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210B1 -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 - Google Patents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210B1
KR101717210B1 KR1020157007385A KR20157007385A KR101717210B1 KR 101717210 B1 KR101717210 B1 KR 101717210B1 KR 1020157007385 A KR1020157007385 A KR 1020157007385A KR 20157007385 A KR20157007385 A KR 20157007385A KR 101717210 B1 KR101717210 B1 KR 101717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sheet
connecting sheet
body fluid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569A (ko
Inventor
미가쿠 스즈키
요시오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the apertures being formed on a multilayer top sheet

Abstract

[과제]
종래의 흡수체 물품의 흡수 눙력에 대한 과제 및 착용자의 피부가 장기간에 걸쳐 습윤 상태에 노출됨으로써 생기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흡수체 물품의 제공.
[해결 수단]
시트상의 방누체와,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서 배치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연결 구조체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를 갖고, 연결 시트가 띠 형상 지지체의 하측에 흡수체를 향해서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고, 연결 시트의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연결 시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이 형성되어 있고, 체액 수용 커넬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흡수체 물품.

Description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ABSORBENT PRODUCT PROVIDED WITH BODY-FLUID RECEIVING CANALS}
본 발명은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이 기저귀(Disposable Diaper)(아이용 및 어른용), 생리용 냅킨, 실금 용품, 트레이닝 팬츠 등의 흡수체 물품은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이하 「SAP」라고도 함.)나 플러프(fluff)상 펄프 등을 사용한 흡수체에 의하여,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오줌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물품이다.
종래의 흡수체 물품에 있어서는, 배출된 체액은 배출기로부터 직접적으로 흡수체의 표면 위로 배출되어, 흡수체의 표면에서의 확산과 흡수체의 표면으로부터 흡수체의 내부로의 이행에 의하여 흡수체에 흡수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흡수체 물품으로부터 외부로의 체액의 리크(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흡수체 물품을 착용자의 신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키고, 또한,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특히 배출기를 밀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흡수체 물품을, 흡수체 물품이 갖는 흡수 능력을 최대한으로 살려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1회의 체액의 배설마다 흡수체 물품을 교환하는 것이 아니고, 체액이 1회 배출되어도 교환하지 않고, 2회째 이후의 체액의 배설까지 사용을 계속하는 복수회 사용이 필요해진다.
하지만, 복수회 사용의 경우에는, 착용자는 필연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체액으로 젖어 있는 흡수체의 표면과 피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이러한 장시간에 걸쳐 착용자의 피부에 체액이 접촉하는 상태는 착용자에게 있어서 불쾌할 뿐만 아니라, 피부를 팽화(膨化)시키고, 세균 증식의 원인이 되어, 발진이나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흡수체 물품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기성 백 시트의 사용, 표면 시트의 개량 등의 노력이 되어 왔지만, 결국은 흡수 능력에 아직 충분히 여력이 남아 있어도, 흡수체의 표면이 젖는 상태를 감지하여, 새로운 흡수체 물품과 교환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의 발생을 회피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아이용 기저귀에서는 평균적으로 흡수 능력의 40% 정도밖에 이용되고 있지 않다고 한다.
본 발명자는, 자원 절약·에너지 절약이 시대의 요청인 현재, 흡수체 물품의 효율적인 사용과, 체액과 피부의 장시간의 접촉에 의해 생기는 문제의 발생 방지를 양립할 수 있는 흡수체 물품의 개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 발명자는 우선, 문제의 소재를 밝히기 위하여, 재차 흡수체 물품이란 어떤 것인지를, 종이 기저귀를 예로 구체적으로 해석하였다.
도 28은 종이 기저귀의 라이프 사이클의 설명도이다.
종이 기저귀의 라이프 사이클이란, 착용자가 미사용 종이 기저귀를 장착하고, 체액(오줌)의 수용, 체액의 분배, 체액의 흡수·고정으로 이루어진 사용 사이클을 반복하여 다수회 사용하고(도 28에서는 3회), 사용 끝난 것으로 하여 탈착하고, 폐기할 때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 종이 기저귀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하여 검토하여, 다수회의 반복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효율성과 쾌적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A) 흡수 능력에 대한 과제
(a1) 종래의 종이 기저귀의 대부분이 이론값으로서, 표준적인 오줌량을 3회분 흡수할 수 있는 흡수 능력을 갖고 있지만, 흡수체의 일부분이 집중적으로 오줌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론상의 흡수 능력보다 조기에 오줌 누출의 한계에 도달해 버린다.
(a2) 종래의 종이 기저귀에서는 착용 체위에 의해 흡수체의 이용 부위의 치우침이 커진다.
(a3) 종래의 종이 기저귀에서는 특히 사타구니(crotch) 부분(밑아래부)의 형상과 흡수 능력에 기인하는 트러블이 많다. 이것은, 사타구니 부분이 국부에 근접하는 부분인 것, 사타구니 부분이 폭이 가장 좁아지는 부분인 것, 및 사타구니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끊임없이 플렉서블하게 변형하는 것이 요구되는 부분인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B) 착용자의 피부가 장기간에 걸쳐 습윤 상태에 노출됨으로써 생기는 과제
(b1) 발진의 발생은 물론이거니와, 발진이 잠재화되어 있는 상태도 회피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b2) 흡수체가 흡수 능력의 한계까지 오줌을 흡수하고, 그것에 의해 흡수체의 표면의 습윤의 정도가 강해져도, 여전히 피부가 젖지 않는 연구가 필요하다. 즉, 종래의 드라이 대응의 탑 시트에서는 해결 불가능한 레벨의 표면으로 되돌아오는 액량의 발생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b3) 흡수체의 표면이 습윤 상태가 된 경우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 같은 케이스를 회피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흡수 능력에 대한 과제 및 착용자의 피부가 장기간에 걸쳐 습윤 상태에 노출됨으로써 생기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흡수체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이들 과제를 발견하여, 더욱 예의 연구한 결과, 흡수체(특히, 사타구니 부위)에 체액을 직접 이행시키지 않고, 체위에 관계없이, 전후로 체액의 이행 및 분배를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흡수체의 전체를 가능한 한 균등하게 사용하여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상기 (a1)의 해소), 착용 체위에 의한 체액의 치우침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상기 (a2)의 해소), 및 흡수체의 전단부 부근 및 후단부 부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타구니 부위에는 체액이 유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것(상기 (a3)의 해소)을 발견하고, 또한 상기 구성을,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배출되는 체액의 전량을 수용하고, 일시적으로 저류할 수 있는 구조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실현함으로써,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가 항상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발진이나 그 잠재화 상태의 회피(상기 (bl)의 실현), 흡수체가 흡수 능력의 한계까지 오줌을 흡수한 경우의 피부 젖음의 회피(상기 (b2)의 실현), 및 (b3) 흡수체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와의 사이에서의 마찰력의 발생의 회피(상기 (b3)의 실현)가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19)를 제공한다.
(1)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前身頃), 밑아래부 및 뒷판(後身頃)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에서 결합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가,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에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하측에 상기 흡수체를 향하여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상기 연결 시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底面)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상기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흡수체 물품.
(2) (1)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저면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의 하면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이 결합하고 있는, 흡수체 물품.
(3)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밑아래부에서, 상기 흡수체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흡수체 물품.
(4)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의 적어도 1개소에서, 상기 저면의 좌우 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상기 흡수체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흡수체 물품
(5)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그 상부에 개구를 갖는, 흡수체 물품.
(6)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가 적어도 그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흡수체 물품.
(7)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에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한 출구가 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8)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에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한 출구가 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9)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에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한 출구가 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0)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1)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친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2)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동시에 갖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3)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가 액 투과성의 개공(開孔)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4)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그 전단 및 상기 전단으로부터 나란히 늘어선 좌우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에 의하여 전부(前部)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5)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그 후단 및 상기 후단으로부터 나란히 늘어선 좌우 양쪽 테두리 부분에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에 의하여 후부(後部)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6)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수하도(垂下度)가 밑아래부로부터 뒷판에 걸쳐서 작아지는, 흡수체 물품.
단, 수하도(h/w)는,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의 내측의 간격(w)에 대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상면을 잇는 면과 상기 연결 시트의 저면과의 거리(h)의 비이다.
(17)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수하도가 밑아래부로부터 앞판에 걸쳐서 작아지는, 흡수체 물품.
단, 수하도(h/w)는,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의 내측의 간격(w)에 대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상면을 잇는 면과 상기 연결 시트의 저면과의 거리(h)의 비이다.
(18)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이너 래그 개더(inner leg gather)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9)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아우터 레그 개더(outer leg gather)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은 흡수체의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의 피부가 장기간에 걸쳐 습윤 상태에 노출되지 않고, 발진 발생 등의 문제가 억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여러 가지의 연결 구조체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체액 수용 커넬의 여러 가지 형성 상태의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5는 체액 수용 커넬의 여러 가지 형성 상태의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6은 체액 수용 커넬의 여러 가지 형성 상태 및 배치의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7은 여러 가지 노치를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여러 가지 개구를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여러 가지 슬릿을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여러 가지 출구를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흡수체 물품에서의 띠 형상 지지체의 배치 상태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12는 여러 가지 띠 형상 지지체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흡수체 물품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1은 비교예 1의 복와위(伏臥位; prone position)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2는 비교예 1의 앙와위(仰臥位; supine position)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1의 복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1의 앙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2의 복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2의 앙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2의 앙와위에서의 제 2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8은 종이 기저귀의 라이프 사이클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적합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실제로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측을 「상」이라고 하고, 먼 측을 「하」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실제로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몸의 전측에 대응하는 측을 「전」이라고 하고, 후측에 대응하는 측을 「후」라고 한다. 또한, 각 도면 중,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로는 접촉하고 있는 부재를 이간시켜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첨부한 도면 중의 각 평면도에서는 도면의 좌측에 흡수체 물품 등의 전측이 위치하도록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체 물품 본체」란 흡수체 물품의 구성 부재인 방누체, 방누체 위에 형성할 수 있는 탑 시트, 기타 흡수체 물품에 형성할 수 있는 각종 부재를 총칭해서 말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흡수체 물품이 기저귀인 경우에는, 흡수체 물품 본체를 기저귀 본체라고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체의 표면」이란 흡수체가 노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표면을 의미하고, 흡수체가 확산 시트, 어퀴지션(acqusition) 시트, 탑 시트(표면 시트) 등으로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복하고 있는 확산 시트, 어퀴지션 시트, 탑 시트(표면 시트) 등의 표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A)는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전개 평면도이다. 도 1(B)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1(A) 중의 ⅠB-Ⅰ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l(C)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100)은 테이프형 기저귀로서 구성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시트상의 방누체(10)와, 방누체(10)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12)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F), 밑아래부(C) 및 뒷판(R)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에서 결합하는 연결 구조체(14)를 구비한다.
방누체(1O)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백 시트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PE, PP, PET, EVA 등의 수지의 필름; 상기 수지의 발포 시트 등의 체액 불투과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체액 불투과성 시트는 통기성 필름 등의 통기성을 갖는 것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지의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감촉이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름과 부직포의 복층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직포로서는 비교적 저평량의 SB, 써멀본드 부직포(예를 들어, 에어 스루(air through) 타입)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지의 필름과 후술하는 시트상 흡수체의 복층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내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내수성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어, 내수도 100mmH2O 이상의 내수성을 갖는 SMS, 부직포 웹의 세공(細孔)을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스(MFC)나 왁스로 충전함으로써 내수성을 부여한 SMS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필름과 고내수성 부직포의 복층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방누체(1O)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방누체(10)는 시트상이며, 흡수체(12) 등을 상부에 수납하고, 또한, 연결 구조체(14)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체(12)는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된 목재 펄프, 분쇄된 목재 펄프와 입자상 또는 분체상의 SAP를 혼합하여 매트상으로 성형한 흡수체, 얇은 시트상으로 성형된 SAP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상 흡수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흡수체는 그 형상을 유지하고, 동시에 펄프나 SAP로부터 발생하는 미분의 발생이나 탈락을 방지하기 때문에, 티슈 페이퍼, 부직포, 개공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코어 랩핑재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코어 랩핑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코어 랩핑재도 포함하여 「흡수체」라고 부른다.
