 변경되지만, 제2 광로 변경부(26)와 제2 결상부(30)의 제3 및 제4 광로 변경부(34,35)는 각각 제1 광축 및 제2 광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위치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광로 변경부(24,26,34,35)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mirror)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정립부(23,33)는 상 정립 기능을 가지는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외에,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쌍안경은 제1 조리개(22)와 제2 조리개(3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조절부(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멀리 있는 임의 피사체를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선택부(10)의 선택 스위치(S1)를 조작하여 피사체 관찰 모드를 선택하면, 위치 조절부(11)가 제1 결상부(20)의 제1 광로 변경부(24)를 제1 광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관찰 위치(A)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쌍안경의 접안 렌즈(27,36)를 자신의 눈에 접근시키면, 피사체에 해당하는 상이 쌍안경의 제1 및 제2 결상부(20,30)를 통하여 사용자의 눈에 결상된다.
즉,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이 제1 및 제2 결상부(20,30)의 제1 및 제2 대물 렌즈(21,31)를 통하여 제1 및 제2 정립부(23,33)로 각각 입사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대물 렌즈(21,31)에 의하여 피사체의 도립상이 결상되고, 이들 도립상은 제1 및 제2 정립부(23,33)에 의하여 정립된다. 이 때, 제1 및 제2 대물 렌즈(21,31)와 제1 및 제2 정립부(23,33)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1 및 제2 조리개(22,32)를 통하여 제1 및 제2 정립부(23,33)로 입사되는 빛의 광량이 조절된다.
제1 및 제2 정립부(23,33)로부터 출사된 빛은 각각 제1 및 제3 광로 변경부(24,34)에 의하여 광로가 변경되어 제1 및 제2 접안 렌즈(27,36)로 각각 입사된다.
즉, 제1 결상부(20)에서는 제1 대물 렌즈(21)와 제1 정립부(23)를 통하여 제1 광축 상으로 출사되는 빛이, 제1 광축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제1 광로 변경부(24)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2 광축 상에 위치한 제2 광로 변경부(26)로 입사된다. 제2 광로 변경부(26)로 입사된 빛은 다시 반사되어 제2 광축 상의 제1 접안렌즈(27)로 출사된다. 따라서, 제1 접안 렌즈(27)를 통하여 사용자의 눈에 피사체의 정립상이 결상된다.
제2 결상부(30)에서도 제1 결상부(20)와 동일하게, 제2 대물 렌즈(31)와 제2 정립부(33)를 통하여 제3 광축 상으로 출사된 빛이 제3 광로 변경부(34)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4 광로 변경부(35)로 입사된 다음, 다시 제4 광로 변경부(35)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3 광축과 평행한 제4 광축상에 위치한 제2 접안 렌즈(36)로 입사된다. 따라서, 제2 접안 렌즈(36)를 통하여 사용자의 눈에 피사체의 정립상이 결상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결상부(20,30)를 통하여 피사체 상이 사용자의 좌우측 눈에 각각 결상됨으로써, 사용자는 피사체를 관찰하게 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쌍안경을 통하여 피사체를 관찰하고 있는 도중에, 관찰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S1)를 조작하여 피사체 촬영 모드를 선택하면, 위치 조절부(11)가 제1 광로 변경부(24)의 회전 각도를 변경시켜 제1 광로 변경부(24)를 제1 광축과 평행한 위치(B)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제1 대물 렌즈(21)와 제1 정립부(23)를 통하여 출사된 빛이 바로 영상 촬영부(25)로 입사되며, 제1 접안 렌즈(27)로는 입사되지 않는다. 영상 촬영부(25)로 입사된 빛은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처리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영상 신호 처리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영상 촬영부(25)로 입사된 빛은 먼저, CCD(251)에 의하여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 다음,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52)에 의하여 샘플링되고,노이즈가 제거되고, 신호 이득이 조절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53)에 의하여 통상의 영상 처리 기술에 따라 처리되어 영상 신호로 출력된다.
이러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메모리(254)에 프레임별로 저장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255)의 제어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254)로부터 프레임 단위로 출력되어 표시부(256)상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부(256)를 통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확인할 수가 있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1 프레임의 영상이 촬영되면 선택부(10)의 위치 조절부(11)는 제1 광로 변경부(24)의 회전 각도를 변경시켜 제1 광로 변경부(24)를 다시 초기 위치(A)로 위치시킨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셔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1 광로 변경부(24)의 위치 변경에 따라 1 프레임 단위로 피사체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촬영된 영상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55)의 제어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기억 장치(259)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이 기억 장치(259)를 별도의 영상 표시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등)에 설치하여 촬영된 영상을 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결상부(20)에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지지만, 제2 결상부(30)에서는 피사체 관찰 동작이 계속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결상부(30)의 제2 접안 렌즈(36)나 표시부(256)를 통하여 피사체를 관찰하면서, 필요에 따라 선택부(10)를 조작하여 원하는 피사체를촬영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안경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단지 제1 광로 변경부가 하프 미러(half mirror)(28)로 이루어지고, 선택부(10)가 피사체 관찰 모드 또는 피사체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스위치(S1)만을 가지며, 이 모드 선택 스위치(S1)는 영상 촬영부(25)에 연결되어 있다.
