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20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207A
KR20030062207A KR1020020050743A KR20020050743A KR20030062207A KR 20030062207 A KR20030062207 A KR 20030062207A KR 1020020050743 A KR1020020050743 A KR 1020020050743A KR 20020050743 A KR20020050743 A KR 20020050743A KR 20030062207 A KR20030062207 A KR 20030062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pixel
pdp
discharge
electrod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636B1 (ko
Inventor
하라다시게키
나가이다카요시
사노고우
유라신스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분리가 발생하기 어렵고 입상성(graininess)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각 픽셀 PX에서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의 배열 간격의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성분은 pv1=pv2=pv/2, pv3=0, ph1=ph2<ph/3을 만족시킨다. 제 2 방향 h에 인접하는 임의의 두 개의 픽셀 PX 사이의 배열 간격의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성분은 pv4=pv/2(=p/2), pv5=0, ph4>ph/3을 만족시킨다. 제 1 방향 v에 인접하는 픽셀 PX는 서로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의 배열이 동일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고도 부름) 등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색분리가 발생하기 어렵고, 더 나아가서는 입상성(graininess in images)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픽셀(내지는 화소)을 갖는 매트릭스형 디스플레이로서, 트리오 배열형 픽셀 및 델타 배열형 픽셀을 들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종래의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 및 델타 배열형 픽셀 PD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 및 델타 배열형 픽셀 PD는 모두 빛의3원색인 적색(R), 녹색(G) 및 청색(B)으로 발광하는 세 개의 서브픽셀(내지는 셀) C로 구성되어 있지만, 서브픽셀 C의 배열이 다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컨대, 적색으로 발광하는 서브픽셀을 「적색의 서브픽셀」과 같이도 표현한다.
여기서는 비교를 간단히 하기 위해서, 트리오 배열형 및 델타 배열형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제 1 및 제 2 방향(여기서는 수직 및 수평 방향) v, h에 있어서 인접하는 픽셀 PT, PD의 배열 간격(이하, 간단히 「간격」이라고도 부름) 내지는 중심간 거리는 동일하다고 한다(이 배열 간격을 p로 함). 또, 제 1 및 제 2 방향 v, h에서 상기 배열 간격이 다른 경우도 있다. 또한, 델타 배열형 및 트리오 배열형의 쌍방의 픽셀 PD, PT에 있어서 서브픽셀 C의 형상·면적은 동일하다고 하고, 각 서브픽셀 C는 제 1 및 제 2 방향 v, h로 (p/2), (p/3)의 치수를 갖는 사각형이라고 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를 갖는 표시 장치(100T)에서는 제 2 방향 h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서브픽셀 C가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제 1 방향 v로 동일한 발광색의 서브픽셀 C가 배열되어 있다. 특히, 표시 장치(100T)의 인접하는 서브픽셀 C의 간격에 대해서 제 1 방향 v의 성분은 p이며, 제 2 방향 h의 성분은 (p/3)이다. 이 때, 각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 내에 있어서 서브픽셀 C는 제 2 방향 h로 1열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제 1 및 제 2 방향 v, h 중의 어느 하나에서 인접하는 픽셀 PT도 동일한 서브픽셀 배열을 갖고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델타 배열형 픽셀 PD에 있어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서브픽셀 C는 델타(Δ)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델타 배열형 픽셀 PD를 갖는 표시 장치(100D)의 화면 전체로서는 제 2 방향 h로 적색, 청색 및 녹색의 서브픽셀 C가 이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제 1 방향 v로 동일한 발광색의 서브픽셀 C가 배열되어 있다. 특히, 표시 장치(100D)에서는 인접하는 서브픽셀 C의 간격에 대해서, 제 1 방향 v의 성분이 (p/2)이며, 제 2 방향 h의 성분이 (p/3)이다.
또, 각 델타 배열형 픽셀 PD에 있어서, 제 2 방향 h 상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서브픽셀(여기서는 녹색의 서브픽셀) C를「고립 서브픽셀」이라고 부르고, 제 2 방향 h 상에 배열되는 두 개의 서브픽셀(여기서는 적색 및 청색의 서브픽셀) C를「페어 서브픽셀」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때, 고립 서브픽셀 C와 페어 서브픽셀 C가 제 1 방향 v로 교대로 (p/2)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D)의 화면 전체로서는 제 1 방향 v로는 동일한 서브픽셀 배열의 픽셀 PD가 인접해 있고, 또한 제 2 방향 h로는 고립 서브픽셀 C와 페어 서브픽셀 C가 제 1 방향 v로 교체된 두 종류의 픽셀 PD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는 픽셀 수에 비해 해상도가 낮지만 제 1 및 제 2 방향 v, h로의 직선성이 우수하므로, 도형 묘화에 적합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델타 배열형 픽셀 PD는 인접하는 서브픽셀 C의 간격의 제 1 방향 v의 성분이 (p/2)이므로 픽셀수에 비해 높은 해상도가 얻어지는 한편,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직선성은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에 비해 낮다. 이와 같이, 표시 품질에 대해서는 양 픽셀 PT, PD 각각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표시할 화상이나 주관적인 기호에 따라서 어느 한쪽이 선택된다.
델타 배열형 픽셀 PD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에 적용한 일례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0-357463호 공보에 기본적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그것의 응용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2000-298451호 공보에, 두 개의 데이터 전극(W 전극)을 공통화하여 구동하는 방법(이하, 「W 전극 공통 어드레스 구동 방법」이라고도 부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 W 전극 공통 어드레스 구동 방법에 따르면 회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응용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2001-135242호 공보에, 유지 방전 전류의 경로를 분산시키는 방법(이하, 「전류 분산 방법」이라고도 부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전류 분산 방법에 따르면, 방전 전류의 피크 전류값을 감소시켜 회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델타 배열형 픽셀 PD를 PDP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상술한 수많은 이점이 얻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는 종래의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와 비교하여 「색분리」가 일어나기 쉽다고 하는 시인성(visibility)의 문제를 갖고 있다.
시력이 1.0인 사람이 분해할 수 있는 최소의 시야각(visual angle)은 1분각이다. PDP나 CRT와 같은 표시 장치에서는 한 개의 픽셀을 세 개의 서브픽셀로 면적적으로 분리하여 각 서브픽셀에 빛의 3원색인 적색, 녹색, 청색을 할당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세 개의 서브픽셀을 동시에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서 백색을 표현한다. 그런데, 서브픽셀 사이의 시야각이 1분각 이상으로 되면, 관찰자에게는 각 색이 분리되어 보이고, 한 개의 픽셀을 백색으로서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색이 분리되어 보이는 현상을 「색분리」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색분리는 관찰 거리에 의존하고, 화면을 (따라서 픽셀을) 보다 근방에서 관찰하면 현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서브픽셀 C 사이의 시야각은 동일한 거리에서 관찰한 경우, 각 서브픽셀 C의 배열 간격과 등가라고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 픽셀 내인지 인접 픽셀 사이인지에 관계없이, 각 색의 서브픽셀 C의 간격 내지는 중심간 거리의 최소값이 색분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에서는 서브픽셀 C의 간격의 최소값(내지는 중심간 거리의 최소값)은 전부 0.33p 이다. 한편,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델타 배열형 픽셀 PD에서는 상기 최소값은 전부 0.6p이다. 이와 같이 델타 배열형 픽셀 PD에서의 서브픽셀 C의 중심간 거리의 최소값은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의 배 정도이며, 이 때문에 델타 배열형 픽셀 PD가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와 비교하여 색분리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는 종래의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와 비교하여 「입상성」을 느끼기 쉽다고 하는 시인성의 문제를 갖고 있다. 이 현상은 서브픽셀 C 사이의 비표시 영역 NC(도 19 및 도 20 참조) 내에 흑색층을 형성한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색분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표시 장치를, 더 나아가서는 입상성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한 색분리의 평가 결과를 표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한 입상성(graininess)의 평가 결과를 표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PDP의 제 1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PDP의 제 1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PDP의 제 1 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2는 실시예 4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3은 실시예 5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4는 실시예 6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5는 실시예 7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6은 실시예 8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7은 실시예 9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8은 실시예 9에 따른 PDP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19는 종래의 트리오 배열형 픽셀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 20은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D∼1G, 1I : 리브1Et : 정점
1Ec, 1Fc : 각부(角部)2 : 형광체층
11 : 제 1 기판12, 12B1∼12B3 : 제 1 전극
12C, 12I : 제 1 전극(제 1 및 제 2 띠 형상 전극)
21 : 제 2 기판22, 22H : 제 2 전극
23 : 유전체층24, 24I : 흑색층
100 : 표시 장치101, 101C∼101I : PDP(표시 장치)
120 : 전극121 : 줄기 전극(trunk electrode)
122, 1221∼1223 : 가지 전극(branch electrode)
C : 서브픽셀
C1, C2, C3 : 제 1, 제 2, 제 3 서브픽셀
DS : 방전 공간
DS1, DS2, DS3 : 제 1, 제 2, 제 3 방전 공간
DG : 방전갭
DG1, DG2, DG3 : 제 1, 제 2, 제 3 방전갭
NC : 비표시 영역(비발광 영역)PX : 픽셀
pv, ph, pv1∼pv5, ph1∼ph4 : 배열 간격의 성분
