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335B1 -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335B1
KR101516335B1 KR1020140032361A KR20140032361A KR101516335B1 KR 101516335 B1 KR101516335 B1 KR 101516335B1 KR 1020140032361 A KR1020140032361 A KR 1020140032361A KR 20140032361 A KR20140032361 A KR 20140032361A KR 101516335 B1 KR101516335 B1 KR 10151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rolled material
groove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김병용
이재호
김기원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재를 분할 압연하는 압연기에 구비되어 분할 압연 시 압연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교체성이 개선된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는 입측 하우징, 제1인서트, 출측 하우징 그리고 제2인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측 하우징은 압연기의 입측에 구비된다. 제1인서트는 입측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고, 압연 전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압연기로 압연재의 유입 이동을 안내하는 제1공간부를 가진다. 출측 하우징은 압연기의 출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인서트는 출측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고, 내측면이 압연 후 압연재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압연 후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배출을 안내하는 제2공간부를 가진다. 여기서, 제2인서트는, 제2공간부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하면부에 형성되는 제1센터링부와, 제2공간부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상면부에 형성되는 제2센터링부를 가지고, 제1센터링부 및 제2센터링부는 제2공간부를 좌우 균등하게 양분한다.

Description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APPARATUS FOR GUIDING STEEL BAR FOR ROUGH ROLLING MILL}
본 발명은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재를 분할 압연하는 조압연기에 구비되어 분할 압연 시 압연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교체성이 개선된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 기계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강은 슬라브(slab), 빌렛(billet), 블룸(bloom) 등의 압연 소재를 가열로에서 가열한 후 조압연, 중간압연 및 사상압연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압연과정은 2단 압연기로 수행될 수 있는데, 2단 압연기는 상부 압연롤과 하부 압연롤로 구성되어 압연 소재를 점차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압연재를 원하는 제품으로 제조하게 된다.
예컨대, ㄷ형강은 조압연, 중간압연 및 사상압연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삭제
조압연 과정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압연재를 양분하는 압연, 즉, 분할 압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간압연 및 사상압연에서는 생산하고자 하는 최종 재품의 형상에 따른 정밀한 압연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조압연 과정에서의 분할 압연 시에, 압연재의 좌우가 균등하게 양분되지 않으면, 중간압연 및 사상압연 과정에서 정확한 압연이 이루어지지 못해 최종 제품의 치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치수 오차는 주로 최종 생산된 ㄷ형강의 좌, 우 플랜지(flange)의 치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각 압연단계로 사용되는 압연기의 입측 및 출측에는 압연재가 압연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압연기를 거친 압연재가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장치의 입측 가이드 및 출측 가이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압연기의 입측에 구비되어 압연재가 압연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입측 가이드(60)는 상부가 개방된 오픈 타입(open type)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오픈 타입의 입측 가이드(60)는 분할 압연 시 압연재(50)의 좌, 우 구속은 가능하지만 상부에 대한 구속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 하 방향으로 압연재(50)의 유동이 발생하여 치입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픈 타입의 입측 가이드(60)는 압연재(50)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없기 때문에, 분할 압연 시 롤과 압연재(50) 간의 슬립(slip)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종래에는 압연기의 출측에 구비되어 압연기에서 나오는 압연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측 가이드(70)가 단순 박스 타입(box type)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 박스 타입의 출측 가이드(70)는, 압연재(51)가 이동하는 이동공간(71)이 단순히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분할 압연 후 배출되는 압연재(51)의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가이드장치에서는 분할 압연 시, 압연기의 입측단 및 출측단에서 압연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압연재의 양호한 분할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탈선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이로 인해, 조압연 후 이루어지는 중간압연 및 사상압연 시 불안정한 압연이 이루어져 최종 제품의 치수 오차가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가이드장치는 압연재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입측 가이드 및 출측 가이드가 사용된다. 따라서, 압연재의 크기별로 그에 맞는 가이드 장치를 교체하는 경우, 가이드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이드장치의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작업성 및 안전성이 좋지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압연재를 분할 압연하는 압연기에 구비되어 분할 압연 시 압연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교체성이 개선된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압연기의 입측에 구비되는 입측 하우징; 상기 입측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고, 압연 전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상기 압연기로 상기 압연재의 유입 이동을 안내하는 제1공간부를 가지는 제1인서트; 상기 압연기의 출측에 구비되는 출측 하우징; 그리고 상기 출측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고, 내측면이 압연 후 압연재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연 후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배출을 안내하는 제2공간부를 가지는 제2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서트는, 상기 제2공간부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하면부에 형성되는 제1센터링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상면부에 형성되는 제2센터링부를 가지고, 상기 제1센터링부 및 상기 제2센터링부는 상기 제2공간부를 좌우 균등하게 양분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는, 외측 하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외측 상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측 하우징은,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홈을 가지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제1측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하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홈을 가지는 제1커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은,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의 이동을 구속시켜 상기 제1인서트의 삽입량이 일정해지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제2홈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제1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제1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1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1체결홀에는 