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798A -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798A
KR20030044798A KR1020020073378A KR20020073378A KR20030044798A KR 20030044798 A KR20030044798 A KR 20030044798A KR 1020020073378 A KR1020020073378 A KR 1020020073378A KR 20020073378 A KR20020073378 A KR 20020073378A KR 20030044798 A KR20030044798 A KR 20030044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connection terminal
ultraviolet ligh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883B1 (ko
Inventor
우에노마사토
히라노다다오
마치다슈이치
야타베미츠노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1/00Producing optical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17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splay elements may be activated at will or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ambient light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23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light valves in general
    • G04G9/0029Details
    • G04G9/0035Details constructional
    • G04G9/0041Illumina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 계기류 등의 각종 기기에 적용되는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소자와 자외선에 반응하여 발광하는 발광부를 설치한 발광표시장치(예를 들면 시계모듈)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와 발광표시장치 내의 회로기판의 접속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다리핀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다리핀은 자외선발광소자와 접속단자 사이의 길이나 각도의 조정용으로서 벤딩부를 갖고,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떨어져 있는 자외선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안정된 접속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LIGHT EMISSION AND DISPLAY DEVICE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 계기류 등의 각종 기기에 적용되는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발광소자를 회로기판 등에 설치된 접속단자에 접속시켜 사용자가 소망할 때에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도록 한 발광표시장치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발광소자의 배치장소와 접속단자 사이에 표시부 등의 중간부재가 개개하는 등에 기인하여 발광소자와 접속단자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면, 그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안정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 생각되어 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발광소자와 접속단자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양자를 안정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또 소망하는 위치에 발광소자를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빛을 발광시킬 수 있는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테두리상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된 접속단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의해 상기 접속부재를 정하게 되는 벤딩(bending)위치에서 벤딩하는 벤딩부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의 저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제 4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가 배치된 테두리상부재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지침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제 4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제 4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의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c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제 4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손목시계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ⅨⅩ-ⅨⅩ선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테두리상부재 부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a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자외선발광소자의 다리핀이 스트레이트형상인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b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자외선발광소자의 다리핀이 벤딩부를 갖는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c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자외선발광소자의 다리핀이 벤딩부를 갖는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1d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자외선발광소자를나타내는 도면이고, 자외선발광소자의 다리핀이 벤딩부를 갖는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손목시계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계모듈(발광표시장치)2: 시계케이스(기기케이스)
2a: 볼록부3: 시계유리
5: 테두리상부재5a: 관통구멍
10: 상부하우징(중간부재)10a: 관통구멍
11: 하부하우징12: 문자판(중간부재)
12a: 축구멍12b: 관통구멍
13: 회로기판14: 중간테두리
15: 아날로그지침기구(중간부재)15a: 접속구멍
15b: 공간(관통구멍)16: 액정표시소자
17: 지침축18: 지침
19: 발광부20a: 광출력부
20b: 전극단자20c: 완충재
20d: 다리핀(접속부재, 콘택트부재)21: 콘택트부재(접속부재)
21a: 지지축21A: 접속부재
22, 22A: 코일스프링(접속부재, 탄성지지부재)
23: 완충부재24: 고정부재(접속부재)
24a: 맞닿음부25: 납땜고정부
204: 다리핀(접속부재, 콘택트부재, 벤딩부)
205: 벤딩부205a: 제 1 벤딩부(벤딩부)
205b: 제 2 벤딩부(벤딩부)T: 접속단자
P: 벤딩위치B: 시계밴드
100, 200, 200a, 200b: 손목시계
201, 202, 203: 자외선발광소자(발광소자)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손목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손목시계(100)에는 발광표시장치인 시계모듈(1)을 내부에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로서의 시계케이스(2)가 구비되고, 시계케이스 (2)의 상부 중앙에는 시계유리(3)가 패킹(4)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시계모듈(1)에 구비되어 있는 테두리상부재(5)는 그 상부를 시계유리(3)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시계케이스(2)의 하면에는 뒤덮개(6)가 방수링(7)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시계모듈(1)과 뒤덮개(6) 사이에는 완충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시계케이스(2)의 상부 바깥 둘레에는 베즐(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시계케이스(2)에는 밴드축(2A)을 통하여 시계밴드(B)가 부착되어 있다.
