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506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506A
KR20030038506A KR1020020068979A KR20020068979A KR20030038506A KR 20030038506 A KR20030038506 A KR 20030038506A KR 1020020068979 A KR1020020068979 A KR 1020020068979A KR 20020068979 A KR20020068979 A KR 20020068979A KR 20030038506 A KR20030038506 A KR 20030038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ircuit board
crystal display
flexible printe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306B1 (ko
Inventor
야마자끼히로유끼
오오소네도미오
가와무라데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히타치 디바이스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히타치 디바이스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38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145Edge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한 쌍의 가요 필름의 적층 구조, 이 한 쌍의 가요성 필름 내면에 협지되고 또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 도체층 및 상기 한 쌍의 가요성 필름의 한 쪽 외면 상에 상기 복수의 제1 도체층 각각에 대향하여 형성된 복수의 단자군을 포함하는 가요 인쇄 회로 기판과, 그 한 쌍의 기판 한 쪽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단자군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군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가요성 필름의 내면 사이의 상기 복수의 제1 도체층을 이격시키는 부분의 각각에 제2 도체층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자를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상기 한 쪽의 상기 배선군에 압착시킬 때의 상기 한 쪽의 기판에 생기는 크랙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 패널의 전극 단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를 압착 접속할 때의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기판으로의 크랙 발생을 회피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패널형 표시 장치는 유리 등의 절연 기판의 내면에 전극이나 액티브 소자로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를 가진 표시 영역을 형성하고, 이들의 화소에 표시를 위한 신호나 전압(이하, 표시 신호라고도 칭함)을 인가하기 위해 화소의 구동 회로와 호스트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 사이의 접속 수단으로서 가요성 프린트 기판(가요 인쇄 회로 기판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유기 EL 표시 장치나 전계 방사형 음극선관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패널형 표시 장치로서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2매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협지한 액정 표시 패널의 한 쪽 기판에 화소마다 마련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액티브 소자를 갖고 표시 영역을 구성하고, 이 액티브 소자를 스위칭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회로칩을 상기 기판의 주변 상, 또는 주변 근방에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구동 회로칩의 실장 형태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기판의 주변에 직접 탑재하는, 소위 플립칩 방식(FCA 방식)이다. 이 밖에, 상기 구동 회로칩을 가요성 프린트 기판에 탑재하는 방식, 혹은 액정 표시 패널과 외부 장치 사이에 개재하는 인터페이스 기판 상에 탑재하는 방식 등이 실용화 되어 있다. 그리고,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전극 단자가 인출되고, 이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칩의 출력이 접속된다.
FCA 방식에서는 상기 전극 단자에 구동 회로칩의 출력 단자가 직접 접속되고, 유리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회로칩의 입력 단자와 접속하는 패널 입력 단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가 이방성 도전막을 거쳐서 압착 접속된다.
구동 회로칩을 가요성 프린트 기판 상에 탑재한 방식이나 인터페이스 기판 상에 탑재한 방식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인출된 전극 단자를 패널 입력 단자로서, 이 패널 입력 단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가 같은 수단으로 압착 접속된다.
또한, 표시 신호의 공급 방식도 다양하고, 최근에는 FCA 방식으로 실장한 복수의 구동 회로칩에 대해 차례로 표시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이 많이 채용되어 있다. 이 데이터 전송 방식은 전방단의 구동 회로칩 화소 선택 동작의 완료에 따라서 후방단의 구동 회로칩으로 구동 신호를 차례로 전송하는 방식이고, 일부의 표시 신호를 액정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설치하여 가요성 프린트 기판측의 배선 부담을 경감하고 있다.
도7의 (a), 도b는 FCA 방식의 구동 회로칩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의 액정 표시 패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를 설명한 모식적 도면이다. 도7의 (a)는 평면도, 도7의 (b)는 도7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7의 (a), 도7의 (b) 중, 참조 부호 SUB1은 액정 표시 패널(LCD)을 구성하는 한 쪽 기판, SUB2는 다른 쪽 기판, CH1은 주사 신호 공급측의 구동 회로칩(이하, 게이트 드라이버라고도 칭함), CH2는 영상 신호 공급측의 구동 회로칩(이하, 드레인 드라이버라고도 칭함)이다.
