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431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431B1
KR102260431B1 KR1020140183387A KR20140183387A KR102260431B1 KR 102260431 B1 KR102260431 B1 KR 102260431B1 KR 1020140183387 A KR1020140183387 A KR 1020140183387A KR 20140183387 A KR20140183387 A KR 20140183387A KR 102260431 B1 KR102260431 B1 KR 10226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a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843A (ko
Inventor
고정훈
이효철
최온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431B1/ko
Priority to US14/836,186 priority patent/US10276113B2/en
Priority to CN201510954537.6A priority patent/CN105722318B/zh
Publication of KR2016007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843A/ko
Priority to KR1020210069301A priority patent/KR102350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원가 절감에 유리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패널; 제 1 기판부 및 제 2 기판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 1 기판부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 표시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부 사이에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캐리어; 패드부에 대응하여, 제 2 기판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부; 및 돌출부, 제 1 기판부 및 제 2 기판부 상에 배치되며, 구동 회로부로부터의 신호를 캐리어로 전송하는 신호 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 원가 절감에 유리한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나 유기 발광 표시장치 등의 평판 표시장치는 복수 쌍의 전기장 생성 전극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전기광학(electro-optical) 활성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장치는 전기광학 활성층으로서 액정층을 포함하고,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전기광학 활성층으로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한 쌍을 이루는 전기장 생성 전극 중 하나는 통상 스위칭 소자에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인가 받고, 전기 광학 활성층은 이 전기 신호를 광학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된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구동 회로부가 실장된 소스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한편,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모 기판에서 제조되는 바, 제조비용 및 효율을 위해서 복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들은 하나의 모 기판(mother substrate)에서 동시에 제조된다. 이후 절단 공정을 통해 그 소스 인쇄회로기판들이 모 기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된다. 제조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하나의 모 기판으로부터 많은 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들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소스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조 원가 절감에 유리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제 1 기판부 및 제 2 기판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 1 기판부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 표시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부 사이에 연결되고,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가 실장된 캐리어; 패드부에 대응하여, 제 2 기판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부; 및 돌출부, 제 1 기판부 및 제 2 기판부 상에 배치되며, 구동 회로부로부터의 신호를 캐리어로 전송하는 신호 라인을 포함한다.
제 1 기판부는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홈을 갖는다.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돌출부까지의 거리와 인쇄회로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홈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다.
제 1 기판부와 제 2 기판부가 동일한 수의 패드부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신호 라인과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한다.
연결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에 배치된다.
신호 라인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패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한 신호 라인들 간의 간격이 다른 부분에 위치한 신호 라인들 간의 간격보다 더 크다.
제 1 기판부가 제 2 기판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다.
제 1 기판부는 제 2 기판부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구동 회로부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직류-직류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스 인쇄회로기판 돌출부 및 홈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하나의 모 기판에 복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들이 대칭적으로 배치될 때, 그 소스 인쇄회로기판들의 홈 및 돌출부가 서로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소스 인쇄회로기판들이 서로에게 더욱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모 기판으로부터 더 많은 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표시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소스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하나의 모 기판에 배치된 2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BC), 반사판(900), 도광판(LGP), 광학 시트(201), 광원 모듈(801), 광원 덮개(LC), 몰드 프레임(MF), 표시패널(DP) 및 탑 커버(TC)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사판(900), 도광판(LGP), 광학 시트(201), 광원 모듈(801), 광원 덮개(LC), 몰드 프레임(MF)이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된다. 한편, 표시패널(DP)과 백라이트 유닛은 적층된 상태로 조립되어 표시모듈을 구성한다. 이 표시모듈은 표시패널(DP)과 백라이트 유닛을 보호 및 고정하기 위한 탑 케이스(TC) 및 바텀 케이스(BC)와, 그리고 표시패널(DP)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 보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이 수납공간에 반사판(900), 도광판(LGP), 광학 시트(201), 광원 모듈(801) 및 광원 덮개(LC)가 배치된다. 이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바텀 케이스(BC)는 바닥부(111a) 및 복수의 측부(11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11a)는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전술된 측부(111b)들 각각은 이 바닥부(111a)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서로 인접한 측부(111b)들의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된다. 이 측부(111b)들 및 바닥부(111a)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공간이 위에서 설명된 수납공간이 된다. 한편, 서로 마주보는 측부(111b)의 외측에 걸림턱(635)이 형성되는 바, 이 걸림턱(635)에 의해 몰드 프레임(MF)이 바텀 케이스(BC)에 고정된다. 이 걸림턱(635)은, 해당 측부(111b)의 일부가 몰드 프레임(MF)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801)은 광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인쇄회로기판(801a)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801b)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인쇄회로기판(801a)의 일면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실장(mounting, 實裝) 영역과 배선 영역으로 구분된다. 광원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각 실장 영역에 광원이 하나씩 설치되고, 그리고 배선 영역에 그 광원들로 구동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들이 설치된다. 전술된 구동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후, 별도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위의 복수의 배선들로 공급된다.
