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164Y1 - 귀고리용 텐션 로커 - Google Patents

귀고리용 텐션 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164Y1
KR200150164Y1 KR2019970008837U KR19970008837U KR200150164Y1 KR 200150164 Y1 KR200150164 Y1 KR 200150164Y1 KR 2019970008837 U KR2019970008837 U KR 2019970008837U KR 19970008837 U KR19970008837 U KR 19970008837U KR 200150164 Y1 KR200150164 Y1 KR 200150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leaf spring
rocker
lock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8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686U (ko
Inventor
성기봉
Original Assignee
성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봉 filed Critical 성기봉
Priority to KR2019970008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164Y1/ko
Publication of KR970026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귀걸이용 텐션 로커의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애 설치되는 판 스프링에, 텐션 로커의 초기동작 이후에 텐션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텐션력이 강화, 유지되게 하고, 또한 텐션 로커의 초기동작 이후에는 판 스프링이 고정편에서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텐션 로커의 반복동작에 따른 판 스프링의 절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귀고리용 텐션 로커를 제공하는 것으로, 귀고리(60)의 외관 모양을 이루며 필요에 따라 장신구가 부착되는 귀고리에 몸체(60)와 힌지(65) 연결되는 텐션 로커(70)를 판 스프링(80)에 의해 텐션작용력을 갖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80)의 고정지점(固定支點)을 이루는 고정편(82)과 인접된 판 스프링(80)의 자유단(80a) 방향으로 판 스프링(80)의 초기동작 이후에 가동지점(可動支點)을 이루는 가동편(10)을 로커 몸체(72)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고리용 텐션 로커
본 고안은 귀고리용 텐션 로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고리를 귓불에 착탈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텐션 로커의 판 스프링 텐션력을 강화시키고, 동시에 텐션 로커의 반복되는 착용으로 발생될 수 있는 판 스프링의 국부적 절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개량한 귀고리용 텐션 로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고리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 바, 하나는 귓불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와, 다른 하나는 귓불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로 대별되며, 특히 이들 귀고리에는, 귀고리를 귓불에서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텐션 로커를 갖추게 된다.
도1은 종래 귓불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귀고리(50)는 실질적으로 귀고리(50)의 외관 모양을 이루며 필요에 따라 장신구(도시안됨)(예를 들어, 금속장신구, 큐빅, 사파이어, 루비, 진주, 펜던트 등 각종 보석류)가 부착되는 귀고리 몸체(60)와, 상기 귀고리 몸체(60)와 힌지(65) 연결되어 귀고리 몸체(60)를 귓불에 착탈 가능하게(부착했다 떼었다하는 것이 가능한 것) 하는 텐션로커(70)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 로커(7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만곡된 형상을 이루는 로커 몸체(72)의 일 측 단부에는 귀고리 몸체(60)의 지지단부(60a)와 맞닿게 되어 귓불과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지지편(74)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로커 몸체(72)의 안쪽으로 90° 절곡 대향된 스프링 안내벽(76)을 통해 힌지공(78)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안내벽(76)사이에는 텐션 로커(70)에 텐션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80)이 개재되고 그 판 스프링(80)의 일 측 단부가 로커 몸체(72)의 양쪽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고정편(82)에 의해 고정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텐션 로커(7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고리 몸체(60)에 형성된 힌지(65)를 통해 설치된다. 따라서 귀고리(50)는 텐션 로커(70)가 판 스프링(80)에 의해 텐션력을 갖고 힌지(6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귓불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2는 종래 텐션 로커(70)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귀고리(50)를 귓불에 착용할 때는, 먼저 텐션 로커(70)를 당겨 귀고리 몸체(60)에서 힌지(65)를 중심으로 벌린 다음(도2 가상선 참조)다시 텐션로커(70)를 밀게 되면, 판 스프링(80)의 텐션복귀력에 의해 텐션 로커(70)가 복귀되어 귀고리(50)가 귓불에 착용되게 되는 바, 상기 텐션 로커(70)를 벌리게 되면, 판 스프링(80)의 텐션 복귀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80)의 텐션복귀력은 판 스프링(80)의 일 측이 로커 몸체(72)의 고정편(82)에 고정된 상태로 하고, 그 타측인 판 스프링(80)의 자유단(80a)을 귀고리 몸체(60)의 단부에 형성된 텐션지지편(60b)이 받쳐주게 되어 판 스프링(80)의 텐션복귀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고정편(82)은 판 스프링(80)의 고정지점(固定支點 : fixed support)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텐션 로커(70)에 설치된 판 스프링(80)은, 고정지점( 固定支點 )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편(82)으로만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되는 판 스프링(80)의 텐션작용력에 따른 피로응력(疲勞應力)이 고정지점인 고정편(82)부분에서 국부적으로 발생되게 된다. 