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139B1 -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139B1
KR101205139B1 KR20100073214A KR20100073214A KR101205139B1 KR 101205139 B1 KR101205139 B1 KR 101205139B1 KR 20100073214 A KR20100073214 A KR 20100073214A KR 20100073214 A KR20100073214 A KR 20100073214A KR 101205139 B1 KR101205139 B1 KR 10120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guide member
housing
gui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433A (ko
Inventor
김응기
김수연
박정욱
이우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7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1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1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압연 소재가 통과하는 통로를 가지며 일측 압연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케 장착되어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압연 소재를 타측 압연기로 치입되게 트위스트시키는 가이드 롤(12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일측 압연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압연소재를 상기 가이드 롤 측으로 안내하는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와, 상기 일측 압연기의 압연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상기 압연롤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140)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연 소재를 원활히 안내하여 압연기의 사이에서 압연소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이드 롤을 향해 소재를 안내하는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의 위치를 압연기의 압연롤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켜 소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소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압연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Twist Guide Apparatus for Rolling of Wire Rod}
본 발명은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강 압연 시 소재를 트위스트시켜 다음 압연기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강은 철근 등과 같이 단면이 원형을 가지는 형강으로 토목, 건축, 기계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압연 소재를 가열한 후 복수의 압연기를 통과시키는 열간 압연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원형강 제조를 위한 압연 공정 라인은 상, 하부 압연 롤로 압연 소재를 가압하는 2단식 평행 압연기와, 좌, 우 압연 롤로 압연 소재를 가압하는 2단식 수직 압연기를 교대로 다수 구성하여, 압연 소재를 상기 2단식 평행 압연기와, 2단식 수직 압연기에 통과시켜 타원 형상에서 점차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 단계를 거치면서 원형강으로 완성된다.
본 발명은, 압연 소재를 원활히 안내하여 압연기의 사이에서 압연소재의 손상과 이탈을 방지하고 압연소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압연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는, 압연 소재가 통과하는 통로를 가지며 일측 압연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케 장착되어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압연 소재를 타측 압연기로 치입되게 트위스트시키는 가이드 롤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일측 압연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압연소재를 상기 가이드 롤 측으로 안내하는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와, 상기 일측 압연기의 압연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상기 압연롤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고정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를 상기 하우징의 고정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안내되어 고정플랜지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고정플랜지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하여 안내되는 안내플랜지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 롤을 통해 트위스트된 소재를 타측 압연기 측으로 치입시키도록 소재를 안내하는 소재 치입가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통해 안내되는 소재를 2차로 상기 가이드 롤의 입구로 안내하는 보조 유입가이드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와 상기 보조 유입가이드부재는 일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롤을 통해 트위스트된 소재를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의 입구로 안내하는 보조 치입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와 상기 보조 치입가이드부재는 일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압연 소재를 원활히 안내하여 압연기의 사이에서 압연소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가이드 롤을 향해 소재를 안내하는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의 위치를 압연기의 압연롤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켜 소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소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압연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2는 도1의 좌측면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작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를 타내는 입면도,
도6은 도5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입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좌측면도이다.
