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353A -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353A
KR20030076353A KR10-2003-0016973A KR20030016973A KR20030076353A KR 20030076353 A KR20030076353 A KR 20030076353A KR 20030016973 A KR20030016973 A KR 20030016973A KR 20030076353 A KR20030076353 A KR 2003007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engine
insertion hole
u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153B1 (ko
Inventor
이이다마사히꼬
야마모또미찌히꼬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7/00Refrigeration system using an engine for driving a com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 저렴화에 유리하며, 또한 상부 유닛의 물이 배관 삽통 구멍으로부터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며, 하부 유닛의 부품의 열화를 억제하는 데 공헌할 수 있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는 하부 유닛(1) 상에 적재되어 부착된 상부 유닛(4)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유닛은 복수의 상부 유닛에 대해 공통화되어 있다. 하부 유닛(1)은 엔진과 압축기와 하측 배관(55)과 하부 하우징을 갖는다. 상부 유닛(4)은 하측 배관(55)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45)과 상부 하우징(40)을 갖는다.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은 다른 부분보다도 상향으로 팽출된 팽출벽부(56)를 갖는다. 팽출벽부(56)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하측 배관(55) 및 상측 배관(45) 중 적어도 한 쪽이 삽통되는 배관 삽통 구멍(57)을 갖는다. 배관 삽통 구멍(57)은 팽출벽부(56)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중 팽출벽부(56) 이외의 부위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다.

Description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ENGINE-DRIVEN AIR 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된 압축기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고, 히트 펌프에 의해 공조를 행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8-14694호 공보에는 하우징 하측에,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도출된 하측 냉매관을 탑재하는 동시에, 하우징 상측에, 하측 냉매관에 연결되는 상측 냉매관과, 상측 냉매관에 연결되어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탑재하고 있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가 아닌,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 압축기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고, 히트 펌프에 의해 공조를 행하는 전기 모터 구동식 공조 장치에 있어서, 일본 특허 공고 평6-6075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를 갖는 기계 유닛과,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갖는 열교환 유닛을 갖고, 상측 열교환 유닛을 하측 기계 유닛에 적재하여 부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점에서는 상측 열교환 유닛과 하측 기계 유닛을 각각 생산해 두고, 고객 요청에 따라서, 열교환 유닛과 기계 유닛을 조합할 수 있다.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평8-14694호 공보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는유닛은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있고, 상부 유닛을 하부 유닛에 적재하여 부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일본 특허 공고 평6-60753호 공보에 관한 공조 장치에 따르면, 상측 열교환 유닛을 하측 기계 유닛에 적재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고객의 요청에 따라서, 열교환 유닛과 기계 유닛을 조합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 특허 공고 평6-60753호 공보에 관한 공조 장치는 엔진으로 구동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가 아닌,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 압축기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고, 히트 펌프에 의해 공조를 행하는 전기 모터 구동식 공조 장치이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평6-60753호 공보에 관한 공조 장치에 따르면, 하측 기계 유닛에 탑재되어 있는 압축기로 압축된 냉매를 상측 열교환기 유닛에 공급할 필요가 있지만, 이를 위해 하측 기계 유닛의 천정 패널에 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매관 삽통 구멍을 형성하고, 그리고 냉매를 흐르게 하는 냉매관을 하측 기계 유닛의 천정 패널의 냉매관 삽통 구멍에 삽통시켜, 상측 열교환기 유닛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상측 열교환 유닛의 바닥에는 빗물이나 결로수 등의 물이 저장되는 경우가 이따금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일본 특허 공고 평6-60753호 공보에 관한 공조 장치에 따르면, 하측 기계 유닛의 천정 패널에 관통 상태의 냉매관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열교환 유닛에 저장된 물이 냉매관 삽통 구멍을 통과하여, 하측 기계 유닛 내로 진입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하측 기계 유닛의 부품의 열화를 촉진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제1 발명에 따르면, 가스 엔진을 탑재한 하부 유닛을, 열교환기를 탑재한 복수의 상부 유닛에 대해 공통화할 수 있고, 비용 저렴화에 유리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데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또한 상부 유닛의 물이 냉매 삽통 구멍 등의 배관 삽통 구멍으로부터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며, 하부 유닛의 부품의 열화를 억제하는 데 공헌할 수 있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데 있다.
도1은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내부 구조를 생략하면서, 하부 유닛에 상부 유닛을 적재하여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 부근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밀봉 부재의 단면도.
