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100A - 시트 배출 장치,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배출 유닛 - Google Patents

시트 배출 장치,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배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100A
KR20030063100A KR1020020081347A KR20020081347A KR20030063100A KR 20030063100 A KR20030063100 A KR 20030063100A KR 1020020081347 A KR1020020081347 A KR 1020020081347A KR 20020081347 A KR20020081347 A KR 20020081347A KR 20030063100 A KR20030063100 A KR 20030063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eet
discharging
discharge
sheet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898B1 (ko
Inventor
가나이겐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10Modular constructions, e.g. using preformed element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4Removability or inter-changeability of machine parts, e.g. f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40Increasing or maximizing
    • B65H2601/42Increasing or maximizing entities relating to the handling machine
    • B65H2601/422Versat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의 처리 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로 배출하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는 시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이 처리 장치 메인 유닛에는 유닛 수용부와 유닛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는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 중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트 배출 장치를 사용한 시트 처리 장치에도 적용된다.

Description

시트 배출 장치,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배출 유닛{SHEET EJECTION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EJECTION UNIT}
본 발명은 복사기나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처리 장치에서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는 시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츨 시트의 수용 가능 매수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을 의도한 시트 배출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시트 처리 장치로서, 예컨데 화면 형성 장치를 에로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메인 유닛(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에 예컨데 감광체 드럼 등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엔진을 탑재하는 동시에 처리 장치 메인 유닛에 시트 공급 장치 및 배출 트레이를 설치하고, 화상 형성 엔진에는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배출 트레이에 이르는 시트 반송로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 형성 엔진에서 예컨데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고, 시트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용지 등의 시트에 상기 화상 형성 엔진에서 형성된 화상을 전사한 후, 정착 장치에서 시트 상에 화상 정착을 행하고 배출 트레이에 화상 정착 완료된 시트를 배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출구부분에는 시트 배출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종래에서의 시트 배출 장치로서, 예컨데 정착 장치 유닛의 출구 부분에 일체로 만들어진 쌍으로 이루어진 배출 롤을 구비한 유닛이 사용된다.
또한, 배출 트레이에 수용 가능한 시트의 매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부 배출 트레이와 하부 배출 트레이를 구비하여 배출된 시트를 상부 배출 트레이와 하부 배출 트레이에 분배하는 시트 배출 장치가 이미 JP-A-2000-302311(본 발명의 실시 형태 참조, 도 1)등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시트 배출 장치에서, 각 배출 트레이에 대한 시트 배출 위치가 유일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배출 트레이에 수용할 수 있는 배출 시트의 매수는 필연적으로 제한되며, 수용할 수 있는 배출 시트의 매수를 사용자가 변경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컨데, JP-A-2000-30231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2개의 배출 트레이가 구성되어 있지만, 1개의 배출 트레이가 구성된 타입에 비하면 수용할 수 있는 시트의 매수는 증가하지만 각 배출 트레이에 수용할 수 있는 시트의 매수는 변경할 수 없다. 따라서, 각 배출 트레이에 수용할 수 있는 시트의 매수를 크게 증가시킬 것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대용량 시트 수용 유닛을 증설하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를 대용량 모델의 화상 형성 장치로 변경해야만 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할 수 있는 배출 시트의 매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시트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시트 배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수용할 수 있는 배출 시트의 매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와 이 시트 배출 장치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윤곽을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다른 시트 배출 장치에 시트 배출 유닛(4a)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b는 시트 배출 장치에 시트 배출 유닛(4b)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을 내장한 시트 처리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시트 처리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사용되는 시트 배출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사용되는 시트 배출 유닛의 주요 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의 구동 전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의 시트 방향 전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다른 시트 배출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시트 배출 유닛의 상세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처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사용되는 시트 배출 장치의 상세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의 시트 방향 전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도 14의 시트 배출 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다른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7은 도 16의 시트 배출 유닛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유닛 수용부의 장착 부분의 상세를 나타낸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0은 처리 장치 메인 유닛과 시트 배출 장치의 전기적인 접속을 나타낸 개략도.
도 21은 도 20의 화살표 XXII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3은 도 22의 화살표 XXIII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인터록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5는 커버 부재가 개방된 경우의 인터록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6은 커부 부재가 폐쇄된 경우의 인터록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7은 인터록 장치에 보호 셔터가 부가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처리 장치 메인 유닛
2 : 시트 반송로
3 : 유닛 수용부
4, 4a, 4b : 시트 배출 유닛
5 : 센서
6 : 정착 장치
8 ; 전환 부재
10 : 시트 적재부
11 : 화상 형성 엔진
12 : 시트 공급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닛 수용부를 구비하고,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로 배출하는 시트 배출 장치로서, 상기 유닛 수용부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측에 배치되고,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 중 하나가 상기 유닛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는 시트 배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유닛 수용부를 구비하고,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로 배출하는 시트 배출 장치로서, 상기 유닛 수용부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측에 배치되고, 시트 배출 유닛이 상기 유닛 수용부에 착탈되는 시트 배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로 배출하는 시트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시트 배출 유닛으로서,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측에 배치되는 유닛 수용부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유닛 수용부에 착탈되는 시트 배출 유닛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10)로 배출하는 시트 배출 장치로서,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에 유닛 수용부(3)가 형성되고, 이 유닛 수용부(3)에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4a, 4b) 중 하나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트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기술 수단에서, 시트 배출 장치는 처리된 시트를 배출하는 태양을 넓게 포함한 것이지만, 처리 장치 메인 유닛(l)에 시트 배출 장치가 내장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일부로서 내장되는 것"을 요건으로 하고, 이 시트 배출 처리 장치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1구성 요소이며, 따러서 선택적으로 증설한 시트 배출 장치 등은 제외된다.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10)"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 커버로서 구성한 태양뿐만 아니라, 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에 부가적으로 트레이 부재가 설치된 태양도 포함한다.
또한, "유닛 수용부(3)"는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예컨데 4a, 4b)을 장착할 수 있는 수용부를 넓게 포함한다.
유닛 수용부(3)는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 중 어느 것이 설치될 수 있는 공용 스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고, 통상 시트 배출 유닛(4)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피결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피결합부로서는 피위치 결정부, 피장착부 등을 들수 있지만, 피결합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에 대하여 공통일 수 있거나, 혹은, 모두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 중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는 표현은, 시장에서 시트 배출 유닛(4)을 착탈할 수 있는 태양뿐만 아니라, 출하시에 시트 배출 유닛(4)이 장착되고, 시장에서 시트 배출 유닛(4)이 착탈되지 않는 태양도 포함한다.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이기 때문에, 동일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만을 대상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는 제외된다.
