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719A - 에멀션 중합체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에멀션 중합체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719A
KR20030066719A KR10-2003-7008204A KR20037008204A KR20030066719A KR 20030066719 A KR20030066719 A KR 20030066719A KR 20037008204 A KR20037008204 A KR 20037008204A KR 20030066719 A KR20030066719 A KR 20030066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cid
weight
thermoplastic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343B1 (ko
Inventor
허버트 에이체노어
스테판 모스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6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00Treatment of rubber latex
    • C08C1/14Coagulation
    • C08C1/15Coa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coagulan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14Treatment of polymer emulsions
    • C08F6/22Coag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8/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8/931Physical treatment of natural rubber or natural rubber containing material or chemical treatment of non-rubber portion thereof, e.g. extraction of rubber from milk weed
    • Y10S528/934Late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8/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8/931Physical treatment of natural rubber or natural rubber containing material or chemical treatment of non-rubber portion thereof, e.g. extraction of rubber from milk weed
    • Y10S528/934Latex
    • Y10S528/936Coagu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A)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 수용액, B) 차아인산 (H3PO2), 아인산 (H3PO3또는 HPO2)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 수용액, 및 임의적으로, C) 황산, 인산 또는 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된 묽은 산 수용액
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 성분의 워크업 방법.

Description

에멀션 중합체의 처리 방법{METHOD FOR TREATING EMULSION POLYMERS}
수성 중합체 라텍스를 중합체 성형 조성물로 전환시키는 것은 대개 수용성 염 및(또는) 묽은 산을 첨가함으로써 라텍스 입자의 응고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염의 예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알루미늄이 있고, 산의 예로는 황산, 인산, 아세트산이 있다(예를 들면, US-A 2 366 460, US-A 3 108 983, US-A 3 248 455, DE-A 1 958 498 참조).
응고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전해질들의 단점은 중합체 성형 조성물의 고유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히려 중합체 색의 열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응하는 라텍스의 워크업을 특정 염 혼합물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에멀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중합체 성분의 워크업 방법을 제공한다.
지금 본 발명자들은 추가의 특정 수용성 염 성분이 응고 단계에서 또한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인 응고 보조제를 함유하면서도 매우 개선된 고유색을 갖는 성형 조성물이 얻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멀션 중합 후 존재하는 수성 중합체 라텍스의 응고가
A)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 수용액, B) 차아인산 (H3PO2), 아인산 (H3PO3또는 HPO2)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 수용액, 및 임의적으로, C) 황산, 인산 또는 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된 묽은 산 수용액
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 성분의 워크업 방법을 제공한다.
에멀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열가소성으로 가공될 수 있는 성형 조성물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워크업한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은 다른 성질에 악역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훨씬 개선된 고유색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성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제 조합에서, 각각의 성분은 A)가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B)가 0.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C)가 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각각은 라텍스 고형물 기준).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성분 A)는 수용액 형태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이고,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형태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알루미늄이다.
원칙적으로, 또한,이러한 염 성분의 혼합물, 예를 들면,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알루미늄의 혼합물도 수용액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성분 A)는 황산마그네슘이다.
수용액 중의 염의 농도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0.1 내지 10 중량%의 농도가 적절하고, 보다 특히 0.5 내지 5 중량%의 농도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성분 B)는 수용액 형태의 차아인산 (H3PO2), 아인산 (H3PO3또는 HPO2)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염이다.
특히 적절한 염은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칼륨, 차아인산마그네슘, 차아인산칼슘, 아인산나트륨, 아인산칼륨, 아인산칼슘,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칼륨, 및 아스코르브산칼슘이다.
원칙적으로, 또한, 이들 염 성분의 혼합물, 예를 들면, 차아인산나트륨 및 아인산나트륨의 혼합물 또는 차아인산나트륨 및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혼합물도 수용액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성분 B)는 차아인산나트륨 및(또는) 아인산나트륨 및(또는) 아스코르브산나트륨, 특히 바람직하게는 차아인산나트륨이다.