제1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에는 제2결합홀이 수평방향으로 더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의 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2체결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는 제2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인서트는, 외측 하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3결합부와, 외측 상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4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측 하우징은, 상기 제3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3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홈을 가지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제2측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4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하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4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홈을 가지는 제2커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홈 및 상기 제4홈은,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제3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의 이동을 구속시켜 상기 제2인서트의 삽입량이 일정해지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제4홈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제3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4결합부에는 상기 제3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3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홀 및 상기 제3체결홀에는 제3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에는 제4결합홀이 수평방향으로 더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인서트의 측면에는 상기 제4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4체결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홀 및 상기 제4체결홀에는 제2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인서트의 상면의 일측 중앙에는 상기 제2인서트의 길이 방향으로 제5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버의 일단부의 외측면 중앙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5체결홀 및 상기 위치결정홀에는 결합바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 및 상기 제2인서트의 양측면에는 이동하는 압연재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각각 한 쌍 이상의 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측 하우징 및 출측 하우징이 마운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조업에 사용될 압연재에 맞는 제1인서트 및 제2인서트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업 준비가 신속히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가이드장치와 비교했을 때 제1인서트 및 제2인서트의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작업 시 안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고,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인서트 및 제2인서트의 결합부가 입측 하우징 및 출측 하우징의 홈에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인서트 및 제2인서트의 삽입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고 입측 하우징 및 출측 하우징에 정확히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압연재가 압연기로 치입 시 압연재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제1인서트의 제1공간부가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압연재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압연기에서 압연재의 좌우 균등한 소재 분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인서트의 제1센터링부 및 제2센터링부가 압연 후 압연재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2공간부를 좌우 균등하게 양분하기 때문에, 압연 후 배출되는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연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제2인서트에 의한 압연재의 유동 감소로 인해, 압연기에서 균등한 압연재 분할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이드장치의 입측 가이드 및 출측 가이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입측 하우징 및 제1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입측 하우징 및 제1인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출측 하우징 및 제2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출측 하우징 및 제2인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제1인서트 및 제2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ㄷ형강(찬넬)을 압연하는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형강 분할 압연기는 H 형강 또는 I 형강을 압연하는 압연기로 확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강 분할 압연기를 조압연기를 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형강 분할 압연기는 중간압연기 및 사상압연기로 확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입측 하우징 및 제1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입측 하우징 및 제1인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100)는 입측 하우징(200), 제1인서트(300), 출측 하우징(400) 그리고 제2인서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측 하우징(200)은 압연기(600)의 입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입측 하우징(200)에는 제1인서트(3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1인서트(300)는 상하좌우가 막힌 터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에는 압연재가 이동하는 제1공간부(3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압연재(50)는 제1공간부(301)를 통해서 압연기(6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1공간부(301)는 이동하는 압연재(5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따라서, 압연재(50)가 압연기(600)로 치입 시 압연재(50)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제1공간부(301)는 압연 전 압연재(50)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압연기(600)로 압연재가 이동하여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압연기에서 압연재의 좌우 균등한 소재 분할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인서트(300)는 제1결합부(310) 및 제2결합부(311)를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310)는 제1인서트(300)의 외측 하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11)는 제1인서트(300)의 외측 상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인서트(300)는 일단부에 압연 전 압연재가 유입되는 제1유입부(320)를 가질 수 있다. 제1유입부(32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연 전 압연재가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인서트(300)는 타단부에 제1배출부(321)를 가질 수 있다. 제1유입부(320)로 유입된 압연재는 제1공간부(301)를 거쳐 제1배출부(321)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배출부(321)는 압연기(600)의 압연롤(610,611)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도록, 압연롤(610,611)의 원주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측 하우징(200)은 제1베이스(210), 제1측면부(220) 및 제1커버(230)를 가질 수 있다.
