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840A -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840A
KR20030031840A KR1020020059715A KR20020059715A KR20030031840A KR 20030031840 A KR20030031840 A KR 20030031840A KR 1020020059715 A KR1020020059715 A KR 1020020059715A KR 20020059715 A KR20020059715 A KR 20020059715A KR 20030031840 A KR20030031840 A KR 2003003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witching
engine
decele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즈미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84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5Detection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13Switch-over from one fuel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 F02D19/064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at least one fuel being gaseous, the other fuels being gaseous or liquid at standard conditions the gaseous fuel being liquefied petroleum gas [LPG], liquefied natural gas [LNG], compressed natural gas [CNG] or dimethyl ether [D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2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the fuel being gas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26Measuring or estima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28Determining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flow, the fuel tank fill level or a valv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4Throttl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02D2250/21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during a transition between engine operation modes or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Abstract

2종류의 연료를 절환해서 절환된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에 있어서, 그 연료 절환 시의 엔진 토크(torque)의 큰 변화에 의해 차량에 발생되는 충격을 운전자 및 탑승자가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연료 선택 스위치(24)와, 차량의 감속을 검출하는 감속 검출 기구(23), 및 연료를 절환시키는 연료 절환 기구(14, 19)를 갖춘다. 연료 선택 스위치(24)를 절환 조작한 후에, 감속 검출 기구(23)가 차량의 감속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연료 절환 기구(14, 19)에 의해서 연료가 절환된다. 또한, 엔진의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인 시점에서 연료를 절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SWITCHING FUEL IN ENGIN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2종류의 연료를 선택적으로 절환해서 그 절환된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LPG, CNG(compressed natural gas) 등의 가스 연료와 휘발유 등의 액체 연료 사이에서 연료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상기 절환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절환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연료의 절환 시에 연료 공급로에 잔류되어 있는 사용 중의 연료를 완전히 사용해 없앤 후에 다른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예를 들어, JP-A-57-59048), 및 연료의 절환 시에, 차량의 가감속에 대응하여 어느 연료의 공급의 증감을 제어하는 방법(예를 들어, JP-A-63-230933)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둘 모두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연료의 절환 시기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특히 주행 상태를 특정하지 않고 운전자의 의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도록 구조가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안정된 주행 중에 절환 조작이 실행되는 경우, 연료 절환에 의한 오버-리치(over-rich) 또는 오버-린(over-lean) 상태로 인해 순간적으로에 큰 엔진 토크의 변화가 발생되고, 따라서 차량에 비교적 큰 충격이 발생하여, 탑승자가 그 충격을 느낄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전자(前者)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 중의 연료가 그 연료 공급로로부터 완전히 소비된 후에 다른 종류의 연료로 절환되기 때문에, 사용 중의 연료가 일시적으로 없게 되는 상태가 발생하여 엔진의 토크 변화가 크게 되고, 큰 충격이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선택 스위치를 미리 절환될 연료 측으로 설정하여, 이 연료 절환 조작 후에 차량이 감속하는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연료를 절환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절환 시에 발생하는 차량의 충격을 감속 시에 발생하는 차량의 충격과 혼합시켜서,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연료 절환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전체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PG 연료로부터 휘발유 연료로 절환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휘발유 연료로부터 LPG 연료로 절환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절환 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의 개방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엔진 회전 속도와 연료 절환을 위한 감속 영역, 도 4c는 연료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5 : 스로틀 밸브
8 : ECU 9 : 액체 연료 탱크
11 : 액체 연료 공급로 12 : 인젝터(injector)
16 : 가스 연료 탱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2종류의 연료를 절환해서 엔진에 그 절환된 연료를 공급하는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에 있어서,
절환될 연료 측으로 연료 선택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단계; 및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었을 때, 차량의 감속 중에 연료를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절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2종류의 연료를 절환해서 엔진에 그 절환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절환 방법에 있어서,
절환될 연료 측으로 연료 선택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단계; 및
차량의 속도가 감속되었을 때, 스로틀 밸브가 전폐(全閉)된 상태에서 차량의 감속 중에 연료를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절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인 영역에서 차량의 감속 중에 연료가 절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2종류의 연료를 절환해서 엔진에 그 절환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절환 장치에 있어서,
연료 선택 스위치와;
차량의 감속을 검출하는 감속 검출 기구; 및
연료를 절환하는 연료 절환 기구를 포함하고,
또한, 연료 선택 스위치를 절환될 연료 측으로 절환한 후에, 감속 검출 기구가 차량의 감속을 검출하는 시점에서 연료를 연료 절환 기구에 의해 절환시키는, 연료 절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제3특징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가, 스로틀 밸브가 전폐되는 시점에서 감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료 절환 장치는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엔진의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인 영역에서 연료가 절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c에 나타낸 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전체의 개략도이다. 내연기관의 엔진 본체(1)에는, 흡기 밸브(2)를 통해서 연소실(3)과 연통되는 흡기 매니폴드(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기 매니폴드(4)는, 흡기 통로(4a) 및 스로틀 밸브(5)를 통해서 상류 측에서 에어클리너(6)와 연통하고 있다.
