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822A - 센터링을 위한 구멍을 가지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디스크형상 기록매체, 카트리지, 드라이브장치 및드라이브방법 - Google Patents

센터링을 위한 구멍을 가지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디스크형상 기록매체, 카트리지, 드라이브장치 및드라이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822A
KR20030070822A KR10-2003-0010285A KR20030010285A KR20030070822A KR 20030070822 A KR20030070822 A KR 20030070822A KR 20030010285 A KR20030010285 A KR 20030010285A KR 20030070822 A KR20030070822 A KR 2003007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hole
centering
centering memb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기야마도시노리
기요노겐지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맥셀 가부시키가이샤
미쯔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맥셀 가부시키가이샤, 미쯔비시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맥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014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 G11B23/0021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discs
    • G11B23/0028Details
    • G11B23/0035Details means incorporated in the disc, e.g. hub, to enable its guiding, loading or dri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7Positioning or centering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2Driving feature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기록매체에서 신방식과 구방식의 사이에 있어서 호환성을 높혀 사용자에 대한 편리성을 높히는 것이다.
신방식의 기록매체(100)는 기록 디스크(110)에 형성된 중심구멍(112)과, 센터허브(120)에 형성된 센터구멍(121)을 가지고, 중심구멍(112)에 끼워 맞추는 센터링부재를 가진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와, 센터구멍(121)에 끼워 맞추는 제 2 센터링부재(313)를 가진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와의 쌍방에 대응시키고, 또 구방식의 기록매체는 중심구멍을 가진 기록 디스크를 센터허브를 가진 카트리지에 내장하고 중심구멍에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의 제 1 센터링부재(312),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의 센터링부재를 끼워 맞추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센터링을 위한 구멍을 가지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디스크형상 기록매체, 카트리지, 드라이브장치 및 드라이브방법{CARTRIDGE TYPE RECORDING MEDIUM AND DISK-SHAPED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HOLE FOR CENTERING EACH THEREOF, CARTRIDGE, DRIVING UNIT AND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기록 디스크를 카트리지에 내장한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및 이 카트리지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드라이브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의 보급에 따라 이 디지털 콘텐츠의 저장매체로서, 최근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디스크형상 기록매체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록매체를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등의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기록매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지름 15mm 정도의 중심구멍에 드라이브장치측에 형성된 볼록형상의 설치부를 끼워 맞추고, 이에 의하여 드라이브장치에 대한 기록매체의 센터링(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그런데 종래의 기록매체는 비교적 강성이 작고, 더구나 열팽창율이 큰 플라스틱성의 기판이 사용되고 있어 이것에 비교적 큰 지름인 15mm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드라이브장치의 설치부에 대하여 단순한 끼워 맞춤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에서는 충분한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단순한 끼워 맞춤으로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특히 기록매체의 중심구멍측에 높은 치수 정밀도, 드라이브장치의 설치부와의 접촉에 의한 변형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강성 등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록매체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장치(10)측의 설치부(11)에 그 외경이 선단부로 감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을 가진 센터링부재(12)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설치부(11)를 가진 드라이브장치(10)에 기록매체(20)를 설치하는 경우, 센터링부재(12)가 테이퍼형상이기 때문에 기록매체(20)의 디스크기판(21)에 형성된 중심구멍(22)의 지름의 오차 등이 흡수되어 위치결정 정밀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설치부(11)에의 기록매체(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중심구멍(22)의 에지부(22a)에 버르가 존재하거나, 먼저의 부착 등이 있는 경우에 드라이브장치(10)의 설치부(11)에 대한 정확한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런데 최근 이들 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기록밀도의 높아짐에는 현저한 것이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는 트랙의 피치(이하, 이를 트랙피치라 함)도 좁아지는 경향에 있다. 이와 같이 트랙피치가 좁아지면 드라이브장치의 픽업으로 확실하게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에 대한 위치결정에 종래보다도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CD와 동일크기로 기록용량이 20GB를 초과하는 차세대 광기록매체 인 HD-DVD 등은 트랙피치가 약 0.3㎛가 되고, 이에 의하여 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에 대한 편심위치 결정 정밀도는 15㎛ 이하로 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식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부터 드라이브장치(10)에 대하여 기록매체(20)를 요구되는 정밀도로 위치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실상이다.
