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630Y1 -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630Y1
KR200179630Y1 KR2019990023516U KR19990023516U KR200179630Y1 KR 200179630 Y1 KR200179630 Y1 KR 200179630Y1 KR 2019990023516 U KR2019990023516 U KR 2019990023516U KR 19990023516 U KR19990023516 U KR 19990023516U KR 200179630 Y1 KR200179630 Y1 KR 200179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ecorative member
connecting ring
type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택
Original Assignee
유정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19983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73070Y1/ko
Application filed by 유정택 filed Critical 유정택
Priority to KR2019990023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6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크장식부재를 실질적으로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로 서로를 연결하여 링크장식부재의 조립을 쉽게 하고, 상기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장식미를 갖는 커버장식캡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의 노출을 없애 장식미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상기 커버장식캡의 구조에 의하여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의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켜 연결장식부재를 적용하고 있는 목걸이, 팔찌, 발찌, 귀고리 등의 액세서리 제품의 사용중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고, 동시에 상기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키는 커버장식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LINK DECORATION MEMBER LINKAGE STRUCTURE OF ACCESSORIES}
본 고안은 액세서리의 링크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링크장식부재를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장식효과를 갖도록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커버장식캡을 설치하며, 상기 커버장식캡의 구조에 의하여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의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켜 액세서리 제품의 사용중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귀고리와 같이 몸에 지니게 되는 액세서리는 다양한 부재들을 사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링크장식부재를 목걸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50은 링크장식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이 링크장식부재(50)는 소정의 장식외형을 이루면서 그 양단에는 연결구멍(50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면부호 60은 C형 연결고리로서, 일단이 절단되어 이를 통하여 상기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구멍(50a)에 끼워 걸게 됨에 따라 상기 링크장식부재(50)는 C형 연결고리(60)를 매개로 서로가 연결되어 목걸이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목걸이의 경우에는 각 링크장식부재(50)를 C형 연결고리 (60)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이 쉬운 장점을 갖고 있으나, 각 링크장식부재 (50)를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60)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이 C형 연결고리(60)가 목걸이 전체의 외관디자인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됨으로써 제품을 고급화시키는데 한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C형 연결고리(60)로 연결된 각 링크장식부재(50)에 외력에 의한 당김력이 발생될 때, 그 당김력에 의해 C형 연결고리(60)가 잘 벌어져 결국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면부호 70은 목걸이를 연결하여 록킹하는 록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종래 또다른 링크장식부재를 목걸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도 1 및 도 2와는 달리 C형 연결고리(60)를 사용하지 않고 링크장식부재(50)가 연결장식구(80)를 매개로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연결장식구(80)는 도 4의 상세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신구(80)의 뒷면에 공구작업에 의한 외관둘레 변형이 이루질 수 있는 홈(80a) 및 이 홈(80a)과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릿(80b)이 형성되고, 이 슬릿(80b)의 내벽에는 대향하는 돌출핀(80c)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링크장식부재(5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구멍(50a)을 상기 슬릿(80b)에 위치시켜 플라이어 등의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연결장식구(80)의 외관둘레를 조이게 되면 이 외관둘레의 변형에 의한 외경이 축소되면서 슬릿(80b)의 간격이 좁혀져 슬릿(80b)에 형성된 돌출핀(80c)이 상기 연결구멍(50a)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링크장식부재(50)는 연결장식구(8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장식구(80)를 매개로 연결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된 C형 연결고리(60)가 생략되어 부품비용이 절감되는 일부 효과를 갖고 있으나, 상기 연결장식구(80)에 의한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상기 연결장식구(80)에 의한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시 조립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액세서리제품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들의 조립은 대부분이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기 연결장식구(80)의 조립도 마찬가지로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직경이 약 3-6㎜로 매우 작은 