스로틀 밸브(5)의 하류 측의 흡기 통로(4a)에는, 상기 흡기 통로(4a) 내의흡기 압력을 검출하는 흡기 압력 센서(7)가 설치되며, 상기 흡기 압력 센서(7)의 검출 압력에 근거하여, 엔진 제어 회로(ECU로 불리움)는, 소정 시간 내의 흡기압 변화량을 연산하고 흡기압 변화량이 설정값 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0.5초) 내에 소정의 값 이상인 흡기압 변화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감속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감속 검출 기구는 흡기 압력 센서(7) 및 ECU(8)로써 구성되어 있다.
휘발유 등의 액체 연료를 저장하는 액체 연료 탱크(9) 내에는, 액체 연료 펌프(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연료 펌프(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액체 연료는 액체 연료 공급로(11)에 가압되어 공급된다. 상기 액체 연료 공급로(11)는 하류 측에서 연료 공급부(13)와 연통되며,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를 인젝터(연료 분사기)(12)에 공급한다.
상기 인젝터(12)는, 흡기 매니폴드(4) 내에 설치되어, 연료 공급부(13) 내의 고압 연료를 주지된 방식에 따라 흡기 매니폴드(4) 내로 분사하며, ECU(8)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액체 연료 공급로(11)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부(13)의 상류측 근방에는, 상기 액체 연료 공급로(11)를 개폐시키는 액체 연료 차단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액체 연료 차단 밸브(14)의 개폐 동작은 ECU(8)에 의해 제어되며, 따라서, 이들에 의해 연료 절환 기구가 구성된다.
상기 액체 연료 차단 밸브(14)의 상류측의 액체 연료 공급로(11)에는, 상기 액체 연료 공급로(11) 내의 연료 압력을 검출하는 제1연료 압력 센서(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료 압력 센서(15)로부터의 신호는 ECU(8)로 송신된다.
LPG, CNG 등의 가스 연료를 저장하는 가스 연료 탱크(16) 내에는, 가스 연료 펌프(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연료 펌프(17)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스 연료는 가스 연료 공급로(18)에 가압되어 공급된다. 상기 가스 연료 공급로(18)는 하류 측에서 연료 공급부(13)와 연통된다.
가스 연료 공급로(18)에 있어서의 연료 공급부(13)의 상류측 근방에는, 상기 가스 연료 공급로(18)를 개폐시키는 가스 연료 차단 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 연료 차단 밸브(19)의 개폐 동작은 ECU(8)에 의해 제어되며, 따라서, 이들에 의해 연료 절환 기구가 구성된다.
상기 가스 연료 차단 밸브(19)의 상류측의 가스 연료 공급로(18)에는, 상기 가스 연료 공급로(18) 내의 연료 압력을 검출하는 제2연료 압력 센서(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료 압력 센서(20)로부터의 신호는 ECU(8)로 송신된다.
연료 공급부(13)에는, 상기 연료 공급부(13) 내의 연료 압력을 검출하는 제3연료 압력 센서(21)와, 연료 공급부(13) 내의 연료의 온도를 검출하는 연료 온도 센서(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 센서로부터의 각각의 신호는 ECU(8)로 송신된다.
스로틀 밸브(5)의 스로틀 샤프트(shaft)부에는, 상기 스로틀 밸브(5)의 개방 각도를 검출하는 주지된 스로틀 센서(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로틀 센서(23)로부터의 신호는 ECU(8)로 송신된다. 상기 스로틀 센서(23) 및 ECU(8)에 의해 감속 검출 기구가 구성된다.
