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932B1 -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932B1
KR101812932B1 KR1020170132208A KR20170132208A KR101812932B1 KR 101812932 B1 KR101812932 B1 KR 101812932B1 KR 1020170132208 A KR1020170132208 A KR 1020170132208A KR 20170132208 A KR20170132208 A KR 20170132208A KR 101812932 B1 KR101812932 B1 KR 10181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tal sphere
body portion
manufacturing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이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국 filed Critical 이재국
Priority to KR102017013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금속구 및 제2 금속구를 포함하는 다수의 금속구가 스트링 형태로 연결된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으로써, 상기 다수의 금속구를 제조하는 금속구 제조단계; 및 상기 제조된 장신구를 연결하는 금속구 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구 제조단계는, 왁스 재질을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으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금속구 상호간이 연결되었을 때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 상기 이탈방지구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구보다 폭이 좁은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일체로 연장형상되고 상기 기둥부보다 폭이 넓은 몸체부로 구성되는 모형을 성형하는 모형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둥부에서 분기되어 소정 각도로 이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구 연결단계는, 제1 금속구의 이탈방지구 및 기둥부를 제2 금속구의 오목부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및상기 제2 금속구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가열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EWERY ACCESS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본 발명은 스트링형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물을 이용하여 목걸이와 팔찌와 같은 스트링형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금속은 금, 은, 동과 같은 금속재와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등의 보석종류가 있다. 이러한 귀금속과 보석들은 장신구로 널리 이용된다.
장신구는 사용되는 귀금속의 종류나 모양에 따라 프레스와 같은 기계 장치로 제조되기도 하고 주물을 이용해서 제조되기도 한다.
주물은 용융금속을 주형 속에 주입한 후 금속의 응고를 이용하여 만들고자 하는 제품을 한번에 최종 제품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주로 금, 은 등의 금속재 장신구의 생산에 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1196호는 조물을 이용하여 생화를 이용한 주소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주물은 상기 특허에서와 같이 모양이 변형되지 않고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목걸이나 팔찌의 경우에는 주로 기계 장치를 이용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주물에 의할 경우 작업 능률이 향상됨에도 주물에 의해 성형된 경우 이후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기계 장치로 제조되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구(球) 형상이 스트링 형태로 연결된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장신구의 경우에는 주물에 의해 제조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물을 이용하여 다수의 구 형상이 스트링 형태로 연결된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금속구가 연결된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으로써, 상기 다수의 금속구를 제조하는 금속구 제조단계; 및 상기 제조된 장신구를 연결하는 금속구 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구 제조단계는, 왁스 재질을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으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금속구 상호간이 연결되었을 때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 상기 이탈방지구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구보다 폭이 좁은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일체로 연장형상되고 상기 기둥부보다 폭이 넓은 몸체부로 구성되는 모형을 성형하는 모형 성형단계; 및 석고 몰드를 형성하고 석고를 주입한 후, 소성단계를 그쳐 주물 공간을 형성하여 용해된 금속을 주입 후, 석고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둥부에서 분기되어 소정 각도로 이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구 연결단계는, 제1 금속구의 이탈방지구 및 기둥부를 제2 금속구의 오목부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및 상기 제2 금속구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가열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물 방식에 의해 스트링 형태의 귀금속 장신구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에서, 금속구 제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따른 귀금속 장신구의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따른 다수의 금속구가 하나의 지지대에 연결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 석고를 주입하기 위한 몰드 설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에서, 몰드에 석고가 주입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에서, 주물공간이 생성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에서, 액상의 귀금속 재료가 주입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금속구 연결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귀금속 장신구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구성 A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구성 B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면, 구성 A와 구성 B가 결합된 실시 예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링형 귀금속 장신구의 제조 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트링형 귀금속 제조방법은 금속구를 제조하는 금속구 제조단계(S100)와 제조된 금속구를 스트링 형태로 연결하는 금속구 연결단계(S200)로 구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트링형 귀금속 장신구로는 팔찌, 발찌, 목걸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2 는 금속구 제조단계(S100)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속구 제조단계(S100)는 상기 금속구와 동일한 모양의 모형을 왁스로 성형하는 모형 성형단계(S110), 상기 모형을 이탈방지구에 고정하고, 격벽을 세워 몰드를 형성하는 몰드단계(S120), 상기 몰드에 석고를 주입하는 석고 주입단계(S130), 상기 석고가 주입된 몰드를 고온에서 소성하여 상기 모형을 외부로 배출하여 석고에 상기 모형과 동일한 형상의 주물 공간을 형성하는 소성단계(S140), 상기 주물 공간에 용해된 금속을 주입하는 주조단계(S150), 및 상기 용해된 금속이 응고되면, 석고를 제거하여 상기 모형과 동일한 형상의 금속 주조물을 노출시키는 석고 제거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에 의해 석고가 제거되면 모형과 동일한 모양의 금속구가 만들어진다.
