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772B1 -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772B1
KR100794772B1 KR1020037003653A KR20037003653A KR100794772B1 KR 100794772 B1 KR100794772 B1 KR 100794772B1 KR 1020037003653 A KR1020037003653 A KR 1020037003653A KR 20037003653 A KR20037003653 A KR 20037003653A KR 100794772 B1 KR100794772 B1 KR 10079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elete delete
high speed
support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781A (ko
Inventor
레이첼디에터
페이스쥬르겐
Original Assignee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막스 뵈글 바우운터네뭉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1/01009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22956A1/de
Publication of KR2003003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05Rails or support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2Stators, guide rails or slide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ilway Track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궤도 고속 차량, 특히 자기 부상 열차용 지지체(1)는 기둥 (9) 상의 간격에 장착된다. 차량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성 요소(7)는 지지체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지지체(1)의 외부 표면은, 종방향에서 지지체(1)를 볼 때, 지지체 (1)의 단면에 대체로 변화가 없고 지지체(1)의 형상이 차량에 대향된 기둥(9)을 대부분 커버한다는 사실에 의해 차량에 관해서 유선형 형상으로 제공된다. 주행로의 만곡 구역에서, 지지체(1)는 더 짧게 되고, 필요하다면 주행로의 직선 구역에서 보다 더 낮게 된다.

Description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SUPPORT FOR A TRACK-GUIDED HIGH-SPEED VEHICLE}
본 발명은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이후에는 "빔(beam)"으로 명명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허 청구범위 제18항의 포괄적인 양태에 따르는 것으로서 빔이 교각(pier)들 상에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되고 상기 빔의 외측면에 차량의 유도를 위한 기능성 요소가 배치되는 자기 부상 선로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공보 DE 41 15 935 C2는, 예를 들어, 차량 유도를 위한 부속 장치가 내측을 향하여 빔에 배치되는, 자기 부상 선로를 위한 주행로 구조에 대해 개시하였다. 단면 형상을 보면, 빔은 U자형으로 되어 있다. 빔은 교각 위에 지지되는데, 빔의 향상된 수용을 위하여 상기 빔이 놓여지는 위치에 홀더(holder)가 제공된다. 홀더는 자체적으로 외측 상의 U자형 단면 주위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빔을 고정시킨다. 홀더는 교각들 상의 지지 표면에 의해 번갈아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주행로의 경우에서의 단점은 빔이 개방된 빔 구조로 인하여 비교적 큰 탄성도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주행로의 이러한 설계에 의해, 차량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장비 위치들이 서로 매우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빔의 만족스런 고정과 장비 구성 요소들의 배치가 홀더의 보조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독일 특허 공보 DE 38 25 508 C1은 실질적으로 중공 T자형 빔으로 이루어진 주행로를 개시한다. 빔의 상부 플랜지(upper flange)의 외측면에는 자기 부상 차량의 유도를 위한 기능성 요소가 배치된다. 빔은 빔의 기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를 갖춘 개별적인 교각들에 다시 지지된다. 상기 형태의 빔의 경우에서의 단점은, 주행로의 이러한 설계가 독일 특허 공보 DE 41 15 935에 따라 건설된 주행로보다 기능성 요소들이 서로에 대하여 훨씬 더 정확하게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빔이 나쁜 비틀림 강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예를 들어 흔히 차량의 러프 라이드(rough ride)로서 나타내는 500 km/h를 넘는 초고속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에 특히 잘 나타난다.
유럽 특허 공보 EP 0 987 370 A1은 자기 부상 차량용 주행로를 개시한다. 주행로는 빔으로 구성되고, 빔 상에 체결 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빔은, 상기 빔의 단부에 배치되는 부착 콘솔에 의해, 지지 기둥 또는 교각에 고정되는 사전 성형 콘크리트 구조이다. 빔의 종방향에서, 부착 콘솔을 제외한 빔 자체는 단면 치수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빔은 차량이 교각들 상으로 지나갈 때 매우 심한 공기 난류가 일어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기술 수준의 상술된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특히 최신의 자기 부상 차량이 상기 속도로 고속 주행하는 동안에, 빔의 유동 저항과 그 지지 수단이 차량의 쾌적 주행을 방해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빔이 지지되는 교각 또는 빔의 홀더는 가압 공기가 저항을 겪게 되는 경우에 차량에 간헐적인 버펫(periodic buffet)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자기 부상 선로에 적절하게 적합시킨 빔에 의해, 자기 부상 차량의 부드럽고 편안한 주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8항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만약 빔의 외부 표면이 차량에 대해서 바람직한 기류를 주도록 고려하여 건조된다면, 빔의 종방향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 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빔의 구 조는 차량과 관계된 교각들을 잘 커버(cover)하며, 이에 따라 바람직한 본 발명의 방식에서는 차량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밀쳐진 공기가 균일하게 빠져나갈 수 있고 따라서 차량의 부드러운 주행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빔의 설계에 의해, 차량이 균일하고 편안한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사실 때문에, 빔의 단면은 거의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고, 반복적인 유동 충격이 차량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는다. 차량과 관련해서, 교각들이 커버되고, 따라서 빔의 지지체가 차량으로부터 가압된 공기의 누출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균일한 기류가 또한 발생된다. 이것은 또한 차량의 균일한 주행에 이바지한다.