시트상 흡수체는 형태 안정성, SAP의 탈락 방지 성능 등이 우수하다.
시트상 흡수체 중에서도 SAP를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고흡수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흡수성 시트에서의 SAP의 함유량은 고흡수성 시트의 안정성 등의 점에서 9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시트는 SAP를 주성분으로 하는 극히 얇은 시트상 흡수체이다. 고흡수성 시트는 SAP의 함유량이 극히 높기 때문에, 두께가 극히 얇다. 고흡수성 시트의 두께는 1.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시트는 SAP를 주성분으로 하는 극히 얇은 시트상 흡수체이면, 구성이나 제조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ir Laid법으로 얻어지는 고흡수성 시트를 들 수 있다. Air Laid법은 분쇄한 목재 펄프와 SAP를 혼합하고, 결합제를 첨가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고흡수성 시트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미국 레이요니어(Rayonier)사 제조의 NOVATHIN(미국 등록 상표), OJI KINOCLOTH사 제조의 B-SAP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SAP의 분산 슬러리를 부직포 등의 체액 투과성 시트 위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고흡수성 시트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SAP의 분산 슬러리는 SAP와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스(MFC)를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에 분산시킨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주)일본 흡수체 기술 연구소 제조의 MegaThin(등록 상표)이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예를 들어, 기모상 부직포에 SAP를 대량으로 담지시키고, 핫 멜트 바인더, 에멀션 바인더, 수성 섬유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고흡수성 시트, 섬유상 SAP를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혼합하여 웹(web)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고흡수성 시트, SAP층의 상하를 티슈로 끼운 SAP 시트를 들 수 있다.
흡수체(12)는 방누체(10)의 상부에 적어도 1층 배치된다. 즉, 흡수체(12)는 1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복수층)이라도 좋다.
또한, 흡수체(12)는 접은 상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흡수체 물품 본체는 상술한 방누체(10)와 흡수체(12)를 갖고, 다른 구성 부 재를 갖고 있어도 좋다.
연결 구조체(14)는,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F), 밑아래부(C) 및 뒷판(R)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 배치된다. 연결 구조체(14)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흡수체 물품 본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와, 전단 결합부(20) 및 후단 결합부(22)에서 결합하고 있다. 결합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핫 멜트 접착제, 열 씰 접착 등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연결 구조체(14)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18)를 갖고 있다. 연결 시트(18)의 좌우의 가장자리부의 상면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의 하측과 결합부(24)에서 결합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는 2본(本)의 폴리우레탄 필라멘트를 병렬시켜서 부직포로 상하를 피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띠 형상 지지체(16)는 신축성 및 쿠션성을 갖고 있다.
연결 시트(18)는 앞판(F), 밑아래부(C) 및 뒷판(R)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 지지체(16)의 하측에 흡수체(12)를 향하여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 시트(18)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다.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액 수용 커넬(Ca)의 저면을 구성하는 연결 시트(18)의 하면의 일부와 흡수체(12)의 표면이 결합부(26)에서 결합하고 있다.
또한, 흡수체 물품(10O)에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시트(18)의 체액 수용 커넬(Ca)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밑아래부(C)에서 흡수체(12)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는 부분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체액 수용 커넬(Ca)의 형상이 착용자의 동작 등에 의한 흡수체(12)의 움직임이나 변형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연결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밑아래부에서 흡수체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시트(18)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의 적어도 1개소에서 저면의 좌우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흡수체(12)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26)의 전후의 부분에서는 연결 시트(18)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저면의 좌우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흡수체(12)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연결 시트(18)가 결합부(26)의 전후의 위치에 이간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을 가짐으로써, 연결 시트(18)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향하는 저면이 들뜨고, 저면의 밑아래부(C) 방향으로의 경사를 크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체액이 흡수체 물품 본체의 전단 및 후단에 도달하는 양을 적게 하여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의 적어도 1개소에서 저면의 좌우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흡수체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결합부(26)는 연결 시트(18)의 좌우 방향의 중앙의 위치에서, 앞판(F)의 일부로부터 밑아래부(C)를 지나, 뒷판(R)의 일부에 이르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A) 참조). 연결 시트(18)의 하면의 일부와 흡수체(12)의 표면을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핫 멜트 접착제, 열 씰 접착 등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은 좌우 대칭의 V자형을 띠고 있고,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의 사이는 개방되어, 개구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10O)은 착용시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부위가 체액 수용 커넬(Ca)의 양쪽 가장자리에 들떠있는 상태에서 존재하는 띠 형상 지지체(16)의 상면만으로 되고, 오줌 배출기도 항문,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의 사이의 개구에 수용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오줌을 배출하면, 배출된 오줌은 그 전량이 우선 이 체액 수용 커넬(Ca) 안에 수용되어, 오줌이 흡수체(12)의 표면에 직접 배출될 일은 없다.
체액 수용 커넬(Ca) 안에 저류된 오줌은 그 후 체액의 출구로부터 흡수체(12)의 표면에 분배되어, 공급된다.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에서 출구가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 시트(18)가 친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고, 액 투과성이 되어 있고, 이 부직포가 갖는 다수의 세공이 체액의 출구가 되어 있다. 따라서, 체액 수용 커넬(Ca) 안에 저류된 오줌은 그 후 다수의 세공을 통하여 흡수체(12)의 표면에 분배되고, 공급된다.
친수성의 부직포로서는 예를 들어 PE/PP제의 스펀본드 부직포(예를 들어, 칫소사 제조, 평량 15g/㎡)를 친수화 처리제에 의해 처리하여 액 투과성을 부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친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의 하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액 수용 커넬(Ca)은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흡수체(12)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체액은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이동하고, 체액 수용 커넬(Ca)의 출구를 통하여 흡수체(12)에 분배된다.
흡수체 물품(100)의 착용시에 있어서는 오줌의 1회째의 배출뿐만 아니라 2회째 이후의 배출에 대해서도 배출된 오줌은 전량이 우선 체액 수용 커넬(Ca) 안에 수용되어, 직접 흡수체(12)의 표면에 배출될 일은 없다.
따라서, 착용 개시 시로부터 착용 종료시까지 체액 수용 커넬(Ca)이 배리어가 되어, 착용자의 피부가 흡수체(12)의 표면에 접촉해서 피부를 적시는 상태는 되지 않는다.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배출된 체액은 체액 수용 커넬(Ca)에 의해 전량이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저류된 후, 연결 시트(18)가 전면적으로 액 투과성을 갖고 있으므로, 연결 시트(18)의 비교적 넓은 영역으로부터 스며나와 흡수체(12)의 표면에 공급된다. 이때, 착용 체위, 배출 속도, 배출량 등의 영향을 받는데, 흡수체(12)의 비교적 넓은 범위의 부분을 이용할 수 있고, 밑아래부(C)의 부분에 대한 부하는 대폭 억제된다.
또한, 착용자가 대변을 배출한 경우에는, 대변 중의 액 성분은 연결 시트(18)의 세공으로부터 흡수체(12)의 표면에 이행하지만, 고형 성분은 전량 체액 수용 커넬(Ca) 안에 머무른다.
도 1(C)에 도시된 같이, 흡수체 물품(100)에서의 체액 수용 커넬(Ca)은, 밑아래부(C)에서는 좌우 방향의 폭이 좁고, 또한, 상하 방향의 깊이가 깊어지고 있고, 밑아래부(C)로부터 앞판(F) 및 뒷판(R)의 각각에 걸쳐서 서서히 좌우 방향의 폭이 넓어지고, 상하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각종 부 재를 구비할 수 있다.
흡수체 물품(100)은 상기의 각 부재에 추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각종 부재를 구비한다.
방누체(10)의 후단 부근의 좌우 양측에는 착탈 부재(28)가 형성되어 있다. 방누체(10)의 전단 부근의 하면에는 착탈 부재와 서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착탈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착탈 부재는 예를 들어, 각종 면 퍼스너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누체(10)의 후단 부근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착탈 부재(28)로서, 벨크로 테이프(수(雄)), 방누체(1O)의 전단 부근의 하면에 형성되는 착탈 부재로서 TLZ(암((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 물품(100)은 흡수체 물품 본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아우터 레그 개더(OLG)(30)를 구비한다. OLG(30)는 병렬한 3개의 폴리우레탄 필라멘트(신축성 부재)가 방누체(10)와 탑 시트(3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탑 시트(3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이너 레그 개더(ILG)를 체액 수용 커넬(Ca)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OLG와 ILG를 양쪽 다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ILG는 좌우 한 쌍의 두부와 각부를 갖는 개더이고, 각부가 흡수체의 표면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 또는 흡수체 물품 본체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 결합해서 존재하는 것이며, 스탠딩 레그 개더(SLG)라고도 칭한다.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연결 구조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흡수체 물품(100)에 사용되는 연결 구조체(14)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A)는 평면도이며, 도 2(B)는 횡단면도이다.
연결 구조체(14)는 띠 형상 지지체(16)와 연결 시트(18)를 갖고 있다. 연결 구조체(14)는 예를 들어 연결 시트(18)의 좌우 양쪽 테두리를 띠 형상 지지체(16)에 결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결합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핫 멜트 접착제, 열 씰 접착 등을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흡수체 물품(10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구조체(14)가 체액 수용 커넬(Ca)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이하, 우선 연결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결 시트는 재료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PE, PP, PET, 폴리우레탄, SBR계 고무, PVA, EVA 등의 합성 수지의 필름, 개공 시트 및 네트 형상 시트; PE 섬유, PP 섬유, PET 섬유, PE/PP 복합 섬유, PE/PET 복합 섬유 등의 합성 섬유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건식 부직포, 습식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스펀본드/멜트블로운(melt-blown)/스펀본드 적층체로 대표되는 스펀멜트(spunmelt) 부직포; 목재 펄프, 코튼, 레이온, 리요셀(lyocell), 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스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친수성 섬유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건식 부직포, 습식 부직포 및 스펀본드 부직포를 적합하게 들 수 있다.
연결 시트는 평량 5 내지 50g/㎡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유연성이 있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여러 가지 연결 구조체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연결 구조체(14a)는 띠 형상 지지체(16a)와 연결 시트(18a)가 결합부(24a)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a)는 도 2에 도시되는 연결 구조체(14)에서의 띠 형상 지지체(16)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G)에서의 각 띠 형상 지지체(16a)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연결 시트(18a)는 단층이며,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재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형태의 연결 시트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공정이 간이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 시트로서, 소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PE/PP계의 스펀본드 부직포)의 일부(예를 들어, 중앙부만)에 친수화 처리(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에 의한 처리)를 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B)에 도시되는 연결 구조체(14b)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a)와 연결 시트(18b)가 결합부(24a)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 시트(18b)는 좌우 2장의 소수성 시트(18b')와 좌우 방향의 중앙의 친수성 시트(18b")가 결합부(24b)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연결 시트는 제조 공정이 도 3(A)에 도시되는 연결 시트(18a)와 비교해서 약간 복잡하지만, 여러 가지 소수성 시트와 여러 가지 친수성 시트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C)에 도시된 연결 구조체(14c)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a)와 연결 시트(18c)가 결합부(24a)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 시트(18c)는 소수성 시트(18c')의 상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친수성 시트(18c")가 배치되고, 결합부(24c)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 시트(18c)는 중앙부에서는 이중 구조를 갖고 있다. 이 형태의 연결 시트는, 도 3(B)에 도시된 연결 시트(18b)에 비하여, 재료 비용이 비싸지지만, 제조 공정이 간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3(D)에 도시된 연결 구조체(14d)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a)와 연결 시트(18d)가 결합부(24a)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 시트(18d)는 친수성 시트(18d')의 하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소수성 시트(18d")가 배치되고, 결합부(24d)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 시트(18d)는 중앙부에서는 이중 구조를 갖고 있다. 이 형태의 연결 시트는, 도 3(B)에 도시된 연결 시트(18b)에 비하여, 재료 비용이 비싸지지만, 제조 공정이 간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3(E)에 도시된 연결 구조체(14e)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a)와 연결 시트(18e)가, 연결 시트(18e)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가 상측에서 내측으로 되접어 꺽인 상태에서, 결합부(24a)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연결 시트(되접어 꺽임 연결 시트)는 좌우 방향의 폭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체액 수용 커넬(Ca)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체액의 저류 능력을 크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F)에 도시된 연결 구조체(14f)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a)와 연결 시트(18f)가, 연결 시트(18f)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가 상측에서 내측으로 되접어 꺽이고, 추가로 외측으로 뒤접어 꺽인 상태에서, 결합부(24a)에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연결 시트(접이식 연결 시트)는 좌우 방향의 폭을 더욱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체액 수용 커넬(Ca)의 용적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고, 체액의 저류 능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G)에 도시된 연결 구조체(14g)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a)와 연결 시트(18g)가, 연결 시트(18g)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a)를 상측에서 각각 감싸안음으로써,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연결 시트는 띠 형상 지지체가 연결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띠 형상 지지체의 표면에 요철이 있거나 단단함이 있거나 해도, 연결 시트의 부드러움이나 매끄러움에 의해 착용자의 감촉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결합을 위한 접착제의 사용량을 경감할 수 있다.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친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 및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동시에 갖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이다.
