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738A - 지지체 - Google Patents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738A
KR20030038738A KR10-2003-7003654A KR20037003654A KR20030038738A KR 20030038738 A KR20030038738 A KR 20030038738A KR 20037003654 A KR20037003654 A KR 20037003654A KR 20030038738 A KR20030038738 A KR 2003003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langes
formwork
web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첼디에터
바이드하우세르랄프
린드너에릭
Original Assignee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1/01010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22389A1/de
Publication of KR2003003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05Rails or support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2Stators, guide rails or slide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ilway Track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 안내 차량, 특히 자기 부상 열차의 주행로용으로서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품에 의해 제공되는 콘크리트 지지체(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4, 4')가 지지체(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2) 상에 배치된다. 제1 플랜지(1)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웨브(4, 4')의 단부에 제2 플랜지(3, 3')가 배치된다. 차량 안내용 추가 부품이 플랜지(2, 3, 3')들 중 어느 한 플랜지의 단부, 즉 지지체(1)의 단면에서 상호 이격된 단부 상에 배치된다. 제1 플랜지(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웨브(4, 4')의 각 단부 상에 제2 플랜지(3, 3')가 각각 배치되고, 제2 플랜지(3, 3')는 웨브(4, 4')의 단부에서 시작하여 실질적으로 지지체(1)의 외측까지 외향으로 연장된다. 열 보정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 특히 열 교환기가 제1 플랜지(2)와 제2 플랜지(3, 3') 사이에 마련된다. 거푸집이 개별적인 모듈(31, 32, 33, 34)로 구성되므로, 그 각각의 모듈을 교체하기만 하면 다수의 각기 다른 지지체(1)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체{SUPPORT}
일례로, 국제 특허 공개 WO 01/11142호는 웨브를 구비하는 제1 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 빔으로서 제1 플랜지 상에 차량용 추가 고정물을 체결시키기 위한 콘솔이 배치되어 있는 빔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콘솔은 제1 플랜지 상에 나사 체결되거나 혹은 초기의 콘크리트 타설 시에 배치된다. 콘솔에 고정된 고정물은 차량용 수평 가이드와 수직 가이드를 따라서 프레임을 포함한다. 빔 자체는 하나의 중실 콘크리트체를 포함하거나, 혹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중공 단면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자기 부상 철도 차량용 철도 선로의 경제적 건설을 위해서, 빔은 그 일부의 길이가 30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빔의 요건은 형상의 정확성과 형상의 안정성과 관련해서는 아주 엄격한데, 이는 자기 부상 철도 선로의 기능을 어떤 경우이든지 간에 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구성요소의 건조 방식에서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빔은 아주 강성이며 비틀림이 없어야 한다. 자기 부상 철도 선로의 안내와 관련하여 빔의 더 우수한 작용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획화 빔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형태의 빔은 단일 부품으로 제조하거나 혹은 운송을 고려하여 다수의 분할부로 제조하여서 현장에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사실상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 빔의 용도로 최적이기는 하지만, 성형-해체 작업으로 인해 그 제조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데, 그 이유는 중공체의 거푸집 해체 후에서야 단부 마감판을 삽입해야 하거나 혹은 그 단부 판에 개구부를 형성시켜야 하므로 내부 거푸집의 형상이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궤도 차량 주행로, 특히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 지지체(이하, "빔"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빔이 콘크리트,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건조되고, 그 빔의 종방향 연장부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들에 연결되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가 구비되고, 각 웨브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2 플랜지가 구비되고, 이에 의해 빔들 중 어느 한 빔의 플랜지, 즉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에 다른 플랜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플랜지 상에는 차량 안내용 추가 고정물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의 궤도 차량 주행로에 관한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빔 주조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도 1은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칸막이가 없는 빔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칸막이가 있는 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2개의 칸막이가 있는 빔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스터브 칸막이가 있는 빔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거푸집을 빔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선택적인 코어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빔을 그 거푸집과 함께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a는 또 다른 빔을 그 거푸집과 함께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빔을 그 거푸집과 함께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a는 또 다른 빔을 그 거푸집과 함께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빔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빔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또 다른 빔의 횡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부상 궤도의 엄격한 요건들을 충족시키며 이러한 요건 충족에도 불구하고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자기 부상 궤도의 철도 선로용 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의 독립항에 기재된 특징적 구성을 갖는 빔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빔의 제1 플랜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웨브의 가장자리에 제2 플랜지들이 배치되고, 이들 제2 플랜지들은 빔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플랜지 결합에 의해서 빔이 제조되고, 이는 적용하는 모든 경우에서 비틀림 응력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하부 플랜지 역할을 하는 제2 플랜지 각각이 표시된 횡방향 연장부에 의해서 빔의 비틀림 구조 강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웨브 사이에 중공 공간이 존재하는데, 그 공간은 제2 플랜지 쪽에서 개방된다. 제2 플랜지 영역에 있는 웨브들은 제1 플랜지의 영역에 있는 것들보다도 더 크게 서로가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2 플랜지를 따라서 거푸집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로 인해 빔은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빔의 단부면으로부터 내부 거푸집 구조체를 제거하기 위한 해체에 비용이 많이 드는 점이나 혹은 상당히 작은 중공 공간의 중앙 내부에 탈형(demolding)을 위한 경사 구조를 배치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빔의 가요성 강성과 관련하여 볼 때, 제1 플랜지는 상부 플랜지이고 제2 플랜지는 하부 플랜지이다. 이는 특별한 경우에는 반대로 할 수 있다.
단면의 무게 중심이 평균 단면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빔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혹은 실질적으로 덜 증가시켜도 가요성 강성이 보다 큰 빔을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제1 고유 진동이 증가하고 이와 동시에 하중 작용 시의 변형이 감소되는데, 이 두 가지 점은 동력학적 이동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가요성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은 분명히 증가한다.