연결장식구(80)를 작업자가 플라이어 등의 전용공구를 사용하여 연결장식구(80)의 외관둘레를 변형시켜 슬릿(80b)의 간격을 좁힘에 따라 슬릿(80b)에 형성된 돌출핀(80c)이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구멍 (50a)에 삽입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 슬릿(80b)의 폭(간격)이 매우 좁고(약 1.5㎜내외) 돌출핀(80c)이 잘 보이지 않아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구멍 (50a)이 돌출핀(80c)에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이 곤란하여 조립불량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고, 그 결과 제품불량을 초래하게 되어 바이어로부터 클레임을 당하게 되고 작업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둘째,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장식구(80)에 연결시 슬릿(80b)의 간격이 적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간격이 크게 좁아지게 되면 조립자체가 뻑뻑하게 되어 링크장식부재(50)가 연결장식구(80)에서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이를 목걸이로 착용시 링크장식부재(50)가 원활하게 펼쳐지지 않아 사용에 불편을 가져오게 되어 결국 제품불량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셋째, 상기 도면에 도시된 연결장식구(80)의 경우처럼 외형이 단순한 디자인인 경우에는 변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져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이 가능하지만 연결장식구(80)의 외관디자인이 복합하거나 외형크기가 커지게 되면 연결장식구 (80)에 변형을 가하기가 어렵고 외형디자인이 꽃모양 등의 복잡한 모양을 할 경우에 변형에 따른 외관 손상을 주게 되어 결국 연결장식구(80)의 디자인 선택에 한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링크장식부재를 실질적으로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로 서로를 연결하여 링크장식부재의 조립을 쉽게 하고, 상기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장식미를 갖는 커버장식캡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의 노출을 없애 장식미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상기 커버장식캡의 구조에 의하여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의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켜 링크장식부재를 적용하고 있는 목걸이, 팔찌, 발찌, 귀고리 등의 액세서리 제품의 사용중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이 C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C형 연결고리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 C형 연결고리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고, 동시에 상기 C형 연결고리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키는 커버장식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장식캡은, 외형이 장식몸체를 이루면서 그 뒷면에는 링크장식부재를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가 삽입 내장되어 이 C형 연결고리를 외부로부터 감춰지게 하면서 동시에 C형 연결고리가 벌려지지 않게 하는 내장홈과;
상기 내장홈의 주연부로부터 절개 형성되어 상기 C형 연결고리에 연결된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을 상기 내장홈에 안내하여 링크장식부재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양 슬릿과;
상기 내장홈에 내장된 C형 연결고리가 내장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내장홈주연부에 형성된 절곡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이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3자형 연결고리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 3자형 연결고리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고, 동시에 상기 3자형 연결고리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키는 커버장식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장식캡은, 외형이 장식몸체를 이루면서 그 뒷면에는 링크장식부재의 연결방향으로 슬릿된 형태로 양 지지부를 통해 형성되어 링크장식부재를 연결하는 3자형 연결고리가 세워진 형태로 삽입 내장되게 하고 이 3자형 연결고리를 외부로부터 감춰지게 하는 수직절개홈과;
상기 양 지지부의 양측에 절결 형성되어 상기 수직절개홈에 위치된 3자형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을 안내하여 링크장식부재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안내면과;
상기 수직절개홈에 위치된 3자형 연결고리가 수직절개홈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고 동시에 3자형 연결고리의 오목홈을 눌러 이 3자형 연결고리가 벌려지지 않게 하도록 지지부에 형성된 절곡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링크장식부재가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연결되고, 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커버장식캡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목걸이, 팔찌, 발찌, 귀고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또다른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팔찌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세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커버장식캡 10a, 20a : 장식몸체
10b : 내장홈 10c : 주연부
10d : 슬릿 10e, 20e : 절곡고정편
20b : 지지부 20c : 수직절개홈
20d : 안내면 40 : 3자형 연결고리