도6은 하부 유닛에 상부 유닛을 적재하여 부착하는 동시에 하측 냉매관과 상측 냉매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냉매관 삽통 구멍을 밀봉 부재로 밀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하부 유닛에 상부 유닛을 적재하여 부착하는 동시에 배선 보유 지지구로 배선 삽통 구멍을 밀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하부 유닛에 상부 유닛을 적재하여 부착하는 동시에 하측 배기관과 상측 배기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배기관 삽통 구멍을 밀봉 플레이트 부재로 밀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9는 하부 유닛의 천정 패널과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과 차음 인슐레이터를 부착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유닛
4 : 상부 유닛
6 : 버링 통부
7 : 밀봉 부재
8 : 배선 보유 지지구
9 : 배선
9x : 들어 올림부
10 : 하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
16 : 엔진
19 : 압축기
41 : 바닥 패널
45 : 상측 냉매관(배관)
55 : 하측 냉매관(배관)
57 : 냉매관 삽통 구멍(배관 삽통 구멍)
58 : 호스 삽통 구멍
59 : 배선 삽통 구멍
67 : 하측 냉각수 호스(배관)
160 : 하측 배기관(배관)
165 : 배기관 삽통 구멍(배관 삽통 구멍)
260 : 상측 배기관(배관)
제1 발명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는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엔진, 압축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유닛과,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측 배관,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 상에 적재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에 따르면,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 상에 적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엔진을 탑재한 하부 유닛을, 열교환기를 탑재한 상부 유닛에 대해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에 대면하는 바닥 패널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령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했다고 해도,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은 엔진의 열기에 의해 따뜻해지기 쉬우므로,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물의 건조가 촉진된다. 따라서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물이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제2 발명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는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엔진, 압축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유닛과,
하부 유닛 상에 적재하여 부착되어,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측 배관관,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유닛의 상부 하우징 바닥 패널은 바닥 패널의 다른 부분보다도 상향으로 팽출된 팽출벽부를 갖고 있고, 팽출벽부는 팽출벽부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하측 배관 및 상측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삽통되는 배관 삽통 구멍을 갖고,
배관 삽통 구멍은 팽출벽부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중 팽출벽부 이외의 부위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에 따르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배관 삽통 구멍은 팽출벽부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중 팽출벽부 이외의 부위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다. 이로 인해, 가령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했다고 해도, 그 물이 배관 삽통 구멍을 통해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상부 유닛이 하부 유닛에 공장에서의 제조시 또는 시공시에 부착된다.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을 따로따로 생산해 두고, 고객의 요청에 따라서, 상부 유닛과 하부 유닛을 조합할 수 있다. 하부 유닛은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엔진, 압축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다. 하측 배관은 파이프라도 좋고 호스라도 좋다. 압축기로부터 도출된 하측 배관은 하측 냉매관이 된다.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도출된 하측 배관은 하측 배기관이 된다. 방열기 등의 냉각계로부터 도출된 하측 배관은 하측 냉각수 호스가 된다.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 상에 적재하여 부착된다. 상부 유닛은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측 배관,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다. 상측 배관은 파이프라도 좋고, 호스라도 좋다. 하측 배관이 압축기에 연결되는 하측 냉매관일 때에는, 상측 배관은 하측 냉매관에 접속되는 상측 냉매관이 된다. 하측 배관이 엔진에 연결되는 하측 배기관일 때에는, 상측 배관은 하측 배기관에 접속되는 상측 배기관이 된다. 하측 배관이 방열기에 연결되는 하측 냉각수 호스일 때에는, 상측 배관은 하측 냉각수 호스에 접속되는 상측 냉각수 호스가 된다.
상부 유닛의 상부 하우징의 바닥 패널은 이 바닥 패널의 다른 부분보다도 상향으로 팽출된 팽출벽부를 갖고 있다. 팽출벽부는 팽출벽부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하측 배관 및 상측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삽통되는 배관 삽통구멍을 갖는다. 배관 삽통 구멍은 팽출벽부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중 팽출벽부 이외의 부위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다. 또 팽출벽부의 팽출 높이로서는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의 배관 삽통 구멍에는 하부 유닛의 하측 배관 및 상부 유닛의 상측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을 삽통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배관 및 상측 배관 중 쌍방 또는 한 쪽을 배관 삽통 구멍에 삽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팽출벽부에 형성된 배관 삽통 구멍의 주연에는 버링 통부가 상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버링 통부의 수직 설치에 의해, 그 물이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유닛의 하측 배관 및 상부 유닛의 상측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의 배관 삽통 구멍에 삽통된 상태에서, 버링 통부의 상방 및 버링 통부의 외측을 덮는 우산부를 갖는 밀봉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밀봉 부재에 의해, 그 물이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유닛의 하측 냉매관 및 상부 유닛의 상측 냉매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의 배관 삽통 구멍에 삽통된 상태에서, 버링 통부의 상방 및 버링 통부의 외측을 덮는 우산부를 갖는 밀봉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상부 유닛의 바닥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밀봉 부재에 의해 그 물이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유닛의 하측 배기관 및 상부 유닛의 상측 배기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의 배관 삽통 구멍에 삽통된 상태에서, 버링 통부의 상방 및 버링 통부의 외측을 덮는 우산부를 갖는 밀봉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가령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밀봉 부재에 의해, 그 물이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유닛의 하측 냉각수 호스 및 상부 유닛의 상측 냉각수 호스 중 적어도 한 쪽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의 배관 삽통 구멍에 삽통된 상태에서, 버링 통부의 상방 및 버링 통부의 외측을 덮는 우산부를 갖는 밀봉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가령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밀봉 부재에 의해, 그 물이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팽출벽부는 하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과 상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을 삽통하는 배선 삽통 구멍을 갖고, 배선이 상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으로부터 하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을 향함에 따라서 배선을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 보유 지지하는 배선 보유 지지구가 배선 삽통 구멍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본 공조 장치의 사용시에는, 상부 유닛의 물이 배선을 타고 흘러 내릴 때가 있다. 