빔을 제조하는 중에는, 구획화가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에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빔의 단부들 상에 추가의 판을 주조하는 것을 중공 공간부의 성형에 이어서 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별도의 콘크리트 경화 과정에 의해서 현 기술 상태에 따라서 전체 빔을 제조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빔의 형성에 비해 경과 시간이 분명히 길어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밀폐 판이 필요한 경우에만 즉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밀폐 판이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경화될 때까지 빔의 콘크리트가 경화되기를 기다리는 것은 더 이상 필요 없다.
이와 관련하여 빔은 탈형 작업이 종방향 측면을 따라 가면서 거푸집의 파괴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빔은, 그 설계에 의해서, 특히 자신이 빔의 외향으로 연장되어서 충분한 비틀림 강성을 제공하게 되는 하부 플랜지의 설계에 의해서, 밀폐되지 않은 중공 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빔은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으로 적합하고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기능적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경간 길이(length-of-span)를 갖는다.
본 발명의 빔의 제조 시의 또 다른 이점은 빔 강화 봉 구조체가 빔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사전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량의 사전 제조 강화체는 일례로 내부 거푸집 구조체 상에서 모자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빔과 그것의 거푸집의 형상으로 인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에 보다 더 걸쭉한 농도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은 콘크리트 품질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비용이 낮아지도록 한다. 이러한 점 외에도, 고 강도 콘크리트나 혹은 고 강도 경량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빔의 단부에는 웨브들이 밀폐 판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밀폐 판은 한편으로는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웃하는 빔으로의 연결부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웃하는 빔으로의 연결부는 상당히 강한 연결부가 형성되어서 이에 의해 2개 이상의 빔이 공히 분할 빔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빔 단부 밀폐 판은 빔용 지주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빔으로부터 지주 지지체까지 바람직한 강제류 경로가 형성되는데, 그 경로 상에서 빔 단부 밀폐 판들이 제위치에 유지된다.
중공 공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가 배치되어서 웨브들을 서로 결박시키게 되면, 빔의 비틀림 강성이 더 증가한다. 칸막이를 사용함으로써, 웨브와 플랜지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칸막이는 빔의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키는 한 수단이다. 요구에 따라, 보다 더 많은 칸막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빔의 강성은 그에 상응하여 증가하게 된다. 칸막이들은 서로 일정한 거리로 눈에 두드러지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틀림 내성이 있는 빔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빔에 3개의 칸막이를 마련한다. 이 경우, 칸막이들은 빔 중공 공간의 전체 단면부들을 차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칸막이가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하거나 스트럿으로서 기능하게 하여서 존재하는 개구부가 공급 라인 및/또는 장력 장치로 하여금 개구 공간을 통과하면서 연장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칸막이가 빔용 횡방향 초기 장력 부재의 영역, 그리고/또는 추가 구성요소의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후자의 추가 구성요소는 특히 차량의 안내용 콘솔이 된다. 이 경우, 빔은 그들 영역에서 강화되고, 여기서 일례로 액세서리 구성요소들은 콘솔에 의해서 빔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 빔의 총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폐쇄 유동력이 증가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칸막이가 웨브들의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빔의 적절한 구조적 강도를 얻기에 충분하다. 이 경우에는 또한 빔의 중량과 재료 모두가 절약된다.
특히 높은 비틀림 강성을 얻기 위해서는, 중공 공간의 영역 내에 있는 제2 플랜지, 특히 하부 플랜지를 빔 제조에 후속하여 기부 판에 의해 연결시키게 되면 바람직하다. 기부 판은 중공 공간을 완전하게 폐쇄시키므로, 폐쇄된 중공체가 다시 한번 더 형성된다. 그러나 상당수의 많은 적용례에 있어서는 빔을 따라서 기부 판을 순차적인 부분들에 대체로 배치시키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 충분한 비틀림 강성을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에 의해 기부 판의 제조가 보다 간단해진다.
기부 판은 콘크리트 안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웨브, 즉 하부 플랜지의 연결부에서 강 연결부를 빔의 콘크리트의 외측으로 연장시키고 그 위에 기부 판을 장착시키되 콘크리트 경화시키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빔의 내비틀림성이 다시 한번 얻어질 수 있게 하여서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 빔의 건조에 있어서의 고도의 요건들에 특히 적합해지도록 하는 방식의 구성이 된다.
선택적으로, 기부 판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서 특히 하나의 프레임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부 판의 장착 및 탈착이 간단해진다.
기부 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중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경우, 내비틀림성이 더욱 증가한다. 원응력 인가(prestressing) 요소가 빔에 배치되는 경우, 빔의 예상되는 적용 용도에 대해서 충분한 내굽힘성이 얻어질 수 있다.
장력 인가 강화체를 플랜지의 외부 영역에 배치시키는 경우에도 특히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장력 강화체에 의하면, 특히 그 장력 강화체가 빔의 장착 전이나 후에 재조정되어서 재변형되지 않는 경우에는, 빔은 y 방향과 z 방향에서 변형되고 그에 따라 아주 정확하게 트리밍된다. 재조정을 위해서는, 빔을 장착한 바로 후라도 일례로 빔의 중공 공간 내에서의 장력 조정이 쉽게 얻어질 수 있게 되면 바람직하다.
빔의 중공 공간은 중앙 장력 인가 부재들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인가 부재는 바람직하기로는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좋다. 또한, 중앙 장력 인가 부재는 간단한 방식으로 단열되고, 이에 따라 빔의 온도 구배가 바람직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빔의 열에 의한 비틀림은 분명히 종래의 빔에 비해서 감소된다. 초기 장력 인가 요소로의 응력 작용을 위해서, 밀폐 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밀폐 판 내에, 특히 중공 영역 내에 장력 인가 홈들을 배치하는 구성도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초기 장력 인가 요소의 장력 인가 압력을 위한 맞닿음부가 형성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기로는 밀폐 판, 특히 중공 공간의 영역에 있는 밀폐 판을 강 판으로 한다.
빔이 분할된 빔 시스템의 일부인 경우, 다수의 조정된 빔들이 서로 연결되고이어서 건조 시스템은 특히 하중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공차 정확도에 있어서의 엄밀성도 달성된다.