제1베이스(210)는 입측 하우징(200)의 하부를 형성하며, 마운트(6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측면부(220)는 제1베이스(2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커버(230)는 제1측면부(2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측 하우징(200)은 터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베이스(210)의 상면의 중앙에는 제1홈(211)이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홈(211)은 제1인서트(300)에 형성된 제1결합부(3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커버(230)의 하면의 중앙에는 제2홈(231)이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홈(231)은 제1인서트(3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1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인서트(300)의 제1결합부(310)는 제1홈(211)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될 수 있고, 제1인서트(300)의 제2결합부(311)는 제2홈(231)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인서트(300)는 입측 하우징(200)의 내측에 삽입 결합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홈(211) 및 제2홈(231)은 미리 정해진 길이, 즉, 제1길이(L1) 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홈(211) 및 제2홈(231)은 입측 하우징(200)의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제1길이(L1)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홈(211) 및 제2홈(231)에 슬라이딩되는 제1결합부(310) 및 제2결합부(311)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즉, 제1인서트(300)의 제1결합부(310) 및 제2결합부(311)는 제1홈(211) 및 제2홈(231)에 결합되어 제1길이(L1) 만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제1홈(211) 및 제2홈(231)의 끝부분에 걸리면서 정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인서트(300)의 삽입량은 일정해질 수 있으며, 제1인서트(300)는 입측 하우징(200)에 일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인서트(300)의 삽입량은 제1길이(L1)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제1길이(L1)는 제1인서트(300)가 입측 하우징(200)에 정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 거리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230)에는 제2홈(231)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제1결합홀(2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인서트(300)의 제2결합부(311)에는 제1결합홀(232)과 연결되도록 제1체결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체결홀(312)은 제1인서트(300)가 입측 하우징(200)에 삽입 완료된 상태일 때, 제1결합홀(2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홀(232) 및 제1체결홀(312)에는 제1체결부재(2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체결부재(240)의 외측면과, 제1결합홀(232) 및 제1체결홀(312)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인서트(300)가 입측 하우징(200)에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재(240)가 제1결합홀(232) 및 제1체결홀(312)에 결합됨으로써 제1인서트(300)가 입측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측면부(220)에는 제2결합홀(221)이 수평 방향으로 더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인서트(300)의 측면에는 제2결합홀(221)과 연결되도록 제2체결홀(3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홀(221) 및 제2체결홀(313)에는 제2체결부재(24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인서트(300)가 입측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제1인서트(300)는 압연재의 크기 별로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업에 사용될 압연재에 맞는 제1인서트를 선별하여 입측 하우징(200)에 조립할 수 있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조업할 압연재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장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입측 하우징(200)은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1인서트(300) 만을 교체함으로써 조업 준비가 신속히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1인서트(300)는 종래의 가이드장치 전체와 비교했을 때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작업 시 안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에서는 제1인서트(300)의 결합부(310,311)가 입측 하우징(200)의 홈(211,231)에 일정하게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인서트(300)의 삽입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고 제1인서트(300)를 입측 하우징(200)에 정확히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240,241)를 이용하여 제1인서트(300)를 입측 하우징(200)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고 견고한 고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조업할 압연재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체결부재(240,241)를 풀고, 제1인서트(300)를 입측 하우징(200)으로부터 꺼냄으로써 간단히 분리할 수가 있다.
