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670A -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670A
KR20030062670A KR1020020002999A KR20020002999A KR20030062670A KR 20030062670 A KR20030062670 A KR 20030062670A KR 1020020002999 A KR1020020002999 A KR 1020020002999A KR 20020002999 A KR20020002999 A KR 20020002999A KR 20030062670 A KR20030062670 A KR 2003006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recording
control signal
type
optical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377B1 (ko
Inventor
서진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377B1/ko
Priority to TW091123180A priority patent/TWI311860B/zh
Priority to DE60217819T priority patent/DE60217819T2/de
Priority to EP02257896A priority patent/EP1329879B1/en
Priority to CNB2006100595099A priority patent/CN100401397C/zh
Priority to CNB021506663A priority patent/CN1278322C/zh
Priority to US10/330,347 priority patent/US7145857B2/en
Priority to JP2003008825A priority patent/JP2003228837A/ja
Publication of KR2003006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377B1/ko
Priority to JP2006038366A priority patent/JP4494348B2/ja
Priority to US11/583,932 priority patent/US7460458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11B7/0062Overwriting strategies, e.g. recording pulse sequences with erasing level used for phase-change med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매체의 타입과 기록 배속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할 수 있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및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펄스 발생장치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여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멀티 펄스 구간에서 발생될 멀티 펄스의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멀티 펄스의 형태를 갖는 기록 펄스가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도록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펄스 발생장치는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광 매체의 기록 마크 또는/ 및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기록 펄스가 설정된 레벨을 갖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광 매체로 발생되는 기록 펄스의 레벨을 기록 마크 및 기록 스페이스의 구간별로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광 소자 구동부로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양한 광 매체의 타입과 다양한 배속에 대한 광 기기의 호환성을 증대시켜 어떠한 광 매체나 배속에서도 최적의 기록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ecording pulse suitable for various optical media}
본 발명은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기록 배속에서도 다양한 광 매체에 대한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안되어 있는 광 매체는 크게 CD용과 DVD(Digital Versatile Disc)용으로 나뉜다. CD용 광 매체인 CD-R, CD-RW용 광 기기는 일반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DVD용 광 매체인 DVD-RW, DVD-R, DVD +RW, DVD-RAM용 광 기기도 현재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광 매체별로 기록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광 매체별 기록 펄스의 형태는 상이하다. 또한, 각각의 매체별 기록 배속에 따라 기록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광 매체의 기록 배속에 따라서도 기록 펄스의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DVD-RAM이나 CD-RW의 기록 펄스는 멀티 펄스 열(multi pulse train)이 채널 클록(channel clock) 내에서 하이(high)로 시작하기 때문에 온 스타트 멀티 펄스(on-start multi pulse) 타입으로 정의할 수 있다. DVD ±RW와 DVD-R의 기록 펄스는 멀티 펄스 열이 채널 클록 내에서 로우(low)로 시작하기 때문에 오프 스타트 멀티 펄스(off-start multi pulse) 타입으로 정의할 수 있다. CD-R의 기록 펄스는 멀티 펄스를 사용하지 않고 NRZI(Non-Return to Zero Invert, 이하 NRZI라고 약함)와 유사하므로 논 멀티 펄스(Non-Multi Pulse) 타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광 매체를 하나의 광 기기로 수용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광 매체 타입별로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기록 펄스 발생장치는 광 매체 타입별로 기록 펄스를 구성하는 퍼스트 펄스(first pulse), 멀티 펄스 열(multi pulse train), 라스트 펄스(last pulse),쿨링 펄스(cooling pulse, 또는 bottom pulse)들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기록 마크의 시작점 및 끝점을 기준으로 계수하고, 계수 값을 이용하여 바이어스 3 제어신호(bias 3 control signal 또는 bottom control signal이라고도 함), 이레이즈 제어신호(erase control signal, 또는 bias 1 control signal이라고도 함), 피크 제어신호(Peak control signal) 및 쿨링 제어신호(cooling control signal, 또는 bias 2 control signal이라고도 함)를 발생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이하 LD라고 약함) 구동부를 제어하여 LD로부터 원하는 기록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였다.
또한, 고밀도 및 고배속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멀티 펄스 열의 펄스 폭을 가변시키는 기록펄스 발생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기록펄스 발생장치들은 LD 구동부로 입력되는 기록 전류 채널이 고정되어 있다. 즉, 읽기 전류(read current) 전송 채널, 피크 전류(peak current) 전송 채널, 이레이즈 전류(erase current) 전송 채널, 쿨링 전류 전송 채널, 버텀 전류(bottom current) 전송 채널로 LD 구동부로 입력되는 전류 전송 채널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LD 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바이어스 제어신호, 이레이즈 제어신호, 피크 제어신호, 및 쿨링 제어신호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존의 기록 펄스 발생장치는 주로 기록 펄스의 폭을 가변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배속화가 진행됨에 따라 하나의 기록 마크(또는 domain)에 대한 기록 펄스의 폭이 반비례적으로 좁아질 뿐 아니라 하나의 광 구동기로 모든 종류의광 매체에 대한 기록 및 재생을 원함에 따라 광 매체별로 요구되는 기록 펄스의 형태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제안된 기록 펄스 발생장치와 같이 전류 전송 채널 및 상기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신호의 수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록 펄스의 폭을 가변 시키는 방식으로는 다양하게 요구되는 기록 펄스의 형태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 매체의 타입과 기록 배속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할 수 있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 매체의 타입과 기록 배속에 따라 기록펄스를 논 멀티(Non-multi) 펄스 타입과 멀티 펄스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발생하는 기록펄스 발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 매체의 타입과 기록 배속에 따라 기록펄스를 복수의 논 멀티 펄스 타입과 멀티 펄스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발생하는 기록펄스 발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 매체의 타입과 기록 배속에 따라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가변 시켜 발생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채널 경로(path)를 추가하지 않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자동 파워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전류(또는 전압) 수를 증가시켜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따라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가변 시켜 발생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펄스 발생장치는, 원하는 기록 펄스가 발생되도록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여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멀티 펄스 구간에서 발생될 멀티 펄스의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멀티 펄스의 형태를 갖는 기록 펄스가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도록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멀티 펄스 구간에서 발생될 멀티 펄스의 형태를 복수의 논 멀티 펄스 타입과 복수의 멀티 펄스 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기록펄스의 멀티 펄스 구간의 전 구간의 레벨 또는 일부 구간별로 레벨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광 소자 구동부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여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광 매체의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기록 펄스가 설정된 레벨을 갖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광 매체로발생되는 기록 펄스의 레벨을 기록 펄스의 구간별로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로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기록 펄스의 레벨을 상기 일부 구간별로 설정되어 있는 기준 