이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SO(International 0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규정의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30)에서는 디스크기판(31)에 형성된 중심구멍(32)에 대하여 더욱 작은 지름의 구멍(33)을 가진 센터허브(34)를 디스크기판(31)에 일체로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이 작은 지름의 구멍(33)과 드라이브장치(40)의 설치부(41)에 설치한 센터링축(42)을 끼워 맞추고, 이에 의하여 기록매체(30)의 드라이브장치(40)에 대한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센터허브(34)에 디스크기판(31)보다도 고강성으로 열팽창율이 작은 재료를 채용하여 중심구멍(32)보다도 더욱 작은 지름의 구멍(33)을 형성함으로써 구멍(33) 자체의 치수 정밀도, 치수 안정성을 중심구멍(32)보다도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기록매체(30)의 드라이브장치(40)에 대한 높은 위치결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지 높은 위치결정 정밀도를 확보한다는 관점으로 하면, 이후 시장에 전개될 기록매체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작은 지름의 구멍(33)이 형성된 센터허브(34)를 사용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에는 CD나 DVD 등의 기록매체가 이미 사용자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기존의 CD나 DVD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기판(21)에 형성된 지름 15mm의 중심구멍(22)에서 위치결정을 행하는 구성(이하, 이것을 구방식이라 적절히 칭함)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앞으로 전개될 기록매체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허브 (34)에 형성된 작은 지름의 구멍(33)으로 위치결정을 행하는 구성(이하, 이것을 신방식이라 적절히 칭함)을 채용하는 것이면 신구방식 사이에서의 호환성이 없어져 사용자측에서는 구방식의 기록매체(20)를 위한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10)와, 신방식의 기록매체(30)를 위한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것으로는 사용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높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높은 호환성을 가지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방식의 기록매체와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의 조합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구방식의 기록매체와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의 조합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유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신방식의 기록매체를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구방식의 기록매체를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 확대도,
도 8은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유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신방식의 기록매체를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구방식의 기록매체를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신방식의 기록매체를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기록매체를 드라이브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ISO 규격에 있어서의 기록매체를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방식의 기록매체(카트리지형 기록매체, 제 1 기록매체)
110 : 기록 디스크 111 : 디스크기판
112 : 중심구멍(제 1 구멍) 120 : 센터허브(허브)
121 : 센터구멍(제 2 구멍) 122 : 자성판
130 : 카트리지 131 : 셔터
200 : 구방식의 기록매체(카트리지형 기록매체, 제 2 기록매체)
210 : 기록 디스크 211 : 디스크기판
212 : 중심구멍(구멍) 220 : 카트리지(카트리지 본체)
221 : 셔터 226 : 허브 유지부
230 : 센터허브(허브) 231 : 센터구멍(작은 지름의 구멍)
232 : 자성판
300 :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
310 : 디스크유지부 311 : 스핀들 테이블
312 : 제 1 센터링부재(고정부재) 313 : 제 2 센터링부재(고정부재)
314 : 탄성부재(돌출치수 변화기구) 316 : 자석
320 : 픽업
400 :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1개만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
410 : 디스크유지부 411 : 스핀들 테이블
412 : 센터링부재(고정부재) 413 : 모터축
A : 공간
이와 같은 목적하에 본 발명의 드라이브장치는 기록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유지부에 소정의 외경을 가지는 제 1 센터링부재와, 제 1 센터링부재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센터링부재와, 제 1 센터링부재에 대한 제 2 센터링부재의 기록 디스크를 향한 돌출치수를 변화시키는 돌출치수 변화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돌출치수 변화기구로서는 제 2 센터링부재를 제 1 센터링부재에 대하여 전진시킴으로써 돌출치수를 변화시킬 수도 있으나, 제 1 센터링부재를 제 2 센터링부재에 대하여 후퇴 가능하게 하고, 다시 제 1 센터링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는 중심부에 센터링을 위한 제 1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기록 디스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와, 기록 디스크에 일체로 설치되어 중심부에 제 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구멍이 형성된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기록 디스크는 제 1 구멍과 제 2 구멍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센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를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크장치에 대응시키는 경우, 디스크장치의 디스크유지부에서는 제 2 센터링부재를 제 2 구멍(센터링 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한다.
또 이와 같은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를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종래부터의 드라이브장치에 대응시키는 경우, 드라이브장치의 센터링부재를 제 1 구멍에 끼워 맞추어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중, 카트리지를 제외한 기록 디스크와 허브만으로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는 중심부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기록 디스크의 한쪽 면에 고정되어 제 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제 2 구멍을 가진 허브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허브는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디스크를 드라이브장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 1 구멍 또는 제 2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대향하는 쪽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기록 디스크 및 허브는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가진 박스형상의 카트리지내에 수납 가능하고, 카트리지내에 수납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형 기록매체와 동일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기록 디스크를 수납하여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가지는 카트리지와, 기록 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카트리지에 유지되어 중심부에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이 형성된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로서 받아들일 수 도 있다.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 즉 종래부터의 CD나 DVD 등의 기록 디스크를 카트리지에 수납하면 이와 같은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단, 어디까지나 카트리지는 기록 디스크의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이형성된 허브를 기록 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형 기록매체의 경우, 기록 디스크의 센터링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록 디스크의 구멍을 사용하여 행한다. 상기한 드라이브장치와 같이 제 1 센터링부재와 이것보다도 작은 지름의 제 2 센터링부재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해서는 제 1 센터링부재가 기록 디스크의 구멍에 삽입된다. 