광원(801b)은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광원 인쇄회로기판(801a)에 설치된다. 이 광원(801b)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포함된 발광 패키지(package)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키지는 세 종류의 색상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이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전술된 세 가지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들 중 청색 발광다이오드만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가 그 청색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부에 형성된다. 광원(801b)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LGP)으로 입사된다.
도광판(LGP)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광판(LGP)에 포함된 복수의 면들 중 광원과 마주보는 하나의 면이 입광면(122)으로 설정된다. 광원(801b)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입광면(122)에 입사된 후, 도광판(LGP)의 내부로 진행한다. 도광판(LGP)은 그 내부로 들어온 광을 전반사시켜 표시패널(DP)의 표시 영역 측으로 안내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광판(LGP)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도광판(LGP)의 하부 외측면에 다수의 산란 패턴들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이 산란 패턴들은, 도광판(LGP)의 입광면(122)으로부터 멀리 위치할수록 점점 그 간격이 벌어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LGP)은 광을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판(900)은 도광판(LGP)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 반사판(900)은 도광판(LGP)의 하부 외측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광을 다시 반사시켜 도광판(LGP)측으로 되돌림으로써 광 손실률을 최소화한다.
광학 시트(201)는 도광판(LGP)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도광판(LGP)과 표시패널(DP) 사이에 위치한다. 광학 시트(201)는 확산 시트(201a), 집광 시트(201b) 및 보호 시트(201c)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201a), 집광 시트(201b) 및 보호 시트(201c)는 그 열거된 순서로 도광판(LGP) 상에 차례로 적층된다.
확산 시트(201a)는 도광판(LGP)으로부터 전달된 광을 분산시켜서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집광 시트(201b)는 확산 시트(201a) 상에 위치하여 그 확산 시트(201a)로부터 확산된 광을 표시패널(DP)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 집광 시트(201b)의 일면에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들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시트(201c)는 집광 시트(201b) 상에 위치하여 그 집광 시트(201b)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 광의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보호 시트(201c)를 통과한 광은 표시패널(DP)로 제공된다.
광원 덮개(L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수납공간에 광원 모듈(801) 및 입광면(122)이 포함되도록 도광판(LGP)의 일측을 둘러싼다. 이 광원 덮개(LC)는, 광원(801b)들로부터의 광이 도광판(LGP)의 입광면(122)에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그 입광면(122)과 광원(801b)들을 정렬시킨다.
