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620Y1 -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 Google Patents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620Y1
KR200470620Y1 KR2020120002791U KR20120002791U KR200470620Y1 KR 200470620 Y1 KR200470620 Y1 KR 200470620Y1 KR 2020120002791 U KR2020120002791 U KR 2020120002791U KR 20120002791 U KR20120002791 U KR 20120002791U KR 200470620 Y1 KR200470620 Y1 KR 200470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lit
guide
alignm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993U (ko
Inventor
박춘수
김정민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62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6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21B39/16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immediately before entering or after leaving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재가 정확하게 압연롤의 슬릿 그루브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는 베이스 부재 그리고 정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여기서, 베이스 부재는 압연롤의 입구에 설치되는 가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제1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제1간격으로 삽입되어 가이드에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정렬부재는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측단부에는 압연롤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그루브에 대응되는 형상의 정렬 그루브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adjustment apparatus of guide for slit rolling and slit rol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가 정확하게 압연롤의 슬릿 그루브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과 같은 봉형 형강은 열간 압연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러한 열간 압연 공정에서는 연속 주조에 의하여 제조한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편 즉, 압연 소재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한 후 압연기가 다수 배치된 압연 라인을 통하게 된다.
한편, 한 가닥의 소재를 압연하여 여러 가닥의 철근으로 나누어 압연하는 것을 슬릿(slit) 압연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슬릿 압연 라인은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압연 제품이 생산되게 된다.
또한, 슬릿 압연 라인의 압연 롤에는 제조하는 제품, 즉, 철근이나 앵글의 형상에 대응되는 압연 그루브가 형성된다.
일 예로, 슬릿 압연용 롤의 경우에는, 압연 소재를 다수 개의 철근으로 분할하여 제조하기 위한 슬릿 그루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슬릿 압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압연 소재가 압연 경로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해 슬릿 압연을 통하여 여러 가닥의 철근이 올바르게 생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압연 소재가 정중앙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좌우로 조금이라도 치우쳐 압연 소재의 분배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슬릿 후, 가닥(strand)별로 형상이 다르게 되어 치수 불량 등에 따른 품질 문제가 야기되었다.
둘째, 압연 소재가 압연 경로 상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guide)가 사용되더라도, 조업자가 눈으로 보고 가이드를 조정하게 되므로 여전히 압연 소재의 정확한 정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이에 따라, 조업자가 가이드를 조정한 후에도 중간 압연 소재를 가열한 후 수작업으로 슬릿 압연을 실시해서 품질을 확인하는 샘플링 작업이 동반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재가 정확하게 압연롤의 슬릿 그루브로 유입 가능하도록 하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압연롤의 입구에 설치되는 가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제1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에 일체로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측단부에는 상기 압연롤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그루브에 대응되는 형상의 정렬 그루브가 형성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 그루브는 상기 슬릿 그루브의 원주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부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슬릿 그루브가 형성되는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입구에 구비되고, 제1간격으로 구비되는 한 쌍 이상의 안내 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1간격을 통해 상기 슬릿 그루브로 소재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그리고 압연롤의 입구에 설치되는 가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제1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에 일체로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측단부에는 상기 압연롤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그루브에 대응되는 형상의 정렬 그루브가 형성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정렬 그루브가 상기 슬릿 그루브에 정합됨에 따라 일체로 된 상기 가이드가 미세 이동되어 상기 압연롤의 입구에 정위치되도록 하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의 정렬 그루브가 압연롤의 슬릿 그루브와 정합되도록 함으로써 일체화된 가이드가 자동 정렬되어 압연롤의 입구에 정위치될 수 있다.
둘째, 가이드가 압연롤의 입구에 정위치됨으로써, 압연 소재의 정확한 분배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슬릿 압연된 철근의 품질이 양호하게 관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의 정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 장치의 가이드를 정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 장치는 복수 개의 압연 패스(path)(10,10a,10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압연 패스(10,10a,10b)별로 구비되는 슬릿 압연 장치는 압연롤(20,20a,20b), 가이드(30,30a,30b) 그리고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40a,4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압연 패스(10,10a,10b)별로 구비되는 압연롤(20,20a,20b)에 형성된 슬릿 그루브(25; 도 2 참조)의 형상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연이 될 소재는 각각의 압연롤(20,20a,20b)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슬릿 압연이 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어느 한 압연 패스에서의 슬릿 압연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의 정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릿 압연 장치는 압연롤(20), 가이드(30) 그리고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30)는 슬릿 그루브(25)가 형성된 압연롤(20)의 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는 가이드(30)에 일체로 결합되고 정렬 그루브(43)가 슬릿 그루브(25)에 정합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와 일체로 결합된 가이드(30)는 좌우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되어 지며, 정렬 그루브(43)가 슬릿 그루브(25)에 정합된 상태가 되면 가이드(30)는 압연롤(20)의 입구에 정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슬릿 압연 장치는 압연롤(20), 가이드(30) 그리고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압연롤(20)은 상부압연롤(21)과 하부압연롤(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슬릿 그루브(slit groove)(2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릿 그루브(25)는 압연 소재(미도시)로부터 나누고자 하는 철근의 가닥 수 및 철근의 사양(지름)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연롤(20)의 입구(압연 소재가 유입되는 공간)에는 가이드(30)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이드(30)는 슬릿 그루브(25)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30)는 압연 소재의 양측면을 밀착 가압하여 압연 소재가 일방향(압연롤(20)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 롤러(31a,31b,32a,32b)를 가질 수 있다.