다음에, 체액 수용 커넬(Ca)의 형성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흡수체 물품(100)에서의 체액 수용 커넬(C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위치에 의해, 좌우 방향의 폭 및 상하 방향의 깊이가 다르다.
이것은, 연결 시트(18)는 그 자중(自重)으로 띠 형상 지지체(16)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것이지만, 그 수하(垂下)의 정도는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을수록 커지고, 또한, 좌우 방향에서는 띠 형상 지지체(16)로부터 가장 떨어진 중앙의 위치에서 커져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의 좌우 방향의 폭을 강제적으로 좁게 하거나, 연결 시트(18)에 응력을 가하면, 수하의 정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도 4는 체액 수용 커넬의 여러 가지 형성 상태의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4에서는 연결 구조체 및 흡수체만을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그 밖의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각 연결 구조체(14a)는 도 3(A)에 도시되는 것이다.
연결 시트(18a)는 띠 형상 지지체(16a)의 하측에 흡수체(12a)를 향하여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고, 연결 시트(18a)의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연결 시트(18a)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C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 시트의 수하의 정도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의 내측의 간격(w)에 대한 띠 형상 지지체의 상면을 잇는 면과 연결 시트의 저면의 거리(h)의 비인 수하도(h/w)로 나타난다.
도 4(A)에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의 저면을 구성하는 연결 시트(18a)의 하면은 흡수체(12a)와는 결합하지 않고, 이간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체액 수용 커넬(Ca)은 응력을 걸지 않는 이완 상태에서 깊이가 얕아지고 있고, 연결 시트(18a)의 수하도(h0/w0)가 0.1 내지 0.4 정도이다.
도 4(B)에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의 저면을 구성하는 연결 시트(18a)의 하면이 흡수체(12a)와 좌우 2개소의 결합부(26a)에서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저면의 좌우 방향의 폭이 넓은 체액 수용 커넬(Ca)이 형성되어 있다. 체액 수용 커넬(Ca)의 내면은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연결 시트(18a)의 수하도(h1/w1)는 0.3 내지 0.8 정도이다.
이와 같이, 연결 시트의 하면을 흡수체의 표면과 결합시켜서 고정함으로써, 결합시키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수하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도 4(C)에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의 저면을 구성하는 연결 시트(18a)의 하면이 흡수체(12a)와 좌우 방향의 중앙의 결합부(26b)에서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좌우 방향의 폭은 좁지만, 상하 방향의 깊이가 깊은 체액 수용 커넬(Ca)이 형성되어 있다. 체액 수용 커넬(Ca)의 내면은 V자형으로 되어 있다. 연결 시트(18a)의 수하도(h2/w2)는 최대로 1.5 내지 2.0 정도이다.
수하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액 수용 커넬(Ca)의 깊이의 지표인 동시에, 연결 구조체의 양쪽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띠 형상 지지체가 어느 정도 흡수체의 표면으로부터 들떠 있는지의 지표이기도 하다. 즉, 수하도가 커지면, 띠 형상 지지체와 흡수체의 표면과의 이간 거리가 커지고, 그에 따라, 착용자의 피부의 표면과 흡수체의 표면 사이의 이간 거리가 커지고, 배리어 효과(착용자의 피부와 흡수체의 표면의 접촉을 방지하는 효과)도 커진다.
본 발명에서는 수하도(h/w)가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이 밑아래부(C)에서는 좁고 깊지만, 뒷판(R)에서는 넓고 얕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 수용 커넬(Ca)로의 대변의 수용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하도(h/w)가 밑아래부(C)부터 앞판(F)에 걸쳐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이 밑아래부(C)에서는 좁고 깊지만, 앞판(F)에서는 넓고 얕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 수용 커넬(Ca)에서의 오줌 배출기의 존재 위치를 적절한 상태로 하기 쉽다.
이러한 체액 수용 커넬(Ca)의 형성 상태는 하나의 흡수체 물품에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형성 상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종류의 형성 상태를 사용하여, 앞판(F)의 전단부 부근 및 뒷판(R)의 후단부 부근의 위치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들뜬 상태로 하고, 밑아래부(C)의 전후 부근의 앞판(F) 및 뒷판(R)의 위치(오줌 배출기 부근 및 대변 배출기(항문) 부근)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폭이 넓은 저면을 갖는 상태로 하고, 재협착 부위인 밑아래부(C)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V자형의 내면을 가지고, 띠 형상 지지체(16a)의 흡수체(12a)의 표면으로부터의 이간의 정도가 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2종류의 형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와 도 4(B)에 도시된 상태의 조합, 도 4(A)에 도시된 상태와 도 4(C)에 도시된 상태의 조합, 및 도 4(B)에 도시된 상태와 도 4(C)에 도시된 상태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도 5는 체액 수용 커넬의 여러 가지 형성 상태의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5에서는 연결 시트만을 횡단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그 밖의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모두 기본적인 체액 수용 커넬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5(A)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U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도 4(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V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C)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저면의 폭이 넓고, 위를 향해서 좁게 되어 있는 U자형(바닥이 넓은 U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D)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저면의 폭이 좁고, 위를 향해서 넓게 되어 있는 U자형(바닥이 좁은 U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E) 내지 도 5(J)는 모두 상기의 기본적인 체액 수용 커넬의 형태의 조합을 도시한다.
도 5(E)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V자형의 부분과 U자형의 부분을 동시에 갖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F)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V자형의 부분과 바닥이 넓은 U자형의 부분을 동시에 갖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G)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V자형의 부분과 바닥이 좁은 U자형의 부분을 동시에 갖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H)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U자형의 부분과 바닥이 넓은 U자형의 부분을 동시에 갖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I)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U자형의 부분과 바닥이 좁은 U자형의 부분을 동시에 갖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도 5(J)에 도시된 연결 시트는 바닥이 넓은 U자형의 부분과 바닥이 좁은 U자형의 부분을 동시에 갖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들은 체액 수용 커넬의 형태의 적합예이며, 기저귀의 사이즈나, 팬츠형인지 테이프형인지의 차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외의 형태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체액 수용 커넬의 여러 가지 형성 상태 및 배치의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6에서는 연결 시트 및 흡수체만을 도시하고 있고, 그 밖의 부재는 생략하고 있다.
도 6(A)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는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 중의 ⅥB-Ⅵ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연결 시트(19)는, 그 폭 방향의 중앙에서, 전후 방향에 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결합부(27)에 의해 흡수체(13)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결 시트(19)는,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를 지나 뒷판(R)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에서, V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다. 즉, 연결 시트(19)는 결합부(27)가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형상을 띠는 한편, 결합부(27)가 존재하지 않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형상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시트(19)는 2개의 형상이 나란히 늘어선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다.
이 형태의 체액 수용 커넬은 깊게 형성하기 쉽고, 배리어 효과가 커지는 동시에, 제조도 간이하다.
도 6(C)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는 연결 시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D)는 도 6(C) 중의 ⅥD-ⅥD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며, 도 6(E)는 도 6(C) 중의 ⅥE-ⅥE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6(C) 내지 도 6(E)에 도시된 연결 시트(19a)는, 앞판(F) 및 뒷판(R)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각각 전후 방향에 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결합부(27a)에 의해 흡수체(13)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고, 밑아래부(C)에서는 흡수체(13)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다.
연결 시트(19a)는, 앞판(F) 및 뒷판(R)에서는, 각각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밑아래부(C)에서는, 이 체액 수용 커넬(Ca)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13)의 표면으로부터 들떠서, 깊이가 얇아져 있다. 즉, 연결 시트(19a)는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다.
이 형태의 체액 수용 커넬은 밑아래부(C)에서의 체액의 이동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체액의 전부 및 후부로의 이행을 많이 할 수 있다.
도 6(F)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는 연결 시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G)는 도 6(F) 중의 ⅥG-ⅥG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며, 도 6(H)는 도 6(F) 중의 ⅥH-ⅥH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6(F) 내지 도 6(H)에 도시된 연결 시트(19b)는 앞판(F) 및 뒷판(R)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각각 전후 방향에 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결합부(27b)에 의해, 흡수체(13)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고, 밑아래부(C)에서는 그 좌우 양측에 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결합부(27b')에 의해 흡수체(13)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결 시트(19b)는 앞판(F) 및 뒷판(R)에서는, 각각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밑아래부(C)에서는, 이 체액 수용 커넬(Ca)이,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넓은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즉, 연결 시트(19b)는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다.
이 형태의 체액 수용 커넬은 착용시에 오줌 배출기가 위치하는 부분인 전부(前部)의 상부 개구를 상대적으로 넓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6(I)는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는 연결 시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J)는 도 6(I) 중의 ⅥJ-ⅥJ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며, 도 6(K)는 도 6(I) 중의 ⅥK-ⅥK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6(L)은 도 6(I) 중의 ⅥL-ⅥL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6(I) 내지 도 6(L)에 도시된 연결 시트(19c)는, 앞판(F) 및 뒷판(R)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그 좌우 양측에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7c)에 의해 흡수체(13)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고, 밑아래부(C)로부터 앞판(F)의 후부 부근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전후 방향에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7c')에 의해 흡수체(13)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결 시트(19c)는 앞판(F)의 후부 부근에서는,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의 3개소에서 흡수체(13)의 표면과 결합하고, 바닥이 넓은 U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고, 밑아래부(C)에서는, 이 체액 수용 커넬(Ca)이, 도 6(K)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앞판(F)의 후부 부근 이외의 부분 및 뒷판(R)에서는, 각각 도 6(L)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되어 있다. 즉, 연결 시트(19c)는 4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다.
이 형태의 체액 수용 커넬은 착용시에 오줌 배출기가 위치하는 부분인 전부의 상부 개구와, 착용시에 대변 배출기(항문)이 위치하는 부분인 후부의 상부 개구를 각각 상대적으로 넓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식도이고, 실제의 흡수체 물품에서의 체액 수용 커넬은 연결 시트의 저면과 흡수체의 표면과의 결합부의 위치 등이 동일하여도, 전후 방향의 존재 위치, 띠 형상 지지체의 신축도 등에 의한 응력의 영향 등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구조체가 전후 방향의 응력을 받으면, 줄어든 상태의 띠 형상 지지체가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고, 이것에 의해 체액 수용 커넬의 개구(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의 간격)이 좌우 방향으로 넓어져, V 자형의 형태이면, 넓게 열리는 형상이 된다. 반대로, 연결 구조체가 전후 방향의 응력을 받지 않으면, 줄어든 상태의 띠 형상 지지체에 의해 체액 수용 캐널의 개구(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의 간격)이 좌우 방향으로 좁아지고, V자형의 형태이면, 좁게 닫는 형상이 된다.