레벨보다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펄스에 해당되는 빛을 상기 광 매체로 방사하는 발광 소자; 기록 펄스가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결정된 형태로 발생되도록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광 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발광소자에서 필요한 파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수광부의 출력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채널별로 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구동부로 제공하는 파워 제어 신호 제공부;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광 매체상에 형성되는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서 기록 펄스의 레벨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동부로 입력되는 채널별 파워 제어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구동부로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제어신호 발생부에서의 제어신호 발생여부 및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펄스 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 정보에 따라 기록 펄스의 발생 조건을 설정하는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 정보에 따라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멀티 펄스 결정부;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와 멀티 펄스 결정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 및 현재 기록 마크에 대한 제 1 정보와 기록 마크의 전후 스페이스에 대한 제 2 정보를 토대로 기록 펄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펄스들을 독립적으로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 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펄스 생성기 군에서 생성되는 펄스들중 필요한 펄스를 선택하여 제어신호를 구성하고,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이 해당 구간에서의 기준 레벨보다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가변 시키기 위하여, 상기 펄스 발생기 군으로부터 발생되는 각 펄스들에 대한 전송여부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결정에 따라 얻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를 구동부로 발생하는 매트릭스 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이 변경될 때마다 업데이트 되는 피크 레지스터, 이레이즈 레지스터, 쿨링 레지스터, 버텀 레지스터, 읽기 레지스터, 보조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지스터 단위로 비트 정보들을 저장한 레지스터 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매트릭스 회로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이 소정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워 제어 신호의 량만큼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펄스 발생기 군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조합한 복수의 제어신호를 구동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 제어신호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전압을 분압할 수 있는 수단을 연결하고,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제어신호가 구동부의 보조 파워 제어신호로서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발광소자의 자동 파워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파워 제어신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펄스 발생방법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사용하는 광 매체의 타입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배속에 따라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기록 펄스에 포함되는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펄스 형태를 갖는 기록 펄스가 발광 소자로부터 방사되도록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채널별로 제공되는 파워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워 제어신호로 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사용하는 광 매체의 타입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배속에 따라 광 매체에 형성되는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갖는 빛이 발광 소자로부터 방사되도록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채널별로 제공되는 파워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워 제어신호로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결정된 기록 펄스의 레벨에 따라 기록 펄스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펄스들의 조합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된 조합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들을 조합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제어신호로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리드 레이저 온(Read_LD ON) 펄스, 버텀(바이어스 3) 펄스, 쿨링(바이어스 2) 펄스, 이레이즈(바이어스 1) 펄스, 복수의 멀티 펄스와 복수의 논 멀티 펄스, 라스트 펄스 및 퍼스트 펄스 들 중에서 상기 필요한 펄스들이 선택되도록 조합 조건을 결정하고, 피크 제어신호, 이레이즈(바이어스 1) 제어신호, 쿨링(바이어스 2) 제어신호, 버텀(바이어스 3) 제어신호, 리드 제어신호, 보조(auxiliary)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신호로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 펄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록 펄스내의 각 구간별 기준 레벨을 토대로 한 기록 펄스의 레벨 증감여부와 증감 량을 고려하여 기록 펄스의 레벨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록 펄스 발생 방법은,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따라 기록 펄스에 포함되는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따라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가 논 멀티 펄스 타입인지 판단하는 단계;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가 논 멀티 펄스 타입이 아니면, 온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인지 판단하는 단계;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가 논 멀티 펄스 타입도 온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도 아니면, 오프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장치의 블록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신호 발생부의 상세 블록 도이다.
도 3은 입력되는 NRZI와 LD의 출력을 기준으로 도 2에 도시된 펄스 발생기 군에서 발생되는 펄스들의 타이밍 예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매트릭스 회로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각 광 매체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이 변형된 예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7은 멀티 펄스 형태 결정단계의 상세 흐름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장치의 블록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 펄스 발생장치는 제어부(101), NRZI 검출부(110), 제어신호 발생부(115), 전류 제공부(120),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140),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이하 LD라고 약함) 구동부(150), LD(160), 및 광 매체(170)로 구성된다.
제어부(101)는 광 매체(170)의 타입 및 배속에 따라 기록 마크 및 기록 스페이스에 대한 기록 펄스가 최적의 레벨을 갖고 발생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 발생부(115)와 전류 제공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해당되는 광 기기내의 미 도시된 엔덱(ENDEC, ENcoder & DEcoder)으로부터 전송되는 기록 게이트(write gate) 신호가 액티브(active) 상태일 때 동작한다. 제어부(101)는 미 도시된 주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170)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를토대로 레지스터 군(105)의 값을 설정한다.
레지스터 군(105)에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의 제어신호 발생 여부 및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레지스터 군(105)에는 현재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의 기록펄스의 레벨을 결정하고, 결정된 레벨을 갖는 기록 펄스가 발생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01)는 입력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정보에 따라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각 구간별 기준 레벨을 토대로 현재 발생하기 원하는 기록 펄스의 각 구간별 레벨을 증감시킬 것인지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각 구간별로 결정된 기록 펄스의 레벨이 발생될 수 있도록 레지스터 군(105)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설정한다. 상기 기준 레벨은 광 매체 타입별로 기록 마크(domain)를 형성하기 위한 기록 펄스를 구성하는 퍼스트 펄스, 멀티 펄스 열, 라스트 펄스, 쿨링 펄스별로 설정된다.
제어부(101)는 사전에 광 매체 타입별 상기 기준 레벨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미 도시된 주 제어부로부터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기준 레벨을 토대로 발생하기 원하는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각 펄스 구간별로 증감시킬 것인지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어부(101)는 재 기록이 가능한 광 매체(Rewritable Media)에서 기록 스페이스 영역의 기록 마크(domain) 소거 및 오버 라이트(overwrite)를 위한 중요 레벨로 소거(Erase) 펄스에 대한 레벨도 설정한다.
