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645A -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645A
KR20070063645A KR1020050123624A KR20050123624A KR20070063645A KR 20070063645 A KR20070063645 A KR 20070063645A KR 1020050123624 A KR1020050123624 A KR 1020050123624A KR 20050123624 A KR20050123624 A KR 20050123624A KR 20070063645 A KR20070063645 A KR 2007006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guide
rolling mill
inle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0714B1 (ko
Inventor
안병식
태종성
김인수
박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12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7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B21B41/12Arrangements of interest only with respect to provision for indicating or controll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6Eccen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평식 압연기에 구비되는 상,하부 공형롤의 캐리버간의 압연중심과 상기 수평식 압연기의 입구에 배치되는 입구가이드의 좌우한쌍의 안내롤러간의 입구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이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홈에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 상기 캐리버의 내부면에 선단 외주면이 접하도록 상기 상,하부 공형롤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고, 외부면에 상기 압연중심과 일치되는 정중앙 눈금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눈금자가 표시된 표시부 ; 및 상기 입구중심과 일치되도록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지시봉을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눈금자를 지시하는 지시부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롤러의 입구중심과 캐리버의 중심이 서로 일치시키는 센터조정작업을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보다 짧은 시간내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선재 압연기, 캐리버, 입구가이드, 베이스, 표시판, 눈금자, 지사봉

Description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A Device for Controlling the Guide Center in Wire Roll}
도 1은 일반적인 선재압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선재압연기에 구비되는 입구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종래 선재압연기에서 센터 중심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부와 지시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부와 지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b)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에 채용되는 표시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 : 상,하부 공형롤 11a,12a : 캐리버
30 : 입구가이드 35 : 요홈
110 : 베이스부 111 : 하부베이스
115 : 하부베이스 120 : 표시부
121 : 표시판 123 : 고정판
130 : 지시부 131,132 : 베어링블록
133 : 회전체 134 : 지시봉
134a : 원추형 캡 135 : 조작바
본 발명은 선재압연기에서 가이드 센터의 중심을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안내롤러의 입구중심과 캐리버의 중심이 서로 일치시키는 센터조정작업을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보다 짧은 시간내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제조된 용강은 연주공정을 거치면서 압연 혹은 압출품의 소재로 슬라브, 빌레트등의 형상으로 주조되고 압출기, 압연기에서 가공되어 강판, 형강재등으로 제조된다.
제강공정이 완료된 소재를 압연공장으로 이송하여 재 가열후 압연을 하여 형강재를 만들고, 이는 롤러 테이블을 타고 이송되면서 고속 회전되는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어 적정 길이의 형강으로 제작되는 공정을 가지게 된다.
선재 압연의 소재중 하나인 빌레트(billet)는 가열로에서 약 90분간 가열되어 대략 1100℃에서 추출되고 조압연, 중간사상 압연, 사상압연을 거쳐 마무리되는 공정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선재 압연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공형롤(11)(12)이 상하로 배치되는 수평식 압연기(10)와, 수직 공형롤(21)이 복수개 배치되는 수직식 압연기(20)를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교대로 설치된다.
상기 수평식 압연기(10)의 상,하부 공형롤(11)(12)과 상기 수직식 압연기(20)의 수직 공형롤(21)의 입구에는 압연재의 압연시 발생되는 마찰력 및 변형저항에 의해 압연재가 상하좌우로 이동되어 압연패스라인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도록 압연재를 후방으로 가이드하는 입구가이드(30)(40)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은 롤스탠드(2)에 좌우양단이 롤쵸크(미도시)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스탠드(2)는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스탠드레일(3)상에 압연패스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수평식 압연기(10)의 입구에 구비되는 입구가이드(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하게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안내롤러(31)(32)와, 상기 안내롤러(31)(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압연패스라인과 평행한 요홈(35)을 상부면 에 형성한 롤러지지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의 외부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요가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압연재를 다양한 크기로 압연할 수 있도록 요홈인 캐리버(11a)(12a)를 구비하는바, 압연재는 상기 입구가이드(30)의 안내롤러(31)(32)간의 입구중심과, 상,하부 공형롤(11)(12)의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을 통과하면서 압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이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거나 캐리버(11a)(12b)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선재압연전에 상기 입구가이드(30)의 안내롤러(31)(32)사이에 형성되는 입구중심과, 상기 캐리버(11a)(12a)사이의 압연중심은 하나의 압연패스라인을 형성하도록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일치시켜야 된다.
