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341A -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조절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조절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341A
KR20030023341A KR1020010056503A KR20010056503A KR20030023341A KR 20030023341 A KR20030023341 A KR 20030023341A KR 1020010056503 A KR1020010056503 A KR 1020010056503A KR 20010056503 A KR20010056503 A KR 20010056503A KR 20030023341 A KR20030023341 A KR 2003002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ing
inverter
delay
delay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342B1 (ko
Inventor
정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5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342B1/ko
Priority to US10/238,494 priority patent/US6812764B2/en
Publication of KR2003002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15Read-write modes for single port memories, i.e. having either a random port or a serial port
    • G11C7/1045Read-write mode sel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4Shaping pulses by increasing duration; by decreasing du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using a chain of active dela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퓨즈를 이용하여 패키지(package)전, 후에도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는, 외부제어신호에 의한 내부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조절회로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딜레이 수단에 각각의 퓨즈를 연결하여 상기 퓨즈를 절단 및 연결함으로써 상기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TIMING CONTROL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퓨즈를 이용하여 패키지(package)전, 후에도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제어신호에 의한 내부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회로는 메탈 마스크(metal mask)를 이용한 딜레이 세트(delay set)를 사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타이밍조절회로의 회로도로서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타이밍조절회로는 외부제어신호(A)를 지연시켜 타이밍 조절을 하는 다수 개의 딜레이 수단, 예컨대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딜레이 수단(11) 및 제2 딜레이 수단(13)이 병렬 연결된 딜레이부(10)와, 상기 제2 딜레이 수단(13)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반도체 공정시 메탈 마스크(metal mask)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메탈스위칭수단(20) 및, 딜레이부(10)와 메탈스위칭수단(20)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타이밍 조절이 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달부(30)를 구비하였다.
여기서, 신호전달부(30)는 제2 딜레이 수단(13)과 메탈스위칭수단(20)의 연결상태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낸드게이트(NAND)와, 상기 낸드게이트(NAND)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1 인버터(INV1)와, 제1 딜레이 수단(11)과 제1 인버터(INV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노아게이트(NOR1)와, 제1 노아게이트(NOR1)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2 인버터(INV2) 및, 상기 외부입력신호 및 제2 인버터(INV)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에 의한 외부입력신호의 타이밍이 조절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노아게이트(NOR2)를 구비한다. 이때, 메탈스위칭수단(20)은 제2 딜레이 수단(13)과 제1 낸드게이트(NAND1)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거나,제1 낸드게이트(NAND1)를 접지로 연결해주는 스위칭 역할을 수행한다. 즉, 메탈스위칭수단(20)이 접지로 연결되어 있으면 제1 딜레이 수단(11)에 의해서만 외부입력신호의 타이밍이 조절이 되고, 메탈스위칭수단(20)이 도시된 바와같이 제2 딜레이 수단(13)과 제1 낸드게이트(NAND1)를 연결해주면 제1, 제2 딜레이 수단(11)(13)에 의해 외부입력신호의 타이밍이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메탈스위칭수단(13)을 이용한 타이밍조절회로는 제품을 제작하고 패키지(package)를 한 후에 공정변수등에 의해 딜레이 값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타이밍이 부족하거나 너무 넓어서 제품이 불량이 부족한 경우, 예를들어 tRCD,tRP 또는 기타 이와같은 타이밍 스펙(timing spec.)을 만족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불량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퓨즈를 이용하여 패키지(package)전, 후에도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의 회로도.
도 3은 도 2의 퓨즈수단의 회로도.
