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880A -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880A
KR20030015880A KR1020020048380A KR20020048380A KR20030015880A KR 20030015880 A KR20030015880 A KR 20030015880A KR 1020020048380 A KR1020020048380 A KR 1020020048380A KR 20020048380 A KR20020048380 A KR 20020048380A KR 20030015880 A KR20030015880 A KR 20030015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wireless recording
wireless
communication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553B1 (ko
Inventor
데미즈사나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15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07B11/02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for validating inserted ti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36Tickets or coupon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통행자가 제시한 무선 카드(C)에 대해서 통신부(16a)에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고, 통행허가의 경우에는 통신부(16a)의 통신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카드(C)는 회수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회수권인 경우에는 수납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하여 당해 무선카드(C)를 수납하고, 이 때, 수납된 무선카드(C)는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에는 무선카드(C)의 기록정보를 무효권으로 재작성 한 후, 상기 무선카드(C)를 착탈 자유로운 스태커(5)에 정렬하여 회수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카드(C)를 반환구(51)로 반환하는 것으로, 사용이 끝난 무선식 기록매체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회수된 무선식 기록매체의 부정 사용방지와 무선식 기록매체의 교체 등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TYPE TICKET ISSUING APPARATUS AND TICKET CHECKING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철도 등의 교통기관의 역에 설치되고 통행자가 제시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자동개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어 철도 등의 교통기관의 역에 설치되는 자동개찰장치에서는 개찰처리의 고속화 및 서비스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해, 자기식 기록매체로 이루어진 승차권을 대신해서 무선식 기록매체로서의 무선식 IC카드로 이루어진 승차권(이후, 무선카드라고 호칭한다)를 처리하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와같은 무선카드를 처리하는 자동개찰장치는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카드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무선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행자의 통행(역 구내로의 입장 또는 역 구외로의 퇴장)의 가부를 판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무선 카드는 자기식 승차권에 비해 1장 당의 비용이 높기 때문에, 리사이클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이 끝난 무선카드를 가능한 한 회수할 수 있는 자동개찰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개찰장치에서는 통행가부의 판정결과가 허가가 된 경우에, 사용이 끝난 무선카드를 회수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회수를 가능하게 한 경우에도 번잡하게 스태커에 회수된 무선카드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카드 발행장치의 카드유닛에 다시 세팅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이 끝난 무선식 기록매체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회수된 무선식 기록매체의 부정사용방지와, 무선식 기록매체의 교체 등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의 일부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자동개찰장치에 탑재되는 회수상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자동개찰장치의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하차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의 일부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자동개찰장치의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하차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발행장치의 외관 및 일부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카드발행장치의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무선카드(무선식 기록매체) 0: 자동개찰장치 본체
1: 주제어부(개찰수단, 판정수단, 식별수단, 무효화수단)
3: 도어(통행제어수단) 5: 스태커(회수수단)
10a: 집찰처리부 10b: 개찰처리부
12a,12b: 통로표시부 14: 투입구(수납구)
14a: 셔터
16a, 16b: 통신부(판독수단, 통신수단, 무효화수단)
18a,18b: 안내표시부 20: 슈터(회수수단)
35: 셔터 제어부 43: 무선통신 제어부(판독수단)
51: 반환구(반환수단) 52: 분기기구(회수수단, 반환수단)
53: 분기 제어부(회수수단, 반환수단) 54: 회수제어부(회수수단)
60: 회수부(회수수단) 70: 판별부(판별수단)
200: 카드발행장치(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한 자동개찰장치는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식 기록매체가 수납되는 수납구,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통행허가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가 회수해야할 무선식 기록매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가 회수해야할 무선식 기록매체라고 판정된 경우 그 취지를 상기 통행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상기 수납구로부터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자동개찰장치의 본체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정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한 자동개찰장치는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수납구와,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통행허가라고 판정받은 경우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가 회수해야할 무선식 기록매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가 회수해야할 무선식 기록매체라고 판정된 경우 그 취지를 상기 통행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상기 수납구로부터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되었을 때, 그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가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과, 상기 자동개찰장치의 본체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가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정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과,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가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상기 통행자에게 반환하는 반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한 자동개찰장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시하는 개찰수단과, 상기 개찰수단에 의한 개찰처리가 실시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취하는 수취수단과, 상기 수취수단에 의해 수취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가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재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 재이용 불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구분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한 개찰 시스템은 개찰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한 무선식 기록매체를 발행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와,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시하는 자동개찰장치를 구비한 개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찰장치는 개찰처리가 실시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취하는 수취수단과, 상기 수취수단에 의해 수취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가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재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 재이용 불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구분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한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스택하는 스태커와, 상기 스태커에 스택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대해서 개찰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여 발행하는 발행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한 개찰 시스템은 개찰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한 무선식 기록매체를 발행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와,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시하는 자동개찰장치를 구비한 개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는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스택하는 스태커와, 상기 스태커에 스택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대해서 개찰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여 발행하는 발행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는 역 등의 시설내로의 입장시의 개찰처리 및 시설밖으로의 퇴장시의 집찰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우선, 개찰 집찰 처리의 대상이 되는 승차권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자동개찰장치에서 처리대상이 되는 승차권은 무선식 기록매체로서의 무선카드이다. 상기 처리대상이 되는 무선카드에는 예를 들어 금액에 맞는 거리에 있어서, 1회만의 승강이 허가되는 보통 승차권, 소정기간 및 소정구간에서 승강이 허가되는 정기권, 또는 미리 기록된 금액정보와 교환으로 승강이 허가되는 스토어드 페어 카드(이후, SF 카드라고 약칭) 등을 들 수 있다.