이 경우, 배선이 상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으로부터 하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을 향함에 따라서 배선을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져 있으므로, 배선을 타고 흘러 내리는 물은 중력의 관계로 인해, 배선 삽통 구멍으로부터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유닛은 천정 패널을 갖고,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와 상부 유닛의 천정 패널 사이에, 하부 유닛의 엔진 구동음을 상부 유닛 내로 안내하는 구동음 전파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의 구동음 저감에 유리하다. 구동음 전파 통로의 입구와 출구는 거리를 두고 이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동음의 전파 거리를 증가할 수 있어, 엔진의 구동음 저감에 한층 유리하다. 구동음 전파 통로 내에는, 흡음 재료로 형성된 차음성을 높이는 차음 인슐레이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하부 유닛판은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에 그 하방에서 대면하는 대면벽을 갖고, 대면벽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에 부착된 배선 부착구에 의해 배선은 상부 유닛의 천정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는 대면벽을 덮고 있으므로, 대면벽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하부 유닛으로의 물 진입은 억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측면 패널을 떼어 내어 내부 구조를 투시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는 가스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GHP)라 불리우는 것으로, 하부 유닛(1)과, 하부 유닛(1)의 상측에 적재하여 부착된 상부 유닛(4)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유닛(1)의 하부 하우징(10)은, 바닥 패널(11)과 지지 기둥(12)과 천정 패널(13)을 갖는 동시에, 기관실(14)과 제어실(15)을 갖는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1)의 기관실(14)에는 연료 가스의 연소로 구동하는 엔진(16)과, 엔진(16)을 바닥 패널(11)에 지지하는 방진 고무(17)와, 엔진(16)에 의해 이음매 없는 벨트(18)를 거쳐서 회전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19)와, 엔진(16)에 사용되는 엔진 오일을 저류하는 오일 탱크(20)와, 엔진(16)의 하측에 설치되어 엔진 오일을 받는 오일 팬(23)과, 엔진 냉각수의 유로를 절환하는 전동 삼방 밸브(25)와, 토출 온도 센서(27)와, 엔진(16) 냉각수의 액온을 검출하는 수온 센서(28)와, 가스 믹서(29)와, 배기 열교환기(30)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필터(21)와, 엔진 유압 스위치(22)와, 엔진(16)에 공급하는 흡기를 청정화하는 에어 클리너(24)가 탑재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0)의 제어실(15)에는 전원 유닛(31)과, 제어 기판(32)이 설치되어 있다. 즉 하부 유닛(1)에는, 엔진계 부품, 냉매계 부품, 전기 제어계 부품, 연료계 부품, 흡기계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상부 하우징(40)은 바닥 패널(41)과 지지 기둥(42)과 천정 패널(43)을 갖는다.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은 상부 하우징(40)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부 유닛(4)에는, 실외측 열교환기(44), 엔진(16)을 냉각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방열기(50)와, 상방으로 개방하는 통풍구(46)에 설치된 팬(47)과, 팬(47)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48)와, 흡기 사이렌서(49)가 탑재되어 있다.
도3은 하부 유닛(1)에 상부 유닛(4)을 부착하기 전 상태의 주요부를 도시한다. 도3에서는 하부 유닛(1)의 하부 하우징(10)과 상부 유닛(4)의 상부 하우징(40)과의 명확화를 위해, 다수의 탑재 부품은 생략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에는 냉매 이동로 및 냉매 복귀로를 각각 구성하는 강체 파이프로 형성된 2개의 하측 냉매관(55)(배관)이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의 관통 구멍(13r)을 지나서 상향으로 직관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하측 냉각수 호스(67)(배관)가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의 관통 구멍(13t)을 지나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측 냉각수 호스(67)는 엔진(16)을 냉각하기 위한 방열기(50)의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것이며, 엔진(16)과 방열기(50)에 연결된다.
도4는 상부 유닛(4)의 상부 하우징(40)의 바닥 패널(41) 부근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금속제 바닥 패널(41)에는 금속제 팽출벽부(56)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출벽부(56)는 주위에 경사벽(56r)을 갖고 있고,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41b)보다도 상향으로 높이(H1)가 되도록 팽출되어 있다. 또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의 구석부에는 드레인계에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구멍(41x)이 형성되어 있다.
도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팽출벽부(56)에는 팽출벽부(56)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냉매관 삽통 구멍(57)(배관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냉매관 삽통 구멍(57)에 하측 냉매관(55)이 상향으로 돌출되어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관 삽통 구멍(57)은 팽출벽부(56)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중 팽출벽부(56) 이외의 바닥면(41b)보다도, 높이(H1)에 상당하는 만큼 들어 올려져 있다. 상부 유닛(4)의 통풍구(46)로부터 삽입된 빗물, 열교환기(44)에서 결로한 물 등의 물은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까지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물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의 바닥면(41b)에 존재할 때라도, 냉매관 삽통 구멍(57)이 바닥 패널(41)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41b)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으므로, 냉매관 삽통 구멍(57)으로 물이 진입하여, 냉매관 삽통 구멍(57)을 지나서 하부 유닛(1)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에 형성된 냉매관 삽통 구멍(57)의 주연에는, 냉매관 삽통 구멍(57)을 일주하도록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버링 통부(6)가 상향으로 동축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버링 통부(6)는 냉매관 삽통 구멍(57)의 차수벽(遮水璧)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의 바닥면(41b)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냉매관 삽통 구멍(57)을 지나서 하부 유닛(1) 내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도5에 도시한 밀봉 부재(7)는 냉매관 삽통 구멍(57)을 밀봉하기 위한 것이다. 밀봉 부재(7)는 수지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통 구멍(71)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1 베이스부(72)와, 제1 베이스부(72)의 내주면에 돌출 설치된 링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밀봉 돌기(73)와, 제1 베이스부(72)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1 우산부(74)와, 제1 갈고리부(76)를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냉매관 삽통 구멍(57)의 내측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제1 삽입부(75)를 갖는다.
