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561A - 악세서리 연결구 - Google Patents

악세서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561A
KR20030046561A KR1020010076412A KR20010076412A KR20030046561A KR 20030046561 A KR20030046561 A KR 20030046561A KR 1020010076412 A KR1020010076412 A KR 1020010076412A KR 20010076412 A KR20010076412 A KR 20010076412A KR 20030046561 A KR20030046561 A KR 2003004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accessory
connecting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업
Original Assignee
김영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업 filed Critical 김영업
Priority to KR102001007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561A/ko
Publication of KR2003004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5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악세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를 사용자 스스로가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추가하거나 빼내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 연결구를 사용하여 제작된 악세서리는 신축성이 있어 착용부에 꼭 맞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통상 목걸이나 팔찌 등 악세서리의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연결구는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구의 입구를 벌리거나 오므려서 사슬처럼 연결토록 되어 있어, 악세서리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가에 의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왜냐하면 이러한 연결구는 통상 금속제품으로 이루어져 연결구 입구의 개폐 시 모양이 일그러지기 쉽고, 크기가 작아 연결구 입구의 개폐가 용이치 않기 때문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수납되어진 이동체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프레임의 내외로 이동토록 하고, 연결체의 양측에 형성되어진 걸이면으로 또 다른 악세서리 연결구에 간단히 연결토록 하는 악세서리 연결구를 제공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악세서리 연결구.

Description

악세서리 연결구{A coupler of accessories}
본 발명은 목걸이나 팔지 등 악세서리의 구성요소로 사용되는 악세서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구를 사용자 스스로가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추가하거나 빼내어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이 연결구를 사용하여 제작되어진 악세서리는 신축성이 있어 신체에 꼭 맞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악세서리 연결구는 고리의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구의 입구를 벌리거나 오므려서 사슬처럼 연결토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연결되어진 연결구의 입구가 작은 힘에 의해서도 쉽게 벌려져서 연결된 부위가 끊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 낭패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끊어진 부분을 다시 연결할 경우에도 연결구 입구의 개폐가 용이치 않을 뿐 아니라 연결구 입구의 개폐 시 연결구의 모양이 일그러져 미관을 크게 손상시킴으로서 반드시 전문가에 의뢰하였던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연결구를 연결하여 만들어진 목걸이나 팔지의 경우에도 길이를 늘리거나 축소시킬 경우에는 전문가에 의뢰하여야 했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구를 다수개 연결할 경우 연결부위가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 스스로가 쉽게 연결하거나 빼내어 길이의 조정이 가능토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악세서리 연결구는 프레임에 내부에 스프링이 수납되어진 연결체를 수납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프레임의 내외로 이동토록 하고 연결체의 양측에 형성되어진 걸이면으로 또 다른 악세서리 연결구를 연결시키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사용하여 제작한 악세서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수납틀 11a: 절곡면
11b: 받침턱
20: 작동체 21, 21a: 걸이면
30: 스프링
40: 고정체
41: 측면 42: 안착턱
43: 돌출면 44: 요입부
45: 건강매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으며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로 수납틀(11)이 형성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일측으로 끼워져 180도 회동에 의하여 프레임(10)의 내부로 수납되고, 연결수단으로서 걸이면(21)(21a)이 양측에 형성된 연결체(20)와, 연결체(20)의 내부에 수납되어 연결체(20)의 이동 수단체로 작용되는 스프링(30)과, 프레임(10)의 수납틀(11)로 삽입되어 프레임(10)에 수납된 연결체(20)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체(4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수납틀(11)은 프레임(10)의 양 측면을 하부로 절곡시켜 상기 고정체(40)가 끼워져 안착되어지는 절곡면(11a)과 고정체(40)를 받쳐주는 받침턱(11b)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고정체(40)는 프레임(10)수납틀(11)의 절곡면(11a)과 받침턱(11b)에 맞물려지는 측면(41)과 단턱(42)으로 이루어지고 단턱(42)의 하방으로 상기 프레임(10)에 수납된 연결체(20)의 두께만큼 돌출되어지는 돌출면(43)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으로는 상기 연결체(20)를 끼워서 결합토록 함과 동시에 프레임(10)에 끼워진 고정체(4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고정체(40)의 결합 전, 후 절곡시켜 마감토록 하는 절첩면(12)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첩면(12)의 상,하부에는 끼워지는 연결체(20)의 두께만큼 요입부(12a)를 형성하여 연결체(20)의 결합에 의하여 절첩면(12)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첩면(12)의 절곡부에는 타격에 의하여 내측으로는 돌출되고 외측으로는 요입되어지는 보강홈(12b)이 형성되어 절첩면(12)에 보강력을 부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체(40)의 이면에 요입부(44)를 형성하고 요입부(44)에 자석, 옥, 게르마늄 등 건강에 유익한 건강매체(42)를 결합시킴으로서 착용 시 건강 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는 프레임(10)의 일측 절첩면(12)을 절곡시키고, 타측 절첩면(12)의 요입부(12a)에 연결체(20)의 일측 걸이면(21)을 걸어 끼우고, 연결체(20)의 내부에 스프링(30)을 끼운 상태에서 180도로 회전시켜 연결체(20)를 프레임(10)의 내부로 수납시킨 후, 프레임(10)의 수납틀(11)에 고정체(40)를 삽입시키면 연결체(20)가 프레임(10) 내부에 수납된 상태대로 유지되어 빠지지 않게 됨으로서 악세서리 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는 프레임(10)에 수납되어진 연결체(20)의 일측 걸이면(21)이 프레임(10)의 일측에만 결합되어 있고, 연결체(20)의 내부에는 스프링(30)이 삽입되어 탄력지지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체(20)를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잡아당기면 연결체(20)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연결체(2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나 빠지지 않는 것이고, 돌출된 연결체(20)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스프링(30)이 복원되어 연결체(2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의 연결체(20)를 돌출시켜 연결체(20)의 타측 걸이면(21a)으로 또 다른 연결구를 연속적으로 끼우면 줄의 형태로 길이를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고,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구를 빼내면 길이를 용이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체(20)의 이동으로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를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것들에는 탄력성이 제공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악세서리 연결구는 연결구를 일렬로 연결시켜 팔찌, 목걸이 등의 다양한 악세서리나 시계줄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것들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연결구를 추가로 연결시키거나 빼내어 길이의 연장이나 축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악세서리 연결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악세서리는 신축성이 있어 착용 부위에 꼭 맞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수납틀(11)과 절첩면(12)이 양측에 형성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일측 절곡면(11a)으로 끼워져 180도 회동에 의하여 프레임(10)의 내부로 수납되고, 연결수단으로서 걸이면(21)(21a)이 양측에 형성된 연결체(20)와, 연결체(20)의 내부에 수납되어 연결체(20)의 이동 수단체로 작용되는 스프링(30)과, 프레임(10)의 수납틀(11)로 삽입되어 프레임(10)에 수납된 연결체(20)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체(40)로 구성된 악세서리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면(12)의 절곡부에 보강홈(12b)이 형성되어 절첩면(12)에 보강력을 부여시킨 악세서리 연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이면에 요입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서리 연결구.
KR1020010076412A 2001-12-05 2001-12-05 악세서리 연결구 KR20030046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12A KR20030046561A (ko) 2001-12-05 2001-12-05 악세서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12A KR20030046561A (ko) 2001-12-05 2001-12-05 악세서리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561A true KR20030046561A (ko) 2003-06-18

