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952Y1 -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952Y1
KR200198952Y1 KR2020000008219U KR20000008219U KR200198952Y1 KR 200198952 Y1 KR200198952 Y1 KR 200198952Y1 KR 2020000008219 U KR2020000008219 U KR 2020000008219U KR 20000008219 U KR20000008219 U KR 20000008219U KR 200198952 Y1 KR200198952 Y1 KR 200198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ot rolled
frame
guide
move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이은평
김승헌
최연옥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8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연된 압연바의 절단, 스케일 제거 및 사상압연작업을 위한 이송되는 압연바를 항상 일정한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의 설치공간을 작게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은 물론, 보수 및 교체작업을 용이토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테이블(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이동수단(20) 및,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20)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이동테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이동수단(40)으로서 서로 협력하여 진입 압연바(1)의 이송방향을 조정토록 설치되는 가이드수단(60)을 구비하는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AN APPARATUS FOR GUIDING A HOT ROLLED BAR}
본 고안은 열연공정에서 초기 바(BAR) 형상으로 제조된후, 절단 및 압연을 거쳐서 두께가 얇은 스트립(STRIP)을 생산하기 위한 압연바의 이송을 일정하게 하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절감을 이루도록 하며, 특히 압연바의 이송방향으로 설치되어 설치공간의 감소로 공간활용이 우수한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공장의 라인은, 가열로(HEATING FURNACE) 에서 가열된 슬라브(SLAB)가 조압연기(ROUGHING MILL)을 거쳐서 보다 얇게 압연되어 바(BAR)형상으로 제조되고, 이후 이송테일블상에 설치된 다수의 구동롤을 이용하여 압연바의 전단 및 말단을 컷팅하는 절단기와 압연바의 표면에 발생되는 스케일 제거기(FSB, FISHING SCALE BRAKER) 를 통하여 표면 처리된 다음, 사상압연기(FM)을 통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맞추어 스트립 제품을 생산하고, 이후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권선하여 코일제품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공정을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하여는 이동중인 압연바가 절단기, FSB,FM 등의 작업을 수향하기 위하여 중심선을 따라 항상 일정하게 이동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는 상기 이동테이블상에 진입하는 압연바의 이송상태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테이블(110)의 상측으로 서로 협력하여 좁혀지거나 또는 넓혀지면서 진입하는 압연바(100)의 이동선을 항상 일정하게 조정하는 양측의 가이드바아(120)는 구동모터(130)로서 구동되는 기어박스 (133)내의 피니언기어 (132)와 맞물리는 랙기어(134)가 후단부에 대향하여 각각 설치되어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는 상기 이동바아(136)의 전방측 상부에 이동테이블 (110)의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가이드바아(120)가 각각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한 피니언 및 랙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테이블 (110)을 따라 경사진 가이드판(140)을 통하여 진입하는 압연바(100)의 폭에 따라 이동테이블(1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2개의 가이드바아(120)가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는 상태에서 진입 압연바 (100)를 중심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후공정인 절단 및 스케일 게거 그리고 사상압연작업등의 압연바 가공작업이 원활하고 정밀하게 수행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연바 가이드장치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가이드바아(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터(130)와, 이에 감속기를 개재하여 연결된 피니언(132) 및 랙(134)이 설치된 기어박스(133)가 이동테이블(1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실제 장치의 설치공간이 상당히 많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결국 공장의 공간활용을 제한하여 실질적인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랙(134)이 설치된 이동바아(136)와 기어박스(133)등이 단품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조시 또는 가공시의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이는 결국 가이드장치의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더하여 보수 및 유지 또는 장치의 교체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있게 되며, 특히 제작 및 가공시간등이 오래 걸리게 되어 긴급한 부품교체시 장시간 가이드장치의 작동을 중단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절단, 스케일 및 사상압연 작업을 위한 압연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장치를 이동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가이드장치의 필요한 설치공간이 극히 작게 되어 공장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다분화시키고 간단하게 하여 가이드장치의 제작 및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 한편, 필요시 가이드장치의 보수 및 유지작업은 물론, 부품 교체의 신속성을 갖도록 한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2는 종래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압연바 가이드장치의 종방향 이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압연바 가이드장치의 횡방향 이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인 압연바 가이드장치의 횡방향 이동수단의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압연바 10.... 이동테이블
