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012A - 흡수체 제품 - Google Patents

흡수체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012A
KR20030018012A KR1020027017909A KR20027017909A KR20030018012A KR 20030018012 A KR20030018012 A KR 20030018012A KR 1020027017909 A KR1020027017909 A KR 1020027017909A KR 20027017909 A KR20027017909 A KR 20027017909A KR 20030018012 A KR20030018012 A KR 20030018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ntact
sheet
contact sheet
absorbent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5976B1 (ko
Inventor
가츠히코스기야마
요시아키다카마츠
리에쿠와바라
마사루츠바타
미가쿠스즈키
Original Assignee
제팬 어브소번트 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973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08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469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43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02945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0202B2/ja
Application filed by 제팬 어브소번트 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제팬 어브소번트 테크놀로지 인스티튜트
Publication of KR2003001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7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having a continuous closed form, e.g. circle, ellipse, recta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후면 시트와 흡수재 및 피부접촉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저귀와 같은 흡수체 제품에서, 피부접촉시트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고 배설물의 통로를 위한 구멍이 구비되는 최상위층으로서 흡수재의 상측에 배치된다. 흡수재와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양측 끝단에서 세로 방향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흡수체 제품{Absorbent Product}
기저귀 발진의 원인 및 전개과정에 관하여, 킨바라 슈판(Kinbara Shuppan)에 의해 발행되고 카주야 야마모토(Kazuya YAMAMOTO)에 의해 저술된 "임상 피부병학" 제 30 권(1998년)의 949 ∼ 956 페이지에 기술된 "이른바 기저귀 발진"에 따르면, (1) 소변과 변이 혼합될 시 암모니아가 발생되고, (2) 이 암모니아는 주위를 알칼리성화시키며, (3) 변 내의 효소는 알칼리성 분위기에서 강하게 반응하고, 피부의 약한 부위는 효소와 암모니아에 의해 염증을 일으키게 되면서, 기저귀 발진이 발생된다. 피부의 약한 부위에 발생되는 원인으로서, 기저귀 접촉과 같이 소재가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물리적 자극과, 기저귀 내부의 높은 습도로 인하여 피부가 주름살지게 되는 기저귀 내부의 환경 등이 지적된다.
상기된 기저귀 발진의 원인에 대한 수퍼 흡수 폴리머(SAP)의 기술적 진보로 인한 기능향상에 의하여, 예를 들어, 배출된 소변이 빨리 흡수되고 소변의 침투/확산이 최소화된다. 그러므로, 소변이 배출된 변과 쉽게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기저귀 내부의 환경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예를 들어, 통기성 시트가 기저귀에 사용될 시 기저귀 내의 젖은 피부에 대한 대응책이 가능해지고, 피부가 주름지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기저귀 발진에 대한 이러한 진보적인 대응책으로, 이른바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책은 실제적으로 동시에 소변과 변 또는 설사가 배출되므로 인한 발진을 방지하는데에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설사가 소변과 섞이지 않는 경우에도, 스탠드에 남게 되는 변은 피부상에서 큰 불편함을 주게 된다. 설사가 피부와 접촉하는 기저귀의 맨 위 시트를 어렵게 통과하기 때문에, 습기가 있는 부분은 흡수재로 이동하나, 남은 부분은 맨 위 시트에 남게 되고 착용자의 엉덩이에 묻게 된다. 그러므로,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기저귀 교체시 엉덩이를 닦아야 하는 고된 과정이 수반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변과 소변의 혼합 또는 변이 엉덩이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변과 변을 분리할 수 있는 기저귀가 제안되며,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61-41304,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6-5614, 6-21623, 6-11723, 그리고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10-192339에 나타난 바 있다.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61-41304에 기재된 기저귀에서, 긴 구멍이 맨 위 시트의 중심부에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멍의 주변 가장자리에 탄성부재가 부착되며, 맨 위 시트에는 이른바 튼튼한 것이 첨가되고 구멍이 닫혀지지 않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게다가,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6-5614에 기재된 기저귀는: 표면 시트에 형성되 구멍 아래로 연장되는 요부와; 구멍의 외주로부터 중심부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로 이루어지는 밸브부를 포함한다. 구멍에 의해 분리되는 변이 역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6-21623에 기재된 기저귀에 대해, 세로 방향과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두 세트의 테두리부는 서로 포개지고, 구멍은 포개지는 중심에 형성되며, 이에 변을 포함하는 구멍의 영역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6-11723에 기재된 기저귀는: 첫번째 표면 시트 위에 배치되는 두번째 표면 시트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에 있는 두번째 표면 시트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을 확장시키기 위한 다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10-192339에 기재된 기저귀에서, 스페이서가 흡수재와 맨 위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연통되는 구멍이 맨 위 시트에 형성된다.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61-41304와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6-5614에 기재된 기저귀에 대하여, 기저귀의 실제 착용시, 기저귀의 가랑이부는 착용자의 가랑이 쪽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이후, 그 부분이 피부에 밀접하게 접하지 않으면서 아래쪽으로 매달리게 된다. 즉, 이 기저귀의 각각의 맨 위 시트 또는 표면 시트(이하, '맨 위 시트'라 함)의 가랑이부가 착용자의 가랑이에 밀접하게 붙지 않기 때문에, 맨 위 시트에 형성된 구멍은 제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변이 맨 위 시트상에서 펼쳐지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맨 위 시트의 구멍의 위치가 착용자의 항문의 위치와 일치한다 하더라도, 맨 위 시트는 착용자의 가랑이에 밀접하게 붙지 않고, 결과적으로 구멍은 닫혀진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변이 구멍을통과하여 맨 위 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로 안내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6-21623에 기재된 기저귀에서, 두번째 표면 시트에 형성된 구멍의 넓이가 크게 형성될 시, 구멍의 위치는 착용자의 항문의 위치와 실제로 확실하게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 반대로, 구멍의 넓이가 지나치게 크고, 변이 구멍을 경유하여 두번째 표면 시트와 첫번째 표면 시트 사이로 안내되고 구멍을 통과한 후 두번째 표면 시트로 다시 역류하게 되어, 착용자의 엉덩이는 더러워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일본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6-11723에 기재된 기저귀에 있어서, 구멍은 폭 방향으로만 확장되고, 착용자의 가랑이에 의해 구멍이 접히게 되며, 종래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구멍의 충분한 기능이 기본적으로 실현될 수 없다.
일본특허출원 공개번호 10-192339에 기재된 기저귀에서, 변을 담고 있게 되는 공간이 탄성재를 이용한 스페이서에 의해 흡수재와 맨 위 시트 사이에 형성되고, 그 스페이서는 맨 위 시트를 경유하여 착용자의 엉덩이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착용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맨 위 시트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가 작다. 그러므로, 낮은 유동성을 갖는 변은 맨 위 시트의 구멍을 빠르고 쉽게 통과할 수 없고, 착용자의 엉덩이를 더럽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저귀와 같은 흡수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변이 착용자의 엉덩이에 직접적으로 달라붙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엉덩이의 피부 트러블을 저하시키도록 하는 목적으로 설계된 흡수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제품으로서 기저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저귀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기저귀의 전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사용을 위한 피부접촉시트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사용을 위한 피부접촉시트의 일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사용을 위한 피부접촉시트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사용을 위한 피부접촉시트의 일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대응하는 실시예로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저귀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기저귀의 후면 시트측에서 확장된 상태의 피부접촉시트측의 전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기저귀의 후면 시트측에서 확장되지 않은 상태의 피부접촉시트측의 전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서 사용을 위해 피부접촉시트의 일 예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에서 후면 시트측에서 확장되지 않은 상태의 피부접촉시트의 전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기저귀에서 후면 시트측에서 확장된 상태의 피부접촉시트측의 전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된 기저귀에서 후면 시트측에서 확장되지 않은 상태의 피부접촉시트측의 전면도이다.
도 33은 도 30에 도시된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확장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개된 상태의 내측으로부터 보여진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해 피부접촉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해 피부접촉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전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구비하는 피부접촉시트가 기저귀 발진 등의 피부 트러블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기저귀와 같은 흡수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제품은:
후면 시트 위에 포개지는 흡수재와 불투수성 후면 시트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착용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면부로부터 후방에 위치되는 후면부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맨 위 층이 되는 피부접촉시트가 흡수체 제품 위에 배치되고,
피부접촉시트에는 착용자로부터 배설물의 통로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며,
흡수체 제품과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세로방향의 반대측 끝단 각각에서 서로 결합되고, 비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반대측 끝단 이외의 다른 부분에서 흡수체 제품과 피부접촉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흡수체 제품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바람직한 예를 다음에서 설명한다.
흡수체 제품은 흡수재가 덮혀지고 흡수재와 피부접촉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투수성의 맨 위 시트를 포함하며, 맨 위 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세로방향의 반대측 끝단에서 피부접촉시트와 접촉하여 맞붙은 상태가 되며,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맞은편 끝단 이외의 부분에서 맨 위 시트와 피부접촉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착용상태에서 흡수체 제품의 적어도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착용상태에서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흡수체 제품의 착용상태에서 전면부의 중심부에 폭 방향의 절단부를 포함한다.
피부접촉시트는, 예를 들어, 망상 직물재와, 거품수지(foamed resin), 탄성재와 같은 것으로 구성된다.
흡수재는 적어도 전면부에 배치된다.
또, 흡수체 제품은 확장된 상태에서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된 구멍을 에두르도록 피부접촉시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체 제품은 확장된 상태에서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된 구멍을 에두르도록 피부접촉시트에 결합되는 적어도 네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탄성부재는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고 구멍 부근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흡수체 제품은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을 에두르고 서로 엇갈리도록 피부접촉시트에서 교차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체 제품은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의 반대측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연장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와;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의 반대측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체 제품은
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멍과 가랑이부의 맞은편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와,
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멍과 가랑이부의 맞은편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서로 맞은편에 배치되는 구멍 가장자리에 대하여 상호 접근방향으로 대체적으로 균일하게 장력이 작용되도록 배치된다.
