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182A -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 Google Patents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182A
KR20030021182A KR1020027017890A KR20027017890A KR20030021182A KR 20030021182 A KR20030021182 A KR 20030021182A KR 1020027017890 A KR1020027017890 A KR 1020027017890A KR 20027017890 A KR20027017890 A KR 20027017890A KR 20030021182 A KR20030021182 A KR 2003002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group
insoluble carrier
substitute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노부가요코
오구리가즈히토
Original Assignee
교와메덱스 코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메덱스 코리미티드 filed Critical 교와메덱스 코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 응집반응에 관여하여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혈장성분의 작용을 억제하여 응집반응을 안정화하고, 반응액의 흡광도를 안정화하여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과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 상기 시약과 키트를 사용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비신, 트리신 등의 분자내에 하기의 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완충액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불용성담체입자에 항체 또는 항원을 담지시키고, 이어서 상기 완충액의 존재하에서, 항체 또는 항원감작 불용성담체입자 현탁액을 검체와 접촉시켜서 면역응집반응을 실시하고, 불용성담체입자 응집반응에 의해 발생한 탁도를 측정하여 검체중의 항원 또는 항체를 정량한다.
(화학식)
(식중,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히드록시알킬기 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Insoluble Carrier Particle Nephelometric Immunoassay Reagent}
라텍스는 임상검사의 분야에 있어서 검체(sample)중의 항원 또는 항체를 측정하는 면역측정법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253629호 공보에는, pH 4.2의 인산구연산완충액 등의 pH 4.0∼6.0의 완충액중에서 항원 또는 항체를 폴리스틸렌계 라텍스입자에 담지시킨 후, pH 8.0의 트리스완충액 등의 pH 6.5∼9.0의 완충액으로 치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고감도를 유지하면서 프로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편차가 적으며, 안정성이 뛰어난 면역측정시약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9-318632호 공보에는 검체와, 항원 또는 항체를 담지한라텍스현탁액을 혼합하고, 이 혼압액중에 2가 알코올을 첨가하여 항원항체반응에 의한 라텍스입자의 응집에 의해 발생하는 흡광도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측정할 항원 또는 항체가 검체중에 고농도로 포함되는 경우에도 검체를 희석하지 않고 원액그대로 측정가능한 라텍스 비탁 면역측정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7-301632호 공보에는 표면에 카르복시레이트기를 갖는 라텍스입자와 상기 입자에 공유결합한 면역반응체를 포함하는 담지 미립자에 있어서, 라텍스입자가 0.1∼0.6㎛의 직경 및 8∼35평방 옹고스트롬의 표면카르복시레이트 점유영역을 갖는 담지 미립자, 및 상기 미립자와 완충액을 포함하는 면역측정(immunoassay)시약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라텍스는 라텍스 비탁면역측정법 등 면역응집반응을 이용한 측정시스템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나, 라텍스 현탁액은 그 속에 미량으로 혼입하는 중금속이온 등에 의해 반응액중에 공존하는 혈장성분과 반응하여 항원 또는 항체의 라텍스담체에 대한 흡착성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항원 또는 항체를 결합시킨 라텍스로부터 항원 또는 항체가 해리하여 유리 항원 또는 항체가 발생하여 반응시의 라텍스응집의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도가 불안정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항원이나 항체를 결합시키지 않은 라텍스의 경우에 있어서는 표면의 전하를 담지하고 있는 카르복실기나 술폰기에 중금속이온이 결합함으로써 표면전하가 변화하고, 감도가 불안정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라텍스 등의 불용성 담체입자응집반응에 관여하여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혈장성분의 작용을 억제하여 응집반응을 안정화하고, 반응액의 흡광도가안정화됨으로써 정확한 측정결과를 부여할 수 있는 불용성 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과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 및 상기 시약과 키트를 사용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라텍스 등의 불용성 담체입자를 포함하는 비탁면역측정용시약, 불용성담체입자를 사용한 비탁면역측정방법 및 불용성담체입자를 포함하는 비탁면역측정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광도를 안정화시켜고, 또한 반응에 관여하여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혈장성분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불용성담체입자를 포함하는 비탁면역측정용시약, 불용성담체입자를 사용한 비탁면역측정방법 및 불용성담체입자를 포함하는 비탁면역측정용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연구한 결과, 라텍스응집반응을 불안정화하는 혈장성분, 즉 혈장중에 존재하는 미량의 다가 금속이온에 대하여, 분자식중에 특정의 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완충제를 사용하면, 라텍스표면의 하전상태를 안정화하여 라텍스에 결합한 항원 또는 항체의 유리를 방지하고, 라텍스응집반응을 안정화하여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불용성담체입자와, 분자내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청구항 1)과,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일반식(Ⅰ) [식중, R1,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혹은 R1, R2가 질소원자와 함께 환상구조를 형성하고,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라지닐기, 치환 혹은 비치환 모르포리노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의 