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804Y1 -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 Google Patents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804Y1
KR200344804Y1 KR20-2003-0038177U KR20030038177U KR200344804Y1 KR 200344804 Y1 KR200344804 Y1 KR 200344804Y1 KR 20030038177 U KR20030038177 U KR 20030038177U KR 200344804 Y1 KR200344804 Y1 KR 200344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leaf spring
lock
tension l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곤
Original Assignee
김유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곤 filed Critical 김유곤
Priority to KR20-2003-0038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804Y1/ko
Priority to CNB2004100044218A priority patent/CN100342809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804Y1/ko
Priority to US10/871,056 priority patent/US20050120744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고리용 텐션잠금구(20)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고리(1)를 귀볼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텐션잠금구(20)에 구비된 판스프링(30)의 일측에 엠보형돌기(32)를 형성하여 상기 텐션잠금구(20)의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편(23)을 절곡하여 고정 지지될 때, 상기 엠보형돌기(32)가 고정편(23)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결합 구성하여, 판스프링(30)의 분리,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텐션잠금구(20)의 반복동작에 의해 판스프링(30)에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텐션잠금구(20)에 결합된 판스프링(30)의 국부 절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며, 작은 힘으로도 텐션잠금구(20)의 텐션작용이 가능하여 착용감을 부드럽고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귀고리용 텐션잠금구{TENSION LOCKING GOODS FOR EARRING}
본 고안은 귀고리용 텐션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고리를 귀볼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텐션잠금구에 구비된 판스프링의 일측에 엠보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텐션잠금구의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편을 절곡하여 고정 지지될 때, 상기 엠보형돌기가 고정편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결합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분리,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텐션잠금구의 반복동작에 의해 판스프링에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텐션잠금구에 결합된 판스프링의 국부 절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며, 작은 힘으로도 텐션잠금구의 텐션작용이 가능하여 착용감을 부드럽고 좋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고리는 크게 두가지 형대로 구분되는 바, 하나는 귀볼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귀볼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와, 다른 하나는 귀볼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 귀볼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로 구별되며, 특히 이들 귀고리에는 귀고리를 귀볼에서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션잠금구를 갖추게 된다.
도4 내지 도5는 종래의 귀고리용 텐션잠금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텐션잠금구(20)는 도4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구몸체(22)의 일측 단부에는 귀고리몸체(10)의 고정단부(16)가 끼움 지지되는 고정홀(27)이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잠금구몸체(22)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대향된 스프링안내벽(25)을 통해 힌지공(25a)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안내벽(25)사이에는 텐션잠금구(20)에 텐션작용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30)이 설치되며, 상기 판스프링(30)의 일측 단부가 잠금구몸체(22)의 양쪽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고정편(23)과 지지편(24)에 의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귀고리용 텐션잠금구(20)는 잠금구몸체(22) 내측으로 설치된 판스프링(30)은 고정지점(固定支點:fixed support)을 이루는 한 부분의 고정편(23)만으로 상기 판스프링(30)을 압착 고정하고 있으며, 지지편(24)은 판스프링(30)과의 적정 공간을 갖고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반복되는 판스프링(30)의 텐션작용력에 따른 피로응력(疲勞應力)이 고정지점인 고정편(23)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30)의 텐션작용력이 텐션잠금구(20)의 초기 벌림동작에서는 고정지점인 고정편(23)에서 시작되고, 초기 벌림동작 이후에는 가동지점인 지지편(24)에서 이루어져 피로응력의 분산효과를 가져오고자 한 것이나, 상기 지지편(24)은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텐션잠금구(20)는 반복되는 판스프링(30)의 텐션작용력에 따른 피로(疲勞) 때문에 고정지점인 고정편(23)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절단이 되며, 오히려 고정편(23)에 의해서만 압착 고정되어 있어 판스프링(30)의 고정력이 약할 뿐만아니라, 판스프링(30)에 의한 텐션잠금구(20)의 텐션작용력을 가변시키거나 또는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텐션잠금구(20)의 반복되는 착탈 동작시(회전 동작) 판스프링(30)의 피로한계에 의해 텐션작용력을 저하시키게 되어 결국 귀고리(1)의 착용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귀볼에 착용된 귀고리(1)가 느슨해져 귀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텐션잠금구에 구비된 판스프링의 일측에 엠보형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텐션잠금구의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편을 절곡하여 고정 지지될 때, 상기 엠보형돌기가 고정편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결합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분리,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텐션잠금구의 반복동작에 의해 판스프링에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판스프링의 국부 절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며, 작은 힘으로도 텐션잠금구의 텐션작용이 가능하여 착용감을 부드럽고 좋게 할 수 있는 귀고리용 텐션잠금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텐션잠금구가 설치된 귀고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텐션잠금구와 귀고리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3a는 본 고안의 텐션잠금구를 구성하는 잠금구몸체에 판스프링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구몸체가 전개된 상태도.