보통승차권은 통상, 1회의 승강에 한하여 유효해지는 표(1회권)이고, 하차시에 사용이 끝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차시에 사용이 끝나게 되는 무선카드는 하차시에 회수해야할 표(회수권)이다.
또한, 정기권 또는 SF카드는 반복 승강 가능한 표이다. 즉, 정기권은 기록되어 있는 유효기간이 경과될 때까지 사용 가능하고, SF카드는 기록되어 있는 금액정보의 잔액이 없어질 때까지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차시에 사용이 끝나게 되지 않고 반복 사용 가능한 무선카드는 하차시에 회수하지 않는 표(비회수권)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개찰장치의 일부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는 주제어부(1), 전원부(2), 통행제어수단으로서의 도어(3), 스피커(4), 착탈 자유로운 회수수단으로서의 스태커(5)를 구비한 회수부(60), 집찰 처리부(10a), 및 개찰 처리부(10b)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주제어부(1)는 본 장치 전체의 제어를 말한다. 전원부(2)는 본 장치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어(3)는 닫음으로써 통행자의 통로를 폐쇄한다. 스피커(4)는 통행자에 대해서 각종 안내를 음성에 의해 출력한다.
집찰처리부(10a)에는 통로표시부(12a), 무선카드(C)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구(수취수단)으로서의 투입구(14), 판독수단(통신수단)으로서의 통신부(16a), 안내표시부(18a), 표 검지기(22), 반환수단으로서의 반환구(51), 수취수단 및 반환수단으로서의 분기기구(52), 회수수단으로서의 회수부(60) 등이 설치되어 있다.
통로표시부(12a)는 역 구내측으로부터 본 장치에 근접해 온 통행자에 대해서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투입구(14)는 통신부(16a)를 구성하는 루프형상 안테너의 내측에 설치되고,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카드(C)를 수취한다. 상기 투입구(14)에는 개폐 가능한 셔터(14a)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상기 셔터(14a)는 투입구(14)를 폐쇄하고 있고, 무선카드(C)의 수취가 필요한 경우에 투입구(14)를 개방한다.
통신부(16a)는 무선카드(C)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루프 형상 안테너 등으로 구성되고, 통행자에 의해 가까이 대어지는 무선카드(C)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통신부(16a)는 무선카드(C)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즉, 무선카드(C)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무선카드(C)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주제어부(1)는 상기 통신부(16a)에 의해 판독된 기록내용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시하는 개찰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주제어부(1)는 통신부(16a)에 의해 판독된 기록내용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시한 무선카드(C)를 회수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안내표시부(18a)는 역 구내측으로부터 개찰통로를 통행하는 통행자, 즉 하차객에 대해서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표 검지기(22)는 투입구(14)의 근방에 설치되고,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를 검지한다. 상기 표 검지기(22)는 예를 들어 광학 센서로 구성되고 무선카드(C)를 광학적으로 검지한다.
분기기구(52)는 투입구(14)의 아래쪽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무단의 반송 벨트(52a)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는 반송벨트(52a)상에 얹히고, 상기 상태에서 통신부(16a)에서 기록내용이 판독된다.
주제어부(1)는 통신부(16a)에 의해 판독된 기록내용에 기초하여 반송벨트(52a)상에 배치된 무선카드(C)와, 투입구(14)의 셔터(14a)를 열기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주제어부(1)는 통신부(16a)를 수반하여, 투입구(14)로부터 수취하여 동일하다고 판별한 무선카드(C)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내용을 무효화하는 무효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판정결과에 의해 동일한 무선카드(C)인 경우, 분기기구(52)는 무선카드(C)를 화살표(a)방향으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무선카드(C)를 회수부(60)로 인도한다. 또한, 동일한 무선카드(C)가 아닌 경우, 분기기구(52)는 무선카드(C)를 화살표 b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무선카드(C)를 반환구(51)로 인도한다. 즉, 투입된 무선카드(C)의 동일성을 판정함으로써, 무선카드(C)를 회수부(60)에 회수하거나 반환구(51)로부터 통행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회수부(60)는 스태커(5)와, 스태커(5)에 접속된 셔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태커(5)는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회수해야할 무선카드를 정렬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태커(5)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통체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무선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개구부(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6)는 스태커(5)가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탑재되었을 때 셔터(20)에 접속된다.