피페리디노기를 형성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청구항 2)과,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내는 일반식[Ⅱ] [식중,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또는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청구항 3)과,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비신 또는 트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불용성담체 비탁면역측정용시약(청구항 4)과, 완충제가 농도 5∼200mmol/L로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청구항 5)과, 불용성담체입자가 농도 0.005∼5중량%로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청구항 6)과, 불용성담체입자가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 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청구항 7)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불용성담체입자와, 분자내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8)과, 상기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2]에 나타내는 일반식[Ⅰ][식중, R1, R2는 상기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9)과,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3][식중, R1, R2, R3은 상기와 동일하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9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10)과,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비신 또는 트리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11)과, 항원 또는 항체를 완충제의 존재하에 불용성담체입자에 유지시키고, 이어서 면역응집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12)과, 항원 또는 항체를 불용성담체입자에 유지시킨 후, 완충제의 존재하에 면역응집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13)과, 완충제를 완충제농도 5∼200mmol/L의 완충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14)과, 불용성담체입자를 불용성담체입자농도 0.005∼5중량%의 불용성담체입자 현탁액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15)과, 불용성담체입자가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청구항 16)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용성담체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과, 분자내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포함하는 완충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섬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청구항 17)와, 상기 화합물이 상기 [화학식 2]에 나타내는 일반식[Ⅰ][식중, R1, R2는 상기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청구항 18)와,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상기 [화학식 3]에 나타내는 일반식[Ⅱ][식중, R1, R2, R3은 상기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8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청구항 19)와,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비신 또는 트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 비탁면역측정용키트(청구항 20)와, 완충제를 포함하는 완충액이 완충제의 농도가 5∼200mmol/L의 완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청구항 21)와, 불용성담체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이 불용성담체입자의 농도가 0.005∼5중량%의 현탁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청구항 22)와, 불용성담체입자가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7∼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청구항 23)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으로는 불용성담체입자와, 분자내에 하기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함유하는 불용섬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본 발명의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법으로는 불용성담체입자와, 분자내에 다음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사용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이란, 불용성담체입자를 사용하는 면역응집반응에 의해 발생한 탁도를 측정하여 검체중의 항원 또는 항체를 정량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로는 불용성담체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과, 분자내에 다음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포함하는 완충액을 함유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완충제인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일반식[Ⅰ] 중 R1, R2로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및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에서의 알킬기로는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가 1∼6개의 알킬기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가 1∼6개의 알킬기로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치환아미노알킬기 및 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술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질소원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복소환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술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에서의 알킬기로는 상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가 