역시, 성분 B)의 경우도 수용액 중의 농도가 넓은 범위에 걸쳐서 변화될 수 있다. 특히 0.2 내지 5 중량%의 농도가 적절하고, 보다 특히 0.5 내지 3 중량%의 농도가 적절하다.
A) 및 B) 이외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적인 산 성분으로는, 원칙적으로 산 수용액의 형태로 존재하는 어떠한 화합물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는, 황산 수용액, 인산 수용액 및 아세트산 수용액이 유용하다고 입증되어 왔다.
황산 수용액 및 아세트산 수용액이 특히 바람직하고, 아세트산 수용액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A) 및 B) 및 임의적으로 C)의 조합을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열가소성 및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은 많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성분 A) 및 B) 및 임의적으로 C)가 함께 존재하는 수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나, 또한, 각 성분의 별도의 용액들이 응고를 일으키는 어떠한 순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과정은 성분 A), B) 및 임의적으로 C)를 응고될 라텍스에 첨가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라텍스를 성분 A), B) 및 임의적으로 C)에 첨가하는 것이 될 수 있다.
하기의 작업 방법이 특히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1.) 성분 B)의 수용액의 일부 또는 전량을 응고될 라텍스에 첨가하고, 라텍스 중에서 이를 분배한 다음, 이렇게 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성분 A)의 수용액 전량 및 임의적으로 성분 B)의 나머지와 접촉하도록 놓거나, 또는
2.) 성분 A)의 수용액 전량을 응고될 라텍스에 첨가하거나 또는 응고될 라텍스를 성분 A)의 수용액 전량에 첨가한 다음, 이렇게 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성분 B)의 수용액과 전량 접촉하도록 놓는다.
임의적으로 사용되는 부가 성분 C)는 언제라도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분 A)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A), B) 및 임의적으로 C)의 조합을 사용한 에멀션 형태로 존재하는 중합체의 응고는 어떠한 온도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실제로는, 이러한 온도는 일반적으로 4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중합체 성분의 수성 슬러리로부터의 단리는 예를 들면, 여과 또는 원심분리와 같은 통상적인 분리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보통, 이 단리 방법 다음에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는 건조 단계가 뒤따른다.
사용되는 성분 A:B 중량비는 20: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2:1, 특히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3:1이다. 성분 C)를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는 응고 단계 후의 중합체 슬러리의 pH가 3 내지 8,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이 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에멀션으로 존재하는 모든 탄성/열가소성 및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그들과 탄성 중합체와의 열가소성으로 가공될 수 있는 혼합물은 그들을 제조하는 동안 ≤5 중량부(라텍스 고형물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의 음이온 유화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침전될 수 있다. ≤2 중량부의 유화제를 사용하여제조된 라텍스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화제의 예는 예를 들면, 칼륨 올레에이트와 같은 10개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장쇄 지방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시클릭 탄화수소 구조에 기초한 디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DE-A 36 39 904 참조), 불균형 아비에트산의 염, 예를 들면, n-도데실벤젠 술폰산나트륨염과 같은 장쇄 벤젠 술폰산염, 및 예를 들면, C9-C18알킬술폰산 혼합물의 나트륨 염과 같은 장쇄 술폰산염이다.
에멀션 중합을 하는 동안에 라디칼 생성제로서 보통 사용되는 모든 화합물은 수성 중합체 에멀션을 제조하는 동안 개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 칼륨 퍼옥소디술페이트, 암모늄 퍼옥소디술페이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산화환원 개시제계가 있다.
