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204A -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204A
KR20010046204A KR1019990049885A KR19990049885A KR20010046204A KR 20010046204 A KR20010046204 A KR 20010046204A KR 1019990049885 A KR1019990049885 A KR 1019990049885A KR 19990049885 A KR19990049885 A KR 19990049885A KR 20010046204 A KR20010046204 A KR 2001004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wire
wire rod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416B1 (ko
Inventor
최승동
강명권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4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4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선재의 권취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고, 권취된 선재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은, 선재 이송라인(P)에 맞추어 설치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상에 제조되는 선재(10)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정토록 설치되어 선재(10)를 인출하는 인출수단 (30) 및, 상기 인출수단(30)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바아(40)를 구비하는 인출부(50) 및, 상기 베이스(20)의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 베이스(60)와,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상측으로 전,후측에 설치되어 선재(10)의 이송을 지지하는 지지롤(72)이 내설된 롤 고정부재(70) 및, 상기 롤 고정부재(70)의 전,후방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수단(80)을 구비하는 가이드부(9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for winding wirerod}
본 발명은 선재를 코일로 전환시키도록 권취시키는 선재 권취작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선재 특히, 대경선재를 권취하기 위한 곡선 가이드부분에서 선재의 권취기까지의 인출을 위한 인출기 즉, 핀치롤과 권취기 사이에 설치되는 직선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선재 권취작업은 빌렛이 최종 압연기(100)를 통하여 공형 압연된 선재(W)가 다수 가이드(120)를 통하여 흠탐상기 (130), 사이즈 측정기(140), 수냉대박스(150), 선택스위치(160), 핀치롤(220) 및, 권취기(210)를 거쳐 선재코일로 권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재 권취라인에서 상기 핀치롤(220)과 권취기(210) 사이에 설치되는 종래의 가이드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가이드장치(200)는 선재를 곡선 이송토록 하는 곡선 가이드부(230)와 이후 선재(W)를 직선 가이드하는 직선 가이드부(240)로 구성되며, 상기 직선 가이드부(240)는 일측으로 연설된 유압실린더(242)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블록(244)의 상부에 다수의 가이드바아(246)가 착설되어 상기 가이드바아(246)로서 선재(W)가 되는데, 상기 실린더(242)에 의한 직선 가이드부(240)의 이동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된 선재코일(C)의 이송유니트(300)에 의한 클래핑작동시 직선 가이드부(240)의 간섭을 피하도록 수행하며, 상기 실린더(242)에 따른 이동블록(244)의 이동은 센서(248)로서 제어된다.
또한, 상기 곡선 가이드부(239)는, 지지대(232)상의 가이드블록(234)상에 설치된 곡선의 가이드바아(236)로서 상,하 핀치롤(220)로서 인출되는 선재(W)의 곡선 이송이 가이드되며, 결국 상기 곡선 가이드(230)와 직선 가이드(240)가 분리된 상태dptj 상,하 핀치롤인 인출기(220)에서 인출된 선재(W)를 가이드하여 대략 40-45°정도로 회전 작동되는 권취기(210)로서 선재가 권취되어 코일로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재 특히, 대경선재의 권취용 가이드장치(200)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가이드(24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248)의 작동불량으로 가이드부(230)(240) 내부에 선재(W)가 있는 상태에서 직선 가이드부(240)가 후진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인출기(220)로 부터 곡선 및 직선 가이드라인에 있는 선재가 각 가이드바아(236)(246)내에서 상당히 굴곡된 상태로 가이드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된 선재코일(C)의 권취불량으로 링형상이 균일하지 않아 선재코일의 제품 품질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일정직경 이상의 대경선재인 경우에는 도 5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재(W)에 