v : 제 1 방향h : 제 2 방향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전체로서 평면으로 보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은 평면으로 보아 델타 배열된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 ph로 나타내고,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 1 서브픽셀과 상기 제 2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1, ph1로 나타내고, 상기 제 2 서브픽셀과 상기 제 3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2, ph2로 나타내고, 상기 제 3 서브픽셀과 상기 제 1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방향의 성분을 pv3으로 나타낼 때, pv1=pv2=pv/2, pv3=0, ph1=ph2<ph/3을 만족시키고, 상기 복수의 픽셀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에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픽셀에 대해서, 상기 제 1 픽셀의 상기 제 3 서브픽셀과 상기 제 2 픽셀의 상기 제 1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4, ph4로 나타내고, 상기 제 1 픽셀의 상기 제 2 서브픽셀과 상기 제 2 픽셀의 상기 제 1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방향의 성분을 pv5로 나타낼 때, pv4=pv/2, pv5=0, ph4>ph/3을 만족시키고, 상기 복수의 픽셀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인접하는 픽셀은 서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의 배열이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평면으로 보아 표시/비표시의 제어가 불가능한 영역에 해당하는 비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흑색층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고 대면해서 배치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공간을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으로 구획하는 리브와,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을 덮는 유전체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과 대면하고, 또한, 상기 리브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과 상기 복수의 제 3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또는 제 4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가지 전극과, 상기 복수의 가지 전극 중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지 전극끼리를 결합하는 복수의 줄기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5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가지 전극 중의 적어도 한 개는 O자형, T자형 또는 U자형의 패턴을 갖는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과 대면하고, 또한, 상기 리브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과 상기 복수의 제 3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는 복수의 제 1 띠 형상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고, 또한, 상기 리브 중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는 복수의 제 2 띠 형상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내지 제 7 특징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리브는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한편 상기 제 2 방향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8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평면으로 보아, 능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능형의 정점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과 대면하고, 90도보다도 큰 각도의 각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8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평면으로 보아,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을 구획하고, 90도보다도 큰 각도의 각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3 내지 제 8 특징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픽셀은 상기 제 1 및 제 3 서브픽셀보다도 넓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내에 배치된 복수의 형광체층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1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픽셀의 상기 제 2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1 서브픽셀의 상기 제 2 방향의 끝에서 상기 제 3 서브픽셀의 상기 제 2 방향의 끝까지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13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1 또는 제 12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갭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복수의 제 1 및 제 3 방전갭을 형성하는 부분보다도 넓다.
본 발명의 제 14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고 대면해서 배치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공간을 평면으로 보아 델타 배열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의 복수로 구획하는 리브와,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을 덮는 유전체층과,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고, 평면으로 보아 상기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 2 방향의 양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 서브픽셀을 형성하고, 또 상기 복수의 제 1 방전 공간의 각각에 대해서 인접하는 제 3 방전 공간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서브픽셀을 형성하고, 또 상기 복수의 제 3 방전 공간의 각각에 대해서 인접하는 제 2 방전 공간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3 서브픽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흑색층을 구비한다.
(실시예 1)
도 1에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표시 장치(100)의 화면은 제 1 방향(여기서는 수직 방향) v 및 제 1 방향 v와 수직인 제 2 방향(여기서는 수평 방향) h로 배열되어 있고, 화면을 평면으로 보아 전체로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픽셀 PX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에는 일례로서 2×2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픽셀 PX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방향 v에 인접하는 픽셀 PX의 배열 간격(이하, 간단히 「간격」이라고도 부름)은 pv로 설정되어 있고, 제 2 방향 h에 인접하는 픽셀 PX의 간격은 ph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픽셀 PX의 배열 간격은 예컨대, 인접하는 픽셀 PX의 중심간의 간격(거리)으로서 주어진다. 그리고, 픽셀 PX의 중심은 픽셀 PX의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각 치수의 중심선의 교차점으로서 주어지고, 반대로 말하면 서브픽셀 C의 중심은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성분(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중심)으로서 분해 가능하다. 또, 후술하는 서브픽셀 C의 중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설명이 적용된다. 이 때, 픽셀 PX의 중심은 예컨대,, 픽셀 PX를 이루는 델타 배열된 세 개의 서브픽셀 C의 중심을 연결하여 생기는 삼각형의 중심으로서도 주어진다.
또, pv≠ph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또한 종래의 픽셀 PT, PD와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로 한다.
각 픽셀 PX는 화면을 평면으로 보아 델타 배열된 세 개의 서브픽셀 C로 구성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상기 델타 배열된 세 개의 서브픽셀 C를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이라고 불러 구별하기로 한다. 또, 제 2 서브픽셀 C2가 제 2 방향 h 상에 단독으로 존재하는 고립 서브픽셀 C에 해당하고, 제 1 및 제 3 서브픽셀 C1, C3이 제 2 방향 h 상에 배열되는 페어 서브픽셀 C에 해당한다.
여기서,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의 형상·면적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또한 비교를 간단히 하기 위해서 종래의 트리오 배열형 및 델타 배열형의 픽셀 PT, PD의 서브픽셀 C와 동일한 형상·면적으로 한다. 즉, 서브픽셀 C1, C2, C3은 제 1 및 제 2 방향 v, h에서 (p/2), (p/3)의 치수를 갖는 사각형으로 한다.
서브픽셀 C1, C2, C3은 화면을 평면으로 보아 소정 색의 표시/비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단위 영역(후술하는 PDP의 경우, 발광/비발광을 제어할 수 있는 단위영역)이다. 이것에 대해서, 표시/비표시의 제어를 할 수 없는 영역(후술하는 PDP의 경우, 발광하지 않는 영역)을 「비표시 영역(또는 비발광 영역) NC」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일례로서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 1 서브픽셀 C1이 적색(R)을, 또한 제 2 서브픽셀 C2가 녹색(G)을, 또한 제 3 서브픽셀 C3이 청색(B)을 표시 가능하게 한다.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방향 v에 인접하는 픽셀 PX는 서로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의 배열이 동일한 한편, 제 2 방향 h에 인접하는 픽셀 PX는 고립 서브픽셀 C2와 페어 서브픽셀 C1, C3이 제 1 방향 v로 교체된 배열 관계에 있다(환언하면, 제 2 방향 h에 인접하는 두 개의 픽셀 PX는 해당 두 개의 픽셀 PX 간의 중심에 대해서 회전 대칭의 관계에 있음).
특히,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술한 복수의 픽셀 PX의 각각에 대해서,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2 서브픽셀 C2의 배열 간격의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성분을 pv1, ph1로 나타내고,
·제 2 서브픽셀 C2와 제 3 서브픽셀 C3의 배열 간격의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성분을 pv2, ph2로 나타내고,
·제 3 서브픽셀 C3과 제 1 서브픽셀 C1의 배열 간격의 제 1 방향 v의 성분을 pv3으로 나타낼 때,
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방향 h에 인접하는 임의의 두 개의 픽셀(제 1 픽셀 및 제 2 픽셀이라고 불러 구별하기로 함) PX에 대해서,
·제 1 픽셀 PX의 제 3 서브픽셀 C3과 제 2 픽셀 PX의 제 1 서브픽셀 C1의 배열 간격의 제 1 및 제 2 방향 v, h의 성분을 pv4, ph4로 나타내고,
·제 1 픽셀 PX의 제 2 서브픽셀 C2와 제 2 픽셀 PX의 제 1 서브픽셀 C1의 배열 간격의 제 1 방향 v의 성분을 pv5로 나타낼 때,
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7에 대해서
을 만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도 20 참조)를 갖는 표시 장치(100D)에서는 서브픽셀 C는 배열 간격의 제 2 방향 h의 성분을 (p/3)로서 등간격으로 화면 전체에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표시 장치(100)의 서브픽셀 C1, C2, C3은 배열 간격의 제 2 방향 h의 성분에 대해서 부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학식 1, 수학식 4, 수학식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방향 h의 성분에 대해서,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2 서브픽셀 C2의 간격은 제 2 서브픽셀 C2와 제 3 서브픽셀 C3의 간격과 동일하지만, 제 3 서브픽셀 C3과 제 2 방향 h에 있어서 인접하는 픽셀 PX의 제 1 서브픽셀 C1의 간격보다도 작다.
