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8889B1 -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8889B1
KR101128889B1 KR1020100097199A KR20100097199A KR101128889B1 KR 101128889 B1 KR101128889 B1 KR 101128889B1 KR 1020100097199 A KR1020100097199 A KR 1020100097199A KR 20100097199 A KR20100097199 A KR 20100097199A KR 101128889 B1 KR101128889 B1 KR 10112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upled
slim
ti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진
Original Assignee
손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진 filed Critical 손영진
Priority to KR102010009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07F7/0672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 G07F7/0681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in which a card, pay-card or card-like object is used as the special token required to get permission or activate the lock to use the trolley or c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from conveying arrangement to magazine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에 설치된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는 카드투입부와 카드저장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카드투입부는 찬넬형 투입프레임의 일측에 투입가이드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투입프레임의 타측 하부가 카드저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투입프레임의 상하 양단에 하부벨트와 상부벨트가 수평으로 맞대어지게 각각 구동축과 피동축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구동축에 감속피동기어가 구비되며, 구동모터에 구비된 감속구동기어가 상기 감속피동기어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드저장부는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 내부로 상부와 앞쪽이 개방되며 삽입공간부를 갖는 고정프레임의 상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삽입공간부에 상부만이 개방된 카드함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드투입부로 투입된 1회권 교통카드가 상,하부 벨트 사이를 통하여 일측에 타측으로 이송되어 삽입공간부에 삽입된 카드함체로 낙하되어 회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ONE TIME TICKET TRAFFIC CARD REVULSION APPRATUS OF SLIM GATE MACHINE}
본 발명은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역무자동화 시스템 장비인 개?집표기를 통해 승객이 나가는 과정에서 1회권 교통카드를 개?집표기의 출구측에 설치된 카드투입부를 통해 투입함과 동시에 투입된 카드가 상부벨트와 하부벨트에 의하여 카드저장부의 상부로 이송되어진 후 카드함체의 내부로 낙하되어 순차적으로 회수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이나 철도역 등에는 매표, 개표, 접표, 정산 등의 역무가 모두 무인으로 이루어지도록 교통카드발매기, 자동개집표기 및 정산기 등의 역무자동화(AFC:Autonntic Fare Collection) 시스템이 구축되어 다수의 승객을 신속히 처리하고 있다.
역무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집표기는 역내로의 승객의 입장, 퇴장을 관리하는 것으로 승객이 교통카드발매기에서 당일 교통카드를 구입하여 개?집표기에 가까이 근접시키면, 개?집표기에서 이에 대한 소정의 처리동작, 예컨대 교통카드에 정보를 읽고, 쓰는 등의 동작을 실행하여 승객의 역내로의 입장 또는 퇴장을 허가 또는 불허한다. 즉, 입장시에는 교통카드에 기록된 요금을 판단하여 승차거리에 따른 소정의 요금이 남아있을 경우에만 입장을 허가하고, 퇴장시에는 승객의 승차거리에 해당하는 요금 이상의 금액이 교통카드에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만 퇴장을 허가하도록 하고 있다.
교통카드는 기존의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타입의 승차권에 비하여 구겨지거나 찢어지기 쉽고 마그네틱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접촉식의 알에프 카드(RF card: Radio Frequency card)로 대부분 전환되어지고 있다.
비접촉식의 알에프 카드는 마드네틱 스트라이프 타입의 승차권에 비하여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반면, 이를 제조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원인이 있었다. 특히, 1회권 교통카드는 이를 전량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보증금 제도를 통해 회수되어지도록 하고 있다.