압연기 중 2단식 수직 압연기는 압연 소재를 수평 방향에서 압연하는 것으로 상, 하 방향에서 압연 롤의 하중을 포함하여 압연하는 2단식 평행 압연기에 비해 압연 효율이 낮고 관리가 어려우므로, 원형강 제조를 위한 압연 공정 라인을 복수의 2단식 평행 압연기로 구성한 후 각 2단식 평행 압연기 사이에 압연 소재를 90°트위스트시켜 다음 압연기로 안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 가이드장치(100)는, 압연 소재가 통과하는 통로를 가지는 하우징(110)이 일측 압연기(200 : 도3에 도시)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압연 소재를 타측 압연기(300 : 도3에 도시)로 치입되게 트위스트시키는 상, 하 한쌍의 가이드 롤(120)(120')이 상기 하우징(110)에 회동가능케 장착되며, 상기 일측 압연기(200)의 출구로 배출되는 압연소재를 상기 가이드 롤(120)(120') 측으로 안내하는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가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좌측)에 장착되고, 상기 일측 압연기(200)의 압연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를 상기 압연롤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의 좌우 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140)이 상기 하우징(110)의 좌측에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우측)에는 상기 가이드 롤(120)(120')을 통해 트위스트된 소재를 타측 압연기(300) 측으로 치입시키도록 소재를 안내하는 소재 치입가이드부재(1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좌측에는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를 통해 안내되는 소재를 2차로 상기 가이드 롤(120)(120')의 입구로 안내하는 보조 유입가이드부재(16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좌측 벽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와 상기 보조 유입가이드부재(160)는 일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우측에는 상기 가이드 롤(120)(120')을 통해 트위스트된 소재를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150)로 안내하는 보조 치입가이드부재(170)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우측 벽 내부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150)와 상기 보조 치입가이드부재(170)는 일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는 원통관 형태로서, 좌측(압연기측)의 단부 상측과 하측에 요입부(131)(131')가 형성되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에 돌출부(132, 132')(133, 133')가 형성된 구조로서, 상하방향 돌출부(133, 133')는 압연롤(210, 220 : 도3 및 도4에 도시)에 걸리는 정도를 줄이기 위해 전후방향 돌출부(132, 132')보다 짧게 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140)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에 고정플랜지(141)가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면(전후 벽면)에 밀착하여 고정되고, 상기 고정플랜지(141)가 고정부재(142)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면에 고정되되, 고정플랜지(141)에는 상기 고정부재(142)에 안내되어 고정플랜지(141)가 슬라이딩하는 다수의 장공(141a)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면(전후 벽면)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41)의 이동에 따라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가 밀리지 않도록 스토퍼가 끼워져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띠홈(145)이 형성된다.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150)는 원통관 형태로서, 몸체의 외면에 일체로(또는 분리가능케 고정된) 고정플랜지(151)가 고정부재(152)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면(전후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 유입가이드부재(160)와 상기 보조 치입가이드부재(170)는 원통 또는 판형태의 가이드부재이다.
트위스트 가이드장치(100)의 나머지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트위스트 가이드장치(10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롤(210)을 구비한 일측 압연기(200)와, 압연롤(310)을 구비한 타측 압연기(300) 사이에 설치되는데, 압연롤(210)의 크기에 따라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를 좌우로 이동시켜 조정하여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와 압연롤(210)의 외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하여 소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소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다.
즉, 고정부재(142)를 풀고, 고정플랜지(141)의 장공(141a)이 고정부재(142)에 안내되어 고정플랜지(141)가 슬라이딩되게 하여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의 위치를 조정한 후, 고정부재(142)로 고정플랜지(141)를 하우징(110)에 고정하여, 소재가 원활히 이송되게 한다.
도4는 도3의 압연롤(210)보다 큰 직경의 압연롤(220)을 가진 일측 압연기(220)에서 소재 유입가이드부재(130)가 압연롤(220)에 간섭되지 않도록 소재유입가이드부재(13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부재(142)로 고정플랜지(141)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트위스트 가이드장치(400)를 나타내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를 타내는 입면도이고, 도6은 도5의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제2실시예)에서 이동수단(440)는, 안내플랜지(441)가 소재 유입가이드부재(430)에 고정되어 하우징(410)에 슬라이딩하여 안내되고, 구동 실린더(442)의 실린더로드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43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43)를 통해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430)에 연결되어 소재 유입가이드부재(430)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 실린더(442)는 유압 실린더 등으로 되어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 및 제어부 등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제2실시예의 하우징(410), 상, 하 한쌍의 가이드 롤(420)(420'), 소재 유입가이드부재(430), 소재 치입가이드부재(450), 보조 유입가이드부재(460) 및 보조 치입가이드부재(470) 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제2실시예)의 구성은 구동 실린더(442)에 의해 자동 제어되므로 압연롤의 크기에 따른 소재 유입가이드부재(430)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400 :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200 : 일측 압연기