체액 수용 커넬(Ca)은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다는 기능을 나타내지만,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첫번째, 전체가 액 투과성인 연결 시트를 사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친수성 재료(예를 들어, 셀룰로스계의 부직포)에 의해 연결 시트를 구성하는 형태(예를 들어, 상술한 흡수체 물품(100)에서의 연결 시트(18)), 소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스펀멜트 부직포)를 친수화 처리하여 액 투과성을 부여한 것에 의해 연결 시트를 구성하는 형태, 물리적인 액 투과성을 갖는 재료(예를 들어, 개공 PE 필름 등의 액 투과성의 개공 필름)에 의해 연결 시트를 구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두번째로, 일부가 액 투과성인 연결 시트를 사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친수성 재료(예를 들어, 셀룰로스계의 부직포)에 의해 연결 시트의 일부(예를 들어, 연결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 착용자의 밑아래부에 상당하는 부분)를 구성하는 형태, 소수성의 부직포(예를 들어, 스펀멜트 부직포)를 친수화 처리하여 액 투과성을 부여한 것에 의해 연결 시트의 일부(예를 들어, 연결 시트의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 착용자의 밑아래부에 상당하는 부분)를 구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세번째로, 체액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출구를 형성한 연결 시트를 사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체액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출구로서는 예를 들어, 노치, 개구, 슬릿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노치는 형상, 크기, 위치, 개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개구는 형상, 크기, 위치, 개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개구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원형상, 삼각형상, 사각형상, 별 형상, 부정형상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치와 개구는 본질적으로 같지만, 크기가 비교적 큰 것을 노치로 하고,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것(1개소에 복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개구로서 취급한다.
슬릿은 형상, 크기, 위치, 개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슬릿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직선상, 호상, C자형 곡선상을 들 수 있다. 슬릿의 위치로서는, 예를 들어, 폭 방향, 경사 방향, 전후 방향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노치를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연결 시트(19d)는 앞판(F)에서 뒷판(R)에 걸쳐 큰 노치(34)가 1개 형성되어 있다.
도 7(B)에 도시된 연결 시트(19e)는 앞판(F)에 거의 직사각형상의 노치(34a), 밑아래부(C)의 후단 부근에서 뒷판(R)에 걸쳐서 거의 직사각형상의 노치(3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노치를 형성하는 경우, 형상이나 크기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연결 시트(19e)에서는 노치(34a)와 노치(34b)에서는 형상 및 크기가 달라 있다.
도 8은 여러 가지 개구를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연결 시트(19f)는 다수의 동일한 형상(여기에서는, 원형) 및 크기의 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앞판(F) 및 뒷판(R)에는 개구가 많이 배치되고, 밑아래부(C)에는 개구가 적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체액 수용 커넬이 수용한 체액이 주로 앞판(F) 및 뒷판(R)으로부터 흡수체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연결 시트(19g)는 다수의 동일한 형상(여기에서는, 원형) 및 다른 크기의 개구(36a)가 형성되어 있다. 앞판(F) 및 뒷판(R)에는 큰 개구가 배치되고, 밑아래부(C)에는 작은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체액 수용 커넬이 수용한 체액이 주로 앞판(F) 및 뒷판(R)으로부터 흡수체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8(C)에 도시된 연결 시트(19h)는 다수의 동일한 형상(여기에서는, 원형) 및 다른 크기의 개구(36b)가 형성되어 있다. 앞판(F) 및 뒷판(R)에는 큰 개구 및 다수의 작은 개구가 배치되고, 밑아래부(C)에는 소수의 작은 개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체액 수용 커넬이 수용한 체액이 주로 앞판(F) 및 뒷판(R)으로부터 흡수체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여러 가지 슬릿을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연결 시트(19i)는 밑아래부(C)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뒷판(R)에 이르는 영역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슬릿(38)이 형성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된 연결 시트(19j)는 앞판(F) 및 뒷판(R)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C자형 곡선상의 슬릿(38a)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도 9(C)에 도시된 연결 시트(19k)는 앞판(F) 및 뒷판(R)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C자형 곡선상의 슬릿(38b)이 1개씩 형성되고, 밑아래부(C)의 앞판(F) 부근 및 뒷판(R) 부근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C자형 곡선상의 슬릿(38b)이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38b)은 크기가 다르게 되어 있다.
도 9(D)에 도시된 연결 시트(19I)는 앞판(F)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상의 슬릿(38c)이 형성되고,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의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상의 슬릿(38c)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38c)은 크기가 달라 있다.
도 9(E)에 도시된 연결 시트(19m)는 앞판(F)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상의 슬릿(38d)이 형성되고,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의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상의 슬릿(38d)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38d)은 크기가 달라 있다.
도 9(F)에 도시된 연결 시트(19n)는 앞판(F)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상의 슬릿(38e)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C자형 곡선상의 슬릿(38e)이 형성되고,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의 영역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상의 슬릿(38e)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38e)은 크기가 다르게 되어 있다.
도 1O은 여러 가지 출구를 형성한 연결 시트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연결 시트(19o)는 앞판(F)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C자형 곡선상의 슬릿(38f)이 형성되고, 앞판(F)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밑아래부(C)의 전단 부근에 이르는 영역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슬릿(38f)이 형성되고, 밑아래부(C)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뒷판(R)에 이르는 영역에서 거의 직사각형상의 노치(34c)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연결 시트(19p)는 앞판(F) 및 뒷판(R)에서 초승달 모양의 노치(34d)가 각각 형성되고,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에 이르는 영역 및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이르는 영역에서 다수의 동일한 형상(여기에서는, 원형) 및 크기의 개구(36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체액 수용 커넬을 형성하는 연결 시트부에 노치, 개구 및 슬릿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체액 수용 커넬의 특정한 부분으로부터 체액을 집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연결 시트가 액 투과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노치, 개구 및 슬릿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은 적합한 형태의 하나이다.
상술한 흡수체 물품(100)에서의 연결 시트(18)와 같이, 노치, 개구 및 슬릿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고 있지 않아도, 흡수체의 비교적 넓은 범위의 부분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보다 한층 현저해진다.
예를 들어, 오줌이 흡수체의 앞판에 존재하는 부분에 집중되기 쉬운 복와위의 체위를 계속 취해도, 오줌이 밑아래부를 넘어서 흡수체의 뒷판에 존재하는 부분에 집중되기 쉬운 앙와위의 체위를 계속 취해도, 오줌이 흡수체의 좌우의 어느 한쪽에 집중되기 쉬운 횡와위의 체위를 계속 취해도, 오줌이 밑아래부에 집중적으로 흡수될 일이 없고, 앞판 및 뒷판의 전역의 흡수체에 효율적으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체액의 흡수 당초에 있어서, 밑아래부를 회피하여, 흡수체의 앞판 및 뒷판에 좌우 균등하게 체액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해지면, 게다가, 흡수체의 전 면적을 흡수체가 갖는 흡수 능력의 한계까지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띠 형상 지지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띠 형상 지지체는 적어도 그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 형상 지지체는 그 상측의 표면이 항상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고, 또한, 착용자가 여러 가지 움직임을 해도 항상 빈틈없이 피트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띠 형상 지지체가 신축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띠 형상 지지체가 신축성 및 쿠션성을 나타낼 수 있고, 요철을 갖고, 신축하는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피트성이 높아진다.
신축 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종래의 기저귀 등의 흡수체 물품에 개더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필라멘트, 실 고무, 합성 고무 필름, 신축성 발포 시트를 들 수 있다.
띠 형상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신축 탄성 재료를 부직포로 피복해서 얻을 수 있다.
부직포는 표면이 소프트하고 매끄러우며, 피부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E 섬유, PP 섬유, PET 섬유, PE/PP 복합 섬유, PE/PET 복합 섬유등의 합성 섬유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건식 부직포나 스펀멜트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에 사용되는 섬유는 섬도(finess)가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5데닐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평량이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5 내지 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흡수체 물품에서의 띠 형상 지지체의 배치 상태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1)은 띠 형상 지지체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을 간략화한 것이며, 방누체(10'), 흡수체(12'), 연결 구조체(14'), 띠 형상 지지체(16') 및 연결 시트(18')는 각각 방누체(10), 흡수체(12), 연결 구조체(14), 띠 형상 지지체(16) 및 연결 시트(18')와 동일하다.
띠 형상 지지체(16')는 앞판(F)의 중앙으로부터 뒷판(R)의 중앙에 걸쳐서 존재하는 신축성 영역(SA)과, 앞판(F)의 중앙에서 앞 및 뒷판(R)의 중앙에서 뒤에 존재하는 비신축성 영역(NA)을 갖는다.
띠 형상 지지체(16')는, 신축성 영역(SA)에서는 신축성 재료와 그것을 피복하는 부직포로 구성되고, 비신축성 영역(NA)에서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12는 여러 가지 띠 형상 지지체의 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12(C) 내지 도 12(F)에서는 신축성 재료만을 도시하고, 그 밖에는 생략하였다.
도 12(A)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는 신축 탄성 재료(17')를 4개 늘어놓아 그 상하를 부직포(17")로 피복함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신축 탄성 재료(17')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 필라멘트(예를 들어, 400dtex)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17")로서는 예를 들어, PE/PP 부직포(예를 들어, 평량 12g/㎡, 칫소사 제조)를 사용할 수 있다. 띠 형상 지지체(17)의 좌우 방향의 폭은 15mm 정도로 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a)는 튜브형상의 신축 탄성 재료(17a')의 상하를 부직포(17a")로 피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신축 탄성 재료(17a')로서는 예를 들어 박육의 고무 튜브(예를 들어, 가로폭 10mm)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17")로서는 예를 들어, PE/PP 부직포(예를 들어, 평량 12g/㎡, 칫소사 제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2(C)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b)는 누에고치 형상의 신축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2(D)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c)는 덤벨형상의 신축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2(E)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d)는 V자 형상의 신축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2(F)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e)는 역V자 형상의 신축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띠 형상 지지체(17b, 17c, 17d 및 17e)에 사용되는 신축 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신축성이 큰 폴리에테르계의 폴리우레탄 폼을 들 수 있다.
도 12(G)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f)는 신축 탄성 재료(17f')의 하면에 부직포(17f")가 결합하고, 부직포(17f")는 신축 탄성 재료(17f')의 한쪽으로부터 장식술(fringe)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도 12(H)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g)는 신축 탄성 재료(17g')를 부직포(17g")가 피복하고, 부직포(17g")는 신축 탄성 재료(17g')의 한쪽으로부터 장식술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도 12(I)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h)는 신축 탄성 재료(17h')의 하면에 부직포(17h")가 결합하고, 부직포(17h")는 신축 탄성 재료(17h')의 양쪽으로부터 장식술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도 12(J)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i)는 신축 탄성 재료(17i')를 부직포(17i")가 피복하고, 부직포(17i")는 신축 탄성 재료(17i')의 양쪽으로부터 장식술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도 12(K)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j)는 신축 탄성 재료(17j')의 하면에 부직포(17j")가 결합하고, 부직포(17j")는 신축 탄성 재료(17j')의 한쪽으로부터 커튼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도 12(L)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k)는 신축 탄성 재료(17k')를 부직포(17k")가 피복하고, 부직포(17k")는 신축 탄성 재료(17k')의 한쪽으로부터 커튼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이와 같이 띠 형상 지지체가 장식술 모양 또는 커튼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는 부분을 가지면, 연결 시트와의 결합이 강고해지고, 또한, 간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그에 앞서, 비교의 대조가 되는 종래의 흡수체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종래의 흡수체 물품의 일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A)는 어른용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아텐토 박형 슷키리 팬츠 LL사이즈, 다이오 세이시(주) 제조)를 그 웨이스트 개더의 좌우 양측의 부분(도면 중의 Z 및 Z')에서 절단하고,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 전개도이다. 도 17(B)는 도 17(A) 중의 ⅩⅦB-ⅩⅦ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7(C)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17(A) 중의 ⅩⅦC-ⅩⅦ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200)은 어른용 팬츠형 기저귀 제품으로서 대표적인 것이다. 흡수체 물품(200)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850mm, 좌우 방향의 폭이 700mm이다.