1∼6개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질소원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복소환기로는 피페라지닐기, 모르포리노기, 피페리디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치환알콕시알킬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술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일반식[Ⅰ]중의 R1, R2로는 R1, R2가 질소원자와 함께 환상구조를 형성하며,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라지닐기, 치환 혹은 비치환 모르포리노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리디노기를 형성하는 기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치환피페라지닐기,치환모르포리노기 및 치환피페리디노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기)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및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에서의 알킬기로는 상기 직쇄 또는 분지상의 탄소수가 1∼6개인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치환아미노알킬기 및 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에서의 치환기서는 상기 치환아미노알킬기 및 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에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치환알콕시알킬기에서의 치환기로는 상기의 치환알콕시알킬기에서의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알킬기로는 히드록시메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2-히드록시부틸기, 2-히드록시펜틸기, 2-히드록시헥실기 등을,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로는 디(히드록시메틸)메틸기, 디(2-히드록시에틸)메틸기 등을,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로는 트리(히드록시메틸)메틸기, 트리(2-히드록시에틸)메틸기 등을, 카르복시알킬기로는 카르복시메틸기, 2-카르복시에틸기 등을,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로는 디(카르복시메틸)에틸기, 디(2-카르복시에틸)메틸기 등을,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로는 트리(카르복시메틸)메틸기, 트리(2-카르복시에틸)메틸기 등을 각각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미노알킬기로는 아미노메틸기, 2-아미노에틸기, N-메틸아미노메틸기, 2-(N-메틸아미노)에틸기 등을,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로서는 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2-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N-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2-(N-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를,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로서는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2-메톡시에톡시기, (카르복시메틸옥시)메틸기, (2-히드록시에틸옥시)메틸기 등을, 술포알킬기로서는 술포메틸기, 2-술포에틸기 등을, 디(술포알킬)알킬기로서는 디(술포메틸)메틸기, 디(2-술포에틸기)메틸기 등을, 트리(술포알킬)알킬기로서는 트리(술포메틸)메틸기, 트리(2-술포에틸)메틸기 등을, 술포-히드록시-알킬기로서는 2-히드록시-3-술포프로필기, 3-히드록시-4-술포프로필기 등을,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로서는 디(2-히드록시-3-술포프로필)메틸기, 디(3-히드록시-4-술포프로필)메틸기 등을,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로서는 트리(2-히드록시-3-술포프로필)메틸기, 트리(3-히드록시-4-술포프로필)메틸기 등을 각각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가 있다.
또,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가운데에서도 하기 일반식(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일반식[Ⅱ]중 R1, R2, R3으로서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키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아미노카르복시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알콕시알킬,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및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로서는 각각 상기의 각 기를 들 수 있으며, 각각의 구체적인 예도 상기와 같다.
상기 치환아미노알킬기, 치환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및 치환알콕시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각각, 상기의 각 기를 들 수 있으며, 각각의 구체적인 예도 상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완충제로서는 구체적으로, Good's의 완충제로 알려져 있는 비신[N,N-비스(2-히드록시에틸)그리신], 트리신{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그리신}외에, 그리신, ADA[N-(2-아세트아미드)이미노2아세트산]등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하기식[Ⅲ]으로 표시되는 비신이나, 식[Ⅳ]로 표시되는 트리신이 불용성담체입자 응집반응을 보다 안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Ⅰ], 특히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는 5∼200mmol/L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응집반응을 보다 안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불용성담체입자 응집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시의 pH는 반응을 안정화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완충성분의 농도가 5mmol/L 이상에서는 일정한 pH를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며, 한편 200mmol/L 이하에서는 불용성담체입자의 입자끼리가 항원항체반응에 따르지 않는 비특이적인 응집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 완충성분을 함유하는 완충액의 pH를 조절하는 산 종류로는 통상의 염산, 황상, 초산 외에,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등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알카리로는 수산화나트롬,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완충제에는 상기 