도 4는 도 2의 동작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50 : 딜레이부 51 : 제1 딜레이 수단
53 : 제2 딜레이 수단 55 : 제3 딜레이 수단
60 : 퓨즈 수단 62 : 제1 인버터
64 : 제2 인버터 66 : 제1 퓨즈 수단
68 : 제2 퓨즈 수단 70 : 신호전달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는, 외부제어신호에 의한 내부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조절회로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딜레이 수단에 각각의 퓨즈를 연결하여 상기 퓨즈를 절단 및 연결함으로써 상기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밍조절회로는 제1 신호를 지연시켜 타이밍 조절을 하는 다수 개의 딜레이 수단이 병렬 연결된 딜레이부와,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과 조합하여 상기 딜레이 수단에 의한 타이밍 조절을 제어하는 퓨즈 수단 및,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과 퓨즈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타이밍 조절이 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동작타이밍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제어신호(A)를 지연시켜 타이밍 조절을 하는 다수 개의 딜레이 수단, 예컨대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딜레이 수단(51) 및 제2 딜레이 수단(53)이 병렬 연결된 딜레이부(50)와, 이러한 딜레이부(50)의 제2 딜레이 수단(53)과 조합하여 제2 딜레이 수단(53)에 의한 타이밍 조절을 제어하는 퓨즈 수단(60) 및, 딜레이부(50)와 퓨즈 수단(60)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타이밍 조절이 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달부(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신호전달부(70)는 제2 딜레이 수단(53)과 퓨즈 수단(60)의 연결상태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낸드게이트(NAND)와, 상기 낸드게이트(NAND)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1 인버터(INV1)와, 제1 딜레이 수단(51)과 제1 인버터(INV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노아게이트(NOR1)와, 제1 노아게이트(NOR1)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2 인버터(INV2) 및, 상기 외부제어신호(A) 및 제2 인버터(INV)로부터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에 의한 외부입력신호의 타이밍이 조절된 신호(OUTPUT)를 출력하는 제2 노아게이트(NOR2)를 구비한다.
이때, 퓨즈 수단(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이져 컷팅(laser cutting)을 하는 퓨즈를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퓨즈 수단(60)은 초기 입력값(initial)에 의해 출력노드(Nd)에 전원전압(Vdd)을 전달하는 제1 PMOS 트랜지스터(P1)와, 상기 출력노드(Nd)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퓨즈(fuse)와, 상기 출력노드(Nd)의 전위를 반전시키는 인버터(64)와, 인버터(64)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전원전압(Vdd)을 출력노드(Nd)에 전달하는 제2 PMOS 트랜지스터(P2) 및, 인버터(62)의 출력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64)로 구성된다.
이러한 퓨즈 수단(60)아 끊어지지 않으면 제1 낸드게이트(NAND1)의 입력이 '로우'레벨이 되어 제1 노아게이트(NOR1)로부터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어 제1 노아게이트(NOR1)의 출력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한편, 퓨즈 수단(60)이 끊어지면 제1 낸드게이트(NAND1)의 입력이 '하이'레벨이 되고, 제2 딜레이 수단(53)의 출력에 따라 제1 낸드게이트(NAND1)의 출력이 변경되며, 그에따라 제1 노아게이트(NOR1)의 출력도 변경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퓨즈를 끊기 전과 퓨즈를 끊은 후의 동작타이밍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을 참조하여, A는 외부제어신호이고, B는 제1 딜레이 수단(51)의 출력신호이며, C는제1 인버터(INV1)의 출력신호이고, D는 제2 인버터(INV2)의 출력신호를 나타낸다.
