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257B1 - 압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압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257B1
KR101259257B1 KR1020110029172A KR20110029172A KR101259257B1 KR 101259257 B1 KR101259257 B1 KR 101259257B1 KR 1020110029172 A KR1020110029172 A KR 1020110029172A KR 20110029172 A KR20110029172 A KR 20110029172A KR 101259257 B1 KR101259257 B1 KR 10125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rolling mill
coi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960A (ko
Inventor
이상훈
황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2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2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21B1/1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in a 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공형 압연기를 이용한 소재의 압연 특히, 빌렛의 중간압연을 위한 압연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압연장치는, 소재를 가역 및 비가역 압연하는 공형부들을 구비하는 공형 압연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형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는 가열로에서 진입되는 소재 패스라인에 대응되어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토록 구성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형 압연기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소재를 가역 및 비가역 압연하는 공형부들을 구비하는 제2의 공형 압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의 압연기의 최소 공형부에서 제2의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 사이에 연계된 연결용 롤러 테이블을 더 포함하여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 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소재 특히 선재의 압연소재인 빌렛으로 생산되는 불룸의 중간압연시 기존의 가이드를 통한 롤러 테이블 상에서의 슬라이딩을 제거하여, 압연소재의 흠 발생 등에 따른 품질 저하를 방지시키는 한편, 소재 마찰에 따른 롤러 테이블 등의 주변 설비의 과도한 마모나 파손을 예방하여 보수-유지 비용도 절감시키고, 특히 압연시간의 단축으로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압연 장치 및 방법{Rough Mill and Rolling Method}
본 발명은 공형 압연기를 이용한 소재의 압연을 위한 압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소재 예를 들어, 빌렛으로 생산되는 블룸의 중간 압연시 기존의 가이드를 통한 롤러 테이블 상에서의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하여, 압연소재의 흠 발생 등의 품질 저하를 방지시키는 한편, 소재 마찰에 따른 롤러 테이블 등의 주변 설비의 과도한 마모나 파손을 예방하여 설비의 보수-유지 비용도 절감시키고, 특히 압연시간을 단축하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압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선재 제조는, 가열로에서 빌렛(billet)을 900~1200 ℃로 가열한 후, 조압연, 중간조압연, 중간사상압연 및 사상압연을 거친 열간 공형 선재를 수냉대에서 냉각시킨 후 권취공정을 거쳐 선재코일을 생산하고 그 다음 정정라인에 투입된다. 이때, 그 압연단계에 따라 직경 5.5 ~ 13mm 의 소구경 선재와 14 - 42 mm의 대구경 선재를 생산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소재인 빌렛(billet)(B)은 가열로(110)에서 그 재질에 따라 압연이 가능한 온도(900~1200℃)로 가열되고, 이후 조압연기(120), 중간 조압연기(130), 중간 사상압연기(140), 사상압연기(150) 등을 통해 다단계로 연속 압연되고, 압연된 소재는 수냉대(160)를 거쳐 냉각이나 열처리를 거친 후 권취기에서 코일형태로 권취된다.
이때, 도 1에서 소구경 선재코일(100a)의 경우에는 사상압연기(130)를 거쳐 레잉헤드(170)에서 권취되어 컨베이어(180)로 이송후 집적되고, 대구경 선재코일(100b)은 중간 사상압연기(140)를 거쳐 가이드(190)와 핀치롤(192)을 통과하면서 자유 낙하되어 권취기(200) 즉, 릴러에서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재로 압연 생산되는 빌렛(Billet)은 블룸(Bloom)을 압연하여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종래 블룸을 압연하여 빌렛을 생산하는 압연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2에서 압연설비의 도면부호를 200 단위로 나타내고 소재의 중간압연 단계에서의 가역,비가역 압연패스를 P1 내지 P5로 나타내며 전체 소재 의 메인 패스라인은 P로 나타낸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빌렛을 일정온도로 가열로(210)에서 가열하고, 롤러 테이블(Roller Table)(220)를 통하여 제1번(#1) 중간 압연기(230)에서 1차로 중간 압연후 압연기 연계용 롤러테이블(240)을 통해 제2번(#2) 중간 압연기(250)로 이송하여 2차 중간 압연을 실시한다.