완충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임의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임의성분으로서는 검체중의 지질의 가용화에 효과가 있는 계면활성제, 특히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기를 갖는 노니온계 계면활성제나 그 밖에 양이온,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용성담체입자로서는 상기 본 발명의 완충제와 병용하였을 경우에,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혈장성분의 작용을 억제하여 응집반응을 안정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예를 들어 일본국 특공소 58-11575호 공보 등에 기재된 종래 공지의 유기고분자물질의 미립자나, 무기산화물의 미립자, 혹은 핵이 되는 이들 물질의 표면을 유기물 등으로 표면처리한 미립자를 예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메타)아크릴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합성수지(라텍스)나, 니트로셀로오스, 셀로오스, 메틸셀로오스 등의 셀로오스유도체나, 금속, 세라믹, 유리, 실리콘라버 등의 무기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운데에서도 특히 폴리스틸렌계의 합성고분자, 전하를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아크릴산계의 모노머나 술폰산을 갖는 모노머 등을 공중합한 폴리스틸렌계 합성고분자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불용성담체로서 폴리스틸렌라텍스 등의 라텍스입자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스틸렌라텍스 등의 표면의 소수성이 강한 라텍스를 사용하면,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흡착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 유화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소프프리(soap-free)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스틸렌라텍스입자는 표면의 부전하(負電荷)끼리의 반발에 의거하여, 계면활성제없이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기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 밖에, 여러가지 변성라텍스(예를 들면, 카르본산 변성라텍스), 자성라텍스(자성입자를 내포시킨 라텍스)등을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정량적으로 면역분석을 실시하는 경우, 통상적으로는 불용성담체입자의 크기의 균일성, 표면상태의 제어, 내부구조의 선택 등이 고도의 차원에서 요구되나, 이와 같은 시약용도에 양호한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는, 시판품 가운데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불용성담체입자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구(球)형상 등을 들 수가 있으며, 구형상의 경우의 입자경으로서는 예를 들면, 0.03∼0.8㎛의 평균입경, 특히 0.06∼0.2㎛의 평균입경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용성담체입자의 반응액중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불용성담체입자 응집반응을 보다 안정화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으로서는 그 사용농도가 5∼200mmol/L로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비신, 트리신 등의 완충제, 그 사용농도가 0.005∼5중량%로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 불용성담체입자담지용 항원 또는 항체, 및 그 외의 임의의 성분을 함유하는 시약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 이러한 시약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체를 사전에 담지시킨 불용성담체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으로서는 항원 또는 항체를 비신, 트리신 등의 완충제의 존재하에 불용성담체입자에, 화학결합이나 물리흡착 등에 의해 담지시키고, 이어서 면역응집반응을 실시하는 방법, 항원 또는 항체를 담지시킨 불용성담체입자에 완충제의 존재하에 면역응집반응을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이 경우, 완충제는 완충액으로서, 그리고 불용성담체입자는 불용성담체입자 현탁액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으나, 불용성담체입자는 완충액에 현탁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면역응집반응때나, 항원 또는 항체의 불용성담체입자 담지시에 있어서의 완충제의 농도를 5∼200mmol/L, 불용성담체입자를 농도 0.005∼2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로는 비신, 트리신 등의 완충제를 5∼200mmol/L의 농도로 함유하는 완충액, 라텍스 등의 불용성담체입자를 0.005∼5중량%의 농도로 함유하는 현탁액, 불용성담체입자 담지용 항원 또는 항체, 및 그 밖의 임의성분을 함유하는 시약으로 이루어지는 키트를 예시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측정용키트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체를 사전에 담지시킨 불용성담체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표기는 특별히 전제가 없는 한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시약 1(완충액)의 조제]
완충제로서의 비신(도진카가쿠사 제조)3.26g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0.1g의 트리톤X-100, 17.5g의 염화나트륨, 0.01g의 아지화나트륨을 각각 첨가하여 20℃에서 pH를 계측하면서 1mol/L의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pH 8.0으로 조정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량을 1,000㎖로 하였다. 또, 비신 대신에 완충제로서 트리신(도진카가쿠사 제조) 3.58g, TAPS0{2-히드록시-3-[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프로판술폰산}(도진카가쿠사 제조) 5.18g, POPSO[피페라진-1,4-비스(2-히드록시-3-프로판술폰산)·2수화물](도진카가쿠사 제조) 7.97g, TES{2-[N-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에탄술폰산}(도진카가쿠사 제조) 4.59g을 각각 증류수에 용해하고, 동일하게 트리톤X-100, 염화나트륨, 아지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 8.0으로 조정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량을 1,000㎖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비신 또는 트리신을 각각 20mmol/L 함유하는 완충액과, 비교예로서 TAPSO, POPSPO, TES를 각각 20mmol/L 함유하는 완충액으로 이루어지는 5종류의 완충액을 조제하였다.