1회권 교통카드는 1회용 발매?교통카드 충전기에서 목적지를 선택한 후 운임비용과 보증금(500)을 투입하여 1회용 교통카드를 발급받고, 개?집표기의 감지부에 접촉하여 역내로 들어가게 되고, 이어 목적지에 도착하여 다른 개?집표기의 감지부에 접촉하여 역외로 나온 후 별도로 마련된 보증금 환급기에 1회용 교통카드를 투입하연 보증금을 환불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보증금을 환불받기 위해서는 보증금 환급기가 설치된 곳을 찾아가야 하고, 출퇴근시 많은 이용객이 기다리게 됨에 따라 환급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1회용 교통카드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목적지까지의 운임비용 이외에 보증금을 더 지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목적지에 도착하여 보증금을 환불 받기 위해 보증금 환급기가 설치된 곳을 찾아가거나 보증금 환급기 앞에서 오래 기다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에 설치된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A)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A)는 카드투입부(10)와 카드저장부(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카드투입부(10)는 찬넬형 투입프레임(11)의 일측에 투입가이드(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투입프레임(11)의 타측 하부가 카드저정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투입프레임(11)의 상하 양단에 하부벨트(13)와 상부벨트(14)가 수평으로 맞대어지게 각각 구동축(131)(141)과 피동축(131')(1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구동축(131)에 감속피동기어(132)가 구비되며, 구동모터(15)에 구비된 감속구동기어(151)가 상기 감속피동기어(132)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드저장부(20)는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 내부로 상부와 앞쪽이 개방되며 삽입공간부(22)를 갖는 고정프레임(21)의 상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삽입공간부(22)에 상부만이 개방된 카드함체(2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드투입부(10)로 투입된 1회권 교통카드가 상,하부 벨트(14)(13) 사이를 통하여 일측에 타측으로 이송되어 삽입공간부(22)에 삽입된 카드함체(23)로 낙하되어 회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함체(23)는 전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손잡이(23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손잡이(231) 사이의 전면에 수직형태를 갖는 확인장공(2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1)은 개방된 하부 양측의 내측 모서리에 안착가이더(2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안착가이더(24)는 내측 하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부(24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경사부(241)의 하부에 수직부(242)가 형성되어 카드함체(23)의 하부가 일정 위치에서 안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관통요홈(221)에 발광센서(31)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1관통요홈(221)에 마주보는 상부 타측에 제2관통요홈(221')이 형성되어 수광센서(3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요홈(221)과 제2관통요홈(221')의 중심과 일치되는 센싱홀(233)이 카드함체(23)의 상부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발광센서(31)와 수광센서(32)가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지고, 상기 제어부(30)의 출력측에 디스플레이부(33)가 접속되어 카드함체(23)에 회수된 카드량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가이드(12)는 입구측이 출구측 보다 넓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집표기를 통해 승객이 나가는 과정에서 1회권 교통카드를 개?집표기의 출구측에 설치된 카드투입부를 통해 투입함과 동시에 투입된 카드가 상부벨트와 하부벨트에 의하여 카드저장부의 상부로 이송되어진 후 카드함체의 내부로 낙하되어 순차적으로 회수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1회권 교통카드가 임의 각도에서 투입되더라도 용이하게 투입되어 일정하게 정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회권 교통카드가 용이하게 회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1회권 교통카드 재발행을 위한 제조와 비용 및 인원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1회용 교통카드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목적지까지의 운임비용 이외에 보증금을 더 지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보증금을 환불 받기 위해 보증금 환급기가 설치된 곳을 찾아가거나 보증금 환급기 앞에서 오래 기다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가 내장된 슬림개?집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개?집표기에 내장된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개?집표기에 내장된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가 내장된 다른 슬림개?집표기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개?집표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프레임(70)의 상부 양측에 지지케이싱(71)이 설치되어지고, 플랩도어(73)가 힌지(74)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프레임(75)의 하부가 상기 지지케이싱(71)의 상부에 맞대어져 결합되어지고, 승차권감지부(76)를 갖는 감지케이싱(77)이 상기 도어프레임(75)의 상부에 결합되어지고, 지지케이싱(71)의 사이로 위치된 상기 받침프레임(70)에는 강화패널(78)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수장치(A)는 이러한 구조를 갖는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에 설치된 것으로 카드투입부(10)와 카드저장부(20)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에서, 상기 카드투입부(10)는 투입된 1회권 교통카드(C)가 카드저장부(20)의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찬넬형 투입프레임(11)의 일측에 투입가이드(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투입프레임(11)의 타측이 카드저정부(2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투입가이드(12)는 승차권 감지부(76)를 갖는 감지케이싱(77)의 상부에 별도로 형성된 관통홀(771)을 통해 노출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투입가이드(12)는 입구측이 출구측 보다 넓게 형성되어 1회권 교통카드(C)가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입프레임(11)의 상하 양단에는 1회권 교통카드를 상하부에서 누른 상태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갖는 하부벨트(13)와 상부벨트(14)가 수평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각각 구동축(131)(141)과 피동축(131')(14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있다.