또한, 스태커(5)의 내부에는 무선카드의 수납매수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재치(載置)판 이동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재치판(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치판(7)상에 상부 개구부(6)로부터 수납된 무선카드가 차례로 중첩되어 얹힌다. 또한, 스태커(5)의 전면에는 상기 스태커(5)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개찰장치 본체(0)로부터 떼어낸 스태커(5)는 회수한 무선카드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그대로의 상태에서 카드 발행장치에 탑재가 가능해지고 있다.
슈터(20)는 분기기구(52)에 의해 수취된 무선카드(C)를 스태커(5)로 안내한다. 슈터(20)로 인도된 무선카드(C)는 스태커(5)의 개구부(6)로부터 내부로 투입되고, 재치판(7)상에 차례로 겹쳐 쌓여 적재된다.
개찰 처리부(10b)는 통로 표시부(12b), 판독수단(통신수단)으로서의 통신부(16b) 및 안내 표시부(18b)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표시부(12b)는 역의 구외측으로부터 본 장치에 근접해 온 통행자에 대해서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통신부(16b)는 집찰 처리부(10a)의 통신부(16a)와 동일하게 루프형상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고, 통행자에 의해 대어지는 무선카드(C)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통신부(16b)는 무선카드(C)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즉, 무선카드(C)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무선카드(C)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안내표시부(18b)는 역 구외측으로부터 개찰 통로를 통행하는 통행자, 즉, 승차하는 통행자에 대해서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찰 처리부(10a)는 탑커버(26a)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탑커버(26a)는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대해서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탑커버(26a)에 투입구(14), 통신부(16a) 및 안내 표시부(18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개찰 처리부(10b)는 탑커버(26b)에 의해 덮여있고, 상기 탑커버(26b)는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대해서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탑커버(26b)에 통신부(16b) 및 안내 표시부(18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탑커버(26a)는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의해 간막이 된 한쪽의 개찰통로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탑커버(26b)는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의해 간막이 된 다른쪽의 개찰통로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탑커버가 개방되고, 한쪽의 개찰통로가 사용 불가가 되어도 다른쪽 개찰통로까지 사용 불가가 되는 일은 없다.
도 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개찰장치의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주제어부(1)에는 ROM(읽기전용 메모리)(30),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32), 운임 메모리(34), 셔터 제어부(35), 표 검지기 감시부(36), 사람 검지기 감시부(37), 도어 개폐 제어부(38), 표시제어부(39), 탑커버 개폐 감시부(41), 전원 제어부(42), 무선통신 제어부(43),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44), 감시패널 인터페이스(I/F)(45), 분기 제어부(53) 및 회수 제어부(5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주제어부(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장치 전체의 제어를 말한다. 상기 주제어부(1)는 타이머(1a)를 갖고, 여러가지 처리에서의 시간감시를 실시한다. ROM(30)은 주제어부(1)의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다. RAM(32)은 주제어부(1)에 의해 본 장치를 제어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운임 메모리(34)는 운임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셔터 제어부(35)는 투입구(14)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14a)의 개폐 구동을 제어한다. 표 검지기 감시부(36)는 투입구(14)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표 검지기(22)로부터의 표 검지신호를 감시한다. 사람 검지기 감시부(37)는 자동개찰장치 본체(0)의 개찰통로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사람 검지기(37a)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체크하고, 자동개찰장치 본체(0)를 따라서 통행하는 통행자를 감시한다.
도어 개폐 제어부(38)는 도어 개폐 구동부(3a)에 의한 도어(3)의 개폐구동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39)는 통로 표시부(12a), 안내 표시부(18a), 통로 표시부(12b), 안내 표시부(18b) 등의 각종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한다.
