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029A - 당뇨병 치료제 - Google Patents

당뇨병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029A
KR20030070029A KR10-2003-7006508A KR20037006508A KR20030070029A KR 20030070029 A KR20030070029 A KR 20030070029A KR 20037006508 A KR20037006508 A KR 20037006508A KR 20030070029 A KR20030070029 A KR 2003007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rose
arabinose
sugar
diabetes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후지이
스스무 히즈쿠리
오사키시게미쯔
Original Assignee
산와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마코토 후지이
스스무 히즈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와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마코토 후지이, 스스무 히즈쿠리 filed Critical 산와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abet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해 수크로오스(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의 섭취와 동시에 또는 섭취 전에 L-아라비노오스를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라비노오스의 사용 방법.

Description

당뇨병 치료제{REMEDIES FOR DIABETES}
음식물 중 당질의 대부분은 전분이지만, 다량의 수크로오스가 세상에서 가장 바람직한 감미료로서 취해지고 있다. 예컨대 1996년의 일본 및 미국의 각각에 있어서 1인당 하루에 87 g 및 185 g이 소비되고 있다. 수크로오스의 다량 섭취는 고혈당증 및 비만증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비만증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NIDDM)의 잘 알려진 위험 인자이다. 당뇨병을 앓는 사람의 대다수는 NIDDM이다. NIDDM의 치료에는 인슐린 투여 또는 인슐린의 분비를 재촉하는 SU제의 투여 이외에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의 투여 등이 있다. 전 양자는 혈액 중에서 세포 중으로 당질을 받아들이는 것을 촉진하고, 그것에 의해 혈당치를 강하시키는 데 반하여, 후자는 당질을 소화·분해하는 효소(글루코시다아제)의 기능을 억제하고, 소장에서 당질이 소화·흡수되는 것을 지연 및/또는 억제하여 장내에서 혈액 중으로 당질이 받아들여지는 것을 방해하며, 식후의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한다.
한편, L-아라비노오스는 소장의 수크로오스 분해 효소인 수크라아제를 저해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L-아라비노오스의 작용을 이용하여 수크로오스의 분해를 부분적으로 저지하여, 수크로오스의 에너지를 저감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6-65080호 공보에서는, L-아라비노오스가 수크로오스 부하후 30분∼120분에 걸쳐 마우스의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거기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L-아라비노오스의 수크라아제 저해 작용, 식후의 혈당 상승 억제 작용 및 그것에 따른 체중 증가 억제 작용에 불과하고, 혈당치를 강하시키는 것에 따른 당뇨병의 개선·치료의 유효성은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L-아라비노오스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A군 및 B군의 30일간의 사육기간의 혈당치(mg/dl)의 추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C군 및 D군의 30일간의 사육기간의 혈당치(mg/dl)의 추이를 도시한 도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현상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혈당 강하를 초래하는 L-아라비노오스를 이용한 당뇨병 환자에게 유효한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L-아라비노오스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L-아라비노오스 단독으로는 수크라아제 저해 작용에 의한 일시적인 혈당 상승 억제 작용밖에 확인되지 않지만, 당뇨병의 원인 물질인 수크로오스에 L-아라비노오스를 특정한 비율로 혼합한 사료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 KK-Ay에 계속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마우스의 혈당치가 극적으로 저하되고, 당뇨병이 개선·치유되는 것을 생각지도 않게 발견하여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예컨대 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를 수크로오스원으로 함)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이다.
또, 본 발명은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예컨대 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를 수크로오스원으로 함)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이다.
또,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를 위해 수크로오스(예컨대 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를 수크로오스원으로 함)의 섭취와 동시에 또는 섭취 전에 L-아라비노오스를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라비노오스의 사용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를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L-아라비노오스로서는, 종래 공지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11-31370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L-아라비노오스를 구성 당의 일부로 함유하는 식물 섬유를 저농도의 산에 접촉시켜 산 가수분해하여, L-아라비노오스를 선택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고순도, 고효율로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크로오스로서는, 화학적으로 정제된 수크로오스 이외에 수크로오스원으로서 수크로오스 함유물, 예컨대 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또는 음료를 이용할 수 있다. 설탕 제품에는 그 원료, 제법, 정제 정도, 색, 가공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의 것이 있지만,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느 쪽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는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가 장내에서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를 만들 수 있는 한,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를 따로따로 시간을 두고 섭취할 수 있다. 