20.... 횡방향 이동수단 22.... 프레임
24.... 피니언기어 32.... 연결바아
40.... 종방향 이동수단 42.... 사각프레임
44.... 피니언기어 48.... 실린더
60.... 가이드수단(바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이송되는 열연 압연바를 가이드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테이블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이동수단 및,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이동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이동수단으로서 서로 협력하여 진입 압연바의 이송방향을 조정토록 설치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압연바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가이드장치의 종방향 이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가이드장치의 횡방향 이동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횡방향 이동수단의 실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인 압연바 가이드장치는, 크게 이송중인 압연바(1)를 기준으로 종항향으로 이동하는 종방향 이동수단(20)과,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20)에 연결되고 설치공간을 작게하도록 이동테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횡방향 이동수단(40) 및,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20)에 연결되어 실질적인 압연바(1)의 가이드를 수행하는 가이드수단(60)으로서 나누어 지는데, 먼저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 (2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이와 같은 종방향 이동수단(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20)의 구성을 다시 상세하게 구분하면,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20)은, 상기 이동테이블(10)에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 (22)의 내부 중앙에 회전토록 설치된 피니언기어(24) 와, 상기 프레임(22)의 내부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가이드수단(60)이 고정되는 돌부(30)가 수직 형성되는 이동블록(27)의 일측 신장부(26)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24)에 맞물리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28) 및, 상기 일측 이동블록(27)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일측으로 랙기어(34)가 형성되는 연결바아(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이동테이블(10)상에 배열 설치된 이송롤(12) 사이에 대략 2정도가 볼트로서 견고하게 종방향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24)는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축이 프레임(22)상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견고하면서도 회전 가능하에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이동블록(27)의 신장부에 형성되는 랙기어(28)는 피니언기어(24)와의 맞물림작동시 이탈등을 방지토록 긴밀하게 프레임(22)의 내부 양측에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27)은 서로 대향하여 프레임(22)내에 위치되며 그 상부에 형성된 고정돌부(30)는 사각바아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부(30)에는 프레임(22) 내로의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자바라(36)에 형성된 개구가 삽입되며,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그 상측으로 가이드수단인 사각판 형상의 가이드바아(60)가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27)의 신장부(26)는 이동블록(27)의 측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신장부(26)는 서로 피니언기어(24)의 외곽부분에 위치토록 신장하며, 동시에 상기 연결바아(32)도 일측 이동블록 즉, 다음에 설명하는 횡방향 이동수단(40)에 인접한 이동블록(27)의 후방면에서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음, 도 3, 4, 5 및 도 7,8 에서는 상기 횡방향 이동수단(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횡방향 이동수단(40)의 중요특징은 이동테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종래에 이동테이블(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에 비하여 가이드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도 5 및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 이동수단(40)은, 상기 이동테이블(1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사각프레임(42)과, 상기 프레임(42)의 내부에 회전토록 설치되며 프레임(42)을 통하여 삽입된 종방향 연결바어(32)의 랙기어(34)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44) 및, 상기 프레임(42)에 회방향으로 관통되어 그 내부의 피니언기어(44)와 맞물리는 랙기어(46)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후방에는 실린더(48)가 연결되는 종방향 연결바아(5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42)은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2중구조로 서로 단차를 갖는 상기 피니언기어 (44)가 하측의 구동축이 베어링블록을 개재하여 사각프레임(42)의 내부 중앙부분에 회전 가능토록 견고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2)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는 두개의 연결바아 즉, 종방향 이동수단(20)의 연결바아(32)와 횡방향 이동수단(40)의 연결바아(50)가 서로 높이차를 갖도록 관통한 상태에서 그 일측면에 형성된 랙기어(34)(46)들이 각각 2단구조의 피니언기어(44)와 맞물린다.