광원 덮개(LC)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광원 덮개(LC)는 광원 설치부(777a), 상부 덮개(777b) 및 하부 덮개(77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777b)는 광원 설치부(777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도광판(LGP)의 상부 외측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 덮개(777c)는 광원 설치부(777a)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도광판(LGP)의 하부 외측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하부 덮개(777c)는 바텀 케이스(BC)의 바닥부(111a)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하부 덮개(777c)는 광원 설치부(777a)의 타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 1 수평부(780a)와, 제 1 수평부(780a)보다 도광판(LGP)의 하부면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 제 2 수평부(780b)와, 그리고 및 제 1 및 제 2 수평부(780a, 780b)들간을 연결시키는 경사부(780c)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설치부(777a), 상부 덮개(777b) 및 하부 덮개(777c)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광원(801b) 및 광원 인쇄회로기판(801a)이 배치된다. 이때, 이 광원 인쇄회로기판(801a)의 타면과 광원 설치부(777a) 간의 마주보는 면들 중 어느 하나에 접착부재(801c)가 마련된다. 이 접착부재(801c)에 의해 광원 모듈(801)이 광원 설치부(777a)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접착부재(801c)는 양면 테이프가 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MF)은 바텀 케이스(BC)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패널(DP)과 탑 케이스(TC)를 지지함과 아울러, 표시패널(DP)과 광학 시트(20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이 몰드 프레임(MF)은 제 1 지지부(311a), 제 2 지지부(311b) 및 고정부(311c)를 포함하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311a)는 복수의 측부(111b)들 상에 얹힌 상태에서 자신의 위에 덮이는 탑 케이스(TC)를 지지한다.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광학 시트(201)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에 비하여 그 높이가 낮다. 이러한 제 2 지지부(311b)와 제 1 지지부(311a)간의 높이차에 의해 탑 케이스(TC)와 제 2 지지부(311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그 공간에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가 위치한다. 여기서, 제 2 지지부(311b)의 끝단에 그 끝단으로부터 표시패널(DP) 측으로 돌출된 완충패드(500)가 더 형성될 수 있는 바,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는 이 완충패드(500) 상에 놓인다. 이 완충패드(500)는 표시패널(DP)과 제 2 지지부(311b)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표시패널(DP)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311c)는 제 1 지지부(311a)의 하측면으로부터 측부(111b)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고정부(311c)의 내측면, 즉 이 고정부(311c)의 면들 중 걸림턱(635)과 마주하는 면에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에 걸림턱(635)이 끼워짐으로써 몰드 프레임(MF)이 바텀 케이스(BC)에 고정될 수 있다.
탑 케이스(TC)는 중심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태를 갖는다. 탑 케이스(TC)는 표시패널의 위에 위치한다. 탑 케이스(TC)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표시패널(DP)의 표시 영역(A2)이 노출된다. 탑 케이스(TC)는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 몰드 프레임(MF)의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 및 측면, 그리고 고정부(311c)의 측면을 감싼다. 이를 위해, 이 탑 케이스(TC)는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와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을 덮는 전면(前面) 덮개(933a)와, 그리고 제 1 지지부(311a)의 측면 및 고정부(311c)의 측면을 함께 덮는 측면 덮개(933b)를 포함한다. 한편, 측면 덮개(933b)의 내측에는 후크(425)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이 후크(425)는 몰드 프레임(MF)에 형성된 고정부(311c)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 후크(425)에 의해서 탑 케이스(TC)가 몰드 프레임(MF)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덮개(933b)들 중 어느 하나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를 통해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이 탑 케이스(TC)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은 캐리어들을 축으로 회전하여 바텀 커버의 배면을 마주본다.
표시패널(DP)은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신호 및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DP)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도 1의 표시패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DP)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표시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하부 기판(361a)과 상부 기판(361b)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361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A1)과 비표시 영역(A2)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A1)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i)과, 이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i)과 교차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과, 그리고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i) 및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들(R, G, B)이 배열된다.
상부 기판(361b)은 하부 기판(361a) 상에 위치한다. 상부 기판(361b)은 적어도 하부 기판(361a)의 표시 영역(A1)의 전체면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상부 기판(361a) 및 하부 기판(361b)은 각각 복수의 면들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 각 기판(361a, 361b)에 포함된 복수의 면들은 다음과 같은 용어로 정의된다. 즉,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면들 각각은 해당 기판의 앞면으로 정의되고, 그 앞면을 기준으로 그 반대편에 위치한 면은 해당 기판의 뒷면으로 정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기판(361b)의 앞면 상에 블랙 매트릭스, 복수의 컬러필터들 및 공통 전극이 위치한다.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앞면 중 화소 영역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위에 위치한다.