끝단이 구부러 지며, 이는 각 가이드부(230)(240)의 접촉된 설비 표면에 흠이 발생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형 압연된 선재 특히, 일정직경 이상의 대경선재의 권취작동이 보다 균일하게 수행되고, 특히 권취된 선재코일의 초기 및 끝부분의 링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선재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포장등과 같은 후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는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권취되는 선재와 설비간의 접촉을 방지시키어 설비 특히, 가이드장치의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이드장치의 보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기에서 선재 권취기 까지의 선재 권취라인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핀치롤과 권취기 사이에 설치된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권취된 선재코일의 취출 이송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종래 가이드장치의 설비불량으로 인한 선재라인의 이송불량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종래 가이드장치의 선재 이송불량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의 (a) 및 (b)는 선재 이송불량에 따른 권취불량상태와 대경선재의 권취불량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 의 'A-A' 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a-a' 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재 권취용 인출 및 회전 가이드장치
10.... 선재 20.... 베이스
30.... 인출기 40.... 가이드바아
50.... 인출부 60.... 가이드 베이스
70.... 롤 고정블록 72.... 지지롤
80.... 가이드 블록 90.... 가이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선재 이송라인(P)에 맞추어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제조되는 선재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정토록 설치되어 선재를 인출하는 인출수단 및, 상기 인출수단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바아를 구비하는 인출부 및,
상기 베이스의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 베이스의 상측으로 전,후측에 설치되어 선재의 이송을 지지하는 지지롤이 내설된 롤 고정부재 및, 상기 롤 고정부재의 전,후방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로서 구성되는 선재 권취용 인출 및 회전 가이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1)는 인출부(50) 및, 가이드부(90)로서 구성된다.
상기 인출부(50)는, 압연기, 흠탐상기, 사이즈 측정기, 수냉대박스, 선택스위치, 핀치롤 및, 권취기로서 공형 압연된 선재(10)를 권취토록 하는 선재 권취라인에서 권취기(2)의 일측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50)는, 선재 이송라인(P)에 맞추어 설치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상에 제조되는 선재(10)의 직경에 따라 간격 조정토록 설치되어 선재(10)를 인출하는 인출수단(30) 및, 상기 인출수단(30)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바아(40)(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수단(30)은, 베이스(20)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a)와 연결된 감속기(32b) 및 유니버셔조인트(32c)로서 연결된 상,하 회전축(34a)(34b)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0)상에 설치된 에어실린더(22)로서 승,하강하는 상부브라켓트(36a)와 베이스(20)상에 설치된 레일(24)을 따라 이동토록 고정된 하부브라켓트(36b)에 구동토록 내설되는 상,하부 핀치롤(30a)(30b)로서 이루어 진다.
또한, 권취된 선재코일의 이송유니트에 의한 컨베어 투입작동을 용이토록 직선 및 곡선 전환되는 상기 가이드부(90)는, 상기 베이스(20)의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 베이스(60)와,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상측으로 전,후측에 설치되어 선재(10)의 이송을 지지하는 지지롤(72)이 내설된 롤 고정부재(70) 및, 상기 롤 고정부재(70)의 전,후방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수단(80)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60)의 하부에는 바닥내에 베어링(62a)을 개재하여 공회전토록 내삽된 회전축(62)의 상부에 고정핀(64)으로서 분해 가능토록 연결되는 고정구(65a)(65b)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일단부 하측에 수평 설치된 지지바아(66)에는 고정핀(68a)으로서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일측으로 