수학식 1, 수학식 8, 수학식 9에 의한 설정에 따르면,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3 서브픽셀 C3의 배열 간격이 최소로 된다. 이 때,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3 서브픽셀 C3의 배열 간격의 최소값은 0. 33p로 되고,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2 서브픽셀 C2의 배열 간격의 최소값은 0.53p로 되고,
·제 2 서브픽셀 C2와 제 3 서브픽셀 C3의 배열 간격의 최소값은 0.53p로 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에서는 서브픽셀 C의 배열 간격의 최소값은 전부 0.6p이므로, 표시 장치(100) 쪽이 해당 최소값이 작다. 이 때문에, 픽셀 PX에 의하면 색분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한편, 고립 서브픽셀 C2와 페어 서브픽셀 C1, C3의 간격의 제 1 방향 v의 성분은 (p/2)로서,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해당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도 픽셀 수에 비해 높은 해상도가 얻어진다.
또한, 수학식 4에 따르면 픽셀 PX에서는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3 서브픽셀 C3의 배열 간격의 제 2 방향 h의 성분은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에 있어서 페어 서브픽셀을 이루는 두 개의 서브픽셀 C의 배열 간격의 동일 성분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100)의 픽셀 PX에서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3 서브픽셀 C3 사이에 비표시 영역 NC가 존재했다고 해도, 종래의 픽셀 PD에서의 상당 부분의 비표시 영역 NC(도 20 참조)보다도 작다. 또, 상술한 서브픽셀의 형상·면적· 배치 형태의 설정에 따르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픽셀 PX에서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3 서브픽셀 C3 사이에 비표시 영역 NC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100)의 비표시 영역 NC 내에 흑색층을 형성한 경우, 해당 흑색층 중에서 각 픽셀 PX 내의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3 서브픽셀 C3 사이의 부분은 종래의 표시 장치(100D)에서의 그것보다도 작게 된다.
또한, 수학식 7에 따르면 제 2 방향 h에 있어서 인접하는 픽셀 PX 사이에서 서브픽셀 C1, C2, C3을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비표시 영역 NC를, 평면으로 보아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으로 보아 표시 장치(100)의 비표시 영역 NC 내에 흑색층을 마련한 경우, 해당 흑색층은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블랙 스트라이프).
그런데, 종래의 표시 장치(100D)에서는 서브픽셀 C의 배치 위치 등에 기인해서 비표시 영역 NC는 도트 형상으로 산재하므로, 비표시 영역 NC 내의 흑색층도 도트 형상으로 배치된다(이것을「블랙도트」라고도 부름). 개개의 블랙 도트는 한 개의 픽셀 PD를 형성하는 세 개의 서브픽셀 C 사이에 배치되므로, 고립해서 존재한다. 이 때문에, 「입상성」을 느끼기 쉽다고 고려된다.
이것에 대해서, 표시 장치(100)의 상기 흑색층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종래의 표시 장치(100D)보다도 입상성을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은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를 갖는 종래의 표시 장치(100T)에서는 입상성이 느껴지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의 이유에 따른다고 고려된다. 즉, 종래의 표시 장치(100T)의 흑색층은 비표시 영역 NC의 형상에 기인하여,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픽셀 PT 사이(환언하면, 서브픽셀 C 사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이것을 「블랙 스트라이프」라고도 부름).
또,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각 픽셀 PX의 제 1 서브픽셀 C1과 제 3 서브픽셀 C3 사이에 비표시 영역 NC가 존재해도, 거기에 배치되는 흑색층은 종래의 표시 장치(100D)의 그것보다도 작은 도트로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서도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종래의 표시 장치(100D)보다도 입상성을 저감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2에, 표시 장치(100)(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PDP(101))에 대한 색분리를 주관 평가한 결과를 표 형식으로 도시하고,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를 갖는 표시 장치(100D) 및 종래의 트리오 배열형 픽셀 PT를 갖는 표시 장치(100T)에 대한 평가 결과도 아울러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평정척도법을 이용하고, 「색분리는 인정되지 않음」, 「보통」, 「색이 분리되어 보임」의 세 개의 카테고리에 대해서 각각 2, 1, 0의 각 점수를 부여했다. 또한, 화상에 관한 숙련자 7명이 평정자와 표시 장치의 거리를 1분각 부근으로 되는 2H∼3H(H는 화면의 높이(수직 방향의 치수))의 범위에서 이동하여 평가했다. 도 2에 따르면,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와 비교하여, 실시예 1에 따른 델타 배열형 픽셀 PX 쪽이 색분리를 극적으로 개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표시 장치(100)(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PDP(101))에 대한 입상성을 주관 평가한 결과를 표 형식으로 도시하고, 종래의 표시 장치(100D, 100T)에 대한 평가 결과도 아울러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평정척도법을 이용하고, 「입상성을 느끼지 않음」, 「보통」, 「입상성을 느낌」의 세 개의 카테고리에 대해서 각각 2, 1, 0의 각 점수를 부여했다. 또한, 화상에 관한 숙련자 7명이 평정자와 표시 장치의 거리를 1분각 부근으로 되는 2H∼3H(H는 화면의 높이(수직 방향의 치수))의 범위에서 이동하여 평가했다. 도 3에 의하면,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와 비교하여, 실시예 1에 따른 델타 배열형 픽셀 PX 쪽이 입상성이 개선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술한 두 개의 평가를 실행한 표시 장치(100, 100D)로서, 고립 서브픽셀이 녹색의 서브픽셀이며, 페어 서브픽셀이 적색 및 청색의 서브픽셀인 표시 장치를 이용했다. 그러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서브픽셀이 어떻게 배열되어 있어도, 실시예 1에 따른 델타 배열형 픽셀 PX에 의해서 색분리 및 입상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표시 장치(100)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로 구성하는 경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4에 실시예 1에 따른 PDP(101)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내지는 레이아웃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4중의 점선의 사각으로 둘러싸인 부분(구체적으로는 제 1 서브픽셀 C1을 포함하는 부분)의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5에 도시하고, 도 5에는 해당 평면도 중의 I-I 선 및 Ⅱ-Ⅱ선에서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아울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설명을 위해 도 4 중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한다. 또, 도면의 번잡화를 회피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4에서 형광체층(2) 등의 도시화는 생략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화는 도 6 및 도 7과 후술하는 도면에 대해서도 이용한다.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는 일반적으로 3전극면 방전형 AC-PDP라고 불리고, 제 1 및 제 2 기판(11, 21)과, 제 1 전극(12)과, 제 2 전극(22)과, 유전체층(23)과, 리브(「배리어 리브」나 「격벽」이라고도 불림)(1)와, 형광체층(2)과, 흑색층(24)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 6에서는 리브(1)의 일부를 파단(破斷)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21)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고 대면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기판(11, 21)은 예컨대,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제 1 기판(11)의 주면(제 2 기판(21) 측의 주면) 상에 복수의 제 1 전극(12)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방향 h로 배열되어 있다. 특히, 복수의 제 1 전극(12)은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복수의 (띠 형상의) 전극(120)과, PDP(101) 상에 산재하는 (후술하는) 복수의 가지 전극(122)과, 해당 복수의 가지 전극(122) 중에서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가지 전극(122)끼리를 결합하는 복수의 줄기 전극(121)을 포함하고 있다. 가지 전극(122)은 예컨대, 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띠 형상 전극(12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줄기 전극(121)은 띠 형상 전극(120)으로부터 먼 쪽에서 가지 전극(122) 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또, 3종의 전극(120, 121, 122)에 대해서는 후에 더 설명한다.
한편, 제 2 기판(21)의 주면(제 1 기판(11) 측의 주면) 상에 복수의 제 2 전극(22)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 2 전극(22)은 제 1 방향 v로 배열되어 있다. 각 제 2 전극(22)은 제 2 방향 h로 연장되는 금속 보조 전극(「버스 전극」이라고도 불림)(221)과, 해당 금속 보조 전극(221)에 결합하고 제 1 방향 v로 돌출된 복수의 투명 전극(222)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투명 전극(222)은 금속 보조 전극(221)에 대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예컨대, 도 7에서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제 2 전극(22)의 투명 전극(222)이 방전갭 DG를 형성하도록 대향하고 있다. 또, 도 5의 단면도에서는 제 2 기판(21) 상에 투명 전극(222) 및 금속 보조 전극(221)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반대의 순서라도 상관없고, 양전극(221, 222)이 에지끼리 결합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 제 2 전극(22)과 제 1 전극(12)은 입체 교차하고 있다.