상부 및 하부 플랜지들이 차량과 관련한 유선(streamline)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 바람직하고 아울러 차량에 기인하는 단면의 변화를 현격하게 피할 수 있는 경우, 빔은 독창적이게도 내굽힘성과 내비틀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빔 상에서 극고속으로 주행하는 자기 부상 차량이 있을 수 있는 유동 교란이나 유동 충격을 최소한으로 받으면서 쾌적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그러한 건조체는 자기 부상 차량이 작동하는 중의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한다.
빔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되는 경우, 제1 플랜지 상의 빔의 태양 복사열에 노출되는 표면들과 그리고/또는 빔의 중량과, 제2 플랜지 상의 빔의 태양 복사열에 노출되는 표면들과 하중은 서로 유사한 경우, 빔 내에서 낮은 온도 구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려는 목표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제1 플랜지의 근방에 있는 빔의 가열과 제2 플랜지에 근접한 영역에 있는 빔의 가열이 아주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제1 플랜지나 제2 플랜지가 여타의 빔들이 겪게 되는 것보다 더 큰 열 팽창을 겪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불균일한 가열에 의한 빔의 굽힘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범위까지 피할 수 있다.
빔이 균등하게 가열되고 그에 상응하는 팽창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빔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분이 열 흡수 또는 반사 표면을 포함하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일례로, 빔의 각 부분들 상에서의 변화하는 태양 복사열은 보정될 수 있고, 그 결과 전체에 걸친 팽창이 균일화된다.
빔 상의 열 흡수 및/또는 반사 표면은 또한 페인트 도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빔의 서로 다른 열 특성들이 아주 간단하게 제어된다.
빔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차광 요소의 영향하에 있게 되는 경우, 이러한 수단을 통해서도 빔의 보다 낮은 온도 구배 또한 달성된다. 빔의 작동 특성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서 가장 변화가 심한 태양 복사열에 대해서 조절된다.
제2 플랜지는 그 자체가 그에 결부된 웨브로부터 비교적 멀리 넘어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플랜지들은 추가의 차량, 특히 검사 또는 보수 차량용의 철도 선로로 사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차량들은 제2 플랜지의 상부측 상에서 주행하면서 일례로 자기 부상 궤도용 추가 고정물을 검사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즉, 상부 플랜지)도 그와 동일한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1. 위에서 설명한 종류의 빔을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식에 있어서, 열 보정, 특히 열 교환을 이용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빔이 일례로 태양 복사열에 의해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경우, 증가하는 온도 구배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 발생한다. 정확하게 정렬되는 구조 요소들은 더 이상 소정의 정확도를 가지지 못하고, 그에 따라서 일례로 자기 부상 궤도의 작동이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열 보정 또는 열 교환 수단을 배치함으로써,보다 더 강하게 가열되는 제1 플랜지에서 상승하는 열이 제2 플랜지로 전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플랜지도 역시 제1 플랜지와 마찬가지로 가열되어서 팽창된다. 엄밀하게 말해 열은 분명히 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되거나 혹은 보다 큰 재료 질량체를 가지며 그에 따라서 가열/냉각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빔의 그런 영역들 안으로 전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특히 센서 또는 펌프를 구비하는 제어 또는 조절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열 전달 유체, 특히 오일을 순환시키는 도관들은 열 균등화를 위한 수단임이 입증되었다. 이들 도관에 의하면, 열은 보다 강하게 가열되는 빔의 영역으로부터 더 가열되는 영역으로 전달된다. 도관을 통한 열 전달은 펌프나 중력을 이용하는 능동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열 보정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는 냉각 및/또는 가열 소자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냉각/가열 소자도 빔 내의 온도 구배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해서 빔이 큰 범위로까지 변형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데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궤도 안내 차량, 특히 자기 부상 궤도의 빔용 철도 선로의 빔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제안하는데, 그 거푸집은 개별적인 모듈의 조합이고, 그에 따라 하나의 모듈을 교환해도 다수의 각기 다른 빔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자기 부상 철도 선로의 건조에 있어서, 철도 선로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빔들로 구성된다. 이들 빔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빔들이 세워져야 하거나 제안된 레일 선의 특별한 진로가 되는 특별한 주위 상황에 따라서는, 빔에 각각 차이점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제안된 거푸집 건조에 의해, 기본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빔들은 각각의 모듈들을 전환함으로써 개별적으로 특성화된다. 모듈형 건조 방식에 의해, 캐리어의 신속한 제조가 가능한데, 이는 거푸집 건조를 어느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개조하는 것이 아주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듈 방식 거푸집 건조는 빔의 종방향 및 횡방향 성형 모두와 관계가 있다.
거푸집은 기본 프레임, 그 프레임에 연결되는 교환 가능한 코어 부재, 및 이동이 가능한 측면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돌출하는 콘솔 및 표면과 빔 단부의 주형을 위한 요소도 거푸집의 또 다른 요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요소들 각각은 필요에 따라 부분 모듈로 분할될 수 있고, 형상이 개조된 빔들을 아주 융통성 있게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얻을 수 있다.
빔의 거푸집을 해체시키는 동안에 장력 인가 요소들의 응력 해제 시의 길이 보정을 위한 모듈이 활주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빔의 탈형시에 장력 인가 요소의 장력이 해제되면, 빔의 콘크리트가 압축되고 그에 따라 빔은 짧아진다. 이러한 작용은 콘크리트 부품이 거푸집 내에 끼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을 피하기 위해 모듈들은 서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에 따라 장력 부재를 해제한 경우라 해도 거푸집 모듈의 해제도 역시 가능하다.
각기 다른 콘솔을 위해 각기 다른 모듈을 삽입함으로써, 빔은 궤도 선의 특정 경로에 적합해질 수 있다. 각기 다른 지주 상에 지지되는 빔들은 선택적인 위치에서 각기 다른 콘솔에 의해서 세워질 수 있다.