응고될 수 있는 라텍스의 예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임의적으로 고리 치환된 또는 측쇄 치환된 스티렌과 다른 수지 생성 단량체(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다른 고리 치환된 또는 측쇄 치환된 스티렌, N-(시클로)-알킬말레익 이미드, N-(알킬)-페닐말레익 이미드와의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또한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또는 아크릴레이트 고무와 같은 고무-탄성체 성분의 존재 하에서 수지 생성 불포화 화합물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탄성/열가소성중합체,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열가소성 수지 라텍스 또는 탄성/열가소성 중합체의 라텍스와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n-부틸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와 같은 고무-탄성 체 라텍스, 및 열가소성 수지 라텍스, 탄성/열가소성 중합체의 라텍스 및 고무-탄성체 라텍스의 혼합물이 있다.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또는 부타디엔과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스티렌의 공중합체와 같은 고무-탄성체 성분의 라텍스와, 예를 들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또는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또는 p-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와 같은 경질 및 취성 성분의 라텍스, 및 임의적으로는 탄성/열가소성 중합체의 라텍스,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수지 생성 단량체의 그래프트 생성물을 혼합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침전제 조합을 사용하여 라텍스 혼합물을 응고시켜서 얻어지는 이러한 라텍스가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에라스토머 라텍스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타디엔 또는 부타디엔과 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과의 공중합체)의 존재 하에서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익 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에멀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탄성/열가소성 그래프트 고무의 라텍스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며, 특히 강조되는 것은 예를 들면, 15 중량% 이하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단량체를 공중합해서 포함할 수 있는 부타디엔 중합체 9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40 중량%의 존재 하에서, 10-9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7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혼합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중량비=90:10 내지 50:50)의 중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과 같은 ABS계 그래프트 고무 라텍스이다.
본 발명에 따라 워크업 된 특정 생성물들을 에멀션 중합에 의하여 제조되지 않은 추가의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비고무(rubber-free)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다른 성질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으면서도 훨씬 개선된 성질을 갖는 성형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형 조성물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적절한 비고무 수지는, 예를 들면, 중량비가 90:10 내지 50:50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에 기초하는 것이고, 여기서 스티렌은 전부 또는 일부가 α-메틸스티렌 또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로 대체될 수 있으며, 메트릭스 수지에 대하여 25 중량% 이하의 비율로 말레산 무수물, 비스-알킬 말레에이트 또는 푸마레이트, 말레익 이미드, N-(시클로)-알킬말레익 이미드, N-(알킬)-페닐말레익 이미드, 인덴으로부터 선택되는 또다른 단량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제조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예를 들면, DE-A 2 420 358, DE-A 2 724 360 및 EP-A 255 889에 기술되어 있다. 벌크 또는 용액 중합으로 제조되는 메트릭스 수지가 특히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침전 생성물과 수지를 블렌딩하기 위한 적절한 혼합 장치로는, 예를 들면, 다중 롤밀(roll mill), 혼합기-압출기 또는 내부 컴파운더(compounder)가 있다.
제조, 워크업, 추가 가공 및 최종 형상화 작업을 하는 동안,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에는 필수적인 또는 유리한 첨가제, 예를 들면, 항산화제, UV 안정화제, 과산화물 파괴제, 정전기 방지제, 윤활제, 난연제, 충전제 또는 강화제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 및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최종 형상화 작업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가공 장치로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가공, 열성형, 냉간성형이 임의적으로 뒤따르는 시트 압출, 파이프 및 프로파일의 압출 또는 캘린더링 가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각각의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강도를 높이는 개질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개질 가능한 성형 조성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스티렌 및 알킬 치환 스티렌의 다른 단일중합체 및 비닐기 포함 단량체와의 혼합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스티렌-코-말레익 안히드라이드), 폴리(스티렌-코-아크릴로니트릴-코-말레익-N-페닐이미드), 폴리(스티렌-코-말레익-N-페닐이미드),
b) C1-C4-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일 중합체 및 비닐기 포함 단량체와의 혼합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코-스티렌),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코-말레익 안히드라이드),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코-스티렌-코-말레익 안히드라이드),
c) 할로겐 포함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염소화 폴리에틸렌,
d) 폴리카르보네이트,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테트라메틸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에 기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e)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 글리콜, 부탄디올에 기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f)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ε-카프로락탐, 로우릭락탐, 아디프산/헥사메틸렌 디아민에 기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성형 조성물은 혼합의 결과로서 얻어진 전체 성형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부는 중량부이고 백분율은 중량%이다.