[시약 2(항체담지 라텍스현탁액)의 조제]
평균입자경 0.31㎛의 10%폴리스틸렌라텍스현탁액(교와메덱스사 제조)1용(容)에, 1/60mmol/L의 PBS용액(pH 7.4가 되도록 1mol/L의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수용액으로 조제한 것)9용을 첨가하여 라텍스를 희석하고, 1% 라텍스현탁액으로 하였다. 또, 항인간페리틴항체(교와메덱스사 제조)는 담백농도가 50㎍/㎖가 되도록 1/60mmol/L의 PBS용액으로 희석하여 담지용항체액으로 하였다. 1% 라텍스현탁액 600㎕을 25℃의 인큐베이터안에서 자석 젓개(Magnetic stirrer)로 교반하면서 이것에 상기 항체액 1200㎕을 재빨리 첨가하여, 25℃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10mmol/L의 그리신완충액에 BSA(와코준야쿠사 제조)가 0.6%, 트리톤X-100(시그마사제조)가 0.015%가 되도록 조제한 블록킹액을 3㎖첨가하여 25℃에서 연속해서 2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4℃, 15000rpm으로 1시간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침전에 블록킹액을 4㎖첨가하고, 동일하게 원심분리를 하는 것에 의하여, 침전을 세정하였다. 세정조작은 3회 실시하였다. 이 침전에 블록킹액 6㎖을 첨가하여 0.1%의 항체담지 라텍스현탁액으로 하였다.
[검체의 조제]
인간혈액을 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 제조)으로 체혈한 후, 2시간 방치하여 얻어진 웃물(혈청)을 검체1로 하였다. 또, 인간혈액을 EDTA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 제조)으로 채혈한 후, 2시간 방치하여 얻어진 웃물(혈청)을 검체2로 하고, 인간혈책을 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 제조)으로 채혈한 후, 2시간 방치하여 얻어진 웃물(혈청)에, 에틸렌디아민4초산2칼륨(도진카가쿠사 제조)을 1㎎/㎖가 되도록 첨가한 것을 검체3으로 하였다.
[시약 1과 시약2를 사용한 검량선(檢量線)의 작성]
페리틴(스크립스사 제조)을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10.9, 21.9, 43.8, 87.5, 175ng/㎖의 각 농도의 페리틴용액을 각각 조제하고, 이들을 10㎕씩 140㎕의 시약1에 첨가하고, 37℃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150㎕의 시약2을 첨가하여 37℃에서 13분후에 히다치자동분석장치 7170형을 사용하여 2포인트엔드법(측광포인트 21-39), 주파장 750nm, 부파장800nm에서 흡광도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시약1과 시약2를 사용한 페리틴농도의 측정]
상기 검량선을 작성한 것과 동일하게, 상기 검체1과 검체2 및 검체3의 각 10㎕을 140㎕의 시약1에 각각 첨가하여, 37℃에서 6분간 반응시킨 후, 조제직후의 150㎕의 시약2를 첨가하여, 37℃에서 13분후에 히다치자동분석장치 7170형을 사용하여, 2포인트앤드법(2point-end method)(측정포인트 21-39), 주파장 750nm, 부파장 800nm에서 흡광도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검출선을 사용하여 각 검체중의 페리틴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 조제직후의 시약1을 대신하여 조제후 1주간이 경과한 시약1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표 1 및 표2로부터 완충제로서 비신과 트리신을 사용한 경우에, 측정감도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완충액(조제직후) 페리틴농도(ng/㎖)
검체1 검체2 검체3
비신 40 39 39
트리신 41 40 41
TAPSO 39 30 38
POPSO 41 23 40
TES 41 31 40
완충액(조제 1주간 후) 페리틴농도(ng/㎖)
검체1 검체2 검체3
비신 40 39 39
트리신 41 40 41
TAPSO 41 37 41
POPSO 38 33 42
TES 42 38 42
(실시예 2)
[시약3(라텍스현탁액)의 조제]
완충제로서의 비신 3.26g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10% 라텍스(입경 0.087㎛; 세키스이카가쿠사 제조) 3.3㎖, 및 0.1g의 아지화나트륨을 첨가하여 20℃에서 pH를계측하면서 1mol/L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 또는 염산을 가하고, pH를 7.8로 조정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량을 1,000㎖으로 하였다. 또, 비신 대신에 완충제로서 트리신 3.58g, TAPSO 5.18g, POPSO 7.97g, TES 4.59g을 각각 증류수에 용해하고, 동일하게 라텍스 아지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7.8로 조정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량을 1,000㎖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비신 또는 트리신을 각각 20mmol/L 함유하는 완충액과, 비교예로서 TAPOS, POPSPO, TES를 각각 20mmol/L 함유하는 완충액으로 이루어지는 5종류의 완충액을 조제하였다.