PDP(101)에서는 제 2 기판(21)이 표시면 내지는 화면을 이루므로, 가시 광선을 효율적으로 출력하기 위해서 제 2 전극(22)은 투명 전극(22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투명 전극(222)으로 회로부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제 2 전극(22)은 임피던스가 낮은 금속 보조 전극(221)을 포함하고 있다. 또, 투명 전극(222)에 대해서는 후에 더 설명한다.
제 2 전극(22)을 덮고 제 2 기판(21) 상에 유전체층(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세한 도시화는 생략하지만, 유전체층(23)은 제 1 기판(11) 측의 표층으로서, 환언하면, 후술하는 방전 공간 DS에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MgO로 이루어지는 캐소드막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21) 사이의 공간 내에, 제 1 전극(12) 및 유전체층(23)에 접해 (단일의) 리브(1)가 배치되어 있다. 리브(1)(도 6 참조)는 평면으로 보아 각 금속 보조 전극(221) 상에 형성된 제 2 방향 h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분과, 해당 제 2 방향 h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분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평면으로 보아 각 그물코가 사각형의 그물코 형상을 하고 있다. 리브(1)는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12) 사이의 공간을 각각이 방전 셀을 이루는 복수의 방전 공간 DS(여기서는 평면으로 보아 장방형)로 구획하고 있다(둘러싸고 있음). 특히, 해당 복수의 방전 공간 DS는 각각이 평면으로 보아 상술한 표시 장치(100)(도 1 참조)의 서브픽셀 C에 대응한다.또,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에 대응하는 방전 공간 DS를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21) 사이의 공간은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 이외에 비표시 영역(내지는 비발광 영역) NC(도 1 참조)에 대응한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비표시 영역 NC에 대응하는 이 공간은 제 2 방향 h로 배열되는 픽셀 PX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고, 제 1 방향 v로 연장되고 있다. 특히, 각 픽셀 PX에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은 리브(1)를 거쳐서 인접해 있고, 해당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 사이 즉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 사이에는 비표시 영역 NC(에 해당하는 공간)가 개재하지 않는다. 또, PDP(101)에서는 비표시 영역 NC에 대응하는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공간은 리브(1) 중에서 상술한 제 2 방향 h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분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다. 리브(1)는 방전 공간 DS1, DS2, DS3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PDP(101)가 대기압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지주의 역할도 한다.
상술한 복수의 가지 전극(122)은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띠 형상 전극(120)은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2 방전 공간 DS2와 대면하고, 또한, 리브(1) 중에서 제 1 방전 공간 DS1과 제 3 방전 공간 DS3을 구획하는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부분과 대면하도록 (평면으로 보아 숨겨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각 제 1 전극(12)이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 중의 어느 하나와 대면한다.
또한, 방전갭 DG가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과 대면하도록상술한 투명 전극(222)이 (따라서 제 2 전극(22)이)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과 대면하는 방전갭 DG를 「제 1 내지 제 3 방전갭 DG1, DG2, DG3」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때, 제 2 방전 공간 DS2를 거쳐서 제 1 전극(12) 중의 전극(120)과 제 2 방전갭 DG2가 대면하고,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을 거쳐서 제 1 전극(12)중의 가지 전극(122)과 방전갭 DG1, DG3이 대면한다.
그리고, 방전 공간 DS 내에 각각 형광체층(2)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방전 공간 DS 내에 있어서 형광체층(2)은 제 1 전극(12)을 덮고 제 1 기판(11) 상에 및 리브(1)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PDP(101)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 내에 적색(R) 발광용, 녹색(G) 발광용, 청색(B) 발광용의 형광체층(2)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기판(21)의 상기 주면 상에는 흑색층(24)이 배치되어 있고, 이 흑색층(24)은 평면으로 보아 비표시 영역 NC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에서는 흑색층(24)을 리브(1) 중에서 서브픽셀 C1, C2, C3과 비표시 영역 NC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으로부터 조금 떨어져서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평면으로 보아 리브(1) 중에서 상기 경계를 이루는 부분과 접하도록 혹은 해당 부분과 중첩하도록 배치해도 무방하다.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21) 사이의 공간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전 공간 DS 내 및 비표시 영역 NC에 해당하는 공간 내에는 Ne+Xe 혼합 가스나 He+Xe 혼합 가스 등의 방전용 가스가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 봉입되어 있다. 또, 방전용가스는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21) 사이의 공간 내의 공기를 배기한 후에 봉입된다.
다음에, PDP(101)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PDP(101)는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를 갖는 표시 장치(100D)에 대응한 PDP와 마찬가지로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DP(101)의 방전 셀 내지는 서브픽셀 C의 발광/비발광은 「서브 필드」라고 불리는 최소의 시간 단위로 제어된다. 서브 필드는 또한 「리세트 기간」, 「기록 기간」 및 「유지 방전 기간」의 세 개로 분류된다.
리세트 기간에서는 이전의 서브 필드의 방전 이력을 리세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전의 서브 필드에서 제 2 전극(22)과 대면하여 유전체층(23) 상에 축적된 「벽전하」를 소거한다.
기록 기간에서는 다음에 계속되는 유지 방전 기간에 있어서 유지 방전을 일으키고자 하는 방전 셀에만 벽전하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 2 전극(22)을 하나 걸러 순차로 선택한다. 이 선택은 대상으로 되는 제 2 전극(22)에 부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 이 때, 제 2 전극(22)에 펄스 전압을 인가하는 타이밍에 맞춰 각 제 1 전극(12)에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정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고, 이것에 의해 원하는 방전 셀의 제 1 전극(12)과 제 2 전극(22) 사이에 「기록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 기록 방전에 의해서 제 2 전극(22)과 대면하여 유전체층(23) 상에 정의 벽전하가 축적된다.
유지 방전 기간에서는 복수의 제 2 전극(22)에 하나 걸러 또한 교대로 펄스 형상의 전압을 외부로부터 인가한다. 이 외부로부터의 인가 전압과 이전의 기록기간에서 축적된 벽전하에 의한 전압이 중첩된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 이상이면, 방전(유지 방전)이 발생한다.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을 형광체층(2)이 가시 광선으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방전 셀 내지는 서브픽셀 C가 형광체층(2)에 대응한 색으로 발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전극(12) 중에서 띠 형상 전극(120)은 제 2 방전 공간 DS2와 대면하고, 또한, 리브(1) 중에서 제 1 방전 공간 DS1과 제 3 방전 공간 DS3을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고 있다(숨겨져 있음). 이 때문에, 제 2 방전 공간 DS2에 방전 개시 가능한 전계를 인가할 수 있고, 또한,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에는 방전을 발생시킬 만한 강도의 전계가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오방전의 억제). 한편, 줄기 전극(121)에 의해서 가지 전극(122)으로 전압이 공급되고, 해당 가지 전극(122)에 의해서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에 방전 개시 가능한 전계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DP(101)에는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를 구비한 PDP에 적용 가능한 여러가지의 구동 방법을 수정하는 일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이미 기술한 W 전극 공통 어드레스 구동 방법이나 전류 분산 방법 등에 의한 이점을 PDP(101)에서도 누릴 수 있다.
특히, PDP(101)에서는 상술한 표시 장치(100)의 서브픽셀 C의 배치 형태가 구현화되어 있으므로, PDP(101)에 의하면 색분리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이다. 또한, 비표시 영역 NC 내에 배치된 흑색층(24)에 의해 PDP(101)에서는 입상성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흑색층(24)에 의하면 외광의 반사를 억제하여 명실(明室)에서의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PDP(101)에서는 흑색층(24)은 비표시 영역 NC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전 셀로부터의 방사광이 차광되는 일이 없다. 즉, 발광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상술한 제 1 전극(12) 대신에, 도 8∼도 10의 모식적인 평면도에 도시하는 제 1 전극(12B1, 12B2, 12B3)을 PDP(101)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들 제 1 전극(12B1, 12B2, 12B3)은 상술한 제 1 전극(12)에서 가지 전극(122)을 가지 전극(1221, 1222, 1223)으로 변경한 구조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지 전극(1221)은 이미 기술한 가지 전극(122)을 내부를 도려내어 중공형상으로 한 평면 패턴, 즉, O자형 내지는 'O'자형의 평면 패턴을 갖고 있다. 또한, 가지 전극(1222)은 T자형의 평면 패턴을 갖고 있고, T자형의 머리부(頭部)가 띠 형상 전극(120)을 향해서 배치되고, T자형의 다리부의 단부에 줄기 전극(121)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지 전극(1223)은 U자형 내지는 'コ'형태의 평면 패턴을 갖고 있고, U자형의 바닥부가 띠 형상 전극(120)을 향해서 배치되고, U자형의 개구 단부에 줄기 전극(121)이 결합되어 있다.