이에 따라 판 스프링(80)은 고정편(82) 부분에서 반복 하중에 의한 국부적 피로한계에 의해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80)은 하나의 고정편(82)에 의한 고정지점만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80)에 의한 텐션로커(70)의 텐션작용력을 가변시키거나 또는 증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텐션 로커(70)의 반복되는 착탈 동작시(회전 동작) 판 스프링(80)의 피로한계에 의해 텐션력을 저하시키게 되어 결국 귀고리(50)의 착용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판 스프링(80)의 텐션작용력 저하는, 귓불에 착용된 귀고리(50)가 느슨해져 귓불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귀고리용 텐션 로켜(70)에 있어 텐션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80)이 고정지점( 固定支點 )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편(82)으로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작용력의 저하와 함께 국부적으로 절단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것은 귓불에 구멍을 뚫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귀고리(50)에 대한 텐션 로커(70)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따른 문제점을 언급하였으나, 귓불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귀고리(도시안됨)에 있어 이에 설치되는 텐션 로커도 마찬가지로 텐션작용력을 제공한는 판 스프링이 고정지점(固定支點 )을 이루는 하나의 고정편으로만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된 텐션 로커(70)와 동일한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된 종래의 귀고리에 대한 간행물로는 대한민국특허청에서 발행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 87-12971(1987. 9. 5)(명칭: 이어링)과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 93-19180(1993. 9. 23)(명칭 : 귀걸이용 크립)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에 대한 공보내용은 앞서 설명된 종래의 텐션 로커와 동일한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겨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텐션 로커의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해 서치되는 판 스프링에, 텐션 로커의 초기동작 이후에 텐션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텐션력이 강화, 유지되게 하고, 또한 텐션 로커의 초기동작 이후에는 판 스프링이 고정편에서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텐션 로커의 반복동작에 따른 판 스프링의 절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귀고리용 텐션로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귀고리의 외관 모양을 이루며 필요에 따라 장신구가 부착되는 귀고리 몸체와 힌지 연결되는 텐션 로커를 판 스프링에 의해 텐션작용력을 갖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고정지점(固定支點 : fixed support)을 이루는 고정편과 이접된 판 스프링의 자유단 방향으로 판 스프링의 초기동작 이후에 가동지점( 可動支點 : movable support)을 이루는 가동편을 로커 몸체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텐션 로커는 초기동작 이후에 판 스프링은 가동편에 의해 제지되면서 텐션력을 갖게 되어 텐션작용력(텐션복귀력)이 증대되고, 또한 고정편에서의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판 스프링의 국부적 절단을 방지하게 된다.
제1도는 종래의 귀고리용 텐션 로커가 설치된 귀고리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귀고리용 텐션 로커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귀고리용 텐션 로커가 설치된 귀고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귀고리용 텐션 로커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귀고리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동편 50 : 귀고리
60 : 귀고리 몸체 65 : 힌지
70 : 텐션 로커 72 : 로커 몸체
80 : 판 스프링 82 : 고정편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고, 종래와 중복되는 부분은 종래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생략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귀고리(50)의 외관 모양을 이루며 필요에 따라 장신구가 부착되는 귀고리 몸체(60)와 힌지(65) 연결되는 텐션 로커(70)를 판 스프링(80)에 의해 텐션작용력을 갖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의 고정지점( 固定支點 : fixed support)을 이루는 고정편(82)과 인접된 판 스프링(80)의 자유단(80a) 방향으로 판 스프링(80)의 초기동작 이후에 가동지점(可動支點 : movable support)을 이루는 가동편(10)을 로커 몸체(72)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고정편(82)은 판 스프링(80)의 일 측 단부를 실질적으로 고정하고 있고, 이에반해 가동편(1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80)을 실질적으로는 고정하지 않고, 단지 판 스프링(80)의 초기동작 이후에 가동지점(可動支點)을 이룰 수 있도록 판 스프링(80)과의 일정한 높이(H)(공간)를 갖고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고리(50)를 귓불에 착용할 때는, 먼저 텐션 로커(70)를 당겨 귀고리 몸체(60)에서 힌지(65)를 중심으로 벌린 다음(도4 가상선 참조) 다시 텐션 로커(70)를 밀게 되면, 판 스프링(80)의 텐션복귀력에 의해 텐션 로커(70)가 복귀되어 귀고리(50)가 귓불에 착용되게 된다.