시트 배출 유닛(4)은 시트를 배출하는 유닛일 수도 있고, 시장에서의 시트 배출 유닛(4)의 교환성을 고려하면, 유닛 수용부(3)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시트 배출 유닛(4)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고, 따라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시트 배출구 위치가 다른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예컨데 4a, 4b)을 구비하면 수용할 수 있는 배출 시트의 매수의 변경에 용이하게 대처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배출 유닛(4)은 시트 적재부(1O)와의 위치 관계의 관점에서 보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에 배치된 시트 적재부(10)의 상면에 가장 근접하여 설치된 배출부재(9)(도 2a 내지 도 2b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증설한 시트 배출 장치의 경우에, 그 배출 부재는 시트 적재부(10)의 상면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지 않고, 그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일부로서 내장된 시트 배출 장치의 배출 부재(9)는 언제나 시트 적재부(10)의 상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시트 적재부(l0)에 대한 배출 시트 용량을 증감시키는 태양으로서,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은 유닛 수용부(3)에 장착된 상태로 시트 적재부(10)의 상면으로부터 배출부재(9)까지의 높이 치수가 다를 수도 있다.
시트 배출 유닛(4)(예컨데 4a, 4b)의 대표적 태양으로서, 유닛 수용부와의 사이에 처리 장치 메인 유닛(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나,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나, 유닛 수용부와 정착물로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시트 배출 유닛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시트 배출 유닛(4)을 착탈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장착부에 대한 정착물이 착탈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예컨데 접속부재와 위치 결정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사용자 등이 시트 처리 장치의 설치 장소 등에서 시트 배출 유닛(4)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예컨데, 위치 결정부와 장착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공장 출하 후, 시트 배출 장치를 유통시키는 동안에 시트 배출 유닛(4)과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이 서로 분리되는 사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착탈할 수 있는 시트 배출 유닛(4)을 구비한 태양에서, 시트 배출 유닛(4)을안전하게 착탈하는 관점에서, 시트 배출 유닛(4)은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10)의 상면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배출부재(9)를 구비할 수 있고, 시트 배출 장치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에 설치된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배출 부재(9)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여기서 시트 배출 유닛(4)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전달 기구가 정지될 수도 있다.
본 태양에 의하면, 직접적인 착탈작업 이외의 일에 대한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되므로, 작업자는 시트 배출 유닛(4)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기구는 접속과 분리가 가능한 메인 유닛 전달 기구와 유닛 전달 기구로 분할된 일 태양, 메인 유닛 전달 기구만의 태양, 혹은, 유닛 전달 기구만의 태양일 수 있다.
시트 배출 유닛(4)을 분리하는 경우, 유닛 전달 기구는 통상 자연스럽게 정지되기 때문에, 전달 기구의 정지가 문제가 되는 것은 주로 메인 유닛 전달 기구이다.
또한, 전달 기구는 구동원을 정지시킴으로써 정지될 수도 있고, 혹은, 구동원을 정지시키지 않고 클러치 등을 개재하여 정지될 수도 있다.
본 태양에서 전달 기구의 정지를 행하는 대표적인 태양으로서는, 상기 시트 배출 유닛(4)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이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달 기구가 정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판별 수단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태양으로서, 시트 배출 장치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시에는 상기 시트 배출 유닛(4)이 착탈될 수 있게 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가 폐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 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동작을 불능하게 하는 인터록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으로서 상기 인터록 장치를 사용한 것을 들 수있다.
커버 부재로서는 통상 개구를 통하여 시트 배출 유닛이 착탈되는 태양이 대표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커버 부재 폐쇄시 시트 배출 유닛(4)의 스토퍼 부재로서 기능을 하도록 한 태양도 포함된다.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의 대표적 선정 기준으로서는,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시트 반송 속도, 시트 공급량 또는 시트 처리양(예컨데 화상 형성부 등의 처리부에 의한 시트 처리량)에 따라서 시트 배출용량이 가변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데,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시트 반송 속도를 예로 들면, 시트 반송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예컨데 시트 배출 유닛(4)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에 장착된 상태에서, 시트 적재부(10)의 상면으로부터 배출 부재(9)까지의 높이 치수가 높은 시트 배출 유닛(4)이 장착될 수도 있고, 한편, 상기 시트 반송 속도가 늦은 경우에는, 상기 높이 치수가 낮은 시트 배출 유닛(4)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 배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처리 장치 메인 유닛(1) 내의 시트 반송로(2)에, 시트의 배출 제어에 사용되는 센서(5)를 배치하지만, 처리 장치 메인 유닛(1) 내의 시트 반송로(2)의 시트 배출 유닛(4) 앞에, 시트의 배출 제어에 사용되는 센서(5)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따르면, 시트 배출 유닛(4)을 교환하는 경우에도 센서(5)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따라서 거의 동일한 제어가 실현될 수 있다.
예컨데, 배출 부재의 위치 변화에 수반하여, 센서(5)와 배출 부재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만큼만, 시트 배출 유닛(4)의 배출 부재(배출 롤 등)에 대한 온 오프 동작 시간이 시프트될 필요가 있다.