수평으로 놓여 있거나, 경사지게 놓여 있거나, 혹은 서로 편위되게 놓여 있는 하중지지 판들을 포함하는 요건에 부합되는 지지 콘솔이 아주 신속하게 주문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기부 콘솔의 영역에 있는 모듈은 장착 연결부의 수용을 위한 홈을 구비하고, 상기 판들에는 그라우팅 또는 환기용의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모듈형 건조 방식의 거푸집에 의하면 거푸집을 다시 제작하는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길이가 각기 다른 빔을 일례로 긴 코어나 측면 부재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코어 부재가 추가적인 분할 모듈로 구성된 경우, 어떤 상황 하에서는 단일 내부 모듈 부품을 제거하거나 단부 부품을 서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수단에 의해, 길이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빔들을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각기 다른 형상의 코어 부재에 의해서, 각기 다른 형상의 중공 공간을 아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 일례로 필요에 따라서 중공 공간 내에 다른 반경이나 다른 강화 요소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하중이 여러 가지 로 작용하는 경우에 맞추어서 각기 다른 빔을 제조할 수 있다.
모듈이 개수, 형상, 및 크기와 관련하여서 각기 다른 칸막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라면 아주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각기 다른 상황에 따른 빔의 개별적 적합화가 아주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빔의 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빔은 2개의 하부 플랜지(3, 3')뿐만 아니라 상부 플랜지(2)를 구비한다.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 3') 각각은 웨브(4, 4')에 의해서 서로 결속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2) 상에는 부착 판이 배치되지만, 도시하지 않는다. 기능 요소들이 상기 부착 요소에 부설된다. 기능 요소들은 궤도 주행 차량을 안내하기 위하여 부설된다. 빔(1)은 콘크리트로 제조된 구성요소로서, 실질적으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필요하게 되면 준비 상태, 즉 사전 제작된 상태에서 건설 현장으로 이송된다.
하부 플랜지(3, 3')는 연결 웨브(4, 4')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비교적 높은 비틀림 강성이 개방 빔(1)에서 달성된다. 하부 플랜지(3, 3')는 아주 중량으로 설계되므로, 그러한 수단에 의해서 비틀림 강성이 역시 증강된다. 빔(1)의 단부들 상에서 웨브(4, 4')들이 밀폐 판(5)에 의해 연결된다.
빔(1)이 상당히 긴데도 불구하고 밀폐 판(5)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랜지(3, 3')의 도움에 의해서, 그리고 하부 플랜지 위에서의 웨브(4, 4')의 연결에 의해서 차량이 통과하는 중에 빔이 바람직하지 않게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폐쇄 판(5)의 영역에 기본 하중 지지 판(6)이 마련되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및 체결구와 함께 작용한다. 이에 의해, 빔(1)은 대응하는 지주 상에서 정확하게 정렬되어 위치된다.
웨브(4, 4')들 사이에 중공 공간이 마련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주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특히 내비틀림성이 있는 빔(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1의 빔(1)은 추가의 바닥 강화 판(7)을 포함한다. 바닥 강화 판(7)은 그 자체가 하부 플랜지(3, 3')들 사이에서 연장되어서 강화 봉(8)에 의해서 그 하부 플랜지들과 결속된다.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바닥 강화 판(7)은 빔(1)의 개방 공간 안쪽으로 연장되는 강화 봉(8)과 함께 콘크리트 안에 싸인다. 이는 일례로 빔(1) 내의 여러 가지 조립식 건조 구성요소들을 설치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장착 목적의 빔(1)의 중공 공간으로의 접근성이 향상된다. 바닥 강화 판(7)은 빔(1)에 해제 가능하게 혹은 해제 가능하지 않게 일례로 나사 체결되거나 아니면 결속된다. 어떤 경우라도 바닥 강화 판(7)은 빔(1)을 비틀림에 대한 내성에 있어서 강화되게 한다.
빔(1)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 봉(9)이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 3')가 배치된다. 더욱이, 빔(1)은 일례로 강-섬유 함침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이에 의해 또 다른 추가적인 구조 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밀폐 판(5)은 빔(1)과 추가의 빔과의 연결을 위한 사전 제조 체결구를 적소에 구비한다. 이외에도, 요소들에 초기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홈도 마련된다. 밀폐 판(5)은 상기 초기 장력 인가 요소용 돌출부의 고정부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빔(1)은 변형 작용과 관련하여 사전에 특정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d사하게 장력 벽감(niche) 안에 빔(1)의 장력 인가나 혹은 여러 빔(1)들의 연결을 위한 요소들이 있다.