이때 판 스프링(80)의 텐션작용력(텐션복귀력)은 종래와는 달리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텐션 로커(70)를 당겨 귀고리 몸체(60)에서 힌지(65)를 중심으로 벌리게 되면, 초기동작에서의 판 스프링(80) 텐션작용력은, 판 스프링(80)의 고정지점(固定支點)을 이루는 고정편(82)에서 시작되게 되며, 이후 계속해서 귀고리 몸체(60)의 텐션지지편(60b)이 판 스프링(80)의 자유단(80a)을 받쳐 올려줌에 따라 판 스프링(80)에 약간의 휨(즉 텐션 작용력)이 발생되면서 한 스프링(80)은 가동편(10)의 내측 상면(10a)(도5 참조)접촉·제지되면서 이때부터 가동지점(可動支點)을 이루는 가동편(10)을 지점(支點)으로 한 판 스프링(80)의 텐션작용력이 발생하게 되어 텐션복귀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텐션 로커(70)의 텐션복귀력이 최대로 증대된 상태는 텐션로커(70)가 귀고리 몸체(60)로부터 힌지(65)를 중심으로 벌려진 상태에서이다. 이후 텐션 로커(70)를 밀게 되면, 증대된 판 스프링(80)의 텐션복귀력에 의해 텐션 로커(70)가 신속히 복귀하여 귀고리(50)의 귓불 착용감을 좋게 하며 동시에 종래처럼 착용력이 느슨해지지 않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80)의 텐션작용력이 텐션로커(70)의 초기동작에서는 고정지점인 고정편(82)에서 시작되고, 초기동작 이후에는 가동지점인 가동편(10)에서 이루어져 피로응력의 분산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처럼 반복되는 판 스프링(80)의 텐션작용력에 따른 피로(疲勞) 때문에 고정지점인 고정편(82)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절단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가동지점인 가동편(10)을 한곳에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판 스프링(80)의 텐션작용력의 강화를 위해 높이 차이를 두고 한 개 이상의 가동편(10)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판 스프링(80)의 국부적 절단 방지 및 텐션력 증대로 인해 저급품의 판 스프링으로 대체할 수도 있어 원가절감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된 본 고안의 텐션 로커는 귓불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귓불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 및 그 외의 텐션 로커가 사용되는 귀고리에도 동일한 효과를 갖고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텐션 로커는 초기동작 이후에 판 스프링은 가동편에 의한 지점(支點) 이동이 가능하여 텐션복귀력이 증대되고, 또한 고정편에서의 국부적 응력하중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판 스프링의 국부적 절단을 방지하게 되는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귀고리(50)의 외관 모양을 이루며 필요에 따라 장신구가 부착되는 귀고리 몸체(60)와 힌지(65) 연결되는 텐션 로커(70)를 판 스프링(80)에 의해 텐션작용력을 갖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80)의 고정지점(固定支點)을 이루는 고정편(82)과 인접된 판 스프링(80)의 자유단(80a) 방향으로 판 스프링(80)의 초기동작 이후에 가동지점(可動支點)을 이룰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은 가동편(10)을 로커 몸체(72)에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용 텐션 로커.
KR2019970008837U 1997-04-26 1997-04-26 귀고리용 텐션 로커 KR200150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837U KR200150164Y1 (ko) 1997-04-26 1997-04-26 귀고리용 텐션 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8837U KR200150164Y1 (ko) 1997-04-26 1997-04-26 귀고리용 텐션 로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686U KR970026686U (ko) 1997-07-24
KR200150164Y1 true KR200150164Y1 (ko) 1999-07-01

Family

ID=1949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8837U KR200150164Y1 (ko) 1997-04-26 1997-04-26 귀고리용 텐션 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9517A1 (en) * 2007-07-09 2009-01-15 Creatiblez Inc. Jewelry adap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9517A1 (en) * 2007-07-09 2009-01-15 Creatiblez Inc. Jewelry adap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686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7399A (en) Ring insert assembly
US6701747B2 (en) Decorative articles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US4815180A (en) Transferrable jewelry clasp with neck chain or neck band
US5755117A (en) Metal mount for cut jewels, and accessories
EP0167891A1 (fr) Bracelet-montre dont les éléments sont tenus ensemble au moyen de deux liens souples
KR200150164Y1 (ko) 귀고리용 텐션 로커
US7093332B1 (en) Locking toggle assembly for jewelry
USD402910S (en) Metal watch band with pin and block clasp
US6477752B1 (en) Lock for a necklace, bracelet or such ornament, as well as an end eye for such a lock
KR910007683Y1 (ko) 장신용 체인의 악세사리 고정구조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JP3867252B2 (ja) ネックレスチェーンの係止体
KR200292025Y1 (ko) 귀걸이의 힌지구조
KR200344804Y1 (ko) 귀고리용 텐션잠금구
KR200260666Y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200224155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CN214414292U (zh) 一种用于链条的锁扣以及链式首饰
SU1440478A1 (ru) Замок дл серьги
CN213664031U (zh) 一种用于调节链条长度的卡扣
KR100364049B1 (ko) 밴드용 버클
KR200179630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0327007Y1 (ko) 귀찌용 클립식 장식
KR200173070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JP4071178B2 (ja) 多機能装身具
KR200210233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