[시약4(항체용액)의 조제]
항원으로서 변성인간 HbAlc를 사용하여 마우스를 면역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항인간 HbA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를 항체용액의 조제에 사용하였다. 비신완충제 3.26g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염화나트륨을 15g 첨가하고, 20℃에서 pH를 계측하면서 1mol/L의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하고, Tween20(와코준야쿠사 제조)를 2g을 첨가하고, 아지화나트륨을 0.1g 첨가하며, 이어서, 상기 항인간변성 HbA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를 0.025g(IgG환산), 항마우스 IgG나 야기폴리크로날항체(와코준야쿠사 제조)를 0.04g(IgG환산) 첨가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량을 1,000㎖로 하였다. 또, 비신완충제 대신에 트리신완충제 3.58g, TAPSO완충제 5.18g, POPSO완충제 7.97g, TES완충제 4.59g을 각각 증류수에 용해하고, 동일하게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한 것에, 비신의 경우와 동일하게 Tween20, 아지화나트륨을 첨가하고, 이어서 항인간 HbAlc마우스모노크로날항체, 항마우스 IgG야기폴리크로날항체를 첨가하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전량을 1,000㎖로 하였다.
[검체의 조제]
인간혈액을 EDTA채혈관(베노젝트진공채혈관; 테루모사 제조)으로 채혈한 후,2시간 방치하여 침전한 혈구층 10㎕을 채취하고, 증류수 1㎖로 희석시킨 검체4와, 이 검체4에 EDTA채혈관의 웃물인 혈장을 10㎕ 첨가한 혈장혼입검체5를 조제하였다.
[시약3과 시약4를 사용한 검량선의 작성]
토소자동글리코헤모글로빈분석계 HLC-723GHbV를 사용하여 측정한 HbAlc값이 0.0%, 4.2%, 7.7%, 11.3%, 14.8%이었던 각 검체를 사용하여 히다치자동분석장치 71710형을 사용하여 흡광도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상기 흡광도변화량의 측정은 240㎕의 시약3에 4㎕의 검체를 첨가하고,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80㎕의 시약4를 첨가하고,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주파장 450nm, 부파장 800nm에서 2포인트앤드법(측광포인트 16-34)로 흡광도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시약3과 시약4를 사용한 HbAlc농도의 측정]
상기 검량선을 작성한 것과 동일하게 상기 검체4와 검체5의 각 4㎕를 조제한직후 240㎕의 시약3에 각각 첨가하고,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조제 3일후의 80㎕의 시약4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에, 히다치자동분석장치 7170형을 사용하여 2포인트앤드법(측광포인트 16-34), 주파장 450nm, 부파장 800nm에서 흡광도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검량선을 사용하여 각 검체중의 HbAlc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조제직후의 시약3을 대신하여 조제후 1주간이 경과한 시약3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3 및 표 4로부터 완충제로서 비신과 트리신를 사용한 경우에, 측정감도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완충액(조제직후) HbAlc값(%)
검체4 검체5
비신 6.1 6.1
트리신 6.1 6.0
TAPSO 6.1 5.4
POPSO 6.2 3.3
TES 6.1 5.3
완충액(조제1주간후) HbAlc값(%)
검체4 검체5
비신 6.1 6.1
트리신 6.1 6.0
TAPSO 6.2 5.6
POPSO 5.9 3.1
TES 6.3 5.6
본 발명에 의하면, 불용성담체입자 응집반응에 관여하여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혈장성분의 작용을 억제하여 응집반응을 안정화하고, 반응액의 흡광도를 안정화하여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3)

  1. 불용성담체입자와, 분자내에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2.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일반식[Ⅰ]
    (화학식 2)
    [식중, R1,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실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혹은 R1, R2가 질소원자와 함께 환상구조를 형성하고,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라지닐기, 치환 혹은 비치환 모르포리노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리디노기를 형성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3. 제2항에 있어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일반식[Ⅱ]
    (화학식 3)
    [식중, R1, R2,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또는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4. 제3항에 있어서,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비신 또는 트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는 농도 5∼200mmol/L로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입자는 농도 0.005∼5중량%로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입자는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8. 불용성담체입자와, 분자내에
    (화학식 4)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화합물로서 일반식[Ⅰ]
    (화학식 5)
    [식중, R1,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실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혹은 R1, R2가 질소원자와 함께 환상구조를 형성하고,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라지닐기, 치환 혹은 비치환 모르포리노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리디노기를 형성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측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일반식[Ⅱ]
    (화학식 6)
    [식중,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실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또는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비신 또는 트리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체를 완충제의 존재하에 불용성담체입자에 유지시키고, 이어서 면역응집반응을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 또는 항체를 불용성담체입자에 유지시킨 후, 완충제의 존재하에 면역응집반응을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를 완충제농도 5∼200mmol/L의 완충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입자를 불용성담체입자농도 0.005∼5중량%의 불용성담체입자 현탁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입자는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방법.
