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843B1 -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43B1
KR102117843B1 KR1020190177260A KR20190177260A KR102117843B1 KR 102117843 B1 KR102117843 B1 KR 102117843B1 KR 1020190177260 A KR1020190177260 A KR 1020190177260A KR 20190177260 A KR20190177260 A KR 20190177260A KR 102117843 B1 KR102117843 B1 KR 10211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otrusion
fixed
accessorie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남
Original Assignee
강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남 filed Critical 강정남
Priority to KR102019017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04Link constructions extensible
    • A44C5/08Link constructions extensible having separat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44C5/0069Flexible straps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고정체에 상하 고정부가 각각 쐐기방식으로 상호 체결됨으로서 용접없이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항상 근접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고정체 및 연결체는 교호(交互: 서로 번갈아 함)로 결합되어 하나의 악세사리용 연결줄(팔찌 또는 발찌의 연결줄)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두께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항상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여지는 상태의 악세사리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String of accessories with improved elastic for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말하면 고정체에 상하 고정부가 각각 쐐기방식으로 상호 체결됨으로서 용접없이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스프링에 의해 항상 근접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고정체 및 연결체는 교호(交互: 서로 번갈아 함)로 연결되어 하나의 악세사리용 연결줄(팔찌 또는 발찌의 연결줄)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두께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항상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여지는 상태의 악세사리를 사용할 수 있는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는 고대의 주술적인 것에서 비롯되어 현대에 와서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남녀 모두가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장신구 중 하나이며, 체인형, 띠형 등의 팔찌 외에도 실을 이용하여 각종 문양을 만들어 착용하기도 하며 원석과 이나 구슬을 꿰어 만든 팔찌 등의 형태가 있다.
상기한 장신구들 중 귀금속 장신구를 제조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 방법인 로스트 왁스 주조법이 주류를 이루게 되는데, 파라핀과 같은 용융점이 낮은 소재로 원형(原型)을 만들고, 상기 원형을 석고에 매립시켜 굳힌뒤, 전기로에서 가열하고 액화된 파라핀본 원형을 제거한 뒤, 파라핀이 제거된 자리에 액화된 금속을 부어 상기 원형과 형상이 같은 금속의 장신구가 형성되는 방법이다.
이에, 상기한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장신구(팔찌 또는 발찌)는 양단에 결속부재를 부설하여 손목에 찰 때에는 결속부재를 결속하여 손목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였고, 차지 않을 때에는 결속부재에 의한 결속상태를 풀어서 벗겨 주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1356호(공개일: 2011.02.09)에는 손목에 착용하는 압침용 팔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에 착용하여 압침부를 이용하여 손목 부위에 유주하는 경혈들을 지압할 수 있는 압침용 팔찌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사용자마다 다른 신체둘레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및 악세사리용 연결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 말하면 스프링에 항상 근접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고정체 및 연결체는 하나의 악세사리용 연결줄로 이어져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항상 조여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에 알맞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국문 '디귿'자 형상의 고정몸체(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110)의 자유단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몸체(110) 중앙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0) 내주면에는 고정돌기(130)가 고정몸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체(100)를 주조 방식으로 제작하는 제1단계(S100)와; 프레임 형상의 연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0) 내주면 일측에는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와 마주하도록 연결돌기(220)가 돌출되는 연결체(200)를 주조방식으로 제작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고정체(100)의 상하 고정부(120) 사이의 틈(S)으로 연결체(210)를 끼우는 제3단계(S300)와; 상기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 및 연결체(200)의 연결돌기(220)에 사이에 스프링(300)이 끼워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가 항상 서로 밀어내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연결부(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4단계(S400)와; 상기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를 다수개로 연결하여 악세사리용 연결줄(a)을 제작하는 제5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단계(S100)는 고정돌기(130) 외주면에 제1플랜지(1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계(S200)의 연결돌기(220) 외주면에는 제2플랜지(221)가 구비되어 스프링(30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상기 제1단계(S100)는 고정돌기(130) 외주면에 제1플랜지(1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계(S200)의 연결돌기(220) 외주면에는 제2플랜지(221)가 구비되어 스프링(30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국문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몸체(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110)의 자유단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몸체(110) 