빔은 차량의 후류와 관련해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교각들을 커버하거나 교각들을 보호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되는 경우에는, 빔의 기본 구조의 형상 때문에, 어느 교각에서든 기류가 충격 없이 바로 빠져나가게 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빔이 교각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콘솔을 구비하고 기류가 비저항적이 되도록 상기 콘솔이 형성되거나 배치된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빔이 그 중공부의 검사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한다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빔의 접근성 및 신뢰성 있는 감시가 정기적으로 예정된 검사를 하는 동안 쉽게 실시될 수 있다. 이 외에, 검사원이 차량의 운전에 종속적인 또는 독립적인 전원공급 라인(supply line) 및/또는 통신(communication) 라인을 설치하거나 유지하기 위해서 빔의 개구를 통하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빔 중공부의 이들 용도에 의해, 매우 경제적으로 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 과 관계없는 라인들이 자기 부상 선로의 현재 이용 가능한 한도에서 설치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경제적인 종류의 라인 이용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신 라인용 별도의 빔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거나 혹은 그 통신 라인을 별도로 지하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 빔은 유도 요소의 수용을 위하여 기류가 비저항적이게 하는 양호한 여유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여유 공간은 차량의 기능성 장치를 또한 수용한다. 상기 여유 공간은 본질적인 단면 변화가 없이 플랜지 구역에서 빔을 따라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영향을 가했던 기류는 차량으로부터 이동되어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I-빔은 특히 높은 안정성, 비틀림 저항성 및 하중 수용량을 가진다.
교각들 상의 빔의 위치는 지지 요소가 빔의 하부 플랜지 상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교각뿐만 아니라 지지 요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교각을 커버하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하부 플랜지에 의해 덮여져 커버된다. 기류 충격은 이러한 방식에 의해 방지된다.
빔의 특히 바람직한 건조 형식은 빔이 콘크리트, 특히 사전 성형 콘크리트 구성 요소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작 공장에서 매우 정확하고 결함이 없는 빔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으로, 수반되는 제작 장소와 같은, 빔을 제작하는 동안 기후 요건을 위한 부속 건물이 필요 없게 된다.
빔의 고도의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 하부 플랜지가 상부 플랜지보다 더 넓다 면 바람직하다.
보다 좋은 빔의 강도를 위하여, 빔이 격벽 또는 헌치(haunch)를 구비한다면 바람직하다.
빔의 단면 형상은, 이러한 장점에 따라, 더 작은 치수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동일한 구조 강도를 여전히 유지한다. 만약 헌치가 빔 내에 배치된다면, 증가된 강도 외에, 부재를 인장시키는 단순한 정착 가능성(anchorage-possibility)이 일어난다.
만곡이 고려되는 구역에서, 빔은 바람직하게 공간 만곡부를 형성하는데, 빔은 그 종방향 축선의 회전에 대하여 지지되고, 외팔보 암을 길게 하거나 혹은 짧게 함으로써 반경이 형성된다.
만곡부를 형성하게 하는 다른 가능성은 빔의 상부 플랜지가 그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외팔보 암을 길게 하거나 혹은 짧게 함으로써 반경이 형성되는 것이다.
빔의 공간 만곡부는 만곡 구역에서 또한 구성될 수 있는데, 기능성 요소의 체결 콘솔이 빔의 종방향 축선의 연장 방향에서 수직으로 편위되고 체결 콘솔을 길게 하거나 혹은 짧게 함으로써 반경이 형성된다.