이 때 허브의 작은 지름의 구멍에는 제 2 센터링부재가 삽입되나, 허브는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기록 디스크의 센터링에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을 CD나 DVD 등의 기록 디스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 단체로서 해석하면 이 카트리지는 박스형상의 카트리지 본체와, 기록 디스크의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을 가진 허브와,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되어 허브를 구멍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허브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허브 유지부는 허브를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기록 디스크의 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지름을 가진 중심구멍과,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허브를 가지는 기록 디스크를 상기한 바와 같은 드라이브장치에 대응시킬 때에는 드라이브장치의 디스크 유지부에서는 제 1 센터링부재를 중심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중심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이 형성된 허브를 카트리지에 내장한 카트리지형 기록매체에 대하여기록/재생을 행하는 드라이브장치로서 받아 들일 수도 있다. 이 드라이브장치는 기록 디스크의 중심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는 센터링부재와, 기록 디스크의 일면측이 맞닿는 테이블면을 가진 테이블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허브에 작은 지름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을 사용하여 센터링하는 것은 아니고 기록 디스크의 중심구멍을 사용하여 센터링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드라이브방법은 중심구멍을 가진 기록 디스크 및 기록 디스크와 “일체"로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을 가진 허브를 카트리지내에 수납한 제 1 기록매체와, 중심구멍을 가진 기록 디스크 및 기록 디스크는 "별개체"로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을 가진 허브를 카트리지내에 수납한 제 2 기록매체의 드라이브방법으로서,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로 제 1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작은 지름의 구멍에 작은 쪽의 센터링부재를 끼워 맞추어 기록 디스크를 위치결정하고,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로 제 2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중심구멍에 큰 쪽의 센터링부재를 끼워 맞추어 기록 디스크를 위치결정하고, 1개만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로 제 1 또는 제 2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중심구멍에 1개만의 센터링부재를 끼워 맞추어 기록 디스크를 위치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언하면, 제 1 기록매체는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의 경우, 허브로 센터링하고, 1개만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의 경우에 기록 디스크로 센터링한다. 또 제 2 기록매체는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 1개만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 중 어느 쪽에 대해서도 기록 디스크로 센터링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기록매체, 제 2 기록매체,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진 드라이브장치, 1개만의 센터링부재를 가진 드라이브장치 사이에서, 이른바 컴패티블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제 1 드라이브장치 및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제 2 드라이브장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로서, 제 1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의 센터링부재를 중심부에 맞닿게 하여 이 제 1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기 위한 제 1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이 기록 디스크를 수납하여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가지는 카트리지와, 기록 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카트리지에 유지되고, 제 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또한 제 2 드라이브장치의 센터링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이 제 2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구멍이 중심부에 형성된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는 기록 디스크와 함께 이 기록 디스크에 동심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제 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또한 제 2 드라이브장치의 센터링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이 제 2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구멍이 중심부에 형성된 허브를 구비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살피면, 본 발명은 센터링용 구멍을 가진 제 1 기록 디스크 및 센터링용 구멍을 가진 제 2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브장치로서, 이 제 1 기록 디스크 및 제 2 기록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에 소정의 외경을 가지고, 이 제 1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한 제 1 센터링부재와, 이 제 1 센터링부재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제 2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센터링부재와, 이 제 1 센터링부재에 대한 제 2 센터링부재의 기록 디스크를 향한 돌출치수를 변화시키는 돌출치수 변화기구를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은 제 1 기록 디스크와 제 2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제 1 센터링부재와 제 1 센터링부재보다도 작은 제 2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드라이브장치를 사용하여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브방법으로서, 이 제 1 기록 디스크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제 1 센터링부재를 사용하여 위치결정을 행하고, 제 2 기록 디스크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제 2 센터링부재를 사용하여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작은 지름의 구멍을 사용하여 위치결정을 행하는 기록매체를 신방식의 기록매체, 디스크기판에 형성된 중심구멍을 사용하여 위치 결정을 행하는 기록매체를 구방식 대응의 기록매체라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는 먼저 신방식, 구방식 대응의 기록매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방식의 기록매체(카트리지형 기록매체, 제 1 기록매체)(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방식의 기록매체(100)는 기록 디스크(110)에 센터허브(허브)(120)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것이 카트리지(130)내에 수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록 디스크(110)는 플라스틱계 재료로 이루어지는 디스크기판(111)의 중심부에 지름 15mm 정도의 중심구멍(제 1 구멍)(112)이 형성되고, 그 일면측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록층(113) 및 보호층(도시 생략) 등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센터허브(120)는 대략 원형으로 기록 디스크(110)의 다른 면측, 즉 기록층 (113)과는 반대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그 중심부에 지름 2∼6mm 정도의 센터구멍(제 2 구멍)(121)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센터허브(120)는 센터구멍(121)이 형성된 원판부(120a)에 대하여 그 바깥 둘레측으로부터 기록 디스크(110)측에 소정치수 연장되는 둘레 벽부(120b)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센터허브 (120)의 원판부(120a) 및 둘레 벽부(120b)와, 디스크기판(111)의 다른 면측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가진 공간(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간(A) 중에는 원판형상의 자성판(122)이 기록 디스크(11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즉, 이 자성판(122)은 기록 디스크(110) 및 센터허브(120)에 대하여 헐겁게 끼우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자성판(122)에는 기록 디스크(110)의 중심구멍(112)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또한 센터허브(120)의 센터구멍(121)보다도 큰 지름의 관통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센터허브(120)를 일체로 구비한 기록 디스크(110)를 내장하는 카트리지(130)는 박형 박스형상으로, 그 일면측에 설치된 셔터(131)가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셔터(131)는 단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상으로, 그 기초 끝부가 카트리지(130)의 일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재(132)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셔터(131)의 선단부측은 카트리지(130)에 일체로 설치된 가압부재 (133)에 의하여 그 부상(浮上)이 방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130)의 안 둘레면에는 단부(段部)(1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134)에 의하여 기록 디스크(110)의 바깥 둘레부만이 카트리지(130)의 안 둘레면에 접촉하고, 그 안 둘레측의 기록층(113)에 대하여 기록/재생을 행하는 범위가 카트리지(130)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130)에 기록 디스크(110)는 그 기록층(113)측의 면을 셔터(131)에 대향시킨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즉 셔터(131)를 개방하였을 때에 기록 디스크(110)의 기록층(113)측의 면이 노출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구방식 대응의 기록매체(카트리지형 기록매체, 제 2 기록매체)(200)는 기록 디스크(210)를 카트리지(카트리지 본체)(220)에 내장하고,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에도 대응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방식 대응(이하, 단지 구방식이라 함)의 기록매체(20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CD나 DVD 등의 디스크형상의 기록매체 (20)와 동일한 디스크기판(211)의 일면측에 기록층(213)을 가지고, 그 중심부에 지름 15mm의 중심구멍(구멍)(212)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210)를 카트리지(220)에 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록 디스크(210)를 수납하는 카트리지(220)는 도 1에 나타낸 카트리지(130)와 마찬가지로 그 일면측에 슬라이드부재(222)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개폐하는 셔터(221)를 가지고 있다. 