탑커버 개폐 감시부(41)는 탑 커버(26a)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탑커버센서(41a) 및 탑커버(26b)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탑커버 센서(41b)로부터의 각 검지신호를 체크하여, 탑커버(26a, 26b)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전원 제어부(42)는 전원부(2)에 의한 전원 공급 등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제어부(43)는 통신부(16a, 16b)의 송수신 파워 등을 제어하거나, 통신부(16a,16b)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거나, 통신부(16a, 18b)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변조한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44)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감시패널 인터페이스(45)는 외부에 설치되는 감시패널(46)과 본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분기 제어부(53)는 분기기구(52)의 구동을 제어한다. 회수 제어부(54)는 회수부(60)에서의 스태커(2)의 재치판 이동기구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에, 투입구(14)에 투입되는 무선카드(C)의 회수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셔터(14a)가 개방되어, 투입구(14)에 투입된 무선카드(C)는 일단 분기기구(52)의 반송 벨트(52a)상에 재치된다. 투입된 무선카드(C)는 표 검지기(22)에 의해 검지된 후, 통신부(16a)에 의한 무선통신에 의해 기록내용이 판독된다. 즉, 표 검지기(22)에 의해 무선카드(C)가 검지되면, 주제어부(1)는 통신부(16a)로의 무선카드(C)의 기록내용의 판독을 지시한다. 상기 지시에 따라서 통신부(16a)는 무선카드(C)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셔터(14a)를 개방하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는 기록내용이판독됨으로써, 올바른 무선카드(C)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올바른 무선카드(C)는 분기 제어부(53)에 의해 분기기구(52)로부터 슈터(20)로 인도되고, 회수제어부(54)에 의해 스태커(5)로 회수된다. 스태커(5)에서는 위쪽부터 차례로 겹쳐 쌓여 회수되고, 1장마다 재치판(7)이 하강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하차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 5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주제어부(1)는 도시하지 않은 근접 센서에 의한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통행자가 역 구내측으로부터 본 장치에 근접한 것을 검지한 경우, 셔터 제어부(35)를 제어하여 투입구(14)의 셔터(14a)를 폐쇄한다. 이 때, 주제어부(1)는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 표시부(18a)에 「승차권을 대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통행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카드(C)를 통신부(16a)의 근방에 대면, 주제어부(1)는 무선통신 제어부(43)를 제어하여 통신부(16a)에 의해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개시하고, 그 통신에 의해 무선카드(C)의 기록내용(기록정보)을 판독한다(단계(S1)). 주제어부(1)는 상기 판독된 기록내용에 기초하여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단계(S2)).
주제어부(1)는 판정의 결과, 통행이 허가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3), 예), 무선카드(C)로부터 판독된 기록내용에 기초하여, 제시된 무선카드(C)가 회수권(예를 들어 사용끝난 승차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 즉,주제어부(1)는 제시된 무선카드(C)가 보통 승차권 등의 1회권인 경우에는, 회수권이라고 판정하고, 정기권이나 SF카드 등의 경우에는, 회수권이 아니(비회수권)라고 판정한다.
주제어부(1)는 상기 판정에 의해 회수권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S4), 아니오), 즉 정기권 또는 SF카드 등의 회수하지 않는 무선카드(C)라고 판정한 경우, 투입구(14)의 셔터(14a)를 닫은 채로,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 표시부(18a)에 「통과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한다(단계(S5)). 그리고, 주제어부(1)는 도어 폐쇄 제어부(38)를 제어하여 도어 개폐 구동부(3a)에 의해 도어(3)를 개방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한다(단계(S6)). 이에 의해, 비회수권을 회수하지 않고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한다.
한편, 단계(S4)에서 주제어부(1)는 회수권이라고 판정한 경우(단계(S4), 예), 즉 보통 승차권 등의 회수해야할 무선카드(C)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셔터 제어부(35)를 제어하여 투입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한다(단계(S7)).
그리고, 주제어부(1)는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 표시부(18a)에 「투입구에 표를 투입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한다(단계(S8)). 그리고, 주제어부(1)는 타이머(1a)에 의해 시간 감시를 개시하고, 표 검지기(22)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내에 무선카드(C)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9)).
그리고, 주제어부(1)는 표 검지기(22)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내에 무선카드(C)가 투입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S9), 예), 셔터 제어부(35)를제어하여 투입구(14)의 셔터(14a)를 닫는다(단계(S10)).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는 일단 분기기구(52)의 반송 벨트(52a)상에 재치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와 투입하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가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 즉, 주제어부(1)는 무선통신 제어부(43)를 제어하여 통신부(16a)에 의해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무선카드(C)의 기록내용을 판독한다. 이 때, 예를 들어 무선카드(C)에 각각 할당된 고유의 식별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투입하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와의 동일성이 판정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상기 판정에 의해 투입된 무선카드(C)가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11), 예),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표시부(18a)에 「통과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한다(단계(S12)).
그리고, 주제어부(1)는 투입된 무선카드(C)를 무효화한다(단계(S13)). 즉, 주제어부(1)는 무선통신 제어부(43)를 제어하여 통신부(16a)에 의해 분기기구(52)의 반송 벨트(52a) 상에 얹혀있는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지 않는, 무선카드(C)의 기록내용을 무효권으로 재작성함으로써 무선카드(C)를 무효화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분기 제어부(53)를 제어하여 분기기구(52)에 의해 반송벨트(52a)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벨트(52a) 상의 무효화된 무선카드(C)를 회수부(60)로 인도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회수제어부(54)를 제어하여 무선카드(C)를 스태커(5)에 회수한다(단계(S14)). 이 때, 스태커(5)에서는 슈터(20)를 통하여 인도된 무선카드(C)가 위쪽에서 차례로 겹쳐 쌓여 회수된다. 그리고, 회수제어부(54)의 제어에 기초하여, 1장의 무선카드(C)를 겹쳐 쌓음으로써 재치판(7)이 강하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도어개폐 제어부(38)를 제어하여 도어 개폐 구동부(3a)에 의해 도어(3)를 개방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한다(단계(S6)). 이에 의해 회수권을 분기기구(52)에 의해 확실하게 스태커(5)에 정렬하여 회수하면서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9)에서 주제어부(1)는 표 검지기(22)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내에 투입구(14)로부터 무선카드(C)가 투입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9), 아니오), 셔터 제어부(35)를 제어하여 투입구(14)의 셔터(14a)를 닫는다(단계(S15)). 그리고, 주제어부(1)는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표시부(18a)에 「다시 한번 시도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16)), 도어개폐 제어부(38)를 제어하여 도어 개폐 구동부(3a)에 의해 도어(3)를 폐쇄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불허가로 한다(단계(S17)).
