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135B1 -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135B1
KR101722135B1 KR1020150036691A KR20150036691A KR101722135B1 KR 101722135 B1 KR101722135 B1 KR 101722135B1 KR 1020150036691 A KR1020150036691 A KR 1020150036691A KR 20150036691 A KR20150036691 A KR 20150036691A KR 101722135 B1 KR101722135 B1 KR 10172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key
mold
fastening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699A (ko
Inventor
김원구
Original Assignee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스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5003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1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1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overlapping each other and fastened by an action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왁스재료를 성형하여 일측에 키 결합홈(12')이 형성된 체결부품 모형(10')을 성형하는 모형 성형단계와;(ST 1) 상기 성형된 체결부품 모형(10')의 키 결합홈(12')에 금속재질의 걸림키(11)를 삽입시키되, 상기 걸림키(11) 일측에는 키 결합홈(12')에 결합을 위한 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키 삽입단계와;(ST 2) 상기 걸림키(11)가 결합된 체결부품 모형(10')을 석고몰드에 설치하는 몰드 설치단계와;(ST 3) 상기 석고몰드에 석고(A)를 충진하는 석고충진단계와;(ST 4) 상기 석고가 충진된 석고몰드를 고온에서 소성하여 체결부품 모형(10')이 외부로 용융 배출되고, 걸림키(11) 만이 석고(A) 내부에 남아있도록 하는 소성단계와;(ST 5) 상기 체결부품 모형(10')이 용융 배출되고 남은 내부 공간에 고온 액상의 귀금속재료를 주입하는 주조단계와;(ST 6) 상기 주조가 완료되면 석고(A)를 석고몰드에서 분리함과 함께 석고를 제거하여 내부의 귀금속 주조물이 노출되어지도록 하는 석고 제거단계;(ST 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JEWELRY CONCLUSION COMPONENT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은 등의 귀금속 재료로 제작되는 장신구 제품에 이형재질로 이루어진 착탈용 걸림키가 일체로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귀금속 장신구 체결장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각종 장신구를 몸에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각종 장신구는 대략 금, 은, K14, K18, 합금, 백금, 스테인레스, 텅스텐, 신주, 티타늄 등의 귀금속이 줄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줄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체결장치가 각각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장신구의 체결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팔찌의 양측 끝단 이음부에는 상호간에 착탈이 가능한 걸림부재(100)와 결합부재(110)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재(100)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반발하는 탄성걸림부(101)와 누름편(102)이 구성됨과 함께 일측에는 보조체결구(10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결합부재(110)에는 걸림부재(100)의 삽입시 탄성걸림부(101)의 후단이 걸려지는 걸림턱(114)과 누름편(102)이 삽입되어지는 삽입홈(112), 그리고 보조체결구(103)가 착탈되어지는 체결돌기(113)가 구성되어, 걸림부재(100)를 결합부재(110) 내로 삽입하면 탄성걸림부(101)가 걸림턱(114)에 의해 걸려져 이탈이 방지됨과 함께 보조체결구(103)를 체결돌기(113)에 압입시켜줌으로서 2중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팔찌를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할 수가 있게된다.
