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978A -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978A
KR20030022978A KR1020010055839A KR20010055839A KR20030022978A KR 20030022978 A KR20030022978 A KR 20030022978A KR 1020010055839 A KR1020010055839 A KR 1020010055839A KR 20010055839 A KR20010055839 A KR 20010055839A KR 20030022978 A KR20030022978 A KR 20030022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guide
reel
payoff reel
extension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466B1 (ko
Inventor
정용교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4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페이오프릴과 제2페이오프릴이 사이에 제2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의 선단부를 안내할 수 있는 유도 테이블장치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제2페이오프릴의 소재 선단부가 압연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재(S)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압연기(1)의 제2페이오프릴의 일 측에 설치된 지지부재(11)에 설치되어 회동실린더(13)에 의해서 회동되고 상면에는 소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롤(14)이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는 소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안내롤(15)이 복수개 설치된 회동테이블(10); 상기 회동테이블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면에는 소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롤(22)이 설치되며 일단에는 인출실린더(21)가 연결된 연장테이블(20); 상기 연장테이블에 폭조절실린더(31)가 내장되고 그 폭조절실린더에 의해서 연장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브래킷(32)이 마련되며 그 지지브래킷에는 승강실린더(33)가 설치되고 그 승강실린더에는 소재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보조롤(34)이 마련된 측면 안내수단(3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Table apparatus of strip start part guide}
본 발명은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기의 내부로 소재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압연기의 입측에 설치된 보조 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의 선단부가 압연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두께의 강판을 생산할 때에는 압연기에 소재를 통과시켜 소정의 두께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압연기의 입측에 소재가 감겨진 페이오프릴을 설치하고 그 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의 선단부를 압연기에 삽입하여 그 소재를 압연기로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압연을 하며 상기 압연기에서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강판은 그 압연기의 타측에 설치된 텐션릴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연기의 연속작업을 위해서 그 압연기의 입측에 복수개의 소재를 안착할 수 있도록 한쌍의 페이오프릴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선재를 압연기에 투입할 때 소재의 선단부가 압연기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기(1)의 입측 및 출측에는 소재(S)를 안내하도록 복수개의 입측 디플렉터롤(2)과 복수개의 출측 디플렉터롤(3)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연기(1)의 입측에는 소재(S)가 코일 형태로 감겨진 제1페이오프릴(4)과 제2페이오프릴(5)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출측에는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강판을 코일 형태로 감을 수 있는 텐션릴(6)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연기(1)의 배면에는 압연기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7)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배기관(7)의 단부에는 흡입력을 발생되는 흡입팬(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팬(8)은 모터(9)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재(S)를 압연할 때에는 압연기(1)의 입측에 설치된 제1페이오프릴(4)에 소재(S)를 안착시키고 출측에는 텐션릴(6)을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페이오프릴(4)에 감겨진 소재(S)를 풀면서 그 소재(S)의 선단부가 압연기(1)의 입측에 설치된 입측 디플렉터롤(2)에 안내되도록 삽입하고 있다.
상기 소재(S)의 선단부는 입측 디플렉터롤(2)에 안내를 받으면서 압연기(1)로 유입된 후 그 압연기(1)에 내장된 복수개의 압연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후 출측에 설치된 출측 디플렉터롤(3)에 안내를 받으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소재(S)는 압연기(1)의 출측에 설치된 텐션릴(6)에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페이오프릴(4)에 감겨진 소재(S)의 압연이 완료되면 제2페이오프릴(5)에 감겨진 소재(S)의 선단부를 풀어 그 선단부가 입측 디플렉터롤(2)에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제2페이오프릴(5)에 감겨진 소재(S)를 압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제1페이오프릴(5)은 입측 디플렉터롤(2)에 근접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제1페이오프릴(4)에 감겨진 선재(S)의 선단부는 압연기(1)로 유입시키는 작업이 간편하지만 제2페이오프릴(5)에 감겨진 선재(S)의 선단부를 압연기(1)로 유입시킬 때에는 제2페이오프릴(5)과 입측 디플렉터롤(2)의 에 제1페이오프릴(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부분을 지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지 않아서 소재(S)의 선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별도의 도구(파이프)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주어야 하므로 작업부하가 증가되고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소재의 선단부를 들어올릴 때에는 그 선단부가 좌/우로 기울어져서 압연기의 중앙으로 유입되지 못하여 불량품이 생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1페이오프릴과 제2페이오프릴이 사이에 제2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의 선단부를 안내할 수 있는 유도 테이블장치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제2페이오프릴의 소재 선단부가 압연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장치가 설치된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장치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소재1 : 압연기
1a : 걸림홈4 : 제1페이오프릴
5 : 제2페이오프릴10 : 회동테이블
11 : 지지부재13 : 회동실린더
14 : 아이들롤15 : 측면 안내롤
16 : 안내홈20 : 연장테이블
21 : 인출실린더22 : 아이들롤
24 : 안내돌기25 : 걸림돌기
30 : 측면 안내수단31 : 폭조절실린더
32 : 지지브래킷33 : 승강실린더