중앙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0) 내주면에 고정돌기(130)가 고정몸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체(100)와; 상기 고정체(100)의 고정체(110) 내측에 끼워지는 프레임 형상의 연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0) 내주면 일측에 연결돌기(220)가 형성되는 연결체(200)와; 상기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 및 연결체(200)의 연결돌기(220)에 각각 내입되는 스프링(300)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가 교호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30) 외주면에 제1플랜지(13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220) 외주면에는 제2플랜지(221)가 구비되어 스프링(30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고정체에 상하 고정부가 각각 쐐기방식으로 상호 체결됨으로서 용접없이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항상 근접해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고정체 및 연결체는 하나의 악세사리용 연결줄(팔찌 또는 발찌의 연결줄)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팔목이나 발목 두께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항상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여지는 상태의 악세사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세사리용 연결줄의 평상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악세사리용 연결줄의 인장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돌기에 제1플랜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돌기에 제2플랜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00), 제2단계(S200), 제3단계(S300) 및 고정체(100), 연결체(200), 스프링(3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에,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100)는 국문 '디귿'자 형상의 고정몸체(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110)의 자유단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몸체(110) 중앙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0) 면주면에는 고정돌기(130)가 고정몸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체(100)를 주조방식으로 제작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20)는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결합이 가능한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단계(S200)는 프레임 형상의 연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0) 내주면 일측에는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와 마주하도록 연결돌기(220)가 돌출되는 연결체(200)를 주조방식으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S300)는 고정체(100)의 상하 고정부(120) 사이의 틈(S)으로 연결체(210)를 끼운 이후 고정부(120)를 끼우는 것이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S100)는 고정돌기(130) 외주면에 제1플랜지(131)가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계(S200)의 연결돌기(220) 외주면에는 제2플랜지(221)가 구비되어 스프링(30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4단계(S400)는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 및 연결체(200)의 연결돌기(220)에 사이에 스프링(300)이 끼워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가 항상 서로 밀어내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결합구(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5단계(S500)는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를 다수개로 연결하여 악세사리용 연결줄(a)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단계(S300)에서 악세사리용 연결줄(a) 양단에 암,수 체결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계(S100)는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는 숫자 '2'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스토퍼(121)가 형성됨으로서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 및 스토퍼(121) 사이에는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100)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120)가 내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 및 스토퍼(121)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되어 결합홈(122) 또한 호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부(12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가 숫자 '2'의 형상으로 형성된 이유는 고정부의 좌측이 개방되어 탄성 이동이 가능하여 고정체(100)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120)가 결합홈에 내입될 시 용이한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주조방법은 파라핀과 같은 용융점이 낮은 소재로 원형(原型)을 만들고, 상기 원형을 석고에 매립시켜 굳힌뒤, 전기로에서 가열하고 액화된 파라핀본 원형을 제거한 뒤, 파라핀이 제거된 자리에 액화된 금속을 부어 상기 원형과 형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10) 하부에는 게르마늄(G)이 형성되어 혈액순환이 개선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체(100)는 국문 '디귿'자 형상으로 절곡된 고정몸체(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110)의 자유단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몸체(110) 중앙측으로 절곡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0) 내주면에 고정돌기(130)가 고정몸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체(200)는 고정체(100)의 고정체(110) 내측에 끼워지는 프레임 형상의 연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0) 내주면 일측에 연결돌기(220)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스프링(300)는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 및 연결체(200)의 연결돌기(220)에 각각 내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가 교호(交互: 서로 번갈아 함)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는 숫자 '2'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스토퍼(121)가 형성됨으로서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 및 스토퍼(121) 사이에는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100)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120)가 내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 및 스토퍼(121)는 호형(弧形)으로 형성되어 결합홈(122) 또한 호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부(12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가 숫자 '2'의 형상으로 형성된 이유는 고정부의 좌측이 개방되어 탄성 이동이 가능하여 고정체(100)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120)가 결합홈에 내입될 시 용이한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고정체 110 ... 고정몸체