비록, 시트 배출을 위한 배출 부재(9)(도 2a 및 도 2b 참조)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구동원이 시트 배출 유닛(4)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태양에 의하면, 각종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최적인 구동원이 선정될 수 있다. 즉, 가장 부하가 큰 시트 배출 유닛에 맞추어 구동원을 선정함으로써, 부하가 낮은 시트 배출 유닛에 대하여 사양이 과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배출 유닛(4)은 시트 배출 장치의 외장 커버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시트 배출 장치의 외장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가장 눈에 띠기 쉬운 부위 중 하나인 배출 부분을 각종 유닛에 따라 적절하게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착탈이 용이하고 교환 작업이 편리하다는 점으로써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배출 유닛(4)은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교환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시트 배출 유닛(4)은 예컨데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시트를 배출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고, 시트 배출로(7)의 개수와 레이아웃, 시트의 배출로(7)를 전환하는 전환 부재(8)의 개수와 레이아웃, 배출부재(9)의 개수와 레이아웃 등이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예컨데,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이 시트 상에 미정착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6)를 구비하고, 이 정착 장치(6)의 하류에 시트 배출 장치가 설치되는 태양에 있어서, 시트 배출 유닛(4)(예컨데 4a)은, 적어도 시트가 정착 장치(6)를 통과할 때 생기는 시트의 컬(curl)이 교정될 수 있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배출로(7)(예컨데 도 2a에서 배출로(7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위 페이스 업, 페이스 다운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예컨데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배출 유닛(4)은 화상 면을 아래로 하여 시트를 배출하는 페이스 다운 배출로(7)(예컨데 7b)와, 화상 면을 위로 하여 시트를 배출하는 페이스 업 배출로(7)(예컨데 7a)를 구비할 수도 있고 이 페이스 업과 페이스 다운 배출로(7)는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배출처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각 배출처에 대응하여 배출로(7), 배출 부재(9) 및 배출로(7) 전환용의 전환 부재(8)가 필요하다. 시트 배출 유닛(4)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3방향 분기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트 배출 유닛(4)은 적어도 3방향으로 분기한 배출로(7)를 전환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시트 배출 장치에서는, 예컨데 도 1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채널의 배출로(7)(7a, 7b), 2 채널의 배출 부재(9)(9a, 9b), 배출로(7)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부재(8)를 구비한 시트 배출 유닛(4)(예컨데, 4a)과, 도 1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방향으로 연장된 배출로(7)에 배치된 한개의 배출 부재(9)를 구비한 시트 배출 유닛(4)(예컨데, 4b)이 제공되어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유닛 수용부(3)에 상기 시트 배출 유닛(4a 또는 4b)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처리 장치 메인 유닛(1)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10)로 배출하는 시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처리 장치 메인 유닛(1)에 유닛 수용부(3)가 형성되고, 이 유닛 수용부(3)에는 시트 배출 유닛(4)을 착탈할 수 있는 시트 배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는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4)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은 요건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컨데 일종의 시트 배출 유닛(4)이 착탈될 수 있는 태양(이 시트 배출 유닛은 메인티넌스에서 새로운 것으로 교환됨)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시트 배출 장치에 한한 것은 아니며, 이들 시트 배출 장치를 내장한 시트 처리 장치에도 적용된다.
시트 처리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처리부로서의 화상 형성 엔진(11)이나 시트 공급 유닛(12)을 내장할 필요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처리 장치(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 메인 유닛(처리 장치 메인 유닛에상당)(20) 내에 설치된 화상 형성 엔진(21), 소정 수(예컨데 3개)의 화상 형성 엔진(21) 아래에 배치된 시트 공급 유닛(22∼24)(예에서는, 하부 시트 공급 유닛(24)이 외부에 설치됨), 장치 메인 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된 배출 시트를 수용하는 배출 트레이(25), 및 시트 공급 유닛(22∼24)으로부터 배출 트레이(25)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시트 반송로(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엔진이 화상 형성 엔진(21)으로서 채용된다. 화상 형성 엔진(21)은 감광체 드럼(31), 감광체 드럼(31)을 대전하는 대전 장치(에컨대, 대전 롤)(32), 광 빔의 인가에 의해 감광체 드럼(31) 상에 잠상을 기록하는 광학 유닛(예컨데, 레이저 스캐너)(33), 감광체 드럼(31) 상의 잠상을 현상제로서의 토너로 가시화하는 현상 유닛(34), 감광체 드럼(31) 상의 가시 화상(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유닛(예컨데, 전사 롤)(35), 및 감광체 드럼(31) 상의 잔류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유닛(예컨데, 블레이드 클리닝 유닛)(3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31), 대전 장치(32), 현상 유닛(34), 및 클리닝 유닛(36)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일체화되고 장치 메인 유닛(20)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현상 유닛(34)은 착탈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34a)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시트 공급 유닛(22∼24)이 시트를 추출하여 반송하는 픽업 롤(41)과, 추출된 시트를 1장씩 핸들링하는 핸들링 롤(예컨데, 피드 롤과 리타드 롤의 조합)(42)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 반송로(26)에는 적절한 수의 반송 롤(43)이 배치되고, 감광체 드럼(31)의 전사부로부터의 상류측 직전에는 시트를 위치 결정(registering)하는 위치 결정 롤(44)이 배치되며, 감광체 드럼(31)의 전사부로부터의 하류측에는 정착 장치(fuser)(5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반송로(26)의 출구에 시트 배출 장치(60)가 배치되고, 시트 배출 장치(60)는 장치 메인 유닛(20)의 일부로서 내장되며, 장치 메인 유닛(20)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는 시트 배출 유닛(6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배출 유닛(61)은 유닛 본체(70) 내에 3 방향으로 분기하는 분기 배출로(71∼73)를 갖는다. 제 1 분기 배출로(71)는 장치 메인 유닛(20)의 상부 상의 배출 트레이(25)를 향하여 연장되고, 제 2 분기 배출로(72)는 제 1 분기 배출로(71)와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제 3 분기 배출로(73)는 제1 및 제2 분기 배출로(71, 72) 사이에서 대략 위쪽을 향하여 연장된다. 페이스 업 트레이(62)가 제 2 분기 배출로(72)의 출구 외측 상에 배치되고, 다른 부가적인 배출 유닛(63)이 제 3 분기 배출로(73)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부가적인 배출 유닛(63)으로서 시트를 오프셋 배출하는 오프셋 캐치 트레이(OCT: Offset Catch Tray)가 사용되고, 부가적인 배출 유닛(63)에는 시트 배출로(64), 반송 롤(65), 배출 롤(66), 및 트레이 부재(67)가 설치되어 있다.
양면 기록 유닛(80)이 장치 메인 유닛(20)에 추가되어 있다. 시트의 양면 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양면 모드가 선택되면, 양면 기록 유닛(80)은 한면 상에 미리 기록된 화상을 갖는 시트를 시트 배출 장치(60)로부터 내측으로 취하고, 적절한 수의 반송 롤(82)에 의해 내부 시트 복귀 반송로(81)를 따라서 시트를 반송하여, 재차 시트를 위치 결정 롤(44)로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91∼93, 95)가 시트 반송로(26), 시트 복귀 반송로(81), 및 시트 배출로(64) 내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 센서(91)는 시트 반송로(26) 내의 위치 결정 롤(44)로부터의 상류측 직전에서 시트 복귀 반송로(81)와의 합류부 내에 배치된 위치 결정 센서이고; 센서(92)는 시트 반송로(26)의 시트 배출 유닛(61)으로부터의 상류측 직전에 배치되어 시트의 배출 제어에 사용되는 배출 센서이며; 센서(93)는 시트 복귀 반송로(81)에 배치되어 시트의 양면 기록 반송 제어에 사용되는 위치 센서이고; 센서(95)는 시트 배출로(64)에 배치되어 시트의 배출 제어에 사용되는 배출 센서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배출 유닛(61)이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메인 유닛(20)의 상부 상에 유닛 수용부(100)를 갖고, 유닛 수용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시트 배출 유닛(61)의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다: 예컨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 본체(70)에는 결합부로서의 위치 결정 핀(111), 유지 돌기(112), 및 스크류 수용 오목부(113)가 설치되는 한편, 유닛 수용부(100)에는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는 피결합부로서의 위치 결정 홀(101), 유지 구멍(102), 및 스크류편(screw piece)(103)이 설치되고, 결합부(111∼113)는 피결합부(101∼103)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배출 유닛(61)은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는 상태로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본 실시예에서, 유닛 본체(70)의 일부(70a)는 장치 메인 유닛(20)의 도어(10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15는 시트 배출 유닛(61)의 외장 커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배출 유닛(61)은 유닛 본체(70) 내에서 분기하는 3개의 분기 배출로(71∼73)의 분기점 P로부터의 상류측에 정착 장치(50) 아래로 연장되는 시트 반입로(74)를 갖고, 제 1 분기 배출로(71)에 대하여 분기점 P를 사이에 두고서 반대측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양면 기록 반송로(75)를 설치하여, 양면 기록 유닛(80)의 시트 복귀 반송로(81)의 입구와 연통한다.