도 2는 빔(1)의 부분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부 플랜지(2)와 웨브(4)는 밀폐 판(5, 5')을 구비하는 단일품으로 구성된다. 밀폐 판(5, 5') 상에는 하중지지 판(6, 6')이 배치된다. 밀폐 판(5, 5')과 하중지지 판(6, 6')은 각기 다른 두께로 구성된다. 얇은 밀폐 판(5) 상에서 빔(1)이 다른 빔과 결합되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이음에 의해서 다중 분할 빔이 형성된다. 하부 플랜지(3, 3')의 영역에 기부 판(7)이 위치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기부 판(7)은 웨브(4, 4')들 사이의 개재 공간에 아주 긴밀하게 되고 일 단부의 밀폐 판(5)으로부터 다른 단부의 밀폐 판(5')까지 이르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실제 빔을 제조한 이후의 첫 번째 시간 동안에 밀폐 중공 공간이 안에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빔은 비틀림 강성을 가지는데, 그 강성은 종래의 빔의 강성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도 3에는 기부 판(7)이 없는 빔(1)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 빔(1)의 강성을 얻기 위하여, 빔(1)의 중간에 배치되는 칸막이(13)가 마련된다. 칸막이(13)는 하부 플랜지들을 서로 결속시킬 뿐만 아니라 웨브(4, 4')들로 결속시키고, 이에 의해 웨브(4, 4')들과 하부 플랜지(3, 3')들의 서로에 대한 변위를 눈에 띄게 피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빔(1)은 그 비틀림 강성이 결부되어 있는 한은 예상할 수 있는 장치를 위한 여러 경우에서 자기 부상 철도 선도로서 적합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빔은 2개의 칸막이(13)를 포함한다. 2개의 칸막이(13)들 사이에는 바닥 강화 판(7')이 배치된다. 바닥 강화 판(7')은 기본적으로는 어느 한 칸막이(13)로부터 다른 칸막이(13)까지 이르게 된다. 반면에, 칸막이(13)와 밀폐 판(5, 5') 사이의 구역은 바닥 판이 없이 제조된다. 이러한 종류의 빔(1)은 도 3의 빔과는 달리 증강된 비틀림 강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바닥 강화 판(7)을 칸막이(13)와 밀폐 판(5, 5') 사이의 영역에 항상 배치시키거나 혹은 칸막이(13)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삽입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스터브 칸막이(13)를 구비하는 빔의 종단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이들 칸막이는 기본적으로는 중공 공간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상부 플랜지(2)의 단부와 스터브 칸막이(13)의 영역에 콘솔(14)이 제공되고, 그 콘솔 위에는 (도시되지 않은) 차량 안내용의 부속 고정물이 부설된다. 강화 봉에 의해 콘크리트 내에 고착된 콘솔(14)은 스터브 칸막이(13)에 의해서 빔(1) 안으로 힘을 탁월하게 도입시킨다. 이와 같은 배열로 된 스터브 칸막이(13)는 빔(1)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외에도 차량 안내 체결구용의 최적화 체결을 빔에 부여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의 빔(1)을 도시하고 있다. 빔(1)의 하부 플랜지(3, 3')는 그 상부 측면이 검사 차량이나 전조 차량용의 철도 선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부 플랜지(3, 3')의 상부 측면에는 차량용의 주행 궤도를 배치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
도 5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칸막이(13)는 일반적으로 중공 공간의 상부 부분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콘솔(14)에 의해서 빔(1)에 내향으로 유도되고 이에 따라 웨브(4, 4')와 하부 플랜지(3, 3')에 내향으로 유도되는 힘의 흐름을 받아들이게 된다.
도 6에 따르면, 태양 전지(20)가 웨브(4')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건조 모드는 웨브(4')가 웨브(4)에 비해서 태양 복사열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웨브(4')의 측면은 더 많이 가열되고 그에 따라 열의 균일화가 실행되지 않는 한은 빔(1)의 변형에 일조를 가하게 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열 보정은 태양 전지(20)와 이에 부속된 전도체(21)에 의해 실행된다. 전도체(21)는 열 전달 유체를 빔(1)의 태양 빛을 받는 측면으로부터 응달에 놓여 있는 측면으로이송시킨다. 이상에서 언급한 수단에 의해, 웨브(4)와 하부 플랜지(3)는 급기야 유사하게 가열된다. 이는 결국 빔(1)의 양 측면에서의 열 팽창이 비슷해지고 그에 따라 빔(1)의 변형이 허용 공차 범위 내에 유지되게 한다. 열 전달이 일례로 상부 플랜지(2)로부터 하부 플랜지(3, 3')까지 전도체(21)의 대응하는 전달 과정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 3') 사이에는 유사한 열 균등화가 발생된다. 기존의 태양 전지(20) 대신에 피복물, 단열 요소, 냉각 또는 가열 요소, 그리고 차양 장치에 의해서 빔(1)의 단열 또는 열 흡수를 실행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빔(1)의 또 다른 실시예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빔의 경우, 하부 플랜지는 단일 건조 구성요소로 구성된 반면에, 상부 플랜지(2)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열 내의 개방 공간은 빔(1)의 상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 판(7)에 의해서 빔(1)의 중공 공간이 폐쇄된다. 플랜지(2, 2', 3)에서는 장력 강화 봉(9)들이 각각 외부 영역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들 강화 봉(9)을 플랜지(2, 2', 3)의 외부 영역에 배치함에 따른 특별한 특징은, 빔(1)을 장착한 후에도 여전히 강화 봉(9)으로는 접근할 수 있고 빔(1)을 y 방향과 z 방향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상기 y 방향과 z 방향에서의 조정은 각 장력 인가 봉(9)의 대응하는 사후 장력 인가를 통해서 행해지고, 이에 의해 빔(1)은 특정 방식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일례로 지면의 기초가 꺼지거나 혹은 행로의 신장에 있어서의 기타 다른 변화가 있는 경우, 행로 요건에 맞는 빔(1)의 정확한 조정을 취할 수 있다. 조정은, 관련된 장력 인가 부재(9)의 일 측면 가열에 의해서 빔(1)의 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다소간의 응력을 대응하여 가하게 되는, 온도 의존성 제어형 압축 수단의 설치에 의해서 특히 섬세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압축 수단은 대응하는 태양 전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빔(1)용의 모듈형 조립식 거푸집의 개략도를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거푸집은 기본 프레임(31)으로 구성되고, 그 기본 프레임 위에는 거푸집 모듈의 나머지가 위에 건조되어 있다. 최종 거푸집 모듈은 코어 부분(32a, 32b)과 t형 측면 모듈 부분(33a, 33'a, 33b, 33'b)을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다른 종류의 모듈과도 힘을 아주 덜 들이고도 교환할 수 있다. 더욱이, 빔(1) 내의 홈을 유지할 수 있는 충전 부재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의 거푸집용의 선택적인 코어 부재(32'a)를 도시하는 것이다. 코어 부재(32'a)에 의한 코어 부재(21a)의 교환에 의해, 스터브 칸막이가 마련된 빔을 얻게 된다. 코어 부재(32'a) 내의 홈에 의해 얻어지는 짧은(스터브) 칸막이(점선으로 표시됨)는 기본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을 나타낸다.
도 10은 빔을 이 빔용의 개략적으로 도시된 거푸집과 함께 종단면도로 도시하는 것이다. 기부 프레임(31) 상에는 코어 부재(32c, 32d)와 단부 거푸집 부재(34, 34')가 조립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개별적인 거푸집 모듈을 건조하게 되면, 정해진 길이를 갖는 빔(1)이 제조된다. 보다 짧은 빔(1)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10a에 따라서 코어 부재(32d)를 코어 부재(32'd)와 단부 거푸집 부재(34')로 교체시키게 되면, 소망하는 길이의 빔(1)이 기부 프레임(31) 상에 편위되게 배치된다.
