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977B1 -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977B1
KR100215977B1 KR1019970009177A KR19970009177A KR100215977B1 KR 100215977 B1 KR100215977 B1 KR 100215977B1 KR 1019970009177 A KR1019970009177 A KR 1019970009177A KR 19970009177 A KR19970009177 A KR 19970009177A KR 100215977 B1 KR100215977 B1 KR 10021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section
vending machine
conveyance belt
photo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713A (ko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0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97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36Tickets or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차권발행부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 등을 거쳐 형성되는 승차권이 폐기권(T')인 경우 반송부(10)에 이르는 반송벨트(15) 상의 하부풀리(17) 및 플랫퍼(18)를 통해 폐표함(19)으로 수집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하부풀리(17)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통과를 검출하는 포토센서(22);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포토센서(22)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일면에 일련번호 등의 데이터를 인쇄하는 보조프린터(21); 상기 플랫퍼(18)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230의 작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프린터(21)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제어부(6)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수집되는 폐표가 부정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본 발명은 승차권 발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수집되는 폐표가 부정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승차권 발매기의 내부를 블럭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에 고용되는 승차권 발매기는 외부로 조작판넬부(5)가 노출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승차권발행부(1), 지폐처리부(2), 동전처리부(3), 카드처리부(4), 주제어부(6), 주프린터(7) 등이 설치된다. 이 밖에도 승차권 발매기에는 소정의 동작전원을 형성하는 전원부(도시 생략)를 비롯하여 동전 수집함, 지폐 수집함 등이 설치된다.
지하철 이용자가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고 조작판넬부(5)에서 목적지를 입력하면 주제어부(6)는 요금처리부라고 할 수 있는 지폐처리부(2), 동전처리부(3), 카드처리부(4)에서 요금을 정산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도록 하고, 승차권발행부(1) 측으로 발권에 관한 정보를 보내어 소정의 기록이 입력된 승차권을 발행하도록 한다.
이때, 승차권의 표면에는 그 승차권의 구입장소, 구입년월일, 구간정보, 장애자 할인정보, 대인 및 소인의 구별 등이 인쇄되며, 자기바코드 등으로 구성되는 자기 기록부가 설치되는 이면에는 각종 자기정보가 기록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니는 승차권발행부(1)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동작을 신속히 수행하므로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역무원이 유지,관리하는 시간이 절약되어 효율적인 역무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도 2를 이용하면, 승차권발행부(1) 내에는 급송부(11), 절단부(12), 인쇄부(13), 기록부(14), 반송부(10) 등이 각각 순차적이고 연속적인 동작이 일어나도록 배치된다. 롤지(R)는 절단부(12)에 이르기 전까지 하나로 연결되어 다수의 아이들 풀리 상에 감겨있다. 상기 급송부(11)는 롤지(R)지 일방향으로 이송 또는 정지시키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절단부(12)는 이송되는 롤지(R)의 일단을 규정된 길이로 자르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인쇄부(13)는 이송되는 승차권의 전면에 소정의 시각정보를 기록을 하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기록부(14)는 이송되는 승차권의 이면에 소정의 독출 가능한 정보를 기록을 하는 기능을 지니고, 상기 반송부(10)는 이송되는 승차권이 정상이면 방출구(10a)로 보내고 비정상이면 이용자에게 보내지 않고 폐표함(19)에 수집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러한 구성을 지니는 종래의 승차권 발매기에서 주제어부(6)는 반송부(10)에 설치되는 소정의 검출수단을 이용하여 폐기권(T')이 폐표함(19)으로 이송되도록 작동하는 횟수를 카운팅하고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반송부(10)의 1회 작동에 2매 이상의 폐기권(T')이 동시에 통과하는 경우에도 1매의 폐기권(T')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역무원 등에 의한 부정유출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은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수집되는 폐표가 부정유츨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승차권 발매기의 내부를 블럭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되는 승차권발행부의 구성도,
도 3은 도 2를 부분확대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차권발행부 2 : 지폐처리부
3 : 동전처리부 4 : 카드처리부
5 : 조작판넬부 6 : 주제어부
7 : 주프린터 10 : 반송부