시계모듈(1)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한 것이고, 도 2에는 그 양쪽을 구비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모듈(1)에는 중간부재로서의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11)이 구비되고, 상부하우징(10)의 상면에 문자판(12, 중간부재)이 배치되며, 그 문자판(12)의 상면에 테두리상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또 테두리상부재(5)의 아래쪽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갖는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11) 사이에 회로기판(13)이 배치되어 있다. 시계모듈(1)은 이들 문자판(12), 상부하우징(10), 회로기판(13) 및 하부하우징(11)이 시계케이스(2)의 중간테두리(14)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부하우징(10)에는 아날로그지침기구(15)와 액정표시소자(16)가 구비되어 있고, 하부하우징(11)에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지침기구(15)와 액정표시소자(16) 등이 동작하기 위한 전지(도시하지 않음)가 편입되어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15)는 문자판(12)에 설치된 축구멍(12a)으로부터 그 위쪽으로 연장하는 지침축(17)과, 이 지침축(17)에 부착된 시침, 분침 등의 지침(18)을구비하고, 이 지침(18)이 문자판(12)의 위쪽을 운침(運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문자판(12)과 지침(18)에는 각각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발광하는 발광부(19)가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액정표시소자(16)는 예를 들면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한 액정셀의 상면에 상편광판, 액정셀의 하면에 하편광판을 설치한 것이고, 액정셀의 한쌍의 전극기판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 따라서 시각 등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액정표시소자(16)는 문자판(12)에 설치된 창부(12c)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테두리상부재(5)는 예를 들면 광투과성을 갖는 합성수지, 특히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테두리상부재(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3)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하면과 문자판(12, 상부하우징(10))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로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 이 테두리상부재(5)의 소정 장소,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는 블랙라이트라 불리는 자외선발광소자(201)가 배치되어 있다. 자외선발광소자(201)가 배치된 테두리상부재(5)는 보호부재 또는 완충부재로서의 기능도 겸비한 부재이다. 자외선발광소자(201)는 예를 들면 파장이 254∼420㎚(나노미터)의 자외선, 또는 파장이 374∼389㎚의 자외선, 바람직하게는 365㎚ 부근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등(紫外線燈) 또는 자외선발광다이오드(LE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외선발광소자(201)는 예를 들면 도 3a, 도 3b, 도3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광출력부(20a)와, 광출력부(20a)의 저면에 설치되고, 그 일부가 측면까지 돌아가면서 연출(延出)된 전극단자(20b)와, 저면의 대략 중앙에 구비된 완충재(20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자외선발광소자(201)는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두리상부재(5)에 매립 설치되어 있고, 자외선발광소자(201)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은 광투과성을 갖는 테두리상부재(5)에 뽑아 넣어지고, 뽑아 넣어진 자외선은 테두상부재(5)가 도광판의 기능을 하여 테두상부재(5) 전체로부터 출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외선발광소자(201)로부터 떨어진 장소에도 테두리상부재(5)를 통하여 조사된다. 또 자외선발광소자(201)는 예를 들면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장소에 직경위로 배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효율 좋게 자외선이 조사된다.
또 이 자외선발광소자(20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 (201)에 맞닿는 콘택트부재(21)와, 이 콘택트부재(2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22)으로 구성되어 있는 접속부재(21A)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콘택트부재(21)는 자외선발광소자(201)의 전극단자(20b)에 대응한 한쌍의 지지축(21a, 도 2에서는 한쪽만을 나타냄)을 가지고 있고, 그 지지축(21a)이 전극단자(20b)에 맞닿아 있다.
콘택트부재(21)는 도전성을 가지고, 그 중앙부는 상부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10a)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문자판(12)에 설치된 관통구멍(12b) 및 테두리상부재(5)에 설치된 관통구멍(5a)을 관통하고, 테두리상부재(5)의 상단부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 돌출한 상단부(한쌍의 지지축(21a))에 자외선발광소자(201)가 맞닿아져 있다. 자외선발광소자(201)의 광출력부(20a)와 시계유리 (3)의 사이에는 완충부재(23)가 부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2)은 도전성을 가지고 상부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10a) 내에 삽입되며, 그 하단부가 회로기판(13)에 형성된 접속단자(T)에 탄력 접속하고, 상단부가 콘택트부재(21)의 하단부에 탄력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 (22)은 콘택트부재(21)를 자외선발광소자(201)측으로 힘을 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 콘택트부재(21)와 코일스프링(22)으로 구성된 접속부재(21A)에 의해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발광부(19)는 도 2,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12)에 있어서의 소정 장소, 예를 들면 마크부분이나 시간숫자의 상면이나, 아날로그지침기구(15)에 있어서의 지침(18)의 소정의 장소에 수지부(19a)나, 인쇄부 또는 도장부(19b)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발광부(19) 상면은 투명한 오버코트(도시하지 않음)로 덮여져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발광부(19)는 예를 들면 파장이 350∼420㎚, 또는 254∼365㎚의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 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 상태일 때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자외선발광소자(201)로부터 출력된 자외선이나. 광투과성을 갖는 테두리상부재(5)를 통하여 출사되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발광부(19)는 유색 발광한다.
이 발광부(19)의 발광색은 녹(또는 황색), 청, 적의 3색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가지 색변화가 있다. 여기에서 각 시계부품에 설치되는 각 발광부(19)는 모두같은 발광색인 것이어도 좋으나, 시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적어도 문자판(12)과 지침(18)의 각 발광부(19)의 발광색이 각각 다르게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문자판(12)의 발광부(19)는 적색계통으로 발광하고, 지침(18)의 발광부(19)는 청색계통으로 발광한다고 하는 바와 같이 문자판(12)과 지침(18)의 각각의 발광색이 다른쪽이 시각을 확인하기 쉽다. 또 문자판(12)의 마크부분의 발광부(19)와 시간숫자의 발광부(19)의 각 발광색도 각각 다르게 있어도 좋고, 시간숫자마다에 발광색이 다르게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에 따르면, 이 자외선발광소자 (201)와 회로기판(13)이 미리 정해져 있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전성을 갖는 접속부재(21A)를 통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이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자외선발광소자(201)를 발광부(19)에 보다 가까이 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이 자외선발광소자(201)는 접속부재(21A)인 콘택트부재(21)와 코일스프링 (22)에 의해 시계케이스(2) 내에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계케이스(2)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그 충격을 코일스프링(22)으로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손목시계의 기능이나 사이즈가 다른 기종마다에 시계모듈(1)이나 상부하우징(10)의 두께가 다름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의 거리가 다른 경우나, 각 부재의 치수 오차 등에 의해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의 거리가 다르다는 경우에 코일스프링(2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자외선발광소자(201)를 시계케이스(2) 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발광소자(201)와 시계모듈(1) 내의 회로기판(13)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소망할 때에 자외선발광소자(201)를 발광시켜서 각 발광부(19)를 자유로이 유색 발광시킬 수 있으며, 시각을 양호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색채성 및 장식성에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자외선발광소자(201)로부터 발하여진 자외선은 광투과성을 갖는 테두리상부재(5)에 뽑아 넣어지고, 테두리상부재(5)가 도광판의 기능을 하여 뽑아 넣어진 자외선이 테두리상부재(5)의 안쪽 둘레면 전체로부터 출사되어 발광부(19)를 조사할 수 있으므로 자외선발광소자(201)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발광부(19)도 똑같이 유색 발광시킬 수 있다.