그러나, 금,은 등과 같은 귀금속은 경도가 약하기 때문에 주디자인 부분만 귀금속 재료로 제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장치는 경도가 강한 스테인레스, k14, k18, 백금합금 등과 같이 장신구 본체보다 경도가 강한 이형의 금속재질로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한 제조 과정에서의 생산성 및 정밀도 뿐만 아니라 장신구 디자인의 일체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장신구의 체결장치의 외관까지 귀금속 재료 또는 악세사리 재료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내부의 착탈용 체결키 부분만이 경도가 강한 이형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됨과 함께 체결장치 결합력 향상은 물론 장신구 제품의 전체적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왁스재료를 성형하여 일측에 키 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품 모형을 성형하는 모형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체결부품 모형의 키 결합홈에 합금재질의 걸림키를 삽입시키되, 상기 걸림키 일측에는 키 결합홈에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키 삽입단계와; 상기 걸림키가 결합된 체결부품 모형을 석고몰드에 설치하는 몰드 설치단계와; 상기 석고몰드에 석고를 충진하는 석고충진단계와; 상기 충진된 석고가 경화되면 석고몰드로 부터 석고를 분리시키는 석고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된 석고를 고온에서 소성하여 체결부품 모형이 용융 배출되고, 걸림키 만이 석고 내부에 남아있도록 하는 소성단계와; 상기 용융 배출된 공간부에 고온 액상의 귀금속재료를 주입하는 주조단계와; 상기 주입된 귀금속이 경화되면 석고를 제거하여 걸림키가 일체로 결합된 장신구 제작이 완료되는 체결부품 완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결부품 제작방법은, 장신구의 체결장치를 이루는 체결부품 자체는 금,은, 동, 백금, 티타늄, 신주 등의 귀금속 재료로 제작되는 가운데 체결부측과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걸림고리를 고강도의 금속재료로 구성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귀금속 체결부품의 안정적인 체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즉, 재료의 경도가 약한 설질로 인한 체결장치의 빈번한 AS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품의 내부 걸림키 부분을 경도가 강한 이형재질로 구성할 수 있도록 2중 캐스팅 방식을 적용함으로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보다 정확하고 견고한 체결장치의 착탈 작용이 영구적인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어지게 되면 융용점이 서로 다른 이형의 재료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팔찌 장신구의 체결장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필찌의 체결장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장신구 체결장치 열림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작이 이루어질 체결장치 부품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체결부품 모형 단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체결부품 모형에 걸림고리가 삽입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체결부품 모형을 석고 몰드에 장착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석고 몰드에 석고가 충진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석고 몰드로 부터 석고 구조물이 분리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소성과정에서 석고 구조물 내부의 부품 모형이 용융되어 배출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주조과정에서 석고 구조물에 귀금속재 주입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의해 완성된 장신구 체결부품 단면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걸림고리 상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작코자 하는 체결부품은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일측에 개폐연결구(30)가 일체로 구성된 걸림부(10)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걸림부(10)는 반대측의 체결부(20)와 쌍을 이루어서 회동축(31)을 중심으로 개폐되어지면서 팔찌(100)에 대한 착탈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부(20)에는 손잡이(22)에 의해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는 조절구(21)가 구성됨으로 걸림공(21a)에 걸림고리(11)가 선택적으로 착탈되어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 24는 조절구(2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나타낸다.
한편,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도면상에서 걸림고리(11)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시하였다.
<모형 성형단계>(ST 1)
먼저, 왁스재료를 별도의 성형틀에서 성형하여 걸림부(10)와 동일한 형상의 체결부품 모형(10')을 도 5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성형제작한다.
이때, 성형된 체결부품 모형(10')에는 일측에 키 결합홈(12')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걸림키 삽입단계>(ST 2)
이후, 체결부품 모형(10')의 키 결합홈(12')에 도 6에서와 같이 걸림고리(11)의 결합부(12) 부위를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삽입되는 걸림고리(11)는 체결부품 모형(10')의 재질보다 융점이 높고 경도가 강한 스테인레스, 철,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선행 제작된 것으로서, 결합부(12)의 양측벽에 이탈방지홈(12a)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12b)이 관통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몰드 설치단계>(ST 3)
이와 같이 걸림고리(11)의 삽입이 이루어진 체결부품 모형(10')은 도 7에서와 같이 고무받침대(50) 위에 세워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원통형태의 몰드 하우징(51)을 덮어주게 된다.