그리고, 중간압연이 완료된 소재는 표면 흠 제거장치인 핫 스카퍼(Hot Scarfer)(260)에서 표면 흠을 제거하고 다단의 마무리 압연기(270)에서 빌렛의 형상을 완성하여 절단기(280)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냉각대(290)에서 냉각 후 제품으로 완성된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소재가 압연되면서 이송되는 기본 압연 패스라인(Pass Line)(P)은 직선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압연소재인 불룸(Bloom)을 가열로(210)에서 일정온도 예를 들어, 1250℃ 로 가열한 후 롤러 테이블(220)을 통하여 제1번의 중간압연기(230)로 치입되는 소재는 가로의 폭이 크고 세로의 폭이 작은 형태인데, 예를 들어 가로×세로가 500mm×400mm 또는 400mm×300mm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번 중간 압연기(230)는 폭이 큰 최대 공형부(230a)에서 점차 폭이 작아지는 최소 공형부(230c)를 구비하고, 제2번 중간 압연기는 제1번 중간 압연기 보다는 압연단계를 더 거친 소재를 중간 압연하기 때문에, 더 많은 공형부(예를 들어 제1번 중간압연기는 3개의 공형부, 제2번 중간 압연기는 5개의 공형부)를 포함하고, 중간 압연기에서는 가역 및 비가역의 압연패스(제1번 중간압연기는 P1-P3, 제2번 중간압연기는 P1-P5)로 소재가 압연된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압연기(230)의 입측 롤러 테이블(232)과 출측 롤러 테이블(234)에는 소재를 가역 또는 비가역 압연패스에 맞추어 해당 공형부로 소재 치입과 추출시 소재를 가이드하면서 진행을 유도하는 가이드(310)(320)들이 배치된다. 물론, 제2번 중간 압연기에도 이와 같은 가이드들이 배치됨은 물론이다.
그런데, 도 3 및 도 4에서는 더 상세하게 별도의 도면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가이드들은 구동모터로 작동되는 피니언 기어들이 맞물리는 길게 신장된 랙 아암이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압연기 입측 및 출측의 가이드(310)(도 3의 320)들은 소재를 원하는 압연 위치로 조정하게 된다.
한편, 압연기 입측 가이드(310)에는, 도 3 및 도 4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소재의 가로와 세로 폭이 다른 소재를 순차적으로 중간 압연단계에서 90°회전시키는 매니플레이터((Manipulator)(33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가 가열로(210)에서 추출되어 롤러 테이블(220)에 전체 패스라인(P)에 대응되어 진입되면, 제1번 중간 압연기(230)의 드라이브 사이드(D/S) 측의 최대 공형부(230a)로 소재를 치입시키기 위하여, 가이드(310)들은 소재를 기본 패스라인(P)에서 가역의 제1 패스라인(P1)으로 위치되도록 압연기의 입측 롤러 테이블(310)상에서 소재를 강제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1번 중간압연기에서 P1->P2->P3 의 가역,비가역 패스라인을 거쳐 1차 중간 압연된 소재는 도 2와 같이, 제2번 중간압연기(250)의 입측에서 드라이브 사이드 측의 최대 공형부로 소재를 치입시키기 위하여 가이드를 통하여 다시 소재를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그 다음, 소재는 제2번 중간 압연기에서 P1->P2->P3->P4->P5의 가역, 비가역 패스라인을 거쳐 중간 압연되고, 그 다음 롤러 테이블을 거쳐 핫 스카퍼(260)로 이송 투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블룸을 빌렛으로 생산하는 도 2에서 도시한 종래의 중간 압연단계에서는 입측 롤러 테이블(232)상의 가이드(310)를 통하여 중간 압연기들의 제1 패스라인(P1)에 맞추어 소재를 강제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결국, 종래의 경우, 가열로에서 추출된 압연소재는 제1,2 번 중간 압연기(230)(250)에서 공형부 폭이 최대인 최대 공형부의 압연 패스라인(위치)에 맞추기 위한 소재의 강제 슬라이딩이 필요하게 되고,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재를 강제로 중간 압연기의 입측 롤러 테이블상에서 슬라이딩 시키기 때문에, 제1,2 중간 압연기를 사용하는 중간 압연 단계에서 적어도 2번의 소재 슬라이딩에 필요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과적으로 전체 압연시간을 지연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경우 롤러 테이블 상에서 소재를 가이드(310)를 통하여 슬라이딩시키기 때문에, 롤러 테이블의 롤러 또는 소재 표면에 마찰 흠과 같은 품질 저하 요인을 빈번하게 발생시키게 된다.