이 셔터(221)도 가압부재(223)에 의하여 선단부의 부상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220)의 안 둘레면에는 단부(22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 (224)에 의하여 기록 디스크(210)의 바깥 둘레부만이 카트리지(220)의 안 둘레면에 접촉하고, 그 안 둘레측의 기록층(213)에 대하여 기록/재생을 행하는 범위가 카트리지(220)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220)는 기록 디스크(210)를 수납하는 공간에 면하는 안 둘레면의 일면측에 센터허브(허브)(230)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허브(230)는 외형 대략 원형으로, 그 중심부에 지름 2 내지 6mm 정도의 센터구멍(작은 지름의 구멍)(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센터허브(230)는 그 외형치수가 기록 디스크(210)에 대향하는 쪽의 면으로부터 반대측의 면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부(230a)를 가지고 있다. 또 이 센터허브(230)는 원판형상의 자성판(232)을 내장하고 있다. 또 센터허브(230)에는 기록 디스크(210)에 형성된 중심구멍(212)과 대략 동일지름을 가진 릴리프 오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센터허브(230)를 유지하기 위하여 카트리지(220)측에는 한쪽의 안 둘레면으로부터 셔터(221)가 형성되어 있는 쪽을 향하여 소정치수 상승하는 둘레 벽부(226a)와, 그 둘레 벽부(226a)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연장 돌출하는 지지부(226b)로 이루어지는 허브 유지부(2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226b)의 내경은 센터허브(230)의 테이퍼부(230a)의 최대 지름부보다도 작고, 또한 최소 지름부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센터허브(230)는 테이퍼부(230a)를 지지부(226b)에 지지시킨 상태로 둘레 벽부(226a)의 상승방향, 즉 기록 디스크(210)의 두께 방향으로 둘레 벽부 (226a)의 높이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센터허브 (230)는 최소 지름부가 지지부(226b)의 내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허브 유지부(226)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센터허브(230)도 헐겁게 끼우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 신방식,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방식,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를 불문하고 디스크유지부와 픽업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는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이고, 디스크 유지부(310)와 그 근방에 설치된 기록/재생용 픽업(32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부(310)는 기록매체에 맞닿는 테이블면(311a)을 가진 스핀들 테이블(311), 구방식의 기록 디스크(210)(도 2참조)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센터링부재(고정부재)(312), 신방식의 기록 디스크(110)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센터링부재(고정부재)(313), 제 1 센터링부재(312)를 스핀들 테이블 (31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돌출치수 변화기구)(314), 탄성부재(314)의 가압에 의한 제 1 센터링부재(312)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315), 자석(316) 및 요크(317)를 가지고 있다.
스핀들 테이블(311)은 제 2 센터링부재(313)가 관통하는 관통구멍(311b)을 가진 바닥판부(311c)와, 바닥판부(311c)의 바깥 둘레측으로부터 상승하는 둘레 벽부 (311d)와, 둘레 벽부(311d)로부터 그 바깥 둘레측으로 연장 돌출하여 테이블면 (311a)이 형성된 테이블부(311e)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스핀들 테이블 (311)에는 제 1 센터링부재(312), 탄성부재(314), 자석(316), 요크(317) 등을 수납하는 오목부(311f)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센터링부재(312)는 외형이 원형으로, 그 바깥 둘레면(312a)이 선단으로 감에 따라 외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 센터링부재 (312)의 기초 끝측에는 그 바깥 둘레측으로 튀어나오는 돌출부(31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 1 센터링부재(312)에는 요크(317)를 수납할 뿐의 관통구멍(312c)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14)는 제 1 센터링부재(312)의 기초 끝부와, 스핀들 테이블(311)의 바닥판부(311c) 사이에 압축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제 1 센터링부재 (312)를 스핀들 테이블(31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스핀들 테이블(311)의 테이블부(311e)에는 테이블면(311a)에 대하여 1단 낮게 형성된 단부(311g)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부(311g)에는 링형상의 스토퍼 (31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스토퍼(315)는 제 1 센터링부재(312)의 바깥 둘레측으로 튀어 나온 돌출부(312b)에 간섭함으로써 제 1 센터링부재(312)의 이동을 규제한다.
자석(316)은 스핀들 테이블(311)의 바닥판부(311c)에 일체로 고정되어 탄성부재(314)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요크(317)는 이 자석(316)과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한 제 1 센터링부재(312)의 관통구멍(312c)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요크(317) 및 스핀들 테이블(311)은 금속계 재료 등, 자석(316)의 자장내에서 자화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센터링부재(313)는 예를 들면 기록 디스크(110, 210)를 회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도시 생략)의 모터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2 센터링부재(313)는 소정의 외경을 가진 대략 원주형상의 샤프트이고 스핀들 테이블 (311) 관통구멍(311b), 자석(316) 및 요크(317)에 형성된 관통구멍(316a, 317a)을 관통하여 그 선단부(313a)가 요크(317) 및 제 1 센터링부재(312)의 선단부보다도 돌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2 센터링부재(313)는 그 선단부(313a)가 선단으로 감에 따라 외경이 작은 지름이 되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 유지부(310)에서는 제 1 센터링부재(312)를 도 3 중의 화살표방향으로 누르면 탄성부재(314)가 압축변형하고, 이에 의하여 제 1 센터링부재 (312)가 제 2 센터링부재(3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퇴한다. 이에 의하여 제 2 센터링부재(313)의 제 1 센터링부재(312)에 대한 돌출치수가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센터링부재(312)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314)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 1 센터링부재(312)는 돌출부(312b)가 스토퍼(315)에 맞닿을 때까지 전진하고, 이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1 및 도 4, 도 5는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에 상기에서 설명한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를 조합시키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의 디스크 유지부(310)를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에 대향시킨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의 카트리지(130)의 셔터(131)를 개방하여 기록 디스크(110)에 대하여 디스크 유지부(310) 및 픽업(320)을 전진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 테이블(311)의 테이블면(311a)이 기록 디스크(110)의 기록층(113)측에 맞닿고, 그 상태에서 제 2 센터링부재(313)의 선단부(313a)가 기록 디스크(110)와 일체로 설치된 센터허브(120)의 센터구멍(121)에 삽입되고, 이에 의하여 기록 디스크(110)가 디스크 유지부(310), 즉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즉 신방식의 기록매체 (100)는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대한 기록 디스크(110)의 센터링을 센터허브 (120)에 의하여 행하고 있다.