단, L-아라비노오스는 장관으로부터의 흡수가 느려 장시간 장내에 머물고, 한편 수크로오스의 소화 흡수는 빠르기 때문에, L-아라비노오스는 수크로오스(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의 섭취와 동시에 또는 섭취 전에 섭취하는 것이 당뇨병 치료 또는 개선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에서는 L-아라비노오스가 수크로오스에 대하여 0.5∼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의 비율로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L-아라비노오스의 사용량이 상기 하한치보다 적으면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에 의한 병용 효과가 발현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양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는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만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 이들을 공지의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함으로써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제제의 제조는 일반적으로는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를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형의 담체와 배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윤택제 등을 부가하여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 통상 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 액상으로 만들 수 있는 건조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는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의 병용 효과를 유효하게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경구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제의 의약용 담체로서는, 예컨대 전분, 젖당, 백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스타치, 무기염 등이 이용된다. 또한 경구제의 조제에 있어서는,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윤택제, 유동성 촉진제, 교미제(矯味劑),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투여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L-아라비노오스의 양이 성인 1일당 1mg∼10 g/kg이다. 물론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혹은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는 그대로 경구 투여하는 것 외에, 임의의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리, 가공 및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법에 따른 제조를 들 수 있고, 제조된 식품 또는 음료에 있어서 당뇨병 개선 작용을 갖는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가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로서는, 당뇨병 개선 작용을 갖는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가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되어 있으면 특히 그 형상에 한정은 없으며, 타블렛형, 과립형, 캡슐형, 겔형, 졸형 등의 형상의 경구적으로 섭취 가능한 형상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당뇨병 치료제,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에 있어서의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의 병용이 당뇨병의 치료·개선에 유효하다는 이유는 명확히 해명되어 있지 않지만,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가 장내에서 동시에 존재함으로써, 특정한 장내 세균의 수가 증대하거나 또는 활발해져 이들 세균이 혈액 중에서 세포 중으로 당질을 받아들이는 것을 촉진하는 혈당 강하에 유효한 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L-아라비노오스와 수크로오스의 병용에 의한 당뇨병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이하에 도시한다.
실시예 1
고혈당치(260∼270 mg/l)를 나타내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KK-Aγ, 수컷, 8주령, 일본 크레아사)를 20마리 준비하고, 이 마우스를 1주일 예비 사육한 후 2군(A군 및 B군)으로 나누어 시험에 사용하였다. 각 마우스는 개별로 플라스틱 게이지에 넣어져, 12시간 명암 사이클(오전 7시-오후 7시까지가 명 조건, 오후 7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가 암조건)로 23±1℃로 유지하여 사료 및 물의 자유 섭취 하에서 사육되었다. 혈당치(혈액중의 글루코오스 농도)는 오전 9시에 안저정맥총으로부터 채혈하여,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법으로 측정되었다.
A군의 마우스에게는 표 1에 기재한 사료 A(탄수화물원으로서 α-콘스타치, 수크로오스, 셀룰로오스를 함유하지만, L-아라비노오스를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공급하고, B군의 마우스에게는 표 1에 기재한 사료 B(탄수화물원으로서 α-콘스타치, 수크로오스, 셀룰로오스를 함유하고, L-아라비노오스를 함유하는 사료)를 공급하여 30일간 사육하였다.
사료의 조성
조성(중량%) 사료
A B C D
α화 콘 스타치 35.85 35.85 55.85 55.85
스크로오스 20 20 0 0
L-아라비노오스*1 0 2.5 0 2.5
셀룰로오스 5.0 2.5 5.0 2.5
콘유 6 6 6 6
미네랄혼합물*2 6 6 6 6
비타민 혼합물*2 2 2 2 2
콜린크로라이드 0.15 0.15 0.15 0.15
카제인 25 25 25 25
*1L-아라비노오스(98% 순도) 산와 덴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오리엔탈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이와 같이 사육된 A군 및 B군의 30일간의 사육기간의 혈당치(mg/dl)의 추이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수크로오스를 함유하고, L-아라비노오스를 함유하지 않는 사료 A를 부여한 A군은 7일째부터 혈당치가 시종 계속해 상승한 데 반하여, 수크로오스를 함유하고, L-아라비노오스를 함유하는 사료 B를 부여한 B군은 7일째부터 계속 A군보다 낮은 혈당치를 보이고, 21일째 이후는 실험 개시시보다 낮은 혈당치를 보이며, 25일째 이후 30일째까지 분명히 계속적인 혈당치의 저하가 확인되어 당뇨병의 개선·치료적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1의 결과는 수크로오스와 L-아라비노오스의 동시 투여에 의한 협동 작용으로서, 혈당치의 개선·치료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이는 것이지만, 실시예 1만으로는 L-아라비노오스를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라도 동일한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가능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이하의 참고예 1에 있어서 사료에 수크로오스를 가하지 않고, 이 수크로오의 대신하여 α화 콘스타치를 가한 사료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참고예 1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C군의 마우스에게는 표 1에 기재한 사료 C(탄수화물원으로서 α-콘스타치, 셀룰로오스를 함유하지만, 수크로오스도 L-아라비노오스도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공급하고, D군의 마우스에게는 표 1에 기재한 사료 D(탄수화물원으로서 α-콘스타치, 셀룰로오스를 함유하고, L-아라비노오스를 함유하지만, 수크로오스를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공급하여, 30일간 사육하였다.
이와 같이 사육된 C군 및 D군의 30일간의 사육기간의 혈당치(mg/dl)의 추이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C, D군의 마우스와도, 혈당치는 실시예의 A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험 기간 동안은 계속해서 상승하여 혈당치의 개선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것은 수크로오스 무첨가로 L-아라비노오스만을 부여하여도 혈당치의 저감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 1과 참고예 1의 결과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게 있어서의 고혈당치를, 수크로오스와 L-아라비노오스의 혼합물을 동시 섭취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저하, 개선할 수 있어, 당뇨병의 치료에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수크로오스와 L-아라비노오스는 반드시 혼합한 것을 부여하지 않아도 되고, 예컨대 수크로오스는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를 따로 섭취함으로써도 가능하다. 이 경우, L-아라비노오스는 수크로오스보다도 빨리 섭취해도 되고 나중에 섭취해도 되지만, 빨리 섭취하는 쪽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크로오스와 L-아라비노오스의 병용에 의해 혈당치의 계속적인 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당뇨병 치료,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로서 매우 유효하다.