안내 롤러는 하나의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안내 롤러(31a,31b,32a,32b)는 제1간격(D)을 이루면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간격(D)은 바로 이전 압연 패스를 거치고, 해당 압연 패스에 사용될 압연 소재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일 수 있다.
그리고, 더욱 안정적으로 압연 소재가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 롤러(31a,31b,32a,32b)는 압연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연 소재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안내 롤러(31a,32a)(31b,32b)는 홀더(33a,33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3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35)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안내 롤러(31a,31b,32a,32b)는 하우징(35)의 내측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가이드(30)는 조임부(36)를 더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임부(36)는 홀더(33a,33b)를 연결하는 스크류(screw)(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37)는 각각의 홀더(33a,33b)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스크류(37)가 회전되도록 하여 홀더(33a,33b)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안내 롤러(31a,31b,32a,32b)는 헐렁거림이 없이 압연 소재의 양측을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30)의 내측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안내 롤러(31a,31b,32a,32b) 사이의 제1간격(D)으로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는 베이스 부재(41)와 정렬부재(42)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베이스 부재(41)는 제1간격(D)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41)는 이전 패스를 거친 후, 본 패스에 적용될 압연 소재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각형의 바(ba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렬부재(42)는 베이스 부재(41)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단부에는 압연롤(20)의 슬릿 그루브(25)에 대응되는 형상의 정렬 그루브(43)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정렬부재(42)의 정렬 그루브(43)는 압연롤(20)의 슬릿 그루브(25)의 원주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렬부재(42)는 플레이트(plat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렬부재(42)와 베이스 부재(41)는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정렬부재(42)와 베이스 부재(41)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가 안내 롤러(31a,31b,32a,32b)의 제1간격(D)을 통해 삽입되면, 베이스 부재(41)의 양측면이 안내 롤러(31a,31b,32a,32b)에 견고히 가압되므로,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40)와 가이드(30)는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베이스 부재(41)가 계속 유입되면 정렬부재(42)의 정렬 그루브(43)가 압연롤(20)의 슬릿 그루브(25)에 맞춰지게 된다.
이때, 정렬 그루브(43)가 슬릿 그루브(25)와 틈새가 없이 완전히 일치, 즉 정합(整合)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30)는 좌우로 미세한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통해, 가이드(30) 또한 정위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정위치란 정렬 그루브(43)와 슬릿 그루브(25)가 정합되어, 즉, 정렬 그루브(43)의 중심과 슬릿 그루브(25)의 중심이 일치됨에 따라, 가이드(30)가 압연롤(20)의 입구에 정확히 위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30)가 압연롤(20)에 정확히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압연 소재가 정확히 분배되어 압연롤(2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압연롤(20)에서 압연시에 압연 소재가 정확히 분배되어 각 가닥(strand)별 품질 편차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슬릿 압연의 소재 단면형상 확인을 위해 실시되던 샘플링 작업(길이가 짧은 중간 소재를 가열한 후 수작업으로 슬릿 압연을 실시하고 단면치수 등 품질을 평가하는 작업)도 생략될 수 있어 압연 조업성도 개선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설명한 슬릿 압연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 패스에서의 슬릿 압연 장치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각각의 압연 패스에 적합한 압연롤의 슬릿 그루브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베이스부재의 폭과 정렬 그루브의 형상이 적절히 적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 장치의 가이드를 정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 압연 장치의 가이드를 정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연롤의 입구에 구비된 가이드에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의 베이스 부재를 삽입하는 단계(S11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부재는 가이드에 구비되는 안내 롤러 사이의 제1간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된 정렬부재의 정렬 그루브가 압연롤에 형성된 슬릿 그루브와 정합될 때까지 가이드를 좌우로 조정하는 단계(S12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정렬부재의 정렬 그루브와 압연롤의 슬릿 그루브 간의 중심이 일치되면, 가이드와 압연롤 간의 위치는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압연롤에 대한 가이드의 정렬이 완료된 후에는, 정렬부재를 가이드로부터 빼서 제거하고, 압연 소재를 삽입하여 압연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10a,10b: 압연 패스 20,20a,20b: 압연롤
25: 슬릿 그루브 30,30a,30b: 가이드
31a,31b,32a,32b: 안내 롤러 33a,33b: 홀더
35: 하우징 36: 조임부
40,40a,40b: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41: 베이스 부재 42: 정렬부재
43: 정렬 그루브 D: 제1간격

Claims (4)

