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701A -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701A
KR20030052701A KR1020010082729A KR20010082729A KR20030052701A KR 20030052701 A KR20030052701 A KR 20030052701A KR 1020010082729 A KR1020010082729 A KR 1020010082729A KR 20010082729 A KR20010082729 A KR 20010082729A KR 20030052701 A KR20030052701 A KR 2003005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late
tension reel
elevating
roll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807B1 (ko
Inventor
남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8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21B45/0284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removing lubrican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입측 텐션릴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을 정확히 유도하여 출측 텐션릴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된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압연기의 에프런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며,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푸시실린더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어 스트립이 입,출측 오일와이퍼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승강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사이드바와; 상기 사이드바 사이의 공간으로 승강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립의 센터링을 잡아주는 복수의 센터링롤들과; 상기 센터링롤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및 이 체인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승강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스트립의 쏠림방향 및 쏠림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들과;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동작센서;를 포함하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DEVICE FOR LEADING STRIP IN COLD ROLLING MILL}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냉연공장의 냉간압연라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간압연라인의 입측 텐션릴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을 출측 텐션릴로 정확히 유도 안내하기 위한 스트립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강 생산에 있어서 열간 압연을 마친 열연코일은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다시 냉간압연을 거침으로서 외관이 미려하고 치수가 정확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냉간압연라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두개의 텐션릴(10,12)을 구비한다. 입측 텐션릴(10)에 감긴 코일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S)은 핀치롤(14)에 의해 눌려져 고정된 후, 핀치롤(14)과 입측 텐션릴(10)의 회전에 따라 출측 텐션릴(12)로 유도된다. 이때, 스트립(S)의 두께 및 재질, 외관 형상, 강종 등에 의해 상기 스트립(S)이 출측 텐션릴(12)로 정확히 투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트립(S)의 선단을 펴주고 이 선단을 치구를 이용하여 입측 오일와이퍼(16) 사이를 통과시키게 되는데, 상기 스트립(S)은 이후 압연기(18)를 지나 출측 오일와이퍼(20)를 통과후 출측 텐션릴(12)로 보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종래의 압연라인은 핀치롤(14)과 입측 텐션릴(10)을 사용하여 스트립(S)을 출측 텐션릴(12)로 유도하므로, 스트립(S)의 외관 형상 불량이나 두께, 및 강종 등의 조건에 따라 유도 효과가 불충분하게 이루어져 스트립(S)이 처지거나 쏠리는 등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작업자가 수정 작업을 거친 후 후속 조치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스트립 처짐 현상 등의 발생으로 스크랩 발생량이 증가하고 설비 손상 및 작업 시간 지연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측 텐션릴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을 정확히 유도하여 출측 텐션릴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된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간압연라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가 설치된 냉간압연라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2 : 텐션릴 18 : 압연기
28 : 베이스판 32 : 승강판
34 : 승강실린더 36 : 사이드바
40 : 센터링롤 53 : 안내판