50 : 링크장식부재 60 : C형 연결고리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 및 상세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팔찌의 사시도 및 상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면부호 10은 본 고안의 커버장식캡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버장식캡(10)은 외형이 소정의 장식몸체(10a)를 이루면서 그 뒷면에는 링크장식부재(50)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60)가 삽입 내장되는 내장홈(10b)이 형성되며, 이 내장홈(10b)에는 주연부(10c)로부터 절개된 양 슬릿 (10d)이 형성되어 링크장식부재(50)의 양단을 내장홈(10b)에 안내하게 되며, 상기 주연부(10c)에는 상기 내장홈(10b)에 내장된 C형 연결고리(60)가 내장홈(10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고정편(10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절곡고정편(10e)은 한 개의 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 절곡고정편(10e)을 주연부(10c)에 두 개로 형성할 수 있고, 내장홈(10b)을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원형판 형태의 절곡고정편(10e)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절곡고정편(10e)을 생략하고 대신 주연부(10c)를 절곡하여 C형연결고리(60)의 이탈을 방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버장식캡(10)은 주석합금을 재료로 하여 케스팅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철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제조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장식캡(10)에 있어 외형을 이루는 장식몸체(10a)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장식몸체(10a)를 단순한 형태로 디자인 할 수 있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장식몸체(10a)를 꽃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으며, 큐빅 등 인조 보석알 등으로 치장할 수 있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커버장식캡(10)의 경우도 도 5 및 도 6과 같이 그 뒷면으로는 내장홈(10b)과 슬릿(10d) 및 절곡고정편(10e)이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커버장식캡(10)의 장식몸체(10a)에는 큐빅 등의 장식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링크장식부재(50)도 그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링크장식부재(5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구멍(50a)을 통하여 C형 연결고리(60)를 연결한 다음, 이 C형 연결고리 (60)에 커버장식캡(10)을 위치시킴에 따라 C형 연결고리(60)가 커버장식캡(10)의 내장홈(10b)에 삽입되고 링크장식부재(50)의 양단이 슬릿(10d)을 통하여 내장홈 (10b)에 안내되게 되어 상기 C형 연결고리(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연부(10c)로부터 돌출된 절곡고정편(10e)을 직각으로 굽힘시킴에 따라 C형 연결고리(60)가 내장홈(10b)에서 빠지지 않게 되어 결국 커버장식캡(10)은 C형 연결고리(6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링크장식부재(50)들은 C형 연결고리(60)를 매개로 하여 서로가 연결되고 커버장식캡(10)은 각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과는 상관없이 각 링크장식부재(50) 사이를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60)를 감싸 이 C형 연결고리(6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기능과 상기 링크장식부재(50)와 함께 장식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60)가 커버장식캡(10)의 내장홈(10b)에 구속된 형태로 삽입,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중 링크장식부재 (50)간의 외력(당김력)이 발생될 때 상기 C형 연결고리(60)가 내장홈(10b)의 내경둘레에 구속되어 있어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C형 연결고리(60)가 링크장식부재(50)간의 연결버팀력을 강화시키게 되며, 또한 C형 연결고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고정편(10e)이 링크장식부재(50)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 링크장식부재(50)의 서로간 이동을 제한함으로서 C형 연결고리(60)이 벌어짐방지에 도움을 주게 되어 링크장식부재(50)가 C형 연결고리(60)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제품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장식부재(50)가 C형 연결고리(60)로 연결되고 이 C형 연결고리(60)에 커버장식캡(10)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적당한 크기로 조립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귀고리용으로 사용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액세서리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를 예시한 목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상세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도면부호 2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커버장식캡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버장식캡(20)은, 외형이 장식몸체(20a)를 이루면서 그 뒷면에는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방향으로 슬릿된 형태로 양 지지부(20b)를 통해 형성되어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하는 3자형 연결고리(40)가 삽입 내장되게 하고 이 3자형 연결고리(40)를 외부로부터 감춰지게 하는 수직절개홈(20c)과, 상기 양 지지부(20b)의 양측에 절결 형성되어 상기 수직절개홈(20c)에 위치된 3자형 연결고리(40)에 연결되는 링크장식부재(50)의 양단을 안내하여 링크장식부재(50)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안내면(20d)과, 상기 일측의 지지부(20b)에는 수직절개홈(20c)에 위치된 3자형 연결고리(40)를 수직절개홈(20c)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고 동시에 3자형 연결고리(40)의 오목홈(40a)을 눌러 이 3자형 연결고리(40)가 벌려지지 않게 하는 절곡고정편(20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에서 3자형 연결고리(40)는 커버장식캡(20)에 형성된 수직절개홈(20c)에 세워진 형태로 삽입 내장시킴으로서 3자형 연결고리(40)에 연결된 링크장식부재 (50)간의 유연한 굽힘(회전)동작이 이루어져 링크장식부재(50)간의 꼬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3자형 연결고리(40)가 위치되는 커버장식캡(20)의 배면부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절곡고정편(20e)을 굽힐 때 상대측 지지부(20b)에 바르게 위치되도록 상대측 지지부(20b)에 위치고정홈(20f)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구멍(50a)을통해 3자형 연결고리(40)를 연결한 다음 이 3자형 연결고리(40)에 커버장식캡(20)을 씌우는 형태로 설치한다.
즉, 상기 3자형 연결고리(40)를 커버장식캡(20)의 수직절개홈(20c)의 중앙으로 하여 수직되게 세워진 형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절곡고정편(20e)을 굽혀 3자형 연결고리(40)를 커버장식캡(20)에 구속시킨다.