제 1 및 제 2 분기 배출로(71, 72)의 출구 부근에는 배출 롤쌍(121, 122)이 배치되고, 또한 분기 배출로(71∼73)의 분기점 P 부근에는 2개의 전환 게이트(131, 132)가 제 3 분기 배출로(73)를 사이에 두고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 롤쌍(121, 122)은 서로 접촉 회전하는 구동 배출 롤(123) 및 종동(從動) 배출 롤(124)을 포함한다.
제 1 전환 게이트(131)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게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분기점 P로 연장되는 게이트 부재의 양변에 의해 제공된 안내면(133, 134)을 포함한다. 제 1 전환 게이트(131)는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 (제 1 및 제 2 전환 게이트(131, 132) 사이에서 제 3 분기 배출로(73)를 차단하여 시트를 안내면(133)을 따라 제 1 분기 배출로(71)로 안내하는 위치)와 투영선으로 나타낸 위치 (제 1 분기 배출로(71)를 차단하여 시트를 안내면(134)을 따라 제 1 및 제 2 전환 게이트(131, 132) 간에서 제 3 분기 배출로(73)로 안내하는 위치) 사이에서 스윙 가능하게 전환된다.
한편, 제 2 전환 게이트(132)도 또한 대략 삼각형 형상의 게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분기점 P에 연장되는 게이트 부재의 양변에 의해 제공된 안내면(135)을 포함한다. 제 2 전환 게이트(132)는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 (제 2 분기 배출로(72)를 차단하여 시트를 안내면(136)을 따라 제 1 및 제 2 전환 게이트(131, 132) 간의 제 3 분기 배출로(73)로 안내하는 위치)와 투영선으로 나타낸 위치 (제 1 및 제 2 전환 게이트(131, 132) 사이에서 제 3 분기 배출로(73)를 차단하여 시트를 안내면(135)을 따라 제 2 분기 배출로(72)로 안내하는 위치) 사이에서 스윙 가능하게 전환된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트 배출 장치의 구동 전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구동 전달 시스템(140)은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 모터(141)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 기어(142)를 통하여 제 1 배출 롤쌍(121)의 구동 배출 롤(123)과 동축으로 배치된 피구동 기어(144)에 전달하고, 또한 전달 기어(143)를 통하여 제 2 배출 롤쌍(122)의 구동 배출 롤(123)과 동축으로 배치된 피구동 기어(145)에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착 장치(50)는 가열원을 수용하는 가열 정착 롤(51) 및 가열 정착 롤(51)과 소정의 닙(nip) 압력으로 접촉 회전하는 가압 정착 롤(52)을 포함하고, 다른 구동 전달 시스템(53)에 의해 구동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 시스템(53)은 구동 모터(54)로부터의 구동력을 가열 정착 롤(51)에 전달하기 위해서 소정의 감속비를 형성하는 기어 트레인(56)을 통하여 가열 정착 롤(51)과 동축으로 배치된 피구동 기어(57)를 맞물린다.
또한, 구동 전달 시스템(140)은 전자기 솔레노이드(147, 148)를 통하여 전환 게이트(131, 132)를 전환한다.
구동 전달 시스템(140)의 구동 모터(141) 및 전자기 솔레노이드(147, 148)는 컨트롤러(149)로부터의 화상 형성 제어 프로그램(시트 배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함)에 따른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된다. 센서(91∼93, 95) 등으로부터의 감지 신호가 컨트롤러(149)에 입력되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엔진(21)에서는, 소정의 토너 화상이 감광체 드럼(31) 상에 형성되는 한편, 시트가 시트 공급 유닛(22∼24)으로부터 시트 반송로(26)로 공급되고, 감광체 드럼(31) 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 유닛(35)에 의해 시트 상에 전사된 다음,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시트가 정착 장치(50)에 의해 정착 처리가 행해지고, 그 후 시트 배출 장치(60)를 통하여 소정의 배출부로 배출된다.
감광체 드럼(31) 상에 남아 있는 토너는 다음의 화상 형성 사이클을 위해서 클리닝 유닛(36)에 의해 클리닝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공정에서, 시트 배출 장치(60)에 착안하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시트 배출 모드에 응답하여 시트의 배출이 제어된다:
페이스 다운 배출 모드 (face-down ejection mode)
이 페이스 다운 배출 모드는 배출 트레이(25)에 시트 S를 그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31, 132)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제 2 및 제 3 분기 배출로(72, 73)를 차단하고, 제 1 분기 배출로(71)를 개방하여, 시트 S를 제 1 전환 게이트(131)의 안내면(133)을 따라 안내하고, 제 1 배출 롤쌍(121)이 순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 S의 닙 반송을 행한다(도 5 참조).
페이스 업 배출 모드 (face-up ejection mode)
이 페이스 업 배출 모드는 페이스 업 트레이(62)에 시트 S를 그 화상면을 위로 하여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31, 132)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제 1 및 제 3 분기 배출로(71, 73)를 차단하고, 제 2 분기 배출로(72)를 개방하여, 시트 S를 제 2 전환 게이트(132)의 안내면(135)을 따라 안내하고, 제 2 배출 롤쌍(122)이 순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 S의 닙 반송을 행한다(도 5 참조).