전면부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피부접촉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절단부가 형성된다.
피부접촉시트는 불투수성인 부분을 포함한다.
전면부와 대응하는 부분에서, 피부접촉시트에 두번째 흡수재가 배치된다.
후면 시트에는 착용자의 허리부위가 덮혀지도록 세로방향의 날개가 한 쌍 형성된다.
또한, 각 측면의 날개의 맞은편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포개지거나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또한 흡수체 제품은 착용자의 허리를 에두르는 신축성 밴드부재를 포함하며, 피부접촉시트는 피부접촉시트의 끝단에서 세로방향으로 신축성 밴드부재에 연결되고, 이에 피부접촉시트는 사용범위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신축성의 밴드부재는 신축성을 갖는 전후 끝단 테두리부에 구성되며,
세로방향으로 시트의 반대측단에서 각 끝단 테두리부에 피부접촉시트가 결합되고,
끝단 테두리부 사이의 피부접촉시트의 세로방향 치수는 끝단 테두리부 사이에서 확장된 치수보다 짧게 설정된다.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은 절단부이다.
피부접촉시트는 전면부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절단부와, 가랑이부에 형성된 구멍을 포함한다.
끝단 테두리부는 흡수재상의 후면 시트를 뒤로 접으므로서 형성된다.
끝단 테두리부는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배치되고 착용상태에서 확장된 상태를 얻기 위한 길이를 갖는 신축성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신축성 밴드부재는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 슬릿과, 착용상태에서 확장된 상태를 얻기 위하여 각 슬릿을 경유하여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위치로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피부접촉시트에서 세로방향의 맞은편 끝단은 한 쌍의 슬릿 부근에서 신축성 밴드부재에 결합되고,
한 쌍의 슬릿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세로방향 길이는 한 쌍의 슬릿 사이의 확장 길이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은 절단부이다.
피부접촉시트에서 세로방향의 맞은편 끝단은 한 쌍의 슬릿 부근에서 탄성 밴드부재와 결합되며,
절단부는 피부접촉시트의 전면부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구멍은 가랑이부에 형성되며,
한 쌍의 슬릿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길이는 한 쌍의 슬릿 사이의 확장 길이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피부접촉시트에서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 중 적어도 하나는 허리 둘레 개구의 구멍 끝단에 근접하는 슬릿의 측부 또는, 가랑이부에 근접하는 슬릿의 측부에서 탄성 밴드부재와 결합된다.
후면 시트의 전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착용상태에서 확장된 상태를 얻기 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갖는 신축성 탄성부재가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확장되도록 흡수재에 근접하는 위치에 부착된다.
두번째 흡수재는 피부접촉시트에 부착된다.
피부접촉시트에는 두번째 흡수재가 코팅되고, 흡수재는 수퍼 흡수성 폴리머(SAP)와 미소 섬유(micro-fibrillated) 셀룰로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체와 계속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흡수체 제품의 맨 위 표면상에 배치되고 배설물의 통과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된 피부접촉시트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는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대략 세가지로 구분한 형태의 그룹으로 설명된다.
첫번째 형태 그룹은 특히 비교적 작은 구멍들이 다수개 형성되고 보다 큰 구멍으로서 절단부가 경우에 따라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피부접촉시트에 관한 것이다.
두번째 형태 그룹은 변 처리만을 위하여 사용되는 비교적 큰 신축성 밴드로 에두르는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고 보다 큰 구멍의 절단부가 경우에 따라 형성되거나 배치되는 피부접촉시트에 관한 것이다.
세번째 형태 그룹은 하나 또는 다수개의 구멍을 포함하는 시트의 앞쪽 그리고/또는 뒤쪽의 신축성 끝단 테두리부를 포함하거나 경우에 따라 절단부를 포함하며, 끝단 테두리부의 부분이 신체의 이동에 따라 근접 접촉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허리 부분에 결합된다.
전술된 실시예의 세가지 그룹에서, 요구되는 기본특성과, 재료 등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본요소로서 피부접촉시트와, 후면 시트, 맨 위 시트, 흡수재, 탄성부재로 설명된다.
먼저, 본 발명의 주요부분으로서 피부접촉시트를 구성하는 재료가 설명된다.
결합된 직물과, 열가소성 수지의 메시 시트 또는 필름등으로 구성되는 비직조 직물은 구멍이 형성된 피부접촉시트를 구성하는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재료와 형상을 설명한다.
피부접촉시트의 재료로서, 소변 및 설사와 같은 유동성 물질이 들러붙지 않도록 소수성 또는 방수성 액체 투과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냅킨의 표면 시트에 사용되는 마른 천(driy web)으로 언급되는 구멍뚫린 필름(perforated film)과 특히 얼룩이 없는(stain-free) 특성을 갖는 섬유망(filament net)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테프론(Teflon:Du Pont K.K.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등의 섬유; 또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의 섬유로 형성되고 실리콘 수지 또는 테프론 수지와 전처리된 직조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얼룩이 없는 특성은 소변 및 변과 같은 유동성 물질의 매끄러운 통과를 나타내는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얼룩은 쉽게 남지 않는다.
피부접촉시트는 메시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식물성 쿠션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것처럼 사용시 비교차결합 방법으로 거품 폴리에틸렌(foamed polyethylene)으로 형성되는 미라맷(Miramat: JSP Co.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피부접촉시트는 일반적으로 식물성 쿠션재료로 사용되는 거품 스티롤 수지(foamed styrol resin)와 같은 거품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와 천연고무와 같은 신축성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뜨거운 바늘이나 흡인력을 이용하여 거기로 부가된 거품 작용물로 폴리스티렌 재료와 같이 사출/몰드된 것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시트 또는, 메시 형상의 원료의 사출/몰드된 천이 상기된 거품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미라맷(Miramat: JSP Co.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 하이에틸렌(Highethylene: 히타치 케미컬사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 소프트론(Softron: Sekisui Chemical Co., Ltd.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은 원료로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거품수지시트(foamed resin sheet)로 알려져 있다. 하이에틸렌(Hiethylen: 히타치 케미컬사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과 P-mat(JSP Co.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은 원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거품수지시트로 알려져 있다. 폴리스티렌 페이퍼(Polystyrene Paper)와 미라보드(Miraboard: 각각 JSP Co.에서 제작된 제품명)는 원료로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거품수지시트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미라맷은 부드러운 특성을 구비하고, 교차결합되지 않으므로 선택된다.
또한, 피부접촉시트는 신축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착용자는 U.S. Conwed Co.에 의해 제작된 그물 탄성 구조물(net elastic structure) 또는 폴리우레탄 섬유를 구성하는 직물 조직을 포함하는 탄성 시트를 사용한다. 그 후, 착용자가 이동시, 피부접촉시트는 피부와 근접 접촉하여 계속적으로 안전하게 유지되고 바람직한 형태를 제공한다.
게다가, 빽빽한 비직조직물 또는, 표준 직조직물, 짠 직물이 피부접촉시트를 구성할 때, 이 섬유와 섬유 틈 사이에 고착되고 소변 또는 변으로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 시트에 부분적으로 큰 구멍을 구비하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피부접촉시트는 하나의 시트로 구성되지 않아야 하고, 다른 특성을 갖는 다수개의 시트가 세로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층을 이루고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피부접촉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티슈와 같은 액체 흡수성 시트 또한 층으로 포개져 이루어진다. 게다가, 친수성 또는 소수성 비직조 직물 또한 세로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후면부가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제품은 한 쌍의 세로측 테두리부의 가장자리가 서로 포개지고 테입으로 고정되는 개선된 타입의 기저귀 또는, 한 쌍의 세로측 테두리부의 끝단이 밀착되고 서로 포개지는 속옷 타입의 기저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후면 시트로서, 불투수성 시트만을 사용하거나, 그 시트상에 다수의 비직조 직물을 포개어 사용할 수 있다. 불투수성 후면 시트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충전물을 추가하므로서 획득되는 팽팽한 시트와 같은 폴리에틸렌 시트, 특히 공기가 통하도록 아주 작은 구멍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통수성 재료는 높은 습도에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에, 단일 시트만 사용될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비직조 직물이 포개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좋은 촉감을 위해 후면 시트의 표면에 대한 원료로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합성섬유의 비직조 직물을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비직조 직물은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맨 위 시트로서, 작은 구멍이 많이 형성된 투수성 비직조 직물 또는 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비직조 직물에 대해, 건조형성(dry-forming) 비직조 직물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또는 원료로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셀룰로스 펄프나 인조섬유와 같은 친수성 섬유와 화학섬유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되는 화학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투수성의 성질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친수처리(hydrophilic treatment)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작은 구멍이 많이 형성된 수지 필름에 대하여, 많은 작은 구멍은 메시 형태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에 형성된다. 맨 위 시트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유는 흡수재가 떨어지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흡수재가 성형된 시트형 또는 스테이블드(stabled) 시트형일 때, 맨 위 시트는 투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절단된다. 선택적으로, 맨 위 시트는생략되고, 흡수재의 상면이 맨 위 시트와 같은 기능을 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흡수재로서, 바람직하게 수퍼 흡수 폴리머(SAP)가 목재 펄프를 포함하는 보풀 또는 솜 형태의 비-목재 펄프의 주재료와 함께 사용된다. 부가적으로, 흡수재 페이퍼만 사용되거나, 열결합된 섬유의 혼합물이나 박층이 사용된다. 또한, 박층 구조는 수퍼 흡수 폴리머(SAP)가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료 전체가 티슈와 같이 감싸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재에 대하여, 상기된 구성에 부가하여, 피부접촉시트는 수퍼 흡수 폴리머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가 프로필렌 글리콜이나 메탄올,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그리고 원료가 코팅액으로 코팅되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합성섬유의 비직조 직물의 수성 용해물에 혼합된 코팅액으로 직접 코팅된다.