아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단계의 아주 간단한 건조 작업에 의해서 각기 다른 빔(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행로의 특정된 신장을 위하여 다수의 빔(1)을 건조함에 있어서 거푸집 상의 수단들을 크게 재가공하지 않아도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각각의 빔(1)을 사전에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실질적인 이점을 포함한다.
빔(1)용의 강화 봉의 장력을 해제하는 동안에 코어(32c, 32d)들 간의 버팀대 등을 없애기 위해서 코어 부재(32c, 32d)들을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배치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코어 부재(32c, 32d)들이 해제된 빔(1) 내에서 걸릴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도 11 및 도 11a는 하중 지지 콘솔 판(6)의 영역에 있는 거푸집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것이다. 빔(1)이 사전 제조 체결구 상에서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중 지지 판(6)은 빔(1)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부 프레임(31)의 거푸집 모듈(31a)을 다시 한번 마련한다. 모듈(31a)에 관한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빔(1)은 약간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 지지 판(6) 내에 지지 체결구가 배치되는데, 그 위에는 빔(1)이 놓인다. 지지 판(16)은 하중 지지 판(6)의 콘크리트 내에 장착 볼트로 고착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31'a)는 지지 판(16)들이 평행하게 연장되기는 하지만 높이에 있어서는 서로가 상당히 편위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것은 기부 판(31) 상의 모듈을 간단하게 교체하기만 해도 이루어진다.
여기에 제시된 거푸집의 선택적인 실시예나 혹은 그에 추가되는 실시예로서, 하나의 기부 프레임(31) 상에 다수의 빔(1)을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기부 프레임(31) 상에서 하나의 긴 빔(1)이나 혹은 2개의 짧은 빔(1)을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각기 다른 코어 부재(32)와 추가의 단부 거푸집 부재(34)를 사용하여서 이들을 기부 프레임(31) 상에 설치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빔(1)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빔(1)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2) 위와,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의 기능 평면의 체결을 위한 콘솔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치되는 상부 플랜지의 단부 위에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웨브(4, 4')가 있다. 2개의 웨브(4, 4')들 사이에는 빔(1)의 중공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공 공간은 실질적으로 빔(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상기 중공 공간은 어떠한 경우에도 칸막이에 의한 빔(1)의 추가 강화를 방해한다. 웨브(4, 4')의 상부 플랜지(2)로부터 떨어져 있는 단부에는 하부 플랜지(3, 3')가 있다. 하부 플랜지(3, 3')는 그들 자체가 빔(1)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하부 플랜지(3, 3')는 웨브(4, 4')와 다소 같은 두께를 보여주고 있다. 하부 플랜지(3, 3')의 외향으로 퍼지는 형상에 의해 보다 큰 빔(1) 강성을 얻을 수 있다. 하부 플랜지(3, 3')의 외부 표면이 적절하게 경사진 구성에 의해, 눈과 얼음이 구조체에 덜 달라붙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부 플랜지(3, 3')는 칸막이(1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또한 빔(1)의 주조 강도를 증강시키는 데 기여한다. 칸막이(13)들은 각각 빔(1)의 길이 범위를 따라서 배분된다.
칸막이(13)는 빔(1)의 실제 제조 과정에 이어지는 작업 단계들 중 한 작업 단계에서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거푸집을 적절하게 세분함으로써 거푸집의 각 모듈들을 빔(1)의 중공 공간 내의 칸막이(13)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빔을 거푸집으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각 모듈들은 빔(1)의 종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각 칸막이(13)들 사이의 중공 공간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빔(1)으로부터 철수시킬 수 있다. 거푸집을 본 발명에 의거 각각의 모듈로 분리시킴으로써, 대응하는 거푸집 모듈들의 종방향 활주가 아주 용이하게 실행된다. 이로 인해, 칸막이(13)를 구비한 빔(1)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작업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빔(1)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거푸집을 여러 개의 모듈로 세분하는 것을 이용하는 동일한 방법이 기부 판(7)(도시되지 않음)의 장착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기부 판은 빔(1)의 일 부분 위에만 설치된다. 작동 관계에 있어서, 거푸집의 종방향 활주에 의하면, 기부 판(7) 상에 중공 공간이 유지되고 대응하는 거푸집 모듈이 기부 판(7) 이외에도 빔으로부터도 측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기부 판(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빔도 또한 아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점선을 따라서 빔을 관통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칸막이(13)는 주로 빔(1)의 하부 부분, 즉 하부 플랜지(3, 3')의 영역에 위치된다. 웨브(4, 4')의 영역에는 빔(1) 내측에 중공 공간이 형성된다. 이 중공 공간의 효과는 빔(1)의 제조 중의 재료 소모가 적다는 것이다. 더욱이, 중공 공간에 의해, 공급 라인이 놓이는 공간이 제공된다. 빔(1)은종단부에서 밀폐 판(5, 5')에 의해 밀폐된다. 밀폐 판(5, 5')에는 부재들에 장력을 인가하거나 부재들을 추가의 빔(1)에 연결하기 위한 고착 부재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연결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14 및 도 15에는 모듈형 건조에 의해서 아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빔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거푸집 영역의 교체에 의해 서로 유사하기는 하지만 각기 다른 다수의 빔(1)들을 제조할 수 있다. 이것은 변경시킨 거푸집 모듈을 적용함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도 14에 따르면, 주로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 3')를 구비하는 하부 빔(1)이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빔은 일례로 다리 건설 작업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둥이 없는 주행로의 배치를 위해, 빔(1)을 최소 높이로 건조하게 되면 아주 편리하다. 이 목적을 위해, 중공 공간이 없는 빔(1)을 타설하게 되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거푸집을 가지고 하게 되면 용이해지는데, 그 이유는 대응하는 거푸집 모듈들이 거푸집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빔(1)의 전체 체적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은 칸막이(10)들을 바닥 판(7)과 함께, 혹은 바닥 판(7)이 없이 설치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칸막이(1)는 전체 벽 두께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칸막이에는 천공 구멍들을 마련할 수 있다. 칸막이도 밀폐 핀(5, 5')과 마찬가지로 탈형 경사부를 갖게 되면 빔(1)의 삽입 도구 내의 거푸집 부품을 빔(1) 밖으로 아래에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기부 판(7)은 콘크리트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거푸집 또는 거푸집 부품을 특히 검사하거나 제거할 목적의 개구부도 포함한다. 기부판은 콘크리트로 경화시키거나 혹은 예를 들어 나사로 제위치에 체결시킬 수 있다. 연결 지점의 적절한 성형에 의해, 기부 판(7)과 빔(1) 사이의 추력 저항 연결이 이루어진다. 기부 판(7)은 거푸집이 외측에서 적용될 수 있고 호스에 의해서 콘크리트가 중공 공간 안으로 주입되어서 바닥 판을 건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기부판(7)은, 빔(1)이 콘크리트 베드 안에 설치되고 그 콘크리트 베드는 빔(1) 밖으로 연장되는 강화 봉에 의해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빔(1)과 신속하게 결합되고 중공 공간을 밀폐하도록 하여 제조될 수 있다.