도3b는 본 고안의 판스프링의 단면도.
도4는 종래의 텐션잠금구의 잠금구몸체에 판스프링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구몸체가 전개된 상태도.
도5는 종래의 텐션잠금구와 귀고리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귀고리 10 귀고리몸체 12 힌지
14 텐션지지편 16 고정단부 20 텐션잠금구
22 잠금구몸체 23 고정편 23a 반원공간부
25 스프링안내벽 25a 힌지공 26 걸림공간부
27 고정홀 30 판스프링 32 엠보형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텐션잠금구가 설치된 귀고리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텐션잠금구와 귀고리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3a는 본 고안의 텐션잠금구를 구성하는 잠금구몸체에 판스프링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구몸체가 전개된 상태도, 도3b는 본 고안의 판스프링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편의상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귀고리몸체(10)와 힌지(12)로 연결되는 텐션잠금구(20)가 판스프링(30)에 의해 텐션작용력을 갖으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귀고리(1)에 있어서,
양측으로 반원공간부(23a)를 갖는 고정편(23)을 형성한 잠금구몸체(22)의 내측 적정 위치에 결합되는 판스프링(30)의 일측에 엠보형돌기(32)를 형성하여 상기 텐션잠금구(20)의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편(23)을 절곡하여 고정 지지될 때, 엠보형돌기(32)가 고정편(23)에 의해 걸림지지되도록 결합 구성된 것이다.
상기에서 고정편(23)은 도3a의 잠금구몸체(22)로 절곡 가공되기 전의 전개된 상태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구몸체(22)의 양측으로 반원공간부(23a)를 갖는 고정편(23)이 형성되어 판스프링(30)과 결합되는 절곡 가공시에는 상기 반원공간부(23a)를 갖는 고정편(23)이 서로 맞 대응하면서 원형의 걸림공간부(26)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엠보형돌기(32)가 끼워짐으로서 판스프링(30)이 결합되는 결과를 갖게 되는 것이며, 이때 엠보형돌기(32)는 2개의 고정편(23)이 접속됨으로서 형성되는 원형의 걸림공간부(26) 내에서 미세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걸림 지지되는 판스프링(30)은 종래의 판스프링의 압착 고정과 같이 압착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엠보형돌기(32)가 고정편(23)에 형성된 걸림공간부(26)에 미세하게 움직이기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귀고리몸체(10)의 움직임에 의한 판스프링(30)에 텐션이 작용할 때마다 고정편(23)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걸림공간부(26) 내에서 엠보형돌기(32)가 자유롭게 유동하면서 걸림 지지되며, 사용중에도 판스프링(30)이 분리 이탈되는 일이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2에서와 같이 귀고리(1)를 귀볼에 착용할 때, 텐션잠금구(20)를 외측으로 당겨 귀고리몸체(10)에서 힌지(12)를 중심으로 벌린 다음(도2 가상선 참조), 다시 텐션잠금구(20)를 고정단부(16)측으로 밀게 되면 판스프링(30)의 텐션복귀력에 의해 텐션잠금구(20)가 복귀되어 고정단부(16)가 잠금구몸체(22)의 일측으로 형성된 고정홀(27)에 끼움 고정되어 귀볼에 착용이 된다.