특히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1)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측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1)로부터 발하여진 자외선의 대부분이 광투과성을 갖는 테두리상부재에 거두어 넣어져서 보다 효율적인 조사가 가능하다.
또 테두리상부재(5)와 회로기판(13)의 접속단자(T)의 사이에 중간부재로서의 상부하우징(10)이나 문자판(12)이 설치되어 있어도 그들에 설치된 관통구멍(10a), 관통구멍(12b)에 콘택트부재(21)를 관통시킴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의 접속단자(T)의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에 자외선발광소자 (20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하면과 문자판(12)의 상면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1)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1)를 콘택트부재(21)와 코일스프링(22)에 의해 지지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이어도 도 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도 7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상면과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5b)의 하면 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1)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1)를 콘택트부재(21)와 코일스프링(22)에 의해 지지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도 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을 콘택트부재(21)와 코일스프링(22)에 의해 접속하는 방법은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을 탄력 접속할 때에 그 접속거리가 길고, 코일스프링(22)만에 의한 접속에서는 코일스프링(22)에 좌굴(坐屈)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접속불량을 일으켜 버리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유효한 접속방법이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다른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자외선발광소자(20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1)의 전극단자(20b)에 맞닿는 접속부재로서의 탄성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한쌍의 코일스프링(22A, 동일도면에서는 한쪽만을 나타냄)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22A)은 도전성을 가지고 상부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 (10a)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문자판(12)에 설치된 관통구멍(12b) 및 테두리상부재 (5)에 설치된 관통구멍(5a)을 관통하고, 테두리상부재(5)의 위쪽으로 그 상단부가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 돌출한 상단부에 자외선발광소자(201)가 맞닿아져 있다. 또 코일스프링(22A)은 그 하단부가 회로기판(13)에 형성된 접속단자(T)에 탄력 접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22A)은 자외선발광소자(201)를 힘을 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22A)을 통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이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이 미리 정해져 있는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22A)을 통하여 자외선발광소자 (201)와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회로기판(13)으로부터떨어져 있는 발광부(19)에도 자외선발광소자(201)를 보다 가까이 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소자(201)는 코일스프링(22A)에 의해 시계케이스(2) 내에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시계케이스(2)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그 충격을 코일스프링(22)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 각 제품에 있어서 자외선발광소자(201)와 회로기판(13)의 거리가 다르다고 한 경우에 코일스프링(22A)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자외선발광소자(201)를 시계케이스(2) 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발광소자(201)와 시계모듈(1) 내의 회로기판(13)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특히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1)를 지지, 고정하는 부재가 코일스프링(22A)뿐이고, 부재(콘택트부재(21))가 1개 줄음으로써 맞붙임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에 자외선발광소자 (20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하면과 문자판(12)의 상면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1)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1)를 코일스프링(22A)에 의해 지지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이어도 도 8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도 10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상면과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5b)의 하면 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1)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1)를 코일스프링(22A)에 의해 지지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도 8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자외선발광소자(202)는 도 11a, 도 11b,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출력부(20a)에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콘택트부재)로서의 스트레이트형상의 다리핀 (20d)이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2)는 자외선발광소자(201)와 다른 형상을 가지므로 다른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자외선발광소자(202)의 다리핀(20d)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두리상부재(5)에 설치된 관통구멍(5a), 문자판(12)에 설치된 관통구멍(12b)에 삽입되고, 또한 상부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10a) 내에 삽입된다. 관통구멍(10a) 내에는 회로기판(13)의 접속단자(T)에 접속된 도전성을 갖는 고정부재(접속부재, 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4)는 삽입된 다리핀(20d)이 맞닿는 맞닿음부 (24a)를 구비하고, 맞닿음부(24a)는 탄성 변형함으로써 고정부재(24)를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인 관통구멍(10a)의 벽면에 탄성 지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부재(24)에 의해 다리핀(20d)을 압압하여 끼워 둘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외선발광소자(202)는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회로기판(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이 자외선발광소자(202)와 회로기판(13)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도전성을 갖는 고정부재(24)를 통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2)와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회로기판(1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부(19)에도 자외선발광소자(202)를 보다 가까이 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소망할 때에 자외선발광소자(202)를 발광시켜서 각 발광부(19)를 자유로이 유색 발광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발광소자(202)는 그 다리핀(20d)이 고정부재(24)에 의해 압압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탈착이 