삭제
빔의 중공부가 저부에서 개방된다면, 하부 플랜지가 두 개의 부분으로 건조되고, 보다 덜 무겁고 더 경제적인 빔이 만들어지며, 구조 강도에 관하여 요구된 필요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중공부가 격벽을 구비한다면, 빔은 추가적으로 강화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얻어지는 장점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어진 빔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의 다른 단면도.
도 4는 휘어진 단면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빔의 단면도.
도 5는 휘어진 단면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빔의 또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빔의 사시도.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빔(1)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빔(1)은 조립식 콘크리트 구성 요소로 만들어지고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를 구비한다.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는 웨브(web)(4)에 의해 함께 결합되고 중공부(5)를 형성한다. 중공부(5) 내에 검사원이 진입하거나 라인(lines)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빔당 하나의 개구(10)이면 충분하지만, 중공부(5)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구(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4)는,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의 관계에 있어서, 사다리꼴 단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현재 기술 수준과 비교하여 보면 현재 기술 수준에서 달성되는 빔의 강도 보다 더 높은 강도를 얻게 해줄 뿐만 아니라 빔(1)의 지지 상태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빔은, 비틀림에 아주 강한 내성이 있고, 신뢰할 수 있고 장애가 없는 차량의 운전을 보장한다.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 사이에는 자기 부상 차량의 유도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여유 공간(6)이 제공된다. 차량의 유도를 위하여, 기능성 요소(7)가 상부 플랜지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기능성 요소(7)가 차량과 맞물려지고, 그것에 의해 차량의 하부가 여유 공간(6) 내의 고정자(stator)의 영역에 위치된다. 홀더 또는 지지 수단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빔(1)의 무변동 단면에 의하여, 바람직한 기류를 가지며 반복적 충격이 없는 차량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빔(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각(9)에 있는 지지 다리(bearing leg)(8)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교각(9)은 빔(1)의 하부 플랜지(3)에 의해 완전히 덮여진 적절한 기류 구역의 영역 내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량의 통과로 인한 가압 공기의 장애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빔(1)의 형상은 상술된 장점 외에도 특히 높은 횡 구조 강도 (transverse structural rigidity)를 제공하며 따라서 편안하고 신뢰 가능한 차량의 운전이 보장된다. 하부 플랜지(3)가 상부 플랜지보다 더 넓게 건조되는 설계로 인하여, 빔의 양호한 안정성이 보장된다. 현재 기술 수준의 빔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빔(1)은 재료의 소모가 많지만, 빔(1)이 제공하는 향상된 바람직한 기류 특성 및 차량 운전시 에너지 절감에 의해 상쇄된다.
이러한 형상, 특히 하부 플랜지(3)의 상부 측면이 급하게 기울어진 형상에 의하여, 빔(1)의 전체 표면은 빔으로부터 떨어진 공기 후류(slipstream)가 바람직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같이 교각(9)은 기류의 영향을 받지만 가압 공기의 누출로 인한 소산(dissipation)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2에서는 도 1의 빔(1)과 유사한 다른 빔(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빔(1)은 경사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만곡된 형상인 주행로를 위하여 두 개의 기능성 요소(7)들이 다른 높이로 도시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자기 부상 차량은 더 빠르고 더 편안한 만곡 주행을 할 수 있다. 빔(1)이 로드 베어링 (load bearing)(8)에 직접 위치되지 않고 로드 베어링 콘솔(console)(12)이 제공되어 경사짐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경사진 상태가 이루어진다. 교각(9)뿐만 아니라 교각 상에 위치된 로드 베어링(8)은 로드 베어링 콘솔(12)과 함께 직접 작용하고 간접적으로 빔(1)과 함께 작용한다. 경사진 경사면의 보정은 전적으로 로드 베어링 콘솔(12)에 의해 행해진다. 선택적으로, 어떤 경우에는 교각(8) 자체가 기울어짐을 형성하도록 설비가 만들어질 수 있고 따라서 직선 구역뿐만 아니라 만곡 구역에서도 빔(1)의 지지가 계속된다.