이로 인하여 레지스터 군(105)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광 매체(170)의 타입 및 배속이 변경될 때마다 주 제어부(미 도시됨)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업데이트 된다. 레지스터 군(105)은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레지스터 비트7 비트6 비트5 비트4 비트3 비트2 비트1 비트0
피크SW레지스터 CH_EN Read_LDON FisrtPulse LastPulse MultiPulse ErasePulse CoolingPulse BottomPulse
이레이즈 SW레지스터 CH_EN Read_LDON FisrtPulse LastPulse MultiPulse ErasePulse CoolingPulse BottomPulse
쿨링 SW레지스터 CH_EN Read_LDON FisrtPulse LastPulse MultiPulse ErasePulse CoolingPulse BottomPulse
버텀 SW레지스터 CH_EN Read_LDON FisrtPulse LastPulse MultiPulse ErasePulse CoolingPulse BottomPulse
리드 SW레지스터 CH_EN Read_LDON FisrtPulse LastPulse MultiPulse ErasePulse CoolingPulse BottomPulse
보조 SW레지스터 CH_EN Read_LDON FisrtPulse LastPulse MultiPulse ErasePulse CoolingPulse BottomPulse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101)에 구비되는 레지스터(105)는 피크 스위치(Peak SW)에 대한 8비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이레이즈 스위치(Erase SW)에 대한 8비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쿨링 스위치(Cooling SW, 또는 bias 2 SW라고도 함)에 대한 8비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버텀 스위치(Bottom SW, 또는 bias 3 SW라고도 함)에 대한 8비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리드 스위치(Read SW)에 대한 8비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 보조 스위치(Auxiliary SW)에 대한 8비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피크 스위치는 피크 레지스터로, 상기 이레이즈 스위치는 이레이즈 레지스터로, 쿨링 스위치는 쿨링 레지스터로, 상기 버텀 스위치는 버텀 레지스터로, 리드 스위치는 리드 레지스터로, 보조 스위치는 보조 레지스터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피크 스위치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 발생되는 피크 제어신호(Peak control signal)의 발생 여부 및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이레이즈 스위치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 발생되는 이레이즈 제어신호(Erase control signal)의 발생 여부 및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쿨링 스위치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 발생되는 쿨링 제어신호(Cooling control signal)의 발생 여부 및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버텀 스위치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 발생되는 버텀 제어신호(Bottom control signal)의 발생 여부 및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리드 스위치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 발생되는 리드 제어 신호(Read control signal)의 발생 여부 및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보조 스위치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 발생되는 보조 제어 신호(Auxiliary control signal)의 발생 여부 및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상기 레지스터 군(105)의 각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의 제어신호 발생여부 및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펄스 형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표 1에 정의된 것을 토대로 할 경우에, 각 레지스터의 최상위 비트인 비트 7(Bit 7)은 채널 인에이블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각 레지스터의 비트 6(Bit 6)은 리드 레이저 다이오드 온(Read_LD ON)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각 레지스터의 비트 5(Bit 5)는 퍼스트 펄스(Fist pulse)의 전송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각 레지스터의 비트 4(Bit 4)는 라스트 펄스(Last pulse)의 전송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각 레지스터의 비트 3(Bit 3)은 멀티 펄스의 전송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각 레지스터의 비트 2(Bit 2)는 이레이즈 펄스(Erase pulse)의 전송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각 레지스터의 비트 1(Bit 1)은 쿨링 펄스(Cooling pulse)의 전송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각 레지스터의 비트 0(Bit 0)은 버텀 펄스(Bottom pulse)의 전송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상기 비트 인에이블 여부는 해당되는 제어신호의 발생여부를 제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크 스위치의 상기 비트 7, 비트 5, 비트 4, 비트 3이 액티브 상태로 설정되면, 제어신호 발생부(115)는 피크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발생되는 피크 제어신호는 퍼스트 펄스, 라스트 펄스 및 멀티 펄스로 구성된다. 상기 액티브 상태(비트 7)가 '0'인 경우에는 제어신호 발생부(115)의 피크 제어신호를 디스에이블(Disable)시켜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주 제어부(미 도시됨)는 입력되는 NRZI에 동기되어 광 매체의 리드인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나 그 이외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170)의 타입을 분석하고, 현재 광 기기가 구동되는 배속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제어부(101)가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170)의 타입과 배속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주 제어부(미 도시됨)에서 이루어지는 광 매체의 타입 분석 및 배속 분석은 기존의 알려진 방식을 이용한다.
NRZI 검출부(110)는 NRZI가 입력되면, 현재 광 매체(170)상에 형성될 기록 마크에 대한 정보와 상기 기록 마크와 전(前) 스페이스 크기 조합에 대한 정보 및 기록 마크와 후(後) 스페이스 크기 조합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제어신호 발생부(115)로 전송한다.
제어신호 발생부(115)는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되는 레지스터 군(105)에 저장된 데이터,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와 NRZI 검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현재 형성될 기록 마크와 전/후 스페이스에 대한 정보에 따라 퍼스트 펄스의 상승 에지를 가변하고 라스트 펄스의 하강 에지를 가변시키면서 LD 구동부(150)의 채널을 인에이블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발생 가능한 제어신호는 6개의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6개의 제어신호는 피크 제어 신호, 이레이즈 제어신호, 쿨링 제어신호, 버텀 제어 신호, 리드 제어신호, 보조 제어신호이다. 상기 이레이즈 제어신호는 사용되는 광 매체에 따라 바이어스 1 제어신호라고도 한다. 상기 쿨링 제어신호는 사용되는 광 매체에 따라 바이어스 2 제어신호라고도 한다. 상기 버텀 제어신호는 사용되는 광 매체에 따라 바이어스 3 제어신호라고도 한다.
제어신호 발생부(1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신호 발생부(115)는 기록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200), 멀티펄스 결정부(205), 펄스 발생기 군(210)과 매트릭스 회로(220)로 구성된다.
기록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200)는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발생될 기록펄스를 구성하는데필요한 펄스들의 종류 및 펄스들의 상승에지와 하강에지에 대한 조건을 설정한다. 설정된 기록펄스 발생 조건 정보는 펄스 발생기 군(210)으로 제공된다.
멀티 펄스 결정부(205)는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멀티 펄스 구간을 논 멀티 펄스 타입으로 발생할 것인지 멀티 펄스 타입으로 발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논 멀티 펄스 타입으로 결정한 경우에, 발생될 논 멀티 펄스타입의 상승에지(또는 시작 점(start point))와 하강 에지(종료점(end point))를 4종류로 구분하고, 어떠한 타입으로 발생할 지를 결정한다.
상기 4 종류의 논 멀티 펄스 타입은 도 3의 (j), (k), (l), 및 (m)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즉, LD(160)에서 출력되는 기록펄스의 파형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을 때, 도 3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펄스의 시작점이 상기 퍼스트 펄스의 시작점(Tsfp)과 일치하고 종료점이 상기 라스트 펄스의 종료점(Telp)과 일치하는 제 1 논 멀티 펄스, 도 3의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펄스의 시작점이 상기 퍼스트 펄스의 종료점(Tefp)과 일치하고 종료점이 상기 라스트 펄스의 시작점(Tslp)과 일치하는 제 2 논 멀티 펄스, 도 3의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펄스의 시작점이 상기 퍼스트 펄스의 시작점(Tsfp)과 일치하고 종료점이 상기 라스트 펄스의 시작점(Tslp)과 일치하는 제 3 논 멀티 펄스, 및 도 3의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점이 상기 퍼스트 펄스의 종료점(Tefp)과 일치하고 종료점이 상기 라스트 펄스의 종료점(Telp)과 일치하는 제 4 논 멀티 펄스로 구분할 수 있다. 멀티 펄스 결정부(205)는 상기 4개의 논 멀티 펄스 타입중 하나의 펄스 타입을결정한다.
또한, 멀티 펄스 결정부(205)에서 채널 클록내에서 하이로 시작하는 온 스타트 멀티 펄스가 발생되도록 결정하거나 채널 클록내에서 로우로 시작하는 오프 스타트 멀티 펄스가 발생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멀티 펄스 결정부(205)에서 결정된 정보는 펄스 발생기 군(210)으로 제공된다.
펄스 발생기 군(210)은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200)로부터 제공되는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정보와 멀티 펄스 결정부(205)로부터 제공되는 멀티 펄스 발생 조건 정보와 NRZI 검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형성될 기록 마크에 대한 정보 및 전후 스페이스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기록 펄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펄스들을 독립적으로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펄스 발생기 군(210)은 리드 레이저 다이오드 온(Read_LD ON) 펄스 발생기(211), 버텀 펄스 발생기(212), 쿨링 펄스 발생기(213), 이레이즈 펄스 발생기(214), 멀티 펄스 발생기(215), 라스트 펄스 발생기(216), 퍼스트 펄스 발생기(217)로 구성된다. 각 펄스 발생기들(211∼214, 216, 217)은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조건 정보와 NRZI 검출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펄스의 시작점(시작 위치)과 종료점(종료 위치)을 결정하여 펄스를 발생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NRZI가 도 3의 (a)와 같고, LD(160)에서 발생되는 기록 펄스가 도 3의 (b)와 같을 때, Read-LD ON 펄스 발생기(211)는계속 하이(1) 상태를 유지하는 펄스를 발생한다. 버텀 펄스 발생기(212)는 도 3의 (h)와 같은 펄스를 발생한다. 쿨링 펄스 발생기(213)는 도 3의 (i)와 같은 펄스를 발생한다. 이레이즈 펄스 발생기(214)는 도 3의 (g)와 같은 펄스를 발생한다.