하프 미러(28)는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지는 미러로서, 하프 미러(28)의 투과 계수를 P라 하고, 입사되는 빛의 전체 광량을 Yo라 하고, 투과되는 빛의 광량을 Yp라 하고, 반사되는 빛의 광량을 Yr이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된다.
Yp = Yo ×P
Yr = Yo × (1-P)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하프 미러(28)가 설치된 쌍안경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관찰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이 제1 대물 렌즈(21)와 제1 정립부(23)를 통하여 하프 미러(28)로 입사된다. 하프 미러(28)로 입사된 빛의 일부(Yp)는 하프 미러(28)를 통과하여 영상 촬영부(25)로 입사되고, 빛의 나머지 일부(Pr)는 하프 미러(28)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2 광로 변경부(26)로 입사된 다음, 다시 제2 광로 변경부(26)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1 접안 렌즈(27)로 입사된다. 이 때, 제2 결상부(30)에서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빛이 제2 접안 렌즈(36)로 입사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접안 렌즈(27,36)로 입사된 빛이 사용자의 눈에 각각 결상됨으로써, 사용자는 피사체를 관찰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관찰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모드 선택 스위치(S1)를 조작하여 피사체 촬영 모드를 선택하면, 영상 촬영부(25)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55)가 동기 신호 생성부(257)를 구동시켜 CCD(251)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하프 미러(28)를 투과한 Yp 광량의 빛이 영상 촬영부(25)의 CCD(251)에 촬상됨에 따라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영상 신호가 생성되어 표시부(256)상에 표시되거나 기억 장치(259)에 저장된다. 이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55)는 1 프레임의 영상이 촬영 가능한 시간동안 CCD(251)를 구동시켜, 셔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접안 렌즈(27,36)를 통하여 피사체를 관찰하면서 관찰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가지는 쌍안경의 구조는 위에 기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지 제1 및 제2 조리개(22,32)와 제1 및 제2 정립부(23,33) 사이에 제1 및 제2 줌렌즈(29,37)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쌍안경은 제1 및 제2 줌렌즈(29,37)의 주밍(zooming)을 수행하는 변배부(50)와, 줌렌즈의 텔레단으로의 이동 또는 와이드단으로의 이동을 선택하는 주밍 스위치((S2)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줌렌즈는 다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며, 변배부(50)는 줌렌즈를 구성하는 렌즈중 일부만을 이동시켜 변배를 수행한다.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피사체 관찰 및 피사체 기록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지, 사용자가 접안 렌즈(27,36) 또는 표시부(256)를 통하여 관찰되는 피사체상의 배율을 가변시키기 위하여 주밍 스위치(S2)를 조작하면, 변배부(50)가 주밍 스위치(S2)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방향 즉, 텔레단이나 와이드단으로 줌렌즈(29,37)를 이동시킨다.
줌렌즈(29,37)의 이동에 따라 변배가 이루어짐으로써, 배율이 가변된 피사체상이 제1 및 제2 접안 렌즈(27,36)를 통하여 관찰되거나, 영상 촬영부(25)에 의하여 촬영된다.
이 경우에도 제2 실시예와 같이 제1 광로 변경부(24) 대신에 하프 미러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접안 렌즈(27,36)를 통하여 피사체를 관찰하면서 관찰된 피사체 상을 영상 촬영부(25)에 기록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단지, 영상 촬영부 대신에 입사되는 피사체상을 필름에 기록하는 필름 촬영부(60)를 더 포함한다.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름 촬영부(60)는 필름(61)과, 필름(61)이 장착되는 필름실(62), 촬영된 필름이 이송되어 감기는 스풀실(63) 및 필름 이송을 수행하는 필름 이송부(64)로 이루어지며, 필름(61)은 제1 정립부(23)로부터 출사된 빛의 결상 위치에 설치된다.
제1 실시예에와 동일하게 피사체 관찰 동작이 이루어지고,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제1 광로 변경부(24)가 제1 광축과 평행한 위치(B)로 이동됨으로써,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이 제1 대물 렌즈(21), 제1 정립부(23)를 통하여 필름 촬영부(60)의 필름(61)에 결상된다. 이 경우에도 제1 광로 변경부(24)가 셔터 기능을 수행하여 1 프레임의 영상이 필름(61)에 결상된다.