상기 구동축(131)에는 감속피동기어(132)가 결합되어지며, 투입프레임(11)의 외측으로 고정된 구동모터(15)의 감속구동기어(151)가 상기 감속피동기어(132)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5)는 후술하는 제어부(30)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드저장부(20)은 카드투입부(10)의 상부벨트(14)와 하부벨트(13) 사이를 통해 이송된 1회권 교통카드(C)가 하부로 낙하되어 순차적으로 쌓여 회수되어질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 내부 즉, 감지케이싱(77)에 내설되어 승객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리적 거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주면의 미관이 심플하게 보여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카드저장부(20)는 상부와 앞쪽이 개방되어 내부로 삽입공간부(22)를 갖는 고정프레임(21)의 상부 타측이 감지케이싱(77)의 상부 내측에 맞대어 결합되어지며 상부 일측이 투입프레임(11)의 하부에 맞대어져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간부(22)에는 상부만이 개방된 카드함체(2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드투입부(10)로 투입된 1회권 교통카드(C)가 상,하부벨트(14)(13) 사이를 통하여 일측에 타측으로 이송되어 삽입공간부(22)에 삽입된 카드함체(23)로 낙하되어 회수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카드함체(23)는 전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손잡이(231)가 결합되어 관리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입출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이를 위해 카드저장부(20)가 구비된 감지케이싱(77)의 일측에는 카드함체(23)를 인입출시키길 수 있는 별도의 인입출홀(772)이 관통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드함체(23)에 결합된 손잡이(231) 사이의 전면에는 수직형태를 갖는 확인장공(232)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관리자가 카드함체(23)에 현재 보관된 1회권 교통카드(C)의 수량을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1)은 개방된 하부 양측의 내측 모서리에는 안착가이더(24)가 형성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안착가이더(24)는 내측 하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부(24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경사부(241)의 하부에 수직부(242)가 형성되어 카드함체(23)의 하부가 일정 위치에서 안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부 일측에는 제1관통요홈(221)이 형성되어 발광센서(3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요홈(221)에 마주보는 타측에는 제2관통요홈(221')이 형성되어 수광센서(32)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요홈(221)과 제2관통요홈(221')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카드함체(23)의 양측에 센싱홀(23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발광센서(31)와 수광센서(32)가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지고, 상기 제어부(30)의 출력측에 디스플레이부(33)가 접속되어 카드함체(23)에 회수된 1회권 교통카드량이 외부로 표시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A)를 이용하여 1회권 교통카드(C)가 회수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30)를 통해 전원이 구동모터(15)로 인가되어지는 가운데 승객이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1회권 교통카드(C)를 카드투입부(10)의 투입가이드(12)로 투입하게 됨과 동시에 투입된 1회권 교통카드(C)는 구동축(131)과 피동축(13')에 의하여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송되어지고 있는 상부벨트(14)와 하부벨트(13) 사이로 삽입되어진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다음, 타측으로 이송된 1회권 교통카드(C)는 카드저장부(20)의 상부로 배출되어짐과 동시에 자중으로 인하여 카드함체(23)의 바닥으로 낙하되어지게 되고, 바닥으로 낙하되어진 1회권 교통카드(C)의 상부에 다른 1회권 교통카드(C)가 동일한 과정을 통해 회수되어지게 된다.
다음, 카드함체(23)로 회수되어진 1회권 교통카드(C)의 수량은 확인장공(232)을 통해 외부에서 관리자가 육안을 확인하여 적정량의 1회권 교통카드(C)가 채워졌을 경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손잡이(231)를 이용하여 고정프레임(21)으로부터 카드함체(23)를 분리한 후 새로운 비어있는 다른 카드함체(23)를 삽입하면 된다. 이때 고정프레임(21)의 삽입공간부(22)의 하부 내측의 모서리에 형성된 안착가이드(24)의 경사부(241)에 의하여 카드함체(23)의 하부가 일정한 위치에서 안착되어지게 된다.
다음, 카드함체(23)의 내부에 1회권 교통카드(C)가 센싱홀(233)이 형성된 상부까지 회수될 경우, 발광센서(31)에서 발생된 센서빛이 수광센서(32)로 도달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제어부(30)는 현재 카드함체(23)의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1회권 교통카드(C)가 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부(33)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이를 보고 신속하게 카드함체(23)를 비어있는 새로운 카드함체(23)와 교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지케이싱(71)의 사이로 위치된 받침프레임(70)에 강화패널(78)이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차권 감지부(76)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강화벽(79)이 설치되어지게 할 수 도 있다.