  17. 불용성담체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과, 분자내에
    (화학식 7)
    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제를 포함하는 완충액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섬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
  18. 제17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일반식[Ⅰ]
    (화학식 8)
    [식중, R1,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실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혹은 R1, R2가 질소원자와 함께 환상구조를 형성하고,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라지닐기, 치환 혹은 비치환 모르포리노기, 또는 치환 혹은 비치환 피페리디노기를 형성하는 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측정용키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반식[Ⅱ]
    (화학식 9)
    [식중, R1, R2,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으며, 수소원자, 알킬기, 히드록시알킬기, 디(히드록시알킬)알킬기, 트리(히드록시알킬)알킬기, 카르복실알킬기, 디(카르복시알킬)알킬기, 트리(카르복시알킬)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아미노카르보닐알킬기, 치환 혹은 비치환 알콕시알킬기, 술포알킬기, 디(술포알킬)알킬기, 트리(술포알킬)알킬기, 술포-히드록시-알킬기, 디(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 또는 트리(술포-히드록시-알킬)알킬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비신 또는 트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 비탁면역측정용키트.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제를 함유하는 완충액은 완충제의 농도가 5∼200mmol/L의 완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은 불용성담체입자의 농도가 0.005∼5중량%의 현탁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담체입자는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키트.
KR1020027017890A 2000-06-30 2001-06-15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KR20030021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98831 2000-06-30
JP2000198831 2000-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182A true KR20030021182A (ko) 2003-03-12

Family

ID=1869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890A KR20030021182A (ko) 2000-06-30 2001-06-15 불용성담체입자 비탁면역측정용시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30143758A1 (ko)
EP (1) EP1298438A4 (ko)
JP (2) JP4896347B2 (ko)
KR (1) KR20030021182A (ko)
CN (1) CN1264016C (ko)
AU (1) AU2001264293A1 (ko)
CA (1) CA2412994A1 (ko)
WO (1) WO2002003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0765B2 (en) 2001-11-02 2005-05-10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Particles for immunoassay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same
US6927071B2 (en) * 2001-12-07 2005-08-09 Beckman Coulter, Inc. Method for reducing non-specific aggregation of latex microparticles in the presence of serum or plasma
US6777246B2 (en) 2001-12-18 2004-08-17 Roche Diagnostics Gmbh Tertiary amine compounds for use in immunoassays
JP4592422B2 (ja) * 2002-11-18 2010-12-01 デンカ生研株式会社 血清および血漿の測定値乖離を防止する免疫測定法
CA2591872C (en) * 2004-12-24 2014-08-12 Daiichi Pure Chemicals Co., Ltd. Reagent for assaying antigen and method of assaying antigen
CN101915849B (zh) * 2010-06-30 2013-06-05 深圳市国赛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加样的用于测定糖化血红蛋白百分比的检测试剂
JP5567932B2 (ja) * 2010-08-03 2014-08-06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試薬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測定方法