34 : 보조롤40 : 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는 소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있도록 압연기의 입측에 제1페이오프릴과 제2페이오프릴이 마련되고 상기 제2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1페이오프릴과 제2페이오프릴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를 유도하는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페이오프릴의 일 측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회동실린더에 의해서 회동되고 상면에는 소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롤이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는 소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안내롤이 복수개 설치된 회동테이블; 상기 회동테이블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면에는 소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롤이 설치되며 일단에는 인출실린더가 연결된 연장테이블; 상기 연장테이블에 폭조절실린더가 내장되고 그 폭조절실린더에 의해서 연장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브래킷이 마련되며 그 지지브래킷에는 승강실린더가 설치되고 그 승강실린더에는 소재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보조롤이 마련된 측면 안내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장치가 설치된 압연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의 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장치는 압연기(1) 측으로 소재(S)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압연기(1)의 입측에 설치된 제1페이오프릴(4)과 제2페이오프릴(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페이오프릴(4)과 제2페이오프릴(5)의 사이 단에는 지지부재(11)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부재(11)의 상단에는 회동테이블(10)이 힌지(1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회동테이블(10)과 지지부재(11)의 사이에는 회동테이블(10)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1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동테이블(10)의 상면에는 소재(S)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소재(S)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복수개의 아이드롤(14)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회동테이블(10)의 상면 양측에는 소재(S)가 좌/우로 편심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재(S)의 측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측면 안내롤(15)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테이블(10)의 내부에는 연장테이블(20)이 인출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회동테이블(10)의 내부에는 상기 연장테이블(20)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실린더(21)가 내장되어 있으며 연장테이블(20)의 상면에는 소재(S)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소재(S)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아이드롤(22)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테이블(20)이 인출 될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테이블(10)의 내부 양측면에 안내홈(16)이 형성되고 회동테이블(10)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끼워진 연장테이블(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16)에 끼워지는 안내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테이블(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폭조절실린더(31)가 내장되고 그 폭조절실린더(31)에는 연장테이블(2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브래킷(32)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래킷(32)에는 승강실린더(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실린더(33)에는 소재(S)가 중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소재(S)의 양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보조롤(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장테이블(20)에는 보조롤(34)이 폭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보조롤(34)을 지지하는 지지축(35)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테이블(20)이 인출실린더(21)에 의해서 인출 될 때 연장테이블(20)의 선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장테이블(20)에 걸림돌기(25)가 형성되어 있고 압연기(1)의 입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5)가 안착되는 걸림홈(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1a)에는 걸림돌기(25)가 결합 상태를 검출 할 수 있는 센서(4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장치의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페이오프릴(5)에 설치된 소재(S)를 압연기(1)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소재(S)의 선단부를 유도 할 수 있도록 회동실린더(13)를 작동시키면 지지부재(11)의 상부에 결합된 회동테이블(10)은 힌지(1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회동테이블(10)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면 회동실린더(13)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테이블(10)의 내부에 내장된 인출실린더(21)를 작동시키면 그 인출실린더(21)에 연결된 연장테이블(20)은 회동테이블(10)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연장테이블(20)에 형성된 안내돌기(24)는 회동테이블(10)에 형성된 안내홈(16)에 안내를 받게 되므로 연장테이블(2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테이블(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5)는 압연기(1)의 입측에 형성된 걸림홈(1a)에 걸려지게되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페이오프릴(5)과 압연기(1)의 사이에 회동테이블(10) 및 연장테이블(20)이 안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25)가 걸림홈(1a)에 걸려지게 된 후 그 걸림홈(1a)에 설치된 센서(40)가 이를 감지하면 인출실린더(21)를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연장테이블(20)이 인출된 후 승강실린더(33)가 작동되어 보조롤(34)을 상승시키면 그 보조롤(34)은 연장테이블(2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되어 소재(S)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유입되는 소재(S)의 폭에 따라서 보조롤(34)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보조롤(34)을 이동시킬 때에는 연장테이블(20)에 내장된 폭조절실린더(31)를 작동시키면 승강실린더(33)가 설치된 지지브래킷(32)이 당겨지게 됨에 따라 보조롤(34)은 연장테이블(20)의 중앙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때 보조롤(34)을 지지하는 지지축(35)은 연장테이블(20)에 형성된 이동홈(23)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페이오프릴(5)에 안착된 소재(S)의 선단부를 풀어 압연기(1)의 입측으로 유입시키면 상기 소재(S)의 선단부는 회동테이블(10) 및 연장테이블(20)에 설치된 아이들롤(14, 