제1커버(230)에는 제1고리부(2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고리부(235)에는 입측 하우징(200)을 운반하기 위한 후크가 걸릴 수 있으며, 입측 하우징(200)의 안정적인 운반을 위해 제1고리부(235)는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출측 하우징 및 제2인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출측 하우징 및 제2인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측 하우징(400)은 압연기(600, 도 2 참조)의 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출측 하우징(400)에는 제2인서트(5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2인서트(500)는 상하좌우가 막힌 터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에는 압연재가 이동하는 제2공간부(5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압연기(600, 도 2 참조)에서 압연된 압연재는 제2공간부(501)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제2공간부(501)는 내측면이 압연 후 압연재(51)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공간부(501)는 압연 후 압연재(51)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압연재가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를 위해, 제2인서트(500)는 제2공간부(501)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하면부에 형성되는 제1센터링부(510)와, 제2공간부(501)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상면부에 형성되는 제2센터링부(52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센터링부(510) 및 제2센터링부(520)는 압연 후 압연재(5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센터링부(510) 및 제2센터링부(520)는 제2공간부(501)를 좌우 균등하게 양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공간부(501)는 압연 후 배출되는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압연재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인서트(500)에 의한 압연재의 유동 감소는, 압연기에서 균등한 압연재 분할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2인서트(500)는 제3결합부(530) 및 제4결합부(540)를 가질 수 있으며, 제3결합부(530)는 제2인서트(500)의 외측 하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결합부(540)는 제2인서트(500)의 외측 상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인서트(500)는 일단부에 압연기에서 압연 된 압연재(51)가 유입되는 제2유입부(550)를 가질 수 있다. 제2유입부(550)는 상하 방향으로 확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연 후 압연재(51)가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출측 하우징(400)은 제2베이스(410), 제2측면부(420) 및 제2커버(430)를 가질 수 있다.
제2베이스(410)는 출측 하우징(400)의 하부를 형성하며, 마운트(651, 도 3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측면부(420)는 제2베이스(410)의 상부 양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커버(430)는 제2측면부(4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측 하우징(400)도 입측 하우징(200)과 같은 터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베이스(410)의 상면의 중앙에는 제3홈(411)이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3홈(411)은 제2인서트(500)에 형성된 제3결합부(53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커버(430)의 하면의 중앙에는 제4홈(431)이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4홈(431)은 제2인서트(500)에 형성된 제4결합부(54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인서트(500)의 제3결합부(530)는 제3홈(411)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될 수 있고, 제4결합부(540)는 제4홈(431)으로 슬라이딩 결합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인서트(500)는 출측 하우징(400)의 내측에 삽입 결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홈(411) 및 제4홈(431)은 미리 정해진 길이, 즉, 제2길이(L2) 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홈(411) 및 제4홈(431)은 출측 하우징(400)의 일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제2길이(L2) 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홈(411) 및 제4홈(431)에 슬라이딩되는 제3결합부(530) 및 제4결합부(540)의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즉, 제2인서트(500)의 제3결합부(530) 및 제4결합부(540)는 제3홈(411) 및 제4홈(431)에 결합되어 제2길이(L2) 만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제3홈(411) 및 제4홈(431)의 끝부분에 걸리면서 정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인서트(500)의 삽입량은 일정해질 수 있으며, 제2인서트(500)는 출측 하우징(400)에 일정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제2인서트(500)의 삽입량은 제2길이(L2)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제2길이(L2)는 제2인서트(500)가 출측 하우징(400)에 정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삽입 거리만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430)에는 제4홈(431)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제3결합홀(43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인서트(500)의 제4결합부(540)에는 제3결합홀(432)과 연결되도록 제3체결홀(54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체결홀(541)은 제2인서트(500)가 출측 하우징(400)에 삽입 완료된 상태일 때, 제3결합홀(4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결합홀(432) 및 제3체결홀(541)에는 제3체결부재(4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체결부재(440)의 외측면과, 제3결합홀(432) 및 제3체결홀(54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인서트(500)가 출측 하우징(400)에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제3체결부재(440)가 제3결합홀(432) 및 제3체결홀(541)에 결합됨으로써 제2인서트(500)가 출측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측면부(420)에는 제4결합홀(421)이 수평 방향으로 더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인서트(500)의 측면에는 제4결합홀(421)과 연결되도록 제4체결홀(50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결합홀(421) 및 제4체결홀(502)에는 제4체결부재(44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인서트(500)가 출측 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인서트(500)의 상면의 일측 중앙에는 제2인서트(500)의 길이 방향으로 제5체결홀(561)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5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430)의 일단부의 외측면 중앙에는 위치결정홀(450)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결정홀(450)은 지지부(560)에 형성된 제5체결홀(561)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체결홀(561) 및 위치결정홀(450)에는 결합바(57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60)의 양측에는 결합너트(562)가 구비되어 결합바(570)와 결합되어 결합바(57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인서트(500)와 출측 하우징(400)의 중심축이 일치될 수 있다.