상기된 미소 섬유 셀룰로스는 매우 날카로운 날로 목제 펄프를 정제하므로서 획득되고 섬유 길이가 평균 0.1㎜ 또는 그 이하인 아주 작은 섬유이다.
신축성 밴드부재로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종래 흡수체 제품에 사용되는 신축성 탄성부재는 천연고무의 리본형 판 고무(ribbon-shaped flat rubber)와, 우레탄 실, 실 고무, 신축성 그물, 신축성 필름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후면 시트의 재료와 동일한 시트 재료에 결합되거나 확장상태에서 열 용융 접착 및 열 봉합과 같은 방법으로 맨 위 시트에 결합되는 합성 탄성재료는 사용시 따로따로 부착될 수 있고 임의의 폭 치수와 확장율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제품으로서 기저귀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것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또 다른 기술에 결합되거나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다음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수체 제품의 한가지 형태로서 실시예의 첫번째 그룹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그것에 관한 전개된 형태도이며, 도 3은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의 기저귀(10)는 전체적으로 속옷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이른바 기저귀 커버가 되는 불투수성의 후면 시트(11); 후면 시트(11)의 폭 방향의 중심부와 겹쳐지는 투수성의 중심 맨 위 시트(12C); 맨 위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가 정해진 폭을 갖는 중심 맨 위 시트(12C)의 폭 방향 맞은 편 가장자리와 겹쳐져서 후면 시트(11)의 폭 방향 맞은 편 가장자리와 겹쳐지는 한 쌍의 투수성 좌우측 맨 위 시트(12S); 후면 시트(11)와 중심 맨 위 시트(12C)와 한 쌍의 좌우측 맨 위 시트(12S)(이하, 대략 공통적으로 맨 위 시트(12)라 한다) 사이에 배치되고, 기저귀(10)의 전면부(10F)로부터 후면부(10R)로 확장되며, 대체적으로 모래시계 형상의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재(13); 기저귀(10)의 구멍(14)을 에두르는 요부를 따라 확장된 상태에서 접어올린 부분(허리 둘레 개구(14))에 고정되는 다수의 신축성 허리 둘레 탄성부재(15); 기저귀(10)의 허리 둘레 개구(16)를 따라 확장된 상태에서 후면 시트(11)와 맨 위 시트(12) 사이에 고정되는 다수의 신축성 다리 둘레 탄성부재(17); 기저귀(10)의 전면부(10F)로부터 후면부(10R)로 확장하는 맨 위 시트(12)에 배치되며, 세로방향 맞은편 끝단(18E)이 맨 위 시트(12) 측부에서 후면 시트(11)의 접어올린 부분에 결합되는 피부접촉시트(18). 이 실시예에서, 맨 위 시트(12)는 중심 맨 위 시트(12C)와, 한 쌍의 좌우측 맨 위 시트(12S)로 구분되나, 이는 당연히 단일 시트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흡수재(13)는 수퍼 흡수 폴리머(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로 코팅된 시트 기본재료 또는, 시트 기본재료들 사이에 고정되는 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의 펄프리스(pulpless) 시트가 사용된다. 이 펄프리스가 사용될 시, 흡수재(13)의 두께는 매우 얇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착용특성이 만족스럽다. 이 펄프리스 시트는 물 흡수성과 형상 유지특성이 우수하며, 펄프는 기본구성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액체가 흡수된 이후에, 젖은 상태가 지속되지 않는다. 갖가지 형태의 박테리아 번식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시트는 위생면에서 또한 우수하다. 펄프리스 시트로서, 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로 코팅된 비직조 직물의 메가 틴(Mega Thin: 일본 흡수제 기술협회에 의해 제작된 제품명) 또는, 티슈들 사이에 고정되는 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을 구비하는 시트가 공지된 바 있다.
이는 흡수재(13)로 알려진 것이며, 상기 펄프리스 시트와 펄프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펄프리스 시트가 펄프 시트의 모든 낮은 면에 배치되거나, 소변의 흡수량이 집중되는 부분내에 펄프리스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8)에 대해, 많은 메시 구멍(19)은 그물 형태로 형성되는 거품 폴리에틸렌의 전 면에 형성되고, 세로방향의 맞은편 끝단(18E)은 연장된 상태에서 후면 시트(11)의 접어올린 부분에 결합되며, 시트는 세로방향을 따라 잡아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변은 피부접촉시트(18)에 형성된 많은 구멍(19)을 통과하여 피부접촉시트(18)와 맨 위 시트(12) 사이의 공간(21)으로 안내된다.
열린 면적비율은, 즉 피부접촉시트(18)의 단위 면적당 점유되는 구멍(19)의 면적비율은 10% 내지 9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열린 면적비율이 10% 이하일 때, 변은 피부접촉시트(18)를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 반대로, 비율이 90%를 넘을 때, 피부접촉시트(18)는 강하게 쳐지고, 변은 피부접촉시트(18)의 구멍(19)을 통과한 후 쉽게 역류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대략 V형을 갖는 절단부(20)는 기저귀(10)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부분에서 폭 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절단부(20)가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소변은 피부접촉시트(28)를 통과하지 않고 맨 위 시트(12)로부터 흡수재(13)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자의 피부가 소변에 의해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많은 구멍(19)이 형성된 피부접촉시트(18)를 구비하는 이 실시예에서는, 소변이 피부접촉시트(18)의 구멍(19)을 통과하여 맨 위 시트(12)로부터 흡수재(13)에 의해 즉시 흡수되며, 이에 절단부(20)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는 않는다.
신축성 피부접촉시트(18)가 기저귀(10)의 전면부(10F)로부터 후면부(10R)로 연장되기 때문에, 피부접촉시트(18)는 맨 위 시트(12) 내에 걸림구조를 포함한다. 착용시에, 피부접촉시트(18)는 세로방향으로 늘려지고, 피부접촉시트(18)는 근접 접촉상태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안전하게 접촉되며, 맨 위 시트(12)와 피부접촉시트(18) 사이에 공간(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부접촉시트(18)가 착용자의 피부와 근접 접촉할 때, 고습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착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 메시 구멍(19)의 일부는 열려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변은 구멍(19)을 통과하여 맨 위 시트(12)로 안전하게 안내될 수 있다.
착용자의 소변은 피부접촉시트(18)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피부접촉시트(18)의 절단부(20)에 의해 맨 위 시트(12)로부터 흡수재(13)로 신속히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실시예에서, 속옷 타입의 기저귀(10)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저귀(10)의 전면부(10F)의 반대측이 후면부(10R)의 반대측과 겹쳐지고 테입으로 고정되는 개선된 형태의 기저귀에도 적용될 수 있다.
허리 둘레 개구(14)와 다리 둘레 개구(16)에 설치되며, 열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고 고정되는 탄성부재(15,17)는 천연고무의 판고무와 우레탄 실, 실 고무와 같이 이른바 일회용 기저귀로 종래에 사용되던 신축성 탄성부재를 사용한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그물 형태로 형성된 거품 수지가 피부접촉시트(18)로 사용되나, 기계적으로 많은 구멍이 형성된 시트가 피부접촉시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전개도이고,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피부접촉시트(18)는 신축성 시트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많은 원형 구멍(19)은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 구멍(19)의 직경은 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 5㎜ 이상이며, 구멍(19)은 피부접촉시트(18)가 이 구멍들(19)에 의해 망가지지 않을 정도의 밀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원형을 이루는 것에 부가하여, 구멍(19)의 형태는 선택적으로 사각형, 타원형, 삼각형 및, 교차하는 방법으로 피부접촉시트(18)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18)는 기저귀(10)의 전면부(10F)로부터 후면부(10R)로 형성되나, 적어도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10R)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의 두번째 실시예의 전개도이고,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피부접촉시트(18)에 대해, 신축성 탄성리본(22)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 교차부는 서로 완전하게 결합되며, 시트는 네 개의 탄성리본(22)이 에두르는 사각형을 각각 형성하는 많은 구멍(19)을 포함한다. 피부접촉시트(18)는 확장된 상태에서 기저귀(10)의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10R)로 배치되며, 세로방향의 맞은편 끝단(18E)은 가랑이부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후면시트(11)의 접어올린 부분과 맨 위 시트(12)에 결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변은 피부접촉시트(18)의 구멍(19)을 통과하여 피부접촉시트(18)와 맨 위 시트(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1)(미도시: 도 3 참조)으로 안내되고, 소변은 기저귀(10)의 전면부(10F)에서 맨 위 시트(12)로부터 흡수재(13)에 의해 흡수된다.
본 발명의 상기된 기저귀의 한가지 형태(첫번째 그룹)에 따라서, 맨 위 시트 위에 배치되는 피부접촉시트에 많은 구멍이 형성되고, 적어도 세로방향의 맞은편 끝단이 맨 위 시트에 결합되는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배출된 변은 구멍을 통과하여 피부접촉시트와 맨 위 시트 사이로 안내되고, 착용자의 엉덩이는 더럽혀지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피부 트러블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절단부가 피부접촉시트의 전면부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될 때, 소변은 피부접촉시트를 통과하지 않고 맨 위 시트로부터 흡수재로 안내될 수 있다.
피부접촉시트가 그물 형태의 모양을 할 때, 변은 피부접촉시트와 맨 위 시트 사이의 부분으로 신속히 안내될 수 있다.
피부접촉시트가 거품 수지로 이루어질 때, 만족스런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피부접촉시트가 신축성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때, 피부접촉시트는 안전하게 착용자와 근접 접촉하게 된다.