도 3에는 도 1 및 도 2에 대해 변경된 빔(1)이 도시되었다. 또한, 이 경우, 만곡 형상 주행로를 위한 빔의 횡 경사(banking)가 도시되어 있다. 빔(1)은 연장되는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를 구비한 직사각형 단면을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이 경우, 자기 부상 차량이 통과하는 동안의 반복된 공기 충격을 피할 수 있도록, 빔(1)의 형상에 대한 주의가 기울여졌다. 차량에 의해 차량의 후류에서 가압된 공기는 빔(1)의 형상을 지나서 유도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편안한 주행 상태가 제공된다. 특히 빔의 웨브(4) 영역에서의 상기 종류의 빔(1)의 형상을 위해, 차량을 위한 여유 공간(6)은 특히 기류에 적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도 유선형 기술을 사용하는 차량의 유도가 가능하도록, 차량과 빔(1) 사이의 간격은 높이(elevation)에 관한 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는 다르게 설계된 빔(1)을 도시한다. 상기 빔(1)은 전에 도시된 빔들 보다 확실히 높이가 낮다. 이는, 빔(1)이 놓이는 지지 공간에 있어서 그 길이가 본래 더 짧아진 지지 공간이 선택된다는 점에서 가능하게 된다. 빔(1)의 경우에 있어서, 기능성 요소(7)의 체결 콘솔(fastening console)이 조정되어야 하는, 특히 곡선부 주행을 위한 빔 설계는, 만일 각각의 빔(1)이 더 짧게 만들어진다면, 본질적으로 더욱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다. 현(chord)이 더 짧아짐으로 인해 각 빔의 조정이 본래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빔이 주행로 만곡부에서 자세를 취하게 된다. 게다가, 지지체들의 더 짧게 이격된 간격 때문에, 빔(1)의 강도를 동등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빔(1)의 높이가 더 낮아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에 따라 건조 재료가 직선 구역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할 경우 절감된다.
도 4에 따른 빔은 그 기본적 형상에 있어서 도 1의 빔 및 도 2의 빔과 일치하는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빔은 도 3의 기본적인 외형을 가진다. 이는, 도 3의 빔과 도 5의 빔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도 1 또는 도 2의 빔과 도 4의 빔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하지만, 여유 공간은 차량을 위해 본래 동일하기 때문에, 직선 주행과 만곡 주행에 모두에 있어서 차량 부분의 기류 관계는 유사하다.
도 6 및 도 7은, 바람직한 기류가 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빔(1)의 사시도이다. 도 6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단면 형상이 변하지 않는 빔(1)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빔(1)의 단면 변화에 의해 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압 충격이 방지된다. 도 7의 로딩 콘솔(12)은, 이 경우, 빔 위를 지나가는 차량에 의해 발생된 기류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다시 말하면 차량에 다른 작용을 가할 수 없도록 빔(1)에 차례대로 낮게 늘어져(deep) 놓인다.
빔(1)은 그 중공부가 저부에서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또한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플랜지는 이 경우 두 부분으로 된다. 개구는 전체 빔에 걸쳐서 이어질 수 있거나 또는 끊겨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빔의 탈형(demolding)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별한 장점들이 빔의 제작시 얻어진다. 이러한 빔(1)은, 성형과 동시에 존재하거나, 개장(改裝) 방식(retrofit fashion)에서 삽입되거나 또는 격벽(bulkhead)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저부 플레이트(bottom plate)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중공부를 갖는 빔 대신에, 속이 비지 않은 빔에 대한 설계가 포함될 수 있다. 속이 비지 않은 빔은, 이러한 빔이 다리 또는 주요한 건설 작업에 설치되거나 혹은 빔의 길이가 선로의 사용 범위를 위하여 계획된 길이 보다 더 짧게 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차량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비저항적으로 빠져나가고 교각에 인접한 차량의 통과에 따른 기류 충격이 실질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다른 빔 형상들이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빔(1)이 상부 플랜지(2)와 하부 플랜지(3)를 포함하고 교각(9)들 상에 특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2)의 외측면에 차량의 유도를 위한 기능성 요소(7)가 배치되며, 빔(1)의 종방향에서 볼 때 빔(1)의 단면 변화가 없기 때문에 빔(1)의 외부 표면이 차량과 관련한 기류가 비저항적이 되도록 설계된, 궤도 고속 차량을 위한 궤도용 빔에 있어서,
    교각(9)을 지나가는 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빔(1)으로부터 떨어져서 흐르게 하기 위하여, 빔(1)의 하부 플랜지(3)는 기류에 관해서 교각(9)들 상에 놓여진 빔(1)의 종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19.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은 중공부(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0.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은, 교각(9)을 지나가는 차량에 의해 이동되는 기류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교각(9)을 커버하고 보호하는 부착 콘솔(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1.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은 상기 빔(1)의 중공부의 검사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구(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2.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의 중공부(5) 내에서, 차량의 운전에 종속적으로 및/또는 독립적으로 되어 있는 전원공급 라인 및/또는 통신 라인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3.