또한, 참조 부호 FPC1은 게이트 드라이버(CH1)를 탑재한 한 쪽 기판(SUB1)측에 접속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 FPC2는 드레인 드라이버(CH2)를 탑재한 한 쪽 기판(SUB1)측에 접속하는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이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과 액정 표시 패널(LCD)의 게이트 드라이버(CH1)의 배선 주위의 구성과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2)과 드레인 드라이버(CH2)의 배선 주위의 구성은 대략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과 액정 표시 패널(LCD)의 게이트 드라이버(CH1)의 배선 주위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은 베이스 필름(Base Film)(BFM)으로 도시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과 접속하는 입력 단자부(TM)를 갖는 배선 패턴(PTN)과, 이 배선 패턴(PTN)에 접속하는 출력 단자(FTM)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 단자(FTM)는 커버 필름(Cover Film)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이 출력 단자(FTM)와 배선 패턴(PTN)의 단부에 갖는 입력 단자부(TM)(인터페이스 기판과의 접속부)를 제외하여 같은 커버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지만, 도7의 (a), 도7의 (b)에서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배선 패턴(PTN)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Interface Circuit Board,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그 입력 단자부(TM)로부터 상기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출력 단자(FTM)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CH1) 사이의 각각에서, 배선 패턴(PTN)의 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선 패턴(PTN)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 군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은 그 출력 단자(FTM)를 노출시켜 액정 표시 패널(LCD)의 패널 입력 단자(LTM)에 대향시켜 중합하고, 이방성 도전막(ACF)을 거쳐서 접속된다. 또, 구동 회로 기판의 입력 단자인 패널 입력 단자(LTM)는 도7의 (a)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단자를 1군으로 한 단자군의 각각을 편의상 단지 단자라 기술한다.
이 압착 접속은 액정 표시 패널(LCD)의 기판[제1 기판 (SUB1)]에 대해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의 배면측[도7의 (b)의 커버 필름(CVR)측]으로부터 화살표 P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압박함으로써 행해진다.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출력 단자(FTM)는 구동 회로칩(CH1) 사이로 치우쳐 위치되어 있고,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액정 표시 패널(LCD)측의 패널 입력 단자(LTM)와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측의 출력 단자(FTM)가 도전적으로 접속된다. 접속된 상태를 도7의 (a)에 FTM/LTM으로서 나타내었다.
이 압착 접속의 작업시에, 제1 기판(SUB1)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 크랙은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의 배치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압착 접속시에 액정 표시 패널측의 입력 단자와 가요성 프린트 기판측의 출력 단자의 접속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주사 신호나 영상 신호를 구동 회로칩에 차례로 전송하는「데이터 전송 방식」을 채용한 단자수가 적은 접속 방식에 있어서 현저하다. 그러나, FCA 방식 이외의 다른 실장 방식, 접속 방식에 있어서도 그 단자의 배열 상태나 그 배치수에 의해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켜 수율 향상의 방해가 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측의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드레인 드라이버측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접속할 때에도 같은 현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 패널의 패널 입력 단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를 압착 접속할 때에 액정 표시 패널의 기판에 생기는 크랙을 회피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의 (a), 도1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일실시예의 구성예를 설명한 모식도이고, 도1의 (a)는 평면도를, 도1의 (b)는 도1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2의 (a), 도2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FCA 방식의 구동 회로칩을 구비한 액정 표시 패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모식적 도면이고, 도2의 (a)는 평면도를, 도2의 (b)는 도2의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7의 (a), 도7의 (b)는 FCA 방식의 구동 회로칩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의 액정 표시 패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모식적 도면이며, 도7의 (a)는 평면도를, 도7의 (b)는 도7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TN : 배선 패턴
FTM : 출력 단자
CVR : 커버 필름
DPN : 더미 도체 패턴
SUB1 : 제1 기판
SUB2 : 제2 기판
GT : 전극 단자
LCD : 액정 표시 패널
FPC1 :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
FPC2 :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
CH1 : 주사 신호 공급측의 구동 회로칩(게이트 드라이버)
CH2 : 연상 신호 공급측의 구동 회로칩(드레인 드라이버)
LTM : 패널 입력 단자
BFM : 베이스 필름
TM : 입력 단자부
PCB :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CT : 커넥터
ACF : 이방성 도전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단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배선 패턴과 같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더미 패턴(Dummy Pattern)을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대표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기술한다.