흡수재가 수퍼 흡수 폴리머(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을 포함할 시, 기저귀의 두께는 얇아지게 되고 만족스런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흡수체 제품의 다른 형태로서 실시예의 두번째 그룹에 따른 기저귀의 외형을 나타내고, 도 8은 그것의 전개도를 나타내며, 도 9는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 기저귀(110)는 다음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속옷 형태로 구성되는 투수성의 맨 위 시트(111); 맨 위 시트(111)와 겹쳐지는 불투수성의 후면 시트(112); 맨 위 시트(111)와 후면 시트(112) 사이에 배치되며, 기저귀(110)의 전면부(110F)로부터 후면부(110R)로 연장되고, 대략 모래시계 형태의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재(113); 기저귀(110)의 허리 둘레 개구(114)를 따라 확장된 상태에서 맨 위 시트(111)와 후면 시트(112)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신축성 허리 둘레 탄성부재(115); 기저귀(110)의 다리 둘레 개구(116)를 따라 확장된 상태에서 맨 위 시트(111)와 후면 시트(112)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신축성 다리 둘레 탄성부재(117); 기저귀(110)의 전면부(110F)로부터 후면부(110R)로 연장되는 맨 위 시트(111)에 배치되고, 세로방향의 맞은편 끝단(118E)이 맨 위 시트(111)에 결합되는 피부접촉시트(118); 피부접촉시트(118)의 기저귀(110) 전면부를 구성하는 부분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대략 V형 또는 U형의 모양인 절단부(119); 피부접촉시트(118)의 중심부에 기저귀(110)의 가랑이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구멍(120); 피부접촉시트(118)의 세로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구멍(120)을 에두르도록 결합되는 두 세트의 신축성 탄성부재(121a,121b,122a,122b) 네 개.
이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118)는 서로 포개지는 상위 시트(118U)와 하위 시트(118L)를 포함하며, 상기된 두 세트의 탄성부재(121a,121b,122a,122b)는 상위시트(118U)와 하위 시트(118L) 사이에 설치된다. 탄성부재(121a,121b) 한 세트는 구멍(120)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면부의 폭 방향 일 끝단으로부터 가랑이부를 경유하여 지나며, 후면부의 폭 방향 타측단으로 확장한다. 다른 세트의 탄성부재(122a,122b)는 구멍(120)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면부의 폭 방향의 타측단으로부터 가랑이부를 경유하여 지나며, 후면부의 폭 방향 일측단으로 확장한다. 즉, 두 세트의 탄성부재(121a,121b,122a,122b)는 구멍(120)에 의해 서로 교차하도록 피부접촉시트(118)에서 교차상태로 배치된다.
맨 위 시트(111)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원료를 이용하는 합성섬유의 투수성 비직조 직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른바 기저귀 커버를 구성하는 후면 시트(112)로서, 불투수성 시트만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다수개 겹쳐진 비직조 직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 충전재를 추가하므로서 획득되는 신축성 시트와 같은 불투수성 폴리에틸렌 시트, 바람직하게 통기를 위하여 작은 구멍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습기 투과성을 갖는 불투수성 시트가 바람직한 투수성 시트로 사용된다. 습기 투과성이 주어질 때, 습기상태의 걱정은 해소될 수 있으며, 기저귀는 보다 더 편안해지게 된다. 또한,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원료를 사용하는 합성섬유의 비직조 직물을 후면 시트(112)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비직조 직물은 불투수성 또는 투수성이 될 수 있다.
흡수재(113)에 대하여, 수퍼 흡수 폴리머(SAP)는 솜 형태의 목재 펄프나 비목재 펄프를 포함하는 보풀(fluff) 펄프의 주재료로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흡수재 페이퍼만으로 또는 열결합 섬유의 혼합물 또는 적층물이 사용된다. 또한, 적층 구조에서 SAP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 재료가 티슈(123)로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 둘레 개구(114)와 다리 둘레 개구(116)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15,117)에 대하여,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던 천연고무의 판고무 및 우레탄 실, 실 고무와 같은 신축성 탄성부재가 사용되며, 열용융 접착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피부접촉시트(118)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원료를 이용한 합성섬유의 비직조 직물, 메시 시트 및 필름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 전면부는 투수성의 비직조 직물이나 필름으로 형성되고, 가랑이부와 후면부는 불투수성의 비직조 직물 또는 메시 시트, 필름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21a,121b,122a,122b)에 대하여, 종래 흡수체 제품에 사용되던 신축성 탄성부재는 천연고무의 리본형 판고무 및 우레탄 실, 실 우레탄, 신축성의 그물모양으로 짠 것, 신축성 필름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임의의 폭 길이로 구비되며, 임의의 확장율로 열용융이나 열봉합으로 피부접촉시트(118)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탄성부재(121a,121b,122a,122b)에 대하여, 하나의 소재가 사용되나, 각 부재는 필요하다면 다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멍(120)의 형상은 임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구멍, 2번이상의 교차절단으로 형성되는 별모양의 슬릿이 적절하게 선택될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피부접촉시트에 결합되는 적어도 네 개의 탄성부재(121a,121b,122a,122b)가 기저귀(110)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110R)로 연장되기 때문에, 피부접촉시트(118)는 맨 위 시트(111) 내측에 걸림 구조를 구비한다. 착용시, 이 탄성부재(121a,121b,122a,122b)는 잡아당겨지고, 피부접촉시트 (118)는 근접 접촉상태로 착용자의 피부에 인접하게 되며, 맨 위 시트(111)와 피부접촉시트(118) 사이에는 공간(124)이 형성되고, 변은 구멍(120)을 통과하여 공간으로 안내된다. 그러므로, 탄성부재(121a,121b,122a,122b)의 탄성력으로 피부접촉시트(118)의 구멍(120)이 닫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실시예에서, 착용시, 탄성부재(121a,121b,122a,122b)에 의해 수축상태에 있는 피부접촉시트가 도 8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수축되고, 가랑이부 둘레 구멍(120)의 중심부는 선형신축성의 탄성부재(121a,121b,122a,122b)에 의해 마름모꼴 형태로 변형된다. 그러나, 구멍(120)의 둘레에서 대략 동일하게 변형작용이 일어나며, 구멍(120)은 닫혀지지 않은 상태로 마름모꼴 형태로 유지된다. 게다가, 탄성부재(121a,121b,122a,122b)는 피부접촉시트(118)의 폭 방향의 외부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피부접촉시트(118)는 그것의 위치변경을 방지하도록 착용자의 피부에 근접할 수 있다. 변이 피부접촉시트(118)의 구멍(120)으로부터 맨 위 시트(111)로 안내되지 않고 피부접촉시트(118)와 착용자의 엉덩이 사이에 남게 된다 하더라도, 탄성부재는 피부접촉시트(118)의 폭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누출을 방지하는 개더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착용자의 소변은 피부접촉시트(118)를 통과하지 않고 피부접촉시트(118)의절단부(119)에 의해 맨 위 시트(111)로부터 흡수재(113)로 신속히 흡수된다. 또한, 상기된 실시예에서, 속옷 타입의 기저귀(110)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기저귀(110)의 전면부(110F)의 맞은편 끝단이 후면부(110R)의 맞은편 끝단과 포개지고 테입으로 고정되는 개선된 형태의 기저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피부접촉시트(118)에 대한 탄성부재(121a,121b,122a,122b)의 결합형태는 교차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이하 설명되나,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각 실시예는 피부접촉시트(118)의 일 부분을 펼쳐진 상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탄성부재(121a,121b)는 구멍(120)을 유지하도록 전면부의 폭 방향의 일 끝단으로부터 가랑이부를 지나고, 후면부의 폭 방향의 일 끝단으로 연장된다. 다른 세트의 탄성부재(122a,122b)는 구멍(120)을 유지하도록 전면부의 폭 방향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가랑이부를 지나고, 후면부의 폭 방향의 타측 끝단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피부접촉시트(118)의 외측에 폭 방향으로 위치되는 탄성부재(121b,122b)는 피부접촉시트(118)의 폭 방향의 반대측 끝단을 따라 배치되나, 피부접촉시트(118)의 내측에 폭 방향으로 위치되는 탄성부재(121a,122a)는 구멍(120)을 에두르도록 만곡되고, 구멍(120)은 한 쌍의 탄성부재(121a,122a)에 의해 에워싸여진다. 이 경우에, 탄성부재(121a,122b)와 탄성부재(121b,122a)는 서로 포개지거나, 구멍(120)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포개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탄성부재(121b,122a)와 교차하는 탄성부재(121a,122b)에 대하여, 구멍(120) 주위의 장력은 불균일해지고, 피부접촉시트(118)는 주름지게 되며, 착용자에게 불편감을 주게 된다. 부가적으로, 탄성부재(121b,122b)는 피부접촉시트(118)의 폭 방향의 측부 가장자리가 착용자와 근접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탄성부재(121a,122a)가 교차시, 피부접촉시트(118)의 근접접촉상태는 나빠지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착용시 피부접촉시트(118)가 잡아당겨질 때, 폭 방향의 맞은편 측부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탄성부재(121b,122b)는 확장된다. 이에, 구멍(120)은 폭 방향의 맞은편 측부로 늘려지며 동시에 탄성부재(121a,122a)의 확장방향으로 늘려진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탄성부재(121a,122a)로 에워싸여지는 구멍(120)의 변형은 구멍 주위로 대략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구멍(120)은 닫혀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탄성부재(121a,121b)는 구멍(120)을 유지하도록 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가랑이부를 지나고, 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된다. 다른 세트의 탄성부재(122a,122b)는 구멍(120)을 유지하도록 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가랑이부를 지나고, 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된다. 즉, 탄성부재(121b,122b)는 구멍(120)상에서 서로 교차되며, 구멍(120)은 탄성부재(121b,122b)에 의해 에워싸여진다. 탄성부재(121a,121b)와 탄성부재 (121b,122a)는 서로 포개지거나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서로 포개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탄성부재(121b,122a)와 교차하는 탄성부재(121a,122b)에 관하여, 구멍 주위의 장력이 불균일해지고, 피부접촉시트(118)가 주름지게 되며,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착용시 피부접촉시트(118)가 잡아당겨질 때, 구멍(120)을 에두르는 탄성부재(121b,122b)는 확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실시예서와 같은 방법으로, 탄성부재(121b,122b)로 에워싸여지는 구멍(120)의 변형은 구멍 주위에 대략 균일하게 작용하며, 구멍(120)은 닫혀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11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단부(119)는 삭제되고, 사다리꼴로 형성된 두번째 흡수재(125)는 피부접촉시트(118)의 전면부에 그 대신에 배치되고,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가 도 15에 도시된다. 즉, 두번째 흡수재(125)가 피부접촉시트(118)의 전면부에 배치될 때, 흡수재(113)의 두께는 아주 얇게 설정되고, 피부접촉시트(118)는 배뇨 후에도 마른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 시트(118C)로 덮혀진 두번째 흡수재(125)는 하부 시트(118L)의 후면에 배치되나, 두번째 흡수재(125)를 상부 시트(118U)와 하부 시트(118L)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번째 흡수재(125)에 관하여, 수퍼 흡수 폴리머(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가 프로필렌 글리콜이나 메탄올 및 물의 혼합용액에 섞이는 코팅액을 피부접촉시트에 직접적으로 코팅하거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원료를 이용한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비직조 직물을 코팅액으로 피부접촉시트에 코팅하여얻은 직물을 부착하는 것이 좋다.