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은 차량의 기능성 요소와 맞물리는 유도 요소(7)의 수용을 위한 여유 공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4. 제 18 항에 있어서, 하부 플랜지(3) 아래에 및/또는 바깥에 있는 베어링 콘솔에, 빔(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요소(8)가 교각 (9)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5.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은 콘크리트, 특히 사전 성형 콘크리트 구성 요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6. 제 18 항에 있어서, 하부 플랜지(3)는 상부 플랜지(2)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7.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은 격벽 및/또는 헌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8.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은 주행로의 만곡 구역에서 공간 만곡부를 형성하고, 빔(1)의 상부 플랜지(2)는 빔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회전되고 외팔보 암을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반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29. 제 18 항에 있어서, 주행로의 만곡 구역 내의 빔(1)은 공간 만곡부를 형성하고, 빔(1)의 종방향에서 기능성 요소(7)의 체결 콘솔이 높이에 관하여 편위되고 체결 콘솔을 길게 하거나 혹은 짧게 함으로써 반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30.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의 중공부(5)가 저부에서 개방되고, 하부 플랜지(3)가 두 개의 부분으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31. 제 18 항에 있어서, 빔(1)의 중공부(5)는 빔 (1)의 강화를 위하여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32. 제 18 항에 따른 궤도 고속 차량용 빔을 갖춘 주행로에 있어서, 주행로의 만곡 구역 내의 빔(1)은 주행로의 직선 구역 내의 빔보다 더 짧게 그리고 가능한 더 낮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을 갖춘 주행로.
  33. 제 32 항에 있어서, 빔(1)은 주행로의 만곡 구역에서 공간 만곡부를 형성하고, 빔(1)의 상부 플랜지(2)는 빔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회전되고, 외팔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함으로써 반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을 갖춘 주행로.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주행로의 만곡 구역 내의 빔(1)이 공간 만곡부를 형성하고, 기능성 요소(7)의 체결 콘솔은 빔(1)의 종방향 축선의 연장 방향에서 그 높이가 편위되고, 체결 콘솔을 길게 하거나 혹은 짧게 함으로써 반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을 갖춘 주행로.
  35. 제1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1)은 자기 부상 차량을 위한 궤도용 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고속 차량용 빔.
KR1020037003653A 2000-09-12 2001-09-01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 KR100794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5336 2000-09-12
DE10045336.8 2000-09-12
DE10064724.3 2000-12-22
DE10064724 2000-12-22
DE10111918 2001-03-13
DE10111918.6 2001-03-13
DE10120909.6 2001-04-30
DE10120909 2001-04-30
DE10133337A DE10133337A1 (de) 2000-09-12 2001-07-12 Träger für ein spurgebundenes Hochgeschwindigkeitsfahrzeug
DE10133318.8 2001-07-12
DE10133316A DE10133316A1 (de) 2000-09-12 2001-07-12 Träger
DE10133318A DE10133318A1 (de) 2000-09-12 2001-07-12 Fahrwegträger
DE10133337.4 2001-07-12
DE10133316.1 2001-07-12
PCT/EP2001/010099 WO2002022956A1 (de) 2000-09-12 2001-09-01 Träger für ein spurgeführtes hochgeschwindigkeits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781A KR20030036781A (ko) 2003-05-09
KR100794772B1 true KR100794772B1 (ko) 2008-01-15

Family

ID=2743787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654A KR20030038738A (ko) 2000-09-12 2001-09-01 지지체
KR10-2003-7003664A KR20030033057A (ko) 2000-09-12 2001-09-01 선로 지지대
KR1020037003653A KR100794772B1 (ko) 2000-09-12 2001-09-01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654A KR20030038738A (ko) 2000-09-12 2001-09-01 지지체
KR10-2003-7003664A KR20030033057A (ko) 2000-09-12 2001-09-01 선로 지지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20030038738A (ko)
DE (3) DE10133316A1 (ko)
PL (2) PL3606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240A (ko) * 2012-09-13 2014-03-21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케이블철도시스템용 정차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3949A1 (de) * 2003-11-18 2005-06-16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Verfahren zum lagegenauen Aufstellen eines Trägers für einen Fahrweg und Fahrweg
DE102006044386A1 (de) * 2006-09-18 2008-03-27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Träger und Verfahren zum Beheizen von Führungselementen an einem Träger