착설된 고정판(69)에 회전 가능토록 수평 설치된 유압실린더(68)의 힌지블록(68b)이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작동시 가이드 베이스(60)는 일정각도로 회전 작동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80)은,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중앙에 형성된 안내홈(82)에 안착되어 선재(10)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84)와, 상기 가이드바아(84)을 고정토록 상기 가이드 베이스(60)상에 착탈토록 핀(86a)(86b) 고정되는 지지블록(88)을 구비하며, 상기 롤 고정부재(70)는 상기 가이드바아(84)의 단부에 고정판(70a)으로서 볼트 고정되는 고정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록(70)의 내측에는 이송 선재(10)를 가이드하는 두개의 지지롤(72)이 회전토록 수직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20)상에 인출기(10)에 인접하여 열간상태의 선재(10)를 감지토록 설치되는 열감지센서(92) 및, 상기 가이드부(90)의 가이드 베이스(60)의 좌우측으로 가이드 베이스(60)의 이동폭을 조정토록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좌우 텃치바(96a)(96b)로서 작동하는 제 1,2 리미트 스위치(94a)(94b)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빌렛(billet)이 여러 압연기를 통하는 공형 압연된 선재(10)가 최종압연기, 흠탐상기, 사이즈 측정기, 수냉대박스, 선택스위치를 거쳐 권취기(2)로서 권취하는 선재라인(P)에 있어서, 권취 완료된 선재코일(C)의 이송작업시 이송유니트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권취기(2)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선재 권취공정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토록 한 본 발명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권취되는 선재라인의 높이에 맞추어져 설치된 베이스(20)의 일측에는 인출수단(30)을 중심으로 전, 후측에 다수의 가이드바아(40)(40')들이 설치되고, 따라서 상기 가이드바아(40)(40')의 내측으로 선재(10)가 가이드 이송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된 구동모터(32a)와 연결된 감속기(32b)로 부터 인출되며 유니버셜 조인트(32c)로서 연결되는 두개의 회전축 (34a)(34b)이 상,하부 브라켓트(36a)(36b)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구동토록 설치된 상,하부 핀치롤(30a)(30b)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2a)가 구동되면 상기 상,하부 핀치롤(30a)(30b)이 각각 구동되며, 이와 같은 상,하부 핀치롤(30a)(30b)은 결국 선재(10)를 권취기(2)측으로 인출하는 인출수단(30)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트(30a)는 상기 베이스(20)상에 설치된 에어실린더 (22)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22)의 작동시 승,하강되며, 상기 하부 핀치롤 (30b)은 상기 베이스(20)상에 설치된 레일(24)을 따라 하부 브라켓트(36b)가 이동토록 고정되어 필요시 좌우 이동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20)의 전방에는 선재라인이 설치된 공장 바닥내에 내삽된 베어링(62a)에 고정되어 공회전 가능토록 회전축(62)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62)의 상부 및, 그 상측으로 가이드 베이스(60)의 하측에는 고정핀(64)으로서 서로 분리 가능토록 고정구(65a)(65b)가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베이스 (60)는 공회전 작동하는 회전축(62)의 상부에 회전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베이스(60)의 일단부 하측에 수평 설치된 지지바아(66)에는 고정핀(68a)으로서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일측으로 착설된 고정봉(69)에 회전 가능토록 수평 설치된 유압실린더(68)의 힌지블록(68b)이 고정되고, 결국 상기 유압실린더(68)가 전,후진 작동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베이스(60)는 하측의 회전축(62)을 축으로 일정각도 대략 40 - 45 도 정도 회전 작동되며, 이는 다음에 상세하게 살명하겠지만, 권취된 선재코일(C)의 이송유니트 이송시 상기 가이드 베이스(60)와의 간섭을 간단하게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압연을 거친 열간상태인 선재(10)가 최후방측 가이드바아(40')를 따라 인출수단(30) 즉, 상,하부 핀치롤(30a)(30b)측으로 진입하면, 상기 핀치롤 (30)의 일측으로 설치된 열감지센서(92)가 이를 감지하여 상승된 상태의 상부 핀치롤(30a)을 일측의 에어실린더(22)로서 하강시키면, 상술된 구동모터(32a)가 구동하여 결국, 선재(10)는 인출된다.
반대로, 선재(10)의 인출이 완료되어 즉, 선재의 권취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열감지센서(92)는 선재(10)를 감지할 수 없어 상기 에어실린더(22)를 작동시켜 상부 핀치롤(30a)을 상승시키고, 이와 같은 상부핀치롤(30a)의 승,하강 작동은 반복토록 된다.