즉, 퓨즈를 끊기 전에는 제2 딜레이 수단(53)의 출력 값이 사용되지 않았고, 퓨즈를 끊은 후에는 제2 딜레이 수단(53)의 출력 값이 사용되어 제2 노아게이트(NOR2)의 출력 신호의 타이밍이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타이밍의 조절 수단으로 제1 딜레이 수단(51)과 제2 딜레이 수단(53) 및 하나의 퓨즈 수단(60)을 사용하였지만, 다수 개의 딜레이 수단, 예컨대 제1 내지 제3 딜레이 수단과 제1 및 제2 퓨즈 수단을 이용하여 출력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퓨즈 수단(66)으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1 인버터(INV1)와, 제2 딜레이 수단(53)과 제1 인버터(INV1)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낸드게이트(NAND1)와, 제3 딜레이 수단(55)과 제2 퓨즈 수단(68)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낸드게이트(NAND2)와, 제1 낸드게이트(NAND1)와 제2 낸드게이트(NAND2)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반전시키는 제2 인버터(INV2) 및 제3 인버터(INV3)와, 제2 인버터(INV2) 및 제3 인버터(INV3)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노아게이트(NOR1)와, 제1 노아게이트(NOR1)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4 인버터(INV4)와, 제1 딜레이 수단(51)과 제4 인버터(INV4)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노아게이트(NOR2)와, 제2 노아게이트(NOR2)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5 인버터(INV5) 및, 외부제어신호(A) 및 제5 인버터(INV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딜레이 수단(51)(53)(55)에 의한 외부제어신호(A)의 타이밍이 조절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노아게이트(NOR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퓨즈 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레이져 컷팅을 하는 퓨즈를 사용하여 패키지(package) 전에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게 하였지만, 전류를 흘려주어 제어하는 일렉트릭컬 퓨즈(electrical fuse)를 이용하여 패키지 후에도 원하는 타이밍 스펙(timing spec.)을 만족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에 의하면, 종래의 메탈스위칭수단(20) 대신 다수 개의 퓨즈 수단(51)(53)(55)을 이용하여 웨이퍼 제작후나, 패키지후 공정변수에 따라 tRCD, tRP 외에도 여러가지 timing spec.으로 타이밍을 조절함으로써 생산성 및 제품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외부제어신호에 의한 내부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밍조절회로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딜레이 수단에 각각의 퓨즈를 연결하여 상기 퓨즈를 절단 및 연결함으로써 상기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
  2. 타이밍조절회로에 있어서,
    제1 신호를 지연시켜 타이밍 조절을 하는 다수 개의 딜레이 수단이 병렬 연결된 딜레이부와,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과 조합하여 상기 딜레이 수단에 의한 타이밍 조절을 제어하는 퓨즈 수단 및,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과 퓨즈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타이밍 조절이 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부는 제1 딜레이 수단 및 제2 딜레이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부는 상기 제2 딜레이 수단과 상기 퓨즈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낸드게이트와,
    상기 낸드게이트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제1 딜레이 수단과 상기 제1 인버터로부토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노아게이트와,
    상기 제1 노아게이트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2 인버터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인버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에 의한 상기 제1 신호의 타이밍이 조절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노아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부는 제1 내지 제3 딜레이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부는 제1 퓨즈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1 인버터와,
    상기 제2 딜레이 수단과 상기 제1 인버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3 딜레이 수단과 제2 퓨즈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1 낸드게이트와 상기 제2 낸드게이트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반전시키는 제2 인버터 및 제3 인버터와,
    상기 제2 인버터 및 상기 제3 인버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노아게이트와,
    상기 제1 노아게이트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4 인버터와,
    상기 제1 딜레이 수단과 상기 제4 인버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노아게이트와,
    상기 제2 노아게이트로부터의 신호를 반전하는 제5 인버터 및,
    상기 제1 신호 및 제5 인버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딜레이 수단에 의한 상기 제1 신호의 타이밍이 조절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노아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타이밍조절회로.
