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059Y1 -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 Google Patents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059Y1
KR200186059Y1 KR2019990029661U KR19990029661U KR200186059Y1 KR 200186059 Y1 KR200186059 Y1 KR 200186059Y1 KR 2019990029661 U KR2019990029661 U KR 2019990029661U KR 19990029661 U KR19990029661 U KR 19990029661U KR 200186059 Y1 KR200186059 Y1 KR 200186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rge diameter
tail portion
coi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도
김기일
김용주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6Pinch roll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경코일의 테일부가 최종압연기를 벗어나 릴러드럼에 권취될 때 테일부를 직선형에서 원형으로 제어함으로써 테일부 크롭에 의한 제품의 손실을 줄이는 반면 실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 지지대인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측에 고정되고 '⊂'형상의 가이드홈을 가지며 그 하단부에는 'E'형상의 지지대가 형성된 한쌍의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지지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3롤러와; 상기 서포트의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측에 상기 제2,3롤러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제1롤러가 구비된 작동부와; 상기 서포트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상에 고정되고 간격조절링에 의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대경코일 권취시 그 테일부가 원형으로 권취되지 않고 직선화되면서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양품의 코일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실수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PINCH ROLL FOR HANDLING TAIL-PART OF COIL HAVING LARGE DIAMETER}
본 고안은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경코일의 테일부가 최종압연기를 벗어나 릴러드럼에 권취될 때 테일부를 직선형에서 원형으로 제어함으로써 테일부 크롭에 의한 제품의 손실을 줄이는 반면 실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에 관한 것이다.
대경코일은 통상 14∼42㎜??의 직경을 가진 코일을 말하는 것으로, 그 생산과정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빌레트(2)를 소재로 가열로(1)에서 약 1000℃로 가열한 후 여러개의 압연기(3)를 통과하여 최종압연기(4)를 거친 후 최고 20 ㎧에서 최저 3 ㎧의 속도로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5)에 안내되어 원통형의 릴러드럼(REELER DRUM)(10)에 권취된다.
상기 릴러드럼(10)은 구동모터(13)에 의해 작동되며, 대경코일(C)이 압연되어 나오는 속도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회전됨으로써 권취된 코일(C)의 외경은 상기 릴러드럼(10)의 외벽에 밀착되지 않으면서 내경도 6개의 맨드릴(14)에 압착되지 않도록 통과되는 속도와 릴러드럼(10)이 회전되는 속도가 제어되어 마찰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대경코일(C)의 끝부분, 즉 테일부가 최종압연기(4)를 벗어나면 고속으로 통과되는 대경코일(C)의 속도제어가 어렵고 자유상태로 바로 통과되어 상기 릴러드럼(10)에 권취되므로 상기 테일부의 직경만이 커지면서 일그러진 직선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코일(C) 권취가 완료되면 상기 릴러드럼(10) 상부에 위치한 슬라이딩케리지(6)가 유압실린더(7)에 의해 후진되고 동시에 회전되던 릴러드럼(10)도 정지되게 된다.
이어, 릴러드럼(10) 속에 권취된 대경코일(C)은 그 하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해 릴러드럼(10) 바닥면에 고정된 컬렉션플레이트(11)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대경코일(C)만 인출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직경이 크고 직선형태로 일그러진 테일부가 하방향으로 처지면서 낙하되어 이송이 용이치 못하게 되므로 고열이 발생하는 작업장에 항상 작업자가 대기한 상태에서 상기 테일부가 처지지 않도록 갈구리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지지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한번 일그러진 직선형의 테일부는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없기 때문에 모두 절단하여 크롭(CROP)처리함으로써 제품의 손실이 커 실수율이 저하되는 단점도 유발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대경코일의 테일부가 최종압연기를 벗어나 릴러드럼에 권취될 때 핀치롤이 작동하여 테일부가 직선형으로 변형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작업의 절감은 물론 테일부 크롭에 의한 제품의 손실을 줄이고 이에 따라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경코일의 권취과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경코일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경코일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최종압연기, 5 : 가이드,
10 : 릴러드럼, 100 : 베이스,
111,222,333 : 롤러, 110 : 서포트,
114 : 가이드홈, 120 : 작동부,
140 : 고정판, 150 : 에어실린더,
160 : 솔레노이드밸브, 170 : 소재감지기.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 지지대인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측에 고정되고 '⊂'형상의 가이드홈을 가지며 그 하단부에는 'E'형상의 지지대가 형성된 한쌍의 서포트와; 상기 서포트의 지지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3롤러와; 상기 서포트의 가이드홈을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측에 상기 제2,3롤러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제1롤러가 구비된 작동부와; 상기 서포트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상에 고정되고 간격조절링에 의해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핀치롤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양단부에는 한쌍의 서포트(110)가 고정된다.