구조 (1) : 한 쪽 또는 양 쪽의 내면에 화소 선택을 위한 전극을 갖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협지하여 표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기판의 한 쪽 주변에 패널 입력 단자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패널 입력 단자에 접속하여 상기 전극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출력 단자를 갖는 다층 구조의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패널 입력 단자는 상기 한 쌍의 기판의 한 쪽 주변 길이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은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입력 단자와 상기 패널 입력 단자에 접속하는 상기 출력 단자 및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배선하는 도체 패턴을 갖고,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전극 단자 사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상기 출력 단자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대응하는 상기 패널 입력 단자에 포개어 압착 접속할 때의 응력 집중을 저감하기 위한 더미 도체 패턴을 설치하였다.
이 구성에 의해, 더미 도체 패턴이 액정 표시 패널의 패널 입력 단자와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의 겹침 사이에 가해지는 압착시의 압박력을 받아내고, 인접하는 상기 패널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겹침 부분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액정 표시 패널의 기판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조 (2) : 상기 구조 (1)에 있어서, 상기 한 쪽 기판 상의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패널 입력 단자 사이에 상기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 스위치를 직접 실장하였다.
FCA 방식으로 구동 회로칩을 액정 표시 패널의 기판에 직접 실장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의 패널 입력 단자와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 수는 종래의 구동 방식에 비해 적다. 그로 인해, 상기 패널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겹침 부분에 압착시의 응력 집중이 크지만, 인접하는 상기 패널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겹침 부분에 설치한 더미 도체 패턴에 의해 상기한 응력 집중이 저감된다. 그로 인해, 액정 표시 패널 기판의 크랙 발생이 억제된다.
구조 (3) : 상기 구조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 상에, 상기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칩을 탑재하였다.
구조 (4) : 상기 구조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상기 입력 단자를 접속한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상에 상기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칩을 탑재하였다.
구동 회로칩을 가요성 프린트 기판 상 혹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상에 탑재한 것에서는 FCA 방식보다도 액정 표시 패널의 패널 입력 단자와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 수는 많다. 그러나, 이들의 단자를 불균일한 배치로 설계함으로써, 상기 패널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의 겹침 부분을 압착할 때에 생기는 응력 집중을 더미 도체 패턴에 의해 저감할 수 있어, 액정 표시 패널의 기판의 크랙 발생이 억제된다.
이상에 서술한 효과는, 이하에 서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에서도 얻을 수 있다.
구조 (5) : 한 쌍의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면하여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이들 복수의 화소에 의한 화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한 쪽 단부(상기 한 쪽 기판의 다른 쪽 기판 단부로부터 돌출한 적어도 1변에 따른)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갖고, 또한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화상 표시 제어 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영상 신호)를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전송하는 가요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상기 가요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한 쪽 기판의 상기 단부에 따라서 연장되는 줄기 부분(Trunk Portion)과 상기 줄기 부분으로부터 상기 한 쪽 기판의 단부를 향해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의 각각(또는 각각의 군)에 대응하여 돌출한 복수의 가지 부분(Branch Portions)을 갖고, 상기 줄기 부분 및 상기 가지 부분은 한 쌍의 가요 필름(예를 들어, 베이스 필름 및 커버 필름이라 불리우는 수지 필름)과 그 사이에 상기 가지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도체 패턴(예를 들어, 금속이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의 각각(또는 그 각각의 군)은 상기 한 쌍의 가요 필름의 한 쪽 외면 상(상기 도체 패턴과는 반대측인 면, 환언하면 상기 적층 구조의 외면 상)에 상기 복수의 가지 부분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요 필름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도체 패턴의 인접하는 한 쌍 사이에 다른 도체층이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 구조 (5)에 따르면, 상기 줄기 부분으로부터 상기 가지 부분이 N개 돌출될 때, 상기 다른 도체층은 상기 줄기 부분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N-1)개 병설된다. 상기 다른 도체층은 상기 가요 인쇄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의 신호 전송 및 전력 공급에 관한 배선 중 어느 하나로부터도 전기적으로 분리된 소위 더미ㆍ패턴(Dummy Pattern)으로서 상기 줄기 부분의 상기 액정 표시 패널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 및 후술하는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입력 단자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의 출력 단자와의 압착 접속시, 그 밖의 가요성 프린트 기판과 경질의 회로 기판과의 압착 접속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의 (a), 도1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일실시예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1의 (a)는 평면도, 도1의 (b)는 도1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가요성 프린트 기판은 액정 표시 패널의 게이트 구동측에 부착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이다. 도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은 베이스 필름(BFM)의 일측에 배선 패턴(PTN)과 더미 도체 패턴(DPN)을 갖고, 그 위를 커버 필름(CVR)이 덮고 있다.