도 3은 왁스 모형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형(100)은 왁스 재질이며 내부는 비어 있다.
상기 모형(100)은 이탈방지구(110), 상기 이탈방지구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구보다 폭이 좁은 기둥부(120), 및 상기 기둥부에 일체로 연장형상되고 상기 기둥부보다 폭이 넓은 몸체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30)는 기둥부에서 분기되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는 제1 몸체부(131)와 제2 몸체부(132)로 구성되고, 몸체부(133)의 상부 즉, 기둥부가 연결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오목부(133, 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31)와 제2 몸체부(132)가 서로 근접하게 되면 제1 몸체부(131)에 형성된 제1 오목부(133)와 제2 몸체부(132)에 형성된 제2 오목부(134)는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즉, 몸체부의 상부에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의 지름은 기둥부의 너비와 같거나 크고 이탈방지구(110) 보다는 작아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오목부(133, 134)에 이웃하는 다른 금속구의 기둥부와 몸체부가 삽입된 후, 제1 몸체부(131)와 제2 몸체부(132)를 접합하게 되면, 두 개의 금속구가 연결될 수 있다. 이탈방지구(110)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홀의 너비보다 작으면, 이탈방지구(110)가 빠져 두 금속구가 결합될 수 없다.
이때, 상기 제1 몸체부(131)와 제2 몸체부(132)의 이격 각도는 대략 45도 내지 5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각도가 45도보다 작으면 다른 금속구를 연결할 시 오목부에 삽입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격 각도가 55도보다 크면 다른 금속구를 삽입 후 이격된 몸체부를 접합할 때 분기되는 부분이 손상될 수 있다. 즉, 이격 각도는 지나치게 넓으면 연결 작업시 금속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55도 이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구(1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하면과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탈방지구(110)는 기둥부(120)의 폭보다 넓기만 하면 모양에는 제한이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둥부(120)는 이탈방지구(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탈방지구(110)보다 너비가 좁고, 상기 몸체부(130)는 기둥부(1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부보다 너비가 넓다. 이때 몸체부(130)의 너비는 이탈방지구(110)보다 넓어야 한다.
상기 금속구 모형(100)은 다수의 모형이 하나의 지지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3개의 모형이 하나의 지지대(10)에 연결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개의 금속구(101, 102, 103)가 3개의 가지(11, 12, 13)를 가지는 삼지창 형태의 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양의 모형 성형이 완료되면 몰드 단계(S120)가 수행된다.
몰드 단계(S120)는 도 5에서와 같이 지지대(10)를 받침대(20) 위에 세워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원통 형태의 몰드 격벽(21)을 덮어 주게 된다.
상기 몰드 격벽(51)에는 다수의 통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몰드 격벽 외벽면에는 가림막(23)이 접착되어 있다. 가림막(23)은 통공을 통해 석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몰드 설치가 완료되면, 몰드 격벽 내로 석고를 부어 충진한다. 즉, 석고 주입 단계(S130)가 진행된다. 도 6은 석고 주입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석고몰드의 몰드 격벽(21) 내에 액상의 석고(A)를 부어서 충진시키면, 격벽 내에 모형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석고로 채워지게 된다.
이후, 석고(A)가 경화되면 받침대(20)를 제거한 후 가열하여 왁스 모형을 용융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소성 단계(S140)가 진행된다.
소성 단계에서는 대략 700~800℃ 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게 되면 석고만 남고 왁스 재료는 용융되어 외부로 배출되면서 주물 공간이 형성된다. 70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 가열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고, 850℃ 이상에서는 석고가 변형될 수 있으므로 800℃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주물 공간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성이 완료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석고몰드를 뒤집어서 액상의 귀금속 재료를 왁스가 배출된 빈 공간 즉, 주물 공간에 주입한다. 즉, 주조 단계(S150)가 진행된다.
주물 공간은 모형과 동일한 형상이므로, 주물 공간에 액상의 귀금속 재료가 주입되고 냉각되면 모형과 동일한 형상의 금속구가 제조된다. 이때 귀금속 재료로는 금, 은, 동, 백금, 신주, 티타늄, 구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액상의 재료 주입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액상의 귀금속이 경화되면 석고를 제거한다(S160).
석고 제거 방법으로는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석고(A)에 일정압력을 가하여 석고가 몰드격벽(21)으로부터 분리되고 석고가 깨지면서 내부에서 성형된 금속구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절차에 의해 금속구가 완성되면, 완성된 금속구를 서로 연결하여 귀금속 장신구를 완성하게 된다.