10a : 방출구 11 : 급송부
12 : 절단부 13 : 인쇄부
14 : 기록부 15 : 반송벨트
16 : 상부풀리 17 : 하부풀리
18 : 플랫퍼 19 : 폐표함
21 : 보조프린터 22 : 포토센서
23 : 솔레노이드 24 : 지지롤러
M : 모터 R : 롤지
T/T' : 승차권/폐기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 등을 거쳐 형성되는 승차권이 폐기권(T')인 경우 반송부(10)에 이르는 반송벨트(15) 상의 하부풀리(17) 및 플래퍼(18)를 통해 폐표함(19)으로 수집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하부풀리(17)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통과를 검출하는 포토센서(22);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포토센서(22)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일면에 일련번호 등의 데이터를 인쇄하는 보조프린터(21); 상기 플랫퍼(18)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23)의 작동횟수를 카운트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프린터(21)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제어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6)는 상기 포토센서(22)로부터 통과되는 폐기권(T')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폐기권(T')의 종류, 일련번호 등을 여타의 데이터와 함께 주프린터(7)를 통해 인쇄상태로 출력시킨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되는 승차권발행부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승차권 발매기에서 급송부(11), 절단부(12), 인쇄부(13), 기록부(14) 등은 순차적이고 연속적인 동작이 일어나는데, 모터(M)의 구동력을 받아 기록부(14)를 통과하는 반송벨트(15)의 전방에는 반송부(10)가 위치한다. 기록부(14)에서 승차권의 이면에 입력되는 소정의 독출가능한 정보는 이용자가 목적지에 이르러 집찰기를 통과 할 때 독출되고 정당한 이용인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때, 상기 기록부(14)에서 이송되어 오는 승차권이 불량이면 이용자에게 보내지 않고 폐표함(19)에 별도로 수집하는 기능을 하는 반송부(10)에서 상기 폐표함(19)의 입구에는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한다.
승차권의 양부판정은 상기 각 단계를 연결하여 승차권을 이동시키는 벨트 상에 장착되는 센서수단(도시 생략)의 입력을 받아 주제어부(6)에서 행하는데, 기록오류, 독출오류, 기록불일치 등 불량에 의한 폐기권(T')은 설치후 발권과정 뿐아니라 설치전 동작시험 중에도 다량으로 발생된다.
도 3은 도 2를 부분확대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은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 등을 거쳐 형성되는 승차권이 폐기권(T')인 경우 반송부(10)에 이르는 반송벨트(15) 상의 하부풀리(17) 및 플랫퍼(18)를 통해 폐표함(19)으로 수집하는 승차권 발매기에 적용하는 바, 포토센서(22), 보조프린터(21) 등을 추가하는 동시에 주제어부(6)의 기능을 보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반송벨트(15)의 전방으로는 상부풀리(16) 및 하부풀리(17)가 일단을 구성하고, 하부풀리(17)에는 플랫퍼(18)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플랫퍼(18)는 평상시 폐기권(T')이 방출구(10a)로 흐르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솔레노이드(23)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면 반송벨트(15)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폐기권(T')을 폐표함(19)으로 유도한다.
이때, 본 발명의 포토센서(22)는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하부풀리(17)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통과를 검출한다.
상기 포토센서(22)는 내부에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며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일체로 지니고, 광(光)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물체의 통과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포토커플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보조프린터(21)는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포토센서(22)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일면에 일련번호 등의 데이터를 인쇄한다.
전술한 인쇄부(13)(도 2)는 전기신호를 열신호로 변환하는 서멀헤드(thermal head)를 사용하여 승차권의 전면에 불가역적 화학반응을 일으켜 소정의 시각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조프린터(21)는 이러한 서멀헤드를 사용하거나 도트프린터를 사용한다. 보조프린터(21)의 하방으로는 지지롤러(24)가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며 장착되도록 하여 인쇄중 폐기권(T')의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주제어부(6)는 상기 플랫퍼(18)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23)의 작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프린터(21)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주제어부(6)는 솔레노이드(23)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출력을 발생하므로 그 출력횟수로 반송부(10)의 작동횟수를 용이하게 판단하고, 포토센서(22)의 입력을 받을 때마다 보조프린터(21)를 작동시켜 매 폐기권(T')에 도시와 같은 일련번호가 인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6)는 상기 포토센서(22)로부터 통과되는 폐기권(T')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폐기권(T')의 종류, 일련번호 등을 여타의 데이터와 함께 주프린터(7)를 통해 인쇄상태로 출력시킨다.