밀봉 돌기(73)는 제1 베이스부(72)의 축 길이 방향에 따라서 직렬로 복수개 돌출 설치되어 있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냉매관(55)의 외주면(55o)에 압접하여, 냉매관 삽통 구멍(57)에 있어서의 밀봉성을 확보한다. 밀봉 돌기(73)가 제1 베이스부(72)의 축 길이 방향에 따라서 직렬로 복수개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밀봉 부재(7)의 하측 냉매관(55)에 대한 삽입성을 유지하면서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밀봉 부재(7)의 제1 삽입부(75)는 단면에 있어서 링 형상의 원호 오목면(75a)을 가지므로, 제1 삽입부(75)의 과잉 강성화가 방지되고, 제1 삽입부(75)의 직경 방향(화살표 X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삽입부(75)의 탄성 변위성이 확보되고, 제1 삽입부(75)의 삽입성이 확보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7)의 제1 우산부(74)는 제1 베이스부(72)의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링형의 제1 횡방향 연장 설치부(74a)와, 제1 횡방향 연장 설치부(74a)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1 하방 연장부(74c)를 갖는다.
도6은 하부 유닛(1)의 상면에 상부 유닛(4)을 적재하여 부착하는 동시에, 하부 유닛(1)의 하측 냉매관(55)(배관)과 상부 유닛(4)의 상측 냉매관(45)(배관)이 납땜 부재(45v)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하부 유닛(1)의 하측 냉매관(55)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의 냉매관 삽통 구멍(57)에 삽통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7)의 제1 우산부(74)는 버링 통부(6)의 상방 및 버링 통부(6)의 외측을 덮고 있다. 이로 인해, 가령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냉매관 삽통 구멍(57)을 지나서 하부 유닛(1) 내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밀봉 부재(7)의 부착 상태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갈고리부(76)는 냉매관 삽통 구멍(57)의 주연에 계지되어 벗겨짐 방지되어 있다. 밀봉 부재(7)의 제1 하방 연장부(74c)의 하단부는 팽출벽부(56)에 접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버링 통부(6)의 내주면과 밀봉 부재(7)의 제1 베이스부(72)의 외주면 사이에 미소 간극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밀봉 부재(7)의 화살표 X1 방향의 상대 변위가 확보되어, 부착 작업이 한층 편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냉매관(55)의 상부 접합부(55n)는 직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부 유닛(4)의 상측 냉매관(45)의 하부 접합부(45n)는 직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측 냉매관(45)(배관) 하단부의 외경은 교축되어 작아져, 하측 냉매관(55)의 내주면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냉매관(55) 상부의 접합부(55n)는 직관 형상이므로, 원통 형상의 밀봉 부재(7)를 하측 냉매관(55)에 그 상부 접합부(55n)측으로부터 끼워 맞춤시키는 데 유리해진다. 만일, 하측 냉매관(55)의 상부 접합부(55n)가 그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관 형상일 때에는 확장관 형상이 장해가 되어, 원통 형상의 밀봉 부재(7)를 하측 냉매관(55)의 상부 접합부(55n)에 끼워 맞추는 데 불리해진다.