제2인서트(500)도 압연재의 크기 별로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업에 사용될 압연재에 맞는 제2인서트가 선별되어 출측 하우징(400)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조업할 압연재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장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출측 하우징(400)은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2인서트(500) 만을 교체함으로써 조업 준비가 신속히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2인서트(500)는 종래의 가이드장치 전체와 비교했을 때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작업 시 안전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에서는 제2인서트(500)의 결합부(530,540)가 출측 하우징(400)의 홈(411,431)에 일정량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인서트(500)의 삽입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고 제2인서트(500)를 출측 하우징(400)에 정확히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440,441)를 이용하여 제2인서트(500)를 출측 하우징(400)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고 견고한 고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조업할 압연재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체결부재(440,441)를 풀고, 제2인서트(500)를 출측 하우징(400)으로부터 꺼냄으로써 간단히 분리할 수가 있다.
제2커버(430)에는 제2고리부(4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고리부(460)에는 출측 하우징(400)을 운반하기 위한 후크가 걸릴 수 있으며, 출측 하우징(400)의 안정적인 운반을 위해 제2고리부(460)는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제1인서트 및 제2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의 제1인서트(1300)의 양측면에는 이동하는 압연재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 이상의 롤러(1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인서트(1500)의 양측면에도 이동하는 압연재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 이상의 롤러(1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1700,1800)는 이동하는 압연재와의 접촉으로 회전하는 아이들(idle) 롤러일 수 있다.
롤러(1700,1800)는 압연재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각각의 인서트(1300,1500)의 공간부(1310,151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롤러(1700,1800)는 압연재가 각각의 인서트(1300,1500)의 공간부(1310,1510)에서 이동 시에 좌우로 치우쳐 이동하는 경우 압연재의 측면을 지지하여 압연재가 각각의 인서트(1300,1500)의 공간부(1310,1510)의 중앙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200: 입측 하우징
211: 제1홈
231: 제2홈
300: 제1인서트
301: 제1공간부
310: 제1결합부
311: 제2결합부
400: 출측 하우징
411: 제3홈
431: 제4홈
500: 제2인서트
501: 제2공간부
510: 제1센터링부
520: 제2센터링부
530: 제3결합부
540: 제4결합부

Claims (13)

  1. 압연기의 입측에 구비되는 입측 하우징;
    상기 입측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고, 압연 전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상기 압연기로 상기 압연재의 유입 이동을 안내하는 제1공간부를 가지는 제1인서트;
    상기 압연기의 출측에 구비되는 출측 하우징; 그리고
    상기 출측 하우징에 삽입 결합되고, 내측면이 압연 후 압연재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연 후 압연재의 상하좌우를 구속하면서 배출을 안내하는 제2공간부를 가지는 제2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서트는, 상기 제2공간부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하면부에 형성되는 제1센터링부와, 상기 제2공간부의 내측 중앙으로 돌출되도록 내측 상면부에 형성되는 제2센터링부를 가지고,
    상기 제1센터링부 및 상기 제2센터링부는 상기 제2공간부를 좌우 균등하게 양분하며,
    상기 제1인서트는, 외측 하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외측 상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입측 하우징은, 상기 제1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홈을 가지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제1측면부와, 상기 제1측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하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홈을 가지는 제1커버를 가지며,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은,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의 이동을 구속시켜 상기 제1인서트의 삽입량이 일정해지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제2홈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제1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제1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1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1체결홀에는 제1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에는 제2결합홀이 수평방향으로 더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인서트의 측면에는 상기 제2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2체결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홀 및 상기 제2체결홀에는 제2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서트는,
    외측 하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3결합부와, 외측 상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4결합부를 가지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측 하우징은,
    상기 제3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3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3홈을 가지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마련되는 제2측면부와,