KR100744098B1 (ko) * 2006-11-24 2007-08-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기부상철도 궤도 및 이를 구비한 교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5936A1 (de) * 1991-05-16 1992-11-19 Dyckerhoff & Widmann Ag Aus stahl- oder spannbeton bestehender traeger fuer einen fahrweg fuer magnetschwebefahrzeuge
US5850794A (en) 1994-09-23 1998-12-22 Thyssen Industrie Ag Method for arranging and arrangement of functional components at the track support structure of rail-bound vehicles
EP0987370A1 (de) * 1998-09-14 2000-03-22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Herstellungsverfahren der lagegenauen Verbindungen von Statoren an einer Magnetschwebebahn und deren Tragkonstruk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8047C (de) * 1953-04-03 1955-05-31 Gutehoffnungshuette Sterkrade Eisenbahnbruecke mit geschlossener Fahrbahn
US4631772A (en) * 1983-12-28 1986-12-30 Bonasso S G Tension arch structure
DE3639265A1 (de) * 1986-11-17 1988-06-16 Marijan Dipl Ing Kresic Dom-schalung
US5437072A (en) * 1992-01-23 1995-08-01 J. Muller International Rapid transit viaduct with post-tensioning cable system
DE19619866C2 (de) * 1996-05-17 2003-10-02 Boegl Max Bauunternehmung Gmbh Fahrweg für Magnetbahnzüge
EP1092065A1 (en) * 1998-07-01 2001-04-18 Grimbergen Holding B.V. Railway system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as well as their method of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5936A1 (de) * 1991-05-16 1992-11-19 Dyckerhoff & Widmann Ag Aus stahl- oder spannbeton bestehender traeger fuer einen fahrweg fuer magnetschwebefahrzeuge
US5850794A (en) 1994-09-23 1998-12-22 Thyssen Industrie Ag Method for arranging and arrangement of functional components at the track support structure of rail-bound vehicles
EP0987370A1 (de) * 1998-09-14 2000-03-22 Max Bögl Bauunternehmung GmbH & Co. KG Herstellungsverfahren der lagegenauen Verbindungen von Statoren an einer Magnetschwebebahn und deren Tragkonstruk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240A (ko) * 2012-09-13 2014-03-21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케이블철도시스템용 정차장
KR101662367B1 (ko) 2012-09-13 2016-10-04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케이블철도시스템용 정차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33337A1 (de) 2002-09-19
KR20030038738A (ko) 2003-05-16
DE10133318A1 (de) 2002-09-19
KR20030036781A (ko) 2003-05-09
PL361362A1 (en) 2004-10-04
DE10133316A1 (de) 2002-09-19
PL360674A1 (en) 2004-09-20
KR20030033057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13874B2 (en) Support beam for a track-guided high-speed vehicle
US4641587A (en) Suspended motorized vehicle
PL173950B1 (pl) Podkład poprzeczny do kolejowych urządzeń torowych
ES2212503T3 (es) Bogie de vehiculo ferroviari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larguero de dicho bogie.
KR100794772B1 (ko) 궤도 고속 차량용 지지체
JP2004509248A5 (ko)
JP4398005B2 (ja) 橋形クレーン
US5287811A (en) Flexible branching apparatus in superconducting magnetically levitated railway having variable cross-section main flexible beam
ITMI981473A1 (it) Disposizione di fune per la sospensione di un mezzo di battuta ad un dispositivo portante superiormente disposto
US5361986A (en) Arrangement for laying rail
ES2211386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via ferrea sin balasto.
SK280504B6 (sk) Pracovný voz
KR20220071996A (ko) 산악철도차량용 곡선구간 레일 구조
KR20040025746A (ko) 강성 트랙
US20100242786A1 (en) Guideway
JPH0333301A (ja) 吸引式磁気浮上型車両用の軌道、及びこの軌動を用いた走行システム
US20070125257A1 (en) Method for the precise positioning of a carrier for a track, and corresponding track
US6138958A (en) Spring rail frog
US5782437A (en) Spring rail frog having bendable rail with modified cross-section
ES2523146T3 (es) Traviesa de doble cruz para una superestructura balastada
EP3805067A1 (en) Yunitsky transport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0290488B1 (ko) 교량 보수를 위한 스틸박스 보강장치
JPH09217317A (ja) 橋梁の遮風装置
JPH10110413A (ja) 緩衝式コンクリート防護柵
CN117597283A (zh) 索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