컬러필터들은 화소 영역에 위치한다. 컬러필터들은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로 구분된다.
화소들(R, G, B)은 표시 영역(A1)에 행렬 형태로 배열된다. 화소들(R, G, B)은 적색 컬러필터에 대응하여 위치한 적색 화소(R)들, 녹색 컬러필터에 대응하여 위치한 녹색 화소(G) 및 청색 컬러필터에 대응하여 위치한 청색 화소(B)로 구분된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는 하나의 단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단위 화소가 될 수 있다.
제 n 수평라인(n은 1 내지 i 중 어느 하나)을 따라 배열된 j개의 화소들(이하, 제 n 수평라인 화소들)은 제 1 내지 제 j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 각각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아울러, 이 제 n 수평라인 화소들은 제 n 게이트 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n 수평라인 화소들은 제 n 게이트 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는다. 즉, 동일 수평라인 상에 배열된 j개의 화소들은 모두 동일한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지만, 서로 다른 수평라인 상에 위치한 화소들은 서로 다른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제 1 수평라인(HL1)에 위치한 적색 화소(R) 및 녹색 화소(G)는 모두 제 1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는 반면, 제 2 수평라인(HL2)에 위치한 적색 화소(R) 및 녹색 화소(G)는 이들과는 다른 타이밍을 갖는 제 2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는다.
각 화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TFT), 액정용량 커패시터(Clc)및 보조용량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i)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따라 턴-온된다. 턴-온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데이터 라인(DLj)으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를 액정용량 커패시터(CLC)및 보조용량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액정용량 커패시터(CLC)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보조용량 커패시터(Cst)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향 전극은 전단 게이트 라인 또는 공통 전압을 전송하는 공통 라인이 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비표시 영역(A2)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비표시 영역(A2) 중 표시 영역(A1)의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 내지 GLi)에 차례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예를 들어,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에 따라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를 쉬프트 시켜 게이트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로 구성될 수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스위칭소자들은 표시 영역(A1)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동일한 공정으로 하부 기판(361a)의 앞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샘플링한 후에, 매 수평기간마다 한 수평 라인에 해당하는 샘플링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래치하고 래치된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에 공급한다. 즉,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전원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carrier; 187)에 하나씩 실장(mount)된다.
캐리어는 테이프(tape) 또는 필름(film)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187)들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과 표시패널(DP)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각 캐리어(187)는 복수의 입력 단자들과 복수의 출력 단자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단자들은 캐리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복수의 출력 단자들은 캐리어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타측 가장자리는 일측 가장자리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캐리어(187)들의 입력 단자들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패드부에 접속되고, 캐리어(187)들의 출력 단자들은 표시패널(DP)의 패드부에 접속된다. 표시패널(DP)의 패드부는 표시패널(DP)의 비표시 영역(A2)에 위치한다. 표시패널(DP)의 패드부는 링크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에 연결된다.
각 캐리어(187)의 입력 단자들과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패드부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bonding Film)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각 캐리어(187)의 출력 단자들과 표시패널(DP)의 패드부는 이방성 도전성 필름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캐리어(187)들은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187)들은 열팽창 계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나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제조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아크릴(acrylic), 폴리에테르니트릴(polyether nitril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드(polyethylenenaphthalate) 등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직류-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및 직류-직류 변환부는 소스 인쇄회로기판(47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영상 데이터 신호, 클럭신호 및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영상 데이터 신호, 클럭신호 및 구동 전원은, 인터페이스회로를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로 입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회로는 LVDS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회로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영상 데이터 신호, 클럭신호 및 구동 전원을 전압 레벨을 낮추고 이의 주파수를 높인다.