22)에 안내를 받으면서 유입되는 것이며 상기 회동테이블(1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된 측면안내롤(15)은 소재(S)가 좌/우로 편심된상태로 유입될 때 소재(S)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테이블(20)에 설치되어 소재(S)의 폭에 일치되도록 이동된 보조롤(34)이 소재(S)의 양측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소재(S)의 유입방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페이오프릴(5)에 안착된 소재(S)의 공급이 완료된 후 제1페이오프릴(4)에 안차고딘 소재(S)를 공급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연장테이블(20)을 회동테이블(10)의 내부로 유입시킨 후 그 회동테이블(10)이 직립되도록 회동시키면 제1페이오프릴(4)에 안착된 소재(S)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페이오프릴에 안착된 소재를 압연기의 내부로 공급할 때 페이오프릴과 압연기의 사이에 소재의 유입을 안내하는 테이블장치를 설치하여 소재의 선단부를 안내할 수 있게 되므로 소재의 유입 불량으로 인한 주변 설비의 파손 및 소재의 변형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소재의 선단부 유입을 신속하게 수행하게 되므로 연속작업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재(S)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압연기(1)의 입측에 제1페이오프릴(4)과 제2페이오프릴(5)이 마련되고 상기 제2페이오프릴에 감겨진 소재를 안내할 수 있도록 제1페이오프릴과 제2페이오프릴의 사이에 설치되어 소재를 유도하는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페이오프릴의 일 측에 설치된 지지부재(11)에 설치되어 회동실린더(13)에 의해서 회동되고 상면에는 소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롤(14)이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는 소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안내롤(15)이 복수개 설치된 회동테이블(10);
    상기 회동테이블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면에는 소재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롤(22)이 설치되며 일단에는 인출실린더(21)가 연결된 연장테이블(20);
    상기 연장테이블에 폭조절실린더(31)가 내장되고 그 폭조절실린더에 의해서 연장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브래킷(32)이 마련되며 그 지지브래킷에는 승강실린더(33)가 설치되고 그 승강실린더에는 소재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보조롤(34)이 마련된 측면 안내수단(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테이블의 내부 양측면에는 안내홈(16)이 형성되고 회동테이블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끼워진 연장테이블의 양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안내돌기(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테이블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25)가 형성되고 압연기의 입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안착되는 걸림홈(1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의 입측 형성된 걸림홈에는 연장테이블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것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4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KR1020010055839A 2001-09-11 2001-09-11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KR10077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839A KR100775466B1 (ko) 2001-09-11 2001-09-11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839A KR100775466B1 (ko) 2001-09-11 2001-09-11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978A true KR20030022978A (ko) 2003-03-19
KR100775466B1 KR100775466B1 (ko) 2007-11-12

Family

ID=2772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839A KR100775466B1 (ko) 2001-09-11 2001-09-11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4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72B1 (ko) * 2001-10-29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1350450B1 (ko) * 2011-12-22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
KR20190075740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오버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583U (ko) * 1997-07-28 1999-02-25 김종진 폭압연기의 슬래브센터링장치
KR200289938Y1 (ko) * 1998-12-30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선단부 인입장치
KR20010065357A (ko) * 1999-12-29 2001-07-11 이구택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그립부 교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72B1 (ko) * 2001-10-29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1350450B1 (ko) * 2011-12-22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연 스틸 슬리브 장치
KR20190075740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오버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466B1 (ko) 200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25236B2 (en) Thin-strip coiler comprising a flatness measuring roll
KR100361850B1 (ko) 압연롤에 의한 선재의 신선가공장치
KR20030022978A (ko) 스트립 선단부 유도용 테이블장치
CA12200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derwinding strip on a drum
JPH0797637A (ja) ホットストリップのためのリール炉
US4432221A (en) Rolling mill with conveying means for strip and foil materials
KR20030022964A (ko) 압연기용 소재의 선단부 유도장치
JP3451511B2 (ja) 圧延機の案内装置
JP4474786B2 (ja) 巻取装置
KR20030052701A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408667B1 (ko) 연마 캐빈 간 파단 스트립 클램핑 및 인출 안내 장치
KR20030039264A (ko) 스트립 가이드장치
KR200158046Y1 (ko) 조질 압연기의 열연코일강판 접힘 방지장치
JP5027547B2 (ja) 縦型ルーパ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0733064B1 (ko) 코일의 재생간지 삽입 유도장치
KR100948924B1 (ko) 피딩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200194120Y1 (ko) 스킨패스 라인의 안티-크림핑롤
KR20030010914A (ko) 스트립의 절단 미압연부 권취 제거장치
KR20020048156A (ko) 강판 스트립의 센터링 유도장치
JP2534819Y2 (ja) 線材・棒鋼圧延機のローラ式ガイド装置
KR100822965B1 (ko) 코일 선단부 유도장치
JPH04111924A (ja) 金属ストリップ巻取装置における間紙挿入制御装置
KR20050002550A (ko) 연속 열간사상압연기 및 이를 이용한 사상압연방법
JPH089095Y2 (ja) 温室用ビニ−ル布の巻取装置
JPS589719A (ja) ホツトストリツプミル設備における巻取時のネツキング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