이때 자성판(122)은 디스크 유지부(310)의 자석(316)에 자화된 요크(317) 및 스핀들 테이블(311)에 흡착되어 센터허브(120)의 공간 A 내에서 기록 디스크(110)측으로 이동하여 기록 디스크(110)를 스핀들 테이블(311)에 가압하여 이것을 끼워 유지한다.
또 제 1 센터링부재(312)는 기록 디스크(110)에 형성된 중심구멍(112)의 안쪽에 삽입되는 것이나, 자성판(122)에 닿아 후퇴하여 제 2 센터링부재(313)를 상대적으로 돌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 중심구멍(112)의 안쪽으로 삽입된 상태에서제 1 센터링부재(312)는 후퇴하고 있고, 또한 그 바깥 둘레면(312a)은 테이퍼형상이기 때문에 중심구멍(112)과 간섭하지 않는다.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서는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의 기록 디스크 (110)를 이와 같이 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스핀들 모터(도시 생략)에 의하여 드라이브하고, 픽업(320)에 의한 기록층(113)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한다.
도 2 및 도 6, 도 7은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에 대하여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를 대응시킨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의 디스크 유지부(310)를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에 대향시킨 상태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의 카트리지(220)의 셔터(221)를 개방하고,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의 디스크 유지부(310) 및 픽업(320)을 전진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 테이블(311)의 테이블면(311a)이 기록 디스크(210)의 기록층(213)측에 맞닿은 시점에서 제 1 센터링부재(312)의 바깥 둘레면(312a)과 기록 디스크(210)에 형성된 중심구멍(212)이 끼워 맞춰지고, 이에 의하여 구방식의 기록매체(200)가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즉, 구방식의 기록매체(200)는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대한 센터링을 기록 디스크(210)에 의하여 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기록 디스크(210)는 디스크 유지부(310)에 눌리어 카트리지 (220)내에서 그 두께방향으로 이동하여 허브 유지부(226)에 유지된 센터허브(230)에 맞닿는다. 그리고 디스크 유지부(310)의 제 2 센터링부재(313)는 그선단부(313a)가 센터허브(230)의 센터구멍(231)에 삽입되나, 이 센터허브(230)는 기록 디스크 (210)와 일체화되어 있지 않고, 또한 그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기록 디스크(210)의 위치결정에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
또 이 센터허브(230)에는 자성판(232)이 내장되고 있고, 이 자성판(232)이 디스크 유지부(310)의 자석(316)에 자화된 요크(317) 및 스핀들 테이블(311)에 흡착됨으로써 센터허브(230)는 기록 디스크(210)를 스핀들 테이블(311)에 가압하여 이것을 끼워 유지한다.
또한 디스크 유지부(310)의 제 1 센터링부재(312)는 그 선단부가 센터허브 (230)에 형성된 릴리프 오목부(233)내에 수납되어 센터허브(230)와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제 1 센터링부재(312)가 센터허브(230)에 의하여 부주의로 밀어 내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서는 이와 같이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의 기록 디스크(210)를 중심구멍(212)에서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스핀들 모터에 의하여 드라이브하여 픽업(320)에 의한 기록층(213)에 대한 기록/재생을 행한다.
다음에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를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와,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에 대응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내는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는 도 12에 나타낸 드라이브장치 (10)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는 1개만의 센터링부재 (412)를 가지는 것으로, 디스크 유지부(410)와 도시 생략한 픽업을 가지고 있다.
디스크 유지부(410)는 도 3에 나타낸 스핀들 테이블(311)과 마찬가지로 테이블면(411a)을 가진 스핀들 테이블(411), 제 1 센터링부재(312)와 마찬가지로 테이퍼형상의 바깥 둘레면(412a)을 가진 센터링부재(고정부재)(412),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14), 센터링부재(412)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415), 자석(416), 요크 (417)를 가지고, 다시 기록매체를 회전구동하는 스핀들 모터의 모터축(413)이 스핀들 테이블(411) 및 자석(416), 요크(417)를 관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의 디스크 유지부(410)와 도 3에 나타낸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의 디스크 유지부(310)와의 상위점은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 (300)에서는 제 2 센터링부재(313)가 제 1 센터링부재(312)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제 1 센터링부재(312)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제 2 센터링부재(313)가 상대적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데 대하여, 도 8에 나타낸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에서는 스핀들 모터의 모터축(413)이 스핀들 테이블(411), 자석(416), 요크(417)를 관통하고 있으나(반드시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스핀들 모터의 모터축(413)이 기록 디스크(110, 210)의 센터링기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그 선단부 (413a)가 센터링부재(412)보다도 돌출하고 있지 않는(돌출시킬 필요가 없다) 것에 있다.
도 9는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에 상기한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를 조합시킨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의 셔터(131)(도 1참조)를 개방한 상태에서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의 디스크 유지부(410)를 전진시켜 스핀들 테이블(411)의 테이블면(411a)을 기록 디스크(110)의 기록층(113)측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센터링부재(412)의 테이퍼형상의 바깥 둘레면(412a)이 기록 디스크(110)에 형성된 중심구멍(112)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기억 디스크(110)가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즉, 신방식의 기록매체(100)는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에 대한 센터링을 기록 디스크(110)에 의하여 행하고 있다.