상술한 단계(S11)에서, 주제어부(1)는 투입된 무선카드(C)가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11), 아니오),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표시부(18a)에 「일단 내려가서 동일한 표를 투입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한다(단계(S18)).
그리고, 주제어부(1)는 분기 제어부(53)를 제어하여 분기기구(52)에 의해 반송벨트(52a)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반송벨트(52a)상에 재치된 무선카드(C)를 반환구(51)로 반환한다(단계(S19)). 그리고, 주제어부(1)는 도어 개폐 제어부(38)를 제어하여 도어 개폐 구동부(3a)에 의해 도어(3)를 폐쇄하여 이용의 통행을 불허가로 한다(단계(S17)).
이에 의해, 통행자가 제시한 무선카드(C)는 착오없이 회수됨과 동시에, 통행자가 잘못하여 투입구(14)에 다른 무선카드나 다른 매체 등을 투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판정결과에 대한 통행제어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S3)에서 주제어부(1)는 통행판정의 결과, 통행이 불허가라고 판정한 경우에는(단계(S3), 아니오), 통행이 불허가가 된 요인이 무선 카드(C)의 요금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0)).
그리고, 주제어부(1)는 상기 판정에 의해 요금부족으로 불허가가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단계(S20), 예),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표시부(18a)에 「정산기에서 정산해 주십시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21)), 도어개폐 제어부(38)를 제어하여 도어개폐 구동부(3a)에 의해 도어(3)를 폐쇄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저지한다(단계(S17)).
상술한 단계(S20)에서,주제어부(1)는 요금 부족 이외의 요인으로 통행이 불허가되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S20), 아니오), 표시제어부(39)를 제어하여, 안내 표시부(18a)에 「이 표로는 통행할 수 없습니다.」라는 취지의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22)), 도어개폐 제어부(38)를 제어하여 도어 개폐 구동부(3a)에 의해 도어(3)를 폐쇄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저지한다(단계(S17)).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에 의하면 하차시에, 보통 승차권 등의 회수해야할 무선 카드(C)가 제시된 경우, 투입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하여 무선 카드(C)의 회수를 실시하고, 정기권이나 SF카드 등의 회수하지 않는 무선카드(C)가 제시된 경우, 투입구(14)의 셔터(14a)를 폐쇄한 상태로 하여 무선카드(C)를 회수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회수해야할 무선카드(C)를 확실히 회수함과 동시에, 회수하지 않아야 하는 무선카드(C)를 잘못하여 회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통행자에 대한 처리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자동개찰장치를 효율좋게 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집찰시에 무선카드(C)를 회수할 때, 그 무선카드(C)의 기록정보를 무효권으로 재작성한 후, 착탈 자유로운 스태커(5)에 정렬하여 회수함으로써 회수한 무선카드(C)를 다시 발행할 때, 그 스태커(5)를 그대로 떼어내어 카드발행장치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회수한 무선카드(C)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선카드(C)의 교체 등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6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의 일부의 내부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집찰 처리부(10a)에는 통로 표시부(12a), 투입구(14), 통신부(16a), 안내 표시부(18a), 표 검지기(22), 반환구(51), 분기기구(52), 회수수단으로서의 회수부(60), 판별수단으로서의 판별부(70) 및 반송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집찰처리부(10a)에 설치된 판별부(70)는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되어 분기기구(52)의 반송 벨트(52a)상에 재치된 무선카드(C)가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별부(70)는 반드시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통신부(16a)가 그 기능을 겸해도 좋다.
상기 판별부(70)에서는 예를 들어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의 무선통신시에 통신불량을 발생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불량을 발생시킨 경우에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또한, 상기 판별부(70)는 예를 들어 무선카드(C)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카드(C)의 제조일과,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의해 개찰처리가 이루어진 처리일을 비교하여, 처리일이 제조일로부터 소정일수, 예를 들어 5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회수부(60)는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C)와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C)를 구분하여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수부(60)는 제 1 스태커(5A)와, 제 1 스태커(5A)에 접속된 제 1 슈터(20A)와, 제 2 스태커(5B)와, 제 2 스태커(5B)에 접속된 제 2 슈터(20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 1 스태커(5A) 및 제 2 스태커(5B)는 도 3에 도시한 스태커(5)와 동일하고,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적어도 한쪽은 카드발행장치에 탑재 가능하다. 이와 같은 회수부(60)에서는 한쪽의 스태커, 예를 들어 제 1 스태커(5A)에는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C)가 회수(스택)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스태커, 예를 들어 제 2 스태커(5B)에는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C)가 회수(스택)된다.