가능하고, 자외선발광소자(202)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자외선발광소자(202)와 시계모듈(1) 내의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에 자외선발광소자 (202)의 광출력부(20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 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하면과 문자판(12)의 상면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2)의 광출력부(20a)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2)의 다리핀(20d)을 고정부재(24)에 의해 압압하고 끼워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이어도 도 1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도 14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상면과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5b)의 하면 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2)의 광출력부(20a)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2)의 다리핀(20d)을 고정부재(24)에 의해 압압하고 끼워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이어도 도 12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다른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자외선발광소자(202)의 다리핀(20d)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두리상부재(5)에 설치된 관통구멍(5a), 문자판(12)에 설치된 관통구멍(12b)에 삽입되고, 또한 상부하우징(10)에 설치된 관통구멍(10a) 내에 삽입된다. 관통구멍(10a) 내에 삽입된 다리핀(20d)의 선단부는 회로기판(13)의 접속단자(T)에 납땜되고(납땜고정부(25)), 자외선발광소자(202)는 고정된다. 이에 따라 자외선발광소자(202)는 회로기판(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이 자외선발광소자(202)와 회로기판(13)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다리핀(20d)의 선단부를 납땜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2)와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회로기판(1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부(19)에도 자외선발광소자(202)를 보다 가까이 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소망할 때에 자외선발광소자(202)를 발광시켜서 각 발광부(19)를 자유로이 유색 발광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발광소자(202)는 그 다리핀(20d)이 납땜(납땜고정부(2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부품개수를 삭감한 저가로 접속할 수 있어 제품의 저가격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에 자외선발광소자 (202)의 광출력부(20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6 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하면과 문자판(12)의 상면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2)의 광출력부(20a)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의 하부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2)의 다리핀(20d)을 회로기판(13)의 접속단자 (T)에 납땜(납땜고정부(25))에 의해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이어도 도 15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도 17에 나타내어진 변형예와 같이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부(2a)를 문자판(1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볼록부(2a)의 상면과 테두리상부재(5)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5b)의 하면 사이에 자외선발광소자(202)의 광출력부(20a)를 테두리상부재(5)의 바깥 둘레면에 대향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자외선발광소자(202)의 다리핀(20d)을 회로기판(13)의 접속단자(T)에 납땜(납땜고정부(25))에 의해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이어도 도 15에 나타내는 배치구조의 것과 똑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8부터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의 손목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ⅨⅩ-ⅨⅩ선에 있어서의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다른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8,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손목시계(200)에는 발광표시장치인 시계모듈(1)을 내부에 수납하는 기기케이스로서의 시계케이스(2)가 구비되고, 시계케이스(2)의 상부 중앙에 시계유리(3)가 패킹(4)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시계모듈(1)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지침기구(15)의 상면에 문자판(12)이 배치되고, 그 문자판(12)의 상면에 도 20에 나타내는 테두리상부재(5)가 배치되어 있다. 그 테두리상부재(5)는 그 상부가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로부터 돌출한 볼록부 (2a)의 하면에 맞닿고, 그 바깥 둘레부가 시계케이스(2)의 안쪽 둘레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시계케이스(2)의 하면에는 뒤덮개(6)가 부착되어 있다. 또 시계케이스(2)의 밴드부착부(2B)에는 시계밴드(B)가 부착되어 있다.
아날로그지침기구(15)는 문자판(12)에 설치된 축구멍(12a)으로부터 그 위쪽으로 연장하는 지침축(17)과, 이 지침축(17)에 부착된 시침, 분침, 초침 등의 지침 (18)을 구비하고, 이 지침(18)이 문자판(12)의 위쪽을 운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문자판(12)과 지침(18)에는 각각 자외선발광소자(203)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반응하여 유색 발광하는 발광부(19)가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 아날로그지침기구(15)의 하면에 회로기판(13)이 배치되어 있고, 아날로그지침기구(15)와 회로기판(13)의 사이에 설치된 접속구멍(15a) 내에는 회로기판(13)의 접속단자(T)에 접속된 도전성을 갖는 고정부재(접속부재, 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테두리상부재(5)의 소정의 장소(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어지는 문자판 12)의 12시와 6시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자외선발광소자(203)에 구비된 콘택트부재 또는 접속부재로서의 다리핀(204)은 소정의 벤딩위치(P)에 있어서 소정의 벤딩각도(예를 들면 90°)로 벤딩되어 있는 벤딩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리핀(204)에 있어서의 벤딩부(205)는 벤딩위치(P)로부터 자외선발광소자(203)의 광출력부(20a)까지의 제 1 벤딩부(205a)와, 벤딩위치(P)로부터 다리핀(204)의 선단까지의 제 2 벤딩부(205b)를 가지며, 중간부재인 아날로그지침기구(15)와 문자판(12) 사이에 설치된 공간(15b)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벤딩부(205b)는 접속구멍 (15a)에 삽입되고, 고정부재(24)의 맞닿음부(24a)에 의해 회로기판(13)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4)에 의해 다리핀(204)의 제 2 벤딩부(205b)가 압압되어 끼워짐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3)는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회로기판 (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21a, 도 21b, 도 21c, 도 21d를 참조하여 벤딩 가능한 다리핀(204)을 구비한 자외선발광소자(203)의 제법의 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3)는 도 3a, 도 3b, 도 3c에 나타낸 자외선발광소자(201)의 광출력부(20a)에 전극단자 또는 접속부재(콘택트부재)로서의 다리핀(20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자외선발광소자(203)는 광출력부(20a)에 전극단자 또는 접속단자(콘택트부재)로서의 벤딩 자유로운 다리핀이 설치된 것이고, 자외선발광소자(201)와 다른 형상을 가지므로 다른 부호를 붙였다.