Claims (8)

  1.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2. 제1항에 있어서, 경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3. 제1항에 있어서, 수크로오스원으로서 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아라비노오스가 수크로오스에 대하여 O.5∼9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
  5. L-아라비노오스 및 수크로오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
  6. 제5항에 있어서, L-아라비노오스가 수크로오스에 대하여 O.5∼9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개선용 식품 또는 음료.
  7. 당뇨병 치료를 위해 수크로오스의 섭취와 동시에 또는 섭취 전에 L-아라비노오스를 섭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라비노오스의 사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수크로오스원으로서 설탕 또는 설탕 함유 식품 혹은 음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아라비노오스의 사용 방법.
KR10-2003-7006508A 2000-11-15 2001-10-31 당뇨병 치료제 KR20030070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47372 2000-11-15
JP2000347372A JP5025847B2 (ja) 2000-11-15 2000-11-15 糖尿病治療剤
PCT/JP2001/009542 WO2002040035A1 (fr) 2000-11-15 2001-10-31 Medicament contre le diabe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029A true KR20030070029A (ko) 2003-08-27

Family

ID=1882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508A KR20030070029A (ko) 2000-11-15 2001-10-31 당뇨병 치료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40038910A1 (ko)
EP (1) EP1340504B1 (ko)
JP (1) JP5025847B2 (ko)
KR (1) KR20030070029A (ko)
CN (1) CN100340242C (ko)
AT (1) ATE326975T1 (ko)
AU (1) AU2002210984A1 (ko)
CA (1) CA2429117C (ko)
DE (1) DE60119972T2 (ko)
TW (1) TWI291351B (ko)
WO (1) WO2002040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73985A4 (en) * 2003-09-22 2007-03-14 Use Techno Corp FUNCTIONAL SWEETSTYLE
US20050142270A1 (en) * 2003-09-22 2005-06-30 Use- Techno Corporation Functional sweetener
US20050096464A1 (en) 2003-10-30 2005-05-05 Heikki Heikkila Separation process
JP2007074925A (ja) * 2005-09-12 2007-03-29 Unitika Ltd 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094150B2 (ja) * 2007-02-08 2012-12-12 三和澱粉工業株式会社 血糖値上昇抑制剤
KR101121543B1 (ko) * 2007-07-04 2012-03-06 학교법인 선목학원 벼과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전분 또는 식이섬유를 포함하는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WO2009137966A1 (zh) * 2008-05-16 2009-11-19 淮北中润生物能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蔗糖吸收抑制剂
CN101797007B (zh) * 2009-12-08 2012-07-25 济南圣泉唐和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起霜的巧克力
CN101803669B (zh) * 2009-12-08 2013-03-06 济南圣泉唐和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冰淇淋
CN101797008B (zh) * 2009-12-23 2012-09-05 济南圣泉唐和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发烊和返砂的糖果
CN102648748A (zh) * 2012-03-08 2012-08-29 中德瑞生物炼制实验室(厦门)有限公司 一种润肠通便食品
CN103320546A (zh) * 2013-05-20 2013-09-25 浙江华康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方糖的生产方法
JP6735964B2 (ja) * 2016-04-28 2020-08-05 株式会社ハートテック 血糖値上昇抑制の加工食品
CN109770325A (zh) * 2019-01-16 2019-05-21 上海苏哥阿糖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糖