멀티 펄스 발생기(215)는 멀티 펄스 결정부(205)로부터 전송되는 결정된 결과에 따라 도 3의 (e)와 같은 멀티 펄스 열 및 도 3의 (j)∼(m)과 같은 논 멀티 펄스중 하나를 발생한다. 멀티펄스 폭(MP)은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0.5 Tw, MP < 0.5Tw 및 MP>0.5Tw의 3가지 상태가 모두 선택되거나 3가지 상태중 하나의 상태가 또는 2개의 상태가 동시에 선택될 수도 있다.
라스트 펄스 발생기(216)는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발생 조건에 따라 도 3의 (d)와 같은 펄스를 발생한다. 퍼스트 펄스 발생기(217) 역시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발생 조건에 따라 도 도 3의 (c)와 같은 펄스를 발생한다. 이 때 발생되는 라스트 펄스의 폭(width)과 퍼스트 펄스의 폭은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따라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200)에서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f)에 도시된 피크 펄스는 퍼스트 펄스 발생기(217), 라스트 펄스 발생기(216) 및 멀티 펄스 발생기(215)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매트릭스 회로(220)에서 출력되는 피크 제어 신호가 이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매트릭스 회로(220)는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되는 피크 스위치 레지스터, 이레이즈 스위치 레지스터, 쿨링 스위치 레지스터, 버텀 스위치 레지스터, 리드 스위치 레지스터, 보조 스위치 레지스터에 의해 펄스 발생기 군(210)으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들의 전송여부를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조합된 펄스들로 이루어진 제어신호를 LD 구동부(150)로 전송한다. 매트릭스 회로(208)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 제어신호는 피크 제어신호, 이레이즈 제어신호, 쿨링 제어신호, 버텀 제어신호, 리드 제어신호, 보조 제어신호이다.
매트릭스 회로(20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는 내부적으로는 하이 액티브(high active)로 구동되고 출력되는 신호는 로우 액티브(low active)로 구동되도록 회로를 구성한 예로서, 6×7 매트릭스 구조로 논리곱 소자(A1∼A42)를 연결하고,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되는 각 스위치 제어신호단위의 논리곱 소자들(A1∼A7, A8∼A14, A15∼A21, A22∼A28, A29∼A35, A36∼A42)의 출력을 논리합 하는 논리소자들(OR 1∼OR 6), 해당되는 스위치 제어신호의 최상위 비트(bit 7)와 해당되는 논리소자의 출력은 부 논리 곱하는 부 논리곱 소자들(NA1∼NA6)로 구성된다.
따라서 Read_LD ON 펄스 발생기(211)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제어부(101)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6 데이터가 입력되는 논리곱 소자(A7, A14, A21, A28, A35, A42)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01)의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6이 '0'이면, Read_LD ON 펄스 발생기(211)로부터 발생된 펄스는 해당되는 논리합 소자(OR1∼OR6)로 전송된다.
버텀 펄스 발생기(212)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제어부(101)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0 데이터가 입력되는 논리곱 소자(A6, A13,A20, A27, A34, A41)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01)의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0가 '0'이면, 버텀 펄스 발생기(211)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해당되는 논리합 소자(OR1∼OR6)로 전송된다.
쿨링 펄스 발생기(213)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제어부(101)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1 데이터가 입력되는 논리곱 소자(A5, A11, A19, A26, A33, A40)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01)의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1이 '0'이면, 쿨링 펄스 발생기(213)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해당되는 논리합 소자(OR1∼OR6)로 전송된다.
이레이즈 펄스 발생기(214)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제어부(101)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2 데이터가 입력되는 논리곱 소자(A4, A11, A18, A25, A32, A39)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01)의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2가 '1'이면, 이레이즈 펄스 발생기(214)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해당되는 논리합 소자(OR1∼OR6)로 전송된다.
멀티 펄스 발생기(215)로부터 발생되는 멀티 펄스 또는 논 멀티 펄스는 제어부(101)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3 데이터가 입력되는 논리곱 소자(A3, A10, A17, A24, A31, A38)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01)의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3이 '1'이면, 멀티 펄스 발생기(215)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해당되는 논리합 소자(OR1∼OR6)로 전송된다.
라스트 펄스 발생기(216)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제어부(101)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4 데이터가 입력되는 논리곱 소자(A2, A9,A16, A23, A30, A37)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01)의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4가 '1'이면, 라스트 펄스 발생기(216)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해당되는 논리합 소자(OR1∼OR6)로 전송된다.
퍼스트 펄스 발생기(217)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제어부(101)내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5 데이터가 입력되는 논리곱 소자(A1, A8, A15, A22, A29, A36)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101)의 해당되는 레지스터(105)의 비트 5가 '1'이면, 퍼스트 펄스 발생기(217)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는 해당되는 논리합 소자(OR1∼OR6)로 전송된다.
한편, 제어부(101)로부터 1행의 논리곱 소자(A1∼A7)로 입력되는 신호는 피크 스위치용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데이터이고, 2행의 논리곱 소자(A8∼A14)로 입력되는 신호는 이레이즈 스위치용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데이터이고, 3행의 논리곱 소자(A15∼A21)로 입력되는 신호는 쿨링 스위치용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데이터이고, 4행의 논리곱 소자(A22∼A28)로 입력되는 신호는 버텀 스위치용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데이터이고, 5행의 논리곱 소자(A29∼A35)로 입력되는 신호는 리드 스위치용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데이터이고, 6행의 논리곱 소자(A36∼A42)로 입력되는 신호는 보조 스위치용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데이터이다.