도 21b, 도 21c, 도 21d에 나타내는 자외선발광소자(203)는 도 21a에 나타내어지는 자외선발광소자(203)의 다리핀(204)을 소망의 장소(벤딩위치(P))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90°)로 벤딩함으로써 도 21b, 도 21c에 나타내어지는 자외선발광소자(203)와 같이 제 1 벤딩부(205a), 제 2 벤딩부(205b)를 갖는 벤딩부 (205)를 형성한다. 또 다리핀(204)을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도 21d에 나타내어지는 자외선발광소자(203)와 같이 그 다리핀(204)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3)에 구비된 다리핀(204)의 벤딩부(205)에 있어서의 제 1 벤딩부(205a)와 제 2 벤딩부(205b)의 각각의 길이 및 각도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21a에 나타내어지는 자외선발광소자(203)의 정면도는 도 11a에 나타내어지는 자외선발광소자(202)와 똑같은 형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외선발광소자(203)에 구비되는 다리핀(204)의 벤딩부 (205)에 있어서의 제 1 벤딩부(205a)와 제 2 벤딩부(205b)의 길이 또는 각도는 자외선발광소자(203)와 회로기판의 접속단자(T)의 위치관계에 따라서 조정 변경 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형상, 디자인, 사이즈의 손목시계에 대응시켜 자외선발광소자 (203)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22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a)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이고,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와 동일한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이용하면서 시계케이스(2), 문자판(12)의 지름, 사이즈 등을 작게 한 소형의 손목시계이다. 손목시계(200)에 대해서 소형의 손목시계(200a)를 조립하는 경우, 손목시계(200)의 자외선발광소자(203)로부터 제 2 벤딩부(205b)를 짧게 조정한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이용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손목시계(200a)에 배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지침기구(15)의 직경(a)은 25. 7㎜이고, 시계케이스(2)의 직경(b)은 38. 0㎜, 문자판(12)의 직경(c)은 29. 6㎜, 시계유리(3)의 직경(d)은 28. 2㎜,손목시계(200)의 두께(e)는 10. 4㎜이다. 이 손목시계(200)에 자외선발광소자 (203)를 배치하는 경우, 손목시계(200)에 있어서의 각 부재간의 위치, 거리에 대응시켜서 제 1 벤딩부(205a)의 길이(f)는 3, 14㎜, 제 2 벤딩부(205b)의 길이는 3. 65㎜로 조정된 자외선발광소자(20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소자(203)의 광출력부(20a)의 높이(h)는 1. 0㎜이다.
이에 대해 도 22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a)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지침기구(15)는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와 동일한 직경(a)이 25, 7㎜의 아날로그지침기구(15)이나, 시계케이스(2)의 직경(b)은 33. 0㎜, 문자판(12)의 직경(c)은 26. 3㎜, 시계유리(3)의 직경(d)은 24. 6㎜, 손목시계(200a)의 두께(e)는 10. 4㎜인 바와 같이 손목시계(200a)는 소형의 손목시계이다. 이 소형의 손목시계(200a)에 있어서, 손목시계(200a)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위치, 거리에 대응시켜서 제 1 벤딩부(205a)의 길이(f)는 3. 14㎜, 제 2 벤딩부(205b)의 길이(g)는 2. 15㎜로 조정된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이용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손목시계(200a)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즈가 다른 손목시계, 특히 크기, 수평방향의 사이즈가 다른 손목시계에 동일한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자외선발광소자 (203)의 다리핀(204)의 벤딩부(205, 제 1 벤딩부(205a), 제 2 벤딩부(205b))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소자(203)의 광출력부(20a)의 높이(h)는 1. 0㎜이다.
또 도 23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b)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변형예인 내충격용의 손목시계의 한 예이고, 충격 시에 지침(18)끼리나, 지침(18)과 시계유리(3), 문자판(12)과의 접촉을 방지할 목적에 의해 지침(18)끼리의 간격이나, 지침(18)과 시계유리(3), 문자판(12)과의 간격이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보다 넓게 설정된 손목시계이다. 그로 인해 지침축(17)이 높아지고, 그것에 동반하여 테두리상부재(5)의 두께, 손목시계(200b) 자체의 두께가 늘어나므로 자외선발광소자(203)의 광출력부(20a)가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보다 문자판(1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이 손목시계(200b)에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와 동일한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구비하여 조립하는 경우, 손목시계(200)의 자외선발광소자(203)보다 제 1 벤딩부(205a)를 길게 조정한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이용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손목시계 (200b)에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3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b)에 구비되어 있는 아날로그지침기구(15)는 도 19에 나타내어지는 손목시계(200)와 동일한 직경(a)이 25. 7㎜의 아날로그지침기구(15)이고, 시계케이스(2)의 직경(b)은 38. 0㎜, 문자판(12)의 직경(c)은 29. 6㎜, 시계유리(3)의 직경(d)은 28. 2㎜, 손목시계(200b)의 두께(e)는 11. 0㎜인 바와 같이 손목시계(200a)는 손목시계(200)에 비하여 두께를 갖는 손목시계이다. 이 손목시계(200b)에 있어서 손목시계(200b)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위치, 거리에 대응시켜서 제 1 벤딩부(205a)의 길이(f)는 3. 74㎜, 제 2 벤딩부(205b)의 길이(g)는 3. 65㎜로 조정된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이용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손목시계(200b)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즈가 다른 손목시계, 특히 두께, 높이방향의 사이즈가 다른 손목시계에 동일한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자외선발광소자 (203)의 다리핀(204)의 벤딩부(205, 제 1 벤딩부(205a), 제 2 벤딩부(205b))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자외선발광소자(20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소자(203)의 광출력부(20a)의 높이(h)는 1. 0㎜이다.