탄성/열가소성 그래프트 고무 라텍스의 제조
58 중량부 (고형물로서 계산함)의 폴리부타디엔 라텍스 혼합물 (50 중량%은 평균입자직경 d50가 398 nm이고 겔 함량이 83 중량%이고, 50 중량%은 평균입자직경 d50이 282 nm이고 겔 함량이 58 중량%임, 양자 모두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됨)을 물로 조정하여 고형물 함량이 약 20 중량%가 되게 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63℃로 가열하고, K2S2O8(물에 용해시킴) 0.5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그 다음, 42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량비=73:27임), 0.15 중량부의 tert-도데실 머캅탄 및 알카리 pH로 조정된, 물에 용해시킨 1.0 중량부(고체 물질로서 계산치임)의 수지 산 혼합물의 나트륨염(드레시네이트(Dresinate) 731, 아비에타 케미에(Abieta Chemie) GmbH, 거스토펜(Gersthofen))을 4 시간에 걸쳐 동시에 가하였다.
반응 온도는 반응 시간동안 63-65℃의 범위 내로 고정시켰다. 약 1 중량부의 페놀성 항산화제를 첨가한 후,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라텍스를 응고시켰다.
실시예 1
상기 라텍스 5.2 kg을 30℃에서 10 l의 탈이온수 중의 200 g의 에프솜(Epsom)염(MgSO4*7H2O) 및 30 g의 차아인산나트륨의 따뜻한 용액에 교반하면서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95 내지 98℃로 가열하고, 중합체 입자가 경질화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뜨거운 침전 혼합물을 여과함으로써 수상으로부터 중합체 분말을 분리하였고, 물로 세척한 후 70℃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2
10 l의 탈이온수 중의 200 g의 에프솜염 및 30 g의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용액을 침전 용액으로 사용해서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3
10 1의 탈이온수 중의 200 g의 에프솜염, 20 g의 차아인산나트륨 및 20 g의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용액을 침전 용액으로 사용해서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4 (비교)
10 1의 탈이온수 중의 200 g의 에프솜염의 용액을 침전 용액으로 사용해서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5
탈이온수 10 l 중의 200 g의 에프솜염, 30 g의 차아인산나트륨의 및 100 ml의 아세트산의 용액을 침전 용액으로 사용하면서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6 (비교)
10 1의 탈이온수 중의 100 ml의 아세트산 및 200 g의 에프솜의 용액염을 침전 용액으로 사용해서 실시예 1 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얻은 그래프트 고무 중합체 분말을 사용한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제조
40 중량부의 그래프트 고무 중합체 분말, 60 중량부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공중합체 수지 (중량비는 72:28; w=115000,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 2 중량부의 에틸렌디아민 비스-스테아릴아미드 및 0.1 중량부의 실리콘 오일을 반버리형(Banbury type) 내부 컴파운더에서 약 190-200℃에서 블렌딩한 다음, 240℃에서 사출 성형 가공을 하여 시험 품목을 얻었다.
하기 데이타를 결정하였다:
ISO 180/1A에 따른 실온에서의 노치충격강도(akRT)(단위: kJ/m),
DIN 53 456에 따른 구슬압입경도 Hc(단위: N/mm2),
DIN 53 735 U에 따른 MVI(단위: cm3/10 min).
처리하는 동안의 색 안정도를 하기 수학식에 따른 ASTM 표준 D 1925 (광형(type of light): C, 관측자: 2°, 계측 유효구경(measurement aperture): 넓은 면적 값에 따라 황도 측색 (YI)을 측정하여 정하였다.