결국, 롤러의 표면 손상 등은 설비의 유지-보수를 더 많이 필요하게 하고, 이는 보수-유지에 따른 비용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보수-유지를 위한 설비 가동 중단이 불가피하고, 소재의 경우 압연 품질을 저하시킴은 물론, 도 2와 같이 중간압연되어 생산된 표면 흠이 형성된 소재(빌렛)를 기초로 도 1에서 도시한 공정으로 선재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선재 제품의 품질 저하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빌렛 등의 생산시 중간 압연단계에서 공형 압연기(롤)의 공형부 배열 조정과, 추가로 제1,2번 중간 압연기 사이의 압연기 연계용 롤러 테이블의 위치를 조정하여, 중간 압연시 압연기 입측이나 출측의 롤러 테이블 상에서 소재를 강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압연소재 예를 들어, 빌렛으로 생산되는 블룸의 중간 압연시 기존의 가이드를 통한 롤러 테이블 상에서의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하여, 압연소재의 흠 발생 등의 품질 저하를 방지시키는 한편, 소재 마찰에 따른 롤러 테이블 등의 주변 설비의 과도한 마모나 파손을 예방하여 설비의 보수-유지 비용도 절감시키고, 특히 압연시간을 단축하여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압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으로서 본 발명은, 소재를 가역과 비가역으로 압연하고 공형부들을 구비하는 공형 압연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형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는, 압연기로 진입되는 소재의 패스라인에 대응 위치되어 압연시 소재의 슬라이딩을 제거토록 구성된 압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형 압연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면서 소재를 가역과 비가역으로 압연하고 공형부들을 구비하는 제2의 공형 압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의 최소 공형부와 제2의 공형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 사이에 소재 패스라인을 형성하여 압연시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는 드라이브 사이드 측에 최소 공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의 공형 압연기는 드라이브 사이드 측에 최대 공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2 공형 압연기의 최소 및 최대 공형부 사이에는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하는 소재 패스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용 롤러 테이블이 더 배치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형 압연기는 불룸의 소재를 가역과 비가역으로 압연하여 빌렛으로 제공하는 중간 압연기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가열로에서 추출된 소재를 공형 압연기에 소재 슬라이딩 없이 치입하는 단계; 및,
상기 공형 압연기의 공형부를 소재가 가역과 비가역으로 통과하면서 압연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에서 추출된 1차 압연된 소재를 하류측에 배치된 제2의 공형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에 소재 슬라이딩 없이 치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의 공형 압연기의 공형부를 소재가 가역과 비가역으로 통과하면서 압연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의 공형 압연기는 불룸을 빌렛으로 압연하는 중간 압연기로 제공되고, 상기 제1,2의 공형 압연기의 최소 공형부와 최대 공형부사이에 연결용 롤러 테이블을 배치하여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한 소재 패스라인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압연 특히, 블룸을 압연하여 선재의 압연소재인 빌렛을 생산하기 위한 중간 압연시 소재의 가역 및 비가역 압연 패스라인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기존의 가이드를 통한 롤러 테이블 상에서의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연소재의 흠 발생 등과 같은 품질 저하 요인을 제거하는 한편, 소재뿐만 아니라, 롤러 테이블 등의 주변 설비의 소재 마찰에 따른 과도한 마모나 파손을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설비의 유지-보수를 줄이고 그 비용 절감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하여 소재를 슬라이딩시키지 않는 최적 패스 라인 구축을 통하여 압연시간을 크게 단축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압연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알려진 선재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종래 빌렛 생산을 위한 블룸의 중간압연 및 마무리 압연 단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가열로측 제1의 중간 압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중간 압연장치의 가이드와 소재 회전을 위한 매니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종래와 공형부 배열이 개선된 본 발명의 공형 압연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장치의 배열 구성을 나타내는 압연라인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2의 종래 압연라인에서 나타낸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서는 간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압연장치에 관련된 제1번 중간압연기와 제1,2번 중간압연기(1)(250) 