인터페이스회로는 타이밍 컨트롤러(288)에 내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회로로부터 타이밍 컨트롤러로 입력되는 신호의 높은 고주파 성분으로 인하여 이들 사이에 전자파장애(Electromagnetic interference)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터페이스회로와 타이밍 컨트롤러(288) 사이에 EMI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534)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게이트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신호(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소스 쉬프트 클럭(Source Shift Clock), 소스 출력 신호(Source Output Enable), 극성신호(Polarity Signal)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재정렬하고, 그리고 이 재정렬된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에 공급한다.
한편, 전술된 구동 전원은 타이밍 컨트롤러 내부에 설치된 위상고정루프회로(Phase Lock Loop: PLL)의 전원 전압으로서 사용된다. 위상고정루프회로(PLL)는 타이밍 컨트롤러(288)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발진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발생되는 기준 주파수와 비교한다. 그리고, 그 비교 결과 이들 사이에 오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이 위상고정루프회로는 그 오차만큼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하여 샘플링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이 샘플링 클럭신호는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샘플링하기 위한 신호이다.
직류-직류 변환부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구동 전원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표시패널(DP)에 필요한 전압들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직류-직류 변환부는, 예를 들어, 이의 출력 단의 출력 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한 출력 스위칭소자와, 그 출력 스위칭소자의 제어단자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듀티비(duty ratio)나 주파수를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승압하거나 감압시키기 위한 펄스폭 변조기(Pulse Width Modulator: PWM)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펄스폭 변조기 대신에 펄스주파수 변조기(Pulse Frequency Modulator: PFM)가 그 직류-직류 변환부(287)에 포함될 수 있다.
펄스폭 변조기는 전술된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높여 직류-직류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높이거나, 그 제어신호의 듀티비를 낮추어 직류-직류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낮춘다. 펄스주파수 변조기는 전술된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높여 직류-직류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높이거나,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낮추어 직류-직류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낮춘다. 직류-직류 변환부(287)의 출력 전압은 6[V] 이상의 기준 전압(VDD), 10단계 미만의 감마기준전압(GMA1∼10), 2.5∼3.3V의 공통 전압, 15[V] 이상의 게이트 고전압, -4[V] 이하의 게이트 저전압을 포함한다.
감마기준전압은 기준 전압의 분압에 의해 발생된 전압이다. 기준 전압과 감마기준전압은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서, 이들은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에 공급된다. 공통 전압은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를 경유하여 표시패널(DP)의 공통 전극에 공급된다. 게이트 고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문턱전압 이상으로 설정된 게이트 신호의 하이논리전압이고, 그리고 게이트 저전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오프전압으로 설정된 게이트 신호의 로우논리전압으로서, 이들은 게이트 드라이버(534)에 공급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로 하여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부(401a)와 제 2 기판부(401b)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하나의 예와 같이 제 1 기판부(401a)와 제 2 기판부(401b)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회로부(501)가 제 1 기판부(401a)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회로부(501)는 전술된 타이밍 컨트롤러(522) 및 직류-직류 변환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부(401a)는 제 2 기판부(401b)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 1 기판부(401a)에,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구동 회로부(501)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제 1 기판부(401a)의 길이(L1)는 제 2 기판부(401b)의 길이(L2)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제 1 기판부(401a) 및 제 2 기판부(401b)는 복수의 패드부들(551, 552, 553, 554)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패드부들(551, 552, 553, 554)은 제 1 기판부(401a)와 제 2 기판부(401b)에 동일한 수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패드부들(551, 552, 553, 554)이 소스 인쇄회로기판(401) 상에 놓인다고 가정 할 때, 그 4개의 패드부들(551, 552, 553, 554) 중 2개의 패드부들(551, 552)은 제 1 기판부(401a) 상에 배치되고, 다른 나머지 2개의 패드부들(553, 554)은 제 2 기판부(401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기판부(401b)는 돌출부(6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11)는 제 2 기판부(401b)의 일측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다. 이때, 돌출부(611)는 패드부(553) 또는 캐리어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611)는 패드부(553)가 위치한 변의 반대편에 위치한 변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 2 기판부(401b)는 복수의 돌출부들(611, 612, 613)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때 몇 개의 돌출부들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611)는 제 2 돌출부(612)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반면, 제 3 돌출부(613)는 제 1 돌출부(611)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4개의 패드부들(551, 552, 553, 554)을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왼쪽에 위치한 것부터 각각 제 1 패드부(551), 제 2 패드부(552), 제 3 패드부(553) 및 제 4 패드부(554)라고 정의할 때, 제 1 돌출부(611)는 제 3 패드부(553)에 대응하게 위치하며, 제 2 돌출부(612)는 제 4 패드부(554)에 대응하게 위치한다.