CN111772022A (zh) * 2020-05-25 2020-10-16 唐传生物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低gi健康糖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3875871A (zh) * 2021-10-11 2022-01-04 唐传生物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健康糖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80A (ja) * 1992-03-10 1994-03-08 Godo Shiyusei Kk α−グルコシダ−ゼ阻害剤を含有する、過血糖付随疾患の予防・治療剤、および保健食
WO1994012057A1 (en) * 1992-11-25 1994-06-09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Diet sweetener
JPH07309765A (ja) * 1994-05-17 1995-11-28 Fujisawa Pharmaceut Co Ltd 体脂肪蓄積抑制剤
JP2790610B2 (ja) * 1994-07-21 1998-08-27 ホクレン農業協同組合連合会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それを含む糖組成物、甘味料、食品、及び飼料
US6245340B1 (en) * 1996-12-03 2001-06-12 Parvin Youssefyeh Method of improving the immune response and composition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40035A1 (fr) 2002-05-23
CN100340242C (zh) 2007-10-03
CA2429117C (en) 2008-08-26
EP1340504B1 (en) 2006-05-24
DE60119972T2 (de) 2007-01-25
AU2002210984A1 (en) 2002-05-27
CN1474699A (zh) 2004-02-11
EP1340504A1 (en) 2003-09-03
JP2002154967A (ja) 2002-05-28
EP1340504A4 (en) 2005-02-02
CA2429117A1 (en) 2002-05-23
JP5025847B2 (ja) 2012-09-12
US20040038910A1 (en) 2004-02-26
DE60119972D1 (de) 2006-06-29
ATE326975T1 (de) 2006-06-15
TWI291351B (en)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0029A (ko) 당뇨병 치료제
US7354606B2 (en) Nutritional supplement containing alpha-glucosidase and alpha-amylase inhibitors
EP0382355B1 (en) Growth promoting agent for bacteria containing pullulan with or without dextran
US20090005342A1 (en) Composition Having Blood Pressure Reducing and/or Elevation Suppressing Effect and Food and Drink Containing the Same
JP6228250B2 (ja) 多糖消化阻害剤
JP2790610B2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それを含む糖組成物、甘味料、食品、及び飼料
WO2005002602A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dysfunctions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insulin resistance
JP3462535B2 (ja) ミネラル吸収促進組成物
CN103719864A (zh) 一种降血糖纳豆组合胶囊及其制备方法
JPH0965836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それを含む糖組成物、甘味料、食品及び飼料
AU776376B2 (en) Remedies for hyperammonemia
KR100227002B1 (ko) 수용성 고점도 급셀룰로오스에테르약 제조성물 및 그의사용
JP3634721B2 (ja) 高脂血症の予防又は治療剤
AU2005242204B2 (en) Remedies for diabetes mellitus
KR100620477B1 (ko) 프리바이오틱 식품 성분으로서 d-타가토스의 용도
JPH11158075A (ja) 膵機能調節剤
JP2001048794A (ja) 桑の葉由来粉末およびカキ由来粉末の混合物を含むniddm治療用の医薬組成物および健康食品
KR20200130030A (ko) 당뇨병 환자와 잠재환자의 혈당조절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제조방법
KR100615981B1 (ko) 혈당치 상승 억제 및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조성물
JP4524018B2 (ja) 桑の葉およびアガリクス抽出混合物を含むインスリン非依存型糖尿病の予防、治療用の医薬組成物および健康食品
US10639328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hyperglycemia and treating diabetes
CN115475177A (zh) 血糖值升高抑制剂及含其的经口组合物
KR20180006535A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unetta et al. Different effect of acute and chronic oral metformin administration on glucose and insulin response to bread and to pasta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 patients
KR20050121775A (ko) 인진쑥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당강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