58 : 스너버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연기의 에프런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며,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푸시실린더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어 스트립이 입,출측 오일와이퍼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승강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사이드바와;
상기 사이드바 사이의 공간으로 승강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립의 센터링을 잡아주는 복수의 센터링롤들과;
상기 센터링롤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및 이 체인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승강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스트립의 쏠림방향 및 쏠림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들과;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동작센서;
를 포함하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립 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냉간압연라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유도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기(18)의 측면에는 두개의 텐션릴(10,1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압연기(18) 우측의 입측 텐션릴(10)에 감긴 코일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S)은 디플렉트롤(22)과 형상롤(24), 입측 오일와이퍼(16), 압연기(18), 출측 오일와이퍼(20)를 거쳐 출측 텐션릴(12)로 진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압연기(18)의 에프런(26)이 설치된 부위에는 본 발명의 스트립 유도장치가 설치되는바, 상기 유도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설치된 4개의 고정바(26)를 갖는 베이스판(28)과, 고정바(26)에 각각 삽입되는 4개의 가이드바(30)를 저면에 구비하는 승강판(32)과, 베이스판(28)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승강판(32)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34)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판(32)의 양쪽 단부에는 사이드바(36)가 직립 설치되고, 사이드바(36)에는 스트립(S)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롤(38)이 직립 설치되며, 사이드바(36) 사이의 공간으로 승강판(32)에는 스트립(S)의 센터링을 잡아주기 위한 복수의 센터링롤(40)이 서로간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터링롤(40)은 스트립(S) 진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데,센터링롤(40)의 회전을 위해 각 센터링롤(40)의 단부에는 스프로켓휠(42)이 구비되고, 이 스프로켓휠(42)들은 체인(44)에 의해 연결되며, 체인(44)은 일측 사이드바(36)의 단부에 설치된 모터(46)의 스프로켓(미도시함)에도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46)가 구동되면 체인(44)이 무한궤도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체인(44)의 운동에 따라 스프로켓휠(42)들이 회전하게 되므로 센터링롤(4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스트립(S) 진행 방향으로 승강판(32)의 전방 단부쪽에는 스트립의 쏠림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8)가 각각 6개씩 설치되고, 승강판(32)의 내부에는 푸시실린더(50)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어 스트립을 안내하는 안내판(52)이 설치되며, 형상롤(24)의 앞부분에는 동작센서(54)가 부착되고, 가이드 테이블(56)의 단부에는 서너버롤(58)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연기(18)의 입측 텐션릴(10)에서 스트립(S)이 풀려나오면 본 장치가 작동되어 스트립(S)을 출측 텐션릴(12)까지 안내하게 된다. 즉, 스너버롤(58)은 압연기(18) 우측의 입측 텐션릴(10)에 감긴 코일에 밀접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 입측 텐션릴(10)을 회전시켜 스트립(S)을 디플렉트롤(22)에 얹어 놓은 후 동작센서(54)에 스트립(S)의 선단을 근접시킨다.
스트립(S)의 선단이 동작센서(54)에 의해 감지되면 승강실린더(34)가 작동되고, 압연기(18) 하측에 위치하던 승강판(32)이 상승되어 압연기(18)의 패스라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32)의 승강 작동은 고정바(26) 및 가이드바(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승강판(32)이 패스라인 위치에 위치되면 이후 푸시실린더(50)가 작동되고, 푸시실린더(50)의 작동에 따라 안내판(52)이 인출되면, 입측 텐션릴(10)을 회전시켜 스트립(S)을 통판하면 된다.
스트립(S)이 압연기(18)를 지나 출측 텐션릴(12)까지 진행하는 동안 승강판(32)에 설치된 센터링롤(40)은 계속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센터링롤(4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는 감지센서(48)에 의해 제어된다. 즉, 스트립(S)이 오른쪽 감지센서(48)에 의해 감지되면 센터링롤(40)들은 상기 스트립(S)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트립(S)이 왼쪽 감지센서(48)에 의해 감지되면 센터링롤(40)들은 스트립(S)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사이드바(36)로부터 가장 먼 위치의 감지센서(48)에 의해 스트립(S)이 감지되면 센터링롤(40)들은 저속으로 회전되며, 사이드바(36)에 근접한 위치의 감지 센서(48)에 의해 스트립(S)이 감지될수록 상기 센터링롤(40)들은 고속으로 회전된다.