제 1 기판부(401a)는 홈(6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부(401a)의 홈(601)은 제 2 기판부(401b)의 돌출부(6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돌출부(61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면, 그 돌출부(611)에 대응되는 홈(601) 역시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 1 기판부(401a)의 홈(601)은 제 2 기판부(401b)의 돌출부(6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기판부(401a)의 홈(601)은 제 2 기판부(401b)의 돌출부(611)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1 기판부(401a)는 복수의 홈들(601, 602, 603)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때 몇 개의 홈들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601)은 제 2 홈(602)과 동일한 깊이를 갖는 반면, 제 3 홈(603)은 제 1 홈(601)보다 더 큰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홈(601)은 제 1 돌출부(6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며, 제 2 홈(602)은 제 2 돌출부(6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며, 그리고 제 3 홈(603)은 제 3 돌출부(6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일측 끝단에서 돌출부까지의 거리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타측 끝단에서 홈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예를 들어,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우측 끝단에서 제 1 돌출부(611)의 중심부까지의 거리(d1)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좌측 끝단에서 제 1 홈(601)의 중심부까지의 거리(d2)는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우측 끝단에서 제 2 돌출부(612)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좌측 끝단에서 제 2 홈(602)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고, 그리고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우측 끝단에서 제 3 돌출부(613)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좌측 끝단에서 제 3 홈(603)의 중심부까지의 거리가 동일하다.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765)을 포함한다. 체결 홀(765)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을 관통한다. 체결 홀(765)의 주위에는 이를 둘러싸는 접지부(740)가 위치한다. 체결 홀(765)은 바텀 케이스(BC)의 체결 홈(도시되지 않음)에 대응하게 위치한다.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체결 홀(765)을 통해 체결 홈에 결합됨으로써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이 바텀 케이스(BC)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체결 수단이 접지부(740) 및 바텀 케이스(BC)에 접촉되므로, 접지부(740)와 바텀 케이스(BC)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체결 홀(765)은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양측 가장자리 및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체결 홀(765)이 제 1 기판부(401a)의 양측 가장자리 및 제 2 기판부(401b)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하나의 예가 나타나 있다.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라인(8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라인(862)들은 제 1 기판부(401a), 제 2 기판부(401b) 및 돌출부(611, 612) 상에 배치된다. 신호 라인(862)들 중 일부 신호 라인들은 타이밍 컨트롤러(522)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 그리고 직류-직류 변환부(523)로부터 출력된 구동 전압들을 각 캐리어(187)를 통해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는 캐리어(187)에 구비된 입력배선패턴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는 캐리어(187)에 구비된 출력배선패턴들을 통해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각 입력배선패턴의 끝단이 전술된 입력 단자에 해당하며, 각 출력배선패턴의 끝단이 전술된 출력 단자에 해당된다.
신호 라인(862)들 중 다른 일부 신호 라인들은, 어느 하나의 캐리어에 구비된 보조 배선패턴들 및 하부 기판(361a)의 모서리에 구비된 보조 라인들을 통해, 게이트 드라이버(534)로 게이트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보조 배선패턴들은 전체 캐리어들 중 게이트 드라이버(534)에 가장 근접한 하나의 캐리어(187)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가장 좌측에 위치한 하나의 캐리어(187)에 보조 배선패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신호 라인(862)들과 패드부(533)는 연결 라인(960)들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패드부(533)는 복수의 패드 단자(933)들을 포함하는 바, 하나의 패드 단자(933)는 하나의 연결 라인(922)을 통해 하나의 신호 라인(862)에 접속된다. 한편, 2개 이상의 패드 단자들이 하나의 2개 이상의 연결 라인들을 통해 하나의 신호 라인에 접속될 수도 있다.