빔의 변형을 위해, 장력 인가 요소의 목표 가열이 실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필요한 경우에는 빔의 신뢰성 있는 공차가 고수된다.

Claims (41)

  1. 콘크리트,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 궤도 안내 차량용의 주행로, 특히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의 지지체로서, 빔(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플랜지(2)와, 마찬가지로 빔(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4, 4')를 구비하고, 제1 플랜지(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웨브(4, 4')의 단부에 제2 플랜지(3, 3')가 위치되고, 플랜지(2, 3, 3') 상의 서로 이격된 단부들에 차량 안내용의 추가 건조 부재들이 배치되어 있는, 지지체(이하, "빔"이라 함)에 있어서,
    제1 플랜지(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웨브(4, 4')의 각 단부 상에 제2 플랜지(3, 3')가 각각 배치되고, 제2 플랜지(3, 3')는 웨브(4, 4')의 단부로부터 실질적으로 빔(1)의 외측까지 외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 제1항에 있어서, 제2 플랜지(3, 3')의 영역에 있는 웨브(4, 4')들은 제1 플랜지(2)에 있는 것들보다 서로가 더 이격되어 있고, 이와 같은 제조 시에 빔(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제2 플랜지(3, 3')의 측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2)는 하부 플랜지(2)이고, 제2 플랜지(3, 3')는 빔(1)의 상부 플랜지(3,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의 횡단면 무게 중심은 횡단면의 평균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4, 4')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밀폐 판(5, 5')이 빔(1)의 단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판(5, 5') 상에 빔(1)용의 지지 콘솔 판(6, 6')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칸막이(13)가 중공 공간 안에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는 웨브(4, 4')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13)들이 빔(1)의 횡방향 초기 장력 인가 부재의 영역에, 그리고/또는 추가 고정물, 특히 차량 안내용 콘솔(14)의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칸막이(13)가 웨브(4, 4')의 일부를 서로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을 제조한 후에, 중공 공간의 영역 내에 있는 제2 플랜지(3, 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닥 판(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1.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7)이 콘크리트 내에 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2.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7)이 금속,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며 틀 형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하중지지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 판(7)이 빔(1)과 함께 비틀림에 저항할 수 있도록 빔(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 내에 초기 장력 인가 요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2, 3, 3')의 외부 영역에 장력 강화 봉(9)이 연결 없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장력 부재가 중공 공간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장력 부재가 단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1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판(5, 5')들 중 적어도 한 밀폐 판에, 특히 중공 공간의 영역에, 장력 홈(11)들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 판(5, 5')들 중 적어도 한 밀폐 판에, 특히 중공 공간의 영역에, 초기 장력 인가 요소용의 장력 봉의 고착을 위한 강판(10)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1.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이 다수의 분할 빔의 일부이고, 다수의 정밀하게 정렬된 빔(1)들은 초기 장력 인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2.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 및/또는 제2 플랜지(2, 3, 3')는, 차량에 대한 공기 흐름이 양호해지도록 하면서 차량으로 인한 단면의 변화를 탁월하게 피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양 복사열에 노출된 제1 플랜지(2)와 제2 플랜지(3, 3') 상의 빔(1)의 표면 및/또는 몸체는 서로 유사하게 낮은 온도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열 흡수 및/또는 반사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페인트 피복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에 차양 요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 또는 제2 플랜지(2, 3, 3')가 또 다른 차량, 특히 건조용 차량, 검사용 차량, 또는 원조 차량용의 주행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 사이에 열 보정 수단, 특히 열 전달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2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및 펌프를 구비하는 열 균등화용 제어 및 조절 시스템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3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균등화 수단은 열 전달 액체, 특히 오일을 구비한 도관이고, 상기 열 전달 액체는 상기 도관을 관통하여 능동적 혹은 수동적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31.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균등화 수단이 냉각 및/또는 가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32.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의존성 제어형 압축 수단에 의해서, 특히 관련 장력 인가 부재(9)의 한 측면의 가온에 의해서 빔(1)이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33.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은 적절한 태양 전지및/또는 태양광 집광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34. 콘크리트, 특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는 궤도 안내 차량용의 주행로, 특히 자기 부상 철도 선로용의 지지체로서, 빔(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플랜지(2)와, 마찬가지로 빔(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웨브(4, 4')를 구비하고, 제1 플랜지(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웨브(4, 4')의 단부에 제2 플랜지(3, 3')가 위치되고, 플랜지(2, 3, 3') 상의 서로 이격된 단부들에 차량 안내용의 추가적인 보조 고정물이 배치되어 있는, 지지체(이하, "빔"이라 함)(1)용의 거푸집, 특히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1)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에 있어서,