상기된 미소 섬유 셀룰로스는 목재펄프를 높은 분할로 정재하므로서 얻어진 매우 작은 섬유이고, 섬유의 평균길이는 0.1㎜ 이하이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단부(119)는 삭제되고, 마름모꼴로 형상의 두번째 흡수재(125)는 피부접촉시트(118)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또한, 탄성부재(121c, 122c)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부가된다. 한 세트의 탄성부재(121c)는 소재의 구부러진 끝단이 다른 세트에서 탄성부재(122a)의 것에 반대로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유사하게, 다른 세트에서의 탄성부재(122c)는 부재의 구부러진 끝단이 한 세트의 다른 탄성부재(121a)의 것에 반대로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구멍(120)은 탄성부재(121a,122b)에 의해 에워싸여지며, 두번째 흡수재(125)는 탄성부재(121b,122a)에 의해 에워싸여진다.
탄성부재(121b,122a)는 이 방법으로 배치되고, 이에 탄성부재(121b,122a)로 에워싸여지는 두번째 흡수재(125)가 배치되는 부분은 탄성부재(121b,122a)의 수축력에 의해 오목한 함몰부을 형성하며, 함몰부는 소변이 두번째 흡수재(125)에 의해 흡수될 때까지 소변 저장소의 기능을 하게 된다.
변이 소변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랑이부의 흡수재(113) 모양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될 수 있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설명되나,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는 기저귀(110)의 중심부를 전면부(110F)로부터 후면부(110R)로 연장되는 절단구조로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120) 아래의 가랑이부에서 구멍(120)으로부터 전면부에 위치되는 돌기부(113D)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흡수재(113)의 두께가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구멍(120)으로부터 맨 위 시트(111)로 안내되는 변이 전면부로부터 쉽게 이동되고 소변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소변이 전면부로부터 가랑이부로 쉽게 이동되고 변과 섞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12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흡수재(113)의 표면에 변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웨이브부(120S)가 형성된다. 한편으로, 구멍(120)으로부터 웨이브부로 안내되는 변이 전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돌출편(126)이 가랑이부의 폭 방향을 따라 맨 위 시트(111)에 형성되며, 돌출편(126)의 상측 끝단은 피부접촉시트(118)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120)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흡수재(113)의 두께는 포켓부(127)를 형성하기 위하여 얇아지고, 구멍으로부터 포켓부(127)로 안내되는 변이 맨 위 시트(111)로 쉽게 이동하지 않도록 배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된 기저귀의 다른 형태(두번째 그룹)에 따라, 신축성의 탄성부재가 피부접촉시트의 가랑이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구멍을 에두르도록 확장된 상태에서 피부접촉시트에 결합되므로, 피부접촉시트는 착용자와 근접접촉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구멍은 탄성부재의 신축력에 의해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배출된 변은 구멍을 통과하여 피부접촉시트와 맨 위 시트 사이로 안내되어, 착용자의 엉덩이는 더렵혀지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피부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세트의 탄성부재는 구멍을 경유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피부접촉시트에 교차상태로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는 구멍을 유지하도록 기저귀의 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가랑이부를 통과하여 지나고 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며,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는 구멍을 유지하도록 기저귀의 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가랑이부를 통과하여 지나고 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된다. 이 경우에, 수축력이 대략 균일하게 구멍의 주변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 탄성부재가 확장될 때, 구멍은 닫혀지지 않고 안전하게 열려질 수 있게 된다.
절단부가 기저귀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피부접촉시트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될 시, 소변은 맨 위 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재에 의해 신속히 흡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피부접촉시트가 불투수성의 것으로 선택될 시, 착용자의 엉덩이는 마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두번째 흡수재가 기저귀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피부접촉시트의 일부에 배치될 시, 소변은 흡수재에 의해 신속히 흡수될 수 있으며 변과 섞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흡수체 제품의 다른 형태로서 실시예의 세번째 그룹에 따른 기저귀를 나타내며, 도 20은 그것의 전개도를 나타내고, 도 21과 도 22는 후면시트측에 확장되거나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부접촉시트측의 전면도이며, 도 23은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확장하는 중심의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210)는 다음을 포함한다: 착용자의 허리를 덮게 되는 한 쌍의 세로측 테두리부(211)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후면 시트(212); 후면 시트(212)와 겹쳐지는 투수성 맨 위 시트(213); 후면 시트(212)와 맨 위 시트(213) 사이에 배치되고, 기저귀(210)의 전면부(210F)로부터 후면부(210R)로 연장되며, 대략 모래시계 모양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흡수재(214). 한 쌍의 세로측 테두리부(211)의 측면 가장자리는 결합부(2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융합/접합되어 전체는 속옷 팬티형으로 형성되며, 이에 허리 둘레 개구(216)와 한 쌍의 좌우 다리 둘레 개구(217)가 동시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기저귀(210)에서, 허리 둘레 개구(216)를 구성하는 후면 시트(212)와 맨 위 시트(213)의 끝 부분은 내측(맨 위 시트(213)측)으로 향하도록 접어올려지고,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확장되는 한 쌍의 전후 슬릿(218)이 접어올린 부분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전후 끝단의 날개(219)가 형성되고 날개의 맞은편 끝단은 결합부(215)에 고정된다. 이 끝단 테두리부(219)와 허리 둘레 개구(216)에서, 끝단 테두리부를 위한 다수의 신축성 날개부재(220)와 맨 위 시트(213)와 후면 시트(212) 사이에 배치되는 허리 둘레 탄성부재(221)는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확장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맨 위 시트(213)와 후면 시트(212) 사이에 배치되는 신축성의 다리 둘레 탄성부재(222)는 확장된 상태에서 다리 둘레 개구(217)를 따라 배치된다.
피부접촉시트(223)는 맨 위 시트(213)에 배치되며, 기저귀(210)의 전면부(210F)로부터 후면부(210R)로 연장되고, 시트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은 한 쌍의 전후 끝단 테두리부(219)에 결합된다. 피부접촉시트(223)의 길이는 확장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전후 슬릿(218)의 간격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후면 시트(212)와 맨 위 시트(213)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상태에 있을 때, 끝단 테두리부(219)는 잡아늘려지고 슬릿(218)은 크게 열려진다. 반대로, 슬릿(218)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질 때, 후면 시트(212)와 맨 위 시트(213)은 느슨해진다. 피부접촉시트(223)의 길이는 이런 방법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전후 슬릿(218)의 간격보다 더 짧게 설정되고, 이에 맨 위 시트(213)와 피부접촉시트(223) 사이에 공간(2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기저귀(210)의 착용시에 피부와 근접접촉하게 된다.
피부접촉시트(223)와 맨 위 시트(2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224)으로부터 맨 위 시트(213)로 변을 안내하기 위한 타원형 구멍(229)은 피부접촉시트(223)의 가랑이부에 형성된다. 피부접촉시트(223)가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까지의 범위에서 불투수성으로 형성될 때, 변과 소변의 혼합물은 피부접촉시트(223)에 의해 착용자의 엉덩이로부터 분리되며, 착용자의 엉덩이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소변은 피부접촉시트(223)를 통과하여 지나고 맨 위 시트(213)와 후면 시트(212)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재(214)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변은 피부접촉시트(223)의 가랑이부에 형성된 구멍(229)으로부터 피부접촉시트(223)과 맨 위시트(213) 사이의 공간(224)으로 안내되며, 맨 위 시트(213)에 고정된다. 이는 소변이 변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기저귀 발진의 발생을 줄인다.