특히, 페이스 업 배출 모드가 실행되면, 시트 S는 정착 장치(50)를 통과할 때에 소정의 방향으로 컬(curl)되지만, 제 2 분기 배출로(72)는 시트 S의 컬을 보정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 S의 컬이 임의의 부가적인 컬 보정 장치를 제공하지 않고서 자연스럽게 보정될 수 있다.
OCT 배출 모드 (OCT ejection mode)
이 OCT 배출 모드는 시트 S를 부가 배출 유닛(63)의 OCT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31, 132)는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배출로(71, 72)를 차단하고, 제 3 분기 배출로(73)를 개방하여, 제 1 및 제 2 전환 게이트(131, 132)의 안내면(134, 136)을 따라 시트 S를 안내한다(도 5 참조).
양면 기록 모드에서의 시트 반전 제어
이는 양면 기록 모드에서 1면 상에 화상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시트 S가 양면 기록 유닛(80)으로 복귀된 때에 수행되는 시트 반송 제어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31, 132)는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1면 상에 화상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시트 S를 제 1 분기 배출로(71)로 안내하고, 제 1 배출 롤쌍(121)은 순방향으로 회전되어 소정량의 시트 S의 닙 반송을 행하고, 그 후 시트 S가 분기점 P를 초과할 때 제 1 배출 롤쌍(121)의 순방향 회전이 역방향 회전으로 전환된다. 제 1 배출 롤쌍(121) 상에 닙 유지된 시트 S는 역방향으로 제 1 분기 배출로(71) 상에 반송되고, 대략 직선형으로 제 1 분기 배출로(71)와 연통하는 양면 기록 반송로(75)로 안내되어, 양면 기록 유닛(80)으로 반송된다(도 5 참조).
양쪽의 배출 롤쌍(121, 122) 및 양쪽의 전환 게이트(131, 132)의 동작 타이밍은 배출 센서(92)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전환 게이트(131, 132)의 대향면이 빗살형으로 형성되어 전환 게이트(131, 132)가 서로 끼워맞춰진 경우, 예컨데 모드가 페이스 다운 배출 모드로부터 페이스 업 배출 모드로 전환된 때, 제 1 전환 게이트(131)를 본래의 위치(도 8a의 실선 위치)로 유지하면서 제 2 전환 게이트(132)만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영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태양에 따르면, 전환 게이트(131, 132)의 전환 제어가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시트 배출 유닛의 교환 (replacement of sheet ejection unit)
본 실시예에서, 시트 배출 유닛(61)은 장치 메인 유닛(20)의 유닛 수용부(100)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트 배출 유닛(61)은 3 방향으로 시트를 배출할 수 잇는 구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시트 배출 유닛(61)은 시트가 2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거나, 시트가 1 방향으로만 배출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수용될 수 있는 배출 시트의 수에 응답하여 시트 배출 위치가 변화되도록 다양한 사양의 임의의 시트 배출 유닛(150)으로 교환될 수 있다.
예컨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방향으로만 시트를 배출하는 시트 배출 유닛(150)이 사용된다.
시트 배출 유닛(150)은, 예컨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로(155) 및 배출로(155)의 일부에 배치된 구동 배출 롤(153)과 피구동 배출 롤(154)로 이루어진 배출 롤쌍(152)이 설치된 유닛 본체(151)을 포함한다.
시트 배출 유닛(150)은, 예컨데 그 자체의 구동원을 포함하지 않고, 정착 장치(50)의 구동 전달 시스템(53)의 일부에 전달 기어(58)가 결합하고, 구동 배출 롤(153)과 동축으로 배치된 피구동 기어(59)가 전달 기어(58)와 맞물려서 구동력을 전달한다.
시트 배출 유닛(150)은 유닛 수용부(100)의 결합부(101∼103)에 결합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는 피결합부(156∼158)를 갖고, 시트 배출 유닛(61)은 사양이 다른 시트 배출 유닛(150)으로 쉽게 교환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배출 유닛(61)이 시트 배출 유닛(150)으로 교환되면, 배출 센서(92)는 장치 메인 유닛(20)에 배치되고, 따라서 사양이 다른 시트 배출 유닛(150)이 장착되면, 배출 센서(92)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시트 배출 유닛이 교환되기 전에 적용된 것과 대략 유사한 제어 기술을 채용하여 시트 배출 제어가 수행된다.
제 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트 처리 장치(본 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양면 기록 유닛(80)의 구성 및 시트 배출 장치의 구성이 다르다. 이전에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양면 기록 유닛(80)은 시트 배출 장치(60)의 측부에 마주하여 배치되고, 시트 배출 유닛(61)의 제 2 분기 배출로(72)의 하류측에 위치하는양면 기록 유닛(80)의 시트 복귀 반송로(81)에는 전환 게이트(83)를 통해서 분기 배출로(84)가 설치되고, 이 분기 배출로(84)의 출구에는 배출 롤(85)이 설치되고, 이 분기 배출로(84)가 페이스 업 트레이(62)측으로 연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배출 유닛(61)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유닛 본체(70) 내에서 3개의 분기 배출로(71 내지 73)를 갖고 있지만, 제 1 실시예에서의 시트 배출 유닛(61)과는 달리, 제 1 분기점 P1에서 제 2 분기 배출 로(72)와 이외의 분기 배출로를 분기시키고, 제 2 분기점 P2에서 제 1 분기 배출로(71)와 제 3 분기 배출로(73)를 분기시키고, 제 1 분기점 P1의 상류측에는 정착 장치(50)측 아래쪽으로 뻗는 시트 반입로(74)를 갖는 동시에, 제 1 분기 배출 로(71)와 제 2 분기 배출로(72)가 연통 반송로(76)에 의해 대략 직선적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분기 배출로(71)와 제 2 분기 배출로(72)의 출구 부근에는 배출 롤쌍(161, 162)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분기점 P1과 P2 부근에는 전환 게이트(171, 17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 롤쌍(161, 162)은 회전을 위해 서로 접촉시킨 구동 배출 롤(163)과 구동 배출 롤(164)를 각각 포함하고, 제 1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동되지만,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제 1 배출 롤(161)이 역회전될 때에, 제 2 배출 롤쌍(162)이 순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 전환 게이트(171)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게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게이트 부재의 분기점 P1측으로 연장된 게이트 부재의 양 변부를 안내면(173, 174)으로 하여 구성되고, 다른 변을 제 3 안내면(177)으로 하여 구성된다. 제 1 전환 게이트(171)는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제 2 분기 배출로(72)를 닫고, 안내면(173)을 따라 제 1 분기 배출로(71)와 제 3 분기 배출로(73)의 합류로 측으로 시트를 안내하는 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제 1 분기 배출로(71) 및 제 3 분기 배출로(73)와 연통하는 합류로를 닫고 제 1 전환 게이트(171)의 안내면(174)을 따라 제 2 분기 배출로(72)로 시트를 안내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스윙 가능하게 전환된다.