    상기 제2측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4결합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하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4결합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4홈을 가지는 제2커버를 가지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홈 및 상기 제4홈은,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제3결합부 및 상기 제4결합부의 이동을 구속시켜 상기 제2인서트의 삽입량이 일정해지도록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제4홈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제3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4결합부에는 상기 제3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3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결합홀 및 상기 제3체결홀에는 제3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에는 제4결합홀이 수평방향으로 더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인서트의 측면에는 상기 제4결합홀과 연결되도록 제4체결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4결합홀 및 상기 제4체결홀에는 제2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서트의 상면의 일측 중앙에는 상기 제2인서트의 길이 방향으로 제5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버의 일단부의 외측면 중앙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5체결홀 및 상기 위치결정홀에는 결합바가 나사 결합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서트 및 상기 제2인서트의 양측면에는 이동하는 압연재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각각 한 쌍 이상의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인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KR1020140032361A 2014-03-19 2014-03-19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KR10151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61A KR101516335B1 (ko) 2014-03-19 2014-03-19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61A KR101516335B1 (ko) 2014-03-19 2014-03-19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335B1 true KR101516335B1 (ko) 2015-05-04

Family

ID=5339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361A KR101516335B1 (ko) 2014-03-19 2014-03-19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1928A (zh) * 2019-01-23 2019-05-10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可更换式热轧履带钢出口导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901Y1 (ko) * 2006-07-31 2006-11-01 이태원 입구 및 출구용 멀티가이드가 구비된 압연기
KR100973904B1 (ko) * 2007-07-27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소재 출구가이드장치
KR200470620Y1 (ko) * 2012-04-05 2014-01-20 동국제강주식회사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901Y1 (ko) * 2006-07-31 2006-11-01 이태원 입구 및 출구용 멀티가이드가 구비된 압연기
KR100973904B1 (ko) * 2007-07-27 2010-08-0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소재 출구가이드장치
KR200470620Y1 (ko) * 2012-04-05 2014-01-20 동국제강주식회사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1928A (zh) * 2019-01-23 2019-05-10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可更换式热轧履带钢出口导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18915A1 (en) Method for continuous-casting slab
KR101516335B1 (ko) 형강 분할 압연기용 안내장치
EP3535069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iesswalzverbundanlage
WO2018082966A1 (de) Giess-walz-verbundanlage und verfahren zur endlosen herstellung eines warmgewalzten fertigbandes
DE102015108769A1 (de) Banddickenmessgerät und Verfahren zum Ausgleich von Bewegungen des Walzbandes während der Durchführung von Banddickenbestimmungen mittels Laserabstandssensoren
JP5892101B2 (ja) 圧延スタンド用パスライン芯合せ装置および圧延スタンドのパスライン芯合せ方法
US95554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crew flight
US20180297092A1 (en) Endless 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70620Y1 (ko) 슬릿 압연용 가이드 정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슬릿 압연 장치
JP2016209921A (ja) 金型装置
KR101886838B1 (ko) 거푸집 지지장치
TW201634150A (zh) 鋼之連續鑄造方法
DE102014212931A1 (de) Harzabgabemechanismus
JP6599045B2 (ja) 形状物の方向転換機能を備えた冷間鍛造フォーマ装置
KR101442891B1 (ko) 조압연 장치 및 방법
KR101322048B1 (ko) 압연소재의 폭 제어방법
FI20050015A (fi) Menetelmä, laitteisto sekä tuotteen muotoiluosa betonituotteen valamiseen liukuvalulla
KR101797739B1 (ko) 필터 입고장치
KR101438775B1 (ko) 강편 압연용 가이드 장치
KR102173328B1 (ko) 압연기 가이드장치
KR101193879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20130034983A (ko) 후판용 평탄도 측정장치
KR101205125B1 (ko) 압연기의 입구 가이더용 조립 검사 작업대
KR20150073543A (ko) 오일 와이핑 장치
KR101484472B1 (ko) 선재 압연공정의 노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