상기 서포트(110)는 '⊂'형상의 가이드홈(114)을 갖는 바, 상기 가이드홈(114)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서포트(110)의 하단부는 일정폭을 갖고 대략 'E'형상의 지지대(118a)(118b)가 형성되며, 대향측 서포트(110)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18a)(118b)의 각 인접 상측에는 나팔형상의 안내구멍(112a)(112b)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멍(112a)(112b)은 코일(C)을 안내하는 가이드(5)가 인입, 인출되는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18a)(118b)에는 각각 제2롤러(222) 및 제3롤러(333)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3롤러(222)(333)의 상측에는 이들과 거리를 두고 제1롤러(111)가 구비되는 바, 상기 제1롤러(111)는 사각박스형상의 작동부(120)의 하단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상기 작동부(120)는 양측면에 각각 한쌍의 차륜(122)이 설치되고, 상기 차륜(122)은 상기 서포트(110)의 가이드홈(1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120)는 상기 차륜(122)이 가이드홈(114)을 따라 이동되면서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110)의 양측 상단에는 고정판(14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140)에는 에어실린더(150)가 고정된다.
에어실린더(150)의 실린더로드(152)는 상기 고정판(140)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부(120)의 상측에 노출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52) 및 상기 작동부(120)의 고정축(124)은 간격조절링(13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실린더(150)는 그 인접위치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160)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60)는 최종압연기(4)와 인접하여 설치된 소재감지기(17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상기 소재감지기(170)는 상기 최종압연기(4)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가 통판되는 코일(C)의 테일부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60)를 구동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핀치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도 3 및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최종압연기(4) 후면에 설치된 소재감지기(170)를 통하여 대경코일 테일부가 통과되는 것이 감지되면 전기적 신호가 솔레노이드밸브(160)로 전달되고 이때 에어실린더(150)가 작동되면서 제1롤러(111)를 전진시켜 베이스(100)에 설치된 제2,3롤러(222)(333)와 함께 일정한 속도로 통과중인 대경코일 테일부 속도에 의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세 개의 롤러가 회전되면서 테일부를 원형의 링형상으로 만들어 릴러드럼(10)에 권취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간격조정링(130)의 회전에 의해 에어실린더(150)와 작동부(120)간의 거리를 조절하든지 혹은 각 롤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다양한 직경과 두께의 코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은 대경코일 권취시 그 테일부가 원형으로 권취되지 않고 직선화되면서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양품의 코일을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실수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하부 지지대인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양단측에 고정되고 '⊂'형상의 가이드홈(114)을 가지며 그 하단부에는 'E'형상의 지지대(118a)(118b)가 형성된 한쌍의 서포트(110)와;
    상기 서포트(110)의 지지대(118a)(118b)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3롤러(222)(333)와;
    상기 서포트(110)의 가이드홈(114)을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측에 상기 제2,3롤러(222)(333)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제1롤러(111)가 구비된 작동부(120)와;
    상기 서포트(110)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판(140)상에 고정되고 간격조절링(130)에 의해 상기 작동부(120)와 연결되는 에어실린더(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KR2019990029661U 1999-12-24 1999-12-24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KR200186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61U KR200186059Y1 (ko) 1999-12-24 1999-12-24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661U KR200186059Y1 (ko) 1999-12-24 1999-12-24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059Y1 true KR200186059Y1 (ko) 2000-06-15

Family

ID=1960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661U KR200186059Y1 (ko) 1999-12-24 1999-12-24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0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39B1 (ko) 2010-07-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39B1 (ko) 2010-07-29 2012-11-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7137A (en) Winding machine
EP0576890B1 (en) Assembly to wind-unwind thin slabs
KR200186059Y1 (ko)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US7374072B2 (en) Slide adjustable assembly for monitoring widthwise travel of an uncoiling steel band through a feeder system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 die
KR100803972B1 (ko)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KR101758494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KR100470642B1 (ko) 스트립 유도장치
JP3999349B2 (ja) スパイラル鋼管の成形装置
KR100466417B1 (ko)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KR20000006780U (ko) 코일밴드의 절단위치 조정장치
KR20010046204A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JPH0340664B2 (ko)
KR100829961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 굽힘장치
KR200205998Y1 (ko) 코일권취기의 스트립 선단부 휨장치
JP2000280023A (ja) スリット材の巻取り方法及び蛇行防止装置
JPH07241620A (ja) 鋼板ストリップコイルのプリパレ−ション装置
KR100733369B1 (ko) 브라이드롤의 통판장치
KR100761740B1 (ko) 스트립 센터링장치
JPS5992119A (ja) 鋼帯コイルの巻戻し案内装置
JPS6334734Y2 (ko)
JPH1080722A (ja) コイル巻取搬送巻戻装置
KR20020090814A (ko) 스트립 테일부 사행방지용 롤러장치
JP2513517B2 (ja) コイル精整機のコイル端縁揃え装置
KR20010001095U (ko) 코일 외권부의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KR100890805B1 (ko) 코일 외경 가변 끝단부 자동 필라멘트 테이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