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409A -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409A
KR20030059409A KR1020010088269A KR20010088269A KR20030059409A KR 20030059409 A KR20030059409 A KR 20030059409A KR 1020010088269 A KR1020010088269 A KR 1020010088269A KR 20010088269 A KR20010088269 A KR 20010088269A KR 20030059409 A KR20030059409 A KR 2003005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gate electrode
mask
forming
semicondu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8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9409A/ko
Publication of KR2003005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9Manufacture or treatment with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nd memory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기판의 셀영역에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도체기판 상부에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전체표면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반도체기판의 활성영역을 노출시키는 식각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전극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동시에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반면에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자분리영역에는 절연막을 그대로 남겨둠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상기 소자분리영역에 형성된 콘택플러그를 제거하는 공정 시간이 감소되어 게이트전극 주변의 절연막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자간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유리하게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Fabricat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셀영역에 비트라인 콘택 및 저장전극 콘택으로 예정되는 부분에 접속되는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도체기판의 주변회로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전극 주변의 절연막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 추세는 미세 패턴 형성 기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서 식각 또는 이온주입 공정 등의 마스크로 매우 폭 넓게 사용되는 감광막 패턴의 미세화가 필수 요건이다.
상기 감광막 패턴의 분해능(R)은 축소노광장치의 광원의 파장(λ) 및 공정 변수(k)에 비례하고, 노광 장치의 렌즈 구경(numerical aperture:NA, 개구수)에 반비례한다.
[R=k*λ/NA, R=해상도, λ=광원의 파장, NA=개구수]
여기서, 상기 축소노광장치의 광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원의 파장을 감소시키게 되며, 예를 들어 파장이 436 및 365㎚인 G-라인 및 i-라인 축소노광장치는 공정 분해능이 각각 약 0.7, 0.5㎛ 정도가 한계이고, 0.5㎛ 이하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파장이 작은 원자외선, 예를 들어 파장이 248㎚인 KrF 레이저나 193㎚인 ArF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노광 장치를 이용하거나, 공정 상의 방법으로는 노광마스크를 위상 반전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과, 이미지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별도의 박막을 웨이퍼 상에 형성하는 씨.이.엘.(contrast enhancement layer: 이하 CEL이라 함) 방법이나 두 층의 감광막 사이에 에스.오.지.(spin on glass: SOG) 등의 중간층을 개재시킨 삼층레지스트(Tri layer resist: 이하 TLR 라 함) 방법 또는 감광막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실리콘을 주입시키는 실리레이션 방법 등이 개발되어 분해능 한계치를 낮추고 있다.
또한, 상하의 도전배선을 연결하는 콘택홀은 소자가 고집적화 되어감에 따라자체의 크기와 주변배선과의 간격이 감소되고, 콘택홀의 지름과 깊이의 비인 에스펙트비(aspect ratio)가 증가한다. 따라서, 다층의 도전배선을 구비하는 고집적 반도체소자에서는 콘택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조 공정에서의 마스크들 간의 정확하고, 엄격한 정렬이 요구되어 공정여유도가 감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 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로서, 셀영역의 활성영역(Ⅰ)과 소자분리영역(Ⅱ)을 도시한다.
먼저, 반도체기판(11)에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절연막(13)을 형성한다.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게이트절연막(도시안됨), 게이트전극용 도전층(도시안됨) 및 마스크절연막(도시안됨)의 적층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마스크절연막은 질화막으로 형성된다.
그 다음, 게이트전극 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적층구조를 식각하여 마스크절연막패턴(19), 게이트전극(17) 및 게이트절연막패턴(15)을 형성한다. (도 1a 참조)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절연막(도시안됨)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막은 질화막과 산화막의 적층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그 다음, 상기 반도체기판(11)의 셀영역을 노출시키는 셀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마스크절연막패턴(19)과 게이트전극(17) 및 게이트절연막패턴(15)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21)를 형성한다.
다음, 세정공정을 실시한다. (도 1b 참조)
그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다결정실리콘층(도시안됨)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다결정실리콘층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이하 CMP 라 함)공정으로 평탄화시켜 콘택플러그(23)를 형성한다. (도 1c 참조)
그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희생산화막(도시안됨)을 형성한다.