부 논리곱 소자(NA1)는 피크 스위치용 레지스터의 최상위 비트(bit 7)와 논리합 소자(OR1)의 출력을 부 논리곱하고, 그 결과를 피크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부 논리곱 소자(NA2)는 이레이즈 스위치용 레지스터의 최상위 비트(bit 7)와 논리합 소자(OR2)의 출력을 부 논리곱하고, 그 결과를 이레이즈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부 논리곱 소자(NA3)는 쿨링 스위치용 레지스터의 최상위 비트(bit 7)와 논리합 소자(OR3)의 출력을 부 논리곱하고, 그 결과를 쿨링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부 논리곱 소자(NA4)는 버텀 스위치용 레지스터의 최상위 비트(bit 7)와 논리합 소자(OR4)의 출력을 부 논리곱하고, 그 결과를 버텀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부 논리곱 소자(NA5)는 리드 스위치용 레지스터의 최상위 비트(bit 7)와 논리합 소자(OR5)의 출력을 부 논리곱하고, 그 결과를 리드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부 논리곱 소자(NA6)는 보조 스위치용 레지스터의 최상위 비트(bit7)와 논리합 소자(OR6)의 출력을 부 논리곱하고, 그 결과를 보조 제어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매트릭스 회로(208)에 사용된 로직 회로는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들의 비트 데이터의 조건에 따라 변경되거나 동일한 역할을 하는 다른 로직게이트 또는 아날로그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매트릭스의 크기도 구성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전류 제공부(120)는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이하 VGA라고 약함)(121), 제 1 내지 제 5 샘플 & 홀드(S/H)(122_1∼122_5), 제 1 내지 제 5 전송수단(123∼127), 제 1 내지 제 5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이하 DAC라고 약함)(128∼1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류 제공부(120)는 기존의 광 기기에서 자동 파워 제어(APC) 블록과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류 제공부(120)는 LD 구동부(150)로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 제공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변 이득 증폭기(121)는 포토 다이오드(140)에서 발생된 전류 신호를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하고,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제 1 내지 제 5 샘플 & 홀드(122_1∼122_5)는 가변이득 증폭기(121)의 출력신호중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구간의 신호만을 샘플링하고 홀드하여 해당되는 전송수단(123∼127)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제어부(101)로부터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1 샘플 & 홀드(122_1)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이득 증폭기(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리드(read) 구간의 신호만을 샘플링하고 홀드하여 제 1 전송수단(123)으로 전송한다. 제 2 샘플 & 홀드(122_2)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이득 증폭기(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피크 레벨( 퍼스트 레벨+ 멀티 레벨 + 라스트 레벨) 구간의 신호만을 샘플링하고 홀드한 신호는 제 2 전송수단(124)으로 전송된다. 제 3 샘플 & 홀드(122_3)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 이득 증폭기(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중에서 이레이즈 레벨 구간의 신호만을 샘플링하고, 홀드한 신호는 제 3 전송수단(125)으로 전송된다. 제 4 샘플 & 홀드(122_4)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이득 증폭기(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쿨링(Cooling Level) 구간의 신호만을 샘플링하고 홀드한 신호는 제 4 전송수단(126)으로 전송된다. 제 5 샘플 & 홀드(122_5)는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이득 증폭기(121)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버텀 레벨(Bottom Level) 구간의 신호만을 샘플링하고 홀드한 신호는 제 5 전송수단(127)으로 전송된다.
제 1 내지 제 5 전송 수단(123∼127)은 제어부(101)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상태가 제어되고, 제 1 내지 제 5 샘플 & 홀드(122_1∼122_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LD(150)의 출력 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각 채널별 전류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전송 수단(123∼127)은 구성하고자 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하나의 샘플링 & 홀드와 하나의 전송 수단만을 이용하여 필요한 채널 수만큼 순차적으로 사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5 전송 수단(123∼127)은 업/다운 카운터(미 도시됨), 멀티플렉서(미 도시됨) 및 필터링 수단(미 도시됨)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제 1 내지 제 5 전송수단(123∼127)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해당되는 샘플 & 홀드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샘플 & 홀드된 신호가 크다면 업/다운 카운터(미 도시됨)는 다운 카운팅을 수행하고, 그 결과 값은 출력 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각 채널별 전류의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DAC(128~132)로 전송된다. 반대로 해당되는 샘플 & 홀드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샘플 & 홀드된 신호가 작다면 업/다운 카운터(미 도시됨)는 업 카운팅을 수행하고, 그 결과 값은 출력 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각 채널별 전류의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DAC(128~132)로 전송된다. 멀티플렉서(미 도시됨)는 제어부(101)에 의해 제어되어 다운 카운팅된 결과와 가변 이득 증폭기(121)에서 증폭된 전압중 하나를 선택하여 ADC(미 도시됨) 후 필터링 수단(미 도시됨)으로 전송한다. 필터링 수단(미 도시됨)은 상기 멀티플렉서(미 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원하는 값을 갖도록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제 1 내지 제 5 DAC(128∼132)는 제 1 내지 제 5 전송수단(123∼127)으로부터 전송되는 값을 아날로그 신호(전류 형태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여 LD구동부(150)로 전송한다. 제 1 DAC(128)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리드 전류(Read current)이다. 제 2 DAC(12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피크 전류(Peak Current)이다. 제 3 DAC(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이레이즈 전류(Erase Current)이다. 제 4 DAC(1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쿨링 전류(Cooling Current)이다. 제 5 DAC(1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버텀 전류(Bottom Current)이다. 만약 전류 제공부(120)가 전압 제공부로 구현된 경우에 제 1 내지 제 5 DAC(128∼13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전압 형태를 갖는 신호가 된다.
또한, 전류 제공부(120)는 이레이즈 전류가 전송되는 채널에 분압 저항(R1, R2)을 연결하여 이레이즈 전류가 출력되는 채널의 전압을 분압하도록 한다. 그리고, 저항(R1, R2)간의 사이 접점(A)을 LD 구동부(150)에 연결하여 보조 전류(auxiliary current)가 LD 구동부(150)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적으로 별도의 연산수단이나 DAC를 구비하지 않아도 LD 구동부(150)로 입력되는 LD의 자동 파워 제어용 전류 수가 하나 더 증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을 분압하는 수단을 원하는 채널과 LD 구동부(150)에 연결시켜, LD의 자동 파워 제어용 전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 전류(Read Current)가 출력되는 채널에 상술한 분압 저항을 연결할 수도 있다.
포토 다이오드(140)는 광 매체(170)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이다.
LD 구동부(150)는 제어신호 발생부(115)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 제공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류중 해당 전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전류를 가산후 증폭하여 LD(16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LD(160)는 원하는 레벨을 갖는 기록 펄스에 대응되는 빛을 광 매체(170)로 방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종류와 배속에 따라 기록 마크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을 증감시키거나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펄스 및 이레이즈(erase) 구간(기록 스페이스 구간)에 대해서도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을 증감시키거나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각 광 매체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이 변형된 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전체 발생 가능한 기록 펄스 조합 수는 매트릭스 회로(22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는 매트릭스 회로(220)의 크기는 발생을 원하는 기록펄스의 조합 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매트릭스 회로(220)는 발생을 원하는 기록 펄스의 조합 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RZI가 입력될 경우에, LD(160)에서 발생되는 DVD-RAM의 기본 기록 펄스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 따라 DVD-RAM의 기록 펄스는 도 5의 (c)와 같이 피크 펄스, 멀티 펄스, 라스트 펄스 구간을 일정 레벨만큼 증가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즉, 피크 펄스 구간과 라스트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증가되고, 멀티 펄스 열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감소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DVD-R의 기본 기록 펄스는 도 5의 (d)와 같다. 이러한 DVD-R의 기록 펄스를 본 발명에 따라 도 5의 (e)와 같이 피크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증가시키고 라스트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감소시키고 멀티 펄스 열의 구간은 기준 레벨을 유지하도록 변형시키거나 도 5의 (f)와 같이 피크 펄스 구간과 라스트 펄스 구간은 증가시키고, 멀피 펄스 구간은 논 멀티펄스 형태로 발생시키면서 일정 레벨 감소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의 (g)와 같이 멀티펄스 구간은 논 멀티형태로 발생되도록 제어하면서 라스트 펄스 구간만 일정 레벨 증가되도록 기록 펄스를 변형시킬 수 있다.