베이스 필름(BFM)의 다른 측에는 상기 배선 패턴(PTN)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출력 단자(FTM)가 형성되어 있다. 도1의 (a), 도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 단자(FTM)는 복수의 군마다 불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출력 단자(FTM)의 군 사이에 더미 도체 패턴(DPN)을 갖고 있다. 더미 도체 패턴(DPN)은 주로 압착공구로 압박되는 출력 단자(FTM) 군의 배열 중심부 근방에 설치된다.
도2의 (a), 도2의 (b)는 본 발명에 의한 FCA 방식의 구동 회로칩을 구비한 액정 표시 패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모식적 도면이다. 도2의 (a)는 평면도, 도2의 (b)는 도2의 (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2의 (a), 도2의 (b) 중, 도1의 (a), 도1의 (b)와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 부분에 대응한다. 가요성 프린트 기판은 도1의 (a), 도1의 (b)에서 설명한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이다.
도2의 (a), 도2의 (b) 중, 참조 부호 SUB1은 액정 표시 패널(LCD)을 구성하는 한 쪽 기판(여기서는, 액티브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SUB2는 다른 쪽 기판(여기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 CH1은 주사 신호 공급측의 구동 회로칩(이하, 게이트 드라이버), CH2는 영상 신호 공급측의 구동 회로칩(이하, 드레인 드라이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참조 부호 FPC1은 게이트 드라이버(CH1)를 탑재한 한 쪽 기판(SUB1)측에 접속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 FPC2는 드레인 드라이버(CH2)를 탑재한 한 쪽 기판(SUB1)측에 접속하는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이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과 액정 표시 패널(LCD)의 게이트 드라이버(CH1)의 배선 주위의 구성과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2)과 드레인 드라이버(CH2)의 배선 주위의 구성은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과 액정 표시 패널(LCD)의 게이트 드라이버(CH1)의 배선 주위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은 베이스 필름(BFM)에 도2의 (a), 도2의 (b)에는 도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과 접속하는 입력 단자부(TM)를 갖는 배선 패턴(PTN)과, 이 배선 패턴(PTN)에 접속하는 출력 단자(FTM)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 단자(FTM)는 커버 필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이 출력 단자(FTM)와 배선 패턴(PTN)의 단부에 갖는 입력 단자부(TM)(인터페이스 기판과의 접속부)를 제외하여 마찬가지인 커버 필름으로 피복되어 있지만,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배선 패턴(PTN)은 그 입력 단자(TM)를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도2의 (a), 도2의 (b)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배선 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출력 단자(FTM)는 배선 패턴(PTN)의 형성 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선 패턴(PTN)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CH1) 사이에 복수의 군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은 그 출력 단자(FTM)를 노출시켜 액정 표시 패널(LCD)의 패널 입력 단자(LTM)에 대향시켜 중합하고, 이방성 도전막(ACF)을 거쳐서 접속된다. 또, 구동 회로 기판[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인 패널 입력 단자(TM)는 도2의 (b)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패널(LCD)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인출된 전극 단자(GT)는 게이트 드라이버(CH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게이트 드라이버(CH1)의 입력 단자에 접속하는 패널 입력 단자(LTM)는 제1 기판(SUB1) 상에 배선된 도2의 (a), 도2의 (b)에는 도시하지 않은 패턴을 거쳐서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출력 단자(FTM)에 화살표 P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압착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도2의 (a), 도2의 (b)에서 설명한 FCA 방식으로 구동 회로칩(드라이버)을 실장한 것으로, 액정 표시 패널의 제1 기판(SUB1)의 주변 상에 직접 게이트 드라이버(CH1)가 실장되어 있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는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단자부에 접속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은 제1 기판(SUB1)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액정 표시 패널의 이면에 수납된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단자도 마찬가지로, 중합하여 화살표 P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압착된다.