  1. 압연롤의 입구에 설치되는 가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쌍의 안내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제1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1간격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에 일체로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외측단부에는 상기 압연롤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그루브에 대응되는 형상의 정렬 그루브가 형성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렬 그루브는 상기 슬릿 그루브의 원주방향에 대한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4.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슬릿 그루브가 형성되는 압연롤;
    상기 압연롤의 입구에 구비되고, 제1간격으로 구비되는 한 쌍 이상의 안내 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1간격을 통해 상기 슬릿 그루브로 소재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그리고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르고, 정렬 그루브가 상기 슬릿 그루브에 정합됨에 따라 일체로 된 상기 가이드가 미세 이동되어 상기 압연롤의 입구에 정위치되도록 하는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릿 압연 장치.
KR2020120002791U 2012-04-05 2012-04-05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KR200470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91U KR200470620Y1 (ko) 2012-04-05 2012-04-05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791U KR200470620Y1 (ko) 2012-04-05 2012-04-05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3U KR20130005993U (ko) 2013-10-15
KR200470620Y1 true KR200470620Y1 (ko) 2014-01-20

Family

ID=5141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791U KR200470620Y1 (ko) 2012-04-05 2012-04-05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6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35B1 (ko) * 2014-03-19 2015-05-04 동국제강 주식회사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CN105057369A (zh) * 2015-07-22 2015-11-18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精轧机侧导板对中精度的标定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4234B (zh) * 2016-12-13 2018-07-31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轧带钢精轧机的前导尺余量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366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공정 압연기의 입구 및 출구 가이드 이동장치
KR20070063645A (ko) * 2005-12-15 2007-06-2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KR20110096786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설비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366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공정 압연기의 입구 및 출구 가이드 이동장치
KR20070063645A (ko) * 2005-12-15 2007-06-2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KR20110096786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설비 정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335B1 (ko) * 2014-03-19 2015-05-04 동국제강 주식회사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CN105057369A (zh) * 2015-07-22 2015-11-18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一种精轧机侧导板对中精度的标定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93U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620Y1 (ko)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EP3535069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iesswalzverbundanlage
CN102089092A (zh) 纵向引导轧件尤其是热轧带钢的方法以及用于执行该方法的热轧机
US10472691B2 (en) Hot-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ress-hardened shaped components from steel sheet
JP5892101B2 (ja) 圧延スタンド用パスライン芯合せ装置および圧延スタンドのパスライン芯合せ方法
BR112019010458A2 (pt) aparelho de trabalho de múltiplas funções
EP0721813B1 (de) Vorrichtung zum Führen von warmgewalztem Band durch einen Induktor
CA2663899A1 (en) Method of continuously casting a metal strand
CN108136468B (zh) 用于制造具有基本上平行的带边缘的金属带的方法和设备
KR101607055B1 (ko) 에지히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8842B1 (ko) 온도편차 저감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강판교정장치
KR101205155B1 (ko)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KR101516335B1 (ko)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KR101068468B1 (ko) 이중 곡률을 갖는 박판의 연속형 평면교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8858B1 (ko) 선재 압연롤의 소재 패스라인 조정장치
KR101205125B1 (ko) 압연기의 입구 가이더용 조립 검사 작업대
KR101484472B1 (ko) 선재 압연공정의 노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322048B1 (ko)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KR101129278B1 (ko) 압연장치용 가이드블록
KR101259257B1 (ko) 압연 장치 및 방법
KR102049189B1 (ko) 직선형 강 시트 파일의 조인트부 성형기 및 직선형 강 시트 파일의 제조 방법
KR101193879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JP6304498B2 (ja) 熱間鋼片のサイジングプレスにおけるキャンバー抑制方法
KR20230118116A (ko) 금속 제품의 인발 및 교정 장치 및 해당 방법
KR20100046847A (ko) 압연장치용 가이드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