사이에 연계되어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한 패스라인을 형성 가능하게 하는 롤러 테이블를 각각 도면부호 '1','10'으로 나타내고, 중간 압연기에서의 가역, 비가역 압연 패스라인은, 종래 도 2의 압연 패스라인과 차별화하기 위하여 P1' 내지 P5'로 나타내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6a,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번 중간압연기(1) 즉, 공형부를 갖는 공형 압연기(1)의 최대 공형부(1a)의 위치가 종래와는 다르게 드라이드 사이드(D/S)측으로 조정되고, 연결용 롤러 테이블(10)의 위치가 도 2의 종래와는 다르게, 제1번 중간 압연기(1)의 최소 공형부(1c)와 제2번 중간 압연기(250)의 최대 공형부(250a)사이에 대응 위치되어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한 소재 패스라인을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압연장치인 경우 제1번 중간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 배열과 연결용 롤러 테이블(10)의 위치를 조정하여, 기존 제1,2 중간 압연기(230)(250)에서의 가이드(310)들을 통한 적어도 입측 롤러 테이블(232)상에서의 소재 강제 슬라이딩을 제거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압연장치 즉, 빌렛 생산을 위한 중간압연기(1)(250)를 통한 소재의 중간압연시 소재의 슬라이딩 작동이 제거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종래 소재의 슬라이딩에 따른 여러 문제점 들을 해소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연장치는 소재를 가역 및 비가역 압연하는 공형부들을 구비하는 공형 압연기(1)(제1번 중간압연기)를 포함하되,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공형 압연기(1)의 최대 공형부(1a)를 가열로에서 진입되는 소재 패스라인(P)에 대응 배치하여 적어도 제1번 공형 압연기(1)의 입측 롤러 테이블(232)에서의 가이드(310)를 통한 소재의 슬라이딩을 제거 가능하게 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2 번 공형 압연기(중간압연기)(1)(250)사이의 상기 연결용 롤러 테이블(10)은 고정형 또는 별도의 구동원과 레일 구조물을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본 발명 압연장치에서는 제1번 중간 압연기인 공형 압연기(1)의 최대 공형부(1a)를 도 6b와 같이 워크 사이드(W/S)측(반대로 최소 공형부를 드라이브 사이드(D/S))측에 배치하여 가열로에서 추출 진입되는 소재를 슬라이딩 없이 바로 중간압연의 가역,비가역 압연패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압연장치는, 상기 제1번 중간 압연기인 공형 압연기(1)의 하류측으로 연결용 롤러 테이블(10)과 연계되는 제2번 중간 압연기인 제2의 공형 압연기(2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1)의 최소 공형부(1c)에서 제2의 공형 압연기(250)의 최대 공형부사이에 연결용 롤러 테이블(10)을 연계하여, 제2번 공형 압연기의 입측에서의 패스라인을 맞추기 위한 기존의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도 5와 같이, 제2의 공형 압연기(제2번 중간 압연기)(250)의 경우 도 2의 기존 공형 압연기의 공형부 배열을 조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도, 최대 공형부의 위치가 제1의 공형 압연기의 소재 추출부분인 최소 공형부와 일치되기 때문에, 제2의 공형 압연기 입측에서의 소재 슬리이딩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압연장치는 기존 빌렛 압연라인에서 제1번 중간 압연기인 제1의 공형 압연기의 공형부 위치 조정과 연결용 롤러 테이블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기존 압연기 입측에서의 소재 슬라이딩 작동을 필요없게 하고, 이는 소재 슬라이딩에 따른 앞에서 설명한 여러 문제점을 완전하게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도 2,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번 중간 압연기(제1의 공형 압연기)의 공형부를 3개로 도시하고, 제2번 중간 압연기(250)의 공형부를 5개로 도시하였으나, 제1의 중압 압연기는 소재가 최초 투입되어 압연되고, 제2의 중간 압연기는 1차 압연된 소재를 2차 압연하는 것이므로, 공형부의 폭은 소재 압연 규격에 맞추어 조정됨은 물론이다. 즉, 반드시 본 실시예의 공형부 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압연장치 즉, 구조 개선된 제1의 공형 압연기(제1번 중간 압연기)(1)와 롤러 테이블(10) 및 제2의 공형 압연기(제2번 중간 압연기)(250)를 통하여 적절한 가역,비가역 패스라인을 구현함으로써, 적어도 압연기 입측에서의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한 본 발명의 압연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빌렛 생산을 위한 블룸)의 압연단계에서, 기본적으로 가열로(210)에서 추출된 소재(블룸)를 제1의 공형 압연기(1)의 최대 공형부(1a)에 슬라이딩 없이 치입하는 단계; 및, 소재가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1)의 공형부를 단계적으로 가역 및 비가역의 압연패스로 압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빌렛 등의 소재는 제1의 공형 압연기에서 가역 및 비가역 압연이 이루어지고, 이때 소재는 압연기 입측의 롤러 테이블(232)상에 제공된 가이드(310)와 매니플레이트(330)(도 4 참조)를 통하여 압연후 폭이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이 교대로 압연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1)에서 추출된 1차 압연된 소재를 하류측 제2의 압연기(250)(제2번 중간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에 슬라이딩 없이 바로 치입시키는 단계 및, 소재가 상기 제2의 압연기(250)의 공형부를 단계적으로 가역 및 비가역으로 압연되는 단계를 구현한다.