도 24는 피부접촉시트(223)만을 발췌한 도면이다. 피부접촉시트(223)에서, 시트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번째 흡수재(225)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스트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물기가 없는 만족스런 촉감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두번째 흡수재(225)는 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피부접촉시트(223)는 흡수재로 코팅되어서, 흡수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착용시에 불편함을 완화시킨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끝단 테두리부(219)는 허리 둘레 개구(216)의 전 범위에 형성되나,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의 것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갖을 수 있으며, 또한 탄성부재는 전후면부에서 허리 둘레 개구(216)의 부근 이외의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개된 상태에 있는 피부접촉시트(223) 측면의 전면 형상은 후면 시트 측면이 확장되지 않는 것으로 도 25에 도시되나,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전후면부에서 허리 둘레 개구(216)와 다리 둘레 개구(217) 사이에 측면 테두리부(211)을 포함하는 범위에서, 흡수재(214)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부재(232)는 확장된 상태에서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다리 둘레 탄성부재(222)의 세로방향 반대측단은 우측 각도로 이들 탄성부재(232)에 교차하도록 전면부의 탄성부재(232)와 후면부의 탄성부재(232)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끝단 테두리부(219)는 기저귀(210)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만 배치되고, 슬릿(218)은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슬릿(218)으로부터 허리 둘레 개구(216)의 범위는 맨 위 시트(213)에 완전히 결합되고, 끝단 테두리부(220)의 다수의 탄성부재는 자유상태에서 가랑이부에 확장된 상태로 배치된다.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은 슬릿(218)으로부터 가랑이부상에서 끝단 테두리부(219)의 부분에 완전히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 길이는 기저귀(210)의 늘려진 상태에서 한 쌍의 전후 슬릿(218)의 간격 보다 짧게 설정된다. 이에, 피부접촉시트(223)는 기저귀(210)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근접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 적어도 전면부는 투수성으로 형성되고, 이에 소변은 피부접촉시트(223)를 통과하여 지나고 맨 위 시트(213)로부터 흡수재(214)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절단부가 피부접촉시트(223)의 전면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될 시에도, 피부접촉시트(223)를 통과하여 지나지 않으면서 소변이 맨 위 시트(213)로부터 흡수재(214)에 의해 직접적으로 흡수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형상은 도 26에서 전개된 상태로 도시되고,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절단부(226)는 이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 전면부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에 소변은 피부접촉시트(223)을 통과하여 맨 위 시트(213)로부터 흡수재(214)로 직접적으로 흡수된다. 그러므로, 피부접촉시트(223) 전체를 불투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소변이 변과 섞이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한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 맞은편 끝단(223E)은 신축성의 끝단 테두리부(219)에 결합된다. 그러나, 기저귀(2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되는 슬릿은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형성되며,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 맞은편 끝단(223E)은 슬릿으로부터 허리 둘레 개구 측부의 근처에서 우측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형상이 전개된 형태로 도 27에 도시되고,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후면 시트(212)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 각각은 맨 위 시트(213)에 완전히 결합되는 접어올린 부분(227)을 형성하기 위하여 맨 위 시트(213) 측부에서 접어올려지며,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한 쌍의 전후 슬릿(228)이 접어올린 부분(227)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슬릿(228)은 기저귀(2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된다. 그러므로, 허리 둘레 개구(216)는 기저귀(210)의 전후면부에서 테입형 부분을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서 이 부분은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에 결합된다. 허리 둘레 탄성부재(221)는 슬릿(228)을 통과하여 접어올린 부분(227)의 전 범위에 배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에 결합되는 전후 접어올린 부분(227) 사이의 거리는 피부접촉시트(223)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된다.
두번째 흡수재(225)는 이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나아가 후면부는 본 발명의 구멍을 구성하는 그물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기저귀(210)의 착용시에, 허리 둘레 개구(216)의 테입형 부분은 피부접촉시트(223)에 의해 늘려지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접촉시트, 후면 시트(212), 맨 위 시트(213)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확장되며, 변은 그물 모양을 구비하는 피부접촉시트(223)의 후면부를 통과하여 지나고 맨 위 시트(213)상에 고정된다.
상기된 피부접촉시트(223) 대신에, 도 28의 실시예에 나타낸 것처럼 도 24에 도시된 피부접촉시트(223)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소변은 피부접촉시트 (223)의 두번째 흡수재(225)에 수용되고, 변은 구멍(229)을 통과하여 맨 위 시트(213)에 수용되어, 소변과 변이 쉽게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접촉시트(223)의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로의 범위 중 폭 방향의 중심부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신축성의 탄성부재(231)는 테입형의 피부접촉시트(223)의 후면부에서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에 피부접촉시트(223)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안전하게 근접접촉한 상태로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8과 도 29에서,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된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이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형상을 전개된 형태로나타내며, 도 31과 도 32는 피부접촉시트(223) 측부상의 전면 형상을 후면 시트측상에서 확장되거나 확장되지 않는 상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33은 기저귀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중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후면 시트(212)와 맨 위 시트(213) 사이에 배치되는 허리 둘레 탄성부재(221)는 기저귀(210)의 내외부에 이르는 슬릿(228)에 의해 분할된다. 기저귀(210)의 전후면부에 대해,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은 허리 둘레 개구(216)에 테입결합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착용시 허리 둘레 개구(216)의 테입형 부분은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잡아늘려지고 길어지며, 피부접촉시트(223)와 후면 시트(212), 맨 위 시트(213) 사이에는 공간(224)이 형성된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끝단 테두리부에 대한 탄성부재(220)와 허리 둘레 탄성부재(221)는 착용시에 끝단 테두리부(219)와 테입형 허리 둘레 개구(216)를 늘이기 위해 사용되나, 자체적으로 길어지는 신축성 시트가 끝단 테두리부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이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형상을 전개된 형태로 나타내나,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는 본 발명에서 끝단 테두리부(219)를 위해 사용되고,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배치되며, 시트의 맞은편 끝단은 결합부(215)에 완전히 결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피부접촉시트(223)의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이 결합되는 끝단 테두리부(219)의 부분들 사이의 세로 길이는 피부접촉시트(223)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착용시 끝단 테두리부(219)는 피부접촉시트(223)에 의해 신축되고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옮겨지며, 피부접촉시트(223)와 후면 시트(212), 맨 위 시트(2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신축성 시트를 끝단 테두리부(219)로 사용하기 위하여, 신축적 탄력을 구비하는 비직조 직물에 더하여, 천연고무의 리본형 판 고무 또는 우레탄 실, 실 고무, 신축성 그물, 신축성 필름이 비직조 직물에 함유될 수 있으며, 열용융 접착제와 열봉합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된다.
시트가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 한, 신축성 시트는 허리 둘레 개구(216)의 열린 끝단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이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의 형상을 전개된 형태로 나타내나, 상기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기능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기재되며, 장황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223E)이 결합되는 한 쌍의 전후 끝단 테두리부(219)는 세로 및 가로로 신축하는 시트를 이용하여 허리 둘레 개구(216)를 따라 배치되며, 허리 둘레 개구(216)의 열린 끝단측은 맨 위 시트(213)에 완전히 결합된다. 또한, 후면 시트(212)는 결합부에서 접어올려지고, 허리 둘레 탄성부재(221)는 고정된다. 그러므로, 기저귀(210)의 착용시에 끝단 테두리부(219)는 피부접촉시트(223)에 의해 연장하도록 신축되고, 피부접촉시트(223)은 착용자의 피부와 근접접촉하게 된다.
상기된 실시예에서, 타원형 구멍(229)은 피부접촉시트(223)의 가랑이부에 형성되나, 구멍(229)의 모양은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절단부(230)는 도 36에 도시된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접촉시트(223)의 다른 실시예의 형상을 나타낸다. 상기된 두번째 흡수재(225)는 피부접촉시트(223)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절달부(230)를 경유하여 대략 평행하게 적용된다. 절단부(230)이 구멍(229) 내부에 형성될 시, 절단부(230)로부터 피부접촉시트(223)와 맨 위 시트(213)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되는 변의 역방향 흐름은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저하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엉덩이는 보다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230)는 전 후면부상에서 세로 방향의 일 끝단(223)까지 배치될 수 있으며, 끝단간의 간격은 맨 위 시트(213) 측부에 Y형으로 확대된다. 변은 절단부(230)를 통과하여 맨 위 시트(213)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세번째 그룹)에 따라, 신축성의 밴드부재는 흡수재측의 적어도 하나의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형성되며,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재 표면에 배치되고, 신축성의 밴드부재는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방향의 끝단에 결합되며, 피부접촉시트에 신축성을 주게 된다. 기저귀의 착용시에, 피부접촉시트는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신축되는 신축성 밴드부재의 수축력에 의해서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근접접촉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투수성의 맨 위 시트가 흡수재와 피부접촉시트 사이에 배치될 시, 소변은 흡수재에 의해 쉽게 흡수된다. 또한, 착용자의 피부가 맨 위 시트에 접촉한 상태에있다 하더라도, 피부는 젖은 흡수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배치되고 그것의 끝단이 흡수재측에 결합되며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신축성을 구비하는 끝단 테두리부는 신축성의 밴드부재를 형성하고, 한 쌍의 전후 끝단 테두리부는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배치되며,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은 한 쌍의 끝단 테두리부에 결합된다. 적어도 전면부는 투수성으로 형성되고, 가랑이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한 쌍의 끝단 테두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길이는 한 쌍의 끝단 테두리부 사이의 확장된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이 경우에,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늘려진 끝단 테두리부의 수축력에 의해, 피부접촉시트는 근접접촉상태로 착용자에 접촉되고, 피부접촉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변은 구멍을 통과하여 후면 시트로 안내되고, 착용자의 엉덩이는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설 후 착용자의 이동 또는 변의 유동으로 인하여 후면 시트상에 변이 들러붙게 된다 하더라도, 착용자의 엉덩이가 쉽게 더렵혀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피부 트러블이 쉽게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기저귀가 제공될 수 있다.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이 절단부일 때, 착용자의 엉덩이는 절단부로부터 후면 시트로 안내되는 변의 역방향 흐름에 대한 억제의 결과로서 보다 더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배치되며 그것의 맞은편 끝단이 흡수재 측부에 결합되고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신축성을 구비하는 끝단 테두리부는 신축성의 밴드부재를 형성하며, 한 쌍의 전후 끝단 테두리부는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배치되고,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은 한 쌍의 끝단 테두리부에 결합된다. 전면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가랑이부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한 쌍의 끝단 테두리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길이는 한 쌍의 끝단 테두리부 사이의 확장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이 경우에,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펼쳐진 끝단 테두리부의 수축력에 의해, 피부접촉시트는 근접접촉상태로 착용자에게 접촉하고, 피부접촉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변은 흡수재에 의해 피부접촉시트의 절단부로부터 신속히 흡수되고, 변은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후면 시트로 수용되고, 결과적으로 이들이 섞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적어도 후면 시트가 끝단 테두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흡수재 측부에서 접어올려질 때, 후면 시트의 것과 동일한 재료는 끝단 테두리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끝단 테두리부로서 비싼 탄성 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기저귀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끝단 테두리부가 확장된 상태에서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배치되는 신축성 탄성부재를 포함시, 바람직한 신축성의 탄성부재로서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피부접촉시트의 접촉강도는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한 쌍의 전후 슬릿은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형성되고, 신축성의 탄성부재는 신축성 밴드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확장된 상태에서 슬릿을 경유하고 슬릿을 따라배치되며,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은 한 쌍의 슬릿 부근에서 결합된다. 적어도 전면부는 투수성으로 형성되고, 가랑이부에 구멍이 형성되며, 한 쌍의 슬릿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길이는 한 쌍의 슬릿 사이의 확장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이 경우에,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늘려지는 신축성의 밴드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피부접촉시트는 근접접촉상태로 착용자에 접촉되며, 피부접촉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변이 투수성을 갖는 피부접촉시트의 전면부로부터 흡수재에 의해 흡수되고, 변은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후면 시트로 수용되며, 결과적으로 이들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전후 슬릿은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형성되고, 신축성의 탄성부재는 신축성 밴드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확장된 상태에서 슬릿을 경유하고 슬릿을 따라 배치되며,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방향 맞은편 끝단은 한 쌍의 슬릿 부근에서 결합된다. 전면부의 폭 방향의 중심부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가랑이부에 구멍이 형성되며, 한 쌍의 슬릿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길이는 한 쌍의 슬릿 사이의 확장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된다. 이 경우에,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늘려진 신축성의 밴드부재의 수축력에 의하여, 피부접촉시트는 근접접촉상태로 착용자에 접촉하며, 피부접촉시트와 후면 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소변은 피부접촉시트의 절단부로부터 흡수재에 의해 흡수되고, 변은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후면 시트로 수용되며, 결과적으로 이들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의 적어도 하나는 슬릿으로부터 허리 둘레 개구의 열린 끝단에 결합되거나, 슬릿으로부터 가랑이부측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신축성 밴드부재와 비교하여 신축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착용자의 이동에 대해 피부접촉시트의 뒤따르는(follow-up)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흡수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신축성의 탄성부재는 확장된 상태에서 후면 시트의 적어도 한 쌍의 전후면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흡수재를 불필요하게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허리를 에두르는 기저귀의 적합성은 향상될 수 있다.