상기 절곡고정편(20e)이 3자형 연결고리(40)의 오목홈(40a)을 지지하게 되어 3자형 연결고리(40)가 위치 고정되고 동시에 커버장식캡(20)에 구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절곡고정편(20e)이 3자형 연결고리(40)의 오목홈(40a)을 누르게 되어 이 3자형 연결고리(40)가 벌려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버장식캡(20)은 주석합금을 재료로 하여 케스팅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철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제조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버장식캡(20)에 있어 외형을 이루는 장식몸체(20a)는, 단순한 형태로 디자인할 수 있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꽃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으며, 큐빅 등 인조 보석알 등으로 치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링크장식부재(50)들은 3자형 연결고리(40)를 매개로 하여 서로가 연결되고 커버장식캡(20)은 각 링크장식부재(50)의 연결과는 상관없이 각 링크장식부재(50) 사이를 연결하는 3자형 연결고리(40)를 감싸 이 C형 연결고리(4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는 기능과 상기 링크장식부재(50)와 함께 장식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장식부재(50)를 연결하는 3자형 연결고리(40)가 커버장식캡(20)의 수직절개홈(20c)에서 절곡고정편(20e)에 의해 구속된 형태로 삽입,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중 링크장식부재(50)간의 외력(당김력)이 발생될 때 상기 3자형 연결고리(40)가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3자형 연결고리(40)가 링크장식부재(50)간의 연결버팀력을 강화시키게 되어 링크장식부재(50)가 3자형 연결고리(40)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제품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장식부재(50)가 3자형 연결고리(40)로 연결되고 이 3자형 연결고리(40)에 커버장식캡(20)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적당한 크기로 조립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귀고리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링크장식부재가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로 연결되고 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커버장식캡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에 의하면, 링크장식부재가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통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견고한 조립성과 함께 수작업에 의한 연결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상기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커버장식캡을 간단히 설치함으로서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링크장식부재와 함께 장식효과를 높여 제품을 고급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이 C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C형 연결고리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 C형 연결고리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고, 동시에 상기 C형 연결고리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키는 커버장식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장식캡은, 외형이 장식몸체를 이루면서 그 뒷면에는 링크장식부재를 연결하는 C형 연결고리가 삽입 내장되어 이 C형 연결고리를 외부로부터 감춰지게 하면서 동시에 C형 연결고리가 벌려지지 않게 하는 내장홈과;
    상기 내장홈의 주연부로부터 절개 형성되어 상기 C형 연결고리에 연결된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을 상기 내장홈에 안내하여 링크장식부재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양 슬릿과;
    상기 내장홈에 내장된 C형 연결고리가 내장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내장홈 주연부에 형성된 절곡고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3.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이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3자형 연결고리에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 3자형 연결고리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고, 동시에 상기 3자형 연결고리에 링크장식부재간 연결버팀력을 강화시키는 커버장식캡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장식캡은, 외형이 장식몸체를 이루면서 그 뒷면에는 링크장식부재의 연결방향으로 슬릿된 형태로 양 지지부를 통해 형성되어 링크장식부재를 연결하는 3자형 연결고리가 삽입 내장되게 하고 이 3자형 연결고리를 외부로부터 감춰지게 하는 수직절개홈과;
    상기 양 지지부의 양측에 절결 형성되어 상기 수직절개홈에 위치된 3자형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링크장식부재의 양단을 안내하여 링크장식부재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안내면과;
    상기 일측의 지지부에는 수직절개홈에 위치된 3자형 연결고리가 수직절개홈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고 동시에 3자형 연결고리의 오목홈을 눌러 이 3자형 연결고리를 벌려지지 않게 하는 절곡고정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3자형 연결고리는 커버장식캡에 형성된 수직절개홈에 세워진 형태로 삽입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6. 제 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식부재가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연결되고, 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커버장식캡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목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7. 제 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식부재가 C형 연결고리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연결되고, 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커버장식캡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팔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8. 제 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식부재가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연결되고, 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커버장식캡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발찌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9. 제 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식부재가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를 매개로 연결되고, 이 C형 연결고리 또는 3자형 연결고리에 커버장식캡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액세서리부재는, 귀고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19990023516U 1999-09-16 1999-10-29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0179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516U KR200179630Y1 (ko) 1999-09-16 1999-10-29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983 1999-09-16
KR2019990019983U KR200173070Y1 (ko) 1999-09-16 1999-09-16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19990023516U KR200179630Y1 (ko) 1999-09-16 1999-10-29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630Y1 true KR200179630Y1 (ko) 2000-04-15

Family

ID=2663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516U KR200179630Y1 (ko) 1999-09-16 1999-10-29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6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9026A (en) Connector pin for link bracelets
US5816073A (en) Hinged earring
US6568214B2 (en) Hinged ring that supports an ornament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398391A (en) Wire connection member for strung beads ornaments
KR200492761Y1 (ko) 장신구 체결장치
KR200179630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CA2381373A1 (en) Jewelry piece set
KR200173070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JP4046170B2 (ja) 装身具用連結金具
KR200224155Y1 (ko) 액세서리용 링크장식부재의 연결구조
KR200353269Y1 (ko) 장신구용 단위체
WO2020202599A1 (ja) 装身具の挟着構造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1974058B1 (ko) 장신구 결합체
JP2004223145A (ja) 装身具用連結具
JP3867252B2 (ja) ネックレスチェーンの係止体
KR102506896B1 (ko)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KR200327865Y1 (ko) 귀고리
KR20050032633A (ko)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JP2000236921A (ja) 装身具
KR200272561Y1 (ko) 장신구 세트
KR200338251Y1 (ko) 이중체결장치를 갖는 장식용 팔찌
KR200289772Y1 (ko) 장신구
KR200328407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조
KR200210233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