가지 전극(1221, 1222, 1223)에 의하면, 이미 기술한 사각형의 가지 전극(122)보다도 가지 전극의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전극간의 정전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 기간에서의 무효 전력을 감소시킬수 있다.
또, 가지 전극(122, 1221, 1222, 1223) 중의 적어도 두 종류를 혼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11에 실시예 3에 따른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C)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1에는 PDP(101C)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PDP(101C)는 이미 기술한 PDP(101)(도 4 참조)에서 제 1 전극(12)을 제 1 전극(내지는 제 1 및 제 2 띠 형상 전극)(12C)으로 변경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밖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PDP(101)와 마찬가지이다.
PDP(101C)의 각 제 1 전극(12C)은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띠 형상을 하고 있고,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1 내지 제 3 중의 어느 한 개의 방전 공간 DS1, DS2, DS3(도 6 참조)과 대면하고 있다. 이 때,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2 방전 공간 DS2와 대면하는 제 1 전극(내지는 제 1 띠 형상 전극)(12C)은 이미 기술한 띠 형상 전극(120)과 마찬가지로, 리브(1) 중에서 제 1 방전 공간 DS1과 제 3 방전 공간 DS3을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고 있다(평면으로 보아 숨겨져 있음). 또한,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1 방전 공간 DS1과 대면하는 제 1 전극(내지는 제 2 띠 형상 전극)(12C)은 리브(1) 중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를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고 있다(숨겨져 있음). 마찬가지로,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3 방전 공간 DS3과대면하는 제 1 전극(내지는 제 2 띠 형상 전극)(12C)은 리브(1) 중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를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고 있다(숨겨져 있음). 이 때, 제 1 전극(12C)은 서브픽셀 C의 배열 간격의 제 2 방향 h의 성분에 의해 제 2 방향 h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전극(12C)의 이러한 형상·배치 형태에 의하면, 각 제 1 전극(12C)이 대면하는 방전 공간 DS에 방전 개시 가능한 전계를 인가할 수 있고, 또한, 대면하지 않는 방전 공간 DS에는 방전을 발생시킬 만한 강도의 전계가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오방전의 억제).
그런데, 이미 기술한 PDP(101)에서는 각 가지 전극(122)을 각 방전 공간 DS에 정확히 정렬(얼라인먼트)해야 한다. 이것에 대해서, 제 1 전극(12C)은 그 자체가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과 대면하므로, 별도로 가지 전극(122)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가지 전극을 위한 제 1 방향 v의 얼라인먼트를 실행할 필요가 없어 제조 프로세스를 간략화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2에 실시예 4에 따른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D)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2에는 PDP(101D)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PDP(101D)는 이미 기술한 PDP(101)(도 4 참조)에서 리브(1)를 복수의 리브(1D)로 변경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밖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PDP(101)와 마찬가지이다. 또, 설명을 위해 도 12에서는 리브(1D)를 제 2 전극(22)보다도 위(지면 앞쪽)에 도시하고 있지만, PDP(101D)의 각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배치 순서)는 PDP(101)와 마찬가지이다(도 5 참조). 이러한 도시화는 후술하는 도 13∼도 18에서도 이용한다.
PDP(101D)의 복수의 리브(1D)는 이미 기술한 리브(1)로부터 비표시 영역 NC를 분할하고 있는 제 2 방향 h로 연장되는 부분을 제거한 구조에 해당한다. 즉, 복수의 리브(1D)는 리브(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을 구획하는 한편, 제 2 방향 h로는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비표시 영역 NC에 대응하는 공간은 제 1 방향 v로 전체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복수의 리브(1D)에 의하면, 전면적으로 확대되는 그물코 형상의 리브(1)보다도 방전용 가스를 봉입하기 전에 실시되는 배기 공정에서의 배기 콘덕턴스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리브(1D)에 의해서도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이 구획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리브(1D)가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아도,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 내에서의 방전 형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이러한 복수의 리브(1D)는 이미 기술한 PDP(101C)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복수의 리브(1E) 등과 같이 평면시 형상을 변형할 수 도 있다.
(실시예 5)
그런데, 이미 기술한 PDP(101) 등에서는 제 1 전극(12)을 리브(1)와 대면시키는 것에 의해 소망의 서브픽셀 C 이외의 서브픽셀 C에서의 오방전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제 1 전극(12)과 리브(1)가 크게 중첩되어 있으면, 용량 결합이 커져 무효 전력이 증대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실시예 5에서는 그와 같은 무효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PDP를 설명한다.
도 13에 실시예 5에 따른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E)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3에는 PDP(101E)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PDP(101E)는 상술한 PDP(101D)(도 12 참조)에서 복수의 리브(1D)를 복수의 리브(1E)로 변경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밖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PDP(101, 101D)와 마찬가지이다.
각 리브(1E)는 평면으로 보아 능형(마름모꼴)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을 구획하고 있다. 이 때, 각 리브(1E)는 각 방전 공간 DS, 환언하면, 각 서브픽셀 C가 평면으로 보아 동일한 크기로 제 1 방향 v로 긴 능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픽셀 PX에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은 리브(1E)를 거쳐서 인접해 있고, 해당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 사이, 즉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 사이에는 비표시 영역 NC(에 해당하는 공간)가 개재하지 않는다.
또한, 평면으로 보아 각 리브(1E)는 능형의 정점(1Et)에 해당하는 부분이 복수의 제 1 전극(12)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을 구획하는 두 개의 능형 그물코에 대해서, 제 2 방향 h로배열되는 세 개의 정점(1Et)이 각각 제 1 전극(12)과 대면하도록, 각 리브(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술한 제 2 방향 h로 배열되는 세 개의 정점(1Et) 중에서 양측의 두 개의 정상부(꼭대기부)(1Et)는 각 리브(1E)의 외주에서의 각부(여기서는 평면으로 보아 볼록한 각부)(1Ec)를 이루고 있다. 리브(1E)에서는 해당 각부(1Ec)는 평면으로 보아 90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브(1E)는 능형 그물코의 정점(1Et)에서 제 1 전극(12)과 대면하므로, 이미 기술한 리브(1D)보다도 용량 결합을 작게 하여 무효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리브(1E)에 의하면 제 2 방향 h의 얼라인먼트 마진을 증대할 수 있다. 예컨대, PDP(101)(도 6 참조)에서는 리브(1)와 제 1 전극(12) 사이에 제 2 방향 h로 얼라인먼트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제 1 방전 공간 DS1 또는 제 3 방전 공간 DS3 내에 제 1 전극(12)이 노출되고(평면으로 보아 노출되고), 그 어긋남이 작아도 노출되는 면적은 크다. 이것에 대해서, PDP(101E)에 의하면, 마찬가지의 얼라인먼트 어긋남이 발생해도, 마찬가지로 제 1 방전 공간 DS1 또는 제 3 방전 공간 DS3 내에 제 1 전극(12)이 노출되지만, 그 노출 면적은 작다. 즉, PDP(101E) 쪽이 동일한 어긋남에 대해서도 오기록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 2 방향 h의 얼라인먼트 마진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리브는 페이스트 재료를 소성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소성 공정에 있어서 열수축에 의한 인장력이 발생하여 소성 시에 리브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이미 기술한 리브(1)(도 6 참조)에서는 제 1 및 제 2 방향 v, h로 연장되는 부분의 결합부(내지는 교차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합성 벡터는 한 방향으로 치우쳐 버린다. 그 방향으로 인장된 결과, 리브(1)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컨대, 이미 기술한 리브(1D)(도 12 참조)에서는 각 리브(1D)의 외주에 각부를 갖고 있다. 이 각부는 90도이기 때문에, 해당 각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합성 벡터는 각부의 내측으로(리브(1D)의 내측으로) 강하게 향한다. 이 때문에, 소성 시에 리브(1D)가 크게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각 리브(1E)는 능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성 시에 각 리브(1E)의 교차부(1Ek)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합성 벡터를 0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장력에 의해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1E)의 각부(1Ec)는 90도보다도 큰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예컨대, 리브(1D)(90도의 각부를 갖고 있음)보다도 해당 각부(1Ec)에서의 인장력의 합성 벡터가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소성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술한 바와 같이, PDP(101E)(도 13 참조)의 리브(1E)는 능형의 그물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균열의 발생이나 소성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리브(1E)의 평면 패턴에 기인하여 서브픽셀 C가 제 1 방향 v로 긴 능형을 하고 있으므로, PDP(101E)에 의하면 PDP(101)(도 4 참조) 및 PDP(101D)(도 12 참조)보다도 제 1 방향 v의 해상도가 낮게 된다. 그래서, 실시예 6에서는 PDP(101, 101D)와 동일 정도의 해상도를 실현하면서, 리브의 균열 및 소성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PDP를 설명한다.