피부접촉시트에 두번째 흡수재를 배치하기 위하여, 특히 두번째 흡수재가 수퍼 흡수 폴리머(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피부접촉시트에 적용/형성될 시, 젖은 피부접촉시트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하더라도 마른 촉감은 유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두번째 흡수재의 두께는 축소될 수 있으며, 착용시에 불편한 느낌이 편안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변은 맨 위 시트를 통과하여 피부접촉시트의 절단부로부터 흡수재에 의해 신속히 흡수되고, 변은 피부접촉시트에 의해 수용된다. 결과적으로, 이들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피부접촉시트가 구멍의 분포상태 및 탄성부재의 배치를 발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흡수체 제품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기저귀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해소된다.

Claims (30)

  1. 불투수성 후면 시트와 후면 시트 위에 겹쳐지는 흡수재로 구성되고 착용상태에서 착용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면부로부터 후방에 위치되는 후면부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맨 위 층이되는 피부접촉시트가 흡수체 제품 위에 배치되며,
    피부접촉시트에는 착용자로부터 배설물의 통로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고,
    흡수체 제품과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에서 서로 결합되고, 비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맞은편 끝단 이외의 부분에서 흡수체 제품과 피부접촉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재를 커버하고 흡수재와 피부접촉시트 사이에 배치되며, 흡수체 제품의 세로 방향의 맞은편 끝단이 피부접촉시트와 접촉결합상태에 있고 맞은편 끝단 이외의 부분에서 맨 위 시트와 피부접촉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비접촉상태가 유지되는 투수성 맨 위 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착용상태에서 흡수체 제품의 적어도 가랑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는 흡수체 제품의 착용상태에서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폭 방향에서 전면부의 중심부에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는 그물형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는 거품형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재는 적어도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된 구멍을 에워싸도록 확장된 상태에서 피부접촉시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에 형성되는 구멍을 에워싸도록 확장된 상태에서 피부접촉시트에 결합되며,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연장하여 구멍의 부근으로 지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네 개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을 에두르고 서로 교차되도록 피부접촉시트에 교차형태로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의 맞은편측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와,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의 맞은편측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흡수체 제품의 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멍과 가랑이부의 맞은편측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와,
    흡수체 제품의 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구멍과 가랑이부의 맞은편측 가장자리를 통과하여 후면부의 타측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 구멍 가장자리의 상호 근접방향으로 장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부는 전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피부접촉시트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는 불투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7.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번째 흡수재는 전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피부접촉시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 시트는 착용자의 허리부분을 커버하는 한 쌍의 세로측 테부리부를 형성하며,
    각각의 측부 테부리부의 맞은편 가장자리는 허리 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포개지고,
    착용자의 허리를 에워싸고 피부접촉시트가 세로 방향으로 피부접촉시트의 끝단에서 신축성 밴드부재에 연결되며 이에 피부접촉시트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적절한 범위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신축성 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신축성 밴드부재는 신축성을 구비하는 전후 끝단 테두리부에 구성되고,
    피부접촉시트는 세로 방향에서 시트의 맞은편 끝단에 있는 각각의 끝단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세로 방향의 끝단 테두리부들 사이의 피부접촉시트의 치수는 끝단 테두리부들 사이의 확장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은 절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에는 전면부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절단부가 형성되고, 가랑이부에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끝단 테두리부는 흡수재 측부에서 후면 시트를 접어올리므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3. 제 22 항에 있어서, 끝단 테두리부는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배치되고 착용상태에서 확장된 상태를 얻도록 길이가 설정된 신축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4. 제 18 항 내지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축성 밴드부재는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 슬릿과, 착용상태에서 확장된 상태를 얻도록 각 슬릿을 경유하여 서로 맞은편에 배치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세로 방향의 피부접촉시트의 맞은편 끝단 각각은 한 쌍의 슬릿 각각의 부근에서 신축성의 탄성 밴드부재에 결합되며,
    세로 방향에서 한 쌍의 슬릿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치수는 한 쌍의 슬릿 사이의 확장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5.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의 구멍은 절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6.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에서 피부접촉시트의 맞은편 끝단 각각은 한 쌍의 슬릿 각각의 부근에서 탄성의 밴드부재에 결합되며,
    피부접촉시트의 전면부의 중심부에 폭 방향으로 절단부가 형성되고, 가랑이부에 구멍이 형성되며,
    한 쌍의 슬릿 사이에 위치되는 피부접촉시트의 세로 치수는 한 쌍의 슬릿 사이의 확장 치수보다 더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7. 제 18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에서 피부접촉시트의 맞은편 끝단의 적어도 하나는 허리 둘레 개구의 구멍 끝단에 근접하는 슬릿의 측부 또는, 슬릿으로부터 가랑이부에 근접한 측부상에서 탄성의 밴드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8. 제 18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용상태에서 늘어난 상태를 얻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신축성 탄성부재는 후면 시트의 적어도 한 쌍의 전후면부에서 허리 둘레 개구를 따라 연장되도록 근접한 위치로 흡수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29. 제 18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번째 흡수재는 피부접촉시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30. 제 29 항에 있어서, 피부접촉시트는 두번째 흡수재에 코팅되고, 흡수재는 수퍼 흡수 폴리머(SAP)와 미소 섬유 셀룰로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KR1020027017909A 2000-06-29 2001-06-28 흡수체 제품 KR100945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97378 2000-06-29
JP2000197378A JP4480859B2 (ja) 2000-06-29 2000-06-29 おむつ
JP2000346949A JP4484354B2 (ja) 2000-11-14 2000-11-14 おむつ
JPJP-P-2000-00346949 2000-11-14
JP2001002945A JP4090202B2 (ja) 2001-01-10 2001-01-10 吸収性物品
JPJP-P-2001-00002945 2001-01-10
PCT/JP2001/005584 WO2002000154A1 (fr) 2000-06-29 2001-06-28 Produit absorb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012A true KR20030018012A (ko) 2003-03-04
KR100945976B1 KR100945976B1 (ko) 2010-03-09

Family

ID=2734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909A KR100945976B1 (ko) 2000-06-29 2001-06-28 흡수체 제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40039363A1 (ko)
EP (1) EP1297809A4 (ko)
KR (1) KR100945976B1 (ko)
CN (1) CN100402008C (ko)
AU (1) AU2001267863A1 (ko)
BR (1) BR0112315A (ko)
CA (1) CA2413099C (ko)
MX (1) MXPA02012805A (ko)
TW (1) TW577317U (ko)
WO (1) WO20020001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287A (ko) * 2015-10-21 2017-12-20 길준모 일회용 기저귀
KR20190067674A (ko) * 2017-12-07 2019-06-17 송석준 유기농 목화 압축 솜을 사용한 일체형 면 생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1001B2 (ja) * 2000-12-06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EP1413275B1 (en) * 2002-10-17 2006-04-26 Uni-Charm Corporation Wearing article
JP3978390B2 (ja) 2002-11-20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04087028A1 (ja) * 2003-03-31 2004-10-14 Daio Paper Corporation 体液吸収性物品
EP1788998A1 (en) * 2004-09-13 2007-05-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urine-permeable coversheet
JP3919020B1 (ja) * 2005-10-14 2007-05-2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14555B2 (ja) * 2005-10-14 2007-05-16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19019B2 (ja) * 2005-10-14 2007-05-2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19023B1 (ja) * 2005-10-14 2007-05-2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87094B2 (ja) * 2005-10-14 2007-10-03 王子ネピア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TW200806271A (en) 2006-04-05 2008-02-01 Uni Charm Corp Absorbent wearing article and flexible structure with multiple tubiform portions
JP4871095B2 (ja) * 2006-04-06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MY149311A (en) * 2006-07-05 2013-08-30 Uni Charm Corp Absorptive article
JP2008061898A (ja) * 2006-09-08 2008-03-2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おむつ
JP4871098B2 (ja) * 2006-11-15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パンツ型おむつ
US7758947B2 (en) * 2006-12-06 2010-07-20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Web having apertures with convex sides
JP5138610B2 (ja) * 2006-12-28 2013-02-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
JP5054982B2 (ja) * 2007-01-12 2012-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5074774B2 (ja) * 2007-01-12 201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2008194181A (ja) * 2007-02-09 2008-08-28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おむつ
US8822015B1 (en) 2007-02-15 2014-09-02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Elastic composite having dual elasticized regions,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the elastic composite
JP5140295B2 (ja) * 2007-03-19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CA2686802C (en) * 2007-05-08 2016-02-16 Dsg Technology Holdings Ltd. Body conform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eg wraps and internal top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9082437A (ja) * 2007-09-28 2009-04-23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9125315A (ja) * 2007-11-22 2009-06-1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185607B2 (ja) * 2007-12-20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9148309A (ja) * 2007-12-18 2009-07-09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EP2241300B1 (en) * 2008-01-16 2013-11-20 Uni-charm Corporation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US7976525B2 (en) *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WO2009120985A2 (en) * 2008-03-27 2009-10-01 Life Spine, Inc. Self-contained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orthopedic implant components onto an orthopedic implant
JP2009285196A (ja) * 2008-05-29 2009-12-10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2009291321A (ja) * 2008-06-03 2009-12-17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208781B2 (ja) * 2009-01-19 2013-06-1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US9084700B2 (en) * 2009-02-04 2015-07-21 John D. Litva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pulpless absorbent core with improved performance
JP5414099B2 (ja) * 2009-03-31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283516B2 (en) * 2009-04-01 2012-10-09 Litvay John D Absorbent product with low dryness index
US9023003B1 (en) 2009-10-06 2015-05-05 Jennifer J. Bracci Neonatal absorbency pad and related methods
US8491555B2 (en) * 2009-10-06 2013-07-23 Jennifer J. Bracci Absorbency pad for use in neonatal care and related method of use
US9549858B2 (en) * 2010-01-06 2017-01-24 Ching-Yun Morris Yang Ultra-thin absorbent article
US20110162989A1 (en) 2010-01-06 2011-07-07 Ducker Paul M Ultra thin laminate with particulates in dense packages
JP5651395B2 (ja) * 2010-07-14 2015-01-1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TR201820492T4 (tr) 2011-12-13 2019-01-21 Daio Seishi Kk Emici ürün.