DVD-RW의 기본 기록 펄스는 도 5의 (h)와 같다. 이러한 기록 펄스를 본 발명에 따라 도 5의 (i)와 같이 퍼스트 펄스와 라스트 펄스 구간 및 쿨링 펄스 구간을 각각 일정 레벨 증가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DVD+RW의 기본 기록 펄스가 도 5의 (j)와 같을 때, 본 발명에 따라 도 5의 (k)와 같이 퍼스트 펄스 구간과 라스트 펄스 구간은 일정 레벨만큼 감소시키고, 쿨링 펄스구간은 일정 레벨만큼 증가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CD-RW의 기본 기록 펄스가 도 5의 (l)과 같을 때, 본 발명에 따라 도 5의 (m)과 같이 퍼스트 펄스 구간은 일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라스트 펄스 구간은 일정 레벨만큼 감소시키고, 쿨링 펄스 구간은 일정 레벨만큼 증가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CD-R의 기본 기록 펄스가 도 5의 (n)과 같을 때, 본 발명에 따라 도 5의 (o)와 같이 퍼스트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감소시키고 라스트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 레벨은 증가되도록 변형시키거나 도 5의 (p)와 같이 라스트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감소시키고 다른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의 (q)와 같이 기타 변형 예도 가능하게 된다. 도 5의 (q)는 퍼스트 펄스 구간과 라스트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만 감소시키고 멀티 펄스 구간은 논 멀티 펄스 형태로 기록 펄스를 발생시키거나 논 멀티 펄스 형태로 발생되는 멀티 펄스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만 증가되도록 기록 펄스를 발생시켜 얻을 수 있다.
도 5는 증감 량이 대체적으로 일정하게 변형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어신호 발생부(115)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펄스 형태와 제어신호의 수 조절과 LD 구동부(150)로 입력되는 전류의 수를 상기 분압 수단을 이용하여 증가시켜 기록 펄스 레벨의 증감 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제 601 단계에서 현재 사용하는 광 매체의 종류 및 배속을 파악한다. 이는 종래의 알려진 방식을 이용한다.
제 602 단계에서 현재 사용하는 광 매체 상에 현재 마킹하고자 하는 기록 마크의 기록 펄스 레벨을 결정한다. 이 때, 기록 펄스의 레벨 결정은 상기 제어부(10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 마크의 각 구간별 기준 레벨을 토대로 기록 펄스 레벨의 증감여부 및 증감 량을 고려하여 수행된다. 결정된 기록 펄스 레벨을 토대로 레지스터 군(105)의 값이 설정된다. 레지스터 군(105)에 설정되는 값은 후술할 펄스들의 조합 조건에 해당된다.
제 603 단계에서 멀티 펄스의 형태를 결정한다. 멀티 펄스의 형태 결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 701 단계에서 멀티 펄스 구간을 논 멀티 펄스로 발생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현재 장착된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의해 결정된다. 즉,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의해 제 701 단계에서 논 멀티 펄스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702 단계에서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따라 4종류의 논 멀티 펄스중 하나를 선택한다. 4 종류의 논 멀티 펄스의 형태는 상술한 도 2의 멀티 펄스 결정부(20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 702 단계에서 4 종류의 논 멀티 펄스의 형태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제 703 단계에서 선택된 논 멀티 펄스로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결정한다.
반면에, 제 701 단계에서 멀티 펄스구간의 펄스 형태가 논 멀티 펄스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 704 단계에서 온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온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이면, 제 705 단계에서 멀티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온 스타트 멀티펄스 타입으로 결정한다. 이 때, 멀티펄스 폭은 광 매체의 종류, 배속 및 기록 마크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 704 단계에서 멀티 펄스의 형태가 온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이 아닌 경우에, 제 706 단계에서 멀티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오프 스타트 멀티펄스 타입으로 결정한다. 이 때, 멀티펄스 폭은 광 매체의 종류, 배속 및 기록 마크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604 단계에서 상기 제 602 단계에서 결정된 기록 펄스 레벨 및 상기 제 603 단계에서 결정된 멀티펄스 형태를 갖는 기록 펄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펄스를 조합하여 LD 구동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펄스들의 조합은 레지스터 군(105)에 설정된 값에 의해 이루어진다.
발생된 제어신호로 제 604 단계에서 LD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채널별 전류의 전송여부를 제어한다.
제 605 단계에서 전송 결정된 채널별 전류를 가산한 전류로 LD(160)를 구동시킨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광 매체와 다양한 배속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함으로써,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대한 광 기기의 호환성을 증대시켜 어떠한 광 매체나 배속에서도 최적의 기록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 매체 타입과 배속에 따라 멀티 펄스 구간을 복수의 논 멀티 펄스, 온 스타트 멀티 펄스 및 오프 스타트 멀티 펄스 형태 중 하나의 펄스 형태로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좀더 다양한 기록 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 펄스의 레벨 증감이 용이하여 향후 필요하게 될지 모르는 임의의 기록 펄스의 생성도 가능하므로, 하나의 광 기기를 이용하여 수용할 수 있는 광 매체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채널 경로를 추가하지 않고, LD구동부로 인가되는 자동 파워 제어용 전류의 수를 늘림으로써, 기록 펄스의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정해질 것이다.

Claims (29)

  1.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광매체로 기록펄스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배속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록 펄스의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타입을 논 멀티 펄스 타입과 멀티 펄스 타입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고, 결정된 펄스 타입을 갖는 기록펄스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도록 구성된 기록 펄스 발생장치.
  2. 원하는 기록 펄스가 발생되도록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여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멀티 펄스 구간에서 발생될 멀티 펄스의 형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멀티 펄스의 형태를 갖는 기록 펄스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멀티 펄스 구간에서 발생될 멀티 펄스의 형태를 논 멀티 펄스 타입과 멀티 펄스 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멀티 펄스 구간에서 발생될 멀티 펄스의 형태를 복수의 논 멀티 펄스 타입과 복수의 멀티 펄스 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논 멀티 펄스 타입은 상기 기록 펄스에 포함되는 퍼스트 펄스의 상승에지 및 하강 에지와 상기 기록펄스에 포함되는 라스트 펄스의 상승 에지 및 라이징 에지를 이용하여 구분되고, 상기 복수의 멀티 펄스 열 타입은 채널 클럭내에서 하이로 시작하는지 로우로 시작하는지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트 펄스와 라스트 펄스의 폭은 상기 광 매체의 타입 또는/ 및 배속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기록펄스의 상기 멀티 펄스 구간의 전 구간의 레벨 또는 일부 구간별로 레벨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8. 발광 소자 구동부를 제어하여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상기 광 매체의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별로 기록 펄스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기록 펄스가 설정된 레벨을 갖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광 매체로 발생되는 기록 펄스의 레벨을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구간별로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발광 소자 구동부로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을 상기 일부 구간별로 설정되어 있는 기준 레벨보다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마크내의 제 1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상기 제 1 일부 구간의 기준 레벨보다 증가, 감소 및 유지하는 것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기록 마크내의 제 2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상기 제 2 일부 구간의 기준 레벨보다 감소, 증가 및 유지하는 것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기록 마크의 제 3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은 상기 제 3 일부 구간의 기준 레벨을 유지, 증가, 및 감소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을 설정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마크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일부 구간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이 해당되는 기준 레벨보다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을 설정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2.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장치에 있어서,
    기록 펄스에 해당되는 빛을 상기 광 매체로 방사하는 발광 소자;
    상기 기록 펄스가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결정된 형태로 발생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광 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상기 발광소자에서 필요한 파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수광부의 출력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채널별로 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제공하는 파워 제어 신호 제공부;