흡수체 물품(200)은 밑에서부터 외장 시트(40), 방누체(10a), 흡수체(12a) 및 흡수체(12a)의 상면을 피복하는 탑 시트(32a)를 구비하고, 또한 개더 성분인 웨이스트 개더(42), 셔링 개더(44) 및 입체 레그 개더(SLG)(46)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외장 시트(44)는 팬츠형 기저귀에서 사용되는, 착용자의 신체를 피포(被包)하기 위한 장착 기능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앞판(F), 밑아래부(C) 및 뒷판(R)의 각 부를 형성하는 시트상의 부재가 사용된다.
흡수체 물품(200)과 같은 팬츠형 기저귀에서는 방누체에 의해 오줌 등의 누출이 방지되기 때문에, 외장 시트에는 액불투과성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외장 시트로서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외장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그밖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합성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외장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 물품(200)에서는, 외장 시트(40)는 PP 섬유제의 스펀본드 부직포(평량 17g/㎡)로 구성되어 있다.
방누체(백 시트)(1Oa)는 PE 수지제 통기성 필름(평량 20g/㎡)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12a)는 SAP와 펄프의 혼합체 매트를 크레이프지로 싼 구조이며, SAP 함유량은 9g/매, 펄프 함유량은 11g/매, 크레이프지는 평량 18g/㎡이다.
탑 시트(32a)는 PE/PET 섬유(1.5d×45mm)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 투과성의 에어 스루 부직포(평량 21g/㎡)로 구성되어 있다.
웨이스트 개더는 흡수체 물품 본체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하고, 기저귀를 웨이스트 주위에 밀착시켜,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고정 밴드로서 작용한다.
흡수체 물품(200)에서는, 웨이스트 개더(42)는 천연 고무사(1.0mm×0.35mm)를 260% 전후의 연신 상태에서 5본(本) 늘어놓고 상하의 스펀본드 부직포로 끼우고, 이 스펀본드 부직포에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셔링 개더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부 및 배부(背部)를 피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흡수체 물품(200)에서는, 셔링 개더(44)는 폴리우레탄 필라멘트(스판덱스620dtex)를 200% 전후의 연신 상태에서 5본, 스판덱스310dtex를 250% 전후의 연신 상태에서 15본, 합계 20본 늘어놓고, 상하의 스펀본드 부직포로 끼우고, 이 스펀본드 부직포에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체 레그 개더(SLG)(46)는 폴리우레탄 필라멘트(스판덱스620dtex)를 270% 전후의 연신 상태에서 4본 늘어놓고 상하의 스펀본드 부직포로 끼우고, 이 스펀본드 부직포에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체 레그 개더(SLG)(46)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200)의 흡수 능력은 생리 식염수 중에 흡수체 물품(200)을 침지시켜 생리 식염수를 흡수시키고, 그 후, 1.4kg/100c㎡의 가중 하에서 탈수하고, 흡수 전의 중량을 빼서 탈수 후의 흡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구하면, 1피스당 약 680g이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A)는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을 그 웨이스트 개더의 좌우 양측의 부분(도면 중의 Z 및 Z')에서 절단하고,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 전개도이다. 도 13(B)는 도 13(A) 중의 ⅩⅢB-ⅩⅢ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3(C)는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의(이완 상태의) 도 13(A) 중의 ⅩⅢC-ⅩⅢ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2)은 어른용 팬츠형 기저귀로서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102)은 도 17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200)에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는 연결 구조체(14h)를 삽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 물품(200)에 연결 구조체(14h)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전단 결합부(20a) 및 후단 결합부(22a)로 결합시켜서 일체화하고, 또한 연결 구조체(14h)의 연결 시트(18h)와 탑 시트(32a)의 표면을 결합부(26a)로 결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흡수체 물품(102)은 연결 구조체(14h)가 V자형의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고 있다. 체액 수용 커넬의 수하도(h3/w3)는 밑아래부(C)에서 약 2.0이다. 흡수체 물품(102)은 이완 상태에서는 체액 수용 커넬(Ca)이 형성되는 동시에, SLG가 일어서 있다(도 13(C) 참조).
도 14는 연결 구조체(14h)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A)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 중의 ⅩⅣB-ⅩⅣ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연결 구조체(14h)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h)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h)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18h)를 갖고 있다. 연결 시트(18h)의 좌우의 가장자리부의 상면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h)의 하측과 결합부(24e)에서 결합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h)는 도 12(A)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와 마찬가지로, 신축 탄성 재료(스판덱스310dtex)를 2본 늘어놓고 그 그 상하를 부직포로 피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지지체(16h)는, 도 12(H)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g)와 마찬가지로, 부직포가 신축 탄성 재료의 한쪽으로부터 장식술 형상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h)는 좌우 방향의 폭이 20mm이다.
연결 시트(18h)는, 전후 방향의 길이 550mm, 좌우 방향의 폭 200mm의 액 투과성의 친수화 에어 스루 부직포(PE/PET제, 평량 20g/㎡)의 양측 가장자리를 20mm씩 접어, 폭 12Omm로 한 것이다.
띠 형상 지지체(16h)의 부직포의 프린지부(fringe parts)와 연결 시트(18h)의 양측 가장자리는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연결 구조체(14h)의 연결 시트(18h)는, 앞판(F)의 일부로부터 밑아래부(C)를 지나 뒷판(R)의 일부에 걸친 범위에서, 연결 시트(18h)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의 하면이 탑 시트(32a)의 표면과 선형의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부(26a)로 결합하고 있다.
흡수체 물품(102)은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속하여, 도 13(C)에 횡단면이 도시된 체액 수용 커넬(Ca)을 갖는다.
체액 수용 커넬(Ca)은 노치 등의 체액의 출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 시트(18h)가 액 투과성의 부직포이기 때문에, 체액의 흡수체(12a)의 표면으로의 이행 및 분배는 연결 시트(18h)가 전면에 갖는 세공을 통해서 행해진다.
흡수체 물품(102)의 착용시에 오줌이 배출되면, 배출된 오줌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수용된 오줌은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후로 이동하면서, 연결 시트(18h)의 세공으로부터 흡수체(12a)의 표면 위에 분배되어, 배출된다.
그 결과, 흡수체(12a)의 사타구니부에 존재하는 부분에 배출되는 오줌의 양은 대폭 억제되고, 사타구니부의 측면으로부터의 오줌의 누출은 거의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른 한편, 흡수체(12a)의 전부 및 후부에 존재하는 부분에 공급되는 오줌의 양은 많아진다.
흡수체 물품(1O2)의 착용시에 대변이 배출되면, 배출된 대변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대변 중의 액체 성분은 오줌과 마찬가지로, 연결 시트(18h)의 세공으로부터 배출되고, 그것에 의해 농축된 고형 성분은 그대로 체액 수용 커넬(Ca) 내에 머무르고, 필연적으로 오줌과 대변의 분리가 행해진다. 대변은 대변의 양에 따라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부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체액 수용 커넬(Ca)의 외부로의 확산을 방지한다.
대변이 배출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기저귀의 교환이 이루어지지만, 착용자의 피부 중, 대변으로 오염된 부위는 항문 주변으로 한정되므로, 간호자가 깨끗이 닦아주는 작업도 간이해진다. 또한, 그 때문에, 기저귀의 탈착도 용이해지므로, 폐기 처리에 의한 수고도 경감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도 15(A)는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을 그 웨이스트 개더의 좌우 양측의 부분(도면 중의 Z 및 Z')에서 절단하고,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 전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B) 중의 ⅩⅤC-ⅩⅤ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3)은 어른용 팬츠형 기저귀로서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103)은 도 17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200)에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는 연결 구조체(14i)를 삽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 물품(200)에 연결 구조체(14i)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전단 결합부(20b) 및 후단 결합부(22b)로 결합시켜서 일체화하고, 또한, 연결 구조체(14i)의 연결 시트(18i)와 탑 시트(32a)의 표면을 결합부(26b)로 결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연결 구조체(14i)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i)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i)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18i)를 갖고 있다. 연결 시트(18i)의 좌우의 가장자리부의 상면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i)의 하측과 결합부(24f)에서 결합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i)는, 도 12(A)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와 마찬가지로, 신축 탄성 재료(스판덱스310dtex)를 2본 늘어놓고 그 상하를 부직포로 피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지지체(16i)는, 도 12(H)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g)와 마찬가지로, 부직포가 신축 탄성 재료의 한쪽으로부터 장식술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i)는 좌우 방향의 폭이 20mm이다.
연결 시트(18i)는 전후 방향의 길이 550mm, 좌우 방향의 폭 200mm의 소수성의 스펀멜트 부직포(PP제 SMS, 평량 15g/㎡)의 양측 테두리를 20mm씩 접고, 폭 120mm로 하고, 또한 앞판(F)의 전단 부근에 소형의 각이 둥근 직사각형상의 노치(35)를,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 촘촘한 다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9)을, 그것들의 전단 및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C자형 슬릿(39')을 각각 체액의 출구로서 형성한 것이다.
띠 형상 지지체(16i)의 부직포의 프린지부와 연결 시트(18i)의 양측 테두리는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연결 구조체(14i)의 연결 시트(18i)는, 앞판(F)의 일부로부터 밑아래부(C)를 지나 뒷판(R)의 일부에 걸친 범위에서, 연결 시트(18i)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의 하면이 탑 시트(32a)의 표면과 선형상의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부(26a)로 결합하고 있다.
흡수체 물품(103)은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속하여, 도 13(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체액 수용 커넬(Ca)을 갖는다.
체액 수용 커넬(Ca)에서는, 체액의 흡수체(12a)의 표면으로의 이행 및 분배는 노치(35), 슬릿(39) 및 슬릿(39')을 통해서만 행해진다.
흡수체 물품(103)의 착용시에 오줌이 배출되면, 배출된 오줌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수용된 오줌은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후로 이동하면서, 노치(35), 슬릿(39) 및 슬릿(39')으로부터 흡수체(12a)의 표면 위로 분배되어, 배출된다.
연결 구조체(14i)는 사타구니부에 체액의 출구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흡수체의 사타구니부에 존재하는 부분에는 오줌은 직접 배출되지 않고, 사타구니부의 측면으로부터의 오줌의 누출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른 한편, 흡수체(12a)의 전부 및 후부에 존재하는 부분에 공급되는 오줌의 양은 도 13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2)보다도 많아진다.
흡수체 물품(1O3)의 착용시에 대변이 배출되면, 배출된 대변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대변 중의 액체 성분은 오줌과 마찬가지로, 연결 시트(18h)의 슬릿(39) 및 슬릿(39')로부터 배출되고, 그것에 의해 농축된 고형 성분은 그대로 체액 수용 커넬(Ca) 내에 머무르고, 필연적으로 오줌과 대변의 분리가 행해진다. 대변은 대변의 양에 따라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부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체액 수용 커넬(Ca)의 외부로의 확산을 방지한다.