이 때,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의 배열이 불균일한 경우에, 상기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 사이에 상기와 같은 더미 도체 패턴[도1의 (b)의 DPN 참조]을 설치함으로써,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게이트 드라이버(CH1)를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 상에 탑재한 것이다. 따라서,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는 제1 기판(SUB1) 상에 갖는 전극 단자에 직접 압착 접속된다. 이 압착도 화살표 P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행해진다.
여기서도,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는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단자부에 접속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은 제1기판(SUB1)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액정 표시 패널의 이면에 수납된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단자도 마찬가지로, 중합하여 화살표 P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압착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의 배열이 불균일한 경우에, 상기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 사이에 상기와 같은 더미 도체 패턴[도1의 (b)의 DPN 참조]을 설치함으로써,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게이트 드라이버(CH1)를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 상에 탑재한 것이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는 제1 기판(SUB1) 상에 갖는 전극 단자에 직접 압착 접속된다. 이 압착도 화살표 P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행해진다.
여기서도,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는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단자부에 접속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은 제1 기판(SUB1)의 배면으로 절곡되어 액정 표시 패널의 이면에 수납된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와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에 탑재된 게이트 드라이버(CH1)의 단자가 화살표 P로 나타낸 방향으로부터 압착된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의 배열이 불균일한 경우에, 상기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 사이에 상기와 같은 더미 도체 패턴[도1의 (b)의 DPN 참조]을 설치함으로써,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예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접합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패널(LCD)의 좌변(도면의 좌측 짧은 길이 방향 변)에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이 부착되고, 하변(도면에서는 하측 길이 방향 변)에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2)이 부착되고, 절곡용 개구(HOP)의 배열에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PNL)의 이면측으로 접어 넣게 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CH1)와 드레인 드라이버(CH2)는 모두 제1 기판(SUB1)의 주변 상에 직접 실장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에는 타이밍 컨버터(TCON)가 탑재되어 있고, 커넥터(CT)를 거쳐서 외부 회로(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표시를 위한 각종 신호나 전압이 공급된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의 입력 단자(TM)는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의 단자(PBM)에 접속된다.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2)으로의 상기 표시를 위한 신호는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으로부터 제1 기판(SUB1) 상에 형성된 배선을 통해 공급된다. 제1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1)과 제2 가요성 프린트 기판(FPC2)은 액정 표시 패널(LCD)의 배면으로 절곡된다.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PCB)도 마찬가지로 액정 표시 패널(LCD)의 배면에 수납된다. 또, 액정 표시 패널(LCD)의 표시면측[제2 기판(SUB2)의 표면]에는 상편광판(POL1)이 접합하게 되고, 그 내측에 표시 영역(AR)이 형성된다.