단, 이 경우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에서는 자성판(122)이 센터허브(120)에 대하여 헐겁게 끼우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석(416)에 자화된 요크(417) 및 스핀들 테이블(411)에 흡착된 자성판(122)이 센터링부재(412)를 밀어 내리면 센터링부재(412)의 바깥 둘레면(412a)과 기록 디스크(110)의 중심구멍(112)의 안 둘레면 사이에 간극이 생겨 기록 디스크(110)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일도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 디스크(110)와 자성판 (122) 사이에 스페이서(500)를 개재시키고, 이에 의하여 자성판(122)의 이동을 규제하여 센터링부재(412)가 불필요하게 밀어 내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은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에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 (400)를 조합시킨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의 셔터(221)(도 2 참조)를 개방한 상태에서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의 디스크 유지부(410)를 전진시켜 스핀들 테이블(411)의 테이블면(411a)을 기록 디스크(210)의 기록층(213)측에 맞닿게 한다. 그렇게 하면 그 상태에서 센터링부재(412)의 테이퍼형상의 바깥 둘레부(412a)가 기록디스크(210)에 형성된 중심구멍(212)에 끼워 맞추어지고, 이에 의하여 구방식의 기록매체(200)가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즉 구방식의 기록매체(200)는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에 대한 센터링을 기록 디스크(210)에 의하여 행하고 있다.
이때 카트리지(220)측에 구비되어 있는 센터허브(230)는 자성판(232)이 디스크 유지부(410)의 자석(416)에 자화된 요크(417) 및 스핀들 테이블(411)에 흡착됨으로써 기록 디스크(210)를 디스크 유지부(410)의 테이블면(411a)에 가압하여 이것을 끼워 유지한다. 이때 센터허브(230)에는 릴리프 오목부(23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링부재(412)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이것을 부주의로 밀어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방식의 기록매체(100)는 기록 디스크(110)에 형성된 중심구멍(112)과, 센터허브(120)에 형성된 센터구멍(121)을 가지고 있어 중심구멍 (112)에 끼워 맞추는 테이퍼형상의 센터링부재(412)를 가진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 (400)와, 센터구멍(121)에 이것에 대응한 제 2 센터링부재(313)를 삽입하여 위치결정을 도모하는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의 쌍방에 대응한 것이 된다. 그리고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센터허브(120)에 형성된 작은 지름의 센터구멍(121)으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더욱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구방식의 기록매체(200)는 기록 디스크(210)를 센터허브(230)를 가진 카트리지(220)에 내장하고 있고, 제 2 센터링부재(313)가 돌출하고 있는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대해서는 기록 디스크(210)에 일체화되어 있지 않은 센터허브 (230)의 센터구멍(231)에 제 2 센터링부재(313)를 끼워 맞추는 것이나, 실제의 위치결정은 기록 디스크(210)의 중심구멍(212)에 제 1 센터링부재(312)를 끼워 맞춤으로써 행한다. 이에 의하여 기록 디스크(210)가 예를 들면 CD 등의 종래부터의 기록매체인 경우에도 이것을 카트리지(220)에 내장하면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은 카트리지(220)에 내장된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에서는 종래와 동일하게 하여 스핀들 모터의 모터축(413)이 돌출하고 있지 않은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의 디스크 유지부(410)에 대하여 센터링부재(412)를 기록 디스크(210)의 중심구멍(212)에 끼워 맞춤으로써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220)측에 설치된 센터허브(230)는 센터링에는 간섭하지 않아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방식의 기록매체(200)는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와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의 쌍방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에서 보면,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에 대해서는 작은 지름의 제 2 센터링부재(313)를 사용하여 센터허브(120)에 형성된 센터구멍(121)에 대한 끼워 맞춤에 의하여 위치결정을 행하고,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에 대해서는 큰 지름의 제 1 센터링부재(312)를 기록 디스크(210)의 중심구멍(212)에 끼워 맞춤으로써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는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와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의 쌍방에 대응할수 있는 것이다.
또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는 센터허브(120)가 일체로 설치된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이어도 기록 디스크(110)에 형성된 중심구멍(112)에 센터링부재(412)를 끼워 맞춤으로써 이것의 위치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센터허브(230)를 구비한 카트리지(220)에 내장된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기록 디스크(210)에 형성된 중심구멍(212)에 센터링부재(412)를 끼워 맞춤으로써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즉,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는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와 구방식의 기록매체(200)의 쌍방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방식의 기록매체(100), 구방식의 기록매체(200),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는 모두 4가지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른바 컴패티블화한 높은 호환성을 가진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 중 어느 것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신방식의 기록매체(100)나 구방식의 기록매체 (200)를 아무런 지장없이 기록/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은 호환성을 가진 시스템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높은 편리성을 누릴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신방식의 기록매체(100)에 있어서 센터허브(120)내에서 자성판(122)이 헐겁게 끼우는 구조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헐겁게 끼우는 구조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 테이블(311)의 테이블면(311a)이 기록디스크(110)에 맞닿아 제 1 센터링부재(312)가 밀어 내려진 상태에서 제 2 센터링부재 (313)가 센터허브(120')의 센터구멍(121)에 확실히 삽입되어 기록 디스크(110)를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각 부의 치수를 설정하면 자성판(122')을 센터허브(120')에 일체화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130, 220)에 셔터(131, 221)를 한쪽 면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을 양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즉 카트리지(130, 220)의 양면측에서 개폐하는 셔터를 설치하여 한쪽 면에 기록층(113, 213)을 가지는 기록 디스크(110, 210) 대신에 양면에 기록층을 가지는 기록 디스크를 내장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신방식의 기록매체(100), 구방식의 기록매체(200), 신방식의 드라이브장치(300), 구방식의 드라이브장치(400)의 각 부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호환성을 가지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8)

  1. 중심부에 센터링을 위한 제 1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상기 기록 디스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와;
    상기 기록 디스크에 일체로 설치되어, 중심부에 상기 제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해당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구멍이 형성된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일체화된 상기 허브와 상기 기록 디스크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서 해당 기록 디스크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형상의 자성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3.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상기 기록 디스크를 수납하여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가지는 카트리지와;
    상기 기록 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유지되어 중심부에 상기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이 형성된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센터링부재와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보다도 작은 지름의 제 2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에 상기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를 장착할 때, 상기 작은 지름의 구멍에 상기 제 2 센터링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5.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제 1 드라이브장치 및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제 2 드라이브장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로서,
    상기 제 1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센터링부재를 중심부에 맞닿게 하여 상기 제 1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기 위한 제 1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상기 기록 디스크를 수납하고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가지는 카트리지와;
    상기 기록 디스크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카트리지에 유지되고,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또한 상기 제 2 드라이브장치의 상기 센터링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구멍이 중심부에 형성된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
  6. 중심부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상기 기록 디스크의 한쪽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제 2 구멍을 가진 허브를 구비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상기 기록 디스크를 드라이브장치에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구멍 또는 상기 제 2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에 대향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상 기록매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디스크 및 상기 허브는 개폐 가능한 셔터를 가진 박스형상의 카트리지내에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상 기록매체.