이때, 몰드 하우징(51)에는 다수의 통공(51a)이 관통 형성되어져 있으며, 몰드 하우징(51) 외벽면에는 통공(51a)을 통한 석고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림필름(51b)이 접착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석고충진단계>(ST 4)
이후, 석고몰드의 몰드 하우징(51) 내에 액상의 석고(A)를 부어서 충진시킴으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체결부품 모형(10')이 석고(A)에 의해 감싸지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소성단계>(ST 5)
상기 충진된 석고(A)가 경화되어지면 도 9에서와 같이 하부의 고무받침대(50) 및 가림필름(51b)을 제거한 후 소성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고무받침대(50)가 제거됨에 따라 체결부품 모형(10') 중 고무받침대(50)와 접촉되어져 있던 하단부는 외부에 노출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소성작업에서는 약 700~800℃에서 10~18시간 동안 소성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고온 소성을 통해 석고(A) 내부에 있는 왁스재료의 체결부품 모형(10')은 용융되어지면서 상기 노출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왁스잔류물은 완전 연소되어, 내부 공간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융점이 소성온도보다 높은 걸림키(11) 만이 석고(A) 내부에 남아있게 된다.
<주조단계>(ST 6)
이후, 석고(A)를 거꾸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금, 은, 동, 백금, 신주, 티타늄, 구리 등과 같은 액상의 귀금속 재료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상기 용융 배출 부위를 통해 주입하게 되며, 귀금속 재료가 석고(A)의 내부공간에 침투되어 기존 체결부품 모형(10')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주입되는 귀금속재료는 석고(A) 내부에 남아있던 걸림고리(11)의 결합부(12)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2a) 및 통공(12b) 부위까지 침투되어짐으로서 상호 일체화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석고제거단계>(ST 7)
이후,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석고(A)에 일정 압력을 가함으로서 석고(A)가 몰드하우징(51)으로 부터 분리되어짐과 함께 석고가 깨지면서 내부에서 성형되어진 체결부품 즉, 걸림부(10)가 외부로 노출되어지게 된다.
<체결부품 완성단계>(ST 8)
이와 같이 노출된 걸림부(10)는 개폐 연결구(30) 측에 남아있는 돌출부위에 대한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게 되면, 도 13에서와 같이 일측에 걸림고리(11)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개폐 연결구(30)가 일체로 연결되어진 걸림부(10) 구조의 체결부품이 완성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체결부품은, 개폐 연결구(30) 및 걸림부(10)가 금, 은 등의 귀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가운데 내부의 걸림고리(11)는 고강도의 스테인레스나 철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서 안정적인 착탈력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걸림고리(11)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는 결합부(12)는 도 12에서와 같이 이탈방지홈(12a) 및 통공(12b)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귀금속 주입단계(ST 7)에서 주입물이 흘러들어가서 걸림부(10)로 부터 이탈이 방지되어짐을 알 수 있다.
하기의 [표1]은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된 재료별 용융점을 비교한 것이다.
재료명 용융점(℃)
왁스 60~76

구리

스테인레스
1064.43
1083
961.93
1421
1539
귀금속 소성온도 850도 이하
석고 850도 이상이면 석고 변성 발생
상기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철 등의 걸림고리(11) 재료는 금, 은, 구리 등의 귀금속 재료에 비해 융점이 높기 때문에 2중 캐스팅에 따른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결부품 제작방법은 걸림부(10) 및 개폐 연결구(30) 등의 체결부품 자체는 금,은 등의 귀금속 재료로 제작되는 가운데 체결부(20) 측과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걸림고리(11)를 스테인레스, 철 등 융점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강도의 금속재료로 구성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귀금속 체결부품의 안정적인 체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체결장치 부품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체결부품 1개의 제작과정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부품을 석고몰드를 이용하여 동시에 대량으로 제작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걸림부 10': 체결부품 모형
11 : 걸림고리 11a: 걸림홈
12 : 결합부 12a: 이탈방지홈
12b: 통공 12' : 키 결합홈
13,23 : 자석 20 : 체결부
21 : 조절판 21a: 걸림공
22 : 손잡이 24 : 탄성스프링
30 : 개폐 연결구 31 : 회동축
50 : 고무받침대 51 : 몰드 하우징
51a: 통공 51b: 가림필름
A : 석고

Claims (4)

  1. 왁스재료를 성형하여 일측에 키 결합홈(12')이 형성된 체결부품 모형(10')을 성형하는 모형 성형단계와;(ST 1)