다음,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중앙에 형성된 안내홈(82)에 안착되는 두개의 가이드바아(84)는 상기 가이드 베이스(60)상에 두개의 핀(86a)(86b)으로서 볼트 고정되는 지지블록(88)으로서 고정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바아(84)의 선단부에는 고정판(70a)으로서 고정부재인 고정블록(70)이 볼트 고정되고, 상기 상기 고정블록(70)의 내측에는 두개의 지지롤(72)이 회전토록 수직 설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상부 핀치롤(30a) 및 하부핀치롤(30b)인 인출수단(30)에 의하여 선재(10)가 인출되면, 상기 가이드수단(80) 및 지지롤(72)들을 통하여 가이드되면서 권취기(2)로서 권취되고, 권취작동이 완료되면 즉, 열감지센서(92)가 선재(10)의 이송상태를 감지하여 이송되는 선재(10)가 없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하측 지지바아(66)에 연설된 유압실린더(68)와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 (68c)가 센서(92)로서 작동된다.
결국, 선재(10)의 권취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유압실린더(68)가 후진 작동하여 가이드베이스(6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결국 상기 회전된 가이드 베이스(60)의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권취코일(C)의 이송유니트에 의한 이동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좌,우측에 설치된 제 1,2 리미트 스위치(94a)(94b)중 상술한 가이드베이스(60)의 회전 작동시 텃치바(96a)(96b)로서 제 2 리미트 스위치(94b)가 접촉 작동하면, 선재 이송라인이 오프되고, 반대로 권취코일(C)의 이송이 완료되어 다른 선재(10)의 투입작동이 수행되면, 상기 감지센서(92)가 이를 감지하여 유압실린더(68)를 전진 작동시키고, 결국 가이드베이스 (60)가 전진하여 제 1 리미트스위치(94a)가 접촉되면, 상,하부 핀치롤(30a)(30b)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32a)의 작동이 수행되어 상술한 선재 권취작업을 다시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14-42 mm 이상의 대경선재 권취 작업시 그 끝단부분이 각각의 핀치롤 및 지지롤들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끝까지 지지되어 설비의 표면이 굵히는 등의 불량 이송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하나의 가이드베이스(60)로서 직선 및 곡선 선재라인을 구현할 수 있어 종래 두개의 다른 직선 및 곡선 가이드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공형 압연된 선재 특히, 일정직경 이상의 대경선재의 권취작동이 보다 균일하게 수행되고, 특히 권취된 선재코일의 초기 및 끝부분의 링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선재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포장등과 같은 후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더하여, 권취되는 선재와 설비간의 접촉을 방지시키어 설비 특히, 가이드장치의 표면에 흠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가이드장치의 보수 및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압연기로서 공형 압연된 선재가 인출기로서 인츨되어 권취기로서 권취되는 선재의 코일 권취작업에 있어서,
    선재 이송라인(P)에 맞추어 설치된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상에 제조되는 선재(10)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정토록 설치되어 선재(10)를 인출하는 인출수단 (30) 및, 상기 인출수단(30)의 전,후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바아(40)를 구비하는 인출부(50) 및,
    상기 베이스(20)의 전방으로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 베이스(60)와,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상측으로 전,후측에 설치되어 선재(10)의 이송을 지지하는 지지롤(72)이 내설된 롤 고정부재(70) 및, 상기 롤 고정부재(70)의 전,후방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가이드수단(80)을 구비하는 가이드부(9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용 인출 및 회전 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50)의 인출수단(30)은, 베이스(20)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a)와 연결된 감속기(32b) 및 유니버셔조인트(32c)로서 연결된 상,하 회전축(34a)(34b)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0)상에 설치된 에어실린더(22)로서 승,하강하는 상부브라켓트(36a)와 베이스(20)상에 설치된 레일(24)을 따라 이동토록 고정된 하부브라켓트(36b)에 구동토록 내설되는 상,하부 핀치롤(30a)(30b)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90)의 가이드 베이스(60)의 하부에는 바닥내에 베어링(62a)을 개재하여 공회전토록 내삽된 회전축(62)의 상부에 고정핀(64)으로서 분해 가능토록 연결되는 고정구(65a)(65b)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베이스 (60)의 일단부 하측에 수평 설치된 지지바아(66)에는 고정핀(68a)으로서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일측으로 착설된 고정판(69)에 회전 가능토록 수평 설치된 유압실린더(68)의 힌지블록(68b)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베이스(60)는 일정각도로 회전 작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80)은, 상기 가이드베이스(60)의 중앙에 