반송부(90)는 판별부(70)에서 예를 들어 재이용 가능하다고 판별된 무선카드(C)를 수취하지 않고 회수부(60)의 제 1 슈터(20A)에 인도한다. 또한, 반송부(90)는 판별부(70)에서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무선카드(C)를 수취, 반송하여 회수부(60)의 제 2 슈터(20B)에 인도한다. 상기 반송부(90)는 예를 들어 무단의 반송벨트(9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1)에는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 구성 외에, 판별 제어부(5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판별 제어부(55)는 판별부(7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고, 주제어부(1)에 대해서 판별 결과에 대응한 정보(재이용 가능/재이용 불가능)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에서는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제어부(1)는 도 4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와 동일하게 단계(S1) 내지 단계(S13)에 이르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단계(S13)에서, 반송 벨트(52a)상의 무선카드(C)를 무효화한 후 판별 제어부(55)를 제어하여 판별부(70)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반송벨트(52a) 상의 무효화된 무선카드(C)가 재이용 불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31)).
그리고, 주제어부(1)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S31,예), 분기 제어부(53)를 제어하여 분기기구(52)에 의해 반송벨트(52a)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벨트(52a)상의 무효화된 무선카드(C)를 회수부(60)의 제 1 슈터(20A)에 인도한다. 이에 의해, 제 1 스태커(5A)에는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C)만이 회수된다(단계(S32)).
한편, 주제어부(1)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단계(S31,아니오), 분기제어부(53)를 제어하여 분기기구(52)에 의해 반송벨트(52a)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송벨트(52a)상의 무효화된 무선카드(C)를 반송부(90)에 반송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반송부(90)를 제어하여 반송벨트(91)를 구동하여 반송벨트(91)상의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C)를 회수부(60)의 제 2 슈터(20B)에 인도한다. 이에 의해 제 2 스태커(5B)에는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C)만이 회수된다(단계(S33)).
또한, 그 후 주제어부(1)는 도 4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와 동일하게 단계(S15) 내지 단계(S22)에 이르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집찰처리부(10a)에서는 회수해야 하는 것으로 판정된 무선카드(C)는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후, 판별부(70)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리고,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C)는 반송부(90)에 인도되지 않고 그대로 회수부(60)의 제 1 슈터(20A)를 통하여 제 1 스태커(5A)에 회수된다. 또한,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C)는 반송부(90)에 인도된 후에 회수부(60)의 제 2 슈터(20B)를 통하여 제 2 스태커(5B)에 회수된다. 이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C)와,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C)를 구분한 상태에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자동개찰장치에 의하면 회수해야한다고 판정된 무선카드의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필요에 따라서 무선카드를 더욱 하류측으로 인도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수부는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 및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를 각각 개별적으로 스택하여 회수하는 2개의 스태커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재이용 가능하다고 판단된 무선카드를 한쪽의 스태커에 회수하고 또한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무선카드를 다른쪽의 스태커에 회수한다. 그리고, 무선카드를 재이용할 때, 카드발행장치의 카드유닛에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만을 회수한 스태커를 셋팅함으로써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가 혼동되어 카드발행장치에 셋팅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에 더하여, 카드발행장치에서 무선카드에 개찰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여 발행할 때,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를 발행처리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을 해제하기 위해 계원이 대응하는 일도 없어지므로,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계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동개찰장치와 카드발행장치(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를 구비한 개찰시스템에 의하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자동개찰장치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카드발행장치(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를 구비한 개찰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개찰장치 본체(0)는 회수해야 할 무선카드(C)를 회수하는 회수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수부(60)는 회수한 무선카드(C)를 스택하는 하나의 스태커(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태커(5)는 회수해야할 무선카드(C)로서 재이용 가능한 것 및 재이용 불가능한 것이 혼재한 상태에서, 무선카드(C)를 스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태커(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카드발행장치(200)에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발행장치(200)는 주제어부(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제어부(1)는 장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주제어부(1)에는 메모리부(26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부(262)는 ROM, RAM 및 운임메모리를 포함하고, 주제어부(260)의 제어프로그램, 발매노선에 대응한 정보, 상기 발매노선 내의 구간 운임에 대응한 정보 등 여러가지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260)에는 카드처리부(264), 지폐처리부(266), 동전처리부(268) 및 거스름돈 처리부(270)가 접속되어 있다.
카드 처리부(264)는 접객면에 설치된 카드구(212)로부터 투입된 프리페이드 카드 등의 카드류에 대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지폐처리부(266)는 접객면에 설치된 지폐투입구(216)로부터 투입된 지폐의 진위판정 및 종별판정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동전처리부(268)는 접객면에 설치된 동전투입구(214)로부터 투입된 동전의 진위판정 및 종별판정 등을 실시한다. 잔돈 처리부(270)는 주제어부(260)에서 산출한 거스름돈이 합계 금액에 기초하여 배출구(218)로부터 거스름돈을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260)에는 표시제어회로(272), 입력회로(274), 무선통신제어부(276), 스태커 제어부(278), 판별제어부(280), 발행수단으로서의 발행부(282), 통신제어부(284) 등이 접속되어 있다.