이상,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표시 패널의 패널 입력 단자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출력 단자를 압착 접속할 때에 액정 표시 패널의 기판에 생기는 크랙이 회피되고, 신뢰성이 향상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한 쪽 또는 쌍방의 내면에 화소 선택을 위한 전극을 갖는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협지하여 표시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한 쪽 주변에 패널 입력 단자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패널 입력 단자에 접속하여 상기 전극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출력 단자를 갖는 다층 구조의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이며,
    상기 패널 입력 단자는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한 쪽 주변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단자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은 외부 회로에 접속하는 입력 단자와 상기 패널 입력 단자에 접속하는 상기 출력 단자 및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를 배선하는 도체 패턴을 갖고,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전극 단자군 사이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상기 출력 단자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대응하는 상기 패널 입력 단자에 포개어 압착 접속할 때의 응력 집중을 저감하기 위한 더미 도체 패턴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 기판 상의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패널 입력 단자군 사이에, 상기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칩을 직접 실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 상에, 상기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칩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린트 기판의 상기 입력 단자를 접속한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기판 상에 상기 전극 단자에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회로칩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한 쌍의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봉입된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에 면하여 형성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
    상기 복수의 화소에 의한 화상 표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한 쪽 단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갖고 또한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화상 표시 제어 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전송하는 가요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요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한 쪽 기판의 상기 단부에 따라 연장되는 줄기 부분과 상기 줄기 부분으로부터 상기 한 쪽 기판의 단부를 향해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의 각각의 군에 대응하여 돌출한 복수의 가지 부분을 갖고,
    상기 줄기 부분 및 상기 가지 부분은 한 쌍의 가요 필름과 그 사이에 상기 가지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제1 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의 각각의 군은 상기 한 쌍의 가요 필름 중 한 쪽 외면 상에 상기 복수의 가지 부분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요 필름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도체층이 인접하는 한 쌍 사이에 제2 도체층이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체층은 상기 가요 인쇄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의 신호 전송 및 전력 공급에 관한 배선 중 어느 것이든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체층은 상기 가요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줄기 부분에, 상기 줄기 부분의 상기 액정 표시 패널측으로 치우치고, 또한 상기 줄기 부분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68979A 2001-11-08 2002-11-08 액정 표시 장치 KR100504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3109 2001-11-08
JP2001343109A JP2003149665A (ja) 2001-11-08 2001-11-08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506A true KR20030038506A (ko) 2003-05-16
KR100504306B1 KR100504306B1 (ko) 2005-07-28

Family

ID=1915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979A KR100504306B1 (ko) 2001-11-08 2002-11-08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734941B2 (ko)
JP (1) JP2003149665A (ko)
KR (1) KR100504306B1 (ko)
CN (1) CN1196957C (ko)
TW (1) TWI26234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53B1 (ko) * 2005-02-07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36672A (ko) * 2010-06-25 2018-04-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665A (ja) * 2001-11-08 2003-05-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4226368B2 (ja) * 2002-06-07 2009-02-18 シャープ株式会社 配線基板、表示装置、及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3795445B2 (ja) * 2002-10-11 2006-07-12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画像表示装置
US7378596B2 (en) * 2003-04-18 2008-05-27 Ibiden Co., Ltd. Rigid-flex wiring board
US20050003714A1 (en) * 2003-05-01 2005-01-06 Padilla Patrick Thomas Printed self illuminating color pixel circuit
US20050012459A1 (en) * 2003-07-16 2005-01-20 Padilla Patrick Thomas Printed self illuminating color pixel circuit
KR100685239B1 (ko) 2004-01-29 2007-02-22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트랜지스터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및 화상처리장치
JP2005241852A (ja) * 2004-02-25 2005-09-0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US7223641B2 (en) * 2004-03-26 2007-05-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iquid crystal television and EL television
TWI236184B (en) * 2004-05-06 2005-07-11 Quanta Display Inc Wiring structure and flat panel display
JP4536430B2 (ja) * 2004-06-10 2010-09-01 イビデン株式会社 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
KR101075599B1 (ko) * 2004-06-23 2011-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TWM267471U (en) * 2004-07-13 2005-06-11 Au Optronics Corp Flat panel module
TW200629968A (en) * 2005-02-05 2006-08-16 Au Optronics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7656575B2 (en) * 2005-08-31 2010-02-02 Padilla Patrick T Printable pixel structure with carbon fiber emitters
JP4093258B2 (ja) * 2005-09-06 2008-06-04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095029A (ko) * 2006-03-20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74939B1 (ko) * 2006-06-30 2013-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액정모듈