  8.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제 1 드라이브장치 및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제 2 드라이브장치로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형상 기록매체로서,
    상기 제 1 드라이브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센터링부재를 중심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제 1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기 위한 제 1 구멍이 형성된 기록 디스크와;
    상기 기록 디스크에 동심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또한 상기 제 2 드라이브장치의 상기 센터링부재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드라이브장치에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구멍이 중심부에 형성된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디스크형상 기록매체.
  9. 내부에 기록 디스크가 수납 가능한 박스형상의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기록 디스크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을 가진 허브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허브를 해당 허브의 구멍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허브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유지부는 상기 허브를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되는 기록 디스크의 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1.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재생을 행하는 드라이브장치로서,
    상기 기록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에,
    소정의 외경을 가지는 제 1 센터링부재와;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센터링부재와;
    상기 제 1 센터링부재에 대한 상기 제 2 센터링부재의 상기 기록 디스크를 향한 돌출치수를 변화시키는 돌출치수 변화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치수 변화기구로서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를 상기 제 2 센터링부재에 대하여 후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유지부로 유지하는 상기 기록 디스크가 상기 기록 디스크의 중심부에 형성된 소정지름을 가진 중심구멍과, 상기 기록 디스크에 고정된 허브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센터링구멍을 가질 때, 상기 디스크유지부는 상기 제 2 센터링부재를 상기 센터링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유지부에서 유지하는 상기 기록 디스크가, 상기 기록 디스크의 중심부에 형성된 소정지름을 가진 중심구멍과, 상기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허브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을 가질 때, 상기 디스크 유지부는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를 상기 중심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장치.
  15. 기록 디스크를 카트리지에 내장한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브장치로서,
    중심부에 중심구멍이 형성된 상기 기록 디스크와 상기 중심구멍보다도 작은지름의 구멍이 형성된 허브를 내장한 상기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할 때에 상기 기록 디스크의 상기 중심구멍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는 센터링부재와;
    상기 기록 디스크의 일면측이 맞닿는 테이블면을 가진 테이블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장치.
  16. 센터링용 구멍을 가진 제 1 기록 디스크 및 센터링용 구멍을 가진 제 2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드라이브장치로서,
    상기 제 1 기록 디스크 및 상기 제 2 기록 디스크를 유지하는 디스크 유지부에,
    소정의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 1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한 제 1 센터링부재와;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 2 기록 디스크를 센터링하기 위한 제 2 센터링부재와;
    상기 제 1 센터링부재에 대한 상기 제 2 센터링부재의 상기 기록 디스크를 향한 돌출치수를 변화시키는 돌출치수 변화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장치.
  17. 중심구멍을 가진 기록 디스크 및 해당 기록 디스크와 일체로 상기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을 가진 허브를 카트리지내에 수납한 제 1 기록매체와, 중심구멍을 가진 기록 디스크 및 상기 기록 디스크와는 별체로 상기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의 구멍을 가진 허브를 카트리지내에 수납한 제 2 기록매체의 드라이브방법으로서,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에서 상기 제 1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상기 작은 지름의 구멍에 작은 쪽의 상기 센터링부재를 끼워 맞추어 기록 디스크를 위치 결정하고,
    대소 2개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로 상기 제 2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상기 중심구멍에 큰 쪽의 상기 센터링부재를 끼워 맞추어 기록 디스크를 위치 결정하고,
    1개만의 센터링부재를 가지는 드라이브장치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록매체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상기 중심구멍에 상기 1개만의 센터링부재를 끼워 맞추어 기록 디스크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방법.
  18. 센터링용 중심구멍을 가진 제 1 기록 디스크와 상기 중심구멍보다도 작은 지름인 센터링용 중심구멍을 가진 허브를 일체로 설치한 제 2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제 1 센터링부재와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보다도 작은 제 2 센터링부재를 구비한 드라이브장치를 사용하여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브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 디스크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상기 제 1 센터링부재를 사용하여 위치결정을 행하고,
    상기 제 2 기록 디스크를 드라이브할 때에는 상기 제 2 센터링부재를 사용하여 위치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방법.