따라서, 소재는 제1,2 차 중간 압연시, 기존 가이드를 통한 롤러 테이블 상에서의 어떠한 슬라이딩 작동도 본 발명에서는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소재 슬라이딩에 의한 설비와 제품에 관련된 여러 문제 특히, 품질 저하를 방지 가능하게 하고, 기존의 소재 슬라이딩에 따른 압연시간 지연도 제거하여 보다 신속한 압연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기존 공형부 위치가 조정된 공형 압연기
10.... 본 발명에 따른 공형 압연기(중간 압연기)사이에 위치 조정된 롤러 테이블
230,250.... 중간 압연기
310.... 소재 슬라이딩과 공형부 유도를 위한 가이드

Claims (7)

  1. 소재를 가역과 비가역으로 압연하고 공형부들을 구비하는 공형 압연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형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는, 압연기로 진입되는 소재의 패스라인에 대응 위치되어 압연시 소재의 슬라이딩을 제거토록 구성된 압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형 압연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면서 소재를 가역과 비가역으로 압연하고 공형부들을 구비하는 제2의 공형 압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의 최소 공형부와 제2의 공형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 사이에 소재 패스라인을 형성하여 압연시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공형 압연기는 드라이브 사이드 측에 최소 공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의 공형 압연기는 드라이브 사이드 측에 최대 공형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2 공형 압연기의 최소 및 최대 공형부 사이에는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하는 소재 패스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용 롤러 테이블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형 압연기는 불룸의 소재를 가역과 비가역으로 압연하여 빌렛으로 제공하는 중간 압연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
  5. 가열로에서 추출된 소재를 공형 압연기에 소재 슬라이딩 없이 치입하는 단계; 및,
    상기 공형 압연기의 공형부를 소재가 가역과 비가역으로 통과하면서 압연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의 공형 압연기에서 추출된 1차 압연된 소재를 하류측에 배치된 제2의 공형 압연기의 최대 공형부에 소재 슬라이딩 없이 치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의 공형 압연기의 공형부를 소재가 가역과 비가역으로 통과하면서 압연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의 공형 압연기는 불룸을 빌렛으로 압연하는 중간 압연기로 제공되고,
    상기 제1,2의 공형 압연기의 최소 공형부와 최대 공형부사이에 연결용 롤러 테이블을 배치하여 소재 슬라이딩을 제거한 소재 패스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방법.
KR1020110029172A 2011-03-31 2011-03-31 압연 장치 및 방법 KR10125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172A KR101259257B1 (ko) 2011-03-31 2011-03-31 압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172A KR101259257B1 (ko) 2011-03-31 2011-03-31 압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960A KR20120110960A (ko) 2012-10-10
KR101259257B1 true KR101259257B1 (ko) 2013-05-07

Family

ID=4728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172A KR101259257B1 (ko) 2011-03-31 2011-03-31 압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2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72B1 (ko) * 2007-12-26 2010-06-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372B1 (ko) * 2007-12-26 2010-06-07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압연장치 및 압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960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26257B (zh) 一种板炉卷轧机轧制板材的方法及其生产线
RU2216416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плоского проката
KR102018370B1 (ko) 열간 압연 이전에 강 스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RU2381847C1 (ru) Способ и относящаяся к нему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альных полос с нарушением непрерывности
EP2964404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tallbandes durch giesswalzen
JP2011516268A (ja) 鋳造・圧延・複合設備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698502B1 (ko) 강판의 열연 방법 및 열연 장치
AT51407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llen Ausfördern von Grobblechen aus einem Walzwerk
CN110087801B (zh) 用于在铸轧复合设备中连续制造卷绕的热轧带钢的方法
TWI615210B (zh) 根據csp-槪念的設備以及用於操作此種設備的方法
CN104540606A (zh) 用于组合的连铸连轧系统的方法和装置
RU2005102828A (ru) Способ и литейно-прокат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полубесконечной или бесконечной прокатки литого металла, в частности, непрерывно литой стальной заготовки, которая после кристаллизации, в случае необходимости, разрезается поперек
KR101726046B1 (ko)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CN104014587A (zh) 电梯t型导轨的长尺轧制方法及其生产线
JP2011500335A (ja) シームレス鋼管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圧延機
EP2663412B1 (de) Anlage und verfahren zum erzeugen von warmband
KR101320315B1 (ko) 코일 박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강 스케일 제거 방법
CN112218730B (zh) 用于分批和连续操作的铸轧设备
JP5775378B2 (ja) 条鋼の圧延方法
KR101259257B1 (ko) 압연 장치 및 방법
AU2003235800B2 (en) Method and rolling stand for producing rods, bar stock or seamless tubes
JP3551129B2 (ja) 熱延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
EP0808672B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Edelstahl- oder Kohlenstoffstahlblech aus durch Strangguss erzeugten Dünnbrammen
KR100973901B1 (ko) 선재의 압연기 진입 가이드장치
KR101417228B1 (ko) 압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