도 9는 금속구 연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금속구 연결방법은 삽입단계(S210) 및 접합단계(S220)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 단계(S210)는 다수의 금속구를 연결하기 위해 하나의 금속구의 오목부에 다른 금속구의 기둥부 및 이탈방지구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금속구는 앞서 살펴본 모형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즉, 제1 금속구의 오목부에 제2 금속구의 기둥부 및 이탈방지구를 끼우고 제1 금속구의 벌어진 몸체부를 오므리면 제2 금속구의 이탈방지구가 제1 금속구의 몸체부에 끼어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금속구의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접합하게 되면, 제1 금속구과 제2 금속구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속적으로 작업하게 되면 다수의 금속구가 연결되어 스트링 형태의 귀금속 장신구, 예를 들어, 팔찌나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가 완성된다.
도 10은 완성된 귀금속 장신구의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일한 형상의 금속구가 스트링 형태로 연결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금속구 몸체부의 내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금속구의 기둥부가 삽입되어 있고 이탈방지구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금속구 110 : 이탈방지구
120 : 기둥부 130 : 몸체부
131 : 제1 몸체부 132 : 제2 몸체부
133 : 제1 오목부 134 : 제2 오목부
10 : 지지대 20 : 받침대
21 : 격벽 22 : 통공
23 : 가림막

Claims (5)

  1. 제1 금속구 및 제2 금속구를 포함하는 다수의 금속구가 스트링 형태로 연결된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으로써,
    상기 다수의 금속구를 제조하는 금속구 제조단계; 및
    상기 제조된 장신구를 연결하는 금속구 연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구 제조단계는,
    왁스 재질을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으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금속구 상호간이 연결되었을 때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 상기 이탈방지구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구보다 폭이 좁은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일체로 연장형상되고 상기 기둥부보다 폭이 넓은 몸체부로 구성되는 모형을 성형하는 모형 성형단계; 및
    석고 몰드를 형성하고 석고를 주입한 후, 소성단계를 그쳐 주물 공간을 형성하여 용해된 금속을 주입 후, 석고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기둥부에서 분기되어 소정 각도로 이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구 연결단계는,
    제1 금속구의 이탈방지구 및 기둥부를 제2 금속구의 오목부에 삽입하는 삽입단계; 및
    상기 제2 금속구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가열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구 형상이고,
    상기 이탈방지구는 원형인 귀금속 장신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이격 각도는 45도 내지 55도인 귀금속 장신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원형이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접합되었을 때 원형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지름은 상기 원형 지름보다 작거나 같은 귀금속 장신구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170132208A 2017-10-12 2017-10-12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81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208A KR101812932B1 (ko) 2017-10-12 2017-10-12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208A KR101812932B1 (ko) 2017-10-12 2017-10-12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932B1 true KR101812932B1 (ko) 2017-12-27

Family

ID=6093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208A KR101812932B1 (ko) 2017-10-12 2017-10-12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77Y1 (ko) * 2018-01-16 2018-08-30 유선옥 기능성 장신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69Y1 (ko) * 1999-12-30 2000-06-15 나인균 체인 장신구
KR200274383Y1 (ko) * 2002-01-23 2002-05-06 박장권 장신용 체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169Y1 (ko) * 1999-12-30 2000-06-15 나인균 체인 장신구
KR200274383Y1 (ko) * 2002-01-23 2002-05-06 박장권 장신용 체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77Y1 (ko) * 2018-01-16 2018-08-30 유선옥 기능성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0254B (zh) 一种具有实心装饰件的空心首饰一体成型工艺方法
KR101812932B1 (ko)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1147B1 (ko) 주물방식을 이용한 할로우 링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할로우 링
KR100675526B1 (ko) 귀금속 장신구 주조 방법
US5881795A (en) Method of casting metal around gems to form articles of jewelry
US8966762B2 (en) Hollow jewelry
JPH04253545A (ja) 象嵌品の製造方法
US5758517A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t precious stones without hammering
KR100620417B1 (ko)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KR101722135B1 (ko) 이형재질의 걸림키가 결합된 귀금속 장신구 체결부품 제작방법
KR100332405B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N110179224A (zh) 一种宝石镶嵌技术
EP3744211A1 (en)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s
KR20060074751A (ko) 중공형 반지의 제조방법
US20060016076A1 (en) Procedure for manufacturing pieces of jewellery and pieces of jewellery obtained
TWI710344B (zh) 宗教祭祀用品之灰燼處理方法及其產物
KR101638181B1 (ko) 형틀을 이용한 줄난 성형방법 및 줄난장신구
KR102536456B1 (ko) 귀금속 장신구용 할로우 체인 제조방법
WO2022029963A1 (ja) 装身具の製造方法および装身具
KR101624490B1 (ko) 내측에 장식유동체가 구비된 장식체 제조방법
KR100620418B1 (ko)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US200601076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gemstone setting
JP4612101B1 (ja) フープタイプのイヤリング又はピア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5021A (ja) 身飾品の製造方法
KR20180089090A (ko) 펜던트 위치 변경이 가능한 목걸이의 제조 방법 및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