JP2008015403A (ja) * 2006-07-10 2008-01-24 Nec Lcd Technologies Ltd フレキシブル配線シ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63073B2 (ja) * 2006-10-03 2012-10-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KR100788557B1 (ko) * 2007-01-03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US8035789B2 (en) * 2007-03-19 2011-10-11 Sony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electro-optical device, input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8235556A (ja) * 2007-03-20 2008-10-02 Sumitomo Electric Ind Ltd 配線板モジュール及び該配線板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1576665A (zh) * 2008-05-09 2009-11-1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JPWO2010007704A1 (ja) * 2008-07-16 2012-01-05 イビデン株式会社 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及び電子デバイス
US8384634B2 (en) * 2008-09-24 2013-02-26 Apple Inc. Display with reduced parasitic effects
EP2254396A1 (en) 2009-05-20 2010-11-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rinted circuit board for providing ambient light
US20110298811A1 (en) * 2010-06-02 2011-12-08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to glass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8724038B2 (en) 2010-10-18 2014-05-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Wraparound assembly for combination touch, handwriting and fingerprint sensor
JP2012215841A (ja) * 2011-04-01 2012-11-08 Sony Corp 表示装置
US9024910B2 (en) 2012-04-23 2015-05-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with bridged force-sensitive resistors
KR101955465B1 (ko) * 2012-08-16 2019-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89824B1 (ko) * 2012-12-07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JP6143466B2 (ja) 2013-01-10 2017-06-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内蔵型液晶表示装置
KR102130734B1 (ko) * 2014-03-06 2020-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260431B1 (ko) * 2014-12-18 2021-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40114B1 (ko) 2015-10-27 2022-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70783A (ko) * 2016-12-16 2018-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35975B1 (ko) 2017-08-18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7059B1 (ko) * 2018-05-11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031733B (zh) * 2018-07-19 2021-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线路板和显示装置
JP7241622B2 (ja) * 2019-06-24 2023-03-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気機器、表示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0910773B (zh) 2019-07-26 2022-05-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568226B (zh) * 2020-04-28 2023-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601455A (zh) * 2020-06-23 2020-08-28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柔性线路板、显示模组、终端、绑定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925B2 (ja) * 1994-08-04 2001-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ネルの実装構造並びに集積回路搭載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50000B2 (ja) * 1995-05-24 2002-01-28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パネルの端子接続構造およびその端子接続方法
JPH1062806A (ja) * 1996-08-19 1998-03-06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JP2845219B2 (ja) * 1996-10-07 1999-0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的接続構造及び液晶装置
JP3431447B2 (ja) * 1997-04-16 2003-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0002882A (ja) * 1998-06-16 2000-01-07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06898A (ja) * 1998-11-12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3808224B2 (ja) * 1998-12-02 2006-08-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0206556A (ja) * 1999-01-12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005020A (ja) * 1999-06-25 2001-01-12 Optrex Corp 液晶表示パネルの電極端子接続構造
JP2001117113A (ja) * 1999-10-20 2001-04-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1135896A (ja) * 1999-11-02 2001-05-18 Sanyo Electric Co Ltd Cof基板
US6407844B1 (en) * 2001-02-09 2002-06-18 Nayna Networks, Inc. Device for fabricating improved mirror arrays for physical separation
JP4043010B2 (ja) * 2001-09-27 2008-02-06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JP2003149665A (ja) * 2001-11-08 2003-05-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53B1 (ko) * 2005-02-07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36672A (ko) * 2010-06-25 2018-04-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36310B2 (en) 2004-12-28
CN1196957C (zh) 2005-04-13
TWI262346B (en) 2006-09-21
TW200303442A (en) 2003-09-01
JP2003149665A (ja) 2003-05-21
US6734941B2 (en) 2004-05-11
US20040174487A1 (en) 2004-09-09
CN1434330A (zh) 2003-08-06
US20030086049A1 (en) 2003-05-08
KR100504306B1 (ko)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30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45333B1 (ko) 표시장치
US67006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738123B1 (en) Drive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substrate,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connection structure
US2008009432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39177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90067844A1 (en) Connect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KR20020075951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방법 및 그 구조
CN113178132A (zh) 覆晶薄膜组、显示面板及显示模组
KR20020013736A (ko) 전기 광학 유닛 및 전자 기기
CN113433737B (zh)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JPH09203907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装置
JPH10209581A (ja) プリント配線板、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40087452A (ko) 액정표시 모듈
KR20060019820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15083300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0327921B1 (ko) 플렉시블회로기판및이를통합한액정표시장치
CN217506872U (zh) 一种显示面板、显示屏及电子设备
JP2002236458A (ja) 表示装置の実装構造
JP3733825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70023359A (ko) 표시 장치
KR2005001999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173165Y1 (ko) 평판표시소자의 접속구조
CN115691311A (zh) 显示组件、显示装置
KR20050113486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