한편, 제 2 전환 게이트(172)는 마찬가지로 대략 삼각형 형상의 게이트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게이트 부재의 분기점 P2측으로 연장된 게이트 부재의 양 변부를 안내면(175, 176)으로 하여 구성한다. 제 2 전환 게이트(172)는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제 3 분기 배출로(73)를 닫고 제 2 전환 게이트(172)의 안내면(175)을 따라 제 1 분기 배출로(71)로 시트를 안내하는 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제 1 분기 배출로(71)를 닫고 제 2 전환 게이트(172)의 안내면(176)을 따라 제 3 분기 배출로(73)로 시트를 안내하는 위치) 사이에서 스윙이 가능하게 전환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프로세스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대략 같은 방식으로 행한다.
이와 같은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서, 시트 배출 장치(60)에 주의를 기울이면, 예를 들어, 이하의 시트 배출 모드에 응답하여 시트의 배출이 제어된다.
페이스 다운 배출 모드
이 페이스 다운 배출 모드는 배출 트레이(25) 측으로 시트 S를 그 화상면을 아래로 하여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71, 172)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제 1 전환 게이트(171)에 의해 제 2 분기 배출로(72)를 닫고, 제 2 전환 게이트(172)에 의해 제 3 분기 배출로(73)를 닫고, 제 1 분기 배출로(71)를 개방하고, 제 2 전환 게이트(172)의 안내면(175)을 따라 시트 S를 안내하고, 제 1 배출 롤쌍(161)이 순방향 회전하여 시트 S의 닙(nip) 반송을 행한다(도 12 참조).
페이스 업 배출 모드
이 페이스 업 배출 모드는 페이스 업 트레이(62) 측으로 시트 S를 그 화상면을 위쪽으로 하여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71, 172)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제 1 전환 게이트(171)에 의해 제 2 분기 배출로(72) 및 제 3 분기 배출로(73)를 닫고, 제 2 분기 배출로(72)를 개방하여, 제 1 전환 게이트(171)의 안내면(174)을 따라 시트 S를 안내하고, 제 2 배출 롤쌍(162)이 순방향 회전하여 시트 S의 닙(nip) 반송을 행한다(도 12 참조).
이 때, 제 2 전환 게이트(172)는 실선 위치 또는 가상선 위치와 상관없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 분기 배출로(72)로부터 배출된 시트 S는 시트 복귀 반송로(81)에 도달하고, 분기 배출로(84)를 통과하여, 페이스 업 트레이(62)로 배출된다.
OCT 배출 모드
이 OCT 배출 모드는 선택적 배출 유닛(63)인 OCT측으로 시트 S를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71, 172)는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제 1 전환 게이트(171)에 의해 제 2 분기 배출로(72)를 닫고, 제 2 전환 게이트(172)에 의해 제 1 분기 배출로(71)를 닫고, 제 3 분기 배출로(73)를 개방하고, 제 1 및 제 2 전환 게이트(171, 172)의 안내면(173, 176)을 따라 시트 S를 안내한다(도 12 참조).
양면 기록 모드시의 시트 반송 제어
이것은 양면 기록 모드시에 이미 한쪽면에 화상을 기록한 시트 S를 양면 기록 유닛(80)으로 되돌릴 때의 시트 반송 제어이다.
이 때, 2개의 전환 게이트(171, 172)는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어, 이미 단면에 화상을 기록한 시트 S를 제 1 분기 배출로(71)로 안내하고, 제 1 배출 롤쌍(161)이 순방향 회전하여 시트 S를 소정량 닙(nip) 반송한 후, 시트 S가 제 2 분기점 P2을 넘어선 시점에서 제 1 배출 롤쌍(161)의 순방향 회전이 역방향 회전으로 전환된다. 제 1 배출 롤쌍(161)에 닙 유지되어 있는 시트 S는 제 1 분기 배출로(71) 상에서 역방향으로 반송되고, 제 2 전환 게이트(172)의 안내면(174) 및 제 1 전환 게이트(171)의 제 3 안내면(177)을 따라 제 1 분기 배출로(71)에 대략 직선적으로 연통하는 연통 반송로(76) 측으로 안내되고, 제 2 배출 롤쌍(162)이 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양면 기록 유닛(80)으로 반송된다(도 12 참조).
이 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분기 배출로(72)로부터 배출된 시트S는 시트 복귀 반송로(81)를 통과하여 양면 기록 유닛(80)에 의해 반전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 S는 위치 결정 롤(44)에 도달하고, 화상 형성 엔진(21)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해 공급된다.
제 3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트 배출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시트 배출 장치(60)는 제 1 실시예(사양이 다른 시트 배출 유닛(61, 150)의 유닛 수용부(100)에 대한 시트 배출 유닛의 장착 구조가 공용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시트 배출 장치와는 달리, 사양이 다른 시트 배출 유닛(210, 220)에 각각 결합부가 구비되고, 유닛 수용부(200)에는 시트 배출 유닛(210, 220)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독립된 피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배출 유닛(210 또는 220)의 시트 배출 용량은 장치 메인 유닛(20)의 시트 반송 속도, 시트 공급량 또는 시트 처리량(화상 형성량)에 따라서 가변 설정된다. 본 예에서, 한쪽의 시트 배출 유닛(210)의 시트 배출 용량은 약 250매로 설정되고, 다른쪽의 시트 배출 유닛(220)의 시트 배출 용량은 약 500매로 설정된다.