그리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6)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흐르게하는 하측 냉각수 호스(67)(배관)가 하부 유닛(1)에 탑재되어 있다. 상측 냉각수 호스(69)(배관)가 상부 유닛(4)에 탑재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의 팽출벽부(56)에는 하측 냉각수 호스(67)를 통과시키기 위해, 팽출벽부(56)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호스 삽통 구멍(58)(배관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호스 삽통 구멍(58)은 팽출벽부(56)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중 팽출벽부(56) 이외의 바닥면(41b)보다도, 높이(H1)에 상당하는 만큼 들어 올려져 있다. 가령 물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에 존재하는 경우라도, 호스 삽통 구멍(58)이 바닥 패널(41)의 다른 부분의 바닥면(41b)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으므로, 호스 삽통 구멍(58)으로 물이 진입하여, 호스 삽통 구멍(58)을 지나서 하부 유닛(1)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상기한 호스 삽통 구멍(58)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버링 통부(6)가 상향으로 동축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호스 삽통 구멍(58)을 지나서 하부 유닛(1)으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또한 호스 삽통 구멍(58)에 대해서도 밀봉 부재(7)가 이용되어 밀봉되어 있으므로, 호스 삽통 구멍(58)으로 물이 진입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 하부 유닛(1)의 상면에 상부 유닛(4)이 적재하여 부착되었을 때에는, 하측 냉각수 호스(67)는 상측 냉각수 호스(67)에 접속구(67s)를 거쳐서 접속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1)의 전기계 부품과 상부 유닛(4)의 전기계 부품을 연결하는 배선(9)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의 팽출벽부(56)에는, 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배선 삽통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 삽통 구멍(59)은 배선(9)을 삽통하는 것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 삽통 구멍(59)도 팽출벽부(56)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중 팽출벽부(56) 이외의 바닥면(41b)보다도, 높이(H1)에 상당하는 만큼 들어 올려져 있다. 이 결과,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배선 삽통 구멍(59)을 지나서 하부 유닛(1)으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선 삽통 구멍(59)의 주연에는 배선 삽통 구멍(59)을 일주하도록 원통 형상을 이루는 금속제의 버링 통부(6)가 상향으로 동축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버링 통부(6)는 배선 삽통 구멍(59)의 차수벽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배선 삽통 구멍(59)을 지나서 하부 유닛(1)으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 삽통 구멍(59)에는 수지 또는 고무제의 배선 보유 지지구(8)가 부착되어 있다. 배선 보유 지지구(8)는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와,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에 피착되는 제2 배선 보유 지지구(8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는 축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관통 구멍(81)을 갖고 축심(P2) 주위에 형성된 통 형상의 제2 베이스부(82)와, 제2 베이스부(82)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우산부(84)와, 제2 갈고리부(86)를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배선 삽통 구멍(59)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85)를 갖는다.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의 제2 갈고리부(86)가 배선 삽통 구멍(59)에 계지되므로,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는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에 벗겨짐 방지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82)는,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개구부(82x)와, 상부에 계지 갈고리(87)를 갖는다. 제2 우산부(84)는 제2 베이스부(82)의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링형의 제2 횡방향 연장 설치부(84a)와, 제2 횡방향 연장 설치부(84a)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2 하방 연장부(84c)를 갖는다. 또, 제2 하방 연장부(84c)의 하단부는 팽출벽부(56)에 접촉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배선 보유 지지구(8B)는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의 관통 구멍(81)을 덮는 폐쇄벽(88)과, 폐쇄벽(88)과 일체를 이루는 동시에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의 계지 갈고리(87)에 착탈 가능하게 계지되는 갈고리부(89a)를 갖는 원통 형상부(89)를 갖는다.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에 제2 배선 보유 지지구(8B)가 피착되면,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의 제2 베이스부(82)의 제2 관통 구멍(81)은 폐쇄벽(88)으로 폐쇄되므로, 제2 관통 구멍(81)으로부터의 물의 진입은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9)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의 배선 삽통 구멍(59)에 삽통되면서도,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의 개구부(82x)를 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 보유 지지구(8)는 상부 유닛(4)의 전기계 부품으로부터 하부 유닛(1)의전기계 부품을 향함에 따라서 배선(9)을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 들어 올림부(9x)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에 제2 배선 보유 지지구(8B)가 피착된 상태에서는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의 개구부(82x)의 하면(86d)보다도, 제2 배선 보유 지지구(8B)의 원통 형상부(89)의 하단부(89u)는 하부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배선 보유 지지구(8B)의 원통 형상부(89)의 하단부(89u)가 배선(9)을 하부 방향 즉 화살표 U1 방향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배선(9)의 도중 부위에는 부분적으로 들어 올림부(9x)가 형성된다. 상부 유닛(4)의 물이 배선(9)을 타고 화살표 U2 방향(도7 참조)으로 흘러 내릴 때가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선 보유 지지구(8)는 배선(9)을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 들어 올림부(9x)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배선(9)을 화살표 U2 방향으로 타고 흘러 내리는 물은, 흘러 내리면서 상승하는 것은 중력의 관계로 무리하기 때문에, 물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의 배선 삽통 구멍(59)으로 진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1)에 상부 유닛(4)을 부착하였을 때에는 배선(9)이 배선 삽통 구멍(59)에 삽통된 상태에서, 제1 배선 보유 지지구(8A)의 제2 우산부(84)는 버링 통부(6)의 상방 및 버링 통부(6)의 외측을 덮는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에 존재하는 물이 배선 삽통 구멍(59)을 지나서 하부 유닛(1)으로 진입하는 것은 더욱 한층 억제된다. 또, 개구부(82x)는 상부 유닛(4)과 하부 유닛(1)을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개구부(82x)의 개방 면적에 따라서는 하부 유닛(1)의 엔진(16)의 열기 방출을 촉진시키기 위한 환기구로서 기능하는 것을 기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은 대면벽(13m)을 갖는다. 하부 유닛(1)의 대면벽(13m)은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에 그 하방에서 대면한다. 대면벽(13m)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또는 단수의 관통 구멍(13w)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 부착구(90)는 관통 구멍(13w)에 하측으로부터 삽통되는 동시에 관통 구멍(13w)의 주연에 계지하는 갈고리(91)와, 배선(9D)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92)를 갖는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 부착구(90)의 갈고리(91)를 관통 구멍(13w)의 주연에 계지시킴으로써, 배선 부착구(90)는 관통 구멍(13w)에 부착된다.