상기 안내롤러(31)(32)의 입구중심과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안내중심을 일치시키는 종래의 작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식 압연기(10)의 입구에서 입구가이드(30)의 안내롤러(31)(32)를 바라보면서 상기 안내롤러(31)(32)사이의 입구중심과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이 서로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한 다음,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롤스탠드(2)를 화살표 A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면서 이들간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작업은 작업자가 상기 입구중심과 압연중심이 서로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는 조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자의 측정자세 및 숙련도에 따라 편차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34는 입구가이드가 수평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레스트바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내롤러의 입구중심과 캐리버의 중심이 서로 일치시키는 센터조정작업을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보다 짧은 시간내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식 압연기에 구비되는 상,하부 공형롤의 캐리버간의 압연중심과 상기 수평식 압연기의 입구에 배치되는 입구가이드의 좌우한쌍의 안내롤러간의 입구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이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홈에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 상기 캐리버의 내부면에 선단 외주면이 접하도록 상기 상,하부 공형롤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고, 외부면에 상기 압연중심과 일치되는 정중앙 눈금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눈금자가 표시된 표시부 ; 및 상기 입구중심과 일치되도록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지시봉을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눈금자를 지시하는 지시부 ;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요홈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안내턱을 하부면에 구비하고, 제1안내홈을 하부면에 함몰형성한 블록구조물이며, 상기 상부베이스는 상기 제1안내홈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안내턱을 하부면에 돌출형성한 블록구조물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부는 표시판과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판은 상기 캐리버의 내부면에 접하는 선단외주면이 상기 캐리버의 내부곡률과 동일한 외부곡률로 구비되고, 상부면에 상기 정중앙 눈금자와 눈금자가 표시된 금속판재이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표시판의 좌우날개부에 부착되어 상기 상,하부 공형롤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자석부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좌우한쌍의 베어링블록와, 상기 베어링블록에 좌우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외부면에 상기 지시봉의 후단이 직교하도록 조립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용 조작바를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시봉은 상기 표시부의 눈금자와 대응하는 선단이 뾰족한 원추형 캡과, 상기 캡이 선단에 조립되는 중앙몸체 및 상기 중앙몸체가 선단에 조립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연결체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부와 지시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부와 지시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도 6(a)(b)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에 채용되는 표시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00)는 도 4 내지 6(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식 압연기(10)에 구비되는 상,하부 공형롤(11)(12)의 상,하측 캐리버(11a)(11b)간의 압연중심과 상기 수평식 압연기(10)의 입구에 배치되는 입구가이드(30)의 좌우한쌍의 안내롤러(31)(32)간의 입구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는 조정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베이스부(110), 표시부(120) 및 지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 입구가이드(30)의 상부면에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함몰형성된 요홈(35)에 조립되어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베이스부(110)는 하부베이스(111)와 상부베이스(115)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베이스(111)는 상기 요홈(35)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안내턱(112)을 하부면에 구비하고, 제1안내홈(113)을 상부면에 함몰형성한 블록구조물이며, 상기 상부베이스(115)는 상기 제1안내홈(113)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안내 턱(116)을 하부면에 돌출형성한 블록구조물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베이스(111)는 상기 요홈(35)과 제1안내턱(112)간의 조립에 의해서 압연패스라인과 나란하게 활주이동가능하며, 상기 상부베이스(115)는 상기 제1안내홈(113)과 제2안내턱(116)간의 조립에 의해서 압연패스라인과 나란하게 활주이동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면에 구비된 지시부(130)를 상기 수직압연기(10)측으로 접근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의 캐리버(11a)(12b)중 어느 하나의 캐리버 내부면에 선단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접하도록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중 어느 