전술한 도 1처럼 CPU를 지니고 마이컴제어 되는 주제어부(6)는 지폐처리부(2), 동전처리부(3), 카드처리부(4) 등의 요금처리부, 조작/표시부(5)와 배선연결 되지만,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11), 절단부(12), 인쇄부(13), 기록부(14) 등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포토센서(22) 및 솔레노이드(23)에도 배선연결되어 각종 데이터관리 뿐아니라 고장진단 및 경보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주제어부(6)는 일일 판매량, 판매금액 등의 데이터 뿐아니라 폐기권(T')에 관한 데이터도 저장한다. 이에 따라 역무원 등은 주프린터(7)를 통해 어느 기기에서 어느 종류(보통권 또는 정액권)의 승차권이 일일 몇 매가 폐기되는지 인쇄상태로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일련번호는 역무원이 교대될 때 조작스위치(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리세트시키면서 교대되는 역무원의 고유코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그 코드와 함께 인쇄하도록 함으로써(예컨대 일련번호 중 상위 2~3자리 역무원 코드로 할당함) 어느 역무원 근무스 몇 매의 폐표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교대후 역무원에 대한 폐표 일련번호 및 교대전 역무원에 대한 폐표 일련번호도 주제어부(6)의 메모리에 기억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는 지하철 역무자동화의 일환으로 적용되는 승차권 발매기에서 소정의 규격을 지닌 정상권을 발행하는 과정에서 별도로 수집되는 폐표가 부정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승차권발행부(1)의 급송부, 절단부, 인쇄부, 기록부 등을 거쳐 형성되는 승차권이 폐기권(T')인 경우 반송부(10)에 이르는 반송벨트(15) 상의 하부풀리(17) 및 플랫퍼(18)를 통해 폐표함(19)으로 수집하는 승차권 발매기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하부풀리(17)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통과를 검출하는 포토센서(22);
    상기 반송벨트(15) 상에서 포토센서(22)의 하류측으로 설치되고, 폐기권(T')의 일면에 일련번호 등의 데이터를 인쇄하는 보조프린터(21);
    상기 플랫퍼(180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23)의 작동 횟수를 카운트하는 동시에 상기 보조프린터(21)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 주제어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6)는 상기 포토센서(22)로부터 통과되는 폐기권(T')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폐기권(T')의 종류, 일련번호 등을 여타의 데이터와 함께 주프린터(7)를 통해 인쇄상태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KR1019970009177A 1997-03-18 1997-03-18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KR100215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77A KR100215977B1 (ko) 1997-03-18 1997-03-18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77A KR100215977B1 (ko) 1997-03-18 1997-03-18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13A KR19980073713A (ko) 1998-11-05
KR100215977B1 true KR100215977B1 (ko) 1999-08-16

Family

ID=1950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177A KR100215977B1 (ko) 1997-03-18 1997-03-18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40B1 (ko) 2008-02-12 2008-06-27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승차권 회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128889B1 (ko) 2010-10-06 2012-03-26 손영진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40B1 (ko) 2008-02-12 2008-06-27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승차권 회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128889B1 (ko) 2010-10-06 2012-03-26 손영진 슬림개?집표기용 1회권 교통카드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13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37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знак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напечатанной на документах (варианты)
KR100215977B1 (ko) 승차권발매기용 폐표매수 표시장치
US5259678A (en) Printing apparatus for negotiable instruments and securities
KR100227500B1 (ko) 승차권 부정잼 방지시스템
JP2592550B2 (ja) コピーサービス課金装置及びコピーサービス課金システム
JP2000044076A (ja) シート媒体分離装置および自動改札装置
KR19980040936A (ko) 승차권 발매기용 폐표 펀칭장치
KR19990016968A (ko) 폐표처리기능이 개선된 승차권 발행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폐표처리방법
KR100231264B1 (ko) 2웨이 티켓 발권기
JP2746833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2003271994A (ja) 発券装置
JP2000306124A (ja) 券発行装置
US590063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speed of a record medium
KR100227499B1 (ko) 승차권자기부 제거장치
KR19980025979A (ko) 승차권 발매기용 절단부 집진장치
JPS6245227Y2 (ko)
KR0136172Y1 (ko) 승차권 발매기 벨트이탈 방지구조
KR19980051289A (ko) 승차권 발매기용 고의잼 방지장치
KR0152305B1 (ko) 종이류 부호 기록장치
KR19980040935A (ko) 승차권 발매기용 롤지 잔량 처리장치
KR19980030954U (ko) 승차권 발매기 잼방지 가이드구조
KR100202876B1 (ko) 승차권발매기용 인쇄장치
JP3249058B2 (ja) 証紙発行機
KR19990026370A (ko) 자동개집표기의 불량승차권 반환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78052B1 (ko) 신청서 접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