상기한 센터링롤(40)들의 회전 작용에 의해 스트립(S)은 처짐 및 쏠림이 방지되면서 출측 텐션릴(12)까지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사이드바(36)로부터 가장 근접한 위치의 감지센서(48)에 의해 스트립(S)이 감지되면 스트립(S)의 쏠림이 과도하게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어 설비가 정지됨으로써 설비 파손 및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에 의하면, 코일에서 풀려나오는 스트립을 정확히 출측 텐션릴로 유도할 수 있게 되어 통판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압연기의 에프런이 설치된 위치에 설치되며,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내부에 설치되며, 푸시실린더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어 스트립이 입,출측 오일와이퍼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승강판의 폭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사이드바와;
    상기 사이드바 사이의 공간으로 승강판의 상면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립의 센터링을 잡아주는 복수의 센터링롤들과;
    상기 센터링롤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및 이 체인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승강판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스트립의 쏠림방향 및 쏠림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들과;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동작센서;
    를 포함하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복수의 고정바가 직립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에는 고정바의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판의 승하강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에는 스트립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롤들이 직립 설치되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 텐션릴에 감겨져 있는 코일에는 서너버롤이 밀착되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20010082729A 2001-12-21 2001-12-21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KR10082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29A KR100829807B1 (ko) 2001-12-21 2001-12-21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729A KR100829807B1 (ko) 2001-12-21 2001-12-21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701A true KR20030052701A (ko) 2003-06-27
KR100829807B1 KR100829807B1 (ko) 2008-05-16

Family

ID=2957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729A KR100829807B1 (ko) 2001-12-21 2001-12-21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8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3114A (zh) * 2012-11-08 2013-01-16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摆动的轧机出口穿带导板
CN114669597A (zh) * 2022-03-15 2022-06-28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冷轧单机架轧机
CN116251839A (zh) * 2023-03-22 2023-06-13 首钢智新迁安电磁材料有限公司 一种冷连轧生产线及张力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171Y1 (ko) * 1996-09-24 2001-10-25 이구택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KR200196315Y1 (ko) * 1996-09-24 2000-10-02 이구택 스트립의 고정장치
KR200199437Y1 (ko) * 1996-12-26 2000-12-01 이구택 스트립의 자동안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3114A (zh) * 2012-11-08 2013-01-16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摆动的轧机出口穿带导板
CN102873114B (zh) * 2012-11-08 2014-11-26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组合摆动的轧机出口穿带导板
CN114669597A (zh) * 2022-03-15 2022-06-28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冷轧单机架轧机
CN116251839A (zh) * 2023-03-22 2023-06-13 首钢智新迁安电磁材料有限公司 一种冷连轧生产线及张力控制方法
CN116251839B (zh) * 2023-03-22 2024-04-19 首钢智新迁安电磁材料有限公司 一种冷连轧生产线张力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807B1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1028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taking up hot-rolled material
KR100829807B1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JPH09216013A (ja) 熱間圧延鋼板の捲取り時の形状安定方法および装置
US4432221A (en) Rolling mill with conveying means for strip and foil materials
KR100803972B1 (ko)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NZ205414A (en) Underwinding strip on drum along passline of hot reversing mill
JP3451511B2 (ja) 圧延機の案内装置
KR20050017273A (ko)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JP2998810B2 (ja) 薄鋼板の通板搬送装置
US34593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moving strip
JPH0871669A (ja) 連続プレス装置
JPH0788554A (ja) ストリップ巻取機のサイドガイド設備
JP2000005820A (ja) 熱間ストリップの高速通板装置
JP5027547B2 (ja) 縦型ルーパおよびその運転方法
WO1996001548A1 (en) Steckel mill coiler furnace incorporating heated pinch rolls
KR200205998Y1 (ko) 코일권취기의 스트립 선단부 휨장치
JP2887721B2 (ja) 紙通し装置
JP6326537B1 (ja) 横型ルーパー
KR20020043270A (ko) 권취기의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장치
KR20010060713A (ko) 조압연기에서의 사이드가이드 제어방법
KR200186059Y1 (ko)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KR100770197B1 (ko) 피딩 테이블의 스트립 결함 발생 방지장치
KR100918637B1 (ko) 스트립 수직 통판 장치
KR100560804B1 (ko) 진행중인 극박 스트립의 방향전환장치
KR101536458B1 (ko) 강판제조설비 및 강판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