운전석 측의 대시보드(dash board)상에는, 가스 연료와 액체 연료 사이에서연료를 절환시키는 수동 연료 선택 스위치(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연료 선택 스위치로부터의 절환 신호는 ECU(8)로 송신되어 상기 연료 선택 스위치가 절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ECU(8)에는, 타이머 회로가 설치되어, 연료 선택 스위치(24)의 절환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한다. 설정 시간, 예를 들어 1분 이내에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연료 절환은 정지된다.
이 경우에, 스로틀 밸브(5)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 샤프트 등을 통해서 가속 페달(나타내지 않음)과 함께 작동되기 때문에, 가속 스위치(나타내지 않음)가 가속 페달이 밟아졌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면, 가속 페달을 밟은 양이 없는 경우, 즉, 스로틀 밸브(5)가 전폐(全閉)된 경우, 가속 스위치가 도통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감속 검출 기구는 ECU(8)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주지된 엔진 회전 속도 검출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엔진 회전 속도 검출 수단에 근거하여 감속 시의 엔진 회전 속도가 소정의 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연료 절환이 제어된다.
이어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가스 연료로서 LPG를 사용하고 액체 연료로서 휘발유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연료의 절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LPG 연료로 엔진이 구동되는 주행으로부터 휘발유 연료의 주행으로 차량 주행이 절환되는 경우를,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가 수동으로 연료 선택 스위치(24)를 LPG 연료 측으로부터 휘발유 연료 측으로 절환 조작한다(단계 101).
연료 선택 스위치(24)가 절환될 때, ECU(8) 내의 타이머 회로가 계수치 0으로 재설정된 후(단계 102), 시간 측정이 시작되며(단계 103), 소정 조건 이하로 차량이 감속되었는지의 여부가 ECU(8)에 의해 판정된다(단계 104).
판정 방법에 있어서는, ① 스로틀 센서(23)와 ECU(8)에 의해 스로틀 밸브(5)가 전폐(저 흡입 공기 영역) 되었다고 판정하는 경우, 즉, 흡입 공기의 도입에 따른 정상적인 연료 공급이 차단된 경우, 또는 ② 가속 페달의 밟은 양이 없고 가속 스위치가 도통되어 있는 경우, 즉, 흡입 공기의 도입에 따른 정상적인 연료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감속이 판단된다. 또한, ③ 흡기 압력 센서(7)와 ECU(8)에 의해, 스로틀 밸브(5)의 하류부에 있어서의 흡기관 내 압력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5초의 사이에 소정의 값 보다도 크게 변화될 경우, 감속이 판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①과 ③의 경우, 또는 상기 ②와 ③의 경우에 따라 감속이 판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연료 공급이 차단(F/C)되어서, 감속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다는 가정하에 다음 단계로 공정이 진행된다.
이 경우에, 연료 절환으로 인해 차량에 가해진 충격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엔진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일 때 연료를 절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엔진 회전 속도 검출 수단으로부터 엔진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의 상태에서 주행 중에 있어서 감속(연료 차단)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에서, 연료 절환 조건을 만족한다는 가정 하에 공정이 다음 단계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지 못하는 동안, 즉, 연료 선택 스위치(24)가 절환 조작된 후에, 소정의 감속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 타이머 회로에 의해 시간이 측정된다(단계 105). 그리고, 설정 시간(예를 들어, 1분)이 경과할 때까지, 공정은,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다는 신호의 입력에 대해 대기한다. 연료 선택 스위치(24)가 절환 조작된 후,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가 타이머 회로의 설정 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 상기 연료 선택 스위치(24)는 LPG 측으로 복귀되고(단계 106), 공정은 연료 절환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종료된다. 따라서, 차량은 LPG 연료로써 주행한다.
설정 시간 내에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LPG용의 연료 펌프(17)(F/P)는 정지되고(단계 107), LPG용의 차단 밸브(19)가 폐쇄된다(단계 108).