10:카드투입부 11:투입프레임
12:투입가이드 13:하부벨트
14:상부벨트 15:구동모터
20:카드저장부 21:고정프레임
22:삽입공간부 23:카드함체
131,141:구동축 131',141':피동축
132:감속피동기어 151:감속구동기어

Claims (5)

  1.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에 설치된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A)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A)는 카드투입부(10)와 카드저장부(20)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카드투입부(10)는 찬넬형 투입프레임(11)의 일측에 투입가이드(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투입프레임(11)의 타측 하부가 카드저장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투입프레임(11)의 상하 양단에 하부벨트(13)와 상부벨트(14)가 수평으로 맞대어지게 각각 구동축(131)(141)과 피동축(131')(14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구동축(131)에 감속피동기어(132)가 구비되며, 구동모터(15)에 구비된 감속구동기어(151)가 상기 감속피동기어(132)에 맞물려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카드저장부(20)는 슬림개?집표기의 출구측 내부로 상부와 앞쪽이 개방되며 삽입공간부(22)를 갖는 고정프레임(21)의 상부가 맞대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삽입공간부(22)에 상부만이 개방된 카드함체(2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드투입부(10)로 투입된 1회권 교통카드가 상,하부 벨트(14)(13) 사이를 통하여 일측에 타측으로 이송되어 삽입공간부(22)에 삽입된 카드함체(23)로 낙하되어 회수되며,
    상기 카드함체(23)는 전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손잡이(23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손잡이(231) 사이의 전면에 수직형태를 갖는 확인장공(2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1)은 개방된 하부 양측의 내측 모서리에 안착가이더(2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안착가이더(24)는 내측 하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부(24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경사부(241)의 하부에 수직부(242)가 형성되어 카드함체(23)의 하부가 일정 위치에서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1관통요홈(221)에 발광센서(3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요홈(221)에 마주보는 상부 타측에 제2관통요홈(221')이 형성되어 수광센서(3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요홈(221)과 제2관통요홈(221')의 중심과 일치되는 센싱홀(233)이 카드함체(23)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발광센서(31)와 수광센서(32)가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지고, 상기 제어부(30)의 출력측에 디스플레이부(33)가 접속되어 카드함체(23)에 회수된 카드량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가이드(12)는 입구측이 출구측 보다 넓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KR1020100097199A 2010-10-06 2010-10-06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KR10112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99A KR101128889B1 (ko) 2010-10-06 2010-10-06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199A KR101128889B1 (ko) 2010-10-06 2010-10-06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889B1 true KR101128889B1 (ko) 2012-03-26

Family

ID=4614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199A KR101128889B1 (ko) 2010-10-06 2010-10-06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8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810Y1 (ko) 1997-01-27 1999-08-02 윤종용 승차권 이중 처리 장치
KR100215977B1 (ko) 1997-03-18 1999-08-16 전주범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KR100475553B1 (ko) 2001-08-17 2005-03-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KR100954489B1 (ko) *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회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810Y1 (ko) 1997-01-27 1999-08-02 윤종용 승차권 이중 처리 장치
KR100215977B1 (ko) 1997-03-18 1999-08-16 전주범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KR100475553B1 (ko) 2001-08-17 2005-03-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KR100954489B1 (ko) *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회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4599B1 (ja) 宅配システム
US9518861B2 (en) Luggage control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1128889B1 (ko)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JP2003132377A (ja) 自動改札装置、無線式記録媒体発行装置、及び、改札システム
TW502224B (en) Contactless token and ticket checking system of the conactless token
KR101788680B1 (ko) 공병회수장치
JP2005309477A (ja) 改札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で用いられる非接触式自動改札機
JP6617954B2 (ja) 運賃箱
JP6304869B2 (ja) 料金所設備
KR101219762B1 (ko) Rf 티켓 자동 발매기 및 이를 사용한 rf 티켓 발매 방법
JP3675188B2 (ja) 乗車券処理装置、自動改札機及び自動精算機
JP2000331198A (ja) 改札処理システム
JP6304866B2 (ja) 料金機械
JPS61206092A (ja) 接客窓口の現金払戻装置
JP3482388B2 (ja) 駐車料金精算機
JPH09198559A (ja) 貨幣受収機器の受収貨幣回収システム
JP2000207593A (ja) 自動改札機
JP2003123100A (ja) 改札処理システム
JPS61196396A (ja) 投票券発売窓口の現金処理装置
JPH0696318A (ja) 自動改札機
JP2001067499A (ja) カード処理装置
JPS61193263A (ja) 現金払戻装置
JP200435514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カード処理機、料金収受方法
JP2002366985A (ja) カードシステム
JPH05143813A (ja) 改札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