YI=(128X-106Z)/Y
(여기서, X,Y,Z= 사출 성형 방법후 제공되는 부분들의 DIN 5033에 따른 색 좌표)
시험 조성물 및 얻어진 시험값을 표 1에 요약하였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은 성분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이 다른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훨씬 개선된 황도 측색값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A)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 수용액, B) 차아인산 (H3PO2), 아인산 (H3PO3또는 HPO2)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 수용액, 및 임의적으로, C) 황산, 인산 또는 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된 묽은 산 수용액
    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 성분의 워크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황산마그네슘이 성분 A)로 사용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차아인산나트륨이 성분 B)로 사용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아세트산이 성분 C)로 사용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고 단계에서 황산마그네슘 및 차아인산나트륨의 조합이 사용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고 단계에서 황산마그네슘, 차아인산나트륨 및 아세트산의 조합이 사용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5중량%(라텍스 고형물 기준)의 성분 A)가 사용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 내지 2중량%(라텍스 고형물 기준)의 성분 B)가 사용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 내지 5중량%(라텍스 고형물 기준)의 성분 C)를 사용하여 얻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중합체 성분.
  11. 상기 청구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의해 얻어진 하나 이상의 탄성/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및 에멀션 중합으로 제조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12. 제 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ABS계의 탄성/열가소성 중합체 성분 및 용액 중합으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비닐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조성물 .
  13. 제 10항 및 제 11항에 있어서, 중축합에 의해 제조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KR1020037008204A 2000-12-20 2001-12-10 에멀션 중합체의 처리 방법 KR100829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63954.2 2000-12-20
DE10063954A DE10063954A1 (de) 2000-12-20 2000-12-20 Verfahren zur Aufarbeitung von Emulsionspolymerisaten
PCT/EP2001/014444 WO2002050168A2 (de) 2000-12-20 2001-12-10 Verfahren zur aufarbeitung von emulsionspolymeris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719A true KR20030066719A (ko) 2003-08-09
KR100829343B1 KR100829343B1 (ko) 2008-05-13

Family

ID=766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204A KR100829343B1 (ko) 2000-12-20 2001-12-10 에멀션 중합체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47124B2 (ko)
EP (1) EP1358225B8 (ko)
JP (1) JP2004516351A (ko)
KR (1) KR100829343B1 (ko)
CN (1) CN1227269C (ko)
AU (1) AU2002233231A1 (ko)
DE (2) DE10063954A1 (ko)
ES (1) ES2243573T3 (ko)
MX (1) MXPA03005514A (ko)
TW (1) TW570938B (ko)
WO (1) WO200205016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16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156B2 (ja) * 2004-03-08 2011-06-08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色相の改善された透明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US20060069209A1 (en) * 2004-09-29 2006-03-30 Klosiewicz Daniel W Heat stable functionalized polyolefin emulsions
KR100782700B1 (ko) * 2005-11-01 2007-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정성, 내광변색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US7884037B2 (en) * 2006-12-15 2011-0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having a stratified wetting composition therei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CN102453166B (zh) * 2010-11-01 2013-08-28 中化蓝天集团有限公司 一种水相聚合乳液的后处理方法
RU2515431C2 (ru) * 2012-07-03 2014-05-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ронеж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женерных технологий"(ФГБОУ ВПО "ВГУИ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полненного бутадиен-стирольного каучука
RU2693727C2 (ru) * 2014-05-11 2019-07-04 Инфимер Текнолоджис Лтд. Способ сортировки и/или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и полученный в результате переработанный материал