배선 부착구(90)로부터 배선(9D)은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에 부착되어 있다. 관통 구멍(13w)으로 물이 통과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관통 구멍(13w)은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에 의해 상방이 덮어져 있고, 팽출벽부(56)가 차수벽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하부 유닛(1)의 대면벽(13m)의 관통 구멍(13w)으로부터 하부 유닛(1) 내로의 물 진입은 억제된다.
다음에 배관인 배기관에 대해 설명을 덧붙인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닛(1)의 엔진(16)으로부터 하측 배기관(160)(배관)이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 관통 구멍(13p)을 지나서 상방을 향해 직관형으로 도출되어 있다. 하측 배기관(160)의 외주면 밀봉홈(161)에는 밀봉 링(162)이 동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에는 제2 팽출벽부(56B)(팽출 높이 : H2)가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유닛(4)의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B)에는 배기관 삽통 구멍(165)(배관 삽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관 삽통 구멍(165)은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보다도 H2만큼 들어 올려져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배기관 삽통 구멍(165)을 지나서 하부 유닛(1)으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관 삽통 구멍(165)의 주연에는 이것을 일주하도록 버링 통부(6)가 동축적으로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링 통부(6)는 배기관 삽통 구멍(165)의 차수벽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바닥면(41b)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배기관 삽통 구멍(165)을 지나서 하부 유닛(1)으로 진입하는 것은 한층 억제된다.
밀봉 플레이트 부재(300)는 배기관 삽통 구멍(165)을 밀봉하는 밀봉 부재로서 기능한다. 밀봉 플레이트 부재(30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 배기관(160)의 외주면을 덮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3 베이스부(301)와, 제3 베이스부(301)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3 우산부(302)를 갖는다. 제3 우산부(302)는 제3 베이스부(301)의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 링형의 제3 횡방향 연장 설치부(304)와, 제3 횡방향 연장 설치부(304)의 외부 모서리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3 하방 연장부(305)와, 제3 하방 연장부(305)의 하단부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링형으로 연장된 플랜지형 연장부(306)를 갖는다.
상부 유닛(4)을 하부 유닛(1)에 적재하여 부착하였을 때에는, 도8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상측 배기관(260)은 하부 유닛(1)의 하측 배기관(160)의 내주측에 끼워 맞춤 접속된다. 이에 의해 하부 유닛(1)의 엔진(16)의 배기 가스를 상부 유닛(4)의 상측 배기관(260)을 향해 유출시킬 수 있다. 또 엔진(16)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가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므로, 또한 배기 가스가 하부 유닛(1)에 저장되기 어렵게 하므로, 높이가 높은 상부 유닛(4)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배출시킨 쪽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부 유닛(4)을 하부 유닛(1)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하부 유닛(1)의 엔진(16)으로부터 하측 배기관(160)(배관)이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의 관통 구멍(13p)을 지나서 상방을 향해 직관형으로 도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유닛(4)을 하부 유닛(1)에 적재하여 부착한다. 이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하부 유닛(1)의 하측 배기관(160)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팽출벽부(56B)의 배기관 삽통 구멍(165)에 삽통되어 있다.
또한 상부 유닛(4)을 하부 유닛(1)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플레이트 부재(300)의 제3 우산부(302)는 버링 통부(6)의 상방 및 버링 통부(6)의 외측을 덮는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의 바닥면(41b)에 존재하는 물이 상부 유닛(4)의 팽출벽부(56B)의 배기관 삽통 구멍(165)을 지나서 하부 유닛(1)으로 진입하는 것은 더 한층 억제된다.
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플레이트 부재(300)를 배기관 삽통 구멍(165)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밀봉 플레이트 부재(300)의 내주면과 버링 통부(6)의 외주면 사이에 미소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밀봉 플레이트부재(300)의 화살표 X3 방향의 상대 변위를 얻을 수 있어, 부착 작업의 한층 용이화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제2 팽출벽부(56B)의 내부 공간을 엔진(16)의 구동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동음 전파 통로(100)로서 이용한다. 구동음 전파 통로(100)는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제2 팽출벽부(56B)와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 유닛(1)의 엔진의 구동음을 상부 유닛(4)으로 안내하여, 구동음의 외부 누설을 억제한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음 전파 통로(100) 내부에는 발포 우레탄 등의 흡음 재료로 형성된 차음성을 높이는 차음 인슐레이터(120)가 배치되어 있다. 차음 인슐레이터(120)의 차음 통로(121)의 내벽면(122)의 형상, 차음 통로(121)의 폭은 주파수 분석에 의거하여 차음성을 높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차음 인슐레이터(120)의 일단부(120a)는 하부 유닛(1)의 천정 패널(13) 구동음 입구(13k)에 대면하는 동시에, 차음 인슐레이터(120)의 타단부(120c)는 상부 유닛(4)의 바닥 패널(41) 제2 팽출벽부(56B)의 구동음 출구(41k)에 대면한다. 이에 의해 차음 통로(121)에 있어서 구동음의 전파 거리를 약간 길게 증가할 수 있어, 구동음의 저감에 한층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형식의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에 대해 하부 유닛(1)이 공통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16)이나 압축기(19)를 갖는 하부 유닛(1)을 공통화하면서, 고객의 요청에 따라서, 상부 유닛(4)의 능력(열교환 능력)만을변경하고, 변경한 상부 유닛(4)을 하부 유닛(1)에 적재하여 부착하면,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의 출력을 변경하기 위해 상부 유닛(4)의 능력을 변경하는 데 있어서, 복수 종류의 상부 유닛(4)에 있어서, 상부 유닛(4)의 외부 사이즈, 하부 유닛(1)에 대한 상부 유닛(4)의 부착부 위치를 동일하게 하면서, 예를 들어 상부 유닛(4)에 탑재되어 있는 열교환기(44)의 열교환 용량, 상부 유닛(4)에 탑재되어 있는 팬(47)의 송풍량을 변경하는 등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유닛(1)의 상부에는 하부 유닛의 천정을 덮는 천정 패널(13)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천정 패널(13)은 1매의 패널일 필요가 없으며, 프레임(외부 프레임)으로만 하고, 필요한 부위(예를 들어 배선이 설치되는 부위 및 냉매관이 설치되는 부위 등)만을 패널화해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기재로부터 다음의 기술적 사상을 파악할 수 있다.