이와 같이 다리핀(204)의 벤딩부(205, 제 1 벤딩부(205a), 제 2 벤딩부 (205b))의 길이나 벤딩위치(P)를 조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상, 디자인, 사이즈의 손목시계, 특히 동일한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이용한 손목시계에 있어서의 치수에 대응시켜서 자외선발광소자(203)를 배치할 수 있다.
손목시계의 경우, 여러 가지 디자인, 특히 외형 사이즈가 다른 것의 수요가 많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디자인이나 외형 사이즈가 다른 손목시계마다에 다른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이용하는 것보다 각 손목시계에 대해 공통의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대응시킬 수 있으면 여러 가지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취급하는 번잡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아날로그지침기구(15)의 제조코스트를 저감하는 효과도 있다.
즉 외형 사이즈가 다른 손목시계에 공통의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외선발광소자(203)는 자외선발광소자(203)에 구비된 다리핀(204)의 길이나 벤딩위치(P), 제 1 벤딩부(205a), 제 2 벤딩부(205b)의 각각의 길이나 각도의 조정, 또 다리핀(204)의 절단장소의 변경 등에 의거하는 변형에 의해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여러 가지 손목시계에 용이하게대응시켜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있는 발광표시장치로서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손목시계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이 자외선발광소자(203)와 회로기판(13)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도전성을 갖는 고정부재(24)를 통하여 자외선발광소자(203)와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회로기판(13)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부(19)에도 자외선발광소자(203)를 보다 가까이 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소망할 때에 자외선발광소자(203)를 발광시켜서 각 발광부(19)를 자유로이 유색 발광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발광소자(203)는 그 다리핀(204)이 고정부재(24)에 의해 압압하여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탈착이 가능하고, 자외선발광소자(203)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자외선발광소자 (203)와 시계모듈(1) 내의 회로기판(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특히 다리핀(204)은 임의의 위치에서 벤딩 가능한 동시에, 절단 가능하므로 그 치수변경 등에 의해 자외선발광소자(203)를 여러 가지 형상, 디자인, 사이즈의 손목시계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제 1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소자는 자외선발광소자로 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외선발광소자, 가시광선발광소자이어도 좋으며, 이들 발광소자에 따른 발광부로서 형광체 등을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발광소자의 수는 몇 개이어도 좋고, 그 배치위치도 임의이다.
또 테두리상부재와 회로기판의 간격은 중간부재의 존재, 또는 테두리상부재의 부착위치에 따라서 임의로 정해도 좋다.
또 전자기기는 손목시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휴대전화기, 자동차 계기류 등 각종 기기이어도 좋다.
또 테두리상부재의 형상 등도 임의이고, 그 외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발광소자(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1))와, 이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유색 발광하는 발광부(예를 들면 발광부(19))를 갖는 발광표시장치(예를 들면 시계모듈(1))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된 테두리상부재(예를 들면 테두리상부재(5))와, 이 테두리상부재 아래쪽의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접속단자(예를 들면 접속단자(T))와, 이 접속단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예를 들면 접속부재(21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테두리상부재에 배치된 발광소자와, 이 테두리상부재 아래쪽의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접속단자를 접속부재에 의해 안정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또 소망하는 위치에 발광소자를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대응하여 치수 또는 형상을 변경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의 제약이 보다 적어져서 발광소자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발광표시장치 자체의 크기 등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의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맞닿는 도전성의 콘택트부재(예를 들면 콘택트부재 (21))와,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콘택트부재의 타단에 맞닿으며, 상기 콘택트부재를 상기 발광소자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도전성의 탄성지지부재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와 접속단자 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도전성을 갖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단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부에도 발광소자를 보다 가까이 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 발광소자의 단자에 맞닿는 도전성의 콘택트부재가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성의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발광소자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탄성지지부재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간격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나 해당 장치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접속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의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이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맞닿아서 상기 발광소자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도전성의 탄성지지부재(예를 들면 코일스프링 (2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도전성을 갖는 탄성지지부재를 통하여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 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단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부에도 발광소자를 보다 가까이 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전성의 탄성지지부재가 발광소자의 단자에 맞닿아서 발광소자측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간격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나 해당 장치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접속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1개의 부재에 의해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므로 부품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는 발광소자(예를 들면 자외선발광소자(203)와, 이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유색 발광하는 발광부(예를 들면 발광부(19))를 갖는 발광표시장치(예를 들면 손목시계(200))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된 테두리상부재 (예를 들면 테두리상부재(5))와, 이 테두리상부재 아래쪽의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접속단자(예를 들면 접속단자(T))와, 이 접속단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예를 들면 다리핀(20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의해 정해지는 벤딩위치(예를 들면 벤딩위치(P))에서 벤딩되어 있는 벤딩부(예를 들면 벤딩부 (205, 제 1 벤딩부(205a), 제 2 벤딩부(205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5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속단자와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는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의해 정해지는 벤딩위치에서 벤딩되어 있는 벤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발광소자와 접속단자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접속부재에 의해 양자를 안정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또 소망하는 위치에 발광소자를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발광부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는 상기 벤딩부가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벤딩각도로 벤딩되고,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배치관계에 따라서 최적의 위치에 발광소자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제 3 실시형태와 제 5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표시장치의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고정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예를 들면 다리핀(20d), 다리핀(204))와,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콘택트부재의 타단을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고정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예를 들면 고정부재(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와 제 5 실시형태에 따르면,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고정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가 도전성의 고정부재에 의해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므로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접속단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부에도 발광소자를 보다 가까이 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도전성의 콘택트부재와, 도전성의 고정부재가 탈착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발광소자나 테두리상부재의 교환을 용이하게실시할 수 있다.