도 14에 실시예 6에 따른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F)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4에는 PDP(101F)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PDP(101F)는 이미 기술한 PDP(101D)(도 12 참조)에서 복수의 리브(1D)를 복수의 리브(1F)로 변경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밖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PDP(101, 101D)와 마찬가지이다.
각 리브(1F)는 평면으로 보아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을 구획하고 있다. 이 때, 각 리브(1F)는 각 방전 공간 DS, 환언하면, 각 서브픽셀 C가 평면으로 보아 동일한 크기의 육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픽셀 PX에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은 리브(1F)를 거쳐서 인접해 있고, 해당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 사이, 즉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 사이에는 비표시 영역 NC(에 해당하는 공간)가 개재되지 않는다.
또한, 각 리브(1F)에서 육각형의 대향하는 1조의 변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 1 방향 v로 연장하고 있다.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을 구획하는 두 개의 육각형의 그물코에 대해서 상술한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각 부분은 리브(1D)와 마찬가지로, 제 1 전극(12)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리브(1F)에서 상술한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부분은 이미 기술한 리브(1D)의 동일 부분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육각형 그물코의 각부(1Fc) 중에서 제 1 전극(12)과 대면하는 정상부는 리브(1F)의 외주에서의 각부(여기서는 평면으로 보아 볼록한 각부)(1Fc)를 이루고 있다. 리브(1F)에서는 해당 각부(1Fc)는 평면으로 보아 90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리브(1F)는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능형의 그물코 형상의 리브(1E)보다도 제 1 방향 v의 해상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리브(1F)의 상술한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부분은 이미 기술한 리브(1D)의 동일 부분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PDP(101F)에 의하면 제 1 방향 v의 해상도를 PDP(101, 101D)와 동일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의 리브(1F)에 의하면, 리브(용의 페이스트 재료)를 소성할 때에 리브(1F)에서의 교차부(1Fk)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합성 벡터를 리브(1D)의 교차부 내지는 결합부(T자형을 하고 있음)보다도 저감할 수 있다. 즉, 리브(1D)의 교차부에는 한 방향으로 큰 인장력이 작용하지만,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에 의하면 그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장력에 의해서 복수의 리브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1F)의 각부(1Fc)는 90도보다도 큰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예컨대, 리브(1D)(90도의 각부를 갖고 있음)에 비해 해당 각부(1Fc)에서의 인장력의 합성 벡터가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소성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DP(101F)에 의하면 PDP(101, 101D)와 동일 정도의 해상도를 실현하면서, 리브(1F)의 균열 및 소성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5에 실시예 7에 따른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G)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5에는 PDP(101G)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PDP(101G)는 이미 기술한 PDP(101D)(도 12 참조)에서 복수의 리브(1D)를 복수의 리브(1G)로 변경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밖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PDP(101, 101D)와 마찬가지이다.
복수의 리브(1G)는 이미 기술한 복수의 리브(1D)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를 구획하는 부분을 제 2 방향 h로 확대시킨 구조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리브(1G)는 평면으로 보아 제 2 방전 공간 DS2가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보다도 넓게 되도록,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방향 h로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PDP(101G)에서는 제 2 서브픽셀 C2가 제 1 및 제 3 서브픽셀 C1, C3보다도 넓다.
이 때, PDP(101G)에서는 각 픽셀 PX에서, 제 2 서브픽셀 C2의 제 2 방향 h의 치수가 제 1 서브픽셀 C1의 제 2 방향 h의 끝(제 3 서브픽셀 C3과는 반대측의 끝)에서 제 3 서브픽셀 C3의 제 2 방향 h의 끝(제 1 서브픽셀 C1과는 반대측의 끝)까지의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브(1G)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를 형성하는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부분과 제 1 방전 공간 DS1을 형성하는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부분이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방전 공간 DS2를 형성하는 동일 부분과 제 3 방전 공간 DS3을 형성하는 동일 부분이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리브(1G)에 의하면, 예컨대, 리브(1D)(도 12 참조)보다도 리브의 형성 프로세스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PDP(101G)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의 발광색은 적색(R), 청색(B), 녹색(G)으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PDP(101G)에 의하면, 방전 공간 DS1, DS2, DS3의 넓이가 상이함에 기인해서,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 내보다도 제 2 방전 공간 DS2 내에 보다 넓게 형광체층(2)(도 5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투명 전극(222)의 면적이 동일한 경우, (면) 방전의 크기는 동일하게 되므로 형광체층(2)의 도포 면적이 넓을수록 발광 효율이 향상한다. 즉, 제 2 서브픽셀 C2의 발광 효율을 제 1 및 제 3 서브픽셀 C1, C3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서브픽셀 C2의 휘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발광 효율의 향상 효과는 넓은 제 2 서브픽셀 C2의 발광색이 어떠한 경우에도 얻어지지만, PDP(101G)와 같이 제 2 서브픽셀 C2를 청색의 서브픽셀로 설정한 경우에 해당 효과는 현저하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투입 전력의 경우, 청색 발광용의 형광체는 다른 색의 형광체와 비교하여 휘도가 낮은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청색의 발광 효율의 향상에 의해, PDP(101G)에 의하면 예컨대, PDP(101, 101D)에 비해 백색 표시에서의 색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PDP(101G)의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은 크기가 불균일하지만, 표시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이미 기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7, 더 나아가서는 수학식 8, 수학식 9를 만족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PDP(101G)도 표시 장치(100) 및 PDP(10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리브(1G)의 형상을 이미 기술한 단일의 리브(1)(도 6 참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복수의 리브(1G)에 의하면, 배기 콘덕턴스를 높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동시에 얻어진다.
(실시예 8)
도 16에 실시예 8에 따른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H)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6에는 PDP(101H)의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해서 도시하고 있다.
PDP(101H)는 상술한 PDP(101G)(도 15 참조)에서 복수의 제 1 및 제 2 전극(12, 22)을 복수의 제 1 및 제 2 전극(12H, 22H)으로 변경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밖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PDP(101G)와 마찬가지이다.
우선, PDP(101H)의 각 제 2 전극(22H)은 이미 기술한 제 2 전극(22)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와 대면하는 투명 전극(222)을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과 대면하는 투명 전극(222)보다도 제 2 방향 h로 길게 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PDP(101H)에서는 각 제 2 전극(22H)에서, 제 2 방전갭 DG2를 형성하는 부분이 제 1 및 제 3 방전갭 DG1, DG3을 형성하는 부분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동일 전압 조건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에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보다도 큰 전력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제 2 서브픽셀 C2의 휘도를 예컨대, PDP(101, 101D)에 비해, 더 나아가서는 PDP(101G)에 비해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PDP(101H)에서도 상술한 PDP(101G)와 마찬가지로 제 2 방전 공간 DS2 내에 청색 발광용의 형광체층(2)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PDP(101, 101D)에 비해, 더 나아가서는 PDP(101G)에 비해 백색 표시에서의 색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DP(101H)의 각 제 1 전극(12H)은 이미 기술한 제 1 전극(12)과 마찬가지로 띠 형상 전극(120), 줄기 전극(121) 및 가지 전극(122)을 포함하고 있지만, 제 1 전극(12H)의 줄기 전극(121)은 평면으로 보아 비방전 영역 NC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줄기 전극(121)의 배치 위치의 변경에 수반해서, 제 1 전극(12H)의 가지 전극(122)은 이미 기술한 제 1 전극(12)의 그것보다도 제 2 방향 h로 보다 길게 연장하여 줄기 전극(121)과 결합되어 있다. 또, 제 1 전극(12H)의 띠 형상 전극(120)은 이미 기술한 제 1 전극(12)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전극(12H)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미 기술한 제 1 전극(12)을 적용한 구조보다도, 제 2 방전 공간 DS2와 대면하는 넓은 투명 전극(222)으로부터 제 1 전극(12H)을 (구체적으로는 줄기 전극(121)을)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넓은 투명 전극(222)과 제 1 전극(12H) 사이의 전계 강도를 저하시켜 오방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12H)과 리브(1G) 사이에 제 2 방향 h의 얼라인먼트 어긋남이 다소 발생해도, 제 1 전극(12H)의 가지 전극(122)은 이미 기술한 제 1 전극(12)을 이용하는 것보다 제 2 방전 공간 DS2와 대면하기 어렵다. 즉, 제 1 전극(12H)에 의하면, 제 2 방향 h의 얼라인먼트 마진을 크게 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7에 실시예 9에 따른 PDP(내지는 표시 장치(101I)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7 중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를 추출한 모식적인 평면도를 도 18에 도시한다.