    상기 성형된 체결부품 모형(10')의 키 결합홈(12')에 금속재질의 걸림키(11)를 삽입시키되, 상기 걸림키(11)는 스테인레스, 철,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키(11) 일측에는 키 결합홈(12')에 결합을 위한 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에는 다수의 통공(12b)이 형성됨과 함께 양측벽에는 이탈방지홈(12a)이 형성되어져 있는 걸림키 삽입단계와;(ST 2)
    상기 걸림키(11)가 결합된 체결부품 모형(10')을 석고몰드에 설치하는 몰드 설치단계와;(ST 3)
    상기 석고몰드에 석고(A)를 충진하는 석고충진단계와;(ST 4)
    상기 석고가 충진된 석고몰드를 고온에서 소성하여 체결부품 모형(10')이 외부로 용융 배출되고, 걸림키(11) 만이 석고(A) 내부에 남아있도록 하는 소성단계와;(ST 5)
    상기 체결부품 모형(10')이 용융 배출되고 남은 내부 공간에 고온 액상의 귀금속재료를 주입하되, 귀금속재료는 금, 은, 합금, 동, 백금, 신주, 티타늄, 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가 사용되며, 주입되는 귀금속재료는 이탈방지홈(12a) 및 통공(12b)으로 유입되어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주조단계와;(ST 6)
    상기 주조가 완료되면 석고(A)를 석고몰드에서 분리함과 함께 석고를 제거하여 내부의 귀금속 주조물이 노출되어지도록 하는 석고 제거단계;(ST 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36691A 2015-03-17 2015-03-17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KR10172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691A KR101722135B1 (ko) 2015-03-17 2015-03-17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691A KR101722135B1 (ko) 2015-03-17 2015-03-17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99A KR20160111699A (ko) 2016-09-27
KR101722135B1 true KR101722135B1 (ko) 2017-04-03

Family

ID=5710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691A KR101722135B1 (ko) 2015-03-17 2015-03-17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096A1 (ko) * 2017-12-29 2019-07-04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회전 체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616B1 (ko) 1992-04-24 2000-04-15 하루타 히로시 시계 밴드용 버클
JP2004129838A (ja) * 2002-10-10 2004-04-30 Citizen Watch Co Ltd 帯状装身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0850B2 (ja) * 1995-10-27 2005-08-31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装身具の中留構造
KR20050102424A (ko) * 2004-04-22 2005-10-26 이수영 2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장신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616B1 (ko) 1992-04-24 2000-04-15 하루타 히로시 시계 밴드용 버클
JP2004129838A (ja) * 2002-10-10 2004-04-30 Citizen Watch Co Ltd 帯状装身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699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8722A1 (en) Jewelry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292799A (zh) 一种金银珠宝首饰制作新工艺及应用
KR101722135B1 (ko)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JP2017533783A5 (ko)
KR100675526B1 (ko) 귀금속 장신구 주조 방법
US8966762B2 (en) Hollow jewelry
US20080168799A1 (en) Tension ring
CN108968247A (zh) 一种diy首饰的制作方法
NO323796B1 (no) Gullsmedartikkel
KR100929208B1 (ko)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KR101812932B1 (ko)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6283A (ko) 다중 주물에 의한 귀금속 주조방법
KR100658194B1 (ko) 중공형 반지의 제조방법
KR101360317B1 (ko) 내부에 수지가 충진된 펜던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0763B1 (ko)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EP2549902A1 (en) Openable ring, particularly for jewelry, goldwork, costume jewelry and the like
KR100313166B1 (ko) 연결용 장식물의 탄성연결부재 제조방법
KR100620417B1 (ko)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KR200429720Y1 (ko) 귀걸이 장신구의 연결고리장치
KR100655756B1 (ko) 회동장신구 제조방법 및 그 구조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US20060016076A1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pieces of jewellery and pieces of jewellery obtained
KR100927026B1 (ko) 귀금속 제조방법
CN103757673A (zh) 一种佩戴饰品的制造方法
KR200392456Y1 (ko) 장신구를 이루는 보석고정용 홀더를 갖춘 원본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