형성된 안내홈(82)에 안착되어 선재(10)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아(84)와, 상기 가이드바아(84)을 고정토록 상기 가이드 베이스(60)상에 착탈토록 핀(86a)(86b) 고정되는 지지블록(88)을 구비하며, 상기 롤 고정부재(70)는 상기 가이드바아(84)의 단부에 고정판(70a)으로서 볼트 고정되는 고정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록(70)의 내측에는 이송 선재(10)를 가이드하는 두개의 지지롤(72)이 회전토록 수직 설치되어 직선 및 곡선 전환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상에 인출기(10)에 인접하여 열간상태의 선재(10)를 감지토록 설치되는 열감지센서(92) 및, 상기 가이드부(90)의 가이드 베이스(60)의 좌우측으로 가이드 베이스(60)의 텃치바아(96a)(96b)로서 작동토록 설치되는 제 1,2 리미트 스위치(94a)(94b)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KR10-1999-0049885A 1999-11-11 1999-11-11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KR100406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85A KR100406416B1 (ko) 1999-11-11 1999-11-11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885A KR100406416B1 (ko) 1999-11-11 1999-11-11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204A true KR20010046204A (ko) 2001-06-05
KR100406416B1 KR100406416B1 (ko) 2003-11-19

Family

ID=1961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885A KR100406416B1 (ko) 1999-11-11 1999-11-11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4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52B1 (ko) * 2006-07-10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KR100797332B1 (ko) * 2001-09-26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의 권취기 유도용 가이드장치
KR100873530B1 (ko) * 2002-07-29 2008-12-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턴테이블 내장형 주차 장치의 파렛트 구동 기구
KR100916059B1 (ko) * 2002-12-16 2009-09-08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라인의 소재이송 가이드장치
KR101008136B1 (ko) * 2003-12-2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945B1 (ko) * 2001-06-30 2008-01-25 주식회사 포스코 와블 기능이 내장된 대경선재 코일 권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332B1 (ko) * 2001-09-26 2008-01-2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코일의 권취기 유도용 가이드장치
KR100873530B1 (ko) * 2002-07-29 2008-12-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턴테이블 내장형 주차 장치의 파렛트 구동 기구
KR100916059B1 (ko) * 2002-12-16 2009-09-08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라인의 소재이송 가이드장치
KR101008136B1 (ko) * 2003-12-2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KR100782752B1 (ko) * 2006-07-10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선재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6416B1 (ko)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416B1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US5433264A (en) Assembly to wind-unwind thin slabs
JP6279729B2 (ja) 圧延機エッジャ
KR20090113062A (ko) 열연강판의 이송 가이드장치
KR19990077563A (ko) 조정가능한하강장치
KR200181442Y1 (ko) 슬리브의 세척 및 공급장치
KR200215183Y1 (ko) 평탄불량 강판의 열처리로 장입용 가이드장치
KR102052985B1 (ko) 메탈스트립의 연속 열처리 공정을 위한 회전식 열처리 장치
KR101110248B1 (ko) 방향성 전기강판 코일의 판밀림 방지장치
KR100340552B1 (ko) 변화하는선재의규격에대응가능한선재인출기
KR20020023753A (ko) 압연기의 이형선재 가이딩장치
KR100716464B1 (ko) 열연 스트립의 권취선단 제어장치
KR100733361B1 (ko) 루퍼의 롤 전폭 크리닝 장치
CA1177682A (en) Steel pipe rolling mill
RU2131316C1 (ru) Разматыватель рулонов ящичного типа
KR100878666B1 (ko) 선재 유도장치
KR100321037B1 (ko) 열간압연대기재 온도편차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23683A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347687Y2 (ko)
US32188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velling steel strip disposed in a vertical plane
CN117463812A (zh) 一种智能化金刚线母线水箱拉丝机
KR101038888B1 (ko) 연속강판 가이드장치
KR100381398B1 (ko) 바 형태를 구비한 이형 선재의 교정장치
KR200186059Y1 (ko)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KR200198952Y1 (ko)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