PDP(101I)는 이미 기술한 PDP(101)(도 4 참조)에서 리브(1), 복수의 제 1 전극(12) 및 흑색층(24)을 리브(1I), 복수의 제 1 전극(12I) 및 흑색층(24I)으로 변경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밖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PDP(101)와 마찬가지이다.
특히 PDP(101I)에서는 이미 기술한 PDP(101) 등과는 달리, 방전 공간 DS는 그대로 서브픽셀 C에는 대응하지 않고, 방전 공간 DS와 흑색층(24I)의 조합에 의해서 서브픽셀 C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PDP(101I)의 리브(1I)는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21) 사이의 공간을 평면으로 보아 델타 배열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의 복수(여러개)로 구획하고 있다.
이 때, PDP(101I)에서는 각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은 평면으로 보아 동일한 크기의 육각형을 하고 있어, 서로 인접하는 방전 공간 DS1, DS2, DS3은 리브(1I)를 거쳐서 인접해 있고, 해당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DS3 사이에는 비표시 영역 NC(에 해당하는 공간)가 개재되지 않는다. 즉, 리브(1I)는 제 1 기판(11)과 제 2 기판(21) 사이의 공간을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리브(1I)에서 육각형의 대향하는 1조의 변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 1 방향 v로 연장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P(101I)에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의 배열 간격의 제 2 방향 h의 성분은 ph/3(=p/3)으로 설정되고,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DS1, DS3과 제 2 방전 공간 DS2의 배열 간격의 제 1 방향 v의 성분은 pv/2(=p/2)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PDP(101I)의 복수의 제 1 전극(12I)은 기본적으로는 이미 기술한 복수의 제 1 전극(12C)(도 11 참조)과 마찬가지이다. 즉, 각 제 1 전극(12I)은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띠 형상을 하고 있고,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1 내지 제 3 중의 어느 한 개의 방전 공간 DS1, DS2, DS3과 대면하고 있다. 이 때,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2 방전 공간 DS2와 대면하는 제 1 전극(12I)은 리브(1I) 중에서 제 1 방전 공간 DS1과 제 3 방전 공간 DS3을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고 있다(평면으로 보아 숨겨져 있음). 마찬가지로,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1 방전 공간 DS1과 대면하는 제 1 전극(12I)은 리브(1I) 중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와 제 2 방향 h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3 방전 공간 DS3과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고, 제 1 방향 v로 배열되는 제 3 방전 공간 DS3과 대면하는 제 1 전극(12I)은 리브(1) 중에서 제 2 방전 공간 DS2와 제 2 방향 h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방전 공간 DS1을 구획하는 부분과 대면하고 있다. 이 때, 제 1 전극(12I)은 방전 공간 DS의 배열 간격의 제 2 방향 h의 성분에 의해 제 2 방향 h로 배열되어 있다.
또, PDP(101I)의 제 2 전극(22)의 투명 전극(222)은 PDP(101)와 마찬가지로, 제 1 내지 제 3 방전갭 DG1, DG2, DG3이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방전 공간 DS1, DS2, DS3의 배열의 상이함에 기인해서 투명 전극(222)의 배열 간격의 제 2 방향 h의 성분은 PDP(101)와는 다르다.
PDP(101I)의 흑색층(24I)은 이미 기술한 흑색층(24)과 마찬가지로 제 2 기판(21) 상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흑색층(24I)은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의 일부를 덮도록(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을 좁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방전 공간 DS 내에서 발생한 가시광을 출력하기 위한 개구의 위치·형상·크기를 흑색층(24I)에 의해서 규제하고 있다. 환언하면, 흑색층(24I)에 의해서, 방전 공간 DS의 평면 패턴의 일부를 표시/비표시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비표시 영역 NC로 전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화면을 평면으로 보아 소정색의 표시/비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단위 영역인 서브픽셀 C1, C2, C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흑색층(24I)은 각 픽셀 PX에서 평면으로 보아 제 2 방전 공간 DS2 중에서 제 2 방향 h에서의 양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2 서브픽셀 C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흑색층(24I)은 각 픽셀 PX에서 평면으로 보아 제 1 방전 공간 DS1 중에서 제 2 방향 h에 있어서 제 3 방전 공간 DS3으로부터 먼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1 서브픽셀 C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흑색층(24I)은 각 픽셀 PX에서 평면으로 보아 제 3 방전 공간 DS3 중에서 제2 방향 h에 있어서 제 1 방전 공간 DS1로부터 먼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3 서브픽셀 C3을 형성하고 있다.
PDP(101I)에서, 서브픽셀 C1, C2, C3이 이미 기술한 수학식 1∼수학식 7, 더 나아가서는 수학식 8, 수학식 9를 만족시키도록 흑색층(24I)이 형성되어 있고, PDP(101I)에 의해서도 표시 장치(100) 및 PDP(101)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거꾸로 말하면, PDP(101I)에 흑색층(24I)이 없는 경우(도 18 참조),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 PD(도 20참조)와 마찬가지로 색분리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흑색층(24I)에 의해서 명실에서의 콘트라스트비를 개선할 수 있고, 이 때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흑색층(24I)을 전체로서 제 1 방향 v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PDP(101I)에 있어서도 입상성은 억제된다.
또한, 흑색층(24I)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 DS1, DS2, DS3으로부터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C1, C2, C3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이미 기술한 PDP(101G)(도 15 참조)와 같이 제 2 서브픽셀 C2가 보다 커지도록 흑색층(24I)을 배치해도 무방하다.
그런데, PDP(101I)로부터 흑색층(24I)을 제거한 구조(도 18 참조)에 의하면, 비표시 영역 NC가 없는만큼 서브픽셀 C1, C2, C3이 보다 크므로, 고휘도화한 PDP가 얻어진다. 또한, 그와 같은 PDP에서는 바닥 면적에 대해서 리브(1I)의 측면 면적이 작으므로 가시 광선을 취출하기 쉬워 발광 효율이 높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PDP(101I)에서는 방전 공간 DS 내에서 발생한 가시광을 흑색층(24I)에 의해서 차폐하므로, 상술한 흑색층(24I)을 갖지 않는 PDP보다도 휘도 및 발광 효율이 낮게 될 수 있다. 그러나, 흑색층(24I)은 방전 공간 DS 내에서도 발광이 비교적 약한 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현저하게 휘도 및 발광 효율을 저감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흑색층(24I) 상에 방전 공간 DS와 대면하도록(흑색층(24I)의 제 1 기판(11) 측에) 가시광 반사율이 높은 재료, 예컨대, 산화 티탄이나 산화 알루미늄 등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휘도 및 발광 효율의 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즉, 방전 공간 DS 내에서 발생한 가시광을 해당 고반사 재료에 의해 반사시키고, 리브(1I) 등에 의해 더 반사시킨 후 표시광으로서 취출할 수 있다.