패드 단자(933)들과 연결 라인(922)들은 동일 층 상에 위치한다. 서로 연결된 패드 단자(933)와 연결 라인(922)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 라인(922)들과 신호 라인(862)들은 서로 다른 층 상에 위치한다. 연결 라인(922)들과 신호 라인(862)들 사이에는 절연막(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된다. 절연막은 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 홀(960)들을 포함하는 바, 이 콘택 홀(960)들읕 통해 연결 라인과(922) 신호 라인(862)이 서로 연결된다.
한편, 패드부(551, 552, 553, 554) 또는 캐리어의 상측에 위치한 신호 라인들 간의 간격(d11)은, 그 패드부(551, 552, 553, 554) 또는 캐리어의 상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위치한 신호 라인들 간의 간격(d22)보다 더 크다. 이는 패드부(551, 552, 553, 554)의 상측에 콘택 홀(960)들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즉, 인접한 신호 라인(862)들 간이 콘택 홀(960)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패드부(551, 552, 553, 554)의 상측에 위치한 신호 라인(862)들 간의 간격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크다. 이 증가된 간격에 따라 제 2 기판부(401b)의 패드부(553, 554)의 상측 부분에서의 신호 라인(862)들의 점유 면적이 증가되어야 하는 바, 돌출부(611, 612)는 그 패드부(553, 554)의 상측 부분의 면적을 늘리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돌출부들(611, 612) 사이에 신호 라인들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돌출부들(611, 612) 사이는 빈 공간 상태로 유지된다. 즉, 신호 라인(862)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실질적으로 필요 없는 부분이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으로부터 제거되므로, 제 2 기판부(401b)는 돌출부들(611, 612)과 같은 구조물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소스 인쇄회로기판(401)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도 7은 하나의 모 기판에 배치된 2개의 소스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소스 인쇄회로기판들(411, 4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모 기판(999)에서 동시에 제조되며, 이후 절단 공정을 통해 모 기판(999)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모 기판(999)에 형성된 소스 인쇄회로기판들(411, 412)은 서로 대칭적인 관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 1 소스 인쇄회로기판(411)과 제 2 소스 인쇄회로기판(412)은 원점에 관하여 대칭인 관계를 갖는다. 특히, 제 1 및 제 2 소스 인쇄회로기판들(411, 412)은 전술된 바와 같은 돌출부(611, 612, 613) 및 홈(601, 602, 603)을 갖는 바, 이에 따라 제 1 소스 인쇄회로기판(411)의 돌출부(611, 612, 613)가 제 2 소스 인쇄회로기판(412)의 홈(601, 602, 603)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 1 소스 인쇄회로기판(411)의 홈(601, 602, 603)이 제 2 소스 인쇄회로기판(412)의 돌출부(611, 612, 613)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소스 인쇄회로기판(411)과 제 2 소스 인쇄회로기판(412)이 서로에게 좀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소스 인쇄회로기판(411)의 폭, 제 2 소스 인쇄회로기판(412)의 폭 및 이격 폭을 합한 총 세로 폭이 줄어들어 하나의 모 기판(999)으로부터 더 많은 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401: 소스 인쇄회로기판401a: 제 1 기판부
401b: 제 2 기판부501: 구동 회로부
522: 타이밍 컨트롤러523: 직류-직류 변환부
611-613: 제 1 내지 제 3 돌출부601-603: 제 1 내지 제 3 홈
765: 콘택 홀740: 접지부
862: 신호 라인551-554: 제 1 내지 제 4 패드부

Claims (10)

  1. 표시패널;
    제 1 기판부 및 제 2 기판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기판부에 배치된 구동 회로부;
    상기 표시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기판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상기 제 1 기판부 및 상기 제 2 기판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패드부로 전송하는 신호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돌출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홈을 갖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돌출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홈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부와 제 2 기판부가 동일한 수의 패드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과 상기 패드부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패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한 신호 라인들 간의 간격이 다른 부분에 위치한 신호 라인들 간의 간격보다 더 큰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부가 상기 제 2 기판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부는 상기 제 2 기판부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직류-직류 변환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83387A 2014-12-18 2014-12-18 표시장치 KR10226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87A KR102260431B1 (ko) 2014-12-18 2014-12-18 표시장치