한편, 상기 연결바아(50)의 전,후방에는 두개의 랙기어(46)가 형성되어 종방향 이동수단(20)의 두 연결바아(32) 랙기어(34)와 하나의 연결바아(50)의 두 랙기어(46)들이 두개의 피니언기어(44)에 각각 맞물리게 설치되고, 결국 종방향 이동수단(20)과 횡방향 이동수단(40)은 L 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다.
다음, 상기 연결바아(50)의 후방에는 지지대에 수평 설치된 실린더(48)가 연결되어 실질적인 연결바아(50)와 피니언기어(44)와 다른 연결바아(32) 및 피니언기어(24)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동블록(27)의 고정돌부(26)가 일련의 이동작동으로 이루어 지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에서는 가이드수단(60)과 종방향 이동수단(20)간의 고정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가이드수단(60)은 압연바(1)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일정높이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아(60)의 전방에는 압연바(1)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경사면(62)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로(HEATING FURN ACE)에서 가열된 슬라브(SLAB)가 조압연기(ROUGHING MILL)을 거쳐서 보다 얇게 압연되어 압연바(BAR) 형상으로 제조되어 이동테이블(10)상의 이송롤(12)로서 이동되면, 가이드바아(60)의 전단부에 형성된 경사면(62)에 먼저 접촉하여 안내되면서 가이드장치의 가이드바아(60)에 진입 가이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아(60)는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진입되는 압연바(1)의 폭을 미리 통상의 센서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가이드바아(60)의 압연바 가이드간격을 미리 조정하게 되며, 이와 같은 가이드바아(60)의 간격조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등의 측정장치로서 이송되는 압연바(1)의 폭이 측정되면, 횡방향 이동수단(40)의 실린더(48)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결국 이에 연결된 연결바아(50)가 일체로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때 상기 실린더(48)의 작동폭은 그 상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49)로서 제어된다.
다음, 연결바아(50)가 이동하면, 상기 연결바아(50)의 전,후방에 측면상에 일체로 형성된 랙기어(46)들이 연결바아(50)가 관통된 사각박스형상의 프레임(42)내에 설치된 피니언기어(44)를 그 이동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2)내에 횡방향으로 관통한 종방향 이동수단(20)의 연결바아(32)에 형성된 랙기어(34)가 상기 피니언기어(46)의 회전량에 따라 일정하게 이동하는데, 결국 상기 연결바아(32)는 압연바(1)를 기준으로 볼때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바아(32)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두개의 이동블록(27)은 상기 이동테이블(10)의 내측으로 설치된 프레임(22)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체로 전진 또는 후진등의 이동을 시작하고, 이는 결국 상기 이동블록(27)의 신장부(26)에형성된 랙기어(28)들이 상기 프레임(22)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피니언기어(24)를 그 이동량만큼 가변적으로 회전시킨다.
결국, 상기 피니언기어(24)에 맞물린 상태의 타측 이동블록(27)의 신장부 랙기어(28)도 이동하고, 이는 상기 이동블록(27)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즉, 서로 좁혀지거나 또는 넓혀지게 되고, 이는 상기 이동블록(27)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부(30)를 서로 대향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브(30)에 내측의 개구부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의 가이드바아(60)는 실린더(48)의 작동량 만큼 이동하는 두개의 연결바아(50)(32)와 이동블록(27)에 의하여 서로 좁혀지고 넓혀지면서 이송롤(12)로서 이송되는 압연바(1)를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즉, 이송테이블(10)의 중심선으로 따라 일정하게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이송테이블(10)상에 이송되는 압연바(1)가 항상 그 중심선을 축으로 일정하게 이송되는 상태에서 절단기와 스케일 제거기(FSB, FISHING SCALE BRAKER) 및, 사상압연기(FM)에 투입하게 되어 압연바(1)의 전단 및 말단의 절단작업과 표면의 스케일 제거 및 사상압연을 통한 스트립의 제조상태가 보다 향상되며, 이를 이용한 코일제품의 제품 품질도 향상되는 것이다.