(변형예)
또, 흑색층(24, 24I)은 완전한 흑색이 아니어도 좋고, 원하는 차광성·저반사성이 얻어지는 범위 내의 어두운 색의 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표시 장치(100)(도 1 참조)의 구체예로서 PDP를 들었지만, 액정 모니터(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에 의해서도 표시 장치(100)를 구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최소값이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의 세 개의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최소값보다도작으므로,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이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표시하는 경우에 색분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 제 1 및 제 3 서브픽셀과 제 2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제 1 방향의 성분은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과 마찬가지이므로, 해당 표시 장치에서도 픽셀 수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해상도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비표시 영역은 각 픽셀 내에서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 사이에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했다고 해도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의 그것보다도 작다. 또한, 비표시 영역은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픽셀 사이에 존재하고, 제 1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므로, 비표시 영역 내의 흑색층을 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블랙 스트라이프). 이러한 흑색층에 의해, 입상성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제 1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를 PDP에 의해서 구현화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 1 전극을 기록 기간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으로서 이용하고, 복수의 제 2 전극을 기록 기간에 있어서 순차 선택하는 전극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해당 표시 장치(PDP)에 종래의 델타 배열형 픽셀을 구비한 PDP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구동 방법을 배열하는 일 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전극은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에 방전 개시 가능한 전계를 인가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에는 방전을 발생시킬 만한 강도의 전계가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오방전의 억제).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줄기 전극에 의해서 복수의 가지 전극으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가지 전극에 의해서 복수의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에 방전 개시 가능한 전계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르면, 가지 전극을 예컨대, 사각형으로 하는 경우보다도 가지 전극의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 1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의 구동 시(기록 기간)의 무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띠 형상 전극은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에 방전 개시 가능한 전계를 인가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에는 방전을 발생시킬 만한 강도의 전계가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오방전의 억제). 또한, 복수의 제 2 띠 형상 전극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및 제 2 띠 형상 전극은 그 자체가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므로, 별도로 가지 전극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가지 전극을 위한 제 1 방향의 얼라인먼트를 실행할 필요가 없어, 제조 프로세스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리브는 제 2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컨대, 전면적으로 확대되는 그물코 형상의 리브보다도 배기 콘덕턴스를 높게 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에 의해서도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이 구획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리브가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아도 제 1 내지 제 2 방전 공간 내에서의 방전 형성에는 영향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리브는 능형의 정점에서 복수의 제 1전극과 대면하므로, 용량 결합이 작아져 무효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에 의하면, 제 2 방향의 얼라인먼트 어긋남이 발생해도, 그 어긋남이 작으면 제 1 방전 공간 또는 제 3 방전 공간 내에서 노출하는 제 1 전극의 면적은 크지 않아, 오기록이 발생하기 어렵다. 즉, 제 2 방향의 얼라인먼트 마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는 능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브(용의 페이스트)를 소성할 때에 능형의 교차부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합성 벡터를 0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장력에 의해서 복수의 리브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의 각부는 90도보다도 큰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90도인 경우에 비해 해당 각부에서의 인장력의 합성 벡터가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소성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리브는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방향의 해상도를 능형의 그물코 형상보다도 높게 할 수 있고, 사각형의 그물코 형상과 동일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는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브(용의 페이스트)를 소성할 때에 육각형의 교차부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합성 벡터를 예컨대, T자형의 교차부(결합부)보다도 저감할 수 있다. 즉, 상술한 T자형의 교차부에는 한 방향으로 큰 인장력이 작용하지만, 육각형의 그물코 형상에 의하면 그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장력에 의해서 복수의 리브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의 각부는 90도보다도 큰 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90도인 경우에 비해 해당 각부에서의 인장력의 합성 벡터가 완화된다. 이것에 의해, 소성에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 내보다도 복수의 제 2 방전 공간 내에 보다 넓게 형광체층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서브픽셀의 발광 효율을 제 1 및 제 3 서브픽셀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서브픽셀의 휘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방전 공간 내에 청색 발광용의 형광체층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백색 표시에서의 색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특징에 따르면, 리브에 있어서 제 2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제 1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브에서 제 2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동일 부분과 제 3 방전 공간을 형성하는 동일 부분을 대략 일직선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브의 형성 프로세스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3 특징에 따르면, 동일 전압 조건에 있어서 제 2 방전 공간에 제 1 및 제 3 방전 공간보다도 큰 전력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제 2 서브픽셀의 휘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방전 공간 내에 청색 발광용의 형광체층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백색 표시에서의 색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특징에 따르면, 흑색층에 의해서 명실에서의 콘트라스트비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또한 각 흑색층을 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블랙 스트라이프). 이러한 흑색층에 의해 입상성을 느끼기 어려운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흑색층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으로 제 1내지 제 3 서브픽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Claims (3)

  1.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전체로서 평면으로 보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은 평면으로 보아 델타 배열된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 ph로 나타내며,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 1 서브픽셀과 상기 제 2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1, ph1로 나타내고,
    상기 제 2 서브픽셀과 상기 제 3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2, ph2로 나타내고,
    상기 제 3 서브픽셀과 상기 제 1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방향의 성분을 pv3으로 나타낼 때,
    을 만족시키고,
    상기 복수의 픽셀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에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픽셀에 대해서,
    상기 제 1 픽셀의 상기 제 3 서브픽셀과 상기 제 2 픽셀의 상기 제 1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의 성분을 pv4, ph4로 나타내고,
    상기 제 1 픽셀의 상기 제 2 서브픽셀과 상기 제 2 픽셀의 상기 제 1 서브픽셀의 배열 간격의 상기 제 1 방향의 성분을 pv5로 나타낼 때,
    을 만족시키고,
    상기 복수의 픽셀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에 인접하는 픽셀은 서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의 배열이 동일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 표시/비표시의 제어가 불가능한 영역에 해당하는 비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흑색층을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대면 배치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공간을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픽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으로 구획하는 리브와,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 공간과 대면하는 복수의 제 1 내지 제 3 방전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을 덮는 유전체층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02-0050743A 2002-01-16 2002-08-27 표시 장치 KR100455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7360A JP2003208848A (ja) 2002-01-16 2002-01-16 表示装置
JPJP-P-2002-00007360 2002-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207A true KR20030062207A (ko) 2003-07-23
KR100455636B1 KR100455636B1 (ko) 2004-11-06

Family

ID=1919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743A KR100455636B1 (ko) 2002-01-16 2002-08-2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41031B2 (ko)
JP (1) JP2003208848A (ko)
KR (1) KR100455636B1 (ko)
TW (1) TWI26066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82B1 (ko) * 2002-12-05 2004-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US10394091B2 (en) 2015-11-18 2019-08-2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9026B (en) * 2001-08-29 2005-09-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structure and its driving method
KR100469696B1 (ko) * 2002-06-10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17965B1 (ko) * 2003-08-09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W591682B (en) * 2003-08-20 2004-06-11 Au Optronics Corp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
JP4015090B2 (ja) * 2003-09-08 2007-11-28 株式会社東芝 立体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0527423B1 (ko) * 2003-09-25 200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KR100599678B1 (ko) * 2003-10-16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50083251A1 (en) * 2003-10-20 2005-04-21 Yao-Ching Su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data structure
US20050093445A1 (en) * 2003-11-05 2005-05-05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KR100589390B1 (ko) 2003-11-2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델타 화소 배열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WI277997B (en) * 2003-12-25 2007-04-01 Au Optronics Corp A set of alignment marks for a plasma display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containing the same
KR100637148B1 (ko) * 2004-02-18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56B1 (ko) * 2004-05-14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2359B1 (ko) * 2004-05-31 2006-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104B1 (ko) * 2004-05-31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88B1 (ko) * 2004-06-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5489B1 (ko) 2004-08-11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22200A (ko) * 2004-09-06 200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638211B1 (ko) * 2004-11-09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8727B1 (ko) * 2004-11-30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5806B1 (ko) * 2005-06-10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344577A (ja) * 2005-06-10 2006-12-21 Lg Electronics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25643B1 (ko) * 2005-07-21 2012-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408B1 (ko) * 2005-08-31 2007-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071948A1 (en) * 2005-09-28 2007-03-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barrier partitions and articles
US20080001525A1 (en) * 2006-06-30 2008-01-03 Au Optronics Corporation Arrangements of color pixels for full color OLED
JP4197716B2 (ja) * 2006-10-03 2008-12-17 株式会社東芝 立体映像表示装置
TWI587006B (zh) * 2015-06-30 2017-06-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以及抬頭顯示器
KR102602169B1 (ko) 2016-07-11 2023-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831A (ja) * 1989-08-28 1991-04-10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3233593A (ja) * 1990-02-09 1991-10-17 Toshiba Corp カラー画像表示装置
FR2722319B1 (fr) * 1994-07-08 1996-08-14 Thomson Csf Dispositif de visualisation couleurs
JP3586344B2 (ja) * 1995-10-06 2004-11-1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US6064424A (en) * 1996-02-23 2000-05-16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KR100209605B1 (ko) * 1996-12-23 1999-07-15 구자홍 액정 디스플레이장치
US6072272A (en) 1998-05-04 2000-06-06 Motorola, Inc. Color flat panel display device
JP2000298451A (ja) 1999-04-14 200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357463A (ja) 1999-04-14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1135242A (ja) 1999-11-02 2001-05-18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82B1 (ko) * 2002-12-05 2004-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US10394091B2 (en) 2015-11-18 2019-08-2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636B1 (ko) 2004-11-06
US6741031B2 (en) 2004-05-25
JP2003208848A (ja) 2003-07-25
TWI260665B (en) 2006-08-21
US20030132709A1 (en) 200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636B1 (ko) 표시 장치
US6492770B2 (en) Plasma display panel
US7012370B2 (en) Plasma display device with shielding parts on transparent electrodes
US6703782B2 (en) Plasma display panel
US6639363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789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122963B2 (en) Plasma display having a dielectric layer formed with a recessed part
US6586880B2 (en) Partition-wall structure for plasma display panel
US6992444B2 (en)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partition wall member
KR200501138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700325B2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89338B1 (ko) 어드레스 전극간 캐패시턴스를 낮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100658312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6868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57745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00051011A (ko) 면방전형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509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5129506A (ja) 改善したデータ電極の配置構造を備え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8304992B2 (en)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black layer
KR200900766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015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098115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2008004229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6167A (ko) 회전된 델타 화소 배열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2192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