본 예에서, 한쪽의 시트 배출 유닛(210)은 외장 커버(2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쪽의 시트 배출 유닛(220)은 외장 커버(225)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설계 사항은 필요한 때마다 선택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배출 유닛(210)에는 위치결정편(211) 및 스크류 장착편(212)이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한편 유닛 수용부(200)에는 위치결정편(211)이 결합하는 위치결정 홀(201) 및 스크류 장착편(212)이 접하는 스크류편(20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배출 유닛(210)과 사양이 다른 시트 배출 유닛(220)은 위치결정 보스(221) 및 장착용 유지 돌기(222)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한편, 유닛 수용부(200)에는 위치결정 보스(221)가 결합하는 위치결정 홀(206) 및 유지 돌기(222)가 결합하는 유지 홀(20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유닛 수용부(200)는 시트 배출 유닛(210, 220)의 결합부(211, 212, 221, 222)에 대응하는 피결합부(201, 202, 206, 207)를 구비하고 있고, 각 시트 배출 유닛(210, 220)은 결합부에 대응하는 피결합부와 결합함에 따라 유닛 수용부(200)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배출 유닛(210, 220)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유닛 수용부(200)의 피결합부는 완전히 별도의 부분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일부를 시트 배출 유닛(210, 220) 사이에서 공용화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시트 배출 장치는 제 3 실시예와 대략 같은 방식으로 유닛 수용부(200)에 대하여 시트 배출 유닛(230)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제 3 실시예와는 달리 시트 배출 장치는 유닛 수용부(200)에 시트 배출 유닛(230)이장착될 때에 시트 배출 유닛(230)과 장치 메인 유닛(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참조부호(208)은 유닛 수용부(200)에 형성된 스크류편을 표시하고, 참조부호 (231)은 스크류 오목부를 표시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유닛 수용부(200)의 일부에는 장치 메인 유닛(20)의 전기 접속 단자(290)가 노출되어 있고, 시트 배출 유닛(230)의 전기 접속 단자(290)에 대향한 부위에는 드로(draw) 커넥터(291)가 배치되어 있다. 유닛 수용부(200)에 시트 배출 유닛(2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 접속 단자(290)와 드로 커넥터(291)가 접속되어 장치 메인 유닛(20) 측으로부터 시트 배출 유닛(230) 측으로 전력 공급이 행해진다.
따라서, 시트 배출 유닛(230)에 각종의 피구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면, 각 피구동 부재에는 전력 공급에 의해 적당한 구동력이 주어진다.
제 5 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배출 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2에서, 시트 배출 장치는 제 3 실시예와 대략 같은 방식으로 유닛 수용부(200)에 대하여 시트 배출 유닛(24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제 3 실시예와는 달리 시트 배출 장치는 시트 배출 유닛(240)으로의 구동력 전달 기구(250)가 유닛 수용부(200)로부터 시트 배출 유닛(24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 기구(250)는 장치 메인 유닛(20) 측의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본체유닛 전달 기구(251)와, 시트 배출 유닛(240)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유닛 전달 기구(251)를 통해 구동력을 배출 롤 및 전환 게이트 등의 피구동 부재에 전달하는 유닛 전달 기구(252)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수용부(200)에 시트 배츌 윤시(240)이 장착된 상태에서, 양 전달 기구(251, 252)가 서로 결합되고, 구동력이 전달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4 내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배출 장치는 장치 메인 유닛(20)에 개폐될 수 있게 배치되어, 커버가 개방시에는 개구로부터 시트 배출 유닛(240)이 착탈되도록 하는 개폐 커버(261)와, 이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장치 메인 유닛(20)를 동작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개폐 커버(26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장치 메인 유닛(20)를 동작 불능하게 하는 인터로킹 장치(270)를 구비한다. 이 인터로킹 장치(270)를 사용하여 시트 배출 유닛(240)이 장치 메인 유닛(20)로부터 분리된 상태인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참조부호 (265)는 개폐 커버(261)에 배치된 스위치편을 표시하고, 참조부호 (271)은 인터로킹 장치(270)의 작동편을 표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닛 수용부(200)로부터 시트 배출 유닛(240)을 분리시키는 경우에, 통상 시트 배출 유닛(240)에 인접한 개폐 커버(261)를 개방시킨 후, 시트 배출 유닛(240)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시트 배출 유닛(240)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개폐 커버(261)가 항상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이 때, 인터로킹 장치(270)가 오프로 되어, 장치 메인 유닛(20)이 동작 불능으로 됨으로써, 구동력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서 구동력 전달 기구(250)의 메인 유닛 전달 기구(251)가 정지한다. 구동원을 정지시키지 않고서 예컨데 클러치 등을 통해서 메인 유닛 전달 기구(251)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닛 수용부(200)로부터 시트 배출 유닛(240)을 분리시킨 경우에는, 구동력 전달 기구(250)가 정지하여 시트 배출 유닛(240)이 안전하게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배출 유닛(24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개폐 커버(261)를 폐쇄하면, 인터로킹 장치(270)가 온으로 되어, 장치 메인 유닛(20) 측이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보다 안전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예컨데,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로킹 장치(270)의 주위에 셔터(280)를 개폐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평상시에는 셔터(280)를 가압 스프링(281)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가압하여, 인터로킹 장치(270)와 개폐 커버 사이에 셔터(280)를 배치하도록 하고, 한편, 유닛 수용부(200)에 시트 배출 유닛(240)을 장착한 상태에서, 시트 배출 유닛(240)에 배치된 가동 돌출편(245)에 의해 상기 셔터(280)를 가압 스프링(281)에 대항하여 이동시켜, 인터로킹 장치(270)와 개폐 커버(261)와의 사이로부터 퇴피(退避)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배출 유닛(240)을 장착한 상태에서, 인터로킹 장치(270)는 개폐 커버(261)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온/오프로 되지만, 시트 배출 유닛(24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셔터(280)가 개폐 커버(261)의 폐쇄 동작을 방해하기 때문에, 인터로킹 장치(270)는 항시 오프(동작 불능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시트 배출 유닛(240)이 착탈될 때에는, 장치 메인 유닛(20)은 항시 동작 불능으로 유지하고, 개폐 커버(261)가 잘못 폐쇄됨으로 인해 인터로킹장치(270)가 온으로 될 우려가 없고, 시트 배출 유닛(240)이 매우 안정하게 착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유닛 수용부에 사양이 다른 시트 배출 유닛을 장착시킴으로써, 유저의 요청에 응답하여 시트 배출 유닛을 장착할 수 있고, 배출된 시트의 수용가능한 매수(배출 시트 용량)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유닛 수용부에 시트 배출 유닛을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데, 사양이 다른 시트 배출 유닛을 미리 준비하고 있으면, 유저의 요청에 응답하여 시트 배출 유닛을 교환할 수 있고, 배출된 시트 용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트 배출 장치를 사용한 시트 처리 장치는 배출된 시트 용량을 용이하게 변경함에 따라 시트 처리 능력 사양 변경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응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 시트 용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구성된 시트 배출 유닛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 처리 장치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소형화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시트 용량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시트 배출 유닛 측에서 대응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의 시트 트레이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만큼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시트 배출 유닛 이외의 부위를 복수의 종류 준비하여, 시트 배출 유닛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 또한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26)

  1. 유닛 수용부를 구비하고,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로 배출하는 시트 배출 장치로서,
    상기 유닛 수용부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측에 배치되고,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 중 하나가 상기 유닛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유닛 수용부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의 상면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배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유닛 수용부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시트 적재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배출 부재까지의 높이 치수가 상이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유닛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유닛 수용부를 가지고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유닛 수용부를 가지고 정착 장치로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수용부는 복수 사양의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피결합부의 적어도 일부인 공용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수용부는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의 결합부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시트 적재부의 상면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되는 배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배출 장치는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측 내에 설치된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배출 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 기구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전달 기구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상에 설치되어 개폐될 수 있고, 개방시에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이 착탈될 수 있게 하는 커버 부재와,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가 폐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 부재와,
    상기 커버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동작을 불능하게 하는 인터록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판별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은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시트 반송 속도에 따라 시트의 배출 용량을 각각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은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시트 공급량에 따라 시트의 배출 용량을 각각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사양의 시트 배출 유닛은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시트 처리양에 따라 시트의 배출 용량을 각각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의 배출 제어에 사용되는 센서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시트 반송로 내에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의 앞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상기 시트 배출 유닛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시트 배출 장치의 외장 커버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시트 배출 장치의 외장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은 시트 상에 미정착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배출 장치는 상기 정착 장치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배출 유닛에는 적어도 시트가 상기 정착 장치를 통과할 때 생기는 시트 컬(curl)이 교정될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된 배출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화상을 아래로 향하여 시트를 배출하는 페이스 다운 배출로와, 화상을 위로 향하여 시트를 배출하는 페이스 업 배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 업 및 페이스 다운 배출로는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적어도 3방향으로 분기한 전환 가능한 배출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24. 유닛 수용부를 구비하고,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로 배출하는 시트 배출 장치로서,
    상기 유닛 수용부가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측에 배치되고, 시트 배출 유닛이 상기 유닛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장치.