대변이 배출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기저귀의 교환이 행해지지만, 착용자의 피부 중, 대변으로 오염된 부위는 항문 주변으로 한정되므로, 간호자가 깨끗이 닦아주는 작업도 간이해진다. 또한, 그 때문에, 기저귀의 탈착도 용이해지므로, 폐기 처리에 의한 수고도 경감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A)는 팬츠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을 그 웨이스트 개더의 좌우 양측의 부분(도면 중의 Z 및 Z')에서 절단하고,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 전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에 사용되는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B) 중의 ⅩⅥC-ⅩⅥC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4)은 어른용 팬츠형 기저귀로서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104)은 도 17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200)에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는 연결 구조체(14j)를 삽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 물품(200)에 연결 구조체(14j)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전단 결합부(20c) 및 후단 결합부(22c)로 결합시켜서 일체화하고, 또한 연결 구조체(14j)의 연결 시트(18j)와 탑 시트(32a)의 표면을 결합부(26c)로 결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연결 구조체(14j)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j)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j)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18j)를 갖고 있다. 연결 시트(18j)의 좌우의 가장자리부의 상면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j)의 하측과 결합부(24g)에서 결합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j)는, 도 12(A)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와 마찬가지로, 신축 탄성 재료(스판덱스310dtex)을 2본 늘어놓고 그 상하를 부직포로 피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띠 형상 지지체(16j)는, 도 12(H)에 도시된 띠 형상 지지체(17g)와 마찬가지로, 부직포가 신축 탄성 재료의 한쪽으로부터 장식술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져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j)는 좌우 방향의 폭이 20mm이다.
연결 시트(18i)는 전후 방향의 길이 550mm, 좌우 방향의 폭 200mm의 친수화 처리한 스펀본드 부직포(PE/PP제, 평량 17g/㎡)로 이루어진 친수성 시트(18j')와, 전후 방향의 길이 200mm, 좌우 방향의 폭 70mm의 소수성의 스펀멜트 부직포(PP제SMS, 평량 15g/㎡)로 이루어진 소수성 시트(18j")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시트(18j)는 친수성 시트(18j')와 소수성 시트(18j")를, 도 3(D)에 도시된 연결 시트(18d)와 동일하게, 접합하여 복층 시트를 형성하고, 그 양측 가장자리를 20mm씩 접어, 폭 120mm로 하고, 또한 앞판(F)의 전단 부근에 소형의 각이 둥근 직사각형상의 노치(35a)를 형성하고,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 촘촘한 다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9a)을 형성하며, 그것들의 전단 및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C자형 슬릿(39a')을 각각 체액의 출구로서 형성한 것이다. 소수성 시트(18j")는 노치(35a)와 전측의 슬릿(39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j)의 부직포의 프린지부와 연결 시트(18j)의 양측 테두리는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연결 구조체(14j)의 연결 시트(18j)는 앞판(F)의 일부로부터 밑아래부(C)를 지나 뒷판(R)의 일부에 걸친 범위에서 연결 시트(18j)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근의 하면이 탑 시트(32a)의 표면과, 선형의 핫 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부(26c)로 결합하고 있다.
흡수체 물품(10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속하여, 도 13(C)에 도시되는 것과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체액 수용 커넬(Ca)을 갖는다.
체액 수용 커넬(Ca)에서는 체액의 흡수체(12a)의 표면으로의 이행 및 분배는 주로 노치(35a), 슬릿(39a) 및 슬릿(39a')을 통해서 행해지지만, 연결 시트(18j)를 구성하는 친수성 시트(18j')가 액 투과성의 부직포이기 때문에, 일부는 그 세공을 통해서도 행해진다.
흡수체 물품(104)의 착용 시에 오줌이 배출되면, 배출된 오줌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수용된 오줌은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후로 이동하면서, 노치(35), 슬릿(39) 및 슬릿(39')과, 친수성 시트(18j')의 세공으로부터 흡수체(12a)의 표면 위로 분배되어, 배출된다.
연결 구조체(14j)는 밑아래부(C)의 전후의 체액 수용 커넬(Ca)의 저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소수성 시트(18j")를 갖고 있고, 체액의 출구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흡수체의 사타구니부에 존재하는 부분에는 오줌이 직접 배출되지 않고, 사타구니부의 측면으로부터의 오줌의 누출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른 한편, 흡수체(12a)의 전부 및 후부에 존재하는 부분에 공급되는 오줌의 양은 도 13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2)보다도 대폭으로 많아진다.
흡수체 물품(104)의 착용 시에 대변이 배출되면, 배출된 대변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대변 중의 액체 성분은 오줌과 마찬가지로, 연결 시트(18j)의 슬릿(39a), 슬릿(39a') 및 친수성 시트(18j')의 세공으로부터 배출되고, 그것에 의해 농축된 고형 성분은 그대로 체액 수용 커넬(Ca) 내에 머무르고, 필연적으로 오줌과 대변의 분리가 행해진다. 대변은 대변의 양에 따라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부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체액 수용 커넬(Ca)의 외부로의 확산을 방지한다.
대변이 배출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기저귀의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착용자의 피부 중 대변으로 오염된 부위는 항문 주변으로 한정되므로, 간호사가 깨끗이 닦아주는 작업도 간이해진다. 또한, 그 때문에 기저귀의 탈착도 용이해지므로, 폐기 처리에 의한 수고도 경감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8(A)는 아이용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전개 평면도이다. 도 18(B)는 상기한 상태의 도 18(A) 중의 ⅩⅧB-ⅩⅧ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5)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과 동일하지만, 연결 구조체(14k)에서의 연결 시트(18k)의 구조 및 탑 시트(32)의 결합의 형태가 다르다.
흡수체 물품(105)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 구조체(14k)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k)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k)와 결합부(24i)로 결합하는 연결 시트(18k)를 갖는다. 연결 구조체(14k)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전단 결합부(20d) 및 후단 결합부(22d)로 흡수체 물품(105) 본체와 결합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k)는 띠 형상 지지체(16)와 동일하다.
연결 시트(18k)는 소수성의 스펀본드 부직포(PE/PET제, 평량 15g/㎡)로 구성되고, 앞판(F)과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의 2개소에 노치(35b 및 35b')를 갖고 있다. 앞판(F)에 존재하는 노치(35b)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짧은 거의 직사각형을 하고 있다.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 존재하는 노치(35b')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긴 거의 직사각형을 하고 있다.
연결 시트(18k)는 결합부(26d, 26e, 26f 및 26g)에서 탑 시트(32)와 결합하고 있다. 앞판(F)의 좌우 양측에 존재하는 결합부(26d)는 모두 전후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고 있다. 뒷판(R)의 좌우 양측에 존재하는 결합부(26e)는 모두 전후 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고 있다.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에 걸쳐서 좌우 방향의 중앙에 존재하는 결합부(26f)는 전후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고 있지만, 폭이 굵고, 결합을 강고히 하여, 노치(35b)의 주변의 연결 시트(18k)의 변형을 방지하여 안정화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 존재하는 노치(35b')의 전측의 가장자리 및 좌우의 가장자리의 전측 거의 절반의 부근에서도 각각 선형의 결합부(26g)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105)에서는, 연결 시트(18k)의 탑 시트(32)로의 결합 상태가 도 6(I)에 도시한 상태와 유사하고, 체액 수용 커넬(Ca)은 부위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다. 즉, 체액 수용 커넬(Ca)은 띠 형상의 결합부(26f)로 결합된 밑아래부(C)에서는 V자형을 띠는 한편, 좌우 양측에 결합부(26d 및 26e)를 갖는 노치(35b 및 35b')의 주변부에서는 각각 도 6(J) 및 도 6(L)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U자형이 된다.
흡수체 물품(105)의 착용 시에 오줌이 배출되면, 배출된 오줌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수용된 오줌은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후로 이동하면서, 노치(35b 및 35b')로부터 흡수체(12)의 표면 위로 분배되어, 배출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9(A)는 아이용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전개 평면도이다. 도 19(B)는 상기한 상태의 도 19(A) 중의 ⅩⅨXB-ⅩⅨ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6)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과 동일하지만, 연결 구조체(14l)에서의 연결 시트(18l)의 구조 및 탑 시트(32)와의 결합의 형태가 다르다.
흡수체 물품(106)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 구조체(14l)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l)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l)와 결합부(24j)로 결합하는 연결 시트(18l)를 갖는다. 연결 구조체(14l)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전단 결합부(20e) 및 후단 결합부(22e)로 흡수체 물품(106) 본체와 결합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l)는 띠 형상 지지체(16)와 동일하다.
연결 시트(18l)는 연결 시트(18k)와 같은 소수성 부직포로 구성되고, 앞판(F)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2본의 슬릿(39b)을 갖고, 또한,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4본의 슬릿(39b')을 갖고 있다.
연결 시트(18l)는 결합부(26h) 및 결합부(26i)에서 탑 시트(32)와 결합하고 있다. 밑아래부(C)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존재하는 결합부(26h)는 전후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이 굵기 때문에, 결합은 강고해져 있다. 슬릿(39b) 및 슬릿(39b')에 근접해서 존재하고,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6i)는 모두 슬릿(39b) 및 슬릿(39b')이 개구하기 쉬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체액 수용 커넬(Ca)로부터 흡수체(12) 위로의 체액의 이행 및 분배가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106)의 착용 시에 오줌이 배출되면, 배출된 오줌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수용된 오줌은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후로 이동하면서, 슬릿(39b 및 39b')으로부터 흡수체(12)의 표면 위로 분배되어, 배출된다. 또한, 슬릿(39b) 중 가장 전측에 존재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큰 슬릿은 탑 시트(32)와 연결 구조체(14l)가 전단 결합부(20e)에 의해 밀폐되어 형성된 전부(前部) 포켓의 입구를 형성하고, 흡수체(12)의 전단부에서의 흡수를 촉진하는 동시에, 전단부로부터의 오줌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슬릿(39b') 중 가장 후측에 존재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큰 슬릿은 탑 시트(32)와 연결 구조체(14l)가 후단 결합부(22e)에 의해 밀폐되어 형성된 후부 포켓의 입구를 형성하고, 흡수체(12)의 후단부에서의 흡수를 촉진하는 동시에, 후단부로부터의 오줌 및 대변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연결 구조체가 그 전단 및 상기 전단으로부터 나란히 늘어서 있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에 의하여 전부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연결 구조체가 그 후단 및 상기 후단으로부터 나란히 늘어서 있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에 의하여 후부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흡수체 물품(106)의 체액 수용 커넬(Ca)의 형상은, 밑아래부(C)에서, 도 6(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깊은 V자형을 띤다.
도 20은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0(A)는 아이용 테이프형 기저귀의 형태인 흡수체 물품에 응력을 가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잡아당겨 전개하고, 거의 평면상으로 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전개 평면도이다. 도 20(B)는 상기한 상태의 도 20(A) 중의 ⅩⅩB-ⅩⅩ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7)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100)과 동일하지만, 연결 구조체(14m)에서의 연결 시트(18m)의 구조 및 탑 시트(32)와의 결합의 형태가 다르다.
흡수체 물품(107)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 구조체(14m)는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m)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16m)와 결합부(24k)로 결합하는 연결 시트(18m)를 갖는다. 연결 구조체(14m)의 전단 및 후단은 각각 전단 결합부(20f) 및 후단 결합부(22f)로 흡수체 물품(107) 본체와 결합하고 있다.
띠 형상 지지체(16m)는 띠 형상 지지체(16)와 동일하다.
연결 시트(18m)는 연결 시트(18k)와 동일한 소수성 부직포로 구성되고, 앞판(F)에서 촘촘한 다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9c)을, 그것들의 전단 및 후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C자형 슬릿(39c')을 각각 갖고,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의 영역에서 촘촘한 다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9d)을, 그것들의 전단 및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C자형 슬릿(39d')을 각각 갖고 있다.