이때 판스프링(30)의 텐션작용력(텐션복귀력)은 종래와는 달리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텐션잠금구(20)를 당겨 귀고리몸체(10)에서 힌지(12)를 중심으로 벌리게 되면, 초기 벌림동작에서 판스프링(30)의 텐션작용력은, 판스프링(30)이 고정 지지되고있는 고정편(23)에서 발생되며, 이후 계속해서 귀고리몸체(10)의 텐션지지편(14)이 판스프링(30)의 타측단을 받쳐 밀어줌에 따라 판스프링(30)에 약간의 휨(즉 텐션 작용력)이 발생되면서 판스프링(30)은 밀려나게 되는데, 이때, 판스프링(30)의 일측에 형성된 엠보형돌기(32)가 고정편(23)에 형성된 걸림공간부(26) 내에서 약간의 자유로운 슬라이딩 왕복이동을 하게 되면서 판스프링(30)의 어느 국부에만 텐션작용력에 따른 피로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판스프링(30)의 전체적면에 걸쳐 텐션작용력이 이루어져 피로응력의 분산효과를 가져와 국부에 무리를 주지 않고, 종래처럼 반복되는 판스프링(30)의 텐션작용력에 따른 피로응력 때문에 고정지점인 고정편(23)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절단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판스프링(30)의 국부적 절단 방지 및 텐션작용력 증대로 인해 저급품의 판 스프링으로 대체할 수도 있어 원가절감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귀고리를 귀볼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텐션잠금구에 구비된 판스프링의 일측에 엠보형돌기가 고정편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결합 구성하여, 판스프링의 분리,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텐션잠금구의 반복동작에 의해 판스프링에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텐션잠금구에 결합된 판스프링의 국부 절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며, 작은 힘으로도 텐션잠금구의 텐션작용이 가능하여 착용감을 부드럽고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귀고리몸체(10)의 일측 끝부가 힌지(12)에 의해 텐션잠금구(20)에 설치된 판스프링(30)과 접속되어 회전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된 귀고리(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0)은 일측에 엠보형돌기(32)를 형성하여 텐션잠금구(20)에 결합시 상기 엠보형돌기(32)가 2개의 고정편(23) 사이에 형성된 원형의 걸림공간부(26)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형돌기(32)는 2개의 고정편(23)사이에 형성된 원형의 걸림공간부(26) 내에 미세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KR20-2003-0038177U 2003-12-08 2003-12-08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KR200344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77U KR200344804Y1 (ko) 2003-12-08 2003-12-08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CNB2004100044218A CN100342809C (zh) 2003-12-08 2004-02-19 一种用于耳环的张力锁闭装置
US10/871,056 US20050120744A1 (en) 2003-12-08 2004-06-21 Tension locking member for an ear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177U KR200344804Y1 (ko) 2003-12-08 2003-12-08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804Y1 true KR200344804Y1 (ko) 2004-03-10

Family

ID=3463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177U KR200344804Y1 (ko) 2003-12-08 2003-12-08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20744A1 (ko)
KR (1) KR200344804Y1 (ko)
CN (1) CN10034280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6990B2 (en) * 2000-10-17 2004-09-28 Vladimir Reil Ear piercing systems with hinged hoop earrings
US10206491B2 (en) * 2015-01-28 2019-02-19 Seung Chul Lee Ear instrument to which various instruments and accessories can be fixe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0045A (en) * 1983-01-24 1989-06-20 Luc-Co., Inc. Jewelry mounting construction
US5048310A (en) * 1990-07-30 1991-09-17 Riley Yong N Apparatus for changeable earring pendents
US5983669A (en) * 1998-01-29 1999-11-16 Karmeli; David D. Spring for earring clip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359603B2 (ja) * 1999-12-08 2002-12-24 プロジェ株式会社 ピアス兼用イアリング
JP2002165619A (ja) * 2000-11-29 2002-06-11 Jewelry Takuma:Kk イヤリング
JP2003000313A (ja) * 2001-06-21 2003-01-07 ▲高▼島 広雄 イヤリング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20744A1 (en) 2005-06-09
CN100342809C (zh) 2007-10-17
CN1625995A (zh)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56428A (ja) メガネ用スプリングヒンジ
JP3829158B2 (ja) 装身具用ジョイント
KR20070096817A (ko) 길이 조정 가능한 브레이슬릿 또는 손목밴드
KR200344804Y1 (ko)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JP2008167789A (ja) 装身具
JP6563074B1 (ja) 装身具の挟着構造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JP4587280B2 (ja) リング状耳飾り
KR20080010153A (ko)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
JP2009247680A (ja) 耳飾りと耳飾りの交換方法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100558777B1 (ko) 목걸이용 장식부재 체결장치
JP2681870B2 (ja) 時計バンド用中留金具
JP2006226073A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操作具取付構造
KR200332231Y1 (ko) 귀고리의 핀결합구조
US6283593B1 (en) Replaceable spring arm structure for spectacles
JP2005337681A (ja) 冷蔵庫扉のハンドル
KR200342411Y1 (ko) 허리벨트
KR200173750Y1 (ko) 도어용 완충장치
JP2006000267A5 (ko)
JP2006288814A (ja) ケース本体とバンドの連結構造
JP3116327U (ja) 眼鏡フレーム用丁番構造及びこの丁番構造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
JP3104948U (ja) 装身具
KR101743744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200150164Y1 (ko) 귀고리용 텐션 로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