또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는 상기 테두리상부재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재(예를 들면 아날로그지침기구(15))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의 콘택트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상기 벤딩위치까지의 제 1 벤딩부(예를 들면 제 1 벤딩부(204a))와, 상기 벤딩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까지의 제 2 벤딩부(예를 들면 제 2 벤딩부(204b))를 가지며, 상기 제 1 벤딩부의 길이 또는 각도는 상기 중간부재의 높이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벤딩부의 길이 또는 각도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의 수평거리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광표시장치는 도전성의 콘택트부재가 중간부재의 높이에 대응하여 길이 또는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형성된 제 1 벤딩부와, 발광소자와 접속단자 사이의 수평거리에 대응하여 길이 또는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형성된 제 2 벤딩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중간부재의 크기, 형상이나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거리관계, 위치관계에 따라서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발광소자의 배치위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지게 되어 여러 가지 디자인이나 크기의 발광표시장치로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는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의 상기 접속부재가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단자에 납땜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예를 들면 다리핀(20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과 똑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발광소자와 접속단자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발광소자의 단자에 고정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가 접속단자에 납땜되어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단자로부터 떨어져 있는 발광부에도 발광소자를 보다 가까이 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 이 납땜에 의해 부품개수를 삭감한 저가의 접속으로 할 수 있어 제품의 저가격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는 상기 테두리상부재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재(예를 들면 상부하우징(10), 문자판(12), 아날로그지침기구 (15))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예를 들면 관통구멍(5a), 관통구멍(10a), 관통구멍(12b), 관통구멍(15b))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테두리상부재와 접속단자 사이에 중간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접속부재를 중간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접속하도록 했으므로 접속부재의 고정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소자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것으로 되어 이 회로기판에 의해 발광부를 여러 가지 형태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발광표시장치를 기기케이스(예를 들면 시계케이스 (2))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예를 들면 손목시계(100, 200) 등)에있어서는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접속단자 사이의 접속거리 등에 의해 그 전자기기에 따른 접속수단을 이용하여 그 발광소자와 접속단자를 안정하게 접속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기기케이스에 발광표시장치를 구비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전자기기에 발광표시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7)

  1.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유색 발광하는 발광부를 갖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된 테두리상부재와,
    상기 테두리상부재 아래쪽의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대응하여 치수 또는 형상을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맞닿는 도전성의 콘택트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콘택트부재의 타단에 맞닿아 상기 콘택트부재를 상기 발광소자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도전성의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일단이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맞닿아서 상기 발광소자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도전성의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5.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유색 발광하는 발광부를 갖는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된 테두리상부재와,
    상기 테두리상부재 아래쪽의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와 상기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의해 정해지는 벤딩위치에서 벤딩되어 있는 벤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고정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콘택트부재의 타단을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고정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고정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콘택트부재의 타단을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고정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관계에 의해 정해지는 벤딩각도로 벤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상부재와 상기 접속단자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의 콘택트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상기 벤딩위치까지의 제 1벤딩부와, 상기 벤딩위치에서 상기 접속단자까지의 제 2 벤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벤딩부의 길이 또는 각도는 상기 중간부재의 높이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벤딩부의 길이 또는 각도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의 수평거리에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단자에 납땜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의 단자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접속단자에 납땜된 도전성의 콘택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상부재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상부재와 상기 접속단자 사이에 배치된 중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표시장치.
  16. 청구항 1 기재의 발광표시장치를 기기케이스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청구항 5 기재의 발광표시장치를 기기케이스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자기기.