그 후, 인젝터(INJ)(12)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의 개방 시간(τ)을 증폭시키는 신호의 송신이 시작되고(단계 109), 차단 밸브(19)의 하류측에 배치된, 가스 연료 공급로(18) 내, 연료 공급부(13) 내, 및 인젝터(12) 내의 잔류된 LPG 연료는, 빠르게 소비된다. 그 후, 휘발유용 연료 펌프(F/P)(10)가 구동된다(단계 110).
연료 펌프(10)를 구동시킨 후, 제1연료 압력 센서(15)는 휘발유 연료의 압력을 검출하고, ECU(8)는, 휘발유 연료의 압력이 인젝터(12)가 휘발유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소정의 연료 압력, 예를 들면, 0.3MPa 이상으로 승압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제1연료 압력 센서로부터 판정한다(단계 111). 연료의 압력이 소정의 연료 압력 이상으로 승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정은 승압을 위해 대기한다. 그리고, 압력이소정의 연료 압력 이상으로 승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젝터(12)로의 τ증폭 신호를 정지시키고(단계 112), 휘발유용 차단 밸브(14)를 개방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단계 113),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해 인젝터(12)로부터 휘발유 연료가 분사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LPG 연료에 의한 차량의 주행 중에 연료 선택 스위치(24)를 휘발유 연료 측으로 절환시키면, 차량이 소정의 감속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연료는 자동적으로 휘발유 연료로 절환된다. 그 후, 차량은 휘발유 연료로써 주행하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연료 절환에 대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각도와, 엔진의 회전 속도, 및 연료 절환 타이밍의 관계를 타이밍 챠트에 근거하여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LPG 연료를 사용하고, 스로틀 밸브(5)의 개방 각도가 20도이며, 엔진 회전 속도가 2,000rpm인 주행 상태에 있어서, 운전자가 연료 선택 스위치(24)를 휘발유 연료 측으로 절환하였다는 가정하에서, 차량이 절환 시점(도 4a 내지 도 4c에서의 점 A)에서 감속 상태에 있지 않고, 따라서 연료는 즉시 절환되지 않는다.
그 후,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복귀시켜서 스로틀 밸브(5)가 전폐(도 4a 내지 도 4c에서의 점 B)되면, 가속 스위치 또는 스로틀 센서(23) 및 흡기 압력 센서(7)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감속된 것을 판단하고, 도 2의 흐름도에 있어서 단계(107)로부터 이후의 동작이 실행된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5)가 전폐된 상태의 감속 영역, 및 엔진의 회전 속도가 1,500rpm 이상인 도 4b의 사선 영역 내에서,연료는 도 4b 내지 도 4c의 점 C에서 LPG 연료로부터 휘발유 연료로 절환되며, 차량은 그 후 휘발유 연료로써 주행된다.
이 경우, 도 4a 내지 도 4c에서, 엔진 회전 속도가 1,500rpm 이하인 상태에서 감속 신호가 입력될지라도 연료는 절환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연료 절환은, 엔진이 1,500rpm 이상으로 회전할 때만 설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하는 회전 속도의 영역 내에 설정될 수도 있다.
이어서, 휘발유 연료로 엔진이 구동되는 주행으로부터 LPG 연료로 주행되는 차량 주행으로 절환되는 경우를, 도 3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가 수동으로 연료 선택 스위치(24)를 휘발유 연료 측으로부터 LPG 연료 측으로 절환 조작한다(단계 201).
연료 선택 스위치(24)가 절환될 때, ECU(8) 내의 타이머 회로가 계수치 0으로 재설정된 후(단계 202), 시간 측정이 시작되고(단계 203), 공정은 단계(204)로 진행되어서, 인젝터(12)로부터 LPG 연료가 분사될 때에도 엔진이 구동될 수 있는 상태가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LPG 연료에로의 절환 조건이 확립 또는 만족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LPG 연료에 대한 절환 조건의 확립에 관하여, 예를 들어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10℃ 이상이고, 엔진 시동 후 2분 이상이 경과되고, LPG 연료 압력이 0.6MPa 이며, LPG 탱크 내의 연료 온도가 0℃ 이상인 시점에서, LPG 연료에 대한 절환 조건이 만족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절환 조건이 만족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료 선택 스위치(24)는 원래상태, 즉 휘발유 측으로 복귀되고(단계 205), 공정은 종료된다.