120 ... 고정부 121 ... 스토퍼
122 ... 결합홈 130 ... 고정돌기
131 ... 제1플랜지 200 ... 연결체
210 ... 연결부 220 ... 연결돌기
221 ... 제2플랜지 300 ... 스프링

Claims (5)

  1. 국문 '디귿'자 형상의 고정몸체(1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몸체(110)의 자유단 상부 및 하부가 각각 고정몸체(110) 중앙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0) 내주면에는 고정돌기(130)가 고정몸체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체(100)를 주조 방식으로 제작하는 제1단계(S100)와; 프레임 형상의 연결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0) 내주면 일측에는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와 마주하도록 연결돌기(220)가 돌출되는 연결체(200)를 주조방식으로 제작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고정체(100)의 상하 고정부(120) 사이의 틈(S)으로 연결체(210)를 끼우는 제3단계(S300)와; 상기 고정체(100)의 고정돌기(130) 및 연결체(200)의 연결돌기(220)에 사이에 스프링(300)이 끼워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가 항상 서로 밀어내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연결부(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제4단계(S400)와; 상기 고정체(100) 및 연결체(200)를 다수개로 연결하여 악세사리용 연결줄(a)을 제작하는 제5단계(S500)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고정몸체(110) 하부에는 게르마늄(G)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는 숫자 '2'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스토퍼(121)가 형성됨으로서 고정체(100)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20) 및 스토퍼(121) 사이에는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100)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120)가 내입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돌기(130) 외주면에 제1플랜지(1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계(S200)의 연결돌기(220) 외주면에는 제2플랜지(221)가 구비되어 스프링(30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77260A 2019-12-30 2019-12-30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KR10211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60A KR102117843B1 (ko) 2019-12-30 2019-12-30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60A KR102117843B1 (ko) 2019-12-30 2019-12-30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843B1 true KR102117843B1 (ko) 2020-06-02

Family

ID=7109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260A KR102117843B1 (ko) 2019-12-30 2019-12-30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8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6121A (zh) * 2020-12-26 2021-04-30 深圳市鸿亨珠宝首饰有限公司 一种链节拼接工艺
KR20220073180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연 체인용 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79Y1 (ko) * 2000-10-12 2001-03-15 이종순 팔찌의 신축장치
KR20030046561A (ko) * 2001-12-05 2003-06-18 김영업 악세서리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79Y1 (ko) * 2000-10-12 2001-03-15 이종순 팔찌의 신축장치
KR20030046561A (ko) * 2001-12-05 2003-06-18 김영업 악세서리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180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연 체인용 블록
KR102431153B1 (ko) * 2020-11-26 2022-08-10 주식회사 연 체인용 블록
CN112716121A (zh) * 2020-12-26 2021-04-30 深圳市鸿亨珠宝首饰有限公司 一种链节拼接工艺
CN112716121B (zh) * 2020-12-26 2022-07-12 深圳市鸿亨珠宝首饰有限公司 一种链节拼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843B1 (ko) 탄성력이 개선된 악세사리용 연결줄 제조방법
US8479536B2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10271619B1 (en) Flexible ring structure for jewelry
US20150359301A1 (en) Articles of jewelry with provision for magnetic interaction
US4400932A (en) Modular jewelry link
US2003950A (en) Finger ring, bracelet, and the like
US20150143846A1 (en) Bracelet apparatus
US3568467A (en) Article of jewelry having changeable ornamental stone
US20200390203A1 (en) Segmented Jewelry Utilizing High Strength Magnetic Forces
KR10190189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팔찌
KR102022634B1 (ko) 활용성이 개선된 지압 귀걸이
KR20150098550A (ko) 장신구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1722135B1 (ko)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RU26895U1 (ru) Ювелирное изделие
KR200186228Y1 (ko) 팔찌
KR102169900B1 (ko) 귀금속 장신구용 체결구 제조방법
KR200397961Y1 (ko) 스테인레스 결합구가 구비된 장신구
KR200407580Y1 (ko) 장신구 체결구조
KR200167186Y1 (ko) 발찌
KR200217479Y1 (ko) 팔찌의 신축장치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276103Y1 (ko) 귀걸이 겸용 메달
KR200230658Y1 (ko) 악세서리용 엘리먼트
KR200289772Y1 (ko)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