일측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구조물이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표시판(121)과 고정판(123)을 포함하는바, 상기 표시판(121)은 상기 캐리버(11a)(12a)의 내부면에 접하는 선단외주면이 상기 캐리버(11a)(12a)의 내부곡률과 동일한 외부곡률로 구비되고, 상부면에 상기 정중앙 눈금자(C)와 눈금자(C')가 표시된 금속판재이며, 상기 고정판(123)은 상기 표시판(121)의 좌우날개부(122)에 부착되어 상기 상,하부 공형롤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자석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정중앙 눈금자(C)는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과 일치되는 눈금자이고, 그 양측으로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눈금자(C)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버(11a)(12a)는 압연하고자 하는 선재의 크기에 따라 다앙한 곡률반경을 갖는바, 상기 표시판(121)은 캐리버(11a)(12a)의 내부곡률에 따라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버와 밀착되는 선단외주면이 원호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판(121a)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단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판(121)(121a)의 좌우날개부(122)에 구비되는 고정판(123)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공형롤(11)(12)의 외부면에 흔들림없이 확고히 부착됨과 동시에 센터조정작업후 작업자에 의해서 탈락이 용이하도록 일정세기의 자기력을 갖는 자석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20)는 자석부재로 이루어진 고정판(123)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공형롤(11)(12)의 외부면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고, 부착시 상기 표시판(121)(121a)의 선단 외주면은 상기 캐리버(11a)(12a)의 내부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은 상기 표시판(121)(121a)에 표시된 정중앙 눈금자(C)와 서로 일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시부(130)는 상기 표시부(120)의 표시판(121)에 구비된 눈금자(C)(C')를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10)상에 구비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시부(130)에는 상기 안내롤러(31)(32)의 입구중심과 일치되도록 베이스부(110)에 배치되는 지시봉(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시봉(134)은 그 선단을 상기 눈금자(C)(C')에 근접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한다.
상기 지시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좌우한쌍의 베 어링블록(131)(132)와, 상기 베어링블록(131)(132)에 좌우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외부면에 상기 지시봉(134)의 후단이 직교하도록 조립되는 회전체(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블록(131)(132)중 어느 일측으로 외부노출되는 상기 회전체(133)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체(133)의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용 조작바(1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잡이용 조작바(135)는 상기 회전체(133)의 일측 단부에 관통형성된 장착공(133a)을 통하여 삽입되어 위치고정된다.
상기 회전체(133)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베어링블록(132)을 통한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너트부재(136)를 체결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133)의 외부면에는 각도확인용 화살표(133b)를 구비하고, 상기 화살표(133b)의 선단과 대응하는 베어링블록(132)의 외부면에 복수개의 각도눈금자(132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133)의 회전조작시 상기 화살표(133b)가 지시하는 각도눈금자(132a)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회전체(133)의 회전변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시봉(134)은 상기 표시부(120)의 눈금자(C)(C')와 대응하는 선단이 뾰족한 원추형 캡(134a)과, 상기 캡(134a)이 선단에 나사조립되는 중앙몸체(134b) 및 상기 중앙몸체(134b)가 선단에 나사조립되고 상기 회전체(133)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회전체(133)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연결체(134c)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몸체(134b)의 선,후단 외부면에는 상기 캡(134a)과 연결체(134b)와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부를 각각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시부(130)의 지시봉(134)을 상기 표시부(110)측으로 최대한 근접하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시봉(134)을 표시부(110)의 표시판측으로 선회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지시봉(134)의 선단이 지시하는 눈금자(C)(C')를 확인하여 상기 안내롤러(31)(32)간이 입구중심과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이 서로 일치됨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입구가이드(30)의 안내롤러(31))(32)간의 입구중심과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이 서로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센터를 조정하는 작업은 롤스탠드(2)에 구비된 상,하부 공형롤(11)(12)의 교체시나 캐리버(11a)(12a)의 크기 변경시마다 선재압연전에 수행하게 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표시부(120)를 상부 공형롤(11)에 근접시키면, 상기 표시부(120)의 고정판(123)은 자석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판(123)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상부 공형롤(11)의 외부면에 자력에 의해서 부착된다.