상기 절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공정은 단계(206)로 진행된다. 상기 단계(206)에서, 차량이 소정의 조건하에서 감속 상태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이 판정 방법은 LPG로부터 휘발유로의 연료 절환 시점에 있어서의 단계(104)와 동일하다. 즉,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스로틀 센서(23), 가속 페달 및 흡기 압력 센서(7)로부터의 신호로써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엔진 회전 속도가 고려될 수도 있다.
상기 연료 선택 스위치(24)가 절환 조작된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의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지 못하는 동안은, 타이머 회로에 의해 시간이 측정된다(단계 207). 그리고, 설정 시간(예를 들어, 1분)이 경과할 때까지, 공정은, 상기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다는 신호의 입력에 대해 대기한다. 연료 선택 스위치(24)가 절환 조작된 후,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연료 선택 스위치(24)는 휘발유 측으로 복귀하며(단계 208), 연료 절환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공정은 종료된다. 따라서, 차량은 휘발유 연료로써 주행된다.
설정 시간 내에 연료 절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휘발유용의 연료 펌프(10)(F/P)는 정지되고(단계 209), 휘발유용의 차단 밸브(14)가 폐쇄된다(단계 210).
그 후, 인젝터(INJ)(12)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의 개방 시간(τ)을 증폭시키는 신호의 송신이 시작되고(단계 211), 휘발유용 차단 밸브(14)의 하류측에 배치된, 휘발유 연료 공급로(11) 내, 연료 공급부(13) 내, 및 인젝터(12) 내의 잔류된 휘발유 연료는, 빠르게 소비된다.
그 후, LPG용 연료 펌프(F/P)(17)가 구동된다(단계 212).
연료 펌프(17)를 구동시킨 후, 제2연료 압력 센서(20) 및 ECU(8)는, 인젝터(12)가 LPG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소정의 연료 압력, 예를 들면, 0.6MPa 이상으로 LPG가 유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213). 연료의 압력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공정은 압력이 소정의 값으로 승압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연료의 압력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승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젝터(12)에로의 τ증폭 신호를 정지시키고(단계 214), LPG용 차단 밸브(14)를 개방시킴으로써(단계 215), 차량은 LPG 연료로써 주행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휘발유 연료에 의한 차량의 주행 중에 연료 선택 스위치(24)를 LPG 연료 측으로 절환시키면, 차량이 소정의 감속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연료는 자동적으로 LPG 연료로 절환된다. 그 후, 차량은 LPG 연료로써 주행하게 된다.
연료가 휘발유 연료로부터 LPG 연료로 절환된 상태는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상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 3의 흐름도의 경우에 있어서, 휘발유와 LPG가 공급되고 차단되는 상태를 괄호를 사용하여 도 4에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연료 선택 스위치를 절환 조작한 후, 차량이 감속된 시점에서 차량의 감속 중에 연료 절환이 실행되기 때문에, 연료 절환에 의해 야기되는 순간적인 큰 엔진 토크 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차량에 대한 충격을, 감속의 시점에서 발생되는 차량에 대한 충격과 혼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와 탑승자가 연료 절환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료 절환 타이밍을, 엔진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인 감속 시간에 설정함으로써, 운전자와 탑승자가 충격을 거의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2종류의 연료를 절환해서 엔진에 그 절환된 연료를 공급하는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에 있어서,
    절환될 연료 측으로 연료 선택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단계; 및
    차량이 감속된 후, 차량의 감속 중에 연료를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절환 방법.
  2. 2종류의 연료를 절환해서 엔진에 그 절환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절환 방법에 있어서,
    절환될 연료 측으로 연료 선택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단계; 및
    스로틀 밸브가 전폐(全閉)된 상태에서 차량의 감속 중에 연료를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 절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인 영역에서, 차량의 감속 중에 연료가 절환되는, 연료 절환 방법.
  4. 2종류의 연료를 절환해서 엔진에 그 절환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절환 장치에 있어서,
    연료 선택 스위치와;
    차량의 감속을 검출하는 감속 검출 기구; 및
    연료를 절환시키는 연료 절환 기구를 포함하고,
    또한, 연료 선택 스위치를 절환 조작한 후에, 감속 검출 기구에 의해 차량의 감속이 검출되는 시점에서 연료를 연료 절환 기구에 의해 절환시키는, 연료 절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구가, 스로틀 밸브가 전폐되는 시점에서 감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연료 절환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또한 엔진의 회전 속도가 약 1,500rpm 이상인 영역에서 연료가 절환되는, 연료 절환 장치.