연결 시트(18m)는 결합부(26j, 26k 및 26l)에서 탑 시트(32)와 결합하고 있다. 밑아래부(C)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 존재하는 결합부(26j)는 전후 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이 굵기 때문에, 결합은 강고해져 있다. 슬릿(39c 및 39d)의 위치의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6k) 및 결합부(26l)는 모두 슬릿(39c' 및 39d')이 개구하기 쉬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체액 수용 커넬(Ca)로부터 흡수체(12) 위로의 체액의 이행 및 분배가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흡수체 물품(107)의 착용 시에 오줌이 배출되면, 배출된 오줌은 전량이 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된다. 수용된 오줌은 체액 수용 커넬(Ca) 안을 전후로 이동하면서, 슬릿(39c, 39c', 39d 및 39d')으로부터 흡수체(12)의 표면 위로 분배되어, 배출된다. 또한, 슬릿(39c') 중 가장 전측에 존재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큰 슬릿은 탑 시트(32)와 연결 구조체(14m)가 전단 결합부(20f)에 의해 밀폐되어서 형성된 전부 포켓의 입구를 형성하고, 흡수체(12)의 전단부에서의 흡수를 촉진하는 동시에, 전단부로부터 오줌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슬릿(39d') 중 가장 후측에 존재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큰 슬릿은 탑 시트(32)와 연결 구조체(14m)가 후단 결합부(22f)에 의해 밀폐되어서 형성된 후부 포켓의 입구를 형성하고, 흡수체(12)의 후단부에서의 흡수를 촉진하는 동시에, 후단부로부터 오줌 및 대변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흡수체 물품(107)의 체액 수용 커넬(Ca)의 형상은 밑아래부(C)로부터 뒷판(R)에 걸쳐서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깊은 V자형을 띠는 한편, 앞판(F)으로부터 밑아래부(C)에 걸쳐있는 일부에서는, 도 6(E)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흡수체의 표면으로부터 들떠있는 얕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도시한 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각 부의 구성은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의 각 부의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다른 실시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은 종이 기저귀(아이용 및 어른용), 요실금 용품, 트레이닝 팬츠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 및 시판하는 흡수체 물품을 사용하여 착용 시험을 행하였다.
1. 흡수체 물품
실시예 1로서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사용하고, 실시예 2로서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을 사용하고, 비교예 1로서 도 17에 도시된 시판하는 흡수체 물품(아텐토 박형 슷키리 팬츠 LL 사이즈, 다이오 세이시(주) 제조)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수체 물품은 모두 도 17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에 연결 구조체를 삽입한 것으로서, 기저귀 본체의 사양은 완전히 같기 때문에, 흡수체의 설계상의 한계 흡수량은 도 17에 도시된 흡수체 물품과 동일한 680g이다.
2. 실험 방법
착용 시험은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의 흡수체 물품을 각각 3매 사용하고, 65세의 건강한 남성이 착용하여, 배뇨를 반복함으로써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1) 내지 (3)의 3사이클의 시험을 행하였다.
(1) 제 1 회 사이클
(ⅰ) 착용시의 상태의 확인
미사용(건조 상태)의 흡수체 물품을 착용하고, 페니스의 존재 위치, SLG의 존재 위치 및 실시예에서는 띠 형상 지지체의 존재 위치를 확인하였다.
(ⅱ) 동작시의 상태의 확인
그 후, 약 30분간, 보행, 개폐각(開閉脚), 상하 굴신(屈伸), 좌위, 횡전(橫轉) 등을 반복하고, 동작시의 어긋남이나 변이를 확인하였다.
(ⅲ) 제 1 회 배뇨 시험
제 1 회 배뇨를 행한 후, 흡수체 물품을 탈착하고, 누출의 상태 및 누출량의 개산(槪算)량을 확인하였다.
누출이 발생한 경우, 착용 시험을 종료하였다. 흡수체 물품을 그대로 칭량하여, 흡수량을 측정한 후에, 웨이스트 씰(seal)을 절단해서 흡수 상태, 누출 상태 및 사타구니 부위의 흡수 상태 및 변형 상태를 해석하였다.
누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흡수체 물품을 그대로 칭량하고, 흡수량을 측정한 후에 착용하고, 착용 시험을 속행하였다.
(2) 제 2 회 사이클
(ⅰ) 착용시의 상태의 확인
제 1 회 배뇨 시험 후의 습윤 상태의 흡수체 물품을 착용하고, 페니스의 존재 위치, SLG의 존재 위치 및 실시예에서는 띠 형상 지지체의 존재 위치를 확인하였다.
(ⅱ) 동작시의 상태의 확인
그 후, 약 30분간, 보행, 개폐각, 상하 굴신, 좌위, 횡전 등을 반복하여, 동작시의 어긋남이나 변이를 확인하였다.
(ⅲ) 제 2 회 배뇨 시험
제 2 회 배뇨를 행한 후, 흡수체 물품을 탈착하고, 누출의 상태 및 누출량의 개산량을 확인하였다.
누출이 발생한 경우, 착용 시험은 종료로 하였다. 흡수체 물품을 그대로 칭량하여, 흡수량을 측정한 후에, 웨이스트 씰을 절단해서 흡수 상태, 누출 상태 및 사타구니 부위의 흡수 상태 및 변형 상태를 해석하였다.
누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흡수체 물품을 그대로 칭량하여, 흡수량을 측정한 후에 착용하고, 착용 시험을 속행하였다.
(3) 제 3 회 사이클
(ⅰ) 착용시의 상태의 확인
제 2 회 배뇨 시험 후의 습윤 상태의 흡수체 물품을 착용하고, 페니스의 존재 위치, SLG의 존재 위치 및 실시예에서는 띠 형상 지지체의 존재 위치를 확인하였다.
(ⅱ) 동작시의 상태의 확인
그 후, 약 30분간, 보행, 개폐각, 상하 굴신, 좌위, 횡전 등을 반복하여, 동작시의 어긋남이나 변이를 확인하였다.
(ⅲ) 제 3 회 배뇨 시험
제 3 회 배뇨를 행한 후, 흡수체 물품을 탈착하고, 누출의 상태 및 누출량의 개산량을 확인하였다.
흡수체 물품을 그대로 칭량하여, 흡수량을 측정한 후에, 웨이스트 씰을 절단해서 흡수 상태, 누출 상태 및 사타구니 부위의 흡수 상태 및 변형 상태를 해석하였다.
또한, 상기의 각 배뇨 시험은 복와위 및 앙와위의 2종류의 체위로 행하였다.
복와위는 오줌이 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에 집중되기 쉽고, 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를 이용하기 어려운 체위이며, 밑아래부에 흡수 부하를 걸지 않고 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를 어떻게 이용할지가 과제가 된다.
앙와위는 오줌이 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에 집중하기 쉽고, 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를 이용하기 어려운 체위이며, 밑아래부에 흡수 부하를 걸지 않고 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를 어떻게 이용할지가 과제가 된다.
3. 결과
결과를 제 1 표 내지 제 3 표에 기재한다. 또한, 제 1 표는 3매 흡수체 물품의 평균치이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7에는 대략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도시하였다. 각 도면에서의 굵은 테두리선 안이 오줌의 흡수가 확인된 영역이다. 도 21은 비교예 1의 복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2는 비교예 1의 앙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1의 복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1의 앙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2의 복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2의 앙와위에서의 제 1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2의 앙와위에서의 제 2 회 배뇨 후의 오줌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Figure 112015028516596-pct00001
Figure 112015028516596-pct00002
Figure 112015028516596-pct00003
(1) 복와위의 흡수 상태(제 1 표)
비교예 1 및 실시예 1의 흡수체 물품은 제 1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모두 제 1 회 사이클(제 1 회 배뇨)에서 각각 3매가 다 누출이 발생했는데,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흡수량이 높고, 흡수 효율이 2배 가까이인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도 21 및 도 23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에 비하여, 흡수 영역이 뒷판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것, 및 밑아래부(C)의 흡수 상태가 비교예 1에서는 오줌이 SLG의 위까지 도달하여 사이드 누출이 빨리 발생하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오줌이 흡수체의 부위에 머물러, SLG의 내측으로도 이행하고 있지 않은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제 1 회 사이클(제 1 회 배뇨)에서는 3매 모두 누출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제 2 회 사이클(제 2 회 배뇨)에서는 3매 중 2매에서 누출이 발생하였으므로, 제 3 회 사이클에 이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2에서는 제 1 회 배뇨 및 제 2 회 배뇨의 합계 흡수량이 비교예 1의 4배 가까이가 되고, 흡수 효율은 78%까지 올랐다. 이것은, 도 21, 도 23 및 도 25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 회 사이클(제 1 회 배뇨) 후, 흡수 영역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뒷판 방향으로 더 신장되어 있는 것, 및 밑아래부(C)의 흡수 상태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SLG의 밑부분까지 이동하지 않고, 오줌이 흡수체의 부위에 머물러 있는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 중 어디에서도 누출 발생은 전부 말단부로부터의 오버 플로에 의한 것으로, 사타구니부로부터의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밑아래부(C)를 바이패스하는 체액 수용 커넬(Ca)에 의한 오줌의 이행 및 분배 효과에 의해 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이용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2) 앙와위의 흡수 상태(제 1 표)
앙와위에서의 흡수량은 복와위의 흡수량에 비하여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의 흡수체 물품에서 현격히 많았다. 이것은, 앙와위에서는 상술한 복와위에 비하여 흡수에 이용되는 흡수 영역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비교예 1의 흡수체 물품은, 제 1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 1 회 사이클(제 1 회 배뇨)에서 3매 다 누출이 발생했는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흡수체 물품은, 제 1 사이클(제 1 회 배뇨)에서는 3매 모두 누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2의 흡수체 물품은, 제 2 회 사이클(제 2 회 배뇨)에서는 3매 중 2매에서는 누출이 발생하지 않고, 1매에서는 소량의 누출이 발생하였는데, 제 3 회 사이클에 이용하였다. 제 3 회 사이클(제 3 회 배뇨)에서는 3매 다 누출이 발생하였다.
합계 흡수량은, 실시예 1이 비교예 1의 약 1.8배, 실시예 2가 비교예 1의 약 2.3배였다. 흡수 효율은 비교예 1이 47%이었던 것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83%, 실시예 2에서는 설계 한계량을 넘은 107%였다. 설계 한계량을 넘은 오줌을 흡수할 수 있었던 것은 흡수체(SAP)의 일부가 가압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도 22, 도 24, 도 26 및 도 27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제 1 회 사이클(제 1 회 배뇨) 후, 흡수 영역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뒷판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것, 특히, 실시예 2는 제 2 회 사이클(제 2 회 배뇨) 후, 흡수 영역이 흡수체(12)의 전단 부근까지 퍼져 있는 것, 및 밑아래부(C)의 흡수 상태가, 비교예 1에서는 오줌이 SLG의 위까지 도달하여 사이드 누출이 빨리 발생한 것에 대하여, SLG의 밑부분까지 이동하지 않고, 오줌이 흡수체의 부위에 머물러 있는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 중 어디에서도, 누출의 발생은 후부 말단부로부터의 오버 플로에 의한 것으로, 사타구니부로부터의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밑아래부(C)를 바이패스하는 체액 수용 커넬(Ca)에 의한 오줌의 이행 및 분배의 효과에 의해 전부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이용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3) 사타구니부에 존재하는 흡수체의 이용 상태(제 2 표)
비교예 1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오줌이 직접 사타구니부 근방에 배출되고, 사타구니부에 존재하는 흡수체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에 대하여, 실시예 1 및 2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오줌이 그 전량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수용되고, 전부 및 후부로 이동하여, 분배되기 때문에, 오줌이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확산에 의해 사타구니부에 존재하는 흡수체에 도달하였다. 그 때문에 제 2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은 큰 차이가 있었다.
(4) 사타구니부로부터의 사이드 누출의 발생 상태(제 2 표)
상술한 바와 같은 체액 수용 커넬(Ca)의 유무에 따른, 오줌의 이행 및 분배의 구조의 차이로부터, 제 2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은 큰 차이가 있었다.