TR201809740T4 (tr) 2012-03-15 2018-07-23 Daio Seishi Kk Emici ürün.
JP5713951B2 (ja) * 2012-04-02 2015-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4009959A2 (en) * 2012-07-12 2014-01-16 Chaim Ben Natan Improved anti-irritant disposable diaper
US10675191B2 (en) * 2012-09-24 2020-06-09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impermeable surface sheet portion
KR101717210B1 (ko) * 2012-10-12 2017-03-16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
KR101773355B1 (ko) 2013-09-30 2017-08-31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EP3113740B1 (en) 2014-03-06 2018-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71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CN106061454A (zh) 2014-03-06 2016-10-26 宝洁公司 三维基底
WO2016108856A1 (en) * 2014-12-30 2016-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artially separable, skin-contacting topsheet layer
BR112017013213B1 (pt) 2014-12-30 2022-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go absorvente com camada de folha superior elevada em contato com a pele
US10758429B2 (en) * 2015-01-06 2020-09-01 Chaim Ben-Natan Anti-irritant diaper
CN106264884A (zh) * 2015-05-29 2017-01-04 江苏德邦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拉拉裤
EP3340954B1 (en) 2015-08-26 2020-03-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JP6558285B2 (ja) * 2016-03-17 2019-08-1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KR102164776B1 (ko) * 2017-03-31 2020-10-13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삼출물 관리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KR102164191B1 (ko) 2017-03-31 2020-10-1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삼출물 관리층을 구비한 흡수 용품
WO2018183627A1 (en) 2017-03-31 2018-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exudate management layer
US11273082B2 (en) * 2017-10-19 2022-03-15 Kathleen Cannon Techniques for urine and feces containment brief with sling
GB201814501D0 (en) * 2018-09-06 2018-10-24 Concepts For Success C4S Faeces separation sheet
JP7159141B2 (ja) * 2019-09-26 2022-10-24 大王製紙株式会社 機能性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7433107B2 (ja) 2020-03-27 2024-02-1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19941030U (zh) * 2022-09-28 2023-11-03 宝洁公司 吸收制品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68944B2 (en) * 1984-08-02 1988-01-14 Johnson & Johnson Diaper with facing raised above absorbent pad
SE456213B (sv) 1987-01-19 1988-09-19 Moelnlycke Ab For engangsbruk avsett absorberande alster, sasom en bloja, en dambinda , ett inkontinensskydd, ett forband eller liknande
US4795452A (en) 1987-09-23 198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antilevered cuff members
JPH0265861A (ja) 1988-08-31 1990-03-06 Daio Paper Corp 紙おむつ
US4892536A (en) * 1988-09-02 199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strands
US4990147A (en) * 1988-09-02 1991-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liner for waste material isolation
ES2047165T3 (es) * 1989-02-08 1994-02-16 Kao Corp Articulo absorbente.
US5037416A (en) * 1989-03-09 1991-08-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ally extensible topsheet
CA2031435A1 (en) * 1989-12-19 1991-06-20 Dan Darold Endres Conformable absorbent article
JP2996403B2 (ja) * 1989-12-28 1999-12-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501977B2 (ja) 1990-08-29 1996-05-29 株式会社東芝 通信制御装置
JP2875419B2 (ja) * 1991-08-01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転写材担持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579954Y2 (ja) * 1991-10-22 1998-09-03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US5171236A (en) * 1991-12-20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core spacers
EP0555183A1 (de) * 1992-02-07 1993-08-11 Ciba-Geigy Ag Schädlingsbekämpfungsmittel
JP3130365B2 (ja) 1992-04-30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肌当て上面シートに弾性開口部を有する使い捨てオムツ及びその弾性開口部を形成する方法
JPH0611723A (ja) * 1992-06-24 1994-01-21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の端子部に導体を形成する方法
JP2559050Y2 (ja) * 1992-07-01 1998-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587598Y2 (ja) * 1992-07-13 1998-12-1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603257Y2 (ja) * 1992-07-17 2000-03-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757931B2 (ja) * 1993-05-26 1998-05-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テープレス形吸収体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89095A (en) * 1993-07-28 1995-02-14 Paragon Trade Brands, Inc. Suspended absorbent diaper article
JP2580205Y2 (ja) * 1993-11-26 199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SE508261C2 (sv) * 1993-12-13 1998-09-21 Moelnlycke Ab Blöja
SE502549C2 (sv) * 1994-03-18 1995-11-13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ett öppningsförsett toppskikt
US5830203A (en) * 1994-05-24 1998-11-03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853403A (en) 1994-10-25 1998-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tacting liquid control member
SE503780C2 (sv) * 1994-12-30 1996-09-02 Moelnlycke Ab Absorberande alster med läckagebarriär i alstrets bakparti
SE508632C2 (sv) * 1995-02-02 1998-10-19 Sca Hygiene Prod Ab Sätt att elastifiera ett underlagsämne
JPH09276333A (ja) 1996-04-16 1997-10-28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JP3343191B2 (ja) 1996-07-02 2002-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JPH1043236A (ja) 1996-07-31 1998-02-17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US6423884B1 (en) * 1996-10-11 2002-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pertures for fecal material
JP3016367B2 (ja) * 1996-12-13 2000-03-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高吸水性三次元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40790B2 (ja) 1997-05-16 2006-02-01 王子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406205B2 (ja) * 1997-10-08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H11253490A (ja) 1998-03-16 1999-09-21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
JPH11342156A (ja) * 1998-05-30 1999-12-14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US5873868A (en) * 1998-06-05 1999-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topsheet that includes selectively openable and closable openings
US6794557B1 (en) * 1999-07-16 2004-09-21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mploy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1244404A4 (en) * 1999-10-15 2005-01-05 Drypers Corp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CONFINEMENT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287A (ko) * 2015-10-21 2017-12-20 길준모 일회용 기저귀
KR20190067674A (ko) * 2017-12-07 2019-06-17 송석준 유기농 목화 압축 솜을 사용한 일체형 면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12315A (pt) 2003-06-24
AU2001267863A1 (en) 2002-01-08
EP1297809A4 (en) 2005-01-19
CN1440263A (zh) 2003-09-03
EP1297809A1 (en) 2003-04-02
CA2413099A1 (en) 2002-12-16
US20040039363A1 (en) 2004-02-26
US20080065038A1 (en) 2008-03-13
CA2413099C (en) 2009-06-02
MXPA02012805A (es) 2005-02-25
WO2002000154A1 (fr) 2002-01-03
CN100402008C (zh) 2008-07-16
US7842019B2 (en) 2010-11-30
KR100945976B1 (ko) 2010-03-09
TW577317U (en)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976B1 (ko) 흡수체 제품
RU2387430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AU2007329938B2 (en) Absorbing article
JP3987094B2 (ja) 使い捨ておむつ
US7566330B2 (en) Disposable diaper
JP3830545B2 (ja) 脚閉鎖部を有する吸収性製品
US6123692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ront urine-collecting part and a rear faeces-collecting part
US20070078420A1 (en) Absorptive product having removable absorbers
CZ174997A3 (en) Absorption articles with enhanced properties
JP4678632B2 (ja) 折り返し部を有する吸収体製品
JPH04102452A (ja) 密着式吸収性物品
JP2008023365A (ja) 折り返し部を有する吸収体製品
CZ283272B6 (cs) Absorpční výrobek
JP4090202B2 (ja) 吸収性物品
JP4484354B2 (ja) おむつ
JP4625393B2 (ja) 吸収性物品
JP5175689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21117716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A2171179A1 (en) Absorbent article
JP2002515796A (ja) 液体と固体排泄物の封じ込め用プリーツを有するおしめ
JP500240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887293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46085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887284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4088116B2 (ja) 体液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725

Effective date: 200905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