KR1020020059715A 2001-10-16 2002-10-01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318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7531 2001-10-16
JP2001317531A JP2003120352A (ja) 2001-10-16 2001-10-16 エンジンの燃料切換方法とその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40A true KR20030031840A (ko) 2003-04-23

Family

ID=1913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715A KR20030031840A (ko) 2001-10-16 2002-10-01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120352A (ko)
KR (1) KR20030031840A (ko)
DE (1) DE102482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2342C (zh) * 2005-08-30 2008-08-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Lpg开关接通信号传输线断路的检测方法
KR100860463B1 (ko) *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CN100447395C (zh) * 2005-08-31 2008-12-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液化石油气喷射车辆的起动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030208A1 (it) * 2003-04-30 2003-07-29 I Co M S P A Impianto di alimentazione con gpl per motori ad iniezione a benzina.
ITTO20030761A1 (it) * 2003-09-30 2005-04-01 Fiat Ricerche Sistema per il controllo del riempimento di un serbatoio
JP4581908B2 (ja) * 2005-08-19 2010-11-17 マツダ株式会社 デュアルフューエル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4600231B2 (ja) * 2005-09-26 2010-12-15 マツダ株式会社 デュアルフューエルエンジンの燃料切換制御装置
JP4688670B2 (ja) * 2005-12-20 2011-05-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および車両
JP5557094B2 (ja) 2010-05-18 2014-07-23 スズ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2012041872A (ja) * 2010-08-19 2012-03-01 Keihin Corp 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ITBO20110290A1 (it) * 2011-05-23 2012-11-24 Magneti Marelli Spa Metodo di controllo dell'iniezione di carburante in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poli-carburante in caso di richiesta di commutazione di carburante
JP2013231427A (ja) * 2012-04-03 2013-11-14 Denso Corp エンジン制御装置
US9988990B2 (en) 2015-04-06 2018-06-05 Clark Equipment Company Dual fuel generator system
KR101662999B1 (ko) * 2015-05-07 2016-10-06 김성훈 엘피지 차량의 가솔린 차량화 방법
US10907553B2 (en) 2019-04-05 2021-02-02 Kohler Co. Dual fuel gen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2342C (zh) * 2005-08-30 2008-08-2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Lpg开关接通信号传输线断路的检测方法
CN100447395C (zh) * 2005-08-31 2008-12-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液化石油气喷射车辆的起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860463B1 (ko) *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 퓨얼 차량의 연료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20352A (ja) 2003-04-23
DE10248228A1 (de) 200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1840A (ko) 엔진의 연료 절환 방법 및 그 장치
US4376427A (en) Engine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with both normal idling and idle up idling capability
JPS61192826A (ja) 内燃機関の燃料カツト復帰時の燃料供給制御方法
JP2001193511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3427612B2 (ja) 内燃機関の吸気流制御装置
EP1493913A1 (en) Fuel gas mixer
US4347817A (en) Idle circuit shut-off valve
JP2002235571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H11166432A (ja) 内燃機関の二種燃料切換制御装置
JPH0643814B2 (ja) 二元燃料の切換制御方法及び装置
JP3922862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3593807B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4265020B2 (ja) Lpgエンジンの燃料制御方法及び燃料制御装置
KR20060069134A (ko) 컷오프 솔레노이드 인젝터 구조
JP3719033B2 (ja) ガス燃料エンジンの始動システム
JPH055474A (ja) エンジンの燃圧制御装置
JPH0523797Y2 (ko)
JPS6149158A (ja) 内燃機関の燃料カツト制御装置
KR19980035489A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JPH01178028A (ja) 自動変速車のアクセル制御装置
JPH05306658A (ja) 燃料蒸散防止装置
JPH0614045Y2 (ja) 気化器のスロ−系燃料供給装置
JPH0723546Y2 (ja) スワ−ルコントロ−ルバルブ制御機構
JP2006118385A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運転制御方法
KR19990003448A (ko) 차량의 급출발 및 급가속 방지를 위한 연료분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