Family

ID=2957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412A KR20030046561A (ko) 2001-12-05 2001-12-05 악세서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5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43B1 (ko) * 2019-12-30 2020-06-02 강정남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082U (ko) * 1996-09-10 1996-12-16 김길진 목걸이
KR960036347U (ko) * 1996-05-31 1996-12-16 김길진 팔찌
JPH09262112A (ja) * 1996-03-28 1997-10-07 Casio Comput Co Ltd バンド
KR200217479Y1 (ko) * 2000-10-12 2001-03-15 이종순 팔찌의 신축장치
JP2001252113A (ja) * 2000-03-09 2001-09-18 Funakura Masaki リング状装身具の伸縮部材及び同部材を備えたリング状装身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112A (ja) * 1996-03-28 1997-10-07 Casio Comput Co Ltd バンド
KR960036347U (ko) * 1996-05-31 1996-12-16 김길진 팔찌
KR960036082U (ko) * 1996-09-10 1996-12-16 김길진 목걸이
JP2001252113A (ja) * 2000-03-09 2001-09-18 Funakura Masaki リング状装身具の伸縮部材及び同部材を備えたリング状装身具
KR200217479Y1 (ko) * 2000-10-12 2001-03-15 이종순 팔찌의 신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43B1 (ko) * 2019-12-30 2020-06-02 강정남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5361B1 (ja) 眼鏡用のバネ蝶番
US5951193A (en) Mechanism for connecting ornamental parts of wrist watch
JP4727657B2 (ja) メガネ
US11006705B2 (en) Clasp mechanism for wrist-worn devices
JPH10133153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3987954B2 (ja) 折り畳みアームを備えた留め金
JP3894889B2 (ja) 弾性機構の付いた留め具付き髪飾り
KR20030046561A (ko) 악세서리 연결구
JPH08322614A (ja) バンド部材の連結具
JP3356787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リムロック及びメガネフレーム
KR200384716Y1 (ko) 장신구용 연결줄의 연결구조
CN109709689A (zh) 用于眼镜框架的可拆卸弹性铰链
JP2002268017A (ja) 眼鏡の新テンプル連結構造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JP6716832B2 (ja) 携帯機器用腕装着具
CA2337940A1 (en) Eyewear
CN212754584U (zh) 一种表带连接装置及智能手表
KR200332231Y1 (ko) 귀고리의 핀결합구조
JP4643971B2 (ja) 装身具用留め具
KR200338512Y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1523575B1 (ko) 장신구의 자석식 연결기구
CN211298658U (zh) 一种手表
KR200344804Y1 (ko)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JP3117744U (ja) 装身用留め金具
JP3094034U (ja) 装身具用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