<부기항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의 상부에 대면하는 바닥 패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하부 유닛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으로부터의 열기는 상승하여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을 따뜻하게 한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저장된 물을 건조 제거시키는 데 공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냉매관 삽통 구멍등의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그 물이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부기항 2>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엔진, 압축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유닛과,
하부 유닛 상에 부착되고,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측 배관,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에 부착되어 있고, 하부 유닛은 복수의 상부 유닛에 대해 공통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하부 유닛은 복수의 상부 유닛에 대해 공통화되어 있으므로, 비용 저렴화에 유리하다.
<부기항 3>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엔진, 압축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유닛과,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측 배관,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의 상부에 대면하는 바닥 패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하부 유닛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으로부터의 열기는 상승하여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을 따뜻하게 한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저장된 물을 건조 제거시키는 데 공헌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그 물이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억제된다.
<부기항 4>
엔진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엔진, 압축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유닛과,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측 배관,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 유닛의 상부 하우징 바닥 패널은 바닥 패널의 다른 부분보다도 상향으로 팽출된 팽출벽부를 갖고 있고, 팽출벽부는 팽출벽부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하측 배관 및 상측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삽통되는 배관 삽통 구멍을 갖고, 배관 삽통 구멍은 팽출벽부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중 팽출벽부 이외의 부위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이 경우,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냉매관 삽통 구멍 등의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그 물이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발명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에 따르면, 상부 유닛은 하부 유닛에 부착되어 있고, 하부 유닛은 복수의 상부 유닛에 대해 공통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유닛을 복수의 상부 유닛에 대해 공통화하면, 비용 저렴화에 유리하다.
제2 발명에 관한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에 따르면, 또한 상부 유닛의 바닥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냉매관 삽통 구멍 등의 배관 삽통 구멍은, 팽출벽부의 팽출에 의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중 팽출벽부 이외의 부위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냉매관 삽통 구멍 등의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그 물이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또한 배관 삽통 구멍의 주연에 버링 통부가 상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링 통부가 냉매관 삽통 구멍 등의 배관 삽통 구멍에 대한 차수벽으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에 물이 존재하였다고 해도, 냉매관 삽통 구멍 등의 배관 삽통 구멍을 지나서 그 물이 하부 유닛 내로 진입하는 것은 억제된다.

Claims (17)

  1.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상기 엔진, 상기 압축기, 상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유닛과,
    상기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상측 배관, 상기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유닛은 상기 하부 유닛 상에 적재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2.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하측 배관과, 상기 엔진, 상기 압축기, 상기 하측 배관을 탑재한 하부 하우징을 갖는 하부 유닛과,
    상기 하부 유닛 상에 적재되어 부착되고, 상기 하측 배관에 연결되는 상측 배관과, 냉매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상측 배관, 상기 열교환기를 탑재하는 상부 하우징을 갖는 상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유닛의 상기 상부 하우징의 바닥 패널은, 상기 바닥 패널의 다른 부분보다도 상향으로 팽출된 팽출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팽출벽부는 상기 팽출벽부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하측 배관 및 상기 상측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삽통되는 배관 삽통 구멍을 갖고,
    상기 배관 삽통 구멍은 상기 팽출벽부의 팽출에 의해 상기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중 상기 팽출벽부 이외의 부위보다도 들어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삽통 구멍의 주연에는 상향으로 세워 설치된 버링 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의 하측 배관 및 상기 상부 유닛의 상측 배관 중 적어도 한 쪽이 상기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상기 팽출벽부의 상기 배관 삽통 구멍에 삽통된 상태에서, 상기 버링 통부의 상방 및 상기 버링 통부의 외측을 덮는 우산부를 갖는 밀봉 부재가 상기 배관 삽통 구멍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상기 팽출벽부는 상기 하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과 상기 상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을 연결하는 배선을 삽통하는 배선 삽통 구멍을 갖고,