    각 모듈들을 교환함으로써 각기 다른 다수의 빔(1)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한 개별적인 모듈(31, 32, 33, 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5. 선행하는 항에 있어서, 탈형 중에 장력 부재를 해제할 때의 길이 보정용 모듈들이 서로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이 여러 가지 하중 지지용 돌출 콘솔들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중 지지판의 영역에 있는 모듈에지지판(1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하는 콘솔의 영역에 있는 모듈이 지지 판을 수용하기 위한 그라우팅 및 통기용의 개구가 구비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이 각기 다른 빔 길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4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이 각기 다른 형상의 중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41.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이 개수, 형상, 크기에 있어서 각기 다른 칸막이(13)들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KR10-2003-7003654A 2000-09-12 2001-09-01 지지체 KR200300387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5336.8 2000-09-12
DE10045336 2000-09-12
DE10064724.3 2000-12-22
DE10064724 2000-12-22
DE10111918 2001-03-13
DE10111918.6 2001-03-13
DE10120909 2001-04-30
DE10120909.6 2001-04-30
DE10133318.8 2001-07-12
DE10133337A DE10133337A1 (de) 2000-09-12 2001-07-12 Träger für ein spurgebundenes Hochgeschwindigkeitsfahrzeug
DE10133318A DE10133318A1 (de) 2000-09-12 2001-07-12 Fahrwegträger
DE10133337.4 2001-07-12
DE10133316A DE10133316A1 (de) 2000-09-12 2001-07-12 Träger
DE10133316.1 2001-07-12
PCT/EP2001/010100 WO2002022389A1 (de) 2000-09-12 2001-09-01 Trä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738A true KR20030038738A (ko) 2003-05-16

Family

ID=2743787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653A KR100794772B1 (ko) 2000-09-12 2001-09-01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
KR10-2003-7003654A KR20030038738A (ko) 2000-09-12 2001-09-01 지지체
KR10-2003-7003664A KR20030033057A (ko) 2000-09-12 2001-09-01 선로 지지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653A KR100794772B1 (ko) 2000-09-12 2001-09-01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664A KR20030033057A (ko) 2000-09-12 2001-09-01 선로 지지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0794772B1 (ko)
DE (3) DE10133337A1 (ko)
PL (2) PL360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3949A1 (de) * 2003-11-18 2005-06-16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Verfahren zum lagegenauen Aufstellen eines Trägers für einen Fahrweg und Fahrweg
DE102006044386A1 (de) * 2006-09-18 2008-03-27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Träger und Verfahren zum Beheizen von Führungselementen an einem Träger
KR100744098B1 (ko) * 2006-11-24 2007-08-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철도 궤도 및 이를 구비한 교량
AT513351A1 (de) * 2012-09-13 2014-03-15 Innova Patent Gmbh Station für eine Seilbahnanlag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8047C (de) * 1953-04-03 1955-05-31 Gutehoffnungshuette Sterkrade Eisenbahnbruecke mit geschlossener Fahrbahn
US4631772A (en) * 1983-12-28 1986-12-30 Bonasso S G Tension arch structure
DE3639265A1 (de) * 1986-11-17 1988-06-16 Marijan Dipl Ing Kresic Dom-schalung
DE4115936A1 (de) * 1991-05-16 1992-11-19 Dyckerhoff & Widmann Ag Aus stahl- oder spannbeton bestehender traeger fuer einen fahrweg fuer magnetschwebefahrzeuge
US5437072A (en) * 1992-01-23 1995-08-01 J. Muller International Rapid transit viaduct with post-tensioning cable system
DE4434121A1 (de) 1994-09-23 1996-03-28 Thyssen Industr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agegenauen Anordnung von Funktionskomponenten an der Tragkonstruktion von Fahrwegen für spurgebundene Fahrzeuge, insbesondere Magnetschwebebahnen
DE19619866C2 (de) * 1996-05-17 2003-10-02 Boegl Max Bauunternehmung Gmbh Fahrweg für Magnetbahnzüge
AU4803299A (en) * 1998-07-01 2000-01-24 Grimbergen Holding B.V. Railway system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as well as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DE19841936C2 (de) * 1998-09-14 2001-03-01 Boegl Max Bauunternehmung Gmbh Fahrweg für Hochbah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0674A1 (en) 2004-09-20
KR100794772B1 (ko) 2008-01-15
KR20030033057A (ko) 2003-04-26
DE10133337A1 (de) 2002-09-19
KR20030036781A (ko) 2003-05-09
PL361362A1 (en) 2004-10-04
DE10133318A1 (de) 2002-09-19
DE10133316A1 (de)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0533B2 (ja) ビーム
KR101212729B1 (ko) 모노레일용 곡선 궤도빔의 몰드실 제조 장치
JPH02248501A (ja) 磁気軌道等に軌条連結した輸送系用の走行路支持体
CN202482709U (zh) 一种预制式浮置板道床
CN104999547A (zh) 磁浮曲线轨道梁自动模板系统及使用方法
CN108194116B (zh) 一种地铁车站整体预制轨顶风道装配结构
CA2323977A1 (en) Travel way for land transport systems
US8869336B2 (en) Overhead form traveller and method
KR20080030662A (ko) 교량 구조물의 고정 주행 트랙
CN109112961B (zh) 一种超薄桥面结构、桁架桥及桁架桥的构建方法
KR20120140386A (ko) 내부중공재를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30038738A (ko) 지지체
US3967560A (en) Bending beam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3306170A (zh) 一种预制短板浮置道床及施工方法
CN216378953U (zh) 隧道内铺设的磁浮轨道梁系统
CN202577061U (zh) 预制式浮置板
US4742591A (en) Cable stayed bridge having box edge beams and method of construction
CZ2002418A3 (cs) Jízdní dráha pro směrově vedené, kupříkladu kolejové vozidlo, zejména pro magnetickou visutou dráhu a způsob její výroby
CN216378954U (zh) 一种隧道内敷设的内嵌式磁浮轨道梁系统
JPH06299501A (ja) 磁気浮遊式車両用の走行路
JP2002129502A (ja) トランスラピッドの走路
CN211006170U (zh) 一种高速磁浮交通钢-混凝土组合结构轨道板
CN108396664B (zh) 桥梁临时伸缩装置
CN220724832U (zh) 全支撑装配式桥梁伸缩装置
ZA200301983B (e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