특히, 종래 단품으로 된 랙기어와 가이드바아가 상당한 크기를 갖음으로 인하여 가공비용이 증가하고 신속한 부품교체를 어렵게 하는 것에 비하여, 단품으로 조립하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가이드장치의 구동부분을 이동테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설치공간이 극히 작게되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절단, 스케일 및 사상압연 작업을 위한 압연바의 이동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장치를 이동테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가이드장치의 필요한 설치공간이 극히 작게 되어 공장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더하여, 가이드장치의 구조를 다분화시키고 간단하게 하여 가이드장치의 제작 및 설치비요을 절감시키는 한편, 필요시 가이드장치의 보수 및 유지작업은 물론, 부품 교체의 신속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이동테이블상의 이송롤로서 이송되는 열연 압연바를 가이드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테이블(1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이동수단(20) 및,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20)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이동테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이동수단(40)으로서 서로 협력하여 진입 압연바(1)의 이송방향을 조정토록 설치되는 가이드수단(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이동수단(20)은,
    상기 이동테이블(10)에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의 내부 중앙에 회전토록 설치된 피니언기어(24) 와,
    상기 프레임(22)의 내부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가이드수단(60)이 고정되는 돌부(30)가 수직 형성되는 이동블록(27)의 일측 신장부(26)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24)에 맞물리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랙기어(28) 및,
    상기 일측 이동블록(27)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일측으로 랙기어(34)가 형성되는 연결바아(32)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형 이동수단(40)은,
    상기 이동테이블(1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사각프레임(42)과,
    상기 프레임(42)의 내부에 회전토록 설치되며 프레임(42)을 통하여 삽입된 종방향 연결바아(32)의 랙기어(34)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44) 및,
    상기 프레임(42)에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그 내부의 피니언기어(44)와 맞물리는 랙기어(46)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후방에는 실린더(48)가 연결되는 종방향 연결바아(50)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60)은 전단부에 압연바(1)의 진입을 원활토록 경사면(62)이 형성되는 사각판 형상의 가이드바아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KR2020000008219U 2000-03-23 2000-03-23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KR200198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19U KR200198952Y1 (ko) 2000-03-23 2000-03-23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219U KR200198952Y1 (ko) 2000-03-23 2000-03-23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952Y1 true KR200198952Y1 (ko) 2000-10-02

Family

ID=1964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219U KR200198952Y1 (ko) 2000-03-23 2000-03-23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9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34156A (en) Cutting machine
CN114289607B (zh) 一种冷弯成型中的在线连续冲孔装置
KR200198952Y1 (ko) 열연 압연바 가이드장치
WO2010119466A1 (en) Machine for working the surface of ceramic products
KR20010112149A (ko) 이형 선재의 교정 및 절단장치
KR200459847Y1 (ko) 냉장고 도어용 강판의 제조 장치
KR20060005212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US4387584A (en) Steel pipe rolling mill
KR100406416B1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CN213495668U (zh) 一种粗轧前夹送辊
CN212094396U (zh) 一种四爪电动卡盘同步夹持机构
CN1060414C (zh) 薄板两端咬口一次成形机
JP3357257B2 (ja) 3ローラーガイド
RU20360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ав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изделий
KR20040012081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217726908U (zh) 一种卷板机
CN216989202U (zh) 一种复合轧机导料装置
CN218926890U (zh) 一种数控骨架成型机
KR100627467B1 (ko) 권취 열연판 가이드장치
KR950001979B1 (ko) 농토 작업기용 로타리 칼날의 압연 성형장치
JPH02160106A (ja) 異形材圧延機
KR20020015263A (ko) 가역 가이드레스 압연장치
JPH0615333A (ja) 粗ミル用入側及び出側サイドガイド装置
JPH035011A (ja) 形鋼の圧延用ガイド
RU2028847C1 (ru) Профилегибочный стан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