    상기 배선이 상기 상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으로부터 상기 하부 유닛의 전기계 부품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배선을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 보유 지지하는 배선 보유 지지구가 상기 배선 삽통 구멍에 부착되어 있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은 천정 패널을 갖고, 상기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상기 팽출벽부와 상기 하부 유닛의 천정 패널 사이에, 상기 하부 유닛의 상기 엔진의 구동음을 상기 상부 유닛으로 안내하는 구동음 전파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닛은 상기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의 상기 팽출벽부에 그 하방에서 대면하는 대면벽을 갖고, 상기 대면벽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 구멍에 부착된 배선 부착구에 의해 상기 배선은 상기 하부 유닛의 대면벽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하측 배관은 압축기로부터 도출된 하측 냉매관이며, 상측 배관은 하측 냉매관에 접속되는 상측 냉매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하측 배관은 방열기로부터 도출된 하측 냉각수 호스이며, 상측 배관은 하측 냉각수 호스에 접속되는 상측 냉각수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하측 배관은 엔진으로부터 도출된 하측 배기관이며, 상측 배관은 하측 배기관에 접속되는 상측 배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팽출벽부는 금속제로,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과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원통 형상으로 관통 구멍을 갖는 베이스부, 링 형상으로 베이스부의 내주면에 배치된 복수의 밀봉 돌기 및 원통 형상으로 갈고리부를 갖는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구동음 전달 통로의 내부에는 차음 인슐레이터가 배치되고, 차음 인슐레이터의 일단부는 하부 유닛의 천정 패널의 구동음 입구에 대면하는 동시에 타단부는 상부 유닛의 바닥 패널 팽출벽부에 있는 구동음 출구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배선 보유 지지구는 베이스부, 우산부,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제1 배선 보유 지지구와, 폐쇄벽, 갈고리부를 갖는 원통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제2 배선 보유 지지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구의 베이스부는 제2 보유 지지구의 폐쇄벽에 덮여지는 관통 구멍 및 배선이 삽통되는 개구부, 제2 보유 지지부의 갈고리부에 계지되는 계지 갈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배선 보유 지지구는 배선이 들어 올려지는 들어 올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배선 부착부는 통 구멍에 하측으로부터 삽통되는 동시에 통 구멍의 주연에 계지되는 갈고리와, 배선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KR1020030016973A 2002-03-20 2003-03-19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KR100561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9310 2002-03-20
JPJP-P-2002-00079310 2002-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353A true KR20030076353A (ko) 2003-09-26
KR100561153B1 KR100561153B1 (ko) 2006-03-15

Family

ID=2803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973A KR100561153B1 (ko) 2002-03-20 2003-03-19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63112B2 (ko)
KR (1) KR100561153B1 (ko)
CN (1) CN123172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359A (ko) 2014-06-18 2017-02-13 소니 주식회사 유저의 눈과 접촉하여 배치하기 위한 검출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4861A (ja) * 2007-07-24 2009-02-05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排出装置
JP5184900B2 (ja) * 2008-01-21 2013-04-1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
JP2009168421A (ja) * 2008-01-21 2009-07-30 Yanmar Co Ltd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
JP2010065967A (ja) * 2008-09-12 2010-03-25 Toshiba Carrier Corp 熱源機
JP2011133159A (ja) * 2009-12-24 2011-07-0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221677B2 (ja) * 2013-11-20 2017-11-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配管接続方法及び配管接続継手
JP2015183658A (ja) * 2014-03-26 2015-10-22 ヤンマー株式会社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
JP6080794B2 (ja) * 2014-03-26 2017-02-15 ヤンマー株式会社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発電機
JP6357933B2 (ja) * 2014-07-09 2018-07-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WO2023191092A1 (ja) * 2022-03-31 2023-10-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359A (ko) 2014-06-18 2017-02-13 소니 주식회사 유저의 눈과 접촉하여 배치하기 위한 검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43882A (ja) 2003-12-03
KR100561153B1 (ko) 2006-03-15
JP4063112B2 (ja) 2008-03-19
CN1231729C (zh) 2005-12-14
CN1445488A (zh)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153B1 (ko) 엔진 구동식 공조 장치
US5775120A (en) Compact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having high heat exchanging ability
JP4590380B2 (ja) エンジン駆動式作業機
JP5184900B2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
JP3931709B2 (ja) ガスエンジン駆動式空調装置
JP3639403B2 (ja) 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ユニット
JP2004060511A (ja) 排気管構造
JP2006292330A (ja) エンジン駆動式空調装置の底部構造
KR200312170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 구조
JP3754163B2 (ja) 水冷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における水ポンプ収納構造
JP3685579B2 (ja) 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ユニット
JP3425635B2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3728043B2 (ja) 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ユニット
JP3426657B2 (ja) ドレイン水処理装置
CN214083756U (zh) 车辆用空调系统的防止冷凝水回流的结构
JP7415720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3653365B2 (ja) 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ユニット
WO2022029913A1 (ja) 室外機
JPH0821241A (ja)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JP3097391B2 (ja) 排気装置
JP2550869Y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5751691A (zh) 一种移动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H068411Y2 (ja) 底面吸排型空気調和機
JP2600175Y2 (ja) インライン形うず巻ポンプ
JPH10238821A (ja) エンジン駆動熱ポンプ装置の室外機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