  25. 처리 장치 메인 유닛에 제 24 항에 기재된 시트 배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26.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일부로서 내장되어,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내의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시트를,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의 상부에 설치된 시트 적재부로 배출하는 시트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시트 배출 유닛으로서,
    상기 처리 장치 메인 유닛 측에 배치되는 유닛 수용부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 배출 유닛은 상기 유닛 수용부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배출 유닛.
KR1020020081347A 2001-12-20 2002-12-18 시트 배출 장치,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배출 유닛 KR100622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8592 2001-12-20
JPJP-P-2001-00388592 2001-12-20
JPJP-P-2002-00276424 2002-09-20
JP2002276424A JP2003246534A (ja) 2001-12-20 2002-09-20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00A true KR20030063100A (ko) 2003-07-28
KR100622898B1 KR100622898B1 (ko) 2006-09-18

Family

ID=2662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347A KR100622898B1 (ko) 2001-12-20 2002-12-18 시트 배출 장치,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배출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48711B2 (ko)
JP (1) JP2003246534A (ko)
KR (1) KR100622898B1 (ko)
CN (1) CN1254424C (ko)
TW (1) TW5931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85B1 (ko) * 2005-02-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4687B2 (ja) * 2003-05-09 2009-02-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処理装置
KR100636464B1 (ko) * 2003-11-14 2006-10-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반송로 개폐 기구
JP4517875B2 (ja) * 2005-02-15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
JP2006256864A (ja) * 2005-02-16 2006-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234150B2 (ja) * 2005-07-08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記録システム
JP2007093828A (ja) * 2005-09-28 2007-04-12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845639B2 (en) * 2007-02-05 2010-12-07 Pitney Bowes Inc. Multi-function low profile print interface for a sheet handling device
US20080205914A1 (en) * 2007-02-27 2008-08-28 Sang Uk Je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jam-removal method thereof
US8641040B2 (en) * 2008-08-11 2014-0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Kiosk-installable printer with duplex path utilized to deliver printed media sheets to lower front exterior of printer
US8172228B2 (en) * 2009-03-26 2012-05-08 Xerox Corporation Integrated module
KR101812749B1 (ko) * 2011-12-13 2017-12-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03407820B (zh) * 2013-08-21 2015-10-14 西安航天华阳印刷包装设备有限公司 换向输送的壁纸收料装置
US8936243B1 (en) * 2014-02-26 2015-01-20 Eastman Kodak Company Media diverter system using bernoulli force rollers
JP6880628B2 (ja) * 2016-09-30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JP7271935B2 (ja) * 2018-12-20 2023-05-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00753B2 (ja) * 2019-02-28 2023-0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789A (ja) * 1992-09-25 1994-05-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排紙トレイ装置
JP3298375B2 (ja) * 1995-09-01 2002-07-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情報処理装置
US6112047A (en) * 1996-03-11 2000-08-2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ubstantially vertical sheet transport path and a relaying mechanism that cooperate to transfer a sheet to a sheet discharge section
JP2000103564A (ja) * 1998-09-29 2000-04-11 Fuji Xerox Co Ltd シート受け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302311A (ja) 1998-12-25 2000-10-31 Ricoh Co Ltd 排紙装置
US6304742B1 (en) * 2000-02-24 2001-10-16 Xerox Corporation Printer with superposed trays for print output and document handl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85B1 (ko) * 2005-02-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독취장치.
US7409175B2 (en) 2005-02-07 2008-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locking unit for locking movable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8283A (zh) 2003-07-09
US6948711B2 (en) 2005-09-27
CN1254424C (zh) 2006-05-03
KR100622898B1 (ko) 2006-09-18
TW593106B (en) 2004-06-21
JP2003246534A (ja) 2003-09-02
US20030116911A1 (en) 2003-06-26
TW200301213A (en) 200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898B1 (ko) 시트 배출 장치, 시트 처리 장치 및 시트 배출 유닛
EP0266739B1 (en) A sheet finisher
KR100241798B1 (ko) 거의 수직인 용지이송통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5821459B2 (ja) 画像形成装置
JP513537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中継ユニット
KR20050075296A (ko)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
CN104909193A (zh) 片材传送装置及图像形成设备
KR10043501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3920017B2 (ja) 画像形成装置
US7055820B2 (en) Sheet discharge device and sheet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JP3925622B2 (ja) シート方向切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排出装置、シート処理装置
US11274010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equipped with same
JPH0848447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排出装置
EP1650613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an open and close unit
JP2010249969A (ja) 画像形成装置
JP3836348B2 (ja) 用紙処理装置
JPH01308354A (ja) 画像形成装置
JP3140562B2 (ja) 画像形成装置
JP585076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7168407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86471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49968A (ja) 自動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68564A (ja) 排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S6042774A (ja) 自動両面複写機
JPH0741225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用紙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