이와 동시에, 외부면에 눈금자(C)(C')가 표시된 표시판(121)의 선단외주면은 상기 상부공형롤(11)의 캐리버(11a)의 내부곡률과 동일한 크기의 곡률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캐리버(11)의 내부면에 빈틈없이 일치된다.
이때, 상기 표시판(121)의 정중앙 눈금자(C)는 상기 캐리버(11a)의 내주면 중심과 일치되기 때문에,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과도 일치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입구가이드(30)의 요홈(35)에 하부베이스(111)를 조립하고, 상기 하부베이스(111)에 조립된 상부베이스(115)를 상기 상부공형롤(11)측으로 전진이동시키면, 상기 상부베이스(115)의 상부면에 조립된 지시부(130)의 지시봉(134)은 상기 표시부(110)의 표시판(121)에 최대한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시부(130)의 조작바(135)를 일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이에 연결된 회전체(133)를 회전시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33)에 구비된 지시봉(134)이 상기 표시판(121)측으로 하향선회되면서 상기 지시봉(134)의 선단은 상기 표시판(121)에 표시된 눈금자(C)(C')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내롤러(31)(32)의 입구중심과 일치하는 수직축상에 배치된 지시봉(134)의 선단이 정중앙 눈금자(C)를 지시하게 되면, 이는 상기 안내롤러(31)(32)의 입구중심과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이 서로 일치되는 것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판단하여 선재를 압연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안내롤러(31)(32)의 입구중심과 일치하는 수직축상에 배치된 지시봉(134)의 선단이 정중앙 눈금자(C)를 지시하지 않고 인접하는 다른 눈금자(C')를 지시하게게 되면, 이는 상기 안내롤러(31)(32)의 입구중심과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지시봉(134)이 지시하는 눈금자(C')가 상기 정중 앙 눈금자(C)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측정한 다음, 측정된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상,하부 공형롤(11)(12)이 구비된 롤스탠드(2)를 스탠드레일(3)상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면서 상기 안내롤러(31)(32)의 입구중심과 상기 캐리버(11a)(12a)간의 압연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다.
연속하여, 상기 지시봉(134)이 상기 표시판(121)의 정중앙 눈금자(C)를 지시하게 되면, 상기 롤스탠드를 수평이동시키는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상부공형롤ㄹ부터 상기 표시부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상기 입구가이드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와 지시부를 분리하여 제거한 다음, 선재를 압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중심과 일치하는 정중앙 눈금자가 표시된 표시부를 공형롤에 부착하고, 입구가이드의 요홈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에 입구중심과 일치하도록 지시봉이 구비되는 지시부를 갖춤으로써, 안내롤러의 입구중심과 캐리버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센터조정작업을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보다 짧은 시간내에 정확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롤교체 및 캐리버 크기 변경후 압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6)

  1. 수평식 압연기에 구비되는 상,하부 공형롤의 캐리버간의 압연중심과 상기 수평식 압연기의 입구에 배치되는 입구가이드의 좌우한쌍의 안내롤러간의 입구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이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홈에 압연패스라인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
    상기 캐리버의 내부면에 선단 외주면이 접하도록 상기 상,하부 공형롤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고, 외부면에 상기 압연중심과 일치되는 정중앙 눈금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눈금자가 표시된 표시부 ; 및
    상기 입구중심과 일치되도록 베이스부에 배치되는 지시봉을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에 구비된 눈금자를 지시하는 지시부 ;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요홈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안내턱을 하부면에 구비하고, 제1안내홈을 하부면에 함몰형성한 블록구조물이며, 상기 상부베이스는 상기 제1안내홈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 안내턱을 하부면에 돌출형성한 블록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판과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판은 상기 캐리버의 내부면에 접하는 선단외주면이 상기 캐리버의 내부곡률과 동일한 외부곡률로 구비되고, 상부면에 상기 정중앙 눈금자와 눈금자가 표시된 금속판재이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표시판의 