표시제어회로(272)는 표시부(202)의 구동을 제어한다. 입력회로(274)는 터치패널, 텐키보드, 각종 입력버튼 등의 입력부(201)를 통한 입력에 기초한 신호를 발생한다.
무선통신 제어부(276)는 통신수단으로서의 통신부(230)의 송수신 파워 등을 제어하거나, 통신부(23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거나 통신부(230)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변조한다. 주제어부(1)는 통신부(230)를 수반하여, 스태커(240)에 스택되어 있는 무선카드(C)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내용을 무효화하는 무효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스태커 제어부(278)는 스태커(240)의 재치판 이동기구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스태커(240)는 카드 발행장치(200)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음과동시에, 자동개찰장치 본체(0)에 대해서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한 스태커(5)와 동일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스태커(240)의 내부에는 무선카드의 수납매수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재치판 이동기구에 의해 상하작동되는 재치판(25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치판(257)상에 무선카드가 차례로 쌓여 적재되어 있다.
판별 제어부(280)는 판별수단으로서의 판별부(2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고 주제어부(260)에 대해서 판별결과에 대응한 정보(재이용 가능/재이용 불가능)을 출력한다. 상기 판별부(250)는 통신부(230)에 의해 스태커(240)에 스택된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무선카드(C)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카드(C)가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별부(250)는 반드시 별개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통신부(230)가 그 기능을 겸해도 좋다.
상기 판별부(250)에서는 예를 들어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시에 통신불량을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불량을 발생시킨 경우에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또한, 상기 판별부(250)는 예를 들어 무선카드(C)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카드(C)의 제조일과, 카드발행장치(200)에 의해 발행처리가 이루어진 처리일을 비교하여 처리일이 제조일로부터 소정일수, 예를 들어 5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한다.
상기 판별부(250)에서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무선카드(C)는 도시하지 않은 회수상자에 회수된다.
발행부(282)는 입력부(201)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는 무선카드를 발행하고, 접객면에 설치된 발행구(220)로부터 발행한 무선카드(C)를 배출시킨다. 통신제어부(284)는 호스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상호 통신한다.
이와 같은 제 3 실시형태에서 카드발행장치(200)에서 주제어부(260)는 스태커(240)에 스택되어 있는 1장의 무선카드를 추출하고, 무선통신제어부(276)를 제어하여 통신부(230)에 의해 무선카드(C)를 무효화한다. 그리고, 주제어부(260)는 판별제어부(280)를 제어하여 판별부(250)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스태커(240)에 스택된 무효화된 무선카드(C)가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주제어부(1)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발행부(282)를 제어하여, 무선카드(C)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여 발행구(220)로부터 무선카드(C)를 배출한다. 한편, 주제어부(1)는 무선카드(C)가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무선카드(C)를 도시하지 않은 회수상자에 회수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카드발행장치에서는 자동개찰장치에서 회수되어 스태커에 스택된 무선카드를 추출하고, 판별부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그리고,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는 발행부에 의해 소정의 정보가 기록되어 발행된다. 또한,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는 회수상자에 회수되어 시장에 출회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만을 효율적으로발행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에 더하여, 카드발행장치에 있어서, 무선카드에 개찰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여 발행할 때, 재이용 불가능한 무선카드를 발행처리하여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을 해제하기 위해 계원이 대응하는 일도 없어지므로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계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동개찰장치와 카드발행장치를 구비한 개찰 시스템에 의하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실시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는 가능한 한 적절히 조합시켜 실시되어도 좋고, 그 경우 조합에 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이 끝난 무선식 기록매체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회수된 무선식 기록매체의 부정사용방지와, 무선식 기록매체의 교체 등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구,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개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통행허가로 판정된 경우,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할 무선식 기록매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가 회수해야할 무선식 기록매체로 판정된 경우, 그 취지를 상기 통행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상기 수납구로부터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수단, 및
    상기 자동개찰장치의 본체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정렬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무효화하는 무효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무효화 수단에 의해 기록정보가 무효화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할 때,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가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 및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가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상기 통행자에게 반환하는 반환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가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정렬하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가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에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무효화하는 무효화 수단을더 구비하고,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무효화 수단에 의해 기록정보가 무효화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위쪽으로부터 차례로 겹쳐 쌓아 정렬 수납하는 스태커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스태커는 그대로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에 대해서 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6.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시하는 개찰수단, 및
    상기 개찰수단에 의한 개찰처리가 실시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취하는 수취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개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취수단에 의해 수취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가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 및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재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 재이용 불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구분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의 무선통신시에 통신불량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의 제조일과, 상기 개찰수단에 의한 개찰처리가 실시된 처리일을 비교하여, 처리일이 제조일로부터 소정일수를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은 재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제 1 스태커와, 재이용 불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제 2 스태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수단에 의해 수취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무효화하는 무효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1. 무선식 기록매체를 스택하는 스태커와,
    상기 스태커에 스택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으로 이루어진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가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대해서 개찰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여 발행하는 발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의 무선통신시에 통신불량을 발생시킨 경우에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의 제조일과, 상기 발행수단에 의한 발행처리가 실시된 처리일을 비교하여, 처리일이 제조일로부터 소정일수를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자동개찰장치에 탑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이용 불가능하다고 판별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16. 개찰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한 무선식 기록매체를 발행하는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와,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시하는 자동개찰장치를 구비한 개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찰장치는
    개찰처리가 실시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취하는 수취수단,
    상기 수취수단에 의해 수취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가 재이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 및
    상기 판별수단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재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와 재이용 불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구분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은 재이용 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에 탑재 가능한 제 1 스태커와, 재이용 불가능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제 2 스태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는 상기 제 1 스태커에 회수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대해서 개찰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여 무선식 기록매체를 발행하는 발행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태커에 스택된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무효화하는 무효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찰 시스템.