CN105669881A (zh) * 2016-03-07 2016-06-15 黎春柏 一种生物双酸菌天然橡胶乳凝固剂及其制备方法
CN105542036A (zh) * 2016-03-07 2016-05-04 艾鹰 一种生物双酸菌天然橡胶乳凝固剂的制备方法
US11674033B2 (en) * 2017-11-16 2023-06-1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re-shell graft copolymers with improved surface properties
KR102354837B1 (ko) 2018-10-19 2022-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6460A (en) 1940-11-29 1945-01-02 Goodrich Co B F Method of coagulating dispersions
NL263649A (ko) 1960-04-15
US3248455A (en) 1963-08-14 1966-04-26 Us Rubber Co Method of recovering resinous polymer from latex
US4113796A (en) 1969-11-21 1978-09-12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working up dispersions of elastic-thermoplastic or thermoplastic plastics
US4602083A (en) * 1985-01-10 1986-07-22 Rohm And Haas Company Coagulation process
DE3505749A1 (de) * 1985-02-20 1986-08-21 Bayer Ag, 5090 Leverkusen Formmassen mit einheitlicher korngroesse und verbesserter thermostabilitaet ii
JPS63227606A (ja) * 1987-03-16 1988-09-21 Mitsubishi Rayon Co Ltd 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US5169903A (en) * 1987-12-28 1992-12-08 Mitsubishi Rayon Company Ltd. Methacrylic resin cast plate having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4948852A (en) * 1989-10-26 1990-08-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eroxide-curable fluoroelastomers and chlorofluoroelastomers having bromine and iodine curesites and the preparation thereof
US5063259A (en) * 1990-07-03 1991-11-05 Rohm And Haas Company Clear, impact-resistant plastics
US5534594A (en) * 1994-12-05 1996-07-09 Rohm And Haas Company Preparation of butadiene-based impact modifi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16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43573T3 (es) 2005-12-01
TW570938B (en) 2004-01-11
US20020111397A1 (en) 2002-08-15
EP1358225B1 (de) 2005-06-15
KR100829343B1 (ko) 2008-05-13
EP1358225A2 (de) 2003-11-05
US6747124B2 (en) 2004-06-08
CN1481395A (zh) 2004-03-10
MXPA03005514A (es) 2004-04-20
AU2002233231A1 (en) 2002-07-01
JP2004516351A (ja) 2004-06-03
WO2002050168A3 (de) 2002-09-12
WO2002050168A2 (de) 2002-06-27
CN1227269C (zh) 2005-11-16
DE10063954A1 (de) 2002-06-27
WO2002050168A8 (de) 2003-11-06
EP1358225B8 (de) 2005-09-21
DE50106557D1 (de)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343B1 (ko) 에멀션 중합체의 처리 방법
KR20180006415A (ko) 가공성과 표면 품질의 우수한 특성 조합을 갖는 abs 성형 화합물
JPH05331334A (ja) 熱可塑性成形材料
US3624183A (en) Graft copolymer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1162679A (en) Process for producing impact-resistant resins
US4150066A (en) Flame-retarding resin composition
JPH05262953A (ja) ゴム含有グラフト共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US2004006803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JPH0291152A (ja) 熱可塑性インターポリマーとポリアミドとの強化/充填混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755564A (en) Graft polymers
KR20180066811A (ko)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JP2637759B2 (ja) グラフト重合体の製造法
KR102436712B1 (ko) Abs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CA1296823C (en) Graft copolymer and styrene based resin composition
JPH0320348A (ja) 高度の耐老化性を有する重合体混合物
WO2015197442A1 (de)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abs-pfropfcopolymeren
JPH0535173B2 (ko)
US4694032A (en) Process for preparing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O2006121309A1 (en) Synthetic styrene resin composition for enviroment-friendly window frame
CN115103865A (zh) 苯乙烯/丙烯腈双引发剂接枝聚丁二烯胶乳工艺
JP3204662B2 (ja) 霧くもりが減少した、塩化ビニルポリマーベースの成形組成物
JPH01256506A (ja) α―メチルスチレン及びアクリロニトリルの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26742A (ja) グラフト共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CN111218086A (zh) 电焊机塑件用高耐热阻燃abs材料及其注塑工艺
KR100455101B1 (ko) 외관 및 백색도가 우수한 높은 고무함량을 갖는 san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