다음, 소자분리영역(Ⅱ)을 노출시키는 소자분리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희생산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희생산화막패턴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희생산화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소자분리영역(Ⅱ)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플러그(23)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의 셀영역의 활성영역 및 소자분리영역에 다결정실리콘층을 이용하여 콘택플러그를 형성한 후 상기 활성영역에 형성된 콘택플러그를 제거하는 식각공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식각공정으로 소자분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전극 주변의 절연막이 손실되어 절연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전체표면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반도체기판의 활성영역을 노출시키는 식각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게이트전극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 콘택플러그를 형성함으로써 후속공정으로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자분리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플러그를 제거하는 식각공정으로 소자분리영역의 게이트전극 주변 절연막이 손상되어 절연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소자의 동작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 는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01 : 반도체기판 13, 103 : 소자분리절연막
15, 105 : 게이트절연막패턴 17, 107 : 게이트전극
19, 109 : 마스크절연막패턴 21, 111a : 절연막 스페이서
23, 113, 115 : 콘택플러그 111 : 절연막
111b : 절연막패턴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에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 상부에 마스크절연막패턴이 적층되어 있는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체표면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활성영역을 노출시키는 소자분리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전극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공정과,
전체표면 상부에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결정실리콘층과 절연막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공정으로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체표면 상부에 상기 활성영역을 보호하는 희생절연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희생절연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자분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플러그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막은 질화막과 산화막의 적층구조인 것과,
상기 희생절연막패턴은 TEOS 산화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로서, 셀영역의 활성영역(Ⅰ)과 소자분리영역(Ⅱ)을 도시한다.
먼저, 반도체기판(101)에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절연막(103)을 형성한다.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게이트절연막(도시안됨), 게이트전극용 도전층(도시안됨) 및 마스크절연막(도시안됨)의 적층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마스크절연막은 질화막으로 형성된다.
그 다음, 게이트전극 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적층구조를 식각하여 마스크절연막패턴(109), 게이트전극(107) 및 게이트절연막패턴(105)을 형성한다. (도 2a 참조)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절연막(11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막(111)은 질화막과 산화막의 적층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 2b 참조)
그 다음, 상기 반도체기판(101)의 소자분리영역(Ⅱ)을 보호하는 소자분리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절연막(111)을 식각하여 상기 마스크절연막패턴(109)과 게이트전극(107) 및 게이트절연막패턴(105)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111a)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활성영역(Ⅰ)에서는 반도체기판(101)이 노출되고, 상기 소자분리영역(Ⅱ)에서는 절연막(111)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다음, 세정공정을 실시한다.
그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다결정실리콘층(도시안됨)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다결정실리콘층과 절연막(111)을 CMP공정으로 평탄화시켜 콘택플러그(113, 11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CMP공정 시 상기 소자분리영역(Ⅱ) 상의 절연막(111)이 제거되어 마스크절연막패턴(109)을 노출시키고, 게이트전극(107) 측벽 및 소자분리절연막(103) 상에 절연막패턴(1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활성영역(Ⅰ) 상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플러그(113)보다 상기 소자분리절연막(103) 상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플러그(115)는 절연막패턴(111b) 두께 만큼 얇게 형성된다. (도 2c 참조)
그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희생산화막(도시안됨)을 형성한다.
다음, 소자분리영역(Ⅱ)을 노출시키는 소자분리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희생산화막을 식각하여 상기 희생산화막패턴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희생산화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소자분리영역(Ⅱ)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플러그(115)를 제거한다. (도 2d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의 셀영역에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도체기판 상부에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전체표면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반도체기판의 활성영역을 노출시키는 식각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전극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동시에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반면에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자분리영역에는 절연막을 그대로 남겨둠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상기 소자분리영역에 형성된 콘택플러그를 제거하는 공정 시간이 감소되어 게이트전극 주변의 절연막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소자간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유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반도체기판에 활성영역을 정의하는 소자분리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 상부에 마스크절연막패턴이 적층되어 있는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전체표면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활성영역을 노출시키는 소자분리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전극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공정과,
    전체표면 상부에 다결정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결정실리콘층과 절연막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공정으로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전극 사이에 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공정과,
    전체표면 상부에 상기 활성영역을 보호하는 희생절연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희생절연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자분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플러그를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질화막과 산화막의 적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절연막패턴은 TEOS 산화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10088269A 2001-12-29 2001-12-29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9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269A KR20030059409A (ko) 2001-12-29 2001-12-29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269A KR20030059409A (ko) 2001-12-29 2001-12-29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409A true KR20030059409A (ko) 2003-07-10

Family

ID=3221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269A KR20030059409A (ko) 2001-12-29 2001-12-29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94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2018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0755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8573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45367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6168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9409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8635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709453B1 (ko)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형성방법
KR100944344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8628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86118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46192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02641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59159B1 (ko)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형성방법
KR100465604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20000045450A (ko) 반도체소자의 저장전극 형성방법
KR20000043205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00027639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플러그 제조방법
KR20030000125A (ko)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형성방법
KR20030059417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02024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52460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02009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8677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02013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