KR10-2003-0010285A 2002-02-26 2003-02-19 센터링을 위한 구멍을 가지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디스크형상 기록매체, 카트리지, 드라이브장치 및드라이브방법 KR200300708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49985 2002-02-26
JPJP-P-2002-00049985 2002-02-26
JPJP-P-2003-00016309 2003-01-24
JP2003016309A JP4355145B2 (ja) 2002-02-26 2003-01-24 センタリングのための孔を有するカートリッジ型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822A true KR20030070822A (ko) 2003-09-02

Family

ID=2779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285A KR20030070822A (ko) 2002-02-26 2003-02-19 센터링을 위한 구멍을 가지는 카트리지형 기록매체,디스크형상 기록매체, 카트리지, 드라이브장치 및드라이브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73186B2 (ko)
JP (1) JP4355145B2 (ko)
KR (1) KR20030070822A (ko)
CN (2) CN101075452A (ko)
TW (1) TWI262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0564B2 (ja) * 2003-10-1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調芯装置
KR20090048832A (ko) * 2007-11-12 2009-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구동 장치.
KR100918853B1 (ko) * 2007-11-12 2009-09-28 삼성전기주식회사 턴테이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구동 장치
TW201207848A (en) * 2010-08-04 2012-02-16 Quanta Storage Inc Clamping device of optical disc
US11651793B1 (en) * 2022-01-05 2023-05-1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hub for retaining magnetic recording media for film thickness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4448A (en) * 1984-05-15 1987-09-15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Disc case
NL8403582A (nl) * 1984-11-26 1986-06-16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centreren, richten en vastklemmen van een optische plaat.
US5208798A (en) * 1987-11-30 1993-05-04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ouble-sided disk player
US5241441A (en) * 1989-03-09 1993-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k cartridge with lubricating means in contact with spindle of drive means
CA2015416C (en) * 1989-04-27 1994-12-27 Yoshinori Takahashi Disc cartridge
US5025340A (en) * 1989-10-16 1991-06-18 Roger Peters Rotary chuck for centering and retaining data discs
US6038206A (en) * 1991-02-07 2000-03-14 Sony Corporation Disc table for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155556B2 (ja) * 1991-04-10 2001-04-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磁気デイスク
JP3036108B2 (ja) * 1991-04-25 2000-04-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U665947B2 (en) * 1991-05-29 1996-01-25 Sony Corporation Optical dis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optical disc
JPH04360056A (ja) 1991-06-06 1992-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2821060B2 (ja) * 1992-06-03 1998-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815525B2 (ja) * 1992-08-19 1998-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JPH06150504A (ja) 1992-11-04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3194557B2 (ja) * 1993-03-10 2001-07-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記録ディスクの芯出し方法及び機構
JP2981368B2 (ja) 1993-06-14 1999-11-2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保持装置
JP2981381B2 (ja) 1993-10-22 1999-11-2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保持装置
JPH0714274A (ja) 1993-06-25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ーンテーブル装置
US5381402A (en) * 1993-07-07 1995-01-1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Removable disk cartridge for use with a rotary actuated disk drive
US6044058A (en) * 1993-08-24 2000-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aptor cartridge for mounting a second disk in a device designed to mount a first-disk cartridge
TW238381B (en) * 1993-10-29 1995-01-11 Ibm Optical data storage cartridge system
DE69522472T2 (de) * 1994-03-18 2002-04-04 Opticord Inc Schutzkassette für wiederbeschreibbare optische platte
JPH08235712A (ja) 1995-03-01 1996-09-13 Ricoh Co Ltd ドライブ装置
US5731929A (en) * 1995-05-01 1998-03-24 Canon Kabushiki Kaisha Disk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with disk clamp mechanism comprising a caddie holding a first disk and a spindle centering a second disk
JP3145631B2 (ja) * 1995-05-25 2001-03-1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ハブ無しディスク用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ディスク媒体ライブラリ
JP3641060B2 (ja) 1996-03-27 2005-04-20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US5917802A (en) * 1996-04-16 1999-06-2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Clamp centering device of an optical disc player
JPH10302426A (ja) * 1997-04-28 1998-11-13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312664A (ja) * 1997-05-08 1998-11-24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85911B2 (ja) 1997-07-29 2005-08-24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パチブルドライブ装置
CA2243786A1 (en) * 1997-07-31 1999-01-31 Yasushi Tomita Recording medium and disc cartridge
JPH11185425A (ja) 1997-12-19 1999-07-09 Hitachi Maxell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249506B1 (en) * 1998-01-27 2001-06-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dium attaching device and disk drive apparatus
JP2001006210A (ja) * 1999-06-22 2001-01-12 Sony Corp 光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035115A (ja) * 1999-07-22 2001-02-09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ディスク用センタコ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28554B2 (en) 2007-06-05
US20030214855A1 (en) 2003-11-20
CN1441424A (zh) 2003-09-10
TW200305142A (en) 2003-10-16
JP2003323774A (ja) 2003-11-14
CN1296927C (zh) 2007-01-24
US7073186B2 (en) 2006-07-04
CN101075452A (zh) 2007-11-21
JP4355145B2 (ja) 2009-10-28
TWI262479B (en) 2006-09-21
US20060195855A1 (en)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4002B2 (ja) ディスクテーブル及び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930002404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7228554B2 (en) Cartridge type recording medium and disk-shaped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hole for centering each thereof, cartridge, driving unit and driving method
JP200122963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406657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구동장치
US6147962A (en) Data storage cartridge having a restraining mechanism
EP1467365B1 (en) Disk drive unit
EP1049092B1 (en) Disk cartridge
JP2007149279A (ja) トレイ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WO2009104462A1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641060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4373394B2 (ja) ディスク媒体保持装置、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媒体駆動装置
JP3544393B2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3237213B2 (ja) 情報信号記録用のディスク
JP3097209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657597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431091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638247B2 (ja) ディスク装置
JP306326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925955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14965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10934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174463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複数サイズのカートリッジの組み合せ
US20060064713A1 (en) Disc cartridge, and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using the disc cartridge
JPH01227282A (ja) ディスクカセ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