이와 같이 1 프레임의 영상이 필름(61)에 촬영되면, 필름 이송부(64)가 촬영된 1 프레임의 필름(61)을 스풀실(63)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촬영 동작에 따라 장착된 필름(61)이 모두 촬영되면, 필름 이송부(64)는 스풀실(63)에 감겨진 필름(61)을 모두 필름실(63)로 다시 이송시켜 필름 되감기를 수행한다.
이 경우에도 제2 실시예와 같이 제1 광로 변경부(24) 대신에 하프 미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쌍안경에서 별도의 촬영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관찰되는 피사체상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쌍안경만을 휴대하여도 관찰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되고, 실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사체를 관찰하면서 동시에 관찰되는 피사체를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은 다음의 기술되는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8)

  1. (정정) 피사체 관찰 모드 또는 피사체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
    피사체의 도립상을 결상하는 대물 렌즈;
    상기 도립상을 정립시키는 정립부;
    상기 정립부에 의해 정립된 상을 확대하는 접안 렌즈;
    상기 정립부에 의해 정립된 상을 기록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피사체 관찰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정립부에 의해 정립된 상을 상기 접안 렌즈로 입사시키고,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정립부에 의해 정립된 상을 상기 영상 촬영부로 입사시키는 광로 변경부; 및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하여 처리되는 상을 표시하며, 표시 화면의 각도가 조절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변경부는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쌍안경은 상기 미러에 의하여 반사되는 정립상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접안 렌즈로 입사시키는 보조 미러와,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피사체 관찰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미러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키고,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미러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정립부에 의해 정립된 상을 상기 접안 렌즈로 입사시키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정립부에 의해 정립된 상을 상기 영상 촬영부로 입사시키는 위치인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광로 변경부로부터 입사되는 정립상을 촬상하여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신호를 프레임별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상기 영상 신호의 생성, 저장 및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상부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1 프레임 영상이 촬영 가능한 시간 동안만 상기 미러를 제2 위치로 위치시켰다가 다시 제1 위치로 위치시키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변경부는 하프 미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상 촬영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피사체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1 프레임 영상이 촬영 가능한 시간 동안만 상기 촬상 소자를 구동시켜 입사되는 정립상을 촬상시키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정립부로부터 출사되는 정립상이 결상되는 곳에 위치된 필름;
    상기 필름이 장착되는 필름실;
    촬영된 필름이 이송되어 감기는 스풀실; 및
    상기 필름의 이송을 수행하는 필름 이송부로 이루어지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와 상기 정립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정립부로 입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조리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와 상기 정립부 사이에 위치하며, 피사체상의 배율을 가변시키는 줌렌즈와,
    상기 줌렌즈의 변배를 수행하는 변배부를 더 포함하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KR1020000003702A 2000-01-26 2000-01-26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KR10036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702A KR100363961B1 (ko) 2000-01-26 2000-01-26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702A KR100363961B1 (ko) 2000-01-26 2000-01-26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512A KR20010076512A (ko) 2001-08-16
KR100363961B1 true KR100363961B1 (ko) 2002-12-11

Family

ID=1964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702A KR100363961B1 (ko) 2000-01-26 2000-01-26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9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851A (ja) * 1997-09-30 1999-04-23 Canon Inc 電子カメラ付双眼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851A (ja) * 1997-09-30 1999-04-23 Canon Inc 電子カメラ付双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512A (ko)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3773B2 (ja) 双眼鏡
CN101305594B (zh) 相机系统、相机主体、替换镜头单元和摄像方法
JP5241881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5364245B2 (ja) カメラシステム
US7071973B1 (en) Digital camera having multiple image taking modes
JP4926833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5341214B2 (ja) カメラシステム
US7616236B2 (en) Control method us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80018774A1 (en) Image capture device
JP2009159093A (ja) 撮像装置
JP2005151162A (ja) 撮像装置
JP4733075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120527A (ja) 2眼式デジタルカメラ
JP4863370B2 (ja) 撮像装置
JP3559422B2 (ja) 一眼レフ式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100363961B1 (ko) 촬영 기능을 가지는 쌍안경
US20040090672A1 (en) Terrestrial telescope with digital camera
JP2006217474A (ja) レンズ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光学装置
JPH09189934A (ja) 撮像装置
JP2000152040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H0922045A (ja) ビューファインダ
JP2015233256A (ja) 電子機器
JPH08340469A (ja) 複合カメラ
JP2002262165A (ja) 撮像装置
JP200807651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