    상기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상기 광 매체상에 형성되는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서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부로 입력되는 채널별 파워 제어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
    상기 현재 사용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현재 설정된 배속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에서의 제어신호 발생여부 및 발생되는 제어신호의 펄스 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 정보에 따라 기록 펄스의 발생 조건을 설정하는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 정보에 따라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멀티 펄스 결정부;
    상기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와 상기 멀티 펄스 결정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 및 현재 기록 마크에 대한 제 1 정보와 상기 기록 마크의 전후 스페이스에 대한 제 2 정보를 토대로 상기 기록 펄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펄스들을 독립적으로 생성하는 펄스 생성기 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펄스 생성기 군에서 생성되는 펄스들중 필요한 펄스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구성하고,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생성기 군은,
    상기 제 1 정보,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작점과 종료점이 결정된 리드 레이저 다이오드 온(Read_LD ON) 펄스를 발생하는 제 1 펄스 발생기,
    상기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상기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작점과 종료점이 결정된 버텀(바이어스 3) 펄스를 발생하는 제 2 펄스 발생기,
    상기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상기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작점과 종료점이 결정된 쿨링(바이어스 2) 펄스를 발생하는 제 3 펄스 발생기,
    상기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상기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작점과 종료점이 결정된 이레이즈(바이어스 1) 펄스를 발생하는 제 4 펄스 발생기,
    상기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상기 멀티 펄스 결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작점과 종료점이 결정된 멀티 펄스 열 및 논 멀티 펄스 타입 중 하나를 발생하는 제 5 펄스 발생기,
    상기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상기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작점과 종료점이 결정된 라스트 펄스를 발생하는 제 6 펄스 발생기,
    상기 제 1 정보, 제 2 정보 및 상기 기록 펄스 발생 조건 설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시작점과 종료점이 결정된 퍼스트 펄스를 발생하는 제 7 펄스 발생기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회로는,
    상기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별로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이 해당 구간에서의 기준 레벨보다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가변 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7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펄스들에 대한 전송여부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독립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얻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발생하는 매트릭스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는 상기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이 변경될 때마다 업데이트 되는 피크 레지스터, 이레이즈 레지스터, 쿨링 레지스터, 버텀 레지스터, 읽기 레지스터, 보조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 정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지스터 단위로 비트 정보들을 저장한 레지스터 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매트릭스 회로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기록 마크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이 소정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워 제어 신호의 량만큼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상기 펄스 발생기 군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조합한 복수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회로로부터 출력 가능한 제어신호는 피크 제어신호, 이레이즈(바이어스 1) 제어신호, 쿨링(바이어스 2) 제어신호, 버텀(바이어스 3) 제어신호, 리드 제어신호, 보조(auxiliary)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펄스 결정부는 상기 광 매체의 타입 및 배속에 따라 상기 기록 펄스에 포함될 퍼스트 펄스의 상승에지 및 하강 에지와 상기 기록 펄스에 포함될 라스트 펄스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를 이용하여 상기 논 멀티 펄스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신호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전압을 분압할 수 있는 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파워 제어신호가 상기 구동부의 보조 파워 제어신호로서 제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자동 파워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파워 제어신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장치.
  20.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방법에있어서,
    현재 사용하는 광 매체의 타입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배속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기록 펄스의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논 멀티 펄스 타입과 멀티 펄스 타입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타입을 갖는 기록펄스가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21.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사용하는 광 매체의 타입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배속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기록 펄스에 포함되는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펄스 형태를 갖는 기록 펄스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방사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채널별로 제공되는 파워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워 제어신호로 상기 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멀티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논 멀티 펄스 타입과 복수의 멀티 펄스 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기록 펄스 발생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따라 상기 멀티 펄스 구간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의 레벨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24.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를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사용하는 광 매체의 타입과 현재 설정되어 있는 배속에 따라 상기 광 매체에 형성되는 기록 마크 및/또는 기록 스페이스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의 기록 펄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기록 펄스의 레벨을 갖는 빛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방사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채널별로 제공되는 파워 제어 신호의 전송여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파워 제어신호로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결정된 기록 펄스의 레벨에 따라 상기 기록 펄스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펄스들의 조합 조건을 결정하고,결정된 조합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들을 조합하여 얻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 단계는,
    리드 레이저 온(Read_LD ON) 펄스, 버텀(바이어스 3) 펄스, 쿨링(바이어스 2) 펄스, 이레이즈(바이어스 1) 펄스, 복수의 멀티 펄스와 복수의 논 멀티 펄스, 라스트 펄스 및 퍼스트 펄스 들 중에서 상기 필요한 펄스들이 선택되도록 상기 조합 조건을 결정하고,
    피크 제어신호, 이레이즈(바이어스 1) 제어신호, 쿨링(바이어스 2) 제어신호, 버텀(바이어스 3) 제어신호, 리드 제어신호, 보조(auxiliary) 제어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어신호로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펄스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 펄스내의 각 구간별 기준 레벨을 토대로 한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 증감여부와 증감 량을 고려하여 상기 기록 펄스의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펄스 발생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펄스 발생 방법은,
    상기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따라 상기 기록 펄스에 포함되는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펄스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 매체의 타입과 배속에 따라 상기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가 논 멀티 펄스 타입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가 논 멀티 펄스 타입이 아니면, 온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멀티 펄스 구간의 펄스 형태가 논 멀티 펄스 타입도 온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도 아니면, 오프 스타트 멀티 펄스 타입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펄스 발생 방법.