KR10-2002-0048380A 2001-08-17 2002-08-16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KR100475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8095 2001-08-17
JP2001248095 2001-08-17
JPJP-P-2002-00079408 2002-03-20
JP2002079408A JP2003132377A (ja) 2001-08-17 2002-03-20 自動改札装置、無線式記録媒体発行装置、及び、改札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880A true KR20030015880A (ko) 2003-02-25
KR100475553B1 KR100475553B1 (ko) 2005-03-10

Family

ID=2662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380A KR100475553B1 (ko) 2001-08-17 2002-08-16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132377A (ko)
KR (1) KR100475553B1 (ko)
CN (3) CN1187718C (ko)
TW (1) TW5542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216B2 (ja) * 2004-02-03 2009-1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券類発行装置
JP4530202B2 (ja) * 2004-03-24 2010-08-25 日本信号株式会社 改札処理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非接触式自動改札機
CN100440259C (zh) * 2004-04-20 2008-12-03 广州市地下铁道总公司 一种代币型非接触式智能卡的回收装置
JP2006031157A (ja) * 2004-07-13 2006-02-02 Omron Corp 自動改札機
KR100954489B1 (ko) *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회수 처리장치
CN101540066B (zh) * 2009-04-07 2013-08-28 陶品德 基于第二代身份证的票务处理系统及方法
KR101128889B1 (ko) 2010-10-06 2012-03-26 손영진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CN102389112B (zh) * 2011-11-14 2013-02-13 深圳市味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营养配餐食品
CN108734230A (zh) * 2017-04-25 2018-11-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自助还卡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089A (ko) * 1990-09-29 1992-04-27 김동규 폴리프로필렌에 의한 위생적인 상수도 배관용 파이프의 제조방법
JP3869065B2 (ja) * 1997-03-03 2007-01-17 株式会社東芝 改札システム、検索装置、改札システムの通行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0799A (zh) 2005-01-05
CN1187718C (zh) 2005-02-02
KR100475553B1 (ko) 2005-03-10
CN1560800A (zh) 2005-01-05
TW554294B (en) 2003-09-21
CN1402192A (zh) 2003-03-12
JP2003132377A (ja)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2137B2 (ja) 自動改札装置
KR100475553B1 (ko)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JP5057759B2 (ja) 自動改札装置及び自動改札方法
KR200355455Y1 (ko) 자동 개집찰 장치
JP5957974B2 (ja) ゲート装置、ゲートシステム、およびゲート装置の通行制御方法
KR100954489B1 (ko) 티켓 회수 처리장치
JP2003346199A (ja) 改札処理システム
JP2000322632A (ja) 貨幣等の取扱装置
KR100646066B1 (ko) 승차권 매체 발행장치, 개찰처리시스템 및 개찰처리방법
KR100954480B1 (ko) 티켓 발매 처리장치
JP3730328B2 (ja) 自動改札システム
JP4696695B2 (ja) 乗車券処理装置
KR970006656B1 (ko) 현금자동거래장치
JP2003296780A (ja) 回収装置、自動改札装置、及び改札方法
JP2003108948A (ja) カード処理装置
JP2019095929A (ja) 入退出管理装置
KR100639054B1 (ko) 지엽류 계수 장치
JP4212162B2 (ja) 駅務機器
KR200189774Y1 (ko) 1회용 알에프카드 발매기의 알에프카드 투출장치
JP4202497B2 (ja) 自動改札装置
JPH10261115A (ja) 自動改札機
JP3637103B2 (ja) 自動改札装置
JP2007072780A (ja) 自動改札機、発券機および駅務システム
JP2008071180A (ja) 券類処理装置
JP2001307157A (ja) 自動改集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