KR10-2001-0056503A 2001-09-13 2001-09-13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조절 회로 KR10040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03A KR100403342B1 (ko) 2001-09-13 2001-09-13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조절 회로
US10/238,494 US6812764B2 (en) 2001-09-13 2002-09-10 Timing control circuit for use of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03A KR100403342B1 (ko) 2001-09-13 2001-09-13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조절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341A true KR20030023341A (ko) 2003-03-19
KR100403342B1 KR100403342B1 (ko) 2003-11-01

Family

ID=1971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503A KR100403342B1 (ko) 2001-09-13 2001-09-13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조절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12764B2 (ko)
KR (1) KR100403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765B1 (ko) * 2005-12-28 2007-11-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US7460418B2 (en) 2006-06-23 2008-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tack package and read data skew control method thereof
US7821836B2 (en) 2007-07-02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in which trim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cell arr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36B1 (ko) * 2005-09-29 2007-08-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펄스 제어 장치
KR20090098295A (ko) * 2008-03-13 2009-09-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입력 래치회로
US8232823B1 (en) * 2009-06-05 2012-07-31 Altera Corporation Frequency control clock tuning circuitry
US11581032B2 (en) * 2021-04-20 2023-02-14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of power supply control for temperature compensated sense amplifi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7491A (en) * 1987-08-28 1989-03-03 Hitachi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H05110397A (ja) * 1991-10-19 1993-04-30 Nec Corp 同期式デイジタル回路
US5428311A (en) * 1993-06-30 1995-06-27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Fuse circuitry to control the propagation delay of an IC
KR0145221B1 (ko) * 1995-05-25 1998-08-17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스위치 회로
KR100213198B1 (ko) * 1996-04-24 1999-08-02 김광호 지연조정이 용이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5852379A (en) * 1997-05-09 1998-12-22 Integrated Silicon Solution Inc. Fuse tunable, RC-generated pulse generator
KR19980084269A (ko) * 1997-05-22 1998-12-05 윤종용 퓨즈를 이용한 딜레이 회로
US6269451B1 (en) * 1998-02-27 2001-07-3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ata timing by delaying clock signal
KR20000010118A (ko) * 1998-07-30 2000-02-15 김영환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지연 조절장치
US6188255B1 (en) * 1998-09-28 2001-02-13 Cypress Semiconductor Corp. Configurable clock generator
US6347394B1 (en) * 1998-11-04 2002-02-12 Micron Technology, Inc. Buffering circuit embedded in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module used for buffering clocks and other input signals
KR100322528B1 (ko) * 1998-11-11 2002-03-18 윤종용 부하 조절부를 가지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신호 전송회로 및 이를이용한 전송 시간 조절방법
JP2001156255A (ja) * 1999-11-25 2001-06-08 Oki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
JP2002015569A (ja) * 2000-06-27 200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765B1 (ko) * 2005-12-28 2007-11-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US7460418B2 (en) 2006-06-23 2008-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tack package and read data skew control method thereof
US7821836B2 (en) 2007-07-02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in which trim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cell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48121A1 (en) 2003-03-13
US6812764B2 (en) 2004-11-02
KR100403342B1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4412B2 (ja) 可変遅延回路および可変遅延回路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
JPH10302465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動作制御装置
KR100605601B1 (ko) 스위칭 노이즈를 감소시킨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를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23341A (ko)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조절 회로
KR100481179B1 (ko) 퓨즈를 구비한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KR19990012403A (ko) 클럭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로직 복합 반도체장치
JP2004104754A (ja) 半導体装置
KR100487500B1 (ko) 반도체 장치의 버퍼회로
KR100546180B1 (ko) 타이밍 튜닝 장치
KR20040095857A (ko)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압 발생회로
JP2001052477A (ja) 周期選択回路及びこの周期選択回路を用いた半導体記憶装置
KR100552656B1 (ko)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버퍼
KR100401511B1 (ko) 스탠바이 모드 제어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KR20010066212A (ko) 퓨즈 프로그램 회로 및 프로그래밍 방법과 퓨즈 프로그램회로를 구비하는 지연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지연 제어방법
KR100428688B1 (ko) 전원 전압에 따른 지연 장치
KR20130071953A (ko) 집적 회로
KR100919567B1 (ko) 배타적 오아게이트 회로
KR20030002153A (ko) 퓨즈 컷팅 회로
KR20030003428A (ko) 저전력 출력 드라이버
KR20080089746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605783B1 (ko) 출력 펄스 조절 회로
KR20030094740A (ko) 동작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KR20000010118A (ko) 반도체 장치의 타이밍 지연 조절장치
KR20060133187A (ko) 반도체 소자의 핀 캐패시터 제어 장치
KR20050009419A (ko) 데이타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