KR10-2002-0002999A 2002-01-18 2002-01-18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45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99A KR100455377B1 (ko) 2002-01-18 2002-01-18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TW091123180A TWI311860B (en) 2002-01-18 2002-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rite pulse appropriate for various optical recording media
EP02257896A EP1329879B1 (en) 2002-01-18 2002-11-15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write pulse appropriate for various optical recording media
CNB2006100595099A CN100401397C (zh) 2002-01-18 2002-11-15 生成适合于各种光记录介质的写脉冲的写脉冲生成设备
DE60217819T DE60217819T2 (de) 2002-01-18 2002-11-15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geeigneten Schreibpulses für verschiedene optische Speichermedien
CNB021506663A CN1278322C (zh) 2002-01-18 2002-11-15 生成适合于各种光记录介质的写脉冲的设备和方法
US10/330,347 US7145857B2 (en) 2002-01-18 2002-12-30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rite pulse appropriate for various optical recording media
JP2003008825A JP2003228837A (ja) 2002-01-18 2003-01-16 各種の光記録媒体に適した書込みパルスの発生装置及び方法
JP2006038366A JP4494348B2 (ja) 2002-01-18 2006-02-15 各種の光記録媒体に適した書込みパルスの発生装置
US11/583,932 US7460458B2 (en) 2002-01-18 2006-10-20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write pulse appropriate for various optical recording 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99A KR100455377B1 (ko) 2002-01-18 2002-01-18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670A true KR20030062670A (ko) 2003-07-28
KR100455377B1 KR100455377B1 (ko) 2004-11-06

Family

ID=3672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999A KR100455377B1 (ko) 2002-01-18 2002-01-18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145857B2 (ko)
EP (1) EP1329879B1 (ko)
JP (2) JP2003228837A (ko)
KR (1) KR100455377B1 (ko)
CN (2) CN100401397C (ko)
DE (1) DE60217819T2 (ko)
TW (1) TWI3118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033B1 (ko) * 2002-11-12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파워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66322B1 (en) * 2002-10-10 2007-09-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ata recording method
TW200509111A (en) * 2003-08-27 2005-03-01 Ricoh Co Ltd The control of laser emission power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optical disc
KR100510544B1 (ko) * 2003-08-28 200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구동기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 파워 제어 장치
KR101094178B1 (ko) * 2003-11-12 2011-12-1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프론트 포토 디텍터의 유입 반사광 검출 및 광디스크장치의 이상유무 검출방법
JP2005166111A (ja) * 2003-11-28 2005-06-23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005202995A (ja) * 2004-01-13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の発光電流調整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7391694B2 (en) 2004-07-07 2008-06-2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optical drive compatibility information in optical media
DE102004063198B4 (de) * 2004-12-23 2009-04-30 Atmel Germany Gmbh Treiberschaltung, insbesondere für Laser-Dioden un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Treiberpulsfolge
US7773479B1 (en) 2005-10-12 2010-08-10 Marvell International Ltd. Flexible optical write strategy
EP1837869A3 (en) 2006-03-24 2008-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1307540B1 (ko) * 2006-03-24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방법, 기록 장치 및 그 광 기록 매체
DE102008036985B4 (de) * 2008-08-08 2010-08-26 Atmel Automotive Gmbh Lasertreiberschaltun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Lasertreiberschaltung und Verwendung
JP4561911B2 (ja) * 2008-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駆動装置、光装置
JP2010244650A (ja) * 2009-04-09 2010-10-28 Sony Corp レーザ駆動装置、レーザ駆動方法、光学ユニット、光装置
JP5120321B2 (ja) * 2009-04-09 2013-01-16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駆動装置、レーザ駆動方法、光学ユニット、光装置
JP5716268B2 (ja) * 2009-09-29 2015-05-13 ソニー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8384832B2 (en) * 2009-12-29 2013-02-26 Intersil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tioned color, double rate video transfer
CN105529040B (zh) * 2015-12-16 2018-05-15 天地伟业技术有限公司 在嵌入式录像设备上动态控制光盘刻录速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8162B2 (ja) * 1987-12-18 1998-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媒体の感度評価方法
JPH0684224A (ja) * 1992-09-07 1994-03-25 Hitachi Ltd 光磁気ディスクの記録制御方法
JPH0831092A (ja) * 1994-07-20 1996-02-02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KR0176854B1 (ko) * 1995-03-04 1999-04-15 구자홍 두께가 상이한 디스크의 호환 기록/재생장치 및 광픽업장치
JPH08249711A (ja) * 1995-03-06 1996-09-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パルス発生装置
JP3259643B2 (ja) 1996-08-15 2002-02-25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10105970A (ja) * 1996-09-27 1998-04-24 Toshiba Corp 光学的情報記録方法および装置
JP3799709B2 (ja) * 1997-01-10 2006-07-19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3648914B2 (ja) * 1997-04-11 2005-05-18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光のパワー制御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1125579A (ja) * 1997-06-27 1999-01-29 Mitsum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KR100271128B1 (ko) * 1997-08-25 2000-12-01 구자홍 광 기록재생 장치
KR100413788B1 (ko) * 1997-10-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여러 배속모드로 재생가능한 디지털 디스크 재생장치
KR100354737B1 (ko) * 1997-12-30 2003-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기록기기를 위한 적응적인 기록방법 및 그 회로
JP3271575B2 (ja) 1998-01-21 2002-04-02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473423B2 (ja) 1998-07-14 2003-12-02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11273076A (ja) * 1998-03-23 1999-10-08 Toshiba Corp 光学的情報記録方法および装置
KR100354732B1 (ko) * 1998-04-03 2002-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밀도광기록기기를위한적응적인기록방법및그장치
JP3494019B2 (ja) 1998-06-17 2004-02-03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MY125795A (en) * 1998-07-23 200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writing method for 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circuit thereof
JP2000215449A (ja) 1999-01-27 2000-08-04 Taiyo Yuden Co Ltd 光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3298547B2 (ja) 1999-03-30 2002-07-02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6611481B1 (en) * 1999-04-28 2003-08-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100297789B1 (ko) 1999-06-03 2001-10-29 윤종용 다양한 형태의 광기록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방법 및이에 적합한 기록장치
JP2001073202A (ja) 1999-09-03 2001-03-21 Tcs:Kk 高吸汗着
JP2001209940A (ja) 1999-11-16 2001-08-03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
JP2001176073A (ja) * 1999-12-20 2001-06-29 Ricoh Co Ltd 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2001184792A (ja) 1999-12-22 2001-07-06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光ディスク
JP3816304B2 (ja) 2000-05-31 2006-08-30 株式会社リコー 光ディスク装置
JP2002269744A (ja) 2001-03-15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におけるレーザ光のパルス幅調整装置、及びパルス幅調整方法
EP1249834B1 (en) * 2001-04-12 2012-09-12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recording with effective pulse control scheme
JP2003173530A (ja) 2001-11-30 2003-06-20 Yamaha Corp 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76530A (ja) 2001-12-11 2003-06-24 Tokai Rubber Ind Ltd 薬液注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地山補強工法
JP3521141B2 (ja) * 2002-01-08 2004-04-1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033B1 (ko) * 2002-11-12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파워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8322C (zh) 2006-10-04
CN1822147A (zh) 2006-08-23
US20070036056A1 (en) 2007-02-15
JP2006134576A (ja) 2006-05-25
TWI311860B (en) 2009-07-01
CN100401397C (zh) 2008-07-09
JP4494348B2 (ja) 2010-06-30
KR100455377B1 (ko) 2004-11-06
EP1329879B1 (en) 2007-01-24
EP1329879A2 (en) 2003-07-23
DE60217819T2 (de) 2007-10-31
EP1329879A3 (en) 2004-07-28
US7145857B2 (en) 2006-12-05
US7460458B2 (en) 2008-12-02
CN1433005A (zh) 2003-07-30
US20030142607A1 (en) 2003-07-31
JP2003228837A (ja) 2003-08-15
DE60217819D1 (de)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377B1 (ko) 다양한 광 매체에 적합한 기록 펄스 발생 장치 및 방법
EP113699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laser diode power
KR100442860B1 (ko) 레이저 다이오드 출력 제어 장치
US71200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recording power in an optical drive
US6654325B1 (en) Trial writing method and optical disk system using the same
JP2000348349A (ja) 多様な形態の光記録媒体に適した記録パルス制御信号発生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記録装置
JP2001023175A (ja) 高密度光記録のための適応的記録方法と装置
KR100403618B1 (ko) 자동 레이저 다이오드 출력 제어 장치
KR100363173B1 (ko) 자동 레이저 다이오드 출력 제어 장치
JP3257287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7342862B2 (en) Optical dis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822210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light intensity control device
KR19990062461A (ko) 고밀도 광기록기기를 위한 적응적인 기록방법 및 그 회로
JP4347771B2 (ja) 光駆動機におけるレーザーダイオードパワー制御装置及び方法
KR20040063378A (ko) 레이저 파워 모니터 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광픽업 장치 및광 기록 재생 기기
JPH09161302A (ja) 半導体レーザ制御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4920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4062919A (ja) 光ディスク記録パワー制御装置,光ディスク記録パワー制御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パワー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9980069624A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기록파형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