US14/836,186 US10276113B2 (en) 2014-12-18 2015-08-26 Display device
CN201510954537.6A CN105722318B (zh) 2014-12-18 2015-12-17 印刷电路板以及包含该印刷电路板的母板和显示装置
KR1020210069301A KR102350294B1 (ko) 2014-12-18 2021-05-28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387A KR102260431B1 (ko) 2014-12-18 2014-12-18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301A Division KR102350294B1 (ko) 2014-12-18 2021-05-28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843A KR20160074843A (ko) 2016-06-29
KR102260431B1 true KR102260431B1 (ko) 2021-06-04

Family

ID=561301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387A KR102260431B1 (ko) 2014-12-18 2014-12-18 표시장치
KR1020210069301A KR102350294B1 (ko) 2014-12-18 2021-05-28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301A KR102350294B1 (ko) 2014-12-18 2021-05-2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76113B2 (ko)
KR (2) KR102260431B1 (ko)
CN (1) CN1057223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708B1 (ko) 2016-01-08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8628B1 (ko) * 2018-01-08 2023-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112432A (ko) 2020-03-04 2021-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665A (ja) 2001-11-08 2003-05-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50122810A (ko)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노이즈 방지형상의 pcb
KR101387922B1 (ko) * 2007-07-24 201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칩, 이를 갖는 구동 칩 패키지 및 표시 장치
JP2009111287A (ja) * 2007-10-31 2009-05-21 Fujitsu Media Device Kk 電子部品モジュール及びその回路基板
KR101537712B1 (ko) * 2008-09-19 2015-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00108677A (ko) * 2009-03-30 2010-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595452B1 (ko) * 2009-08-05 2016-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404310B (zh) * 2010-12-10 2013-08-01 Au Optronics Corp 電源管理與控制模組以及液晶顯示器
KR20120136669A (ko) 2011-06-09 201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904291B1 (ko) 2012-05-25 2018-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107328B2 (en) 2012-06-13 2015-08-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CB for LCD device and LCD device
KR101977592B1 (ko) * 2012-07-24 2019-05-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공통전압 보상회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239623B1 (ko) * 2014-02-21 2021-04-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회로 기판 모듈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294B1 (ko) 2022-01-17
US10276113B2 (en) 2019-04-30
CN105722318A (zh) 2016-06-29
KR20160074843A (ko) 2016-06-29
US20160180756A1 (en) 2016-06-23
CN105722318B (zh) 2019-10-11
KR20210066779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294B1 (ko) 표시장치
KR10220510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RU2502915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US8547500B2 (en) Light guide plates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fixation members
US10901252B2 (en) Display device
KR102212067B1 (ko) 백라이트 유닛
KR20220103082A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10025126B2 (en) Display device
KR20160038148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32938B (zh) 液晶显示装置
KR20160000506A (ko) 표시 장치
KR101920760B1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316791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2372418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KR101797594B1 (ko) 표시 장치
KR20170079244A (ko) 액정 표시 장치
EP3343281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80284A (ko) 액정표시장치
KR1023995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6283A (ko) 액정표시장치
KR20230098959A (ko) 복합 표시 패널
KR101782080B1 (ko) 표시 장치
KR20170027194A (ko) 연성회로기판 접속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