(5) 사타구니부의 변형 상태(제 2 표)
비교예 1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착용자의 피부의 표면이 직접 사타구니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동작에 의해 흡수체를 포함하는 사타구니부의 전체가 구부러져 변형되고, 소위 번칭화(혹형상화)를 일으키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1 및 2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직접 착용자의 피부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은 체액 수용 커넬(Ca)을 형성하는 연결 구조체의 상단에 있는 띠 형상 지지체의 표면이고, 착용자의 피부가 직접 사타구니부에 접촉할 기회는 없으므로, 사타구니부의 변형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6) 착용시의 페니스의 위치와 그 변화(위치 어긋남의 하나의 기준으로서)(제 3 표)
비교예 1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제 3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건조 상태와 습윤 상태의 차이, 동작의 유무의 차이에 따라 좌우로 어긋나거나 구부러지거나 했는데, 실시예 1 및 2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건조 상태와 습윤 상태의 차이, 동작의 유무에 의해 거의 위치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비교예 1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페니스는 흡수체 물품의 전체 착용 시간에 걸쳐 직접적으로 비교적 전후, 좌우로 폭이 있는 흡수체 표면에 계속 접촉하기 때문에, 기저귀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가 변하지 않을 수 없다. 다른 한편, 실시예 1 및 2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페니스는 고환의 부위를 포함하여 전체가 흡수체 물품의 중심부를 전후로 가로질러, 흡수체 표면에서 이간한 체액 수용 커넬(Ca)의 내부에 수용되고, 소프트한 부직포에 감싸진 상태로 되어 있었으므로 흡수체 물품 본체의 움직임과는 관계가 없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었다.
(7) 착용시의 짓무름 및 피부 젖음의 발생 상태(제 3 표)
비교예 1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건조 상태에서도, 하복부와 엉덩이부의 대부분이 기저귀의 전체 착용 시간에 걸쳐 직접적으로 비교적 전후, 좌우로 폭이 있는 흡수체 표면에 압착적으로 계속 접촉하기 때문에, 흡수체 물품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마찰을 받아, 압박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습윤 상태에서도 같은 상태를 계속하기 때문에, 짓무름 및 피부 젖음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다른 한편, 실시예 1 및 2의 흡수체 물품에서는, 페니스는 고환의 부위를 포함하여 전체가 흡수체 물품의 중심부를 전후로 가로질러, 흡수체 표면으로부터 이간한 체액 수용 커넬(Ca)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복부와 엉덩이부의 대부분이 체액 수용 커넬(Ca)에 의해 격리되므로, 압착도 받기 어렵고, 페니스의 앞 부분만이 배뇨시에만 젖으므로, 제 3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 2 회 사이클을 종료할 때까지 장시간 연속 사용하여도 짓무름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었다.
10, 10',10a: 방누체
12, 12', 12a, 13: 흡수체
14, 14', 14a, 14b, 14c, 14d, 14e, 14f, 14g, 14h, 14i, 14j, 14k, 14l, 14m: 연결 구조체
16, 16', 16a, 16h, 16i, 16j, 16k, 16l, 16m, 17a, 17b, 17c, 17d, 17e, 17f, 17g, 17h, 17i, 17j, 17k: 띠형상 지지체
17', 17a', 17f', 17g', 17h', 17i', 17j', 17k': 신축 탄성 재료
17", 17a", 17f", 17g", 17h", 17i", 17j", 17k": 부직포
18, 18', 18a, 18b, 18c, 18d, 18d', 18e, 18f, 18g, 18h, 18i, 18j, 18k, 18l, 18m, 19, 19a, 19b, 19c, 19d, 19e, 19f, 19g, 19h, 19i, 19j, 19k, 19l, 19m, 19n, 19o, 19p: 연결 시트
18b', 18c', 18d", 18j": 소수성 시트
18b", 18c", 18d', 18j': 친수성 시트
20, 20a, 20b, 20c, 20d, 20e, 20f: 전단 결합부
22, 22a, 22b, 22c, 22d, 22e, 22f: 후단 결합부
24, 24a, 24b, 24c, 24d, 24e, 24f, 24g, 24h, 24i, 24j, 24k, 26, 26a, 26b, 26c, 26d, 26e, 26f, 26g, 26h, 26i, 26j, 26k, 26l, 27, 27a, 27b, 27b', 27c, 27c': 결합부
28: 착탈 부재
30: 아우터 레그 개더(OLG)
32, 32a: 탑 시트
34, 34a, 34b, 34c, 34d, 35, 35a, 35b, 35b': 노치
36, 36a, 36b, 36c: 개구
38, 38a, 38b, 38c, 38d, 38e, 38f, 39, 39', 39a, 39a', 39b, 39b', 39c, 39c', 39d, 39d': 슬릿
40: 외장 시트
42: 웨이스트 개더
44: 셔링 개더
46: 입체 레그 개더(SLG)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200: 흡수체 물품
C: 밑아래부
Ca: 체액 수용 커넬
F: 앞판
NA: 비신축성 영역
R: 뒷판
SA: 신축성 영역

Claims (19)

  1.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에서 결합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가 친수성 시트와 그 하측의 소수성 시트를 접합하여 형성된 복층 시트이고,
    상기 연결 시트가,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에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하측에 상기 흡수체를 향해서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상기 연결 시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수성 시트가 밑아래부의 전후의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저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상기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는, 흡수체 물품.
  2.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에서 결합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가,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에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하측에 상기 흡수체를 향해서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상기 연결 시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상기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 구조체가 그 전단 및 상기 전단으로부터 나란히 늘어선 좌우 양쪽 가장자리의 부분에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에 의하여 전부(前部)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3.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에서 결합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가,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에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하측에 상기 흡수체를 향해서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상기 연결 시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상기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결 구조체가 그 후단 및 상기 후단으로부터 나란히 늘어선 좌우 양쪽 가장자리의 부분에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결합하고 있고, 상기 연결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에 의하여 후부 포켓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4.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에서 결합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가,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에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하측에 상기 흡수체를 향해서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상기 연결 시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상기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수하도(垂下度)가 밑아래부로부터 뒷판에 걸쳐서 작아지며, 다만, 수하도(h/w)는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의 내측의 간격(w)에 대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상면을 잇는 면과 상기 연결 시트의 저면의 거리(h)의 비인, 흡수체 물품.
  5. 시트상의 방누체와, 상기 방누체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 배치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로부터,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을 지나, 후단부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와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에서 결합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는 흡수체 물품으로서,
    상기 연결 구조체가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좌우의 가장자리부가 각각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와 결합하는 연결 시트를 갖고,
    상기 연결 시트가, 앞판, 밑아래부 및 뒷판에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하측에 상기 흡수체를 향해서 아래로 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좌우의 가장자리부 부근이 측면, 상기 연결 시트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부근이 저면이 되는 체액 수용 커넬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의 수용 및 상기 흡수체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수하도가 밑아래부로부터 앞판에 걸쳐서 작아지며, 다만, 수하도(h/w)는, 상기 좌우 한 쌍의 띠 형상 지지체의 내측의 간격(w)에 대한 상기 띠 형상 지지체의 상면을 잇는 면과 상기 연결 시트의 저면의 거리(h)의 비인, 흡수체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저면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의 하면의 일부와 상기 흡수체의 표면이 결합하고 있는, 흡수체 물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밑아래부에서 상기 흡수체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흡수체 물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저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전후 방향의 적어도 1개소에서, 상기 저면의 좌우 방향의 전폭에 걸쳐 상기 흡수체의 표면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갖는, 흡수체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이 그 상부에 개구를 갖는, 흡수체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지지체가 적어도 그 일부에 신축성을 갖는, 흡수체 물품.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에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한 출구가 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에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한 출구가 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시트에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을 상기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한 출구가 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친수성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수성 부분과 친수성 부분을 동시에 갖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가 액 투과성의 개공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체액 수용 커넬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이너 레그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흡수체 물품 본체의 좌우 가장자리부에 아우터 레그 개더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 물품.
KR1020157007385A 2012-10-12 2012-10-12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 KR101717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6389 WO2014057571A1 (ja) 2012-10-12 2012-10-12 体液受容キャナルを備えた吸収体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569A KR20150050569A (ko) 2015-05-08
KR101717210B1 true KR101717210B1 (ko) 2017-03-16

Family

ID=4904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385A KR101717210B1 (ko) 2012-10-12 2012-10-12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68495B2 (ko)
EP (1) EP2907491B1 (ko)
JP (1) JP5236122B1 (ko)
KR (1) KR101717210B1 (ko)
CN (1) CN104684515B (ko)
TR (1) TR201810696T4 (ko)
WO (1) WO20140575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355B1 (ko) * 2013-09-30 2017-08-31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체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6180299B2 (ja) * 2013-11-27 2017-08-1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
JP6220668B2 (ja) * 2013-12-26 2017-10-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
JP6152350B2 (ja) * 2014-01-31 2017-06-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
JP6273169B2 (ja) * 2014-06-02 2018-01-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9673A (ja) * 2014-09-19 2016-04-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収体物品及びスキンコンタクト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699A1 (en) 1994-06-01 1995-12-07 Pope & Talbot, Inc. Absorbent garment with elasticized containment strips
WO2008138018A1 (en) 2007-05-08 2008-11-13 Dsg Technology Holdings Ltd. Body conform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eg wraps and internal top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362A (en) * 1985-01-10 1987-03-0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underpants, such as child's training pants and the like
JP2866424B2 (ja) * 1990-02-07 1999-03-0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927878B2 (ja) * 1990-04-12 1999-07-2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830282B2 (ja) * 1998-09-16 2006-10-04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169585B2 (ja) * 1999-01-08 2001-05-2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166095B1 (en) * 1999-02-25 2007-01-23 Tailored Technologies, Inc. Protective undergarments having anchored pocketed-sling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JP3541144B2 (ja) * 1999-05-31 2004-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便処理用の使い捨て着用物品
AU2001267863A1 (en) * 2000-06-29 2002-01-08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bsorber product
JP4484354B2 (ja) * 2000-11-14 2010-06-1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おむつ
JP4090202B2 (ja) * 2001-01-10 2008-05-28 王子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40295B2 (ja) * 2007-03-19 2013-0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US9782304B2 (en) 2012-08-20 2017-10-10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new leg gathers
US10675191B2 (en) * 2012-09-24 2020-06-09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impermeable surface sheet por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699A1 (en) 1994-06-01 1995-12-07 Pope & Talbot, Inc. Absorbent garment with elasticized containment strips
WO2008138018A1 (en) 2007-05-08 2008-11-13 Dsg Technology Holdings Ltd. Body conforming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eg wraps and internal top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68495B2 (en) 2018-05-15
WO2014057571A1 (ja) 2014-04-17
US20150196433A1 (en) 2015-07-16
EP2907491A4 (en) 2016-05-25
EP2907491A1 (en) 2015-08-19
JP5236122B1 (ja) 2013-07-17
CN104684515B (zh) 2017-04-26
JPWO2014057571A1 (ja) 2016-08-25
KR20150050569A (ko) 2015-05-08
EP2907491B1 (en) 2018-05-23
CN104684515A (zh) 2015-06-03
TR201810696T4 (tr)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492C1 (ru) Экологически безопасная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труктура
CA2616901C (en) Flexible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fit
CA2616903C (en) Flexible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fit
US7699825B2 (en) Flexible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fit
KR101717210B1 (ko) 체액 수용 커넬을 구비한 흡수체 물품
US20050154363A1 (en) Disposable diaper
CN101325938A (zh) 吸收性制品
KR20050090394A (ko) 주변 신장 흡수 가먼트
JP2010017342A (ja) 吸収性物品
CA2616904C (en) Flexible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fit
KR102563865B1 (ko) 흡수성 물품
KR102563863B1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TW413630B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pertured liner
KR102628254B1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3880194B2 (ja) 吸収性物品
KR102495532B1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304866A1 (en) Multi-piece absorbent articles with leg cuffs
JP7171986B2 (ja) 吸収性物品
JP6200659B2 (ja) 体液受容キャナルを持つ吸収体物品
KR20220159356A (ko) 흡수성 물품
JP2021104221A (ja) 吸収性物品
CZ328999A3 (cs) Absorpční výrobky s vyjímatelnými - vyměnitelnými součást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