좌우날개부에 부착되어 상기 상,하부 공형롤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자석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탑재되는 좌우한쌍의 베어링블록와, 상기 베어링블록에 좌우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외부면에 상기 지시봉의 후단이 직교하도록 조립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용 조작바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봉은 상기 표시부의 눈금자와 대응하는 선단이 뾰족한 원추형 캡 과, 상기 캡이 선단에 조립되는 중앙몸체 및 상기 중앙몸체가 선단에 조립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연결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KR1020050123624A 2005-12-15 2005-12-15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KR101220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624A KR101220714B1 (ko) 2005-12-15 2005-12-15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624A KR101220714B1 (ko) 2005-12-15 2005-12-15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645A true KR20070063645A (ko) 2007-06-20
KR101220714B1 KR101220714B1 (ko) 2013-01-09

Family

ID=3836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624A KR101220714B1 (ko) 2005-12-15 2005-12-15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20Y1 (ko) * 2012-04-05 2014-01-20 동국제강주식회사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KR101424463B1 (ko) * 2012-08-30 2014-07-31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이드블록 중심 측정장치
CN117505558A (zh) * 2024-01-04 2024-02-06 河北广丰金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螺旋活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495Y1 (ko) * 1992-11-23 1995-04-06 박득표 중심위치조절기(Center Position Controller)용 위치이동장치
JP3076712B2 (ja) * 1993-12-14 2000-08-14 寿産業株式会社 ローラガイドのカリバーシフト方法及びその装置
KR950009476Y1 (ko) * 1993-12-29 1995-11-0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코일 측면 위치 조정장치
KR100971975B1 (ko) * 2003-04-18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기 가이드 패스라인 조절 및 예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20Y1 (ko) * 2012-04-05 2014-01-20 동국제강주식회사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KR101424463B1 (ko) * 2012-08-30 2014-07-31 현대제철 주식회사 가이드블록 중심 측정장치
CN117505558A (zh) * 2024-01-04 2024-02-06 河北广丰金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螺旋活套装置
CN117505558B (zh) * 2024-01-04 2024-03-26 河北广丰金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螺旋活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714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9762A (zh) 用于连续制造薄金属带材的方法和设备
KR101220714B1 (ko) 선재 압연기의 가이드센터 조정장치
CN107377691B (zh) 一种用于飞机金属板材的快速折弯画线装置
CN116586552A (zh) 一种工件锻打装置及加工工艺
CN110434188A (zh) 一种铝材高温在线整形装置和一种铝材二次成型方法
CN107671140B (zh) 一种楔横轧件的加工装置及其方法
US3640109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setting roller guides in rod mills
CN205691045U (zh) 三柱槽壳球道同心度检测仪
CN212285326U (zh) 一种用于板材轧制的轧机导卫装置
KR100949734B1 (ko) 교정기용 교정롤 세팅장치
CN108568736B (zh) 一种硬度检测前处理设备
KR101365524B1 (ko) 롤샤프트 교정 장치
KR20130002920A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KR20160070397A (ko) 연속주조설비의 롤 변형 및 마모 측정 장치
CN210701832U (zh) 一种护角折弯机
CN113145698A (zh) 一种钣金无痕折弯可调节模具
KR101607219B1 (ko) 얼라인먼트 측정장치
US2333937A (en) Guide for rail mills
CN211027569U (zh) 一种铝材高温在线整形装置
KR101038858B1 (ko) 선재 압연롤의 소재 패스라인 조정장치
CN220760645U (zh) 一种钢板弯折机构
CN220005757U (zh) 一种钢筋多角度弯曲机
RU159468U1 (ru) Роликовый центрователь
KR200266910Y1 (ko) 샤프트 변형치 자동 측정장치
CN217342848U (zh) 一种连轧机进、出口导卫装置的定位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