KR10-2002-0073378A 2001-11-29 2002-11-25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KR100470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4612 2001-11-29
JPJP-P-2001-00364612 2001-11-29
JPJP-P-2002-00159822 2002-05-31
JP2002159822A JP2003227884A (ja) 2001-11-29 2002-05-31 発光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798A true KR20030044798A (ko) 2003-06-09
KR100470883B1 KR100470883B1 (ko) 2005-03-10

Family

ID=2662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378A KR100470883B1 (ko) 2001-11-29 2002-11-25 발광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16264B2 (ko)
JP (1) JP2003227884A (ko)
KR (1) KR100470883B1 (ko)
CN (1) CN1254778C (ko)
TW (1) TW580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75440U (en) * 2005-05-17 2005-09-11 Super Nova Optoelectronics Cor Time display apparatus
US20080205201A1 (en) * 2005-11-02 2008-08-28 Hwa Su Time display apparatus
US7505370B2 (en) * 2006-05-23 2009-03-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lock display
JP5623314B2 (ja) * 2011-03-10 2014-11-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時計
KR20150042960A (ko) * 2013-10-14 2015-04-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위폐 감별 기능을 구비하는 손목 시계
EP2884352A1 (fr) * 2013-12-16 2015-06-17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électromécanique ou digitale comprenant un cadran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cadran
US20150241852A1 (en) * 2014-02-27 2015-08-27 Sun Jong YANG Mechanical/quartz movement smart watch hybrid
CN104507277A (zh) * 2014-11-28 2015-04-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穿戴式电子设备
JP6646431B2 (ja) * 2014-12-24 2020-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US9461386B1 (en) * 2015-10-09 2016-10-04 Pebble Technology, Corp. Spring pin electrical connector
KR102044518B1 (ko) * 2017-06-13 2019-11-13 주식회사 아모센스 센서 패키지용 윈도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센서 패키지
JP6579453B2 (ja) * 2017-09-04 2019-09-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および時計
JP6671641B2 (ja) * 2017-09-15 2020-03-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および時計
EP4300214A1 (fr) * 2022-06-28 2024-01-03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aiguille d'horlogerie de section circulair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4950A (en) * 1934-03-24 1935-03-19 Ida Mae Johnson Illuminated dial
US3509715A (en) * 1966-02-01 1970-05-05 Gen Time Corp Electronic clocks
US4208869A (en) * 1976-07-31 1980-06-24 Citizen Watch Co., Ltd. Illumination device for electronic timepiece
JPS55137382U (ko) * 1979-03-22 1980-09-30
JPS59134172U (ja) * 1983-02-28 1984-09-07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液晶セルの支持構造
JPS6019994U (ja) * 1983-07-18 1985-0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モジユ−ル
JPS60137395U (ja) * 1984-02-24 1985-09-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電子時計
US4705407A (en) * 1986-11-14 1987-11-10 Andre Brien Portable time piece with light diffuser
JPH0167598U (ko) * 1987-10-23 1989-05-01
US5265071A (en) * 1993-02-02 1993-11-23 Time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watch dial support and connector assembly
JPH07260961A (ja) 1994-03-26 1995-10-13 Miyota Kk 時計の発光体接続構造
JPH08160171A (ja) 1994-12-05 1996-06-21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US5604716A (en) * 1994-12-22 1997-02-18 Cheung; James Black light illuminated analog watch
JP3563175B2 (ja) * 1995-10-17 2004-09-0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El照明付き複合表示時計
JP3658629B2 (ja) 1996-03-28 2005-06-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
US5880796A (en) * 1996-07-12 1999-03-09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device with display plate having metal upper suface including narrow outgoing opening for emitting light from light emitting member
US5805533A (en) * 1996-09-12 1998-09-08 Time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display for a timepiece
US5751662A (en) * 1997-01-28 1998-05-12 Shaw; Sen-Yen Illuminating timepiece
US5813753A (en) * 1997-05-27 1998-09-2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V/blue led-phosphor device with efficient conversion of UV/blues light to visible light
DE29714186U1 (de) * 1997-08-08 1998-12-10 Junghans Gmbh Geb Funkuhrwerk
JP3110374B2 (ja) 1998-03-27 2000-11-2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Elランプの取付構造
DE19981553T1 (de) * 1998-07-10 2000-09-07 Citizen Watch Co Ltd Uhr
JP2001305571A (ja) 2000-04-26 200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の実装構造および電子機器
CA2446630A1 (en) * 2001-05-03 2002-11-14 Luminary Logic Limited Ultraviolet illumination of indic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16264B2 (en) 2006-03-21
CN1423244A (zh) 2003-06-11
CN1254778C (zh) 2006-05-03
US20060013074A1 (en) 2006-01-19
TW580657B (en) 2004-03-21
JP2003227884A (ja) 2003-08-15
US20030099160A1 (en) 2003-05-29
TW200300916A (en) 2003-06-16
KR100470883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3074A1 (en) Light emission and display device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display device
US722759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030007222A (ko) 자외선을 발광층으로 조사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US6927739B2 (en) Antenna and wristwatch equipped with antenna
JPH0847025A (ja) 腕時計型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595886B1 (ko) 전자시계장치
JP6384738B2 (ja) モジュールおよび時計
WO2001071434A1 (fr) Unite electronique
US20060039244A1 (en) Watch crystal having an optical effect and watch fitted with such a crystal
JP4120302B2 (ja) 電子機器
CN111464675B (zh) 后盖组件及电子设备
JP4702327B2 (ja) 発光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5428082B2 (ja) 電子機器
KR100580238B1 (ko)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JP4814007B2 (ja) 時計
JP2000106297A (ja) タッチパネル付電子機器
JP2001264464A (ja) 電子機器
JP6842643B2 (ja) モジュールおよび時計
EP4296795A1 (en) Arm wearable device and timepiece
JP2003294863A (ja) 電子機器
JP2003177689A (ja) 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2131385A (ja) 照明装置、モジュールおよび時計
JPH1048361A (ja) 時計装置
JP2006003865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48331A (ja) 時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