EP3508849B1 (en) * 2016-08-31 2023-04-19 Eiken Kagaku Kabushiki Kaisha Antibody measurement method using antigen-carrying insoluble carrier particles on which antigen is immobilized by different methods, and reagent for antibody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8132A (en) * 1974-05-20 1978-04-19 Technicon Instr Analysis of biological fluids
DE2918342A1 (de) * 1979-05-07 1980-11-20 Behringwerke Ag Latex-reagenz
DE3545595A1 (de) * 1985-12-21 1987-06-25 Behringwerke Ag Dispersionspolymer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717402A1 (de) * 1987-05-23 1988-12-08 Behringwerke Ag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proteinen und mittel dazu
US4847209A (en) * 1987-11-09 1989-07-11 Miles Inc. Latex agglutination immunoassay in the presence of hemoglobin
US4914041A (en) * 1988-02-12 1990-04-03 Beckman Instruments, Inc. Reagent and method for detecting rheumatoid factor
JPH0814581B2 (ja) * 1988-11-30 1996-02-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抗原又は抗体の定量法
JP2996690B2 (ja) * 1990-05-15 2000-01-11 株式会社トクヤマ 免疫学的凝集反応試薬
US5470759A (en) * 1992-06-10 1995-11-28 Fujirebio, Inc. Anti-glycated hemoglobin monoclonal antibody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JPH06167495A (ja) * 1992-07-14 1994-06-14 S R L:Kk 凝集イムノアッセイ法
TW378213B (en) * 1992-11-04 2000-01-01 Shionogy Seiyaku Kk Basophil-binding monoclonal antibody, method for separation of basophils, method for chemical mediator released from basophils, and testing method for release of basophil-derived chemical mediators
JP2677753B2 (ja) * 1993-07-22 1997-11-17 株式会社エスアールエル 凝集イムノアッセイ法
JP3551678B2 (ja) * 1996-03-14 2004-08-11 東ソー株式会社 ヘモグロビンA1cの測定法及びキット
JPH1010127A (ja) * 1996-06-25 1998-01-16 Sekisui Chem Co Ltd 凝集イムノアッセイ法
JP3827409B2 (ja) * 1997-07-07 2006-09-27 株式会社トクヤマ 免疫学的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62797B2 (ja) 2013-12-11
WO2002003068A1 (fr) 2002-01-10
CN1443309A (zh) 2003-09-17
AU2001264293A1 (en) 2002-01-14
US20030143758A1 (en) 2003-07-31
JP2012022005A (ja) 2012-02-02
EP1298438A4 (en) 2006-12-13
CA2412994A1 (en) 2002-12-27
CN1264016C (zh) 2006-07-12
JP4896347B2 (ja) 2012-03-14
EP1298438A1 (en) 200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102B1 (ko) 재현성이 양호한 응집면역측정법 및 시약
JP5362797B2 (ja) 凝集反応安定化方法
JP5735615B2 (ja) 免疫学的測定における感度増強方法及びそのための試薬
US20070148640A1 (en) Methods and kits for decreasing interferences in plasma or serum containing assay samples of specific binding assays
CA2452766C (en) Carrier particle latex for assay reagent and assay reagent
JP4577747B2 (ja) 免疫学的測定法用凝集促進剤
KR20010085485A (ko) C-반응성 단백질 측정방법 및 측정시약
CN115639367A (zh) 一种检测抗角蛋白抗体IgG的化学发光免疫试剂盒及应用
JP4240729B2 (ja) 臨床検査用微粒子分散剤、検査用試薬、試薬の製造方法、検査方法および用途
KR20010025027A (ko) 면역측정시약 및 면역측정법
EP0439611B1 (en) Method for assaying immun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reagent therefor
JP2004325414A (ja) 免疫測定方法及び免疫測定キット
JPH08220095A (ja) 沈殿可能な固相を用いる不均一系イムノアッセイ
JP2001091516A (ja) ヒトα−フェトプロテインの定量法および測定キット
JP2004117068A (ja) 免疫測定試薬および免疫測定方法
CN117761329A (zh) 一种幽门螺杆菌抗体i或ii型检测试剂盒及其制备方法
JP2006329958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及び測定試薬
JP2006329959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及び測定試薬
JPH10307140A (ja) ラテックス凝集反応用試薬
JP2001330613A (ja) 免疫測定試薬
JP2004347614A (ja) 非特異反応抑制剤、免疫測定試薬及び免疫測定方法
JP2005300355A (ja) 測定試薬用担体粒子及び測定試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