300 : 타측 압연기
110, 410 : 하우징 120, 420 : 압연롤
130, 430 : 소재 유입가이드부재 140, 240 : 이동수단
150, 450 : 소재 치입가이드부재 160, 460 : 보조 유입가이드부재
170, 470 : 보조 치입가이드부재

Claims (8)

  1. 삭제
  2. 압연 소재가 통과하는 통로를 가지며 일측 압연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케 장착되어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압연 소재를 타측 압연기로 치입되게 트위스트시키는 가이드 롤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일측 압연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압연소재를 상기 가이드 롤 측으로 안내하는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와,
    상기 일측 압연기의 압연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상기 압연롤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의 고정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를 상기 하우징의 고정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안내되어 고정플랜지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고정플랜지에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3. 압연 소재가 통과하는 통로를 가지며 일측 압연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케 장착되어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압연 소재를 타측 압연기로 치입되게 트위스트시키는 가이드 롤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일측 압연기의 출구로 배출되는 압연소재를 상기 가이드 롤 측으로 안내하는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와,
    상기 일측 압연기의 압연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상기 압연롤에 근접시키도록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딩하여 안내되는 안내플랜지와,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 롤을 통해 트위스트된 소재를 타측 압연기 측으로 치입시키도록 소재를 안내하는 소재 치입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를 통해 안내되는 소재를 2차로 상기 가이드 롤의 입구로 안내하는 보조 유입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재 유입가이드부재와 상기 보조 유입가이드부재는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롤을 통해 트위스트된 소재를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의 입구로 안내하는 보조 치입가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재 치입가이드부재와 상기 보조 치입가이드부재는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KR20100073214A 2010-07-29 2010-07-29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KR10120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3214A KR101205139B1 (ko) 2010-07-29 2010-07-29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3214A KR101205139B1 (ko) 2010-07-29 2010-07-29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33A KR20120011433A (ko) 2012-02-08
KR101205139B1 true KR101205139B1 (ko) 2012-11-26

Family

ID=4583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3214A KR101205139B1 (ko) 2010-07-29 2010-07-29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1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833A (ja) * 1997-08-18 1999-03-02 Kotobuki Sangyo Kk スキンパス・ツイストローラガイド装置
KR200186059Y1 (ko) 1999-12-24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833A (ja) * 1997-08-18 1999-03-02 Kotobuki Sangyo Kk スキンパス・ツイストローラガイド装置
KR200186059Y1 (ko) 1999-12-24 2000-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대경코일의 테일부 처리용 핀치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33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763B1 (ko) 한 개의 공전롤을 갖는 인발형 연속 전단변형장치
WO2010043611A1 (en) Drawing and/or straightening unit for oblong metal products, such as bars, round pieces or metal wire
CN102869460B (zh) 两个轧制单元之间的轧件的带材张力的最小化
AU2017364344B2 (en) Multifunction work apparatus
CN210098592U (zh) 一种钢管矫直机
KR101205139B1 (ko) 원형강 압연용 트위스트 가이드장치
CN101077511A (zh) 多辊组合曲线辊型钢管矫直机
JP2011527634A (ja) 圧延製品、特に熱間圧延されたスチールストリップの長手方向を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と、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熱間圧延機
KR101368259B1 (ko) 소재 권취장치
US2756942A (en) Apparatus for coiling strip material
KR20110126890A (ko) 강선 삽입기
CN201287158Y (zh) 一种用于冷弯型钢连续生产线的拉伸矫直机
JP6796715B2 (ja) 金属の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設備
RU239039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авки широких горячекатаных полос и способ их правки
CN201940510U (zh) 具有延伸功能的下主动错开压轮式钢筋调直机
CN104307898A (zh) 一种拔丝装置
KR100879014B1 (ko) 롤 포밍장치
ITBO20120014A1 (it) Apparato per deformare una barra metallica avente sezione rettangolare sino ad ottenere una barra metallica avente sezione trapezoidale od esagonale, e sistema e metodo per realizzare una spirale a partire da una barra metallica avente sezione rettan
CN207386182U (zh) 一种轧机开卷道次用导卫组件
CN201960058U (zh) 具有延伸功能的下主动混合压轮式钢筋调直机
KR20130099336A (ko) 강판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CN209773319U (zh) 一种建筑用钢筋扭钢机
KR101053342B1 (ko) 압연소재 안내장치
CN104203449A (zh) 用于